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80032B1 -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온냉수혼합꼭지 - Google Patents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온냉수혼합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032B1
KR100880032B1 KR1020080065379A KR20080065379A KR100880032B1 KR 100880032 B1 KR100880032 B1 KR 100880032B1 KR 1020080065379 A KR1020080065379 A KR 1020080065379A KR 20080065379 A KR20080065379 A KR 20080065379A KR 100880032 B1 KR100880032 B1 KR 100880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lever
holes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태
Original Assignee
박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태 filed Critical 박상태
Priority to PCT/KR2008/00775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91135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65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flat sl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2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providing a continuous small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카트리지가 구비된 단독 레버 조작식 온냉수혼합꼭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독 꼭지레버의 상하 및 좌우 조작에 따라 디버터는 지지플레이트와 접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어 냉수 및 온수 중 하나를 선택 유입하거나 둘 모두를 유입하되, 냉수 및 온수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적정 온도의 혼합수를 꼭지 상하에 각각 구비된 출수구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수할 수 있도록 한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는,
장착공간부, 상기 장착공간부와 연통되면서 구획된 상·하출수구, 그리고 상기 장착공간부와 연통되면서 구획된 냉·온수유입구로 이루어진 본체 및, 꼭지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장착공간부에 배열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온냉수혼합꼭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상·하출수구에 각각 연통되는 내·외출수공, 그리고 상기 냉·온수유입구에 각각 연통되는 좌·우유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간부의 바닥면에 배열 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외출수공과 좌·우유입공에 각각 대응되는 내·외대응출수공과 좌·우대응유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접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면에 접하게 배열되어 상기 꼭지레버의 조작에 따라 냉온수 유입에 대해 개별 또는 혼합 선택하여 이를 상기 상출수구 또는 하출수구로 선택 출수 가능케 하는 디버터(divert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도꼭지, 수도콕, 혼합꼭지, 단독레버, 카트리지, 디버터, 전환수단, 전환부재, 디버팅

Description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THE BIBCOCK HAVING THE COLD WATER AND WARM WATER MIXTURE ARE POSSIBLE AND CARTRIDGE WHERE OUTLET SELEC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은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카트리지가 구비된 단독 레버 조작식 온냉수혼합꼭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독 꼭지레버의 상하 및 좌우 조작에 따라 디버터는 지지플레이트와 접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어 냉수 및 온수 중 하나를 선택 유입하거나 둘 모두를 유입하되, 냉수 및 온수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적정 온도의 혼합수를 꼭지 상하에 각각 구비된 출수구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수할 수 있도록 한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에 관한 것이다.
꼭지레버가 장착되는 수도꼭지로는,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8-063736호 (1998.11.25, 공개, 이하 '선행기 술1'이라 함) "급수전의 냉/온수 혼합 카트리지용 디스크 구조"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1은 한 쌍의 온냉수 유입공과 하나의 출수로와 하나의 출수구를 형성하고, 카트리지의 하부 고정판에도 냉수 유입공과 온수 유입공 및 출수공을 각각 하나씩 형성하며, 디스크에도 냉수 유입공과 온수 유입공 및 출수공을 각각 하나씩 형성하고, 주위에 장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져, 상기 장홈에 그리스를 넣어 조작에 따른 구동시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고,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091237호 (2005.09.15, 공개, 이하 '선행기술2'이라 함) "수도콕"이 제시되어 있는 바,
상기 선행기술2는 하나의 유입공에 한 쌍의 출수로를 형성하여, 하나의 분기로를 선택하거나 한 쌍의 출수로를 선택하여 출수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사용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한 쌍의 온냉수 유입공과 하나의 출수로를 형성하고, 한 쌍의 출수구를 사용하기 위해, 출수구 사이에 수로 선택밸브를 장착시켜 출수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선행기술1은 한 쌍의 온냉수 유입공과 하나의 출수로와 하나의 출수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져 있어, 사용시에 하나의 출수구로만 출수가 이루어짐으로 다양한 사용처에 사용할 수 없고,
