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72765B1 -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765B1
KR100872765B1 KR1020080073337A KR20080073337A KR100872765B1 KR 100872765 B1 KR100872765 B1 KR 100872765B1 KR 1020080073337 A KR1020080073337 A KR 1020080073337A KR 20080073337 A KR20080073337 A KR 20080073337A KR 100872765 B1 KR100872765 B1 KR 100872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ing
ring
pressing
pressure
cast ir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병욱
Original Assignee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3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76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철관을 소켓관에 연결하는 압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소켓관과 주철관 사이를 밀폐하는 고무링과, 상기 고무링을 눌러주는 압륜과, 상기 압륜의 내측 경사부와 주철관에 끼워져 주철관을 잡아주는 스파이크와, 상기 스파이크를 눌러주는 가압링과, 상기 압륜을 소켓관에 체결하는 조인트 볼트와 조인트 너트로 이루어지는 압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볼트의 길이는 압륜만 체결하는 것이 아니고 가압링 까지 체결하도록 그 나사부가 가압링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되게 하고, 상기 조인트 너트는 너트머리의 하부에 가압링을 눌러주는 누름부가 형성되고 누름부 하부에 압륜을 눌러주는 누름부가 형성되어 가압링과 압륜을 같이 눌러주도록 구성하여서 된 특징과, 상기 가압링은 그 외주연에 누름부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요입부가 형성된 다른 특징과, 상기 압륜과 가압링은 그 중간에 스파이크가 개재된 상태에서 볼트에 의해 가 조립되는 또 다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ASSEMBLY OF PRESS WHEEL FOR PIPE-CONNECTING}
본 발명은 주철관을 소켓관에 연결하는 압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스파이크를 눌러주는 가압링과 고무링을 눌러주는 압륜을 조인트 볼트와 조인트 너트만으로 체결할 수 있게 한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철관과 소켓관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를 보면, 도 1과 같이 소켓관(1)에 주철관(2)을 삽입하고 소켓관(1)의 경사부(1a)와 주철관(2) 사이에 고무링(3)을 개재하여 이를 압륜(4)의 내측단(4a)이 누르도록 조인트볼트(5)와 너트(6)로 체결한 다음, 압륜(4)의 내측단(4a)과 주철관(2) 사이에 스파이크(7)를 끼우고 그 상부를 누르도록 가압링(8)을 볼트(9)로 체결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을 보면 압륜(4)을 소켓관(1)에 조인트 볼트(5)와 조인트 너트(6)로 체결하고, 다시 가압링(8)을 압륜(4)에 볼트(9)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어 볼트의 갯수가 많아 조립이 매우 번거롭고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스파이크를 눌러주는 가압링과 고무링을 눌러주는 압륜을 조인트 볼트와 조인트 너트만으로 체결할 수 있게 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킨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켓관과 주철관 사이를 밀폐하는 고무링과, 상기 고무링을 눌러주는 압륜과, 상기 압륜의 내측 경사부와 주철관에 끼워져 주철관을 잡아주는 스파이크와, 상기 스파이크를 눌러주는 가압링과, 상기 압륜을 소켓관에 체결하는 조인트 볼트와 조인트 너트로 이루어지는 압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볼트의 길이는 압륜만 체결하는 것이 아니고 가압링 까지 체결하도록 그 나사부가 가압링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되게 하고, 상기 조인트 너트는 너트머리의 하부에 가압링을 눌러주는 누름부가 형성되고 누름부 하부에 압륜을 눌러주는 누름부가 형성되어 가압링과 압륜을 같이 눌러주도록 구성하여서 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또 상기 가압링이 그 외주연에 누름부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압륜과 가압링은 그 중간에 스파이크가 개재된 상태에서 볼 트에 의해 가 조립되도록 구성된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을 지닌 본 발명은 소켓관에 주철관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조인트 볼트에 조인트 너트를 결합하는 한번의 작업으로 압륜과 가압링이 동시에 체결되므로 조립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진행되며 부품수가 줄어 제품가격이 저렴해지는 것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너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조인트 너트의 단면도이다.
또, 도 4는 가압링의 사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관(10)에 주철관(20)을 연결하는 압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소켓관(10)의 경사부(11)와 주철관(20) 사이를 밀폐하는 고무링(30)과,
상기 고무링(30)을 눌러주는 압륜(40)과,
상기 압륜(40)의 내측 경사부(41)와 주철관(20)에 끼워져 주철관(20)을 잡아주는 스파이크(50)와,
상기 스파이크(50)를 눌러주는 가압링(60)과,
상기 압륜(40)과 가압링(60)을 소켓관(10)에 체결하는 조인트 볼트(70)와 조인트 너트(80)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링(60)의 연부에는 조인트 너트(80)에 의해 눌려지는 접촉면을 넓게 하기 위하여 요입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 볼트(70)는 압륜(40)만 체결하는 것이 아니고 가압링(60) 까지 체결하게 되므로 나사부(71)의 길이가 가압링(60)의 상면보다 충분하게 더 돌출되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 너트(80)는 너트머리(81)의 하부에 가압링(60)의 연부를 눌러주는 누름부(82)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압륜(40)을 눌러주는 누름부(83)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조인트 너트(80)는 하나의 부품으로 가압링(60)과 압륜(40)을 같이 눌러주게 된다.
또 상기 압륜(40)과 스파이크(50)와 가압링(60)은 공장에서부터 어셈블리로 체결되어 납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관로공사 현장에서는 인부들이 압륜 어셈블리를 정확하게 조립하는것이 서툴어 조립순서가 바뀌는 등의 실수가 종종 발생하므로 상기 압륜(40)과 스파이크(50)와 가압링(60)을 가(假) 조립하여 납품하게 되면 작업속도가 빨라지고 조립을 잘 못하는 확률을 줄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압륜과 스파이크와 가압링의 가 조립을 위한 분해사시도와 가 조립상태의 단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도 6, 또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륜(40)에 나사구멍(42)을 형성하고 가압링(60)에는 관통공(62)을 천공한 다음 압륜(40)의 상부에 스파이크(50)를 얹어놓고 그 위에 가압링을 중첩한 다음 볼트(90)로 압륜(40)과 가압링(60)을 체결하여 납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는 조인트 볼트(70)가 4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소켓관의 크기에 따라 3개로부터 시작하여 10개 이상도 사용되고 있으므로 갯수는 의미가 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5와 같은 상태로 조립사용되는 것으로, 조립과정에서 조인트 볼트(70)에 조인트 너트(80)를 결합하는 한번의 작업으로 압륜(40)과 가압링(60)이 동시에 체결되므로 조립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진행되며 부품수가 줄어 제품가격이 저렴해지는 것 등의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조립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너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인트 너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링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압륜과 가압링의 다른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7의 조립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소켓관 20; 주철관 30; 고무링 40; 압륜 42;나사구멍
50; 스파이크 60; 가압링 61; 요입부 62; 관통공
70; 조인트 볼트 71; 나사부 80; 조인트 너트 82; 누름부
83; 누름부

