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9191B1 -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저광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저광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191B1
KR100889191B1 KR1020070012861A KR20070012861A KR100889191B1 KR 100889191 B1 KR100889191 B1 KR 100889191B1 KR 1020070012861 A KR1020070012861 A KR 1020070012861A KR 20070012861 A KR20070012861 A KR 20070012861A KR 100889191 B1 KR100889191 B1 KR 100889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styrene resin
resin composition
low gloss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3962A (ko
Inventor
손선모
이봉근
안태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012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191B1/ko
Priority to PCT/KR2008/000559 priority patent/WO2008096976A1/en
Priority to EP20080712236 priority patent/EP2111427B1/en
Priority to US12/525,575 priority patent/US8378024B2/en
Priority to ES08712236T priority patent/ES2467467T3/es
Priority to CN2008800041305A priority patent/CN101605850B/zh
Publication of KR20080073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1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2Fillers; Inorganic pigments; Reinforcing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스티렌계 수지 80 내지 99.9 중량% 및 (B) 무광택제로서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sPS), 이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함으로써, 내후성이 우수하며 표면광택이 감소되어 벽널, 창문 틀 등과 같은 구조물용 외장 분야의 용도에 특히 적합한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내후성, 무광택제,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sPS),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 무수말레인산(sPS-MAH), 열가소성 수지, 복합물, 시트

Description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저광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LOW SURFACE GLOSS STYRENE RESIN COMPOSITION, LOW SURFACE GLOSS SHEET CONTAINING THE SAM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후성이 우수하며, 표면광택이 감소되어 벽널, 창문 틀 등과 같은 구조물용 외장 분야의 용도에 특히 적합한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지 매트릭스 및 탄성체, 또는 고무 성분으로 이루어진 스티렌 공중합체로는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ASA), 올레핀-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OSA),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EPDM)-스티렌(AES)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등의 다양한 수지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수지들은 탄성체 성분에 따라 다양한 성능 특성이 가능하며, 특히 ASA 수지는 충격강도, 가공성 및 내후성, ABS 수지는 저온 충격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ABS, ASA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는 일상 생활 용품으로부터 자동차 내장재, 사무기기, 건축자재 등의 광범위한 부분에서 그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제품들은 대부분이 광택이 있으며, ABS, AES 및 ASA 수지의 압출 제품은 고광택(75°에서의 90 광택도) 범위 또는 중급 광택(75°에서의 60 광택도) 범위 내의 표면광택을 나타낸다.
그러나, 최근 들어 사용자들의 감성품질 요구 수준이 높아지면서 좀 더 품위있는 분위기 연출을 위해 저광택 수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환경 문제가 대두되면서 무광도장이나 패드를 씌우는 공정을 생략하고 무광택 수지를 직접 사용하려고 하는 추세이다. 특히, 건축물의 벽널, 컴퓨터 하우징, 키보드, 전기기구 및 자동차 부품 등과 같은 용도에서 저광택 수지 조성물이 상당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우수한 물성을 가지면서도 표면광택이 감소된 ABS, AES, ASA 수지, 특히 ASA 수지를 제공한다면 건축산업, 특히 벽널과 같은 구조물용 외장 분야의 용도에서 더욱 유리할 것이다.
