[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8316B1 - 미나리 건조 분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나리 건조 분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316B1
KR100898316B1 KR1020070056764A KR20070056764A KR100898316B1 KR 100898316 B1 KR100898316 B1 KR 100898316B1 KR 1020070056764 A KR1020070056764 A KR 1020070056764A KR 20070056764 A KR20070056764 A KR 20070056764A KR 100898316 B1 KR100898316 B1 KR 100898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ercup
dry powder
buttercups
powder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8778A (ko
Inventor
손민정
이삼빈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김형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김형대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5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316B1/ko
Publication of KR20080108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31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9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6Food, ingredients or supplements targeted to meet non-medical requirements, e.g. environmental, religio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나리 건조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당 절임하여 자연발효시킨 미나리를 건조 및 분말화한 미나리 건조 분말을 이용하여 미나리차, 음료 및 향신료로 제공함으로써, 관능미가 강화되어 기호성을 증진시켜 미나리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미나리 건조 분말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ried dropwort powder}
본 발명은 미나리를 자연발효하여 건조 후 분말화한 미나리 건조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나리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초이며, 물이 충분하게 공급될 수 있는 습지의 논에서 자생 및 재배되어 수근(水芹) 또는 수영(水英)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미나리는 털이 없으며, 길이가 30㎝ 내지 1m 내외로 자라고, 잎은 어긋나고, 뿌리에서 나온 잎과 더불어 긴 잎자루가 있으며, 1 내지 2회 우상(羽狀)으로 갈라진다. 그 줄기에 능각이 있으며 가지의 마디마디에 뿌리가 내려 번식하는 호습성 식물이다.
미나리는 찬 성질을 갖고 있으며, 식품 영양학적으로 보면 비타민 A, B 및 C와 플라본, 칼륨, 칼슘 및 철분 등이 많이 들어있는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이다. 따라서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일어날 수 있는 혈액의 산성화를 방지한다.
또한 미나리는 이소람네틴, 페르시카린, 알파피넨, 미르센 등의 특유의 정유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독특한 향기가 있고 정신을 맑게 하고 혈액을 보호하며 열을 내리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미나리는 항지방간 작용, 간경변 등의 약재로 사용하며, 황달, 급성 및 만성 간염에도 사용하며, 미나리의 엽경은 혈압강하, 해열, 이뇨, 보혈, 지혈, 강장에 주로 사용되고 주독 및 폐렴의 치료에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미나리의 독특한 향기는 강하여 거부감이 들 수 있어 몸에 유익함에도 불구하고 섭취가 쉽지는 않았다. 따라서 미나리의 효능은 그대로 제공하면서 섭취가 용이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미나리를 이용하여 차를 제조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미나리의 독특한 향취가 강하여 음용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생선 및 육제품에 활용되는 향신료는 원료의 비린 맛을 제거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지만, 향신료 원료의 종류가 한정적이어서 제품의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당절임을 통해 미나리를 자연발효시킨 후 건조 분말화하는 방법을 확립하여, 미나리의 고유 영양 성분, 향과 당 및 발효산물인 유기산 등을 포함하는 자연발효 미나리 건조 분말을 제공함으로써, 미나리 건조 분말을 차와 같은 음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신료로 활용하여 고추장과 같은 장류에 활용할 수 있고, 또한 생선 및 돼지갈비 양념육 등의 절임을 위한 소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나리의 유익한 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면서 관능미가 강화되어 기호성을 증진시킨 미나리 건조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나리에 당을 투입하는 혼합단계; 혼합된 미나리를 6~12개월 숙성시키는 숙성단계; 숙성된 미나리를 75~95℃에서 10~15시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 건조된 미나리를 분말화하는 분쇄단계를 포함하는 미나리 건조 분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혼합단계는 미나리와 당을 1~5 : 1~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미나리의 고유 영양 성분, 향과 당 및 발효산물인 유기산 등을 포함하는 자연발효 미나리 건조 분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미나리 건조 분말은 그 자체로 향신료로 사용되거나 그 자체를 정제수에 혼합하여 다류 등으로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나리 건조 분말을 다류의 소재로 활용하면, 단맛, 신맛 및 미나리 고유의 독특한 풍미와 함께 건강에 좋은 영양 성분을 제공할 수 있어, 기존의 녹차 등을 대용할 수 있는 다류로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나리 건조 분말을 사용하여 장류와 같은 식품에 향신료처럼 첨가하여 강한 맛을 조절하여 줄 수도 있다. 