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276B1 - 도로용 강관유닛 - Google Patents
도로용 강관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5276B1 KR100875276B1 KR1020080033743A KR20080033743A KR100875276B1 KR 100875276 B1 KR100875276 B1 KR 100875276B1 KR 1020080033743 A KR1020080033743 A KR 1020080033743A KR 20080033743 A KR20080033743 A KR 20080033743A KR 100875276 B1 KR100875276 B1 KR 1008752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pipe
- foundation
- bolt
- fasten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237 Aegopodium podagrar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5410 Aegopodium podagr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429 Angelica sylv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84—Means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the post or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특히, 틸팅수단이 기초파이프의 사방에 형성되는 볼트공 및 이 볼트공에 체결되어 강관의 내주면을 사방에서 지지하는 볼트로 구성되므로 강관을 기초파이프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관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볼트공에 체결된 볼트의 체결상태를 조절하면서 강관의 수직도를 보정하므로 강관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일직선으로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전술한 점검구(IS)는 작업자가 강관(60) 내부에 설치된 안정기(미도시)나 차단기(미도시) 등을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점검구(IS)는 너트(72)의 체결작업에 필요한 충분한 크기로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점검구(IS)로 복스렌치와 같은 체결도구를 삽입하여 너트(72)를 체결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점검구(IS)는 평상시, 커버에 의해 차폐된다.
한편, 전술한 너트(72)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60)의 점검구를 통해 삽입된 복스렌치(BL)와 같은 체결도구에 의해 볼트(70)에 체결된다.
한편, 복수개의 볼트(70)는 도시된 바와 같은 강관(60)의 기울어진 각도(β)에 의해 강관(60)이 파선과 같이 기울어질 경우, 강관(60)의 기울어진 반대편에 위치한 볼트(70 : 도면상 파선으로 도시)가 반대편의 볼트(70) 보다 기초파이프(52)의 외측으로 더 돌출된다. 따라서, 기울어진 강관(60)은 기울어진 내측면이 볼트(70)의 단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일직선으로 세워진다. 즉, 기울어진 강관(60)은 볼트(70)에 지지되어 수직도가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보정된다. 이때, 볼트(70)는 강관(60)의 기울기에 따라 단부의 돌출길이가 조절된다. 즉, 볼트(70)는 강관(60)의 기울기에 의해 체결상태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강관(60)의 수직도를 보정하는 볼트(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지지판(70a)이 용접이나 볼팅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7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60)의 내주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볼트(70)는 지지판(70a)의 지지면적으로 인하여 강관(60)의 내주면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Claims (5)
- 도로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강관유닛에 있어서,상부로 기초파이프(52)가 돌출되고, 이 기초파이프(52)가 지상에 노출된 상태로 지중에 매립되는 콘크리트재 기초대(50);상기 기초대(50)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기초파이프(52)의 외주면으로 하단부가 끼워져서 기립되는 강관(60); 및상기 강관(60)의 하단부를 일직선의 수직상태로 유동시켜서 강관(60)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동시에 강관(60)의 하단부를 내부에서 지지함으로써, 강관(60)의 수직도를 원하는 상태로 조절하는 틸팅수단;을 포함하며,상기 틸팅수단은,상기 기초대(50)의 상부로 돌출되어 지상으로 노출되는 상기 기초파이프(52)의 상부에 테이퍼를 형성한 동시에 복수개의 볼트공(50b)을 원주방향을 따라 사방으로 이격형성하고, 기초파이프(52)의 내측에서 이 볼트공(50b)에 복수개의 볼트(70)를 수평상태로 체결하여, 상기 볼트공(50b)에 체결된 상기 볼트(70)에 의해 상기 강관(60)의 하단부가 상기 기초파이프(52)를 통해 기초대(50)에 고정되는 동시에, 볼트공(50b)에 체결된 볼트(70)의 단부에 의해 강관(60)의 기울어진 내주면이 지지되면서 강관(60)의 설치각도가 수직상태로 보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강관유닛.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기초대(50)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기초파이프(52)의 상단 외주면 및 상기 강관(6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기초파이프(52)에 지지된 상태로 강관(60)의 내주면을 지지하면서 기초파이프(52)의 상단 외주면 및 강관(60)의 내주면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80);를 더 포함하며,상기 스페이서(80)는, 삼각형의 단면형태로 형성되어 일측 모서리부분이 상기 기초파이프(52)의 상단 외주면 및 상기 강관(60)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강관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3743A KR100875276B1 (ko) | 2008-04-11 | 2008-04-11 | 도로용 강관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3743A KR100875276B1 (ko) | 2008-04-11 | 2008-04-11 | 도로용 강관유닛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75276B1 true KR100875276B1 (ko) | 2008-12-23 |
