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9716B1 - 유리 제조 장치 및 그 구성 요소, 그리고 그 구성 요소를통전 가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제조 장치 및 그 구성 요소, 그리고 그 구성 요소를통전 가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716B1
KR100889716B1 KR1020077028678A KR20077028678A KR100889716B1 KR 100889716 B1 KR100889716 B1 KR 100889716B1 KR 1020077028678 A KR1020077028678 A KR 1020077028678A KR 20077028678 A KR20077028678 A KR 20077028678A KR 100889716 B1 KR100889716 B1 KR 100889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tube
electrode
platinum
junction
tub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5099A (ko
Inventor
하지메 이토
세이 나가노
야스하루 히라바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5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71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25Refining
    • C03B5/2252Refining under reduced pressure, e.g. with vacuum ref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35Heating the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02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electric furnaces, e.g. by dielectric heating
    • C03B5/027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electric furnaces, e.g. by dielectric heating by passing an electric current between electrodes immersed in the glass bath, i.e. by direct resistance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6Outlets, e.g. drains, siphons; Overflows, e.g. for supplying the float tank, twe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7/00Distributors for the molten glass; Means for taking-off charges of molten glass; Producing the gob, e.g. controlling the gob shape, weight or delivery tact
    • C03B7/08Feeder spouts, e.g. gob feeders
    • C03B7/088Outlets, e.g. orifice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Abstract

통전 가열시에 있어서의 국부 과가열이 경감된 용융 유리용의 중공관체를 제공한다.
통전 가열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중공관을 갖는 중공관체로서, 상기 중공관의 외주에는,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링 형상 전극이 접합되어 있고, 상기 링 형상 전극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1 또는 그 이상의 인출 전극이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관체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 전극과의 접합부 중, 적어도 상기 인출 전극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상기 접합부 및 그 근방에는 후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체.

Description

유리 제조 장치 및 그 구성 요소, 그리고 그 구성 요소를 통전 가열하는 방법 {GLASS PRODUCTION DEVICE AND COMPONENT THEREOF, AND METHOD FOR CONDUCTION-HEATING SUCH COMPONENT}
본 발명은, 유리 제조 장치의 용융 유리의 도관으로서 바람직한,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중공관을 갖는 중공관체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그 중공관체를 사용한 유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그 중공관체를 통전 가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 제조 장치에 있어서, 그 내부를 고온의 용융 유리가 통과하는 도관에는, 백금, 또는 백금-금 합금, 백금-로듐 합금과 같은 백금 합금제의 중공관이 사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유리 소지 유출 장치를 예로 들면, 유리 용융조 하부의 용융 유리 출구에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파이프가 접속되어 있다. 또, 용융 유리가 통과하는 도관의 그밖의 예로서는, 유리 제조 장치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설치된 유출관, 유리 제조 장치로부터 렌즈, 프리즘 등의 광학 부품을 성형하는 경우에 성형용의 형 (型) 에 용융 유리를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관 등을 들 수 있다.
유리 제조 장치에서는, 내부를 통과하는 용융 유리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용융 유리가 통과하는 도관이 가열된다. 도관의 가열은, 히터 등의 열원에 의해, 도관을 외부로부터 가열하는 경우도 있지만,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중공관의 경우, 그 중공관에 통전용의 전극을 설치하여, 통전 가열하는 것이 널리 실시되고 있다. 특허 문헌 2 에는 용융 유리의 도관으로서 사용 가능한 백금제의 가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5 는, 특허 문헌 2 에 개시된 가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 에 있어서, 100 은 가열체가 되는 백금제의 가열관, 200a, 200b 는 백금제의 원 고리형 전극, 300a, 300b 는 전극 인출부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가열 장치를 사용할 때, 원 고리형 전극 (200a, 200b) 의 일단에 접합된 전극 인출부 (300a, 300b) 를 외부 전원 (도시하지 않음) 과 접속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통전함으로써, 가열관 (100) 을 통전 가열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27822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49334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자는, 도 5 에 나타내는 가열 장치를 통전 가열했을 때, 가열관 (100) 의 특정한 부위에 전류가 집중되어, 당해 부위가 국부 과가열되는 것을 찾아냈다. 이러한 국부 과가열이 발생했을 경우, 가열관 (100) 이 열 응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그 가열관 (100) 내를 유통하는 용융 유리가 변질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 식견에 기초하는 것으로서, 통전 가열시에 있어서의 국부 과가열이 경감된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중공관을 갖는 중공관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중공관체는, 유리 제조 장치의 용융 유리의 도관으로서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그 중공관체를 용융 유리의 도관으로서 사용한 용융 유리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그 중공관체를 통전 가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전 가열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중공관을 갖는 중공관체로서,