상기 선행기술2는 하나의 유입공에 한 쌍의 출수로를 형성하여, 하나의 분기로를 선택하거나 한 쌍의 출수로로 동시에 출수되도록 함으로써, 수돗물 사용시에는 한 쌍의 출수로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냉온수를 동시에 사용하려면 출수구가 하나가 되어 한 쌍의 출수구를 동시에 사용할 수가 없으며, 이를 가능케 하기 위하여 출수구 사이에 수로선택밸브를 장착시키게 되면, 고가의 수로선택밸브로 인하여 제조 설치 비용, 조립 장착 시간, 그리고 조립부품 등이 증가하게 되어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냉온수에 대하여 두 출수구 중 하나로 출수 가능케 하기 위한 디버터가 구비된 카트리를 포함하는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냉수와 온수 각각에 대한 유입을 선택하여 혼합수를 두 출수구 중 하나로 출수 가능케 함은 물론, 이를 단독 꼭지레버로써 조작하여 가능케 하는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는,
장착공간부, 상기 장착공간부와 연통되면서 구획된 상·하출수구, 그리고 상기 장착공간부와 연통되면서 구획된 냉·온수유입구로 이루어진 본체 및, 꼭지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장착공간부에 배열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온냉수혼합꼭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상·하출수구에 각각 연통되는 내·외출수공, 그리고 상기 냉·온수유입구에 각각 연통되는 좌·우유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간부의 바닥면에 배열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외출수공과 좌·우유입공에 각각 대응되는 내·외대응출수공과 좌·우대응유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접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면에 접하게 배열되어 상기 꼭지레버의 조작에 따라 냉온수 유입에 대해 개별 또는 혼합 선택하여 이를 상기 상출수구 또는 하출수구로 선택 출수 가능케 하는 디버터(divert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각 내·외출수공과 내·외대응출수공은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로 분반하였을 때 하부에 치우쳐 상하로 구획되어 다른 원주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각 좌·우유입공과 좌·우대응유입공은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로 분반하였을 때 상부에 치우쳐 좌우로 구획되어 동일 원주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일 예로서의 상기 디버터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내대응출수공과 외대응출수공 사이에 접하면서 원주상으로 배열되는 출수전환홀,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좌·우대응유입공을 기준으로 상하에 접하면서 각각 다 른 원주상으로 배열되는 제1,2유입전환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출수전환홀과 상기 제1,2유입전환홀을 연결하는 유통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예로서의 상기 디버터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대응출수공 바깥쪽에 접하면서 원주상으로 배열되는 출수전환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좌·우대응유입공을 기준으로 안쪽에 접하면서 초승달 형상의 제3유입전환홀, 그리고
상기 출수전환홀과 상기 제3유입전환홀을 연결하는 유통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디버터의 유통로와 밀폐 결합되는 레버장착체, 상기 레버장착체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꼭지레버와 고정 결합되는 전달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디버터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보다 직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어,
상기 꼭지레버의 상하 및 좌우 조작으로 상기 디버터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접한 상태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외출수공과 좌·우유입공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공간부가 점점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는,
유입된 냉수와 온수를 개별적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한 혼합수를 출수할 때에 두 출수구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수 가능케 하고,
기존의 두 출수구의 출수 전환을 위한 고가의 수로선택밸브를 구비하지 않고, 냉온수 개별 유입과 혼합 유입은 물론 유입수를 두 출수구 중 하나에 출수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나의 디버터에 포함시켜 기존에 비해 제조 비용, 조립작업시간, 조립부품수 등을 절감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디버터를 통해 기존의 복잡한 다단계조작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지 않아도 출수구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기존의 순차적 조작과정에서 물의 불필요한 토출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절수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의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를 나타낸 전체 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의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에서 베이스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의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에서 지지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 및 A-A'선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의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에서 디버터를 나타낸 평면도 및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의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 (b), (c)에 따라 디버터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를 나타낸 전체 단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에서 디버터를 나타낸 평면도 및 D-D'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에서 디버터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는,
장착공간부(11), 상기 장착공간부(11)와 연통되면서 구획된 상·하출수구(12, 13), 그리고 상기 장착공간부(11)와 연통되면서 구획된 냉·온수유입구(14, 15)로 이루어진 본체(10) 및,
