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7396B1 -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디버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디버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396B1
KR101237396B1 KR1020090063731A KR20090063731A KR101237396B1 KR 101237396 B1 KR101237396 B1 KR 101237396B1 KR 1020090063731 A KR1020090063731 A KR 1020090063731A KR 20090063731 A KR20090063731 A KR 20090063731A KR 101237396 B1 KR101237396 B1 KR 101237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diverter
hole
inlet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3866A (ko
Inventor
박상태
Original Assignee
박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태 filed Critical 박상태
Publication of KR20100133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39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and linearly movable closur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디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온냉수 혼합/개별 입수 및 출수를 위한 디버터에서 입출수부의 수로와, 제2입수공과 제3출수공을 잇는 수로(연결로)를 상호 구획 분리하여 두 코크로의 정확한 출수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코크로 출수 중인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코크로 적게나마 미량의 물이 출수되는 것을 방지하며, 조작레버 조작시 각 코크로의 출수를 차단하게 되는 위치에 디버터를 멈추게 유도하여 사용 편리성을 증진시킨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디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 하는 디버터 어셈블리는, 후방 제1입수공, 중앙 제1출수공, 전방 제2출수공이 각각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및 후방 제2입수공, 중앙 입출수부, 상기 제2입수공과 연통된 전방 제3출수공이 각각 형성된 디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디버터의 변위에 따라 제1코크로의 출수시에는 제1입수공-입출수부-제1출수공을 잇는 수로가 형성되고, 제2코크로의 출수시에는 제1입수공-제2입수공-제3출수공-제2출수공을 잇는 수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도꼭지, 수도콕, 혼합꼭지, 디버터, 코크

Description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디버터 어셈블리{DIVERTER ASSEMBLY FOR BI-FAUCET}
본 발명은 온냉수 혼합/개별 입수 및 출수를 위한 디버터에서 입출수부의 수로와, 제2입수공과 제3출수공을 잇는 수로를 상호 구획 분리하여 두 코크로의 정확한 출수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코크로 출수 중인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코크로 적게나마 미량의 물이 출수되는 것을 방지하며,
조작레버 조작시 각 코크로의 출수를 차단하게 되는 위치에 디버터를 멈추게 유도하여 사용 편리성을 증진시킨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 하는 디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수도꼭지로는,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8-063736호 (1998.11.25, 공개, 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 "급수전의 냉/온수 혼합 카트리지용 디스크 구조"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 1은 한 쌍의 온냉수 유입공과 하나의 출수로와 하나의 출수구 를 형성하고, 카트리지의 하부 고정판에도 냉수 유입공과 온수 유입공 및 출수공을 각각 하나씩 형성하며, 디스크에도 냉수 유입공과 온수 유입공 및 출수공을 각각 하나씩 형성하고, 주위에 장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져, 상기 장홈에 그리스를 넣어 조작에 따른 구동시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고,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091237호 (2005.09.15, 공개, 이하 '선행기술 2'이라 함) "수도콕"이 제시되어 있는 바,
상기 선행기술 2는 하나의 유입공에 한 쌍의 출수로를 형성하여, 하나의 분기로를 선택하거나 한 쌍의 출수로를 선택하여 출수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사용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한 쌍의 온냉수 유입공과 하나의 출수로를 형성하고, 한 쌍의 출수구를 사용하기 위해, 출수구 사이에 수로선택밸브를 장착시켜 출수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선행기술 1 및 2는 각각을 이루고 있는 부품들의 조립이 어렵고, 특히 유입이나 출수를 위한 구멍이 정위치에 맞게 각 부품들이 조립되어야 하나, 별도의 가이드가 없어 잘못된 조립이 이루어져도 별도의 검수 공정을 거치지 않고서는 불량 제품을 파악하기 어렵고, 이러한 별도의 검수 공정을 거치지 않을 경우 제품의 불량률이 높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출수를 원하지 않는 경우(사용이 끝나고 물을 잠그기 위한 경 우) 각 유입공과 출수공의 수로를 차단하게 되는 조작레버의 