상기 중공관의 외주에는,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링 형상 전극이 접합되어 있고,
상기 링 형상 전극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1 또는 그 이상의 인출 전극이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관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 전극과의 접합부 중, 적어도 상기 인출 전극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상기 접합부 및 그 근방에는 후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체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통전 가열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중공관을 갖는 중공관체로서,
상기 중공관의 외주에는,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링 형상 전극이 접합되어 있고,
상기 링 형상 전극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1 또는 그 이상의 인출 전극이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관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 전극과의 접합부에는, 그 중공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후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중공관체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는, 하기 식 (1), (2)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4d ≤ L ≤ 1.2d …(1)
1.2t0 ≤ t ≤ 1.7t0 …(2)
L : 전극과의 접합부를 제외한 후육부의 길이 (㎜)
d : 중공관의 외경 (㎜)
t : 후육부의 두께 (㎜)
t0 : 후육부 이외의 중공관의 두께 (㎜)
상기 중공관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만 후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후육부는, 상기 링 형상 전극의 중심과 상기 인출 전극의 접합부의 중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중심으로 한 각도 20 도 이상의 범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용융 유리의 도관으로서, 상기한 중공관체를 사용한 유리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용융 유리의 도관으로서, 상기한 중공관체를 사용한 감압 탈포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중공관체를 통전 가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중공관을 갖는 중공관체는, 통전 가열시에 있어서의 국부 과가열이 경감되고 있다. 이 때문에, 중공관이 사용시에 열 응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 제조 장치는, 용융 유리의 도관으로서 본 발명의 중공관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통전 가열시에 도관에서 국부 과가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도관을 유통하는 용융 유리가 변질될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의 감압 탈포 장치는, 감압 탈포조, 상승관 또는 하강관이라는, 용융 유리의 도관으로서 본 발명의 중공관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통전 가열시에 이들 도관에서 국부 과가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감압 하에서의 과가열에 의한 기포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 감압 환경 하에 놓여져 있는 감압 탈포조, 상승관 및 하강관의 경우, 크랙 등의 발생이 특히 문제가 되는데, 본 발명의 감압 탈포 장치의 경우, 통전 가열시에 이들 용융 유리의 도관에서 국부 과가열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저감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중공관을 갖는 중공관체의 1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중공관체를 선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단, 전극이 접합되어 있는 부위 및 접합되어 있는 전극의 수가 도 2 와는 상이하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중공관체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 는, 특허 문헌 2 에 개시된 가열 장치의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1′ : 중공관
2a, 2b, 2′ : 전극
3a, 3b, 3′ : 인출 전극
11, 11a, 11′ : 접합 부위
12, 12′ : 후육부
100 : 중공관
200a, 200b : 전극
300 : 인출 전극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중공관을 갖는 중공관체의 1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에 있어서, 중공관 (1) 은 원통관 형상의 중공관이다. 중공관 (1) 의 외주에는, 백금 또는 백금 합급제의 전극 (2a, 2b) 이 접합되어 있다. 전극 (2a, 2b) 은, 그 중공관 (1) 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 링 형상 전극이며, 그 외형은 원형이다. 도 1 에 있어서, 전극 (2a) 은 중공관 (1) 의 상단부에 접합 되어 있고, 전극 (2b) 은 중공관 (1) 의 하단부에 접합되어 있다.
전극 (2a, 2b) 의 외부 가장자리의 일단에는 외부 전원 (도시하지 않음) 과 접속하기 위한 인출 전극 (3a, 3b) 이 접합되어 있다. 인출 전극 (3a, 3b) 은, 전극 (2a, 2b) 과의 접합부 부근의 폭이 넓어진 부채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중공관 (1) 을 선 X-X′ 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관 (1) 에는, 전극 (2a, 2b) 과의 접합부 (11) 및 그 근방에 그 중공관 (1) 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후육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있어서, 인출 전극 (3a, 3b) 을 외부 전원과 접속하여 통전시키면, 전류는 인출 전극 (3a) 으로부터 링 형상 전극 (2a) 을 통하여 중공관 (1) 으로 흐른다. 링 형상 전극 (2a) 은, 중공관 (1) 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합되어 있어, 중공관 (1) 전체에 균일하게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을 의도한 것이다. 그러나, 인출 전극 (3a) 이 전극 (2a) 의 외부 가장자리의 일단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 (2a) 으로부터 중공관 (1) 으로 흐르는 전류는 중공관 (1) 의 특정한 부위에 집중된다.