꼭지레버(5)와 연결되고 상기 장착공간부(11)에 배열되는 카트리지(C)를 포 함하는 온냉수혼합꼭지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C)는 크게 베이스플레이트(20), 지지플레이트(30) 및 디버터(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는,
상기 상·하출수구(12, 13)에 각각 연통되는 내·외출수공(21, 22), 그리고
상기 냉·온수유입구(14, 15)에 각각 연통되는 좌·우유입공(23, 24)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장착공간부(11) 바닥면에 배열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내·외출수공(21, 22)과 좌·우유입공(23, 24)에 각각 대응되는 내·외대응출수공(31, 32)과 좌·우대응유입공(33, 34)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 상면에 접하게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각 유입공과 각 출수공의 배열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각 내·외출수공(21, 22)과 내·외대응출수공(31, 32)은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로 분반하였을 때 하부에 치우쳐 상하로 구획되어 다른 원주상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각 좌·우유입공(23, 24)과 좌·우대응유입공(33, 34)은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로 분반하였을 때 상부에 치우쳐 좌우로 구획되어 동일 원주상에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내·외출수공(21, 22)과 좌·우유입공(23, 24)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공간부가 점점 확장되는데, 이는 토출압(출수압)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서는 상기 장착공간부(11)에서 시작되는 상기 상·하출수구(12, 13)의 입구는 상기 내·외출수공(21, 22)과 상기 좌·우유입공(23, 24)의 출구와 대응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디버터(diverter : 4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 상면에 접하게 배열되어 상기 꼭지레버(5)의 조작에 따라 냉온수 유입에 대해 개별 또는 혼합 선택하여 이를 상기 본체(10)의 상출수구(12) 또는 하출수구(13)로 선택 출수 가능케 하는데,
이를 위한 일 예로서의 상기 디버터(40)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내대응출수공(31)과 외대응출수공(32) 사이에 접하면서 원주상으로 배열되는 출수전환홀(41),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좌·우대응유입공(33, 34)을 기준으로 상하에 접하면서 각각 다른 원주상으로 배열되는 제1,2유입전환홀(42, 43), 그리고
상기 출수전환홀(41)과 상기 제1,2유입전환홀(42, 43)을 연결하는 유통 로(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다른 예로서의 상기 디버터(40)는,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외대응출수공(32) 바깥쪽에 접하면서 원주상으로 배열되는 출수전환홀(41),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좌·우대응유입공(33, 34)을 기준으로 안쪽에 초승달 형상의 제3유입전환홀(45), 그리고
상기 출수전환홀(41)과 상기 제3유입전환홀(45)을 연결하는 유통로(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디버터(40)의 유통로(44)와 밀폐 결합되는 레버장착체(50), 상기 레버장착체(50)에 일단(一端)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꼭지레버(5)와 타단(他端)이 고정 결합되는 전달레버(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버터(4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 보다 직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어,
상기 꼭지레버(5)의 상하 및 좌우 조작으로 상기 디버터(4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와 접한 상태에서 이동되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 과정은 이후에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디버터(40)와 그 상부에 배열된 레버장착체(50)를 감싸되, 상기 디버터(4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0) 테두리 안에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감싸는 제1경계부(71)와, 그리고
상기 제1경계부(71)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레버장착체(50)와 연결된 전달레버(60) 일부 영역을 감싸되, 상기 전달레버(60)의 이동 반경을 간섭하지 않도록 감싸는 제2경계부(72)로 이루어진 하우징(7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70)의 상부에 배열되어 상기 전달레버(60)에 대한 통과홀(81)을 가지고, 상기 본체(10)의 장착공간부(11) 상단 내주면에 체결되는 커버(8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디버터(40)의 유통로(44) 상부에 대한 밀폐를 위하여 이에 결합되는 상기 레버장착체(50)에는 밀폐오링(R1)이 개재되고,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30)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장착공간부(11) 각각 사이에는 밀폐오링(R2)이 개재되는데, 각 유입공과 각 출수공 사이 사이에 개재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 예로서의 디버터(40)를 구비한 카트리지(C)에 의하여 물의 흐름 과정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의 (a)는 정지 상태(꼭지레버(5)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b)는 꼭지레버(5)를 눌러 디버터(40)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5의 (c)는 꼭지레버(5)를 올려 디버터(40)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에서와 같이, 정지 상태에서는 내·외출수공(21, 22) 및 내·외대응출수공(31, 32)에 대해 상기 디버터(40)의 출수전환홀(41)은 상기 내·외대응출수공(31, 32) 사이에 접하여 있고, 제1,2유입전환홀(42, 43)은 상기 좌·우대응유입공(33, 34)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접하여 있게 된다. 따라서, 본체(10)의 냉·온수유입구(14, 15)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유통되지 않고 머물러 있게 된다.