이러한 저광택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수지 표면의 평활도를 가시광선 영역보다 크게 조절하여 입사된 빛을 산란시켜 무광 효과를 발휘하게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성형물의 표면에 엠보싱 처리 및 저광택 코팅 물질을 코팅하는 방법이 실시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별도의 공정을 더 필요로 하여 비용을 증가시키며, 성형물 표면의 저광택 효과가 미미하고 가공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종래 기술로는 특정 고무 또는 탄성체 성분을 첨가 또는 개질하는 방법 이 사용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세 가지 방법을 들 수 있다. 첫째, 벌크 중합하여 수득한 평균입경이 2 ㎛ 이상인 대구경 고무입자를 사용하여 ABS 수지를 개량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수지는 저광택 효과가 미미하며, 충격강도 및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수지에 평균입경이 5 ㎛ 이상인 무광 충전제를 투입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수지는 우수한 성형성을 나타내는 반면, 저광택성이 불충분하고, 특히 충격강도의 저하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셋째, 유화중합법으로 제조된 ABS 중합체에 개질제로 에틸렌-불포화카르복실산과 같은 단량체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수지는 충격강도 및 제반 물성이 양호하고 저광택 효과가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지만, 내열도가 저하되며 내후성 수지(ASA)에 적용시에는 내후성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
미국특허 제5,081,193호(1992.01.14 등록)는 고무성분으로 특히, 저시스(low-cis) 폴리부타디엔을 함유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포함된 열가소성 수지용 저광택제를 개시하고 있으며, 미국특허 제5,237,004호(1993.08.17 등록)는 특정 코어/쉘 구조의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에 2 내지 15 ㎛의 중합체 입자를 첨가하여 표면광택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5,475,053호(1995.12.12 등록)는 ABS 또는 ASA와 같은 충격 개질 열가소성 수지(A) 및 무광택제(matting agent)를 포함하는 무광택 표면의 성형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미국특허 제4,652,614호(1987.03.24 등록)는 중성 및 산성 그라프트 중합체를 기재로 한 무광택 표면의 성형 물질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4,169,869 호(1979.10.02 등록)는 저광택 또는 무광택 마감물이 있는 ABS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미국특허 제4,668,737호(1987.05.26 등록)는 전체 고무함량이 5 내지 80 중량%이며, 평균입경이 0.05 내지 20.0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10 ℃ 이하인 미립자 고무상에 헤테로사이클릭 질소 기재 20 내지 0.1 중량부, 방향족 비닐 단량체 40 내지 99.8 중량부, 중합성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1산 또는 2산 20 내지 0.1 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0 내지 40 중량부가 포함된 무광택 표면의 그라프트 중합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수지의 물성, 표면광택의 적절한 감소, 표면외관의 품질, 제조비용 및 가공성과 같은 특징을 고루 만족시키지 못하고 하나 이상의 단점을 나타내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표면광택이 감소되어 벽널, 창문 틀 등과 같은 구조물용 외장 분야의 용도에 특히 적합한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구조물용 외부 사이딩에 적합한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스티렌계 수지 80 내지 99.9 중량% 및 (B) 무광택제로서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sPS), 이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Ⅰ)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내부층 및 (Ⅱ) 상기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층을 포함하는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을 무광택제의 용융온도보다 20 ℃ 이상 낮은 온도에서 시트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내후성 스티렌계 수지와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sPS), 상기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의 유도체인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 무수말레인산(sPS-MAH),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결정질 중합체를 무광택제로 포함하며, 상기 스티렌계 수지의 고무함량 및 무광택제의 함량을 조절하여 제조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격강도, 내후성 및 저광택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은 (A) 스티렌계 수지 80 내지 99.9 중량% 및 (B) 무광택제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며, 광택도가 TOYOSEIKI(GLOSS METER UD) 광택도 측정기로 측정하였을 때 75°에서 1 내지 50 광택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은 무광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스티렌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는 탄성체 고무의 존재 하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에틸렌 불포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중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탄성체 고무는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3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개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 올레핀 화합물,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 방향족 비닐 화합물 또는 다관능성 단량체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 고무로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또는 실리콘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 고무는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1,3-디메틸스티렌, tert-부틸스티렌 또는 비닐나프탈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또는 tert-부틸스티렌,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와 충격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4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물, 아크릴아미드 또는 비닐 메틸 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은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내열성, 내약품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고무함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방향족 비닐 화합물 또는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중합하여 제조한 공중합체(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ⅰ)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 이 2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ⅰ)로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α-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무수물 공중합체, α-메틸스티렌/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삼원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메틸메타크릴레이트 삼원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말레산무수물,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산 삼원공중합체, 또는 α-메틸스티렌/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삼원공중합체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α-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공중합체(ⅰ)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방법인 일축 또는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는 전형적인 압출 배합법을 이용하여 상기 스티렌계 수지에 혼입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200 ℃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상기 탄성체 고무의 존재 하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또는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중합하여 제조한 스티렌계 수지와 공중합체(ⅰ)의 용융물을 격렬하게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충전제, 상용성 플라스틱,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또는 윤활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염료 또는 안료를 스티렌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 내지 10 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수지로는 ASA, ABS 또는 AES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여기에 공중합체(i)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 공중합체가 포함된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SA 수지 또는 ASA 수지에 SAN 공중합체가 포함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부틸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시클로데세닐아크릴레이트 탄성체 고무에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이 75:25의 중량비로 그라프트된 스티렌계 수지에,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22 내지 35 중량%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또는 α-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더 혼합된 스티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계 수지(A)는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80 내지 99.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 무광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B) 무광택제
무광택제는 결정질 중합체로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sPS), 이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sPS)의 유도체로는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 무수말레인산(sPS-MAH)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광택제인 sPS는 입체 구조가 신디오탁틱 구조, 즉 탄소-탄소 결합으로 형성되는 주가지에 대하여 곁가지인 페닐기나 치환 페닐기가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입체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종전의 무정형 범용 아탁틱 폴리스티렌과는 달 리 결정성 구조를 갖는 고분자이다. 입체 구조는 입체 규칙도(tacticity)를 13C -NMR법으로 정량하여 나타낼 수 있다.