전류는 그 특성상 최단 경로를 흐르려고 한다. 그 때문에,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중공관 (1) 의 경우, 전극 (2a) 과의 접합부 (11) 중에서도, 인출 전극 (3a) 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접합부 (11a) 에 전류가 집중된다.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전류의 최단 경로를 화살표로 나타냈다. 전류의 집중은, 전류가 중공관 (1) 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서서히 해소되지만, 전극 (2a) 과의 접합부 (11) 및 그 근방에서는, 특정한 부위, 구체적으로는, 인출 전극 (3a) 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접합부 (11a) 및 그 근방에 전류가 집중된다. 전류가 중공관 (1) 으로부터 전극 (2b) 으로 흐르는 하류측에 있어서도, 인출 전극 (3b) 이 전극 (2b) 의 외부 가장자리의 일단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인출 전극 (3b) 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접합부 (11a) 에 전류가 집중된다. 이들 부위는 전류의 집중에 의해, 국부 과가열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중공관 (1) 에 있어서, 전극 (2a, 2b) 과의 접합부 (11) 및 그 근방에 형성된 후육부 (12) 는, 중공관 (1) 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전류가 통과할 때의 전류 밀도가 낮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전극 (2a, 2b) 과의 접합부 (11) 및 그 근방에 있어서, 특정한 부위에 전류가 집중된 경우여도, 전류 집중에 의한 국부 과가열이 경감된다. 또한, 후육부는, t0 에서 t 로 서서히 두께를 두껍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후육부 (12) 의 길이 및 두께는, 중공관의 길이, 직경, 두께 혹은 재질, 전극의 직경, 두께 혹은 재질, 또는 통전되는 전류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단, 후육부 (12) 는, 하기식 (1) 및 (2)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4d ≤ L ≤ 1.2d …(1)
1.2t0 ≤ t ≤ 1.7t0 …(2)
상기 식 (1), (2) 에 있어서, L 은 전극 (2a, 2b) 과의 접합부 (11) 를 제외 한 후육부 (12) 의 길이 (㎜) 이다. 따라서, 후육부 (12) 의 길이는, L + te (te = 전극 (2a, 2b) 의 두께 (㎜)) 이다. d 는 중공관 (1) 의 외경 (㎜) 이다. t 는 후육부 (12) 의 두께 (㎜) 이다. t0 는 후육부 (12) 이외의 중공관 (1) 의 두께 (㎜) 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0.6d ≤ L ≤ 1.0d, 1.2t0 ≤ t ≤ 1.5t0 이다.
상기 식에 있어서, 특징적인 것은 L : 즉 te 를 제외하는 후육부 (12) 의 길이가 그 중공관 (1) 의 외경에 의해 규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과 같은 특수한 구조를 갖는 중공관체에 있어서 국부 과가열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그 전류 밀도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검토한 결과, 중공관의 어느 특정한 장소에 후육부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할 뿐만아니라, 그 후육부의 길이가 중공관 (1) 의 외경에 영향받는 것을 찾아낸 것이다.
후육부 (12) 의 길이 및 두께가 상기 식을 만족하고 있으면, 통전 가열시에 있어서의 국부 과가열을 충분히 경감시킬 수 있다. 중공관의 구성 재료인 백금 또는 백금 합금은 고가이기 때문에, 중공관 (1) 의 두께는 가능한 얇게 하는 것이 비용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3 은, 도 2 와 동일한 도면이다. 단, 도 3 에 나타내는 중공관 (1′) 은, 그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전극 (2′) 이 접합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중공관 (1′) 에 있어서, 후육부 (12′) 는 전극 (2′) 과의 접합부 (11′) 를 중 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각각 길이 L 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육부 (12′) 의 길이는 2L + te (te = 전극 (2′) 의 두께 (㎜)) 이다.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공관 (1, 1′) 은, 전극 (2a, 2b, 2′) 과의 접합부 (11, 11′) 및 그 근방에 후육부 (12, 12′) 가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전극 (2a, 2b, 2′) 을 접합하는 위치, 및 접합되는 전극 (2a, 2b, 2′) 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1 에 있어서, 중공관 (1) 으로서 중공 원통관이 나타나 있지만, 중공관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인 것이나,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각형 형상인 것이어도 된다.
인출 전극의 수는, 1 개이어도 되고, 그 이상이어도 된다.
또, 도 1 에 있어서, 전극 (2a, 2b) 으로서 외형이 원형인 것이 나타나 있지만, 전극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경이 타원 형상인 것이나,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각형 형상인 것이어도 된다. 또한, 링 형상 전극이란, 중앙부가 펀칭된 도너츠 형상의 전극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중공관체에 관해서, 후육부 (12) 가 중공관 (1) 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된 양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중공관체는, 중공관 (1) 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만 후육부가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단, 후육부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이 제조상 바람직하다.