도 6의 (b)에서와 같이, 꼭지레버(5)를 올려 디버터(40)가 이동하게 되면, 제1유입전환홀(42)이 상기 좌·우대응유입공(33, 34)과 연통되고, 상기 출수전환홀(41)은 외출수공(22)과 연통됨으로써, 유입된 물의 출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꼭지레버(5)를 올린 상태에서 좌 또는 우로 돌리게 되면, 디버터(40)의 제1유입전환홀(42)이 상기 좌·우대응입공(33, 34)의 원주상에서 이동하게 되어 냉수나 온수의 선택과 냉수나 온수의 혼합 그리고 그 혼합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의 (c)에서와 같이, 꼭지레버(5)를 내려 디버터(40)가 이동하게 되면, 제2유입전환홀(43)이 상기 좌·우대응유입공(33, 34)과 연통되고, 상기 출수전환홀(41)은 내출수공(21)과 연통됨으로써, 유입된 물의 출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도 상기 도 6의 (b)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꼭지레버(5)의 좌 또는 우 작동하게 되면, 냉수나 온수의 선택과 냉수나 온수의 혼합 그리고 그 혼합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른 예로서의 디버터(40)를 구비한 카트리지(C)에 의하여 물의 흐름 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9의 (a)는 정지 상태(꼭지레버(5)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9의 (b)는 꼭지레버(5)를 올려 디버터(40)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9의 (c)는 꼭지레버(5)를 정점까지 올려 디버터(40)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a)에서와 같이, 정지 상태에서는 내·외출수공(21, 22) 및 내·외대응출수공(31, 32)에 대해 상기 디버터(40)의 출수전환홀(41)은 상기 외대응출수공(32) 바깥쪽에 접하여 있고, 제3유입전환홀(45)은 상기 좌·우대응유입공(33, 34) 안쪽에 접하여 있게 된다. 따라서, 본체(10)의 냉·온수유입구(14, 15)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유통되지 않고 머물러 있게 된다.
도 9의 (b)에서와 같이, 꼭지레버(5)를 정점의 중간지점까지 올려 디버터(40)가 이동하게 되면, 제3유입전환홀(45)이 상기 좌·우대응유입공(33, 34)과 연통되고, 상기 출수전환홀(41)은 외출수공(22)과 연통됨으로써, 유입된 물의 출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꼭지레버(5)가 올려진 상태에서 좌 또는 우로 돌리게 되면, 디버터(40)의 제3유입전환홀(45)이 상기 좌·우대응입공(33, 34)의 원주상에서 이동하 게 되어 냉수나 온수의 선택과 냉수나 온수의 혼합 그리고 그 혼합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의 (c)에서와 같이, 꼭지레버(5)를 정점까지 더 올려 디버터(40)가 이동하게 되면, 제3유입전환홀(45)이 상기 좌·우대응유입공(33, 34)과 연통되고, 상기 출수전환홀(41)은 내출수공(21)과 연통됨으로써, 유입된 물의 출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도 상기 도 9의 (b)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꼭지레버(5)를 좌 또는 우로 작동하게 되면, 냉수나 온수의 선택과 냉수나 온수의 혼합 그리고 그 혼합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의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를 나타낸 전체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의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에서 베이스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저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의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에서 지지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 및 A-A'선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의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에서 디버터를 나타낸 평면도 및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의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a), (b), (c)에 따라 디버터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를 나타낸 전체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에서 디버터를 나타낸 평면도 및 D-D'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에서 디버터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장착공간부
20 : 베이스플레이트
21 : 내출수공 22 : 외출수공
23 : 좌유입공 24 : 우유입공
30 : 지지플레이트
31 : 내대응출수공 32 : 외대응출수공
33 : 좌대응유입공 34 : 우대응유입공
40 : 디버터
41 : 출수전환홀 42 : 제1유입전환홀
43 : 제2유입전환홀 44 : 유통로
45 : 제3유입전환홀
50 : 레버장착체
60 : 전달레버
70 : 하우징
71, 72 : 제1,2경계부
80 : 커버
81 : 통과홀

Claims (9)

  1. 장착공간부(11), 상기 장착공간부(11)와 연통되면서 구획된 상·하출수구(12, 13), 그리고 상기 장착공간부(11)와 연통되면서 구획된 냉·온수유입구(14, 15)를 포함하는 본체(10) 및, 꼭지레버(5)와 연결되고 상기 장착공간부(11)에 배열되는 카트리지(C)를 포함하는 온냉수혼합꼭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C)는,