조작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수로 차단에 맞게 조작레버를 위치시키지 못하고 즉, 수로를 차단하는 위치에 조작레버를 위치시켰다고 사용자는 인식하나 수로가 미흡하게나마 연결된 상태인 경우, 간헐적 또는 지속적으로 수로를 통해 물이 새게 되는 크나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디버터나 이의 상하에 접하게 배열된 플레이트는 제조상에 있어 각 유입공과 출수공 간의 미세한 간격이나 크기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특히 두 코크로의 출수 전환을 위한 출수공이 하나의 수로를 공유하는 형태인 경우 제조상의 오차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코크로 미량의 물이 출수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온냉수 혼합/개별 입수 및 출수를 위한 디버터에서 입출수부의 수로와, 제2입수공과 제3출수공을 잇는 수로를 상호 구획 분리하여 두 코크로의 정확한 출수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코크로 출수 중인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코크로 적게나마 미량의 물이 출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 하는 디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조작레버 조작시 각 코크로의 출수를 차단하게 되는 위치에 디버터를 멈추게 유도하여 사용 편리성을 증진시킨 디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 하는 디버터 어셈블리는,
중앙에 위치하는 제1출수공과, 상기 제1출수공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입수공과, 그리고 상기 제1출수공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출수공이 각각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및
중앙에 위치하는 입출수부와, 상기 입출수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입수공과, 그리고 상기 입출수부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제2입수공과 연통된 제3출수공이 각각 형성된 디버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디버터의 변위에 따라
제1코크로의 출수시에는 제1입수공-입출수부-제1출수공을 잇는 수로가 형성되고,
제2코크로의 출수시에는 제1입수공-제2입수공-제3출수공-제2출수공을 잇는 수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버터의 입출수부는 개구된 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버터의 제2입수공과 제3출수공의 연통을 위한 연결로는 개구된 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디버터의 제2입수공과 제3출수공을 잇는 수로의 밀폐를 위한 중계체가 구비되고,
상기 중계체에 연결되는 조작레버가 힌지 결합된 레버장착체가 구비되며,
상기 중계체와 상기 레버장착체에는 상기 조작레버 조작시 제1 및 제2 코크 모두의 출수를 차단하기 위한 위치에 상기 디버터를 멈추게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제1입수공은 온수공과 냉수공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디버터 어셈블리는,
온냉수 혼합/개별 입수 및 출수를 위한 디버터에서 입출수부의 수로와, 제2입수공과 제3출수공을 잇는 수로를 상호 구획 분리하여 두 코크로의 정확한 출수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코크로 출수 중인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코크로 적게나마 미량의 물이 출수되는 것을 방지하며, 두 코크를 위한 출수 수로를 공유하는 종래의 디버터 어셈블리에 비해 디버터와 이의 상하에 접하게 배열된 플레이트의 각 유입 및 출수 구멍을 정밀하게 가공하지 않아도 되어 보다 생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조작레버 조작시 각 코크로의 출수를 차단하게 되는 위치에 디버터를 멈추게 유도하여 사용성이 증진되고, 불필요한 물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형태의 레버 조작식 수도꼭지를 이루는 각 부품의 상호 조립이 간편함은 물론, 조립시 각 부품을 정위치에 맞게 조립할 수 있어 제품의 불량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버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지지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디버터에 대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중계체에 대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레버장착체에 대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7은 중계체와 레버장착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버터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일 예로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버터 어셈블리가 오픈형 수전함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도 1에서 디버터를 기준으로 제2입수공(31) 측을 후방이라 정하고, 그 반대편인 제3출수공(33) 측을 전방이라 정하며, 제2입수공(31)과 제3출수공(33) 사이의 중심에 해당하는 입출수부(32) 측을 중앙이라 정한다.
이러한 방향성은 디버터에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플레이트를 비롯하여 모든 구성에 적용된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20)에서도 지지플레이트의 중심 부분에 위치한 제1출수공(21)부분이 지지플레이트의 중앙이 되는 것이고, 제1입수공(23)은 제1출수공의 후방에 위치되었다 하고, 제2출수공은 제1출수공의 전방에 위치되었다고 명하게 된다.
