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95106B1 -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 - Google Patents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106B1
KR100895106B1 KR1020080042567A KR20080042567A KR100895106B1 KR 100895106 B1 KR100895106 B1 KR 100895106B1 KR 1020080042567 A KR1020080042567 A KR 1020080042567A KR 20080042567 A KR20080042567 A KR 20080042567A KR 100895106 B1 KR100895106 B1 KR 100895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uter plate
handle
inner plate
p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록
이명덕
Original Assignee
(주)화인아트
이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아트, 이명덕 filed Critical (주)화인아트
Priority to KR1020080042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10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뚜껑의 하면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내측판과, 뚜껑의 상면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배출홈이 형성된 외측판과, 상기 외측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뚜껑손잡이가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는, 내측판에 형성된 배출공과 외측판에 형성된 배출홈의 작용으로 증기의 배출이 용이하여 음식을 조리시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도 저렴한 효과가 있다.
넘침방지, 냄비뚜껑, 냄비, 뚜껑손잡이

Description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 Pot-lid handle for preventing overflowing }
본 발명은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뚜껑의 하면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내측판과, 뚜껑의 상면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배출홈이 형성된 외측판과, 상기 외측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뚜껑손잡이가,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내측판에 형성된 배출공과 외측판에 형성된 배출홈의 작용으로 증기의 배출이 용이하여 음식을 조리시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도 저렴한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국물이 있는 음식을 조리할 때, 가장 곤란한 점은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이다. 음식물이 끓어 넘치게 되면 넘친 국물이 용기에 눌어붙어 세척이 용이하지 않게 되고, 가열기기의 손상을 가져오거나 심하면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냄비뚜껑 손잡이에 대한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끓어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은 공개특허공보 제 07-0024895호에 개 시된 냄비 뚜껑 구성에서, 뚜껑의 가장자리부에 증기배출구를 형성하고, 그 위에 다시 증기배출구용 뚜껑이 설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23694호에 기재된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가 있는데, 그 기술적 구성은, 냄비뚜껑체의 가장자리 외주면에 조립되는 금속 뚜껑 플랜지에 일정한 폭과 두께를 이루는 링 모양의 실리콘 커버를 구성한 냄비 뚜껑 및 일상의 냄비뚜껑에, 수증기 유통공 및 프랜지 지지대를 가진 프랜지부, 수증기 유통공을 밀폐시키는 프랜지 뚜껑, 냄비 뚜껑 외측면을 바닥면으로 하여 프랜지부 및 프랜지 뚜껑을 내장하며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수증기 배출구를 형성시킨 수증기 압력 배출부에 냄비 손잡이를 수증기 배출부 상측에 안착시켜 볼트로 체결시키는 넘침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 손잡이는 뚜껑 가장자리부에 배출용 구멍을 더 뚫거나, 뚜껑손잡이 하부의 구조가 복잡하여 그 구현이 용이하지 않고, 제작비용도 많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이 끓을 때, 수증기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으면 음식물이 쉽게 끓어 넘치게 되는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2369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랜지 뚜껑이 형성되어 있으면 내부의 수증기 배출이 용이하지 않아서 완전하게 넘침을 방지할 수가 없다. 즉, 내용물이 가열되어 내부 증기압이 높아지면 프랜지 뚜껑이 증기압에 의해 위로 들려져서 증기가 배출된다고는 하지만, 프랜지 뚜껑에 의해 증기 배출구가 열렸다 닫혔다를 반복하여, 편안한 상태로 증기가 배출되지 않아서 완전하게 넘침을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요리를 할 때,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냄비뚜껑 손잡이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제작비용도 줄이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는 뚜껑의 하면에 위치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내측판과, 뚜껑의 상면에 위치하는 배출홈이 형성된 외측판과, 상기 외측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뚜껑손잡이를,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판은 가장자리부에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판은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가장자리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판은 가장자리부에 배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배출홈은 요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외측판과 뚜껑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내측판과 상기 외측판의 사이에는 뚜껑이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에 의하면, 음식을 조리할 때, 뚜껑 하면에 위치한 내측판에 형성된 배출공과 뚜껑의 상면에 위치한 외측판에 형성된 배출홈에 의해 음식물이 가열될 때 발생하는 수증기가 용이하게 배출되어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도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외측판에 형성된 배출홈은 측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어서, 뜨거운 수증기가 뚜껑의 상부면을 따라 측면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뚜껑을 