생선 및 육제품에 활용되는 향신료들은 원료의 비린 맛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는데, 본 발명의 미나리 건조 분말은 단맛, 신맛 및 미나리 고유의 독특한 풍미를 갖고 있어 매실의 신맛 성분과 설탕의 단맛 성분의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이들을 동시에 사용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식품 분야에서 향신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미나리 건조 분말은 유기산 성분을 1.0중량% 이상, 당 성분을 20°Brix 이상 함유하고 있어, 신 맛과 단 맛이 적절하게 조화되고, 식품에 관능미를 더하여 거부감이 들지 않도록 함으로써 기호성을 증진시켜 미나리의 영양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미나리 건조 분말은 미나리에 당을 투입하는 혼합단계; 혼합된 미나리를 숙성시키는 자연발효단계; 숙성된 미나리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 건조된 미나리를 분말화하는 분쇄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수세하여 세척된 미나리를 당과 혼합하는데, 미나리에 투입되는 당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중 어느 성분이든 선택될 수 있으며, 당이 투입됨으로써 이후 숙성단계에서 미나리의 자연발효를 도와주게 된다.
상기 미나리와 당을 1~5 : 1~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좋다. 당의 함량이 이를 초과하면, 최종 제조된 미나리 건조 분말이 너무 달게 될 수 있으며, 미나리의 발효가 지나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당의 함량이 상기 함량 미만인 경우 미나리의 발효가 적절하게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당과 혼합된 미나리는 숙성단계를 거치는데,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유기산 함량이 많아지게 된다. 미나리의 유기산 성분이 적절하게 용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6~12개월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숙성단계를 거치면서 미나리는 효모, 젖산균에 의한 알코올 및 유기산이 생성되어 자연발효되고, 아울러 발효된 미나리를 이용할 때 미나리의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용출되며, 독특하고 강한 향을 어느 정도 억제하여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숙성단계를 거치면서 발효된 미나리를 75~95℃에서 10~15시간 건조시켜 발효 미생물의 사멸과 함께 미나리 분말의 고유한 향과 갈변화에 의한 갈색 빛을 부여하며, 장기간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건조된 미나리를 40~100mesh 크기로 분쇄하여 미나리 건조 분말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미나리 건조 분말은 그 자체로 식품으로서 섭취할 수 있으며, 식품에 첨가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미나리 건조 분말 그 자체를 향신료로 사용하여 생선 조림, 조미육 제품 제조와 같은 요리에 첨가함으로써 비린내와 누린내와 같은 냄새를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나리 건조 분말을 정제수에 함유하여 다류를 비롯한 음료로 음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미나리 건조 분말을 고추장을 비롯한 각종 장류에 첨가하여 강한 맛을 완화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여타 식품에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미나리 건조 분말을 음료 및 각종 장류를 비롯한 식품에 첨가하는 경우, 첨가되는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0중량%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미나리의 유효성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미나리의 첨가로 인한 기호성 증진 및 당 발효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는 당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미나리 건조 분말을 장류에 첨가하는 경우,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50중량%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나리 건조 분말을 다류를 비롯한 음료에 첨가하는 경우,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중량%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나리 건조 분말 제조
<실시예 1>
대구 비슬산 가창면 정대리에서 수확한 청정미나리 10kg을 깨끗하게 수세한 후, 세척된 항아리에 다져 넣고, 미나리와 올리고당이 1:1의 중량비가 되도록 올리고당을 투입하였다. 올리고당과 미나리를 골고루 혼합하여 상온에서 6개월 동안 숙성시켜 자연발효시켰다.