또 도 1을 기준으로 레버장착체(50) 측을 상부 또는 상방이라 정하고, 베이스플레이트(10)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정한다.
그리고 도 1의 우측 상부 원형 쇄선은 레버장착체(50)의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의 우측 중앙 원형 쇄선은 중계체(40)의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의 우측 하부 원형 쇄선은 디버터(30)의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디버터 어셈블리는,
지지플레이트(20) 및 디버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디버터(30)의 조작을 위한 중계체(40) 및 레버장착체(50)를 더 포함하고,
제1 및 제2 코크(1, 2)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하부에 접하게 배열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성들을 위한 바디(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구성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중심에 배열된 내(內)출수공(11),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로 분반(分半)하였을 때 전방에 치우쳐 배열된 호(弧) 형상의 외(外)출수공(12), 그리고
후방에 치우치고 상기 외출수공(12)과 동일 원주 상에 배열되면서 좌우로 구획된 좌 및 우 유입공(13, 1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 및 외 출수공(11, 12)과 좌 및 우 유입공(13, 14)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공간부가 점점 확장되어 입수와 출수의 수압을 변위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면에 접하게 배열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내 및 외 출수공(11, 12) 각각에 대응되는 중앙 제1출수공(21) 및 전방 제2출수공(22),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좌 및 우 유입공(13, 14) 각각에 대응되는 온수공(23a) 및 냉수공(23b)으로 분할된 제1입수공(2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디버터(diverter : 3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0) 상면에 접하게 배열되는 것으로,
후방 제2입수공(31), 중앙 입출수부(32), 상기 제2입수공(31)과 연통된 전방 제3출수공(33)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입수공(31)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제1입수공(23) 후방 측에 접하게 배열되고,
또 상기 입출수부(32)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제1출수공(21)에 대응되게 배열되며,
또 상기 제3출수공(33)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제1출수공(21)과 제2출수공(22) 사이에 접하게 배열된다.
이때 상기 디버터(30)의 변위에 따라
제1코크(1)로의 출수시에는 제1입수공(23)-입출수부(32)-제1출수공(21)을 잇는 수로(W1)가 형성되고,
제2코크(2)로의 출수시에는 제1입수공(23)-제2입수공(31)-제3출수공(33)-제2출수공(22)을 잇는 수로(W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버터(30)의 입출수부(32)는 개구된 홈 형상이고,
또 상기 디버터(30)의 제2입수공(31)과 제3출수공(33)의 연통을 위한 연결 로(34)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로(34)는 개구된 홈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디버터(30)의 입출수부(32)와 상기 연결로(34)는 상호 구획 분리된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내출수공(11)과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제1출수공(21)은 직경이 다른 2개의 원형홀 중 직경이 큰 원형홀이 후방에 위치하고 직경이 작은 원형홀이 전방에 위치하되, 상호 겹친 형태로 관통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 디버터(30)의 입출수부(32)는 상기 내출수공(11) 및 제1출수공(21)과 상응한 형태로 개구된 홈 형상의 구조를 이룬다.
상기 중계체(40)는
상기 디버터(30)의 제2입수공(31)과 제3출수공(33)을 잇는 수로의 밀폐를 위하여 상기 디버터(30)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 중심에 후술할 조작레버(L) 단부가 삽입되는 끼움부(4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장착체(50)는
상기 중계체(40)에 연결되는 조작레버(L)가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장착바디(51), 그리고
상기 장착바디(51) 상부에 배열되고 중심에 관통공(521) 및 외주면에 힌지공(522)을 갖는 원통체(5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작레버(L)에 형성된 대응힌지공(미도시)과 상기 힌지공(522)에 힌지(H)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힌지(H)를 축으로 하여 전후 선회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바디(60)는
상기 레버장착체(50)의 조작레버(L)가 노출되게 상기 지지플레이트(20)와 상기 디버터(30)와 상기 중계체(40)와 상기 레버장착체(50)를 감싸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20), 상기 디버터(30), 상기 중계체(40) 및 상기 레버장착체(50)를 감싸도록 내부 수용부(613)를 갖는 하부바디(61), 그리고
상기 하부바디(61)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조작레버(L)가 끼워지는 중공(621)을 갖는 상부바디(6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바디(62)의 중공(621)에는 상기 레버장착체(50)의 원통체(52)가 끼워지게 되고, 상기 원통체(52)에 힌지 결합된 조작레버(L)는 상기 중공(621) 상부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상부에 두 후크부(16)와, 두 결합가이드(17A, 17B)가 구비되는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상부 가장자리에 돌출된 두 지지편(15)이 형성되고,
상기 두 지지편(15) 외측면 각각에 상기 후크부(16)가 배열되며,
또 상기 두 지지편(15) 내측면 각각에 상기 결합가이드(17A, 17B)가 배열된다.