또, 후육부 (12) 를 중공관 (1) 의 내측에 형성하는 양태에 대해 설명했는 데, 후육부 (12) 는 중공관 (1) 의 외측에 형성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 에 나타내는 중공관에 통전시켰을 때, 전류가 집중되는 것은, 인출 전극 (3a, 3b) 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접합부 (11a) 이다. 따라서, 적어도 그 접합부 (11a) 및 그 근방에 후육부를 형성하면, 본 발명에 의한 효과가 발휘된다.
중공관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만 후육부를 형성하는 경우, 그 형성되는 부위는, 적어도 인출 전극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상기 접합부 및 그 근방이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설명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중공관 (1) 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 에 있어서, 가장 가까운 접합부 (11a), 즉, 중공관 (1) 에 후육부를 형성하는 부위는, 전극 (2a) 의 중심 (0) 과 인출 전극 (3a) 의 접합부의 중점 (11b) 을 연결하는 직선을 중심으로 한 각도 (α)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도 (α) 는, 20 도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 도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도 이상이고, 180 도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후육부의 길이 및 두께는, 중공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후육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상기한 것과 동일하다. 또, 인출 전극이 복수인 경우에는, 인출 전극이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지점에 있어서, 각도 (α) 가 상기와 같은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공관 및 전극의 치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 2 에 나타내는 중공관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중공관 (1′) 을 예로 들면, 중공관 (1, 1′) 및 전극 (2a, 2b, 2′) 의 치수는 각각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관 (1, 1'))
외경 d : 50 ∼ 8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600㎜
길이 : 200 ∼ 6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 2000㎜
후육부 (12) 이외의 부분의 두께 t0 : 0.4 ∼ 5㎜,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 3㎜
후육부 (12, 12′) 의 길이 (L + te) : 30 ∼ 8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300㎜
후육부 (12, 12′) 의 두께 t : 0.5 ∼ 8㎜,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 5㎜
(전극 (2a, 2b, 2′))
외경 : 80 ∼ 1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900㎜
내경 : 50 ∼ 8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600㎜
두께 te : 0.5 ∼ 8㎜,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
본 발명에 있어서, 중공관 (1, 1′) 및 전극 (2a, 2b, 2′) 은 백금을 주된 구성 재료로 한다. 따라서, 백금만을 구성 재료로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백금 합금을 구성 재료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백금 합금의 구체예로서는, 백금-금 합금, 백금-로듐 합금을 들 수 있다. 또, 백금 또는 백금 합금에 금속 산화물을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강화 백금이어도 된다. 분산되는 금속 산화물로 서는, Al2O3, 또는 ZrO2 혹은 Y2O3 로 대표되는 주기율표에 있어서의 3 족, 4 족 혹은 13 족의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링 형상 전극 (2a, 2b, 2′) 전체가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가 아니여도 된다. 예를 들어,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전극의 외부 가장자리에 백금 또는 백금 합금 이외의 금속 재료제의 부위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금속 재료로서는, 몰리브덴, 텅스텐, 니켈, 팔라듐, 구리, 및 이들의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인출 전극 (3a, 3b, 3′) 에 대해서도, 백금을 주된 구성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한 백금 또는 백금 합금 이외의 금속 재료제여도 된다.
도 1 에 있어서, 인출 전극 (3a, 3b) 은, 전극 (2a, 2b) 과의 접합부 부근의 폭이 넓어진 부채꼴 형상이다. 인출 전극 (3a, 3b) 의 형상을 부채꼴 형상으로 하는 것은, 본 발명에 있는 바와 같은 후육부를 형성함으로써, 또한 전극 (2a, 2b) 과 인출 전극 (3a, 3b) 의 접합부에 있어서의 국부 과가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백금 또는 백금 합금과 같은 금속 재료에 통전시켰을 때, 그 재료의 단면적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부위에서는, 전류가 집중되기 때문에 국부 과가열이 발생한다.
전극 (2a, 2b) 과 인출 전극 (3a, 3b) 의 접합부, 특히 전극 (2a, 2b) 과 인 출 전극 (3a, 3b) 의 접합 단부는 단면적이 변화되는 부위이다. 인출 전극 (3a, 3b) 의 형상을 부채꼴 형상으로 한 경우, 접합 단부에 있어서의 단면적의 변화가 완만하기 때문에, 접합 단부에 있어서의 국부 과가열의 발생이 경감된다.