상기 sPS로는 입체 규칙도가 다이애드(dyad)의 경우 85 %이상, 펜타드(라세미펜타드)의 경우 35 %이상인 폴리스티렌, 폴리 할로겐화스티렌, 폴리 알콕시스티렌, 폴리 알킬스티렌, 폴리 안식향산 에스테르스티렌,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한 공중합체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광택제는 용융온도가 260 내지 280 ℃이고, 종래의 아택틱 구조의 스티렌계 중합체와 비교하여 내열성 및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상기 무광택제는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충격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무광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스티렌계 수지 80 내지 99.9 중량% 및 무광택제로서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sPS), 이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0.1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고 일축 또는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는 배합법을 이용하여 펠렛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은 광택도가 TOYOSEIKI(GLOSS METER UD) 광택도 측정기로 측정하였을 때 75°에서 1 내지 50 광택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광택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은 무광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광택제와 함께 무광필러를 사용하는 경우, 광택도가 더욱 낮아져 저광택 효과가 더욱 향상되며,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무광필러로는 가교중합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저광택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저광택 시트는 펠렛 상태의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을 일축 또는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시트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시트가공 시 가공온도는 무광택제의 용융온도 보다 20 ℃ 이상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무광택제의 용융온도 보다 20 ℃ 이상 낮은 온도에서 가공하는 경우에는 스티렌계 수지의 무광특성이 바람직하게 발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Ⅰ)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내부층, 및 (Ⅱ)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층을 포함하는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복합물은 구조물용 외부 사이딩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Ⅰ) 내부층은 구조물의 표면 안쪽에 위치하며, 상기 (Ⅱ) 외부층은 내후성이 우수하여 광 및 기후에 노출되는 외부를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Ⅰ) 내부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물질로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스티렌 수지 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물질은 충격보강제, 가공조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UV 안정제, 충전제, 활제 또는 안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내부층과 외부층을 공압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4, 비교예 1
스티렌계 수지로는 아크릴 고무를 포함하는 SA927-DP수지(LG화학 제조)와 MI가 25 g/10min(220 ℃)인 SAN 수지로 SAN 90HR(LG화학 제조)을 고무함량에 따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무광택제로는 용융온도가 270 ℃인 sPS 130ZC(이데미츠사 제조)를 사용하였다.
스티렌계 수지와 무광택제를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으로 첨가하고, 이산화티타늄(크로노스 2233) 3 중량부를 첨가한 후, Leistritz사의 직경 27 ㎜의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하기 표 1의 가공조건으로 혼합한 후 펠렛으로 제조하였 다.
상기 제조된 펠렛을 Thermo PRISM사의 스크류 직경 16 ㎜인 TSE16TC 이축 압출기 및 티다이(T-die)를 사용하여 하기 표 2의 가공조건으로 두께 0.2 ㎜인 시트를 제조하고, TOYOSEIKI(GLOSS METER UD) 광택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75 °에서 광택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티다이에서 압출된 시트의 무광특성을 발현하기 위해서 시트 가공시 무광택제의 용융온도보다 20 ℃ 낮은 온도에서 가공하였다.