도 2의 (가)를 참조하면, 상기 하나의 결합가이드(17A)의 크기는 D1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결합가이드(17B)의 크기는 D2일 때, 상기 D1이 상기 D2 보다 크기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플레이트(20)는 측부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두 결합가이드(17A, 17B)와 상응한 두 결합부(25A, 25B)가 구비되는데,
상기 두 결합부(25A, 25B)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측부에 요입된 홈이고,
상기 하나의 결합가이드(17A)의 D1과 상기 하나의 결합부(25A)의 D3은 상응한 크기를 갖으며,
또 상기 다른 하나의 결합가이드(17B)의 D2와 상기 다른 하나의 결합부(25B)의 D4는 상응한 크기를 갖는다.
결국,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부에 상기 지지플레이트(20)를 배열시 정 위치에 맞게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상부 가장자리에 돌출된 안내부(18)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18)는 후술할 바디(60)의 대응안내부(612)와 상호 결합된다.
한편, 상기 중계체(40)는 하부에 두 연결가이드(43A, 43B)와, 상부에 두 삽입가이드(42A, 42B)와, 상부 중심에 상기 조작레버(L) 단부 끼움부(41)가 구비되는데,
도 5의 (가) 및 (나)를 참조하면, 상기 하나의 삽입가이드(42A, 42B)의 크기는 D7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삽입가이드(42B)의 크기는 D8일 때, 상기 D7이 상기 D8 보다 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하나의 연결가이드(43A, 43B)의 크기는 D9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연결가이드(43B)의 크기는 D10일 때, 상기 D9가 상기 D10 보다 크기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디버터(30)는 상부에 상기 중계체(40)의 두 연결가이드(43A, 43B)와 상응한 두 연결부(35A, 35B)가 구비되는데,
상기 두 연결부(35A, 35B)는 상기 디버터(30) 상부에서 하부로 요입된 홈이고,
상기 하나의 연결가이드(43A)의 D9와 상기 하나의 연결부(35A)의 D5는 상응한 크기를 갖으며,
또 상기 다른 하나의 연결가이드(43B)의 D10과 상기 다른 하나의 결합부(35B)의 D6은 상응한 크기를 갖는다.
결국, 상기 디버터(30) 상부에 상기 중계체(40)를 배열시 정위치에 맞게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장착체(50)는 하부에 상기 중계체(40)의 두 삽입가이드(42A, 42B)와 상응한 두 삽입부(53A, 53B)와, 측부에 두 돌출부(54)가 구비되는데,
도 6의 (가) 및 (나)를 참조하면, 상기 하나의 삽입부(53A)의 D11은 상기 하나의 삽입가이드(42A)와 상응한 크기를 갖으며,
또 상기 다른 하나의 삽입부(53B)의 D12는 상기 다른 하나의 삽입가이드(42B)와 상응한 크기를 갖는다.
