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746B1 - Eco-friendly vegetation wire mesh basket revetment method - Google Patents
Eco-friendly vegetation wire mesh basket revetment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86746B1 KR100886746B1 KR1020080047221A KR20080047221A KR100886746B1 KR 100886746 B1 KR100886746 B1 KR 100886746B1 KR 1020080047221 A KR1020080047221 A KR 1020080047221A KR 20080047221 A KR20080047221 A KR 20080047221A KR 100886746 B1 KR100886746 B1 KR 1008867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tion
- wire mesh
- mesh basket
- river
- bask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갈수기에도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환경에 친화적이며, 하천의 유량과 유속의 급격한 상승 변화에 대해서도 적용성이 우수한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friendly vegetation wire mesh basket revetment method, more specifically, to the vegetation is possible in the dry season is friendly to the natural environment, eco-friendly vegetation wire mesh basket revetment excellent in the applicability to the rapid rise of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river It is about public law.
일반적으로, 국내의 하천은 여름철 집중 호우시, 하천 유량이 급속히 증가하게 되고 유속이 증가하여 하천의 저수로가 침식, 유실되는 경우가 많다. In general, domestic streams during summer heavy rains, the flow rate of the river is rapidly increased and the flow rate is increased to erosion and loss of the river reservoir.
이로 인해 하천가에 설치되는 제방의 안전이 위협을 받고, 특히 갈대, 버드나무 등과 같은 하천변의 수변식물이 유실되어 그들에 의한 하천 수질의 자연정화기능, 어류나 조류 등의 서식처와 같은 생태 환경이 파괴되는 등 그 피해 및 여파가 매우 큰 실정이다.This threatens the safety of dikes installed alongside rivers, and in particular, waterfront plants such as reeds and willows are lost, thereby destroying the natural environment of river water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such as habitats of fish and algae. Such damage and aftermath are very large.
따라서, 이와 같은 집중 호우 피해에 대응하기 위하여 석축, 콘크리트 블록, 개비온 옹벽 등의 다양한 호안이 개발되어 적용되어 왔다.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such heavy rain damage, various rafts such as stonework, concrete blocks, and gabion retaining wall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여기서, 석축과 같은 호안은 강성 구조물로서, 구조적인 안정성이 우수한 반면에 갑작스런 유량 및 유속의 증가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세굴(洗掘)에 대해 굴요성(屈撓性)이 부족하여 침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ere, the revetment like stonework is a rigid structure, which is excellent in structural stability, but can be settled due to lack of flexure for scouring which may be caused by a sudden increase in flow rate and flow rate. There is a problem.
또한, 석축의 상부에는 식물(예를 들어 나무나 잔디 등의 식생물)들을 식재하여 생장시킬 수가 없으므로, 자연녹지가 축소되고 생태계의 불균형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plants (eg, trees or grasses, vegetation, etc.) cannot be grown and grown on top of the stone, natural green spaces are reduced, resulting in an imbalance of the ecosystem.
한편, 콘크리트 블록도 상기 석축과 마찬가지로 세굴에 대해 굴요성이 부족하여 침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concrete blocks also have a problem that can be settled due to lack of flexibility for scouring like the stonework.
대개 콘크리트 블록 사이에 식물을 식재하기도 하지만 식재된 식물의 뿌리에는 콘크리트 블록의 복사열로 인해 충분한 수분이 공급되는 것이 어렵게 되고 이로 인해 식물이 고사하는 경우가 발생한다.Although plants are usually planted between concrete blocks, it is difficult to supply sufficient moisture to the roots of planted plants due to the radiant heat of the concrete blocks, which causes the plants to die.