    상기 상·하출수구(12, 13)에 각각 연통되는 내·외출수공(21, 22), 그리고
    상기 냉·온수유입구(14, 15)에 각각 연통되는 좌·우유입공(23, 24)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간부(11)의 바닥면에 배열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내·외출수공(21, 22)과 좌·우유입공(23, 24)에 각각 대응되는 내·외대응출수공(31, 32)과 좌·우대응유입공(33, 34)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 상면에 접하는 지지플레이트(30);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30) 상면에 접하게 배열되어 상기 꼭지레버(5)의 조작에 따라 냉온수 유입에 대해 개별 또는 혼합 선택하여 이를 상기 상출수구(12) 또는 하출수구(13)로 선택 출수 가능케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외대응출수공(32) 바깥쪽에 접하면서 원주상으로 배열되는 출수전환홀(41),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좌·우대응유입공(33, 34)을 기준으로 안쪽에 접하면서 초승달 형상의 제3유입전환홀(45), 그리고 상기 출수전환홀(41)과 상기 제3유입전환홀(45)을 연결하는 유통로(44)를 갖는 디버터(40)(divert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디버터(40)의 유통로(44)와 밀폐 결합되는 레버장착체(50)와, 상기 레버장착체(50)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꼭지레버(5)와 고정 결합되는 전달레버(60)가 구비되며,
    상기 디버터(40)와 상기 레버장착체(50)를 감싸되, 상기 디버터(4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30) 테두리 안에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감싸는 제1경계부(71)와, 상기 제1경계부(71)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레버장착체(50)와 연결된 전달레버(60) 일부 영역을 감싸되, 상기 전달레버(60)의 이동 반경을 간섭하지 않도록 감싸는 제2경계부(72)로 이루어진 하우징(70)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70)의 상부에 배열되어 상기 전달레버(60)에 대한 통과홀(81)을 가지고, 상기 본체(10)의 장착공간부(11) 상단 내주면에 체결되는 커버(80)가 구비되며,
    상기 디버터(40)의 유통로(44) 상부에 대한 밀폐를 위하여 상기 레버장착체(50)에는 밀폐오링(R1)이 개재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30)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장착공간부(11) 각각 사이에는 밀폐오링(R2)이 개재되되, 각 유입공(23, 24, 33, 34)과 각 출수공(21, 22, 31, 32) 사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각 내·외출수공(21, 22)과 내·외대응출수공(31, 32)은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로 분반하였을 때 하부에 치우쳐 상하로 구획되어 다른 원주상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각 좌·우유입공(23, 24)과 좌·우대응유입공(33, 34)은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로 분반하였을 때 상부에 치우쳐 좌우로 구획되어 동일 원주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의 내·외출수공(21, 22)과 좌·우유입공(23, 24)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공간부가 점점 확장되고,
    상기 디버터(4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 보다 직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어, 상기 꼭지레버(5)의 상하 및 좌우 조작으로 상기 디버터(4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0)와 접한 상태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 온냉수혼합꼭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80065379A 2007-12-27 2008-07-07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온냉수혼합꼭지 KR100880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7759 WO2009091135A2 (en) 2007-12-27 2008-12-29 The bibcock having the cold water and warm water mixture are possi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38112 2007-12-27
KR20070138111 2007-12-27
KR1020070138112 2007-12-27
KR1020070138111 2007-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032B1 true KR100880032B1 (ko) 2009-01-22

Family

ID=404830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379A KR100880032B1 (ko) 2007-12-27 2008-07-07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온냉수혼합꼭지