결국, 상기 중계체(40) 상부에 상기 레버장착체(50)를 배열시 정위치에 맞게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60)는 상기 레버장착체(50)의 두 돌출부(54)와 접하여 상기 레버장착체(50)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두 대응돌출부(614)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두 후크부(16)와 결합되는 두 걸림부(611) 가 구비된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각 유입공 및 각 출수공을 감싸는 형태로 상부 및 하부 각각에 밀폐오링(P2, P1)의 삽입을 위한 오링삽입홈(P21, P11)이 형성되고,
또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중계체(40)의 하부에 상기 디버터(30)의 연결로(34)를 감싸는 형태로 밀폐오링(P3)의 삽입을 위한 오링삽입홈(P3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버터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두 결합가이드(17A, 17B) 또는 상기 중계체(40)의 두 연결가이드(43A, 43B) 또는 상기 중계체(40)의 두 삽입가이드(42A, 42B), 또는 이들 모두는 짝을 이루는 각각이 다른 크기 또는 다른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짝을 이루는 각각의 형상을 달리하여 각 부품의 정위치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디버터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두 결합가이드(17A, 17B) 또는 상기 중계체(40) 의 두 연결가이드(43A, 43B) 또는 상기 중계체(40)의 두 삽입가이드(42A, 42B), 또는 이들 모두는 각각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로 분반(分半)하였을 때 상부 또는 하부에 치우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두 결합가이드(17A, 17B)가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에 치우쳐 배열되어 있고,
또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두 결합부(25A, 25B) 또한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에 치우쳐 배열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상호 결합시 각 유입공과 각 출수공의 위치가 서로 뒤바뀌지 않도록 정위치에 맞게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버터 어셈블리는,
상기 중계체(40)와 상기 레버장착체(50)에는 상기 조작레버(L) 조작시 제1 및 제2 코크(1, 2) 모두의 출수를 차단하기 위한 위치에 상기 디버터(30)를 멈추게 하는 스토퍼(S)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토퍼(S)는
상기 중계체(40)의 끼움부(41) 외측벽에 형성된 정지홈(S1),
상기 레버장착체(50) 하부에 형성된 설치공간부(S2), 그리고
출몰체(S3-1)와 상기 출몰체(S3-1)를 지지하는 탄성체(S3-2), 상기 탄성체(S3-2)와 상기 출몰체(S3-1)가 수납되되, 상기 출몰체(S3-1) 단부가 노출되게 수 납되는 수용체(S3-3)를 포함하는 걸림출몰부(S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조작레버(L)가 전후로 조작된 상태에서 조작레버(L)를 중앙에 위치시킬 때에 상기 걸림출몰부(S3)의 출몰체(S3-1)가 상기 중계체(40)의 정지홈(S1)에 탄성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결국, 상기 중계체(40)의 끼움부(41)에 결합된 조작레버(L)가 중앙 위치에 오게 되면, 상기 중계체(40)와 결합된 하부의 디버터(3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0)와 상기 디버터(30)의 수로가 차단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버터 어셈블리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형 수전함(70)에 설치되는데,
상기 오픈형 수전함(70)은 냉온수가 담겨지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좌 및 우 유입공(13, 14)과 연결되는 입수부(7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내 및 외 출수공(11, 12)에 각각 연결되는 제1코크 및 제2코크(1, 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픈형 수전함과 본 발명의 디버터 어셈블리의 설치 부위에 대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오링(74)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입수부(71)의 냉온수가 상기 디버터(30)의 동작에 따라 각 플레이트와 디버터의 수로를 거쳐 최종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코크(1, 2)로 선택 배출 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A)는 지지플레이트(20) 상면에 배열된 디버터(30)의 결합 관계 및 이의 수로 구조를 단면 형태로 도시한 것이고,
도 9의 (B)는 도 9의 (A)에서 (가) 내지 (다) 각각에 대한 레버(L)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의 (A)에서 (가)와, (B)에서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레버(L)가 중앙(lever position center)에 위치한 상태(즉 조작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디버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대략 50°)-각도 0인 상태-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대략 50°)]에서는 지지플레이트(20)와 디버터(30) 간의 수로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냉온수의 유입과 출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도 9의 (A)에서 (나)와, (B)에서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레버(L)를 내려(lever position down) 디버터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디버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대략 50°) 경우에는 지지플레이트(20)와 디버터(30) 간의 수로(W1)[온수공(23a)-입출수부(32)-제1출수공(21)]를 따라 온수가 유입, 출수 되고,