동일한 이유에서, 전극 (2a, 2b) 과 인출 전극 (3a, 3b) 의 접합부는, 단면적이 급격하게 변화되지 않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접합부에 있어서, 전극 (2a, 2b) 의 두께와, 인출 전극 (3a, 3b) 의 두께의 차이는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인출 전극 (3a, 3b) 의 두께는, 0.5 ∼ 8㎜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 5㎜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공관 (1, 1′) 과 전극 (2a, 2b, 2′) 의 접합, 전극 (2a, 2b, 2′) 과 인출 전극 (3a, 3b, 3′) 의 접합은, 공지된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공관 (1, 1′) 과 전극 (2a, 2b, 2′) 은, 용접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 (2a, 2b, 2′) 은 중공관 (1, 1′) 의 외주에 직접 용접해도 되고, 양자 사이에 다른 부재, 예를 들어,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링 형상의 부재를 배치하여, 그 다른 부재에 전극 (2a, 2b, 2′) 을 용접해도 된다. 한편, 전극 (2a, 2b, 2′) 과 인출 전극 (3a, 3b, 3′) 은, 용접에 의해 접합해도 되고, 볼트, 비스 등의 고정 지그에 의해 접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유리 제조 장치에서는, 고온의 용융 유리가 통과하는 용융 유리의 도관으로서, 본 발명의 중공관체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유리 제조 장치 에 있어서, 본 발명의 중공관체를 사용하는 지점의 구체예로서는, 유리 제조 장치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설치된 유출관, 렌즈, 프리즘 등의 광학 부품을 성형하는 경우에 유리 제조 장치로부터 성형용의 형에 용융 유리를 유출시키기 위한 유출관 등으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리 제조 장치에서는, 통전 가열했을 때에 용융 유리의 도관에서 국부 과가열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도관을 유통하는 용융 유리가 변질될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의 감압 탈포 장치에서는, 고온의 용융 유리가 통과하는 용융 유리의 도관으로서, 본 발명의 중공관체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감압 탈포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중공관체를 사용하는 지점의 구체예로서는, 감압 탈포조, 상승관 및 하강관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 탈포 장치는, 감압 탈포조, 상승관 또는 하강관이라는, 용융 유리의 도관으로서 본 발명의 중공관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통전 가열시에 이들 도관에서 국부 과가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감압 하에서의 과가열에 의한 기포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 감압 환경 하에 놓여있는 감압 탈포조, 상승관 및 하강관의 경우, 크랙 등의 발생이 특히 문제가 되는데, 본 발명의 감압 탈포 장치의 경우, 통전 가열시에 이들 용융 유리의 도관에서 국부 과가열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저감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중공관체를 제조하였다. 각 구성 요소끼리는 용접에 의해 접합했다. 또, 후육부는 중공관 (1) 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했다. 각 구성 요소의 치수 및 구성 재료는 이하와 같다.
(중공관 (1))
외경 d : 300㎜
길이 : 1500㎜
두께 t0 : 1.5㎜
후육부 (12) 의 길이 (L + te) : 200㎜
후육부 (12) 의 두께 t : 2㎜
구성 재료 : 백금-로듐 합금 (백금 90 질량%, 로듐 10 질량%)
(전극 (2a, 2b))
외경 : 600㎜
내경 : 300㎜
두께 te : 3㎜
구성 재료 : 백금-로듐 합금 (백금 90 질량%, 로듐 10 질량%)
(인출 전극 (3a, 3b))
두께 : 4㎜
구성 재료 : 백금-로듐 합금 (백금 90 질량%, 로듐 10 질량%)
인출 전극 (3a, 3b) 을 외부 전원 (교류) 과 접속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통전 가열했다.
전압 : 10V
전류 : 6000A
가열 시간 : 10 시간
통전 가열시의 중공관 (1) 의 온도를 열전대를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현저한 국부 과가열은 관찰되지 않았다.
(비교예 1)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도 1 에 나타내는 중공관체를 제조했다. 단, 중공관은 후육부를 갖지 않고, 두께는 중공관 전체에 걸쳐서 1.5㎜ 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통전 가열한 결과, 인출 전극 (3a, 3b) 에서 가장 가까운 측의 접합부 (11a) 부근에서 현저한 국부 과가열이 관찰되었다. 통전 가열 종료 후, 국부 과가열이 관찰된 부위에서 크랙의 발생이 관찰되었다.
본 발명의 중공관체는, 통전 가열시에 국부 과가열이 방지 또는 경감되기 때문에, 용융 유리의 도관으로서 사용할 때 용융 유리를 균일하게 가열하고, 또 열 응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감압 탈포 장치와 같은 유리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의 도관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2005 년 6 월 6 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5-165735 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한다.