열 때에 수증기에 손을 데이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가 냄비뚜껑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A ~ A부 단면도이고, 도 4의 (a) 내지 (c)는 다양한 뚜껑손잡이를 교체 설치한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로 외측판과 뚜껑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음식을 조리할 때,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뚜껑(10)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판(20)과, 뚜껑(10)의 상면에 위치하는 외측판(30)과, 뚜껑(10)을 여닫기 위한 뚜껑손잡이(40)와 이들을 결합 고정하기위한 고정부재(5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 하자면, 상기 내측판(20)은 뚜껑(10)의 하면 중심부에 설치되는데, 이 내측판(20)에는 음식물이 조리될 때, 가열되어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25)이 형성된다. 이 배출공(25)은 내측판(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통공으로, 외측판(30)의 배출홈(35)과 연통 되도록 형성되어 음식물이 가열되어 발생한 증기를 용이하게 배출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내측판(20)은 위로 볼록한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내측판(20)이 위로 볼록한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뚜껑(1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12)에 끼워져 뚜껑(10)에 안정되게 지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판(20)의 가장자리부에는 플랜지부(22)가 형성되어 내측판(20)이 뚜껑(10)의 하부에 보다 안정되게 지지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공(25)은 내측판(20)의 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외측판(30)의 배출홈(35)으로 수증기를 배출하게 된다.
즉, 내측판(20)의 형태가 위로 볼록한 형태를 취하므로 뚜껑(10) 중심부의 관통공(12)은 내측판(20)의 위로 돌출된 부분을 다 수용하고 내측판(20)의 가장자리의 플랜지부(22)만 뚜껑(10)의 관통공(12)의 외부에 걸리도록 형성되게 된다.
다음, 상기 외측판(30)은 가장자리 외측연에 배출홈(3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배출홈(35)은 외측판(30) 가장자리부의 외측연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정의 크기를 가진 요홈이다. 즉, 상기 배출홈(35)은 내측판(2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공(25)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가 상기 외측판(30)의 배출홈(35)를 통해서 뚜껑(10)의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상기 외측판(30) 역시 위로 볼록한 반구의 형태로 형성되는데, 가장자리부는 아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각을 형성하며 원통의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홈(35)은 외측판(30)의 가장자리부에 일정간격의 요홈으로 형성되어 있어, 수증기가 배출될 때, 뚜껑(10)의 상면을 따라 측면으로 확산 될 수 있도록 하여 요리하는 사람이 손을 데이지 않고 뚜껑을 여닫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손잡이(40)는 상기 외측판(30)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뚜껑손잡이(40)의 하부에는 고정부재(50)에 의해 내측판(20)과 외측판(30)을 뚜껑(10)과 함께 일체로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45)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측판(20), 뚜껑(10), 외측판(30), 뚜껑손잡이(40)의 순서로 적층되어 고정부재(50)가 내측판(20) 및 외측판(30)의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부호 미도시)에 끼워져 뚜껑손잡이(40)에 고정 결합 된다.
여기서 고정부재(50)는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결합을 위한 어떠한 결합 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뚜껑손잡이(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모양의 뚜껑손잡이(40a,40b,40c)를 교환하여 결합할 수 있어서, 각자의 용도나 취향에 맞는 뚜껑손잡이(40a,40b,40c)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각각 미적 취향도 다르고, 손에 잡히는 감각의 선호도 다르고,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끼는 크기도 다르기 때문에 각자에 맞는 손잡이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뚜껑손잡이(40)를 사용할 때, 각자의 미적 취향에 맞아 기분도 좋고, 더 편안하고, 더 안정감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판(30)과 뚜껑손잡이(40)를 분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판과 상기 뚜껑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하여 가장자리 외측연에 배출홈(35)이 형성된 구조로 하여 더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손잡이(30a)를 더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제작 비용도 더 저렴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음식물을 조리할 때, 음 식물이 가열되어 발생되는 수증기는 뚜껑(10)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내측판(20)에 형성된 배출공(25)를 통해 배출되어, 뚜껑(10)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외측판(30)에 형성된 배출홈(35)을 통해 뚜껑(10)의 외부로 막힘이 없이 자연스럽게 배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판(30)에 형성된 배출홈(35)이 외측판(30)의 외측연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수증기를 배출함으로써, 이 수증기는 뚜껑(10)의 상면을 따라 측면으로 확산 되기 때문에 손을 데이지 않고 뚜껑을 여닫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가 냄비뚜껑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A ~ A부 단면도이고,
도 4의 (a) 내지 (c)는 다양한 뚜껑손잡이를 교체 설치한 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의 다른 실시예로 외측판과 뚜껑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뚜껑 12 : 관통공
20 : 내측판 22 : 플랜지부
25 : 배출공 30 : 외측판
30a : 손잡이 일체형 외측판
35 : 배출홈 40,40a,40b,40c : 뚜껑손잡이
45 : 결합홈 50 : 결합부재

Claims (8)