조작레버(L)를 내린 상태에서 디버터의 각도가 0인 경우에는 수로(W1)[온수공 및 냉수공(23a, 23b)-입출수부(32)-제1출수공(21)]를 따라 혼합된 냉온수가 유입, 출수 되며,
조작레버(L)를 내린 상태에서 디버터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대략 50°) 경우에는 수로(W1)[냉수공(23b)-입출수부(32)-제1출수공(21)]를 따라 냉수가 유입, 출수 된다. 결국, 조작레버(L)를 내린 상태에서 디버터의 각도에 상관없이 내측에 위치한 출수공(즉 제1출수공)으로 출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9의 (A)에서 (다)와, (B)에서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레버(L)를 올려(lever position up) 디버터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디버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대략 50°) 경우에는 지지플레이트(20)와 디버터(30) 간의 수로(W2)[온수공(23a)-제2입수공(31)-제3출수공(33)-제2출수공(22)]를 따라 온수가 유입, 출수 되고,
조작레버(L)를 올린 상태에서 디버터의 각도가 0인 경우에는 수로(W2)[온수공 및 냉수공(23a, 23b)-제2입수공(31)-제3출수공(33)-제2출수공(22)]를 따라 혼합된 냉온수가 유입, 출수 되며,
조작레버(L)를 올린 상태에서 디버터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대략 50°) 경우에는 수로(W2)[냉수공(23b)-제2입수공(31)-제3출수공(33)-제2출수공(22)]를 따라 냉수가 유입, 출수 된다. 결국, 조작레버(L)를 올린 상태에서 디버터의 각도에 상관없이 외측에 위치한 출수공(즉 제2출수공)으로 출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최종적으로, 도 9의 (가) 내지 (다)의 조작 형태에 의해서 온냉수 혼합/개별 입수 및 출수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디버터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버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 및 저면도,
도 3은 도 1의 지지플레이트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디버터에 대한 평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도 1의 중계체에 대한 평면도 및 저면도,
도 6은 도 1의 레버장착체에 대한 평면도 및 저면도,
도 7은 중계체와 레버장착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1의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버터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일 예로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버터 어셈블리가 오픈형 수전함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H : 힌지
L : 조작레버
P1, P2, P3 : 밀폐오링
P11, P21, P31 : 오링삽입홈
10 : 베이스플레이트
11 : 내출수공 12 : 외출수공
13 : 좌유입공 14 : 우유입공
15 : 지지편 16 : 후크부
17A, 17B : 결합가이드 18 : 안내부
20 : 지지플레이트
21 : 제1출수공 22 : 제2출수공
23 : 제1입수공 23a : 온수공
23b : 냉수공 25A, 25B : 결합부
30 : 디버터
31 : 제2입수공 32 : 입출수부
33 : 제3출수공 34 : 연결로
35A, 35B : 연결부
40 : 중계체
41 : 끼움부 42A, 42B : 삽입가이드
43A, 43B : 연결가이드
50 : 레버장착체
51 : 장착바디
52 : 원통체
521 : 관통공 522 : 힌지공
53A, 53B : 삽입부
54 : 돌출부
60 : 바디
61 : 하부바디
611 : 걸림부 612 : 대응안내부
613 : 수용부 614 : 대응돌출부
62 : 상부바디
621 : 중공
70 : 오픈형 수전함
71 : 입수부 74 : 밀폐오링
S : 스토퍼
S1 : 정지홈 S2 : 설치공간부
S3 : 걸림출몰부 S3-1 : 출몰체
S3-2 : 탄성체 S3-3 : 수용체

Claims (4)

  1. 중앙에 위치하는 제1출수공과, 상기 제1출수공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입수공과, 그리고 상기 제1출수공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출수공이 각각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중앙에 위치하는 입출수부와, 상기 입출수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입수공과, 그리고 상기 입출수부의 전방에 위치하면서 제2입수공과 연통된 제3출수공이 각각 형성된 디버터; 및
    중앙에 위치하는 내출수공과, 상기 내출수공의 전방에 위치하는 외출수공과, 그리고 상기 내출수공의 후방 위치에서 외출수공과 동일 원주상에 배열되면서 좌우로 구획된 좌 및 우 유입공이 각각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수전함에 장착되는 디버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내출수공은 수전함의 제1코크와 연결되고, 베이스플레이트의 외출수공은 수전함의 제2코크와 연결되어,
    상기 디버터의 변위에 따라
    제1코크로의 출수시에는 제1입수공-입출수부-제1출수공을 잇는 수로가 형성되고,
    제2코크로의 출수시에는 제1입수공-제2입수공-제3출수공-제2출수공을 잇는 수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디버터의 제2입수공과 제3출수공을 잇는 수로의 밀폐를 위한 중계체가 구비되고,
    상기 중계체에 연결되는 조작레버가 힌지 결합된 레버장착체가 구비되며,
    상기 중계체와 상기 레버장착체에는 상기 조작레버 조작시 상기 제1 및 제2 코크 모두의 출수를 차단하기 위한 위치에 상기 디버터를 멈추게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제1입수공은 온수공과 냉수공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디버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버터의 입출수부는 개구된 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디버터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버터의 제2입수공과 제3출수공의 연통을 위한 연결로는 개구된 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디버터 어셈블리.