상기 자연발효된 미나리를 대형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80℃에서 1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70mesh로 분말화하여 미나리 건조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미나리를 수세하여 대형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80℃에서 15시간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70mesh로 분말화하여 미나리 건조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미나리 건조 분말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산인 젖산과 초산의 함량을 다음의 방법으로 분석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유기산 함량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유기산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검출기는 UV detector를 사용하였고, 이동상은 0.004M H2SO4, column은 Aminex HPX-87H(Bio-rad)을 사용하였다. 유기산의 정량은 각각의 유기산을 농도별로 분석한 후, 표준곡선을 사용하여 정량하였고, 그 결과 미나리 건조 분말에는 젖산과 초산만이 검출되어 이의 값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07042175077-pat00001
상기 분석 결과, 본 발명의 미나리 건조 분말은 각종 유기산 및 당 함량이 높은 것을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식품으로 제공할 때 신맛과 단맛을 적절하게 느낄 수 있다.
향신료로 이용 - 생선조림 양념장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자연발효된 미나리 건조 분말을 양념장에 포함하고, 세척한 고등어에 상기 양념장을 넣고 15분간 약한 불에서 가열하여 조림을 만들었다. 고등어와 양념장의 성분 및 비율은 하기 표 2와 같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자연발효된 미나리 건조 분말을 양념장에 포함하고, 세척한 갈치에 상기 양념장을 넣고 15분간 약한 불에서 가열하여 조림을 만들었다. 갈치와 양념장의 성분 및 비율은 하기 표 2와 같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수득된 미나리 건조 분말을 양념장에 포함하고, 세척한 고등어에 상기 양념장을 넣고 15분간 약한 불에서 가열하여 조림을 만들었다. 고등어와 양념장의 성분 및 비율은 하기 표 2와 같다.
<비교예 3>
세척한 고등어에 미나리 건조 분말을 포함하지 않은 양념장을 넣고 15분간 약한 불에서 가열하여 조림을 만들었다. 고등어와 양념장의 성분 및 비율은 하기 표 2와 같다.
원료 실시예 2,3 비교예 2 비교예 3
생선 75 75 75
간장 7.5 7.5 7.5
설탕 3.5 3.5 7.5
- - -
마늘 - - -
후추 0.5 0.5 0.5
양파 - - -
맛술 1.5 1.5 1.5
정제염 - - -
정제수 10 10 8
실시예 1의 미나리분말 2 - -
비교예 1의 미나리분말 - 2 -
(단위 : 중량%)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생선 조림에 대하여 성인남여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맛과 향 및 기호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방법은 5점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5점에 가까울수록 생선 특유의 비린 맛과 향이 적으며, 1점에 가까울수록 생선 특유의 비린 맛과 향이 강함을 나타내는 것이며, 그 평균점수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풍미 외관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
실시예2 5 5 4 5 5
실시예3 4 4 5 5 5
비교예2 4 4 3 3 3
비교예3 3 3 4 3 3
상기 결과, 본 발명의 자연발효하여 얻어진 미나리 건조 분말을 생선 조림에 사용하는 경우 생미나리 건조 분말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생선 특유의 비린 맛과 향이 획기적으로 감소되어 기호성이 증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향신료로 이용 - 돼지갈비 양념장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자연발효된 미나리 건조 분말을 양념장에 포함하고, 손질한 돼지고기를 상기 양념장에 넣어 3시간 재운 후 100℃에서 10분간 구웠다. 돼지고기와 양념장의 성분 및 비율은 하기 표 4와 같다.