압출기 배럴 1 배럴 2~11 다이 스크류 회전속도 원료 주입속도
Leistritz 250 ℃ 260 ℃ 260 ℃ 350 RPM 15 kg/hr
압출기 배럴 1 배럴 2~11 다이 스크류 회전속도 원료 주입속도
Thermo 190 ℃ 200 ℃ 200 ℃ 250 RPM 3 kg/hr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스티렌계 수지(중량%) 97 95 93 90 100
무광택제(중량%) 3 5 7 10 0
광택도(75 °) 32.5 17.6 9.3 3.3 84.9
상기 표 3을 통하여, 무광택제로 sPS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4의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은 무광택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수지 조성물과 비교하여 광택도가 낮아 저광택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7
상기 실시예 1에서 무광택제로 MAH의 함량이 1.5 중량%이며, 용융온도가 269 ℃인 sPS-MAH인 sPS-MAH TPSPS 8012PA(KOMETRA사 제조)를 하기 표 4와 같은 조성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구분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스티렌계 수지(중량%) 97 95 90
무광택제(중량%) 3 5 10
광택도(75 °) 45.8 25.9 3.6
상기 표 4를 통하여, 무광택제로 sPS-MAH를 포함하는 실시예 5 내지 7의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은 무광택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수지 조성물과 비교하여 광택도가 낮아 저광택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8~9
상기 실시예 1에서 무광필러로 Blendex-MAT를 각각 3, 5 중량부로 더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구분 실시예 8 실시예 9
스티렌계 수지(중량%) 97 97
무광택제(중량%) 3 3
Blendex-MAT(중량부) 3 5
광택도(75 °) 29.4 23.3
상기 표 5를 통하여, 무광택제인 sPS와 함께 무광필러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8 내지 9의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은 실시예 1의 수지 조성물과 비교하여 광택도가 더욱 낮아 저광택 특성이 더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0~19,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스티렌계 수지 제조 시 가공온도에 따른 광택도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스티렌계 수지 90 중량%에 무광택제로 sPS-MAH TPSPS 8012PA(KOMETRA사 제조) 10 중량%를 혼합하고, 하기 표 5의 가공온도 조건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구분 펠렛 제조 온도(℃) 시트 가공온도(℃) 광택도(75 °)
실시예 10 240 200 3.8
실시예 11 250 4.2
실시예 12 260 3.6
실시예 13 270 3.8
실시예 14 280 4.2
실시예 15 290 4.3
실시예 16 260 200 3.6
실시예 17 215 3.3
실시예 18 230 3.9
실시예 19 245 29.3
비교예 2 260 89.8
상기 표 5를 통하여, 시트 가공 시 가공온도를 무광택제의 용융온도보다 20 ℃ 이상 낮은 온도로 가공한 실시예 10 내지 19의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은 시트 가공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비교예 2과 비교하여 무광특성이 우수하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후성이 우수하며, 표면광택이 감소되어 벽널, 창문 틀 등과 같은 구조물용 외장 분야의 용도에 특히 적합한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시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A) 스티렌계 수지 80 내지 99.9 중량%, 및
    (B) 무광택제로서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 이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스티렌계 수지는, 탄성체 고무의 존재 하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 스티렌계 수지는,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 스티렌계 수지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 중합된 공중합체(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ⅰ)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α-메틸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무수물 공중합체, α-메틸스티렌/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삼원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메틸메타크릴레이트 삼원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말레산무수물,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산 삼원공중합체, 및 α-메틸스티렌/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삼원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 스티렌계 수지는,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혼합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의 유도체는,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 무수말레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은, 입체 규칙도가 85 %이상인 다이애드 폴리스티렌, 입체 규칙도가 35 %이상인 펜타드(라세미펜타드) 폴리스티렌, 폴리 할로겐화스티렌, 폴리 알콕시스티렌, 폴리 알킬스티렌, 폴리 안식향산 에스테르스티렌, 및 이들을 주성분으로 한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은, 광택도가 TOYOSEIKI(GLOSS METER UD) 광택도 측정기로 측정하였을 때 75°에서 1 내지 50 광택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은, 가교중합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공중합체계 무광필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11. 스티렌계 수지 80 내지 99.9 중량% 및 무광택제로서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 이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0.1 내지 20 중량%을 포함하는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시트.
  12. 스티렌계 수지 80 내지 99.9 중량% 및 무광택제로서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 이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을 상기 무광택제의 용융온도 보다 20 ℃ 이상 낮은 온도에서 시트 가 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제조방법.