또한, 개비온 옹벽은 내부에 돌만 채워져 있고 돌 틈 사이로 자연배수되어 식생이 가능한 조건이 제공되지 못하며, 옹벽 배면의 토사와 닿는 부분에 있어서도 토사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부직포를 설치해야 함으로 원지반과 개비온 옹벽이 인위적으로 나누어져 일체화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홍수 발생시 분리되어 붕괴되는 경우가 발생한다.In addition, the Gabion retaining wall is filled with only stones inside, and it is naturally drained between the gaps between the stones to provide vegetation conditions.In addition, the base and Gabion retaining wall must be installed to prevent the soil from leaking out in contact with the soil of the retaining wall. It is not artificially divided and unified, which causes it to separate and collapse in the event of a flood.
즉, 종래의 석축, 콘크리트 블록 및 개비온 옹벽은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가 힘들게 되고 또한, 어린 물고기의 피난처 등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므로 생태계의 불균형 발생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masonry, concrete blocks and gabion retaining wall is difficult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plants can grow, and also does not provide a shelter for young fish, resulting in an imbalance in the ecosystem.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갈수기에도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변 자연환경에 친환경적이고 생태계 파괴를 최소한도로 줄이며, 원지반과 인위적인 경계를 두지 않고 일체화시킴으로써 갑작스럽게 하천 유량과 유속이 증가하는 경우에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vegetation in the dry season, environmentally friendly to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nd reduce th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to a minimum, by integrating without the artificial ground and the artificial ground without sudden river flow and It is to provide eco-friendly vegetation wire basket revetment method that can prevent sinking when the flow rate is increas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공법은 (a) 터파기 작업 및 하천 지반 정지작업을 하는 단계; (b) 터파기 작업으로 형성된 하천 절개지 면에 토사유출 방지부재(100)를 포설하는 단계; (c) 하천 지반의 지중에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 위에 하천 절개지 면을 따라, 내부에 식생 기반재(310)가 구비되며 전방 벽면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를 적층하여 설치한 후 그 내부를 골재로 채우는 단계; (e) 상기 토사유출 방지부재(100)를 접어서 적층된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의 최상면 일부를 덮는 단계; (f) 상기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 위에 하천 절개지 면을 따라, 그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며 비닐, 플라스틱 합성수지 및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물 받이부(430)가 고정되며 전방 벽면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식생 철망 바구니(400)를 설치하는 단계; (g)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벽면 중에 외부에 노출되는 전방 벽면(411), 상기 전방 벽면(411)에 근접한 덮개부(420)의 일부분과 상기 물 받이부(430)의 내부 바닥면에 접하도록 식생 철망 바구니(400) 내부에 식생용 부직포(440)를 설치하는 단계; (h)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내부와 식생 철망 바구니(400)와 하천 절개지 면 사이의 공간을 잡석 및 토사로 채우는 동시에 상기 식생용 부직포(440)에 씨앗을 뿌린 후, 상기 잡석 및 토사를 다짐하는 단계; (i) 상기 식생용 부직포(440)를 일부 접어서 상기 잡석 및 토사를 덮고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상면을 닫는 단계; 및 (j)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 위에 상기 (f)~(i) 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d)단계의 하천 절개지 면은 정지 작업된 하천 지반에 수직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f)단계의 하천 절개지 면은 정지 작업된 하천 지반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nvironmentally friendly vegetation wire mesh basket revet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 the step of digging and river ground stopping work; (b) installing the soil
The river incision surface of step (d) is form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river ground stopped, and the river incision surface of step (f)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iver ground stopped.
삭제delete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공법에 의하면, 식생 철망 바구니 내부에 물 받이부와 식생용 부직포를 구비시킴으로써 식생 철망 바구니가 수면 위에 노출된 상태 또는 갈수기에도 식생용 부직포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co-friendly vegetation wire basket basket reve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water gutter and a nonwoven fabric for vegetation wire mesh basket inside the vegetation wire mesh basket can supply moisture to the vegetation nonwoven fabric even when exposed to the water surface or in the dry season It has an effect.
이로 인해, 식생용 부직포에 뿌려지는 씨앗이 발아하여 생장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여 하천 사면을 녹화시키고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As a result, the seeds sown on the vegetation nonwoven fabric germinate and grow to provide conditions for greening the river slope and improving the aesthetics.