Claims (13)

  1. 통전 가열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중공관을 갖는 중공관체로서,
    상기 중공관의 외주에는,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링 형상 전극이 접합되어 있고,
    상기 링 형상 전극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1 또는 그 이상의 인출 전극이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관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 전극과의 접합부 중, 최소한 상기 인출 전극의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상기 접합부 및 그 근방에는 후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체.
  2. 통전 가열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중공관을 갖는 중공관체로서,
    상기 중공관의 외주에는,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링 형상 전극이 접합되어 있고,
    상기 링 형상 전극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1 또는 그 이상의 인출 전극이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관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 전극과의 접합부에는, 그 중공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후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는, 하기 식 (1), (2)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관체.
    0.4d ≤ L ≤ 1.2d …(1)
    1.2t0 ≤ t ≤ 1.7t …(2)
    L : 전극과의 접합부를 제외한 후육부의 길이 (㎜)
    d : 중공관의 외경 (㎜)
    t : 후육부의 두께 (㎜)
    t0 : 후육부 이외의 중공관의 두께 (㎜)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는, 상기 링 형상 전극의 중심과 상기 인출 전극과의 접합부의 중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중심으로 한 각도 20 도 이상의 범위에 위치하는 중공관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체는, 인출 전극으로부터 중공관에 대한 가장 가까운 접합부의 국부 과가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중공관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 전극과의 접합부를 제외한 후육부의 길이가 30 ∼ 800㎜ 인 중공관체.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의 외경이 50 ∼ 800㎜ 인 중공관체.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의 두께가 0.5 ∼ 8㎜ 인 중공관체.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 이외의 중공관의 두께가 0.4 ∼ 5㎜ 인 중공관체.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 전극과 상기 인출 전극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공관체.
  11. 용융 유리의 도관으로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중공관체를 사용한 유리 제조 장치.
  12. 용융 유리의 도관으로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중공관체를 사용한 감압 탈포 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중공관체를 통전 가열하는 방법.
KR1020077028678A 2005-06-06 2006-04-28 유리 제조 장치 및 그 구성 요소, 그리고 그 구성 요소를통전 가열하는 방법 Active KR100889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65735 2005-06-06
JP2005165735 2005-06-06
PCT/JP2006/309029 WO2006132043A1 (ja) 2005-06-06 2006-04-28 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その構成要素、ならびに該構成要素を通電加熱す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099A KR20080015099A (ko) 2008-02-18
KR100889716B1 true KR100889716B1 (ko) 2009-03-23

Family

ID=37498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678A Active KR100889716B1 (ko) 2005-06-06 2006-04-28 유리 제조 장치 및 그 구성 요소, 그리고 그 구성 요소를통전 가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41038B2 (ko)
JP (1) JP5018476B2 (ko)
KR (1) KR100889716B1 (ko)
TW (1) TWI391346B (ko)
WO (1) WO20061320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198B1 (ko) * 2011-03-31 2015-05-21 아반스트레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3767B2 (ja) * 2005-09-13 2011-01-19 旭硝子株式会社 電極付き耐火物構造体及びガラス製造装置
US8269131B2 (en) 2008-02-28 2012-09-18 Corning Incorporated Nickel-containing flanges for use in direct resistance heating of platinum-containing vessels
US9998697B2 (en) 2009-03-02 2018-06-12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vehicle occupants
US10757308B2 (en) 2009-03-02 2020-08-25 Flir Systems, Inc. Techniques for device attachment with dual band imaging sensor
US9451183B2 (en) 2009-03-02 2016-09-20 Flir Systems, Inc. Time spaced infrared image enhancement
US9756264B2 (en) 2009-03-02 2017-09-05 Flir Systems, Inc. Anomalous pixel detection
US9473681B2 (en) 2011-06-10 2016-10-18 Flir Systems, Inc. Infrared camera system housing with metalized surface
US9948872B2 (en) 2009-03-02 2018-04-17 Flir Systems, Inc. Monitor an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ccupant safety and energy efficiency of structures
US9517679B2 (en) 2009-03-02 2016-12-13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vehicle occupants
