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290A - 가열용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가열용기용 뚜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14290A KR20100114290A KR1020090032750A KR20090032750A KR20100114290A KR 20100114290 A KR20100114290 A KR 20100114290A KR 1020090032750 A KR1020090032750 A KR 1020090032750A KR 20090032750 A KR20090032750 A KR 20090032750A KR 20100114290 A KR20100114290 A KR 201001142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heating vessel
- handle
- steam
- transpar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증기의 배출로 인하여 뚜껑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열용기용 뚜껑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체와 상기 본체 중심에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된 가열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의 투명부와, 상기 투명부에 결합된 금속 재질의 외측부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에는 가열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부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된 증기가 집수되는 함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손잡이에 가열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투명부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된 증기가 집수되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증기의 배출로 인하여 뚜껑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열용기 뚜껑 스팀 증기 조리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열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 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용기용 뚜껑이다.
일반적으로 가열용기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냄비 프라이팬 등 다양한 형태의 제작된다.
도 1은 종래의 가열용기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열용기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가열용기(1)에 개방부(1a)를 충분히 덮을 수 있는 뚜껑(2)이 결합된다.
상기 뚜껑(2)은 가열 용기의 내부에서 발생된 일정량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증기 배출구(2a)가 일측에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뚜껑(2)를 개폐하기 위한 플라스틱 재질의 손잡이(2b)가 형성된다.
또한, 증기 밥솥 등과 같이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에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기 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열용기용 뚜껑은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뚜껑의 상부면 및 증기 배출구 주위가 더러워지게 되고, 손잡이가 뚜껑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더러워진 부분을 세척하기가 힘들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증기의 배출로 인하여 뚜껑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열용기용 뚜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용기용 뚜껑은 본체와 상기 본체 중심에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된 가열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의 투명부와, 상기 투명부에 결합된 금속 재질의 외측부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에는 가열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부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된 증기가 집수되는 함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는 파지부가 일측에 연장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하부에 너트부가 형성되어, 상기 투명부에 상측으로 돌출된 원통 형태의 돌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투명부의 중앙에 돌출된 돌기에 형성된 내부 배출구와,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외부 배출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돌기에는 가열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압을 통해서 상기 내부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캡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용기용 뚜껑은 손잡이에 가열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투명부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된 증기가 집수되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증기때문에 뚜껑의 상부면이 뚜껑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 가열용기용 뚜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용기용 뚜껑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열용기용 뚜껑(200)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뚜겅과 동일하게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 중심에 형성된 손잡이(220)로 구성된다.
다만, 상기 본체(210)는 사용자가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의 투명부(212)와 상기 투명부(212)에 결합된 금속 재질의 외측부(214)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투명부(212)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 특히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작되어 가열용기 내부의 음식물의 가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외측부(214) 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외측부(214)에 인서트 사출을 이용하여 투명부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220)에는 가열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28)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부(212)에는 상기 배출구(228)를 통해서 배출된 증기가 집수되는 함몰부(212a)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212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너츠 형태로 손잡이가 결합된 투명부의 중심부에 함몰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배출구(228)가 형성된 주위에 반구형태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20)는 파지부(222)가 일측에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뚜껑을 가열용기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손잡이에 대해 살펴보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용기용 뚜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20)는 하부에 너트부(226)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 투명부(212)에 상측으로 돌출된 원통 형태의 돌출부(2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242)와 결합된다.
따라서, 손잡이(220)와 뚜껑 본체(210)의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여 세척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220)에는 가열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가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투명부(212)의 중앙에 돌출된 돌기(216)에 형성된 내부 배출구(218)와, 상기 손잡이(220)에 형성된 외부 배출구(228)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 배출구(228)을 통해서 배출되는 증기의 투명부(212)에 형성된 함몰부(212a)에 모이게 된다. 따라서 뚜껑의 상부면을 따라서 증기가 흘러내려서 상부면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상기 외부 배출구(228)는 손잡이(220)에 연장 형성된 파지부(2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증기 배출로 인하여 사용자가 화상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기(216)에는 가열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압을 통해서 상기 내부 배출구(218)를 개폐시키는 캡(23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230)의 구체적인 작동에 대해 살펴보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용기용 뚜껑이 가열 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용기(1)의 내부에 음식물을 넣고 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가열하게 되면, 내부에서 음식물이 익으면서 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가열전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30)은 돌기(216)이 결합된 상태로 있으며, 가열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압을 통해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30)이 수직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돌기(216)에 형성된 내부 배출 구(118)를 통해서 증기가 배출하게 되고, 상기 증기는 다시 외부 배출구(228)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정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는 공기중으로 배출되거나, 배출과정에서 응축되어 투명부에 함몰형성된 함몰부(212a)에 집수된다.(도 5의 도면 번호 S는 집수된 증기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정을 통해서 뚜껑의 상부면이 증기를 통해서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가열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캡(230)은 자중을 통해서 다시 돌기(216)에 결합하게 된다.