또한, 하천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어소층 철망 바구니와 식생 철망 바구니의 전방 측면을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직강하천보다 유속을 완화시킬 수 있고 굴곡진 부위와 유수와의 마찰로 인해 하천의 유량 및 유속의 갑작스런 상승 변화시에도 침하되지 않는 호안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convexly rounded front sides of the fish wire basket and vegetation wire basket basket exposed to the outside toward the riv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low rate than the straight river stream and the flow rate of the river due to friction between the curved portion and the water flow And a relief structure that does not settle even upon sudden rise in flow rate.
또한, 어소층 철망 바구니와 식생 철망 바구니가 설치되는 하천 절개지 면의 경사를 다르게 함으로써, 하천 절개지 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화시켜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varying the inclination of the river incision surface in which the fish wire layer basket and the vegetation wire mesh basket are install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collapse by reducing the load applied to the river incision surface.
또한, 기초 지지기반 부재 위에 설치되는 어소층 철망 바구니 내부에 직경이 큰 돌을 채우고 식생이 가능한 식생 기반재를 구비시킴으로써 하천 사면의 보강 효과 이외에도 어린 물고기 등의 피난처 및 산란처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illing a large diameter stone inside the fish basket layer installed on the foundation support base member and by providing a vegetation base material that can be vegetated, in addition to the reinforcement effect of the river slope, it is possible to provide shelter and spawning places such as young fish. There i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co-friendly vegetation wire basket basket revet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 철망 바구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co-friendly vegetation wire mesh basket revet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getation wire mesh bas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구조는 유수에 의한 물가선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천의 절개지 면에 시설하는 것으로서, 터파기 작업을 마친 하천 지반의 지중에 설치되는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 상기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 위에 설치되며 내부가 골재로 채워지는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 상기 터파기 작업으로 형성된 하천의 사면을 따라 상기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 위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골재가 채워지는 식생 철망 바구니(400) 및 상기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와 배면 토사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토사유출 방지부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1, the eco-friendly vegetation wire mesh basket revet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incision surface of the river in order to prevent the erosion of the strands due to running water, the ground of the river ground completed the digging work The base
상기 터파기 작업을 통해 형성되는 하천 절개지 면은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와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가 설치되는 부분의 하천 절개지 면은 정지작업 후의 하천 지반에 대하여 거의 수직에 가깝도록 형성되고,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가 설치되는 부분의 하천 절개지 면은 일정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iver incision surface formed through the excavation opera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as a whole, b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ver incision surface of the portion where the foundation support
상기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시키거나 돌망태를 이용하여 형성된다.The foundation
여기서, 상기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20 ~ 150cm 내외의 폭과 30 ~ 40cm 정도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수치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Here, when the foundation
한편, 돌망태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경우 그 내부에는 직경 10cm이상의 돌이 채워지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망목보다 큰 돌이면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formed using a gabion, the inside of the stone is filled with a diameter of 10cm or more is not limited to this, it may be any stone larger than the mesh.
상기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는 내부수용공간을 가지는 통상의 철선 철망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큰 돌 등이 채워지게 되며 상기 큰 돌들 사이의 공간은 어린 어류 등의 피난처 및 휴식처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The fisherman lay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최적의 조건으로 직경 15cm 이상의 큰 돌 등을 채우지만, 어류 등이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크기의 돌이면 무방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stone having a diameter of 15 cm or more is filled under optimum conditions, but a stone having a size capable of forming a space through which fish and the like can be formed may be used.
한편, 상기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는 1단 이상의 다단으로 적층되어 설치 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저단의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는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 위에 설치되되, 상부가 하천바닥의 지중으로부터 일부 노출되도록 설치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ssociate layer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터파기 깊이 또는 호안의 설치강도 보완에 따라서 최저단의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 전체가 하천바닥의 지중에 설치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ntire bottom layer
상기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의 내부에는 식생을 위해 부직포로 이루어진 식생 기반재(310)가 구비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무방하다.