  13. (Ⅰ)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내부층, 및
    (Ⅱ) 스티렌계 수지 80 내지 99.9 중량% 및 무광택제로서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 이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Ⅰ) 내부층의 열가소성 물질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15. (Ⅰ)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내부층을 제조하는 단계;
    (Ⅱ) 스티렌계 수지 80 내지 99.9 중량% 및 무광택제로서 신디오탁틱 폴리스 티렌, 이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외부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Ⅲ) 제조된 내부층과 외부층을 연속적으로 공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제조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Ⅱ) 단계는,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을 상기 무광택제의 용융온도 보다 20 ℃ 이상 낮은 온도에서 시트 가공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070012861A 2007-02-07 2007-02-07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저광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0889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861A KR100889191B1 (ko) 2007-02-07 2007-02-07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저광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08/000559 WO2008096976A1 (en) 2007-02-07 2008-01-30 Low surface gloss styrene resin composition, and low surface gloss sheet and composite article therefrom
EP20080712236 EP2111427B1 (en) 2007-02-07 2008-01-30 Low surface gloss styrene resin composition, and low surface gloss sheet and composite article therefrom
US12/525,575 US8378024B2 (en) 2007-02-07 2008-01-30 Low surface gloss styrene resin composition, and low surface gloss sheet and composite article therefrom
ES08712236T ES2467467T3 (es) 2007-02-07 2008-01-30 Composición de resina de estireno de bajo brillo superficial y elemento laminar de bajo brillo superficial y artículo compuesto fabricado a base de la misma
CN2008800041305A CN101605850B (zh) 2007-02-07 2008-01-30 低表面光泽度的苯乙烯树脂组合物及用其制备的低表面光泽度的板材和复合制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861A KR100889191B1 (ko) 2007-02-07 2007-02-07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저광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962A KR20080073962A (ko) 2008-08-12
KR100889191B1 true KR100889191B1 (ko) 2009-03-17

Family

ID=3988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861A Active KR100889191B1 (ko) 2007-02-07 2007-02-07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저광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89191B1 (ko)
CN (1) CN1016058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53157B (zh) * 2010-10-22 2014-12-1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用于在单一反应器中制备宽/双峰聚乙烯的催化剂体系
US20140030488A1 (en) * 2011-04-05 2014-01-30 Lg Electronics Inc. Panel with anti-fingerprint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977863A (zh) * 2017-05-25 2017-07-25 东台市美佳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环保、抗变色pvc配方
CN110283387B (zh) * 2019-07-22 2021-09-10 浙江利帆家具有限公司 一种pp/hdpe家具用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563513B (zh) * 2019-10-23 2021-08-24 兰州理工大学 用于生产缓释肥的改性包膜溶液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6076A (en) * 1989-01-23 1993-06-01 Hitachi Chemical Company Low gloss agents,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low gloss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and molded articles
JPH05247292A (ja) * 1992-03-04 1993-09-24 Idemitsu Kosan Co Ltd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US5346954A (en) * 1986-11-18 1994-09-13 Rohm And Haas Company Thermoplastic and thermoset polymer compositions
KR20040106168A (ko) * 2003-06-12 2004-12-17 제일모직주식회사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04125A (en) * 1988-01-13 1994-02-28 Idemitsu Kosan Co Styrene-based resin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6954A (en) * 1986-11-18 1994-09-13 Rohm And Haas Company Thermoplastic and thermoset polymer compositions
US5216076A (en) * 1989-01-23 1993-06-01 Hitachi Chemical Company Low gloss agents,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low gloss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and molded articles
JPH05247292A (ja) * 1992-03-04 1993-09-24 Idemitsu Kosan Co Ltd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20040106168A (ko) * 2003-06-12 2004-12-17 제일모직주식회사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05850A (zh) 2009-12-16
KR20080073962A (ko) 2008-08-12
CN101605850B (zh)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103B1 (ko)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저광택시트 및 복합물
KR1015316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9469759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US6773821B2 (en) Resin composition for capstock
US8378024B2 (en) Low surface gloss styrene resin composition, and low surface gloss sheet and composite article therefrom
KR100889191B1 (ko)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저광택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54644A (ko) 저광 특성, 내후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압출 물품
KR101240322B1 (ko) 내후성이 우수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246283B1 (ko) 아크릴계 라미네이트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데코 시트
US6683133B1 (en) ASA molding compounds for producing shaped parts
KR102429752B1 (ko) 무광택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71836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474817B1 (ko) 충격강도가 우수한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2022000972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028953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71835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782250B1 (ko) 저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43794B1 (ko) 금속 파이프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출품의 제조방법
KR20120076301A (ko) 내열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저광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41777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09091553A (ja) 発泡成形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発泡成形品及び積層品
KR20250036611A (ko) 공압출 시트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009719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40064472A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2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2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