<비교예 4>
비교예 1에서 수득된 미나리 건조 분말을 양념장에 포함하고, 손질한 돼지고기를 상기 양념장에 넣어 3시간 재운 후 100℃에서 10분간 구웠다. 돼지고기와 양념장의 성분 및 비율은 하기 표 4와 같다.
<비교예 5>
손질한 돼지고기를 미나리 건조 분말을 포함하지 않은 양념장에 넣어 3시간 재운 후 100℃에서 10분간 구웠다. 돼지고기와 양념장의 성분 및 비율은 하기 표 4와 같다.
원료 실시예 4 비교예 4 비교예 5
돼지고기 75 75 75
간장 5 5 5
설탕 2 2 4
2.5 2.5 2.5
마늘 2.5 2.5 2.5
후추 0.3 0.3 0.3
양파 3.5 3.5 3.5
맛술 1 1 1
정제염 0.2 0.2 0.2
정제수 6 6 6
실시예 1의 미나리분말 2 - -
비교예 1의 미나리분말 - 2 -
(단위 : 중량%)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4, 비교예 4 및 비교예 5의 돼지갈비 양념육에 대하여 성인남여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맛과 향 및 기호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방법은 5점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5점에 가까울수록 고기의 누린내가 적고, 미나리의 고유한 향을 함유하며, 1점에 가까울수록 고기의 누린내가 강함을 나타내는 것이며, 그 평균점수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풍미 외관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
실시예 4 5 4 5 5 5
비교예 4 4 2 4 4 3
비교예 5 3 3 4 3 3
상기 결과, 본 발명의 발효 미나리 건조 분말을 돼지갈비 양념육에 사용하는 경우 생미나리 건조 분말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돼지 갈비의 누린내가 감소되고, 더 좋은 향과 맛을 가지게 되어 기호성이 증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미나리차 제조
<실시예 5~10>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효 미나리 건조 분말을 하기 표 6과 같은 온도의 정제수에 미나리차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중량을 첨가하여 미나리차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발효 미나리 건조 분말을 하기 표 6과 같은 온도의 정제수에 미나리차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중량을 첨가하여 미나리차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5~10 및 비교예 6의 정제수의 온도에 따른 미나리차의 pH, 산도 및 당도를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1) pH : pH 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산도 : 시료 5 mL에 증류수 20 mL을 첨가하여 pH meter로 pH가 8.3에 도달할 때까지 0.1N-NaOH로 적정한 소비량을 lactic acid 함량(%, v/v)으로 환산하였다.
(3) 당도 : refractometer를 이용하여 °brix로 측정하였다.
구분 온도(℃) pH 산도(%) 당도(°Brix)
실시예5 40 3.89 0.06 2.2
실시예6 50 3.89 0.06 2.2
실시예7 60 3.90 0.05 2.3
실시예8 70 3.88 0.06 2.2
실시예9 80 3.88 0.06 2.2
실시예10 90 3.88 0.06 2.3
비교예6 60 4.32 0.03 0.5
상기 결과, 본 발명의 미나리 건조 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된 미나리차는 정제수의 온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적절한 심미감을 줄 수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생미나리 건조 분말을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 차로 마시기 가장 적당한 온도에 분말을 혼합하였음에도 당도가 저하되고, 미나리 향과 맛이 저하되어 그대로 차로 음용하기에는 부적합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1~13>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나리 건조 분말을 미나리차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한 하기 표 7과 같은 비율로 50℃ 정제수에 첨가하여 미나리차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미나리 건조 분말을 미나리차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한 하기 표 7과 같은 비율로 50℃ 정제수에 첨가하여 미나리차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5>
상기 실시예 11 내지 13 및 비교예 7에서 제조된 미나리 차에 대하여 미나리 건조 분말의 농도에 따른 pH, 산도 및 당도를 상기 실험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구분 실시예1의 미나리건조분말 첨가량(중량%) 비교예1의 미나리건조분말 첨가량(중량%) pH 산도(%) 당도 (°Brix)
실시예11 1 - 3.88 0.06 2.2
실시예12 3 - 3.88 0.06 2.2
실시예13 5 - 3.88 0.06 2.3
비교예7 - 3 4.32 0.03 0.5
상기 결과, 본 발명의 미나리 건조 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된 미나리차는 미나리차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중량% 사용한 경우 건조 분말 적절한 심미감을 줄 수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생미나리 건조 분말을 사용한 비교예 7의 경우 신 맛과 단 맛이 매우 약하여 그대로 차로 음용하기에는 부적합함을 알 수 있다.