다만, 상기 캡(230)이 증기를 통해서 상하 이동되는 내부 공간(V)은 손잡이(220)에 형성된 너트부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V)의 높이는 상기 캡(230)이 돌기(216)에 형성된 내부 배출구(218)를 개폐할 수 있을 정도로 제작되며, 내부 공간(V)의 폭은 상기 캡(230)이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과정에서 상기 캡(230)이 결합된 손잡이의 내부 공간(V)이 증기를 통해서 더러워지는 진 경우에는 손잡이의 너트부와 돌기의 나사를 분리하여 상기 내부 공간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배출된 증기가 집수되는 함몰부가 형성된 가열용기용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가열용기를 도시하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용기용 뚜껑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용기용 뚜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용기용 뚜껑이 가열 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뚜껑
210: 본체
212: 투명부
212a: 함몰부
214: 외측부
216: 돌기
218: 내부 배출구
220: 손잡이
222: 파지부
226: 너트부
228: 외부 배출구
230: 캡
240: 돌출부
242: 나사
Claims (5)
- 본체와 상기 본체 중심에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된 가열용기용 뚜껑에 있어서,상기 본체는,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의 투명부와, 상기 투명부에 결합된 금속 재질의 외측부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상기 손잡이에는,가열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상기 투명부에는,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된 증기가 집수되는 함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용기용 뚜껑.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손잡이는,파지부가 일측에 연장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용기용 뚜껑.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손잡이는,하부에 너트부가 형성되어,상기 투명부에 상측으로 돌출된 원통 형태의 돌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용기용 뚜껑.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배출구는,상기 투명부의 중앙에 돌출된 돌기에 형성된 내부 배출구와;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외부 배출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용기용 뚜껑.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돌기에는,가열용기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압을 통해서 상기 내부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캡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용기용 뚜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2750A KR20100114290A (ko) | 2009-04-15 | 2009-04-15 | 가열용기용 뚜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2750A KR20100114290A (ko) | 2009-04-15 | 2009-04-15 | 가열용기용 뚜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4290A true KR20100114290A (ko) | 2010-10-25 |
Family
ID=43133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2750A KR20100114290A (ko) | 2009-04-15 | 2009-04-15 | 가열용기용 뚜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14290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9581B1 (ko) * | 2012-07-19 | 2013-09-17 | 문제구 | 이물질이 끼이지 않도록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증기배출장치가 구비된 용기뚜껑 |
CN103565289A (zh) * | 2013-10-09 | 2014-02-12 | 张广舜 | 一种掀动式排气的锅盖把手 |
JP6301304B1 (ja) * | 2015-12-04 | 2018-03-28 | 正義 高野 | 鍋蓋及び蓋付き鍋 |
KR20220000065A (ko) * | 2020-06-25 | 2022-01-03 | 유기호 | 휴대용 조리용기 |
-
2009
- 2009-04-15 KR KR1020090032750A patent/KR20100114290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9581B1 (ko) * | 2012-07-19 | 2013-09-17 | 문제구 | 이물질이 끼이지 않도록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증기배출장치가 구비된 용기뚜껑 |
CN103565289A (zh) * | 2013-10-09 | 2014-02-12 | 张广舜 | 一种掀动式排气的锅盖把手 |
CN103565289B (zh) * | 2013-10-09 | 2015-11-25 | 张广舜 | 一种掀动式排气的锅盖把手 |
JP6301304B1 (ja) * | 2015-12-04 | 2018-03-28 | 正義 高野 | 鍋蓋及び蓋付き鍋 |
JP2018139625A (ja) * | 2015-12-04 | 2018-09-13 | 正義 高野 | 鍋蓋及び蓋付き鍋 |
KR20220000065A (ko) * | 2020-06-25 | 2022-01-03 | 유기호 | 휴대용 조리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31333A (en) | Container system including a colander | |
TW446550B (en) | Cookware handle assembly | |
WO2006118668A1 (en) | Moisture adding microwave lid apparatus | |
CN110584498B (zh) | 防滴水锅盖及烹饪器皿 | |
US10039406B2 (en) | Steam cooker | |
KR20100114290A (ko) | 가열용기용 뚜껑 | |
KR20100111209A (ko) | 조리용기의 뚜껑 | |
KR100895106B1 (ko) |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 | |
KR101409033B1 (ko) |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 |
CN211242809U (zh) | 蒸汽加热式烹饪器具 | |
CN211066227U (zh) | 防滴水锅盖及烹饪器皿 | |
CA2622530A1 (en) | Vapor-guiding lid for cookware | |
CN211093474U (zh) | 防滴水锅盖及烹饪器皿 | |
KR101343151B1 (ko) |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 |
KR101533070B1 (ko) | 돌솥 뚜껑 | |
CN208286850U (zh) | 烹饪器具 | |
JP3046000U (ja) | 鍋 | |
KR200472073Y1 (ko) |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 |
JP3243741U (ja) | 加熱式加湿器の直接噴射防止構造 | |
KR200441195Y1 (ko) | 끓어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 | |
CN217987306U (zh) | 一种新型蒸煮壶 | |
KR20130118128A (ko) | 조리용기의 증기회수식 덮개장치 | |
CN211269974U (zh) | 蒸汽加热式烹饪器具 | |
CN202234860U (zh) | 家用盖子 | |
CN208864049U (zh) | 蒸笼盖、蒸笼组件和烹饪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31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