상기 최저단의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를 설치한 후, 그 위에 적층되는 최상단의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는 평상시의 하천 수면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installing the lowest level of the layered
전술한 바와 같이, 터파기 작업을 통해 상기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와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가 설치되는 부분의 하천 절개지 면은 하천 지반에 대하여 거의 수직에 가깝도록 형성되므로, 하천 절개지의 배면 토사를 향하는 상기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와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의 후방 벽면은 정지작업된 하천 지반에 대하여 수직한 가상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iver cut surface of the portion where the foundation support
그러므로, 배면 토사의 흙다짐 부실로 인해 상기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와 식생 철망 바구니(400)가 하천 절개지 면 방향으로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due to the soil compaction of the back soil, it can be prevented that the fish-layer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상기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의 벽면 중에 외부에 노출되는 전방 벽면(4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상기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 위에 설치되는 식생 철망 바구니(400)는 다수의 망목을 가지는 철선 철망으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개구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410)와 상기 몸체부(410)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vegetation
여기서,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는 상기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와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절개지 사면을 따라 다단으로 적층되며 배면 토사와 식생 철망 바구니(400) 사이의 공간 및 식생 철망 바구니(400) 내부에는 잡석 및 토사 등의 골재가 채워진다.Here, the veget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410)의 수용공간 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개방된 물 받이부(430)가 수용되어 고정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여기서, 상기 물 받이부(430)는 토사 속에 포함된 미생물 등에 의해 쉽게 썩지 않는 비닐, 플라스틱 합성수지 및 고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아울러, 상기 물 받이부(430)의 높이는 몸체부(41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 ~ 8cm 사이의 수치를 가지도록 하지만 반드시 그 수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빗물 등이 고일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가지면 된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벽면 중에 하천을 향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전방 벽면(411), 상기 전방 벽면(411)과 근접한 상면의 일부분에 인접하도록 식생용 부직포(440)가 몸체부(410) 내에 채워진 골재와의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식생용 부직포(440)의 하단은 상기 물 받이부(430) 내에 위치하도록 개재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among the wall surface of the vegetation
여기서,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상(上)면은 내부에 골재가 채워진 후 상기 덮개부(420)가 몸체부(410)의 상측 개구부를 닫았을 때, 상기 덮개부(420)로 형성되는 면을 말한다.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vegetation
여기서, 상기 덮개부(420)의 일부분이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식생 철망 바구니(400)가 적층되어 설치시, 인접하여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된 식생 철망 바구니(400)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말한다.Here, a part of the
한편, 다단으로 적층된 식생 철망 바구니(400) 중 최상단의 식생 철망 바구니(400)에는 상기 식생용 부직포(440)가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전방 벽면(411)과 상면 내측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vegetation
그러므로, 최상단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상면도 후술하는 식생용 부직포(440)에 뿌려지는 씨앗에 의해 녹화될 수 있다.Therefore,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vegetation
한편, 상기 식생용 부직포(440)는 식생 철망 바구니(400) 내부에 채워진 잡석 및 토사 등의 골재에 의해 철망 벽면에 밀착된 채 고정될 수도 있지만, 호안 설치작업 현장에서 골재 충진작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철선 등을 통한 결합으로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전방 벽면에 미리 고정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getation
또한,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 내부에 채워지는 골재는 잡석과 토사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잡석은 3 ~ 20cm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돌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그 혼합비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호 동등하게 1:1로 적용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어느 하나가 소정의 비율만큼 더 충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ggregate filled in the veget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전방 벽면(411)은 상기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와 마찬가지로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이로 인해서, 하천의 유량 및 유속 변화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구조적인 측면에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ability in structural aspects by reducing the resistance to changes in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stream.