US9674458B2 (en) 2009-06-03 2017-06-06 Flir Systems, Inc. Smart surveillance camera systems and methods
US9843742B2 (en) 2009-03-02 2017-12-12 Flir Systems, Inc. Thermal image frame capture using de-aligned sensor array
US9208542B2 (en) 2009-03-02 2015-12-08 Flir Systems, Inc. Pixel-wise noise reduction in thermal images
US9986175B2 (en) 2009-03-02 2018-05-29 Flir Systems, Inc. Device attachment with infrared imaging sensor
US9635285B2 (en) 2009-03-02 2017-04-25 Flir Systems, Inc. Infrared imaging enhancement with fusion
US9235876B2 (en) 2009-03-02 2016-01-12 Flir Systems, Inc. Row and column noise reduction in thermal images
US10244190B2 (en) 2009-03-02 2019-03-26 Flir Systems, Inc. Compact multi-spectrum imaging with fusion
USD765081S1 (en) 2012-05-25 2016-08-30 Flir Systems, Inc.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ttachment with camera
US9716843B2 (en) 2009-06-03 2017-07-25 Flir Systems, Inc. Measurement device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and related methods
US9819880B2 (en) 2009-06-03 2017-11-14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of suppressing sky regions in images
US9756262B2 (en) 2009-06-03 2017-09-05 Flir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ower systems
US9292909B2 (en) 2009-06-03 2016-03-22 Flir Systems, Inc. Selective image correction for infrared imaging devices
US9843743B2 (en) 2009-06-03 2017-12-12 Flir Systems, Inc. Infan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thermal imaging
US10091439B2 (en) 2009-06-03 2018-10-02 Flir Systems, Inc. Imager with array of multiple infrared imaging modules
US8274018B2 (en) * 2010-02-25 2012-09-25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for use in direct resistance heating of platinum-containing vessels
US9848134B2 (en) 2010-04-23 2017-12-19 Flir Systems, Inc. Infrared imager with integrated metal layers
US9918023B2 (en) 2010-04-23 2018-03-13 Flir Systems, Inc. Segmented focal plane array architecture
US9207708B2 (en) 2010-04-23 2015-12-08 Flir Systems, Inc. Abnormal clock rate detection in imaging sensor arrays
US9706138B2 (en) 2010-04-23 2017-07-11 Flir Systems, Inc. Hybrid infrared sensor array having heterogeneous infrared sensors
US9242886B2 (en) * 2010-11-23 2016-01-26 Corning Incorporated Delivery apparatus for a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s
CN103828343B (zh) 2011-06-10 2017-07-11 菲力尔系统公司 基于行的图像处理和柔性存储系统
US10169666B2 (en) 2011-06-10 2019-01-01 Flir Systems, Inc. Image-assisted remote control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10389953B2 (en) 2011-06-10 2019-08-20 Flir Systems, Inc. Infrared imaging device having a shutter
US9961277B2 (en) 2011-06-10 2018-05-01 Flir Systems, Inc. Infrared focal plane array heat spreaders
US9509924B2 (en) 2011-06-10 2016-11-29 Flir Systems, Inc. Wearable apparatus with integrated infrared imaging module
US9058653B1 (en) 2011-06-10 2015-06-16 Flir Systems, Inc. Alignment of visible light sources based on thermal images
US9235023B2 (en) 2011-06-10 2016-01-12 Flir Systems, Inc. Variable lens sleeve spacer
US9706137B2 (en) 2011-06-10 2017-07-11 Flir Systems, Inc. Electrical cabinet infrared monitor
US9143703B2 (en) 2011-06-10 2015-09-22 Flir Systems, Inc. Infrared camera calibration techniques
KR101808375B1 (ko) 2011-06-10 2017-12-12 플리어 시스템즈, 인크. 저전력 소형 폼 팩터 적외선 이미징
CN103875235B (zh) 2011-06-10 2018-10-12 菲力尔系统公司 用于红外成像装置的非均匀性校正技术
US10079982B2 (en) 2011-06-10 2018-09-18 Flir Systems, Inc. Determination of an absolute radiometric value using blocked infrared sensors
US10051210B2 (en) 2011-06-10 2018-08-14 Flir Systems, Inc. Infrared detector array with selectable pixel binning systems and methods
US10841508B2 (en) 2011-06-10 2020-11-17 Flir Systems, Inc. Electrical cabinet infrared monitor systems and methods
US9900526B2 (en) 2011-06-10 2018-02-20 Flir Systems, Inc. Techniques to compensate for calibration drifts in infrared imaging devices
JP5731639B2 (ja) * 2012-04-05 2015-06-10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ガラス基板製造装置
CN103508654B (zh) * 2012-06-29 2016-08-03 安瀚视特控股株式会社 玻璃基板的制造方法以及玻璃基板的制造装置