KR1020080135773A KR20090071507A (ko) 2007-12-27 2008-12-29 온냉수혼합꼭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773A KR20090071507A (ko) 2007-12-27 2008-12-29 온냉수혼합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88003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396B1 (ko) * 2009-06-12 2013-02-27 박상태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디버터 어셈블리
KR101288074B1 (ko) * 2012-09-14 2013-07-22 주식회사 신한세라믹 에너지 절감형 수도밸브 카트리지
KR101401553B1 (ko) 2013-11-26 2014-05-29 주식회사 이엘엔터프라이즈 급수전의 카트리지용 그리스 도포장치
CN109812600A (zh) * 2019-02-21 2019-05-28 百路达(厦门)工业有限公司 水龙头
KR102050254B1 (ko) 2019-06-18 2019-11-29 주식회사 이엘엔터프라이즈 버튼형 혼합수전 카트리지
AU2022200374A1 (en) * 2021-09-25 2023-04-13 Zhejiang Sunmixer Sanitary Ware Co., Ltd. Flow division water outlet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7983A (ja) * 1986-01-18 1987-07-24 Yanmaa Sangyo Kk シングルレバ−式切換弁付デイスク形混合栓
JPH10160011A (ja) * 1996-11-21 1998-06-16 Friedrich Grohe Ag 単一ハンドル型湯水混合弁
KR200346807Y1 (ko) 2003-12-26 2004-04-06 진정홍 원터치 레버식 냉온수 분배기
JP2006017294A (ja) 2004-05-31 2006-01-19 Mym Corp 水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7983A (ja) * 1986-01-18 1987-07-24 Yanmaa Sangyo Kk シングルレバ−式切換弁付デイスク形混合栓
JPH10160011A (ja) * 1996-11-21 1998-06-16 Friedrich Grohe Ag 単一ハンドル型湯水混合弁
KR200346807Y1 (ko) 2003-12-26 2004-04-06 진정홍 원터치 레버식 냉온수 분배기
JP2006017294A (ja) 2004-05-31 2006-01-19 Mym Corp 水栓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396B1 (ko) * 2009-06-12 2013-02-27 박상태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디버터 어셈블리
KR101288074B1 (ko) * 2012-09-14 2013-07-22 주식회사 신한세라믹 에너지 절감형 수도밸브 카트리지
WO2014042403A1 (ko) * 2012-09-14 2014-03-20 주식회사 신한세라믹 에너지 절감형 수도밸브 카트리지
KR101401553B1 (ko) 2013-11-26 2014-05-29 주식회사 이엘엔터프라이즈 급수전의 카트리지용 그리스 도포장치
CN109812600A (zh) * 2019-02-21 2019-05-28 百路达(厦门)工业有限公司 水龙头
KR102050254B1 (ko) 2019-06-18 2019-11-29 주식회사 이엘엔터프라이즈 버튼형 혼합수전 카트리지
AU2022200374A1 (en) * 2021-09-25 2023-04-13 Zhejiang Sunmixer Sanitary Ware Co., Ltd. Flow division water outlet device
AU2022200374B2 (en) * 2021-09-25 2024-02-08 Zhejiang Sunmixer Sanitary Ware Co., Ltd. Flow division water outle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507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032B1 (ko)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온냉수혼합꼭지
US5896601A (en) Single-control mixing valve
EP1554437B1 (en) A pillar sink mixer with hand spray
CN103234064A (zh) 一种感温出水装置
WO2009091135A2 (en) The bibcock having the cold water and warm water mixture are possible
US6047722A (en) Plurality of sanitary mixer fittings
CN211288862U (zh) 一种淋浴龙头结构
CN207921392U (zh) 水龙头阀芯及净化水和原水双水路水龙头
CN111306326A (zh) 与恒温阀芯配套使用的集成阀芯
CN202125637U (zh) 龙头阀芯陶瓷片结构
CN103672036B (zh) 水温选择开关阀及其工作方法
US5875808A (en) Burnproof device of triple/double switch combination faucet
EP2459909B1 (en) Fluid delivery system
CN209876028U (zh) 一种过滤水切换龙头
US11073229B2 (en) Water valve
CN210920207U (zh) 一种水路滑动切换机构
CN209977344U (zh) 一种花洒龙头
CN209654670U (zh) 一种按键恒温淋浴龙头
CN221075363U (zh) 一种改进的花洒龙头
KR101806968B1 (ko) 수도꼭지
CN210830598U (zh) 一种淋浴龙头的阀结构
KR20090001771U (ko) 3방밸브를 구비한 수전금구
CN210123025U (zh) 一种水路组件
CN221547835U (zh) 一种复合功能阀芯及出水装置
CN2401750Y (zh) 设有防烫装置的冷热水混合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0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7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7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