즉, 직강하천에 설치 시나 하천 유량 및 유속의 상승 변화 시에도 강물이 라운드진 부분을 따라 원활히 흐르도록 하여 강물의 흐름과 어소층 철망 바구니 및 식생 철망 바구니 사이에서 발생되는 유체 흐름상의 저항을 감소시키게 되고, 아울러 하천수가 라운드진 부분에 부딪히며 기포를 발생시켜 수질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That is, even when installed in a straight river, or when the flow rate and flow velocity change, the river flows smoothly along the rounded portion to reduce the resistance of the flow of the river and the fluid flow generated between the fishery wire basket and the vegetation wire basket. In addition, the river water hits the rounded portion and generates bubbles to effect the effect of water purification.
한편, 상기 식생용 부직포(440)에는 식생을 위해 식물의 씨앗 등이 뿌려지며, 식생용 부직포(440)는 하천 수위에 상관없이 빗물 등에 의해 채워진 물 받이부(430) 내의 물을 흡수하여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vegetation
그러므로, 상기 식생용 부직포(440)에 뿌려진 씨앗은 식생용 부직포(440)의 수분과 햇빛을 제공받아 발아될 수 있으며 점차적으로 생장하게 된다.Therefore, the seeds scattered on the vegetation
여기서, 식생용 부직포(440)는 씨앗의 발아가 더욱 용이하도록 식물성 천연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Here, the vegetation
상기 토사유출 방지부재(100)는 하안의 토사 등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천의 사면에 포설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부직포로 적용되어 질 수 있다.The soil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토사유출 방지부재(100)는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와 배면 토사와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를 접어서 최상단의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 상면을 덮도록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th and san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전방 벽면(411)을 구성하는 철망의 망목 조밀도는 양측 벽면(412,413), 후방 벽면(414) 및 덮개부(420)를 구성하는 철망의 망목 조밀도보다 높도록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h density of the wire mesh constituting the
따라서,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전방 벽면(411)을 통해 잡석 및 토사 등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낙석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Therefore, rubble and soil may be prevented from leaking out through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전방 벽면에 보조 철망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이를 더욱 보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rther supplemented by additionally installing an auxiliary wire mesh on the front wall surface of the veget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공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cological vegetation wire mesh basket reve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공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ure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green vegetation wire mesh basket reve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공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터파기 작업 및 하천 지반 정지작업을 하는 단계, (b) 터파기 작업으로 형성된 하천 절개지 면에 토사유출 방지부재(100)를 포설하는 단계, (c) 하천 지반의 지중에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 위에 하천 절개지 면을 따라 내부에 식생 기반재(310)가 구비된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를 적층하여 설치한 후 그 내부를 골재로 채우는 단계, (e) 상기 토사유출 방지부재(100)를 접어서 적층된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의 최상면 일부를 덮는 단계, (f) 상기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 위에 하천 절개지 면을 따라 그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는 물 받이부(430)가 고정되는 식생 철망 바구니(400)를 설치하는 단계, (g)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벽면 중에 외부에 노출되는 전방 벽면(411), 상기 전방 벽면(411)에 근접한 덮개부(420)의 일부분과 상기 물 받이부(430)의 내부 바닥면에 접하도록 식생 철망 바구니(400) 내부에 식생용 부직포(440)를 설치하는 단계, (h)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내부와 식생 철망 바구니(400)와 하천 절개지 면 사이의 공간을 잡석 및 토사로 채우는 동시에 상기 식생용 부직포(440)에 씨앗을 뿌린 후, 상기 잡석 및 토사를 다짐하는 단계, (i) 상기 식생용 부직포(440)를 일부 접어서 상기 잡석 및 토사를 덮고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상면을 닫는 단계 및 (j)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 위에 상기 (f)~(i) 단계를 반복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집니다.Eco-friendly vegetation wire mesh basket reve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a) the process of excavation and river ground stop work, (b) sediment on the river incision surface formed by the excavation work Installing the spill prevention member 100, (c) installing the foundation support base member 200 in the ground of the river ground, (d) on the foundation support base member 200 along the stream cut surface therein After stacking and installing the eoeo layer wire mesh basket 300 is provided with a vegetation base material 310 (e) filling the inside with the aggregate, (e) the effluent layer wire mesh basket is folded by folding the soil leakage prevention member 100 ( Covering a por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300, (f) Vegetation wire basket basket is fixed to the drip tray 430 having an inner receiving space of the upper part is opened in the inside along the stream cut surface on the fish wire layer basket 300 Step of installing 400, (g) phase Vegetation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wall surface 41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ll surface of the vegetation wire mesh basket 400, a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420 adjacent to the front wall surface 411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rip tray 430 Installing a vegetation nonwoven fabric 440 in the wire mesh basket 400, (h)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inside of the vegetation wire mesh basket 400 and the vegetation wire mesh basket 400 and the river incision surface with rubble and earth and sand At the same time sprinkling the seeds on the vegetation nonwoven fabric 440, and then compacting the rubble and earth and sand, (i) by folding the vegetation nonwoven fabric 440 to cover the rubble and earth and sand and the top surface of the vegetation wire mesh basket 400 Closing step and (j) on the vegetation wire mesh basket (400) is made, including the step (f) ~ (i) to repeat the step.