US8857219B2 (en) * 2012-07-11 2014-10-14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for use in direct resistance heating of platinum-containing vessels
CN104620282B (zh) 2012-07-16 2018-01-12 菲力尔系统公司 用于抑制图像中的噪声的方法和系统
US9811884B2 (en) 2012-07-16 2017-11-07 Flir 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uppressing atmospheric turbulence in images
CN103781208B (zh) * 2012-10-17 2016-04-20 昆山渝榕电子有限公司 加热装置的导电结构
US9973692B2 (en) 2013-10-03 2018-05-15 Flir Systems, Inc. Situational awareness by compressed display of panoramic views
US11297264B2 (en) 2014-01-05 2022-04-05 Teledyne Fur, Llc Device attachment with dual band imaging sensor
US10633274B2 (en) 2015-03-23 2020-04-28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ing a metallic vessel
US20170066673A1 (en) 2015-09-09 2017-03-09 Corning Incorporated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e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WO2017070453A1 (en) 2015-10-21 2017-04-27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ing a metallic vessel
JP2018168019A (ja) * 2017-03-30 2018-11-01 AvanStrate株式会社 熔融ガラスの清澄装置、及び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JP6925583B2 (ja) * 2017-12-20 2021-08-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230098889A (ko) * 2020-11-12 2023-07-04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제조 장치
JP2023043010A (ja) * 2021-09-15 2023-03-2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WO2024038740A1 (ja) * 2022-08-19 2024-02-2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7822A (ja) * 1993-02-05 1994-08-16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素地流出装置
JPH10152329A (ja) 1996-11-15 1998-06-09 Canon Inc ガラス溶融炉
JPH11349334A (ja) 1998-06-05 1999-12-21 Asahi Glass Co Ltd 溶融ガラスの加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59339B2 (en) * 1982-12-20 1987-03-05 Telectronics Pty. Limited Electrical connection
US4967755A (en) * 1989-02-28 1990-11-06 Medtronic, Inc. Electromedical lead with pressure sensor
JP3046694B2 (ja) * 1993-05-31 2000-05-29 キヤノン株式会社 溶融硝子流出装置
JPH0781944A (ja) * 1993-09-09 1995-03-28 Canon Inc 溶融ガラスの温度制御装置
JP3767637B2 (ja) 1995-08-21 2006-04-19 旭硝子株式会社 高温溶融物用導管の支持構造体
US6286337B1 (en) * 2000-06-29 2001-09-11 Corning Incorporated Tubing system for reduced pressure finer
US6405067B1 (en) * 2000-07-07 2002-06-11 Biosense Webster, Inc. Catheter with tip electrode having a recessed ring electrode mounted thereon
EP1857420A4 (en) * 2005-03-08 2010-10-27 Asahi Glass Co Ltd CONSTRUCTION OF PLATINUM OR PLATINUM ALLOY AND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WIT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7822A (ja) * 1993-02-05 1994-08-16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素地流出装置
JPH10152329A (ja) 1996-11-15 1998-06-09 Canon Inc ガラス溶融炉
JPH11349334A (ja) 1998-06-05 1999-12-21 Asahi Glass Co Ltd 溶融ガラスの加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198B1 (ko) * 2011-03-31 2015-05-21 아반스트레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41038B2 (en) 2011-05-10
WO2006132043A1 (ja) 2006-12-14
TWI391346B (zh) 2013-04-01
US20080092597A1 (en) 2008-04-24
TW200642976A (en) 2006-12-16
KR20080015099A (ko) 2008-02-18
JP5018476B2 (ja) 2012-09-05
JPWO2006132043A1 (ja)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716B1 (ko) 유리 제조 장치 및 그 구성 요소, 그리고 그 구성 요소를통전 가열하는 방법
KR100914422B1 (ko) 유리 제조 장치 및 그 구성 요소
US8274018B2 (en) Apparatus for use in direct resistance heating of platinum-containing vessels
JP4992712B2 (ja) 白金製の複合管構造体を通電加熱する方法
EP2455345B1 (en) Delivery apparatus for a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242915B1 (ko) 백금 또는 백금 합금제의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제조장치
US7380416B2 (en) Conduit for molten glass, connecting conduit for molten glass and vacuum degassing apparatus
JP5818164B2 (ja) 溶融ガラス用管状体及び溶融ガラス供給装置並びにパイプ部材
JP4581877B2 (ja) 減圧脱泡装置の減圧脱泡槽を通電加熱する方法、減圧脱泡装置を通電加熱する方法、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減圧脱泡方法、ガラス製造方法、ならびに減圧脱泡装置
JP4561468B2 (ja) 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その構成要素、および該構成要素を通電加熱する方法、ならびにガラス製造方法
CN102442758A (zh) 玻璃制造装置及其构成要素以及对其进行通电加热的方法
CN102442759A (zh) 玻璃制造装置及其构成要素
CN117881636A (zh) 玻璃物品的制造装置以及玻璃物品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