고추장 제조
<실시예 14>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나리 건조 분말을 다음 표 8의 조성비율로 혼합하여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미나리 건조 분말 23
찹쌀가루 20
고춧가루 25
소금 12
엿기름 10
메주가루 10
<비교예 8>
삼화식품공사의 '태양초 담은 2배 고추장'을 구입하였다.
<실험예 6>
실시예 14 및 비교예 8의 고추장에 대하여 pH, 산도, 색도, 점조도 및 당도를 측정하여 표 9에 나타내었다.
(1) pH : pH 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산도 : 시료 5 mL에 증류수 20 mL을 첨가하여 pH meter로 pH가 8.3에 도달할 때까지 0.1N-NaOH로 적정한 소비량을 lactic acid 함량(%, v/v)으로 환산하였다.
(3) 당도 : refractometer를 이용하여 °brix로 측정하였다.
(4) 색도 : color difference meter(Minolta model : CR-10, Japan)로 측정하였으며, Hunter scale에 의하여 “L” (명도), “a” (적색도),“b” (황색도)값을 측정하였다.
(5) 점조도 : rheometer System (HAAKE RheoStress 1, Germany)에 Spindle (platte PP35, Titan)을 장착하여 측정하였다. 고추장 1.5g을 plate 위에 올려 구간당 10초 동안의 평균값이 측정되어 얻은 값을 shear rate(1/s)와 shear stress(Pa)로 나타내어 점조도가 높아짐에 따라 층밀림 변형력이 높아지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측정온도 20℃에서 전단속도는 1-100 S-1의 범위로 유동특성을 알아보았고, 점조도 값은 Pawer law model (τ= arb)로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pH 산도(%) 색도 점조도(Pa·sn) 당도(°Brix)
실시예14 4.61 0.36 L:21.19, a:8.21, b:4.56 268.6 63
비교예8 4.76 0.30 L:22.53, a:8.58, b:5.07 294.4 60
<실험예 7>
실시예 14 및 비교예 8의 고추장에 대하여 성인남여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맛과 향 및 기호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방법은 9점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그 평균점수를 SAS program을 이용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0과 같다.
구분 매운맛 단맛 짠맛 전반적인 기호도
실시예14 5.8a 6.0a 5.7ba 5.6a 5.8ba 6.3a
비교예8 5.0ba 5.8a 6.6a 5.4a 6.2a 6.2a
상기 표 9 및 표 10의 결과, 본 발명의 미나리 건조 분말을 사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는 경우 종전의 방법으로 제조된 시판중인 고추장보다 유기산과 당분의 함량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나리 건조 분말을 사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는 경우 종전의 방법으로 제조된 시판중인 고추장보다 색, 향, 단맛이 더 좋았으며, 매운 맛과 짠 맛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기호도가 시판중인 고추장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연발효된 미나리 건조 분말은 그 자체를 이용하여도 기호도가 우수한 식품이 되며, 식품에 향신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에도 신 맛과 단맛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면서 식품의 기호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맛과 영양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나리의 유익한 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 미나리 건조 분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나리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면서 기호성이 증진된 미나리 건조 분말을 함유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미나리에 당을 투입하는 혼합단계;
    혼합된 미나리를 6~12개월 숙성시키는 숙성단계;
    숙성된 자연발효 미나리를 75~95℃에서 10~15시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
    건조된 미나리를 분말화하는 분쇄단계
    를 포함하는 미나리 건조 분말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혼합단계는 미나리와 당을 1~5 : 1~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나리 건조 분말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070056764A 2007-06-11 2007-06-11 미나리 건조 분말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98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764A KR100898316B1 (ko) 2007-06-11 2007-06-11 미나리 건조 분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764A KR100898316B1 (ko) 2007-06-11 2007-06-11 미나리 건조 분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778A KR20080108778A (ko) 2008-12-16