  1. 뚜껑의 하면에 위치하고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부에 배출공이 형성된 내측판과, 뚜껑의 상면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에 요홈인 배출홈이 형성된 외측판과, 상기 내측판과 상기 외측판의 사이에 구비되는 뚜껑과, 상기 외측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뚜껑손잡이를 고정부재인 볼트에 의해 결합 고정하고,
    상기 내측판은 가장자리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손잡이는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 손잡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뚜껑의 하면에 위치하고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부에 배출공이 형성된 내측판과, 뚜껑의 상면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에 요홈인 배출홈이 형성된 외측판과, 상기 내측판과 상기 외측판의 사이에 구비되는 뚜껑과, 상기 외측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뚜껑손잡이를 고정부재인 볼트에 의해 결합 고정하고,
    상기 내측판은 가장자리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
  7. 삭제
  8. 삭제
KR1020080042567A 2008-05-07 2008-05-07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 Expired - Fee Related KR100895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567A KR100895106B1 (ko) 2008-05-07 2008-05-07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567A KR100895106B1 (ko) 2008-05-07 2008-05-07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5106B1 true KR100895106B1 (ko) 2009-04-28

Family

ID=40758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5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5106B1 (ko) 2008-05-07 2008-05-07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1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4415A1 (de) 2010-01-13 2011-07-14 Kramer, Stephan, Dipl.-Ing. (univ.), 53721 Kochgebläse zum Verhindern des Überkochens
CN104161464A (zh) * 2013-05-19 2014-11-26 张广舜 一种防溢安全锅盖
KR20160087577A (ko) 2015-01-14 2016-07-22 주식회사 노블첸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
KR20160094617A (ko) 2015-02-02 2016-08-10 주식회사 노블첸 착탈식 냄비꼭지
KR102007604B1 (ko) * 2018-03-02 2019-08-05 김화옥 숯불 및 장작용 훈제 구이기
KR102651880B1 (ko) * 2023-04-27 2024-03-27 주식회사 쿠달 가정용 조리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2764U (ko) 1976-04-05 1977-10-08
KR200342402Y1 (ko) 2003-12-01 2004-02-18 여운관 넘침 방지 냄비뚜껑
KR200359499Y1 (ko) * 2004-06-01 2004-08-18 여운관 넘침 방지 냄비뚜껑
KR200359511Y1 (ko) 2004-06-04 2004-08-21 최성규 수증기가 자동으로 배출 및 차단되는 바이오 냄비 뚜껑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2764U (ko) 1976-04-05 1977-10-08
KR200342402Y1 (ko) 2003-12-01 2004-02-18 여운관 넘침 방지 냄비뚜껑
KR200359499Y1 (ko) * 2004-06-01 2004-08-18 여운관 넘침 방지 냄비뚜껑
KR200359511Y1 (ko) 2004-06-04 2004-08-21 최성규 수증기가 자동으로 배출 및 차단되는 바이오 냄비 뚜껑의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4415A1 (de) 2010-01-13 2011-07-14 Kramer, Stephan, Dipl.-Ing. (univ.), 53721 Kochgebläse zum Verhindern des Überkochens
CN104161464A (zh) * 2013-05-19 2014-11-26 张广舜 一种防溢安全锅盖
KR20160087577A (ko) 2015-01-14 2016-07-22 주식회사 노블첸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
KR20160094617A (ko) 2015-02-02 2016-08-10 주식회사 노블첸 착탈식 냄비꼭지
KR102007604B1 (ko) * 2018-03-02 2019-08-05 김화옥 숯불 및 장작용 훈제 구이기
KR102651880B1 (ko) * 2023-04-27 2024-03-27 주식회사 쿠달 가정용 조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106B1 (ko)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
KR20080001443U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기구용 뚜껑
CN203789739U (zh) 一种电饭煲微压防溢蒸汽阀
US10039406B2 (en) Steam cooker
KR101252443B1 (ko) 다기능 냄비
JP2017522947A (ja) 調理器具
PT1942778E (pt) Panela para cozinhar ou aquecer dotada de um mecanismo ajustável de ventilação dos vapores internos
CN108968647A (zh) 一种锅具
KR20110072862A (ko)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KR101152903B1 (ko) 만두 찜용 항아리
KR100834805B1 (ko) 가마솥
KR200323694Y1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20110040069A (ko) 다단조절 찜기 겸용 조리기구
KR200449097Y1 (ko) 개별 취사부가 구비되는 전기밥솥
KR200426082Y1 (ko)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
KR20120042779A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가마솥
KR20100114290A (ko) 가열용기용 뚜껑
KR101805145B1 (ko)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
KR20050094730A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CN209315529U (zh) 一种锅具
WO2020119452A1 (zh) 一种改进多功能养生壶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102321700B1 (ko) 전기압력밥솥의 뚜껑용 스팀 캡
KR20090070170A (ko) 뚝배기의 이중 뚜껑 구조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