Family
ID=40372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3743A Active KR100875276B1 (ko) | 2008-04-11 | 2008-04-11 | 도로용 강관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5276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5902B1 (ko) * | 2008-06-16 | 2011-02-23 | (주)강산조명 | 가로등지주의 결합구조 |
CN103132538A (zh) * | 2011-11-28 | 2013-06-05 | 中建七局安装工程有限公司 | 斜面基础砂墩垫铁找正找平辅助装置及垫铁安放方法 |
KR101959670B1 (ko) * | 2018-04-24 | 2019-03-18 | 김성길 | 탄성재를 이용한 안전 기둥이 적용된 금속재 울타리 |
KR101996291B1 (ko) * | 2018-12-26 | 2019-07-04 | (주)비에스 | 내진 가로등 등주 |
KR102592016B1 (ko) * | 2022-11-01 | 2023-10-20 | 주식회사디자인랜드 | 조경시설물 철강재 각관 기둥고정을 위한 기초콘크리트 매립 고정브라켓 플레이트 및 그 시공공법 |
KR20240012689A (ko) * | 2022-07-21 | 2024-01-30 |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 교체가 용이한 분리형 가로등주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36824A (ja) | 1987-03-25 | 1988-10-03 | Tetsuto Mizuno | 柱状体の据付構造体 |
JP2001200659A (ja) | 2000-01-21 | 2001-07-27 | Sankyo Alum Ind Co Ltd | 建材の連結角度調整装置 |
-
2008
- 2008-04-11 KR KR1020080033743A patent/KR10087527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36824A (ja) | 1987-03-25 | 1988-10-03 | Tetsuto Mizuno | 柱状体の据付構造体 |
JP2001200659A (ja) | 2000-01-21 | 2001-07-27 | Sankyo Alum Ind Co Ltd | 建材の連結角度調整装置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5902B1 (ko) * | 2008-06-16 | 2011-02-23 | (주)강산조명 | 가로등지주의 결합구조 |
CN103132538A (zh) * | 2011-11-28 | 2013-06-05 | 中建七局安装工程有限公司 | 斜面基础砂墩垫铁找正找平辅助装置及垫铁安放方法 |
CN103132538B (zh) * | 2011-11-28 | 2015-04-08 | 中建七局安装工程有限公司 | 斜面基础砂墩垫铁找正找平辅助装置及垫铁安放方法 |
KR101959670B1 (ko) * | 2018-04-24 | 2019-03-18 | 김성길 | 탄성재를 이용한 안전 기둥이 적용된 금속재 울타리 |
KR101996291B1 (ko) * | 2018-12-26 | 2019-07-04 | (주)비에스 | 내진 가로등 등주 |
KR20240012689A (ko) * | 2022-07-21 | 2024-01-30 |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 교체가 용이한 분리형 가로등주 |
KR102750215B1 (ko) * | 2022-07-21 | 2025-01-03 |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 교체가 용이한 분리형 가로등주 |
KR102592016B1 (ko) * | 2022-11-01 | 2023-10-20 | 주식회사디자인랜드 | 조경시설물 철강재 각관 기둥고정을 위한 기초콘크리트 매립 고정브라켓 플레이트 및 그 시공공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5276B1 (ko) | 도로용 강관유닛 | |
KR101809210B1 (ko) |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 |
KR101077238B1 (ko) | 기둥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106074B1 (ko) | 교통 시설물 설치용 부착대 및 지주장치 | |
US20030041550A1 (en) | Wood fence post repair device | |
KR20160041587A (ko) | 가로보의 설치구조 | |
KR100955424B1 (ko) | 앵커 지주 | |
KR101542013B1 (ko) | 시공이 간편한 회전 접이식 보안등 및 가로등 지주체 | |
KR20110017550A (ko) | 가로등지주의 결합구조 | |
KR101299082B1 (ko) | 각도조절형 펜스 | |
JP5520181B2 (ja) | 支柱の施工方法 | |
KR100759836B1 (ko) | 가로등지주의 연결장치 | |
KR20180120503A (ko) | H-빔을 이용한 방음 터널에서의 빔 결합형 루프 판넬 고정장치 | |
JP4698661B2 (ja) | 支柱立設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 |
KR200425987Y1 (ko) | 어닝의 지주 및 수평지지대 고정구조 | |
KR100619585B1 (ko) | 경계용 표주(標柱) | |
JP3223499B2 (ja) | 柵 体 | |
JP2011208350A (ja) | 防護柵及び防護柵の改修方法 | |
KR101313818B1 (ko) | 휀스용 지주 고정구 | |
US20090064633A1 (en) | Telescopic Post and Bracing System for Bedrock Locations | |
KR101415289B1 (ko) | 점검구 보강장치를 구비한 가로등지주 및 이의 보강방법 | |
KR102030591B1 (ko) | 교통표지판 설치용 지주 | |
KR102761148B1 (ko) | 구조물 고정용 양방향 거리 조절 고정 브라켓 | |
JP2007177559A (ja) | 手摺の取付方法およびその取付構造 | |
KR200381339Y1 (ko) | 경계용 표주(標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4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0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3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