  4. 삭제
KR1020090063731A 2009-06-12 2009-07-13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디버터 어셈블리 Active KR101237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52388 2009-06-12
KR1020090052388 2009-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866A KR20100133866A (ko) 2010-12-22
KR101237396B1 true KR101237396B1 (ko) 2013-02-27

Family

ID=4350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731A Active KR101237396B1 (ko) 2009-06-12 2009-07-13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디버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824B1 (ko) * 2011-10-18 2012-03-21 주식회사 워터웍스 유진 수전금구 카트리지
EP3376082B1 (de) * 2017-03-14 2022-09-21 Grundfos Holding A/S Ventileinrichtung
CN114857308B (zh) * 2021-02-05 2025-04-01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机械感应双控出水装置及龙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3858A (ja) 2000-01-04 2001-07-17 Ntn Corp 弁装置
KR200359117Y1 (ko) * 2004-06-01 2004-08-16 장우혁 두 개의 유출구가 형성된 급수전
KR100880032B1 (ko) * 2007-12-27 2009-01-22 박상태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온냉수혼합꼭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3858A (ja) 2000-01-04 2001-07-17 Ntn Corp 弁装置
KR200359117Y1 (ko) * 2004-06-01 2004-08-16 장우혁 두 개의 유출구가 형성된 급수전
KR100880032B1 (ko) * 2007-12-27 2009-01-22 박상태 냉온수 혼합 및 출수로 선택이 가능한 카트리지가 구비된온냉수혼합꼭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866A (ko)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6637B2 (en) Testing cap for a valve body
US10745894B2 (en) Universal embedded system for sanitary faucet components
US10975983B2 (en) Wireform clip for use with supply valves
KR101237396B1 (ko) 출수로의 선택을 가능케하는 디버터 어셈블리
JP4902610B2 (ja) 止水栓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給水設備
KR102507948B1 (ko) 유로전환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JPH11131538A (ja) 量水器の支持装置
CN108797706B (zh) 用于引导、处理和/或测量流体的装置
US10612689B2 (en) Manifold for dispensing units
KR20150002961U (ko) 정수 필터용 커넥터
KR20100011548U (ko) 조립성이 개선된 수도꼭지 어셈블리
CN203847738U (zh) 一种上封水侧出水阀芯
US7836913B1 (en) Universal cartridge for a mixer faucet
KR101686166B1 (ko) 수전금구
CN110735948A (zh) 开放式进水二进二出切换阀芯
JP3819411B2 (ja) 量水器の支持装置
ES2767370T3 (es) Grifería sanitaria
KR102179546B1 (ko) 수전장치용 어댑터 및 이를 적용한 개폐 카트리지 유닛
KR101112616B1 (ko) 혼합수전의 구조
JP2023022570A (ja) シャワー式軟水器
JP7115736B2 (ja) 継手部材
TWI617756B (zh) Precision ceramic control valve seat
JP2005133451A (ja) 分岐口付水栓
JP4235764B2 (ja) 混合水栓用分岐継手
JPS63294985A (ja) カ−トリッジ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