먼저, 터파기 작업과 하천 지반 정지작업을 실시한다(S10). First, the excavation work and river ground stop work is carried out (S10).
여기서, 터파기 작업 후의 하천 절개지 면은 하천 지반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는 하천 지반에 거의 수직한 상태가 되고 이어서 경사진 상태로 변하여 형성된 다.Here, the river incision surface after the excavation operation is formed to be almost perpendicular to the river ground from the river ground to a certain height, and then changed into an inclined state.
그 다음, 하천 절개지 면에 토사유출 방지부재(100)를 포설하여 흙이나 자갈등이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일차적으로 방지시킨다(S20).Then, by installing the soil
여기서, 상기 토사유출 방지부재(100)는 호안 공사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직포로 사용되며, 후술하는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 및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가 설치되는 하천 절개지 면에만 포설된다.Here, the soil
이어서, 하천 바닥면 지중에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를 설치한다(S30).Subsequently, the foundation
여기서, 상기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직경이 10cm 이상인 큰 돌 등이 채워지는 돌망태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oundation
이어서, 상기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 위에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를 적층하여 설치한 후 그 내부를 골재로 채운다(S40).Subsequently, after installing the layered
상기 S40의 단계에는 상기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 내부에 식생이 가능하도록 식생 기반재(310)를 구비시키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The step of S40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a
여기서, 상기 식생 기반재(310)는 롤(Roll)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부직포로 적용 가능하며, 식생을 위해 식물의 씨앗 등이 살포된 상태이다.Here, the
상기 S40의 단계는 하천 절개지 면의 높이 등에 따라 다수회 반복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각각의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 내부에 골재를 채운 후에는 개방된 상측 개구부를 닫는 작업을 추가적으로 실시한다.The step of S40 may be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iver incision surface, etc., and after filling the aggregate in each of the fish-layer
또한, 상기 다수의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는 서로 간에 와이어 결속작업을 통해 결속되는 상태가 되고, 최저단의 어소층 철망 바구니도 상기 기초 지지기반 부재(200)와 와이어 결속작업을 통해 고정 결합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Associate layer
한편, 상기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에 채워지는 골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직경 15cm 이상의 큰 돌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aggregate filled in the material layer
이어서, 상기 토사유출 방지부재(100)를 접어서 상기 적층된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의 최상면 일부를 덮도록 한다(S50).Subsequently, the soil
이어서, 내부에 골재가 채워진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 위에 식생 철망 바구니(400)를 횡 배열하여 설치한다. 이때,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내부에는 물 받이부(430)가 고정된 상태가 된다(S60).Subsequently, the vegetation
이때,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는 와이어 결속작업을 통해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와 결속되어 고정 결합된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vegetation
한편, 상기 물 받이부(430)는 호안 설치작업 현장에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작업장소에서 이미 식생 철망 바구니(400) 내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작업현장에서 물 받이부(430)를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이어서,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벽면 중에 외부에 노출되는 전방 벽면, 상기 전방 벽면에 근접한 덮개부의 일부분과 상기 물 받이부의 내부 바닥면에 접하도록 식생 철망 바구니(400) 내부에 식생용 부직포(440)를 설치한다(S70).Subsequently, in the wall surface of the vegetation
한편, 상기 식생용 부직포(440)도 상기 물 받이부(430)와 마찬가지로 다른 작업장소에서 이미 식생 철망 바구니(400) 내부에 설치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다시 말해서, 식생 철망 바구니(400) 내부에 물 받이부(430)와 식생용 부직포(440)를 설치하는 작업은 별도의 작업현장에서 먼저 실시하고, 그 후 호안 설치작업 현장으로 식생 철망 바구니(400)를 운반하여 하천의 절개지 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the installation of the