KR100898316B1 true KR100898316B1 (ko) 2009-05-20

Family

ID=40368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76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8316B1 (ko) 2007-06-11 2007-06-11 미나리 건조 분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788B1 (ko) 2023-05-30 2023-11-17 주식회사 한성넥스 가구용 손잡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7155A (ja) 1985-05-10 1986-11-14 Horiuchi:Kk 抗酸化食品
KR20020061745A (ko) * 2001-01-17 2002-07-25 영동 기능식품 주식회사 녹즙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인스턴트식품및 그 제조방법
KR20030045907A (ko) * 2001-12-03 2003-06-12 주식회사농심 정미성이 높은 미나리 엑기스의 제조방법
KR20030072168A (ko) * 2002-03-05 2003-09-13 김형대 미나리엑기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7155A (ja) 1985-05-10 1986-11-14 Horiuchi:Kk 抗酸化食品
KR20020061745A (ko) * 2001-01-17 2002-07-25 영동 기능식품 주식회사 녹즙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인스턴트식품및 그 제조방법
KR20030045907A (ko) * 2001-12-03 2003-06-12 주식회사농심 정미성이 높은 미나리 엑기스의 제조방법
KR20030072168A (ko) * 2002-03-05 2003-09-13 김형대 미나리엑기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778A (ko) 200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470B1 (ko) 치킨용 양념 소스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양념 소스
CN111838644B (zh) 一种黄豆辣椒复合发酵酱的制备方法和火锅底料及其制备方法
KR102004293B1 (ko) 양념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장
KR101919476B1 (ko) 돼지감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조미료 제조방법
CN107581458B (zh) 一种黑椒牛排专用烧烤酱及其制备方法
CN101218972A (zh) 风味辣酱制作方法
KR101450010B1 (ko) 전통간장을 이용한 떡볶이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1913B1 (ko) 해물 및 생선용 양념장
KR102471406B1 (ko) 발효 해조류를 주재료로 한 천연 조미료와 그 제조방법
CN107495300B (zh) 一种麻辣味烧烤酱及其制备方法
CN108968018A (zh) 一种甜面酱及其制备方法
KR101791325B1 (ko) 귀리 조청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귀리 조청
KR101551241B1 (ko) 고추장 잼 및 그 제조방법
KR100898316B1 (ko) 미나리 건조 분말의 제조방법
KR102489466B1 (ko) 치킨용 디핑 소스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디핑 소스
KR20190011136A (ko) 생선요리용 발효 고춧가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33086B1 (ko) 구지뽕 고추장, 그 제조방법, 및 그 구지뽕 고추장을 포함하는 요리
JP6253182B2 (ja) トマト含有調味料
KR101848805B1 (ko) 생약추출물을 이용한 꿩장비빔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266179B1 (ko) 고추장 양념소스 및 이를 이용한 고추장 양념 삼겹살 구이의 조리방법
CN107581582B (zh) 一种香辣味烧烤酱及其制备方法
KR20170054094A (ko) 매실청을 첨가한 볶음 고추장의 제조방법
KR20100063936A (ko) 야콘을 이용한 양념장 및 그 제조방법
KR102758878B1 (ko) 김치시즈닝 및 그 제조방법
KR102834110B1 (ko) 닭갈비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6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90212

Appeal identifier: 2009101000064

Request date: 20090106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1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8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902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206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