상기와 같이 물 받이부(430)와 식생용 부직포(440)를 기설치함으로써, 호안 시공시 작업의 신속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호안 설치작업 중에 설치할 수도 있다.By installing the
이어서,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내부와 식생 철망 바구니(400)와 하천 절개지 면 사이의 공간을 잡석 및 토사로 채우는 동시에 상기 식생용 부직포(440)에 씨앗을 뿌린 후, 상기 잡석 및 토사를 단단하게 다져서 하천 절개지 면을 가지는 원지반과 일체화시킨다(S80).Subsequently, while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inside of the vegetation
따라서,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를 하천 절개지 면에 좀 더 견고하게 설치하여 급격한 유속변화시 붕괴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Therefore, by installing the vegetation
한편, 상기한 물 받이부(430), 식생용 부직포(440)와 마찬가지로 씨앗도 다른 작업장소에서 이미 식생용 부직포(440)에 뿌려진 상태가 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like the
이어서, 상기 식생용 부직포(440)를 접어서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 내부의 잡석 및 토사를 덮고 식생 철망 바구니(400)의 상면을 닫는다(S90).Subsequently, the
이어서, 상기 식생 철망 바구니(400)를 호안 설계높이까지 다수회 적층하여 설치한다(S100).Subsequently, the vegetation
이때, 각각의 식생 철망 바구니(400)는 상호 와이어를 통해 결속된 상태이며, 최저단의 식생 철망 바구니(400)도 상기 어소층 철망 바구니(300)와 와이어를 통해 결속된 상태이다.At this time, each vegeta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ppropriately change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co-friendly vegetation wire mesh basket revet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 철망 바구니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getation wire mesh bas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공법을 나타내는 흐름도.Figure 3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green vegetation wire mesh basket reve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토사유출 방지부재 200: 기초 지지기반 부재100: soil outflow prevention member 200: foundation support base member
300: 어소층 철망 바구니 310: 식생 기반재300: fish wire basket 310: vegetation base material
400: 식생 철망 바구니 410: 몸체부400: vegetation wire mesh basket 410: body portion
411: 전방 벽면 412: 양측 벽면411: front wall 412: both side walls
413: 양측 벽면 414: 후방 벽면413: both side walls 414: rear wall
420: 덮개부 430: 물 받이부420: cover portion 430: drip tray
440: 식생용 부직포 440: nonwoven for vegetation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7221A KR100886746B1 (en) | 2008-05-21 | 2008-05-21 | Eco-friendly vegetation wire mesh basket revetment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7221A KR100886746B1 (en) | 2008-05-21 | 2008-05-21 | Eco-friendly vegetation wire mesh basket revetment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86746B1 true KR100886746B1 (en) | 2009-03-04 |
Family
ID=4069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7221A Active KR100886746B1 (en) | 2008-05-21 | 2008-05-21 | Eco-friendly vegetation wire mesh basket revetment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6746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27637A (en) | 2015-09-02 | 2017-03-10 | (주)대길산업 | A gabion |
CN106884412A (en) * | 2017-04-14 | 2017-06-23 | 北京群祥兴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self-purification waterbody ecology soft structure bank protection and its construction |
CN108358318A (en) * | 2018-04-03 | 2018-08-03 | 中林山水(北京)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face source water-break purifying ecological isolating device |
CN109644748A (en) * | 2018-12-25 | 2019-04-19 | 北京林业大学 | Assembled three-dimensional greening slope protection structure and us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6256Y1 (en) * | 2004-12-03 | 2005-03-11 |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 Terraced dike consist in fishing place blocks and planting blocks |
KR100525641B1 (en) * | 2004-10-18 | 2005-11-02 | 솔라원 환경기술(주) |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iques by nonwoven geotextile vegetation soil-bags |
KR100701568B1 (en) * | 2006-12-11 | 2007-03-29 | (주)제일이엔에스 | Arbor block for planting |
-
2008
- 2008-05-21 KR KR1020080047221A patent/KR10088674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5641B1 (en) * | 2004-10-18 | 2005-11-02 | 솔라원 환경기술(주) |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iques by nonwoven geotextile vegetation soil-bags |
KR200376256Y1 (en) * | 2004-12-03 | 2005-03-11 |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 Terraced dike consist in fishing place blocks and planting blocks |
KR100701568B1 (en) * | 2006-12-11 | 2007-03-29 | (주)제일이엔에스 | Arbor block for planting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27637A (en) | 2015-09-02 | 2017-03-10 | (주)대길산업 | A gabion |
CN106884412A (en) * | 2017-04-14 | 2017-06-23 | 北京群祥兴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self-purification waterbody ecology soft structure bank protection and its construction |
CN108358318A (en) * | 2018-04-03 | 2018-08-03 | 中林山水(北京)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face source water-break purifying ecological isolating device |
CN109644748A (en) * | 2018-12-25 | 2019-04-19 | 北京林业大学 | Assembled three-dimensional greening slope protection structure and us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7790B1 (en) | Grid-shaped hollow block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dike and construction method of dike using them | |
KR100525641B1 (en) |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iques by nonwoven geotextile vegetation soil-bags | |
KR101583664B1 (en) | Vegetation unit and slope greening method using vegetation unit | |
KR101662690B1 (en) | River Bank Protection Structure made of Polyurethane having Fish Habitat and Porous Plant Hole without Foot Protection Work,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0737768B1 (en) | Environmental vegetation mat pannels | |
KR100886746B1 (en) | Eco-friendly vegetation wire mesh basket revetment method | |
KR20070033301A (en) | Vegetation type hollow block | |
KR101025260B1 (en) | Slope stabilization method using prefabricated revetment block and coir mat | |
KR102122967B1 (en) | Perporated Concrete Block Vegetation Structure for Slope Stabilization | |
KR100644413B1 (en) | Vegetation Greening Block | |
KR20160143357A (en) |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using Vegetation Gabion | |
KR102334934B1 (en) | Nature-friendly construction method for the greening of slope using vegetational wire mesh basket and structure | |
CN109056630A (en) | Ecological gulf road based on permeable dike | |
JPH11323943A (en) | Protective afforesting structure of slope face, wall surface and shore surface | |
JP2002112626A (en) | Block construction structure for growing plant | |
KR100427226B1 (en) | The stone wire-net friendly relations with environment | |
KR200444259Y1 (en) | Eco Friendly Vegetation Wire Mesh Basket | |
KR200461490Y1 (en) | Vegetation Mat | |
KR100884017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slope for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type | |
KR20160024568A (en) | An Assembly of block and mattress for slope greening | |
KR20150133000A (en) | Ecological block structure | |
CN209227471U (en) | Ecological gulf road based on permeable dike | |
KR200403507Y1 (en) | Cellular Block Of A Plant Community Type | |
KR101055295B1 (en) | Rural block construction method using grid integrated vegetation wire basket and grid integrated vegetation wire basket | |
KR200442433Y1 (en) | Slope structure of urban rivers including riverbeds constructed by natural ecological restoration metho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5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3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