Claims (3)

  1. 소켓관과 주철관 사이를 밀폐하는 고무링(30)과, 고무링(30)을 눌러주는 압륜(40)과, 압륜(40)의 내측 경사부(41)와 주철관(20) 사이에 끼워져 주철관(20)을 잡아주는 스파이크(50)와, 스파이크(50)를 눌러주는 가압링(60)과, 압륜(40)을 소켓관에 체결하는 조인트 볼트와 조인트 너트로 이루어지는 압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볼트(70)와 조인트 너트(80)가 체결되어 조인트 너트(80)의 누름부(82)는 가압링(60)을 가압하고 조인트 너트(80)의 또 다른 누름부(83)는 압륜(40)을 동시에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링(60)은 그 외주연에 누름부(82)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요입부(6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륜(40)과 가압링(60)은 그 중간에 스파이크(50)가 개재된 상태에서 볼트(90)에 의해 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1020080073337A 2008-07-28 2008-07-28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Expired - Fee Related KR100872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337A KR100872765B1 (ko) 2008-07-28 2008-07-28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337A KR100872765B1 (ko) 2008-07-28 2008-07-28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2765B1 true KR100872765B1 (ko) 2008-12-08

Family

ID=4037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3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2765B1 (ko) 2008-07-28 2008-07-28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76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038B1 (ko) 2009-12-04 2010-01-27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CN103062533A (zh) * 2012-12-28 2013-04-24 桃江新兴管件有限责任公司 铸管自锚式接口
KR101460469B1 (ko) * 2014-02-26 2014-11-10 김태원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WO2018001575A1 (en) * 2016-06-30 2018-01-04 Total Sa System to connect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KR20180042875A (ko) * 2016-10-18 2018-04-27 주식회사 수생 내진 설계형 이형관 연결구조
KR101856507B1 (ko) * 2017-10-27 2018-05-10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관 연결구조
KR101910485B1 (ko) 2018-05-24 2018-10-22 임순조 상수도관 연결방법 및 그 연결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1815A (en) 1976-04-07 1977-10-13 Masuyoshi Kiyohara Pipe joint arrangement
US4610471A (en) * 1985-10-29 1986-09-09 Coupling Systems, Inc. Flange adapters
KR200413818Y1 (ko) * 2006-01-19 2006-04-11 허병욱 주철관용 조인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1815A (en) 1976-04-07 1977-10-13 Masuyoshi Kiyohara Pipe joint arrangement
US4610471A (en) * 1985-10-29 1986-09-09 Coupling Systems, Inc. Flange adapters
KR200413818Y1 (ko) * 2006-01-19 2006-04-11 허병욱 주철관용 조인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038B1 (ko) 2009-12-04 2010-01-27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CN103062533A (zh) * 2012-12-28 2013-04-24 桃江新兴管件有限责任公司 铸管自锚式接口
KR101460469B1 (ko) * 2014-02-26 2014-11-10 김태원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WO2018001575A1 (en) * 2016-06-30 2018-01-04 Total Sa System to connect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KR20180042875A (ko) * 2016-10-18 2018-04-27 주식회사 수생 내진 설계형 이형관 연결구조
KR101856507B1 (ko) * 2017-10-27 2018-05-10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관 연결구조
KR101910485B1 (ko) 2018-05-24 2018-10-22 임순조 상수도관 연결방법 및 그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765B1 (ko)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101049449B1 (ko)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KR100908009B1 (ko) 관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101171334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JP6086580B2 (ja) 水道用資機材の結合構造体
IT202000009817A1 (it) Sistema di giunzione integrato per elementi tubolari di distribuzione dei fluidi
KR100914153B1 (ko) 파이프연결압륜 어셈블리
CN202883627U (zh) 一种易于拆装的螺纹联接装置
CN102626909B (zh) 圆管状物体快速夹紧装置,使用方法及其应用
KR20060082483A (ko) 파형강관 연결구
KR101308401B1 (ko) 파이프와 고강도 연결구를 일체로 하는 하수관 연결 조립체
KR19990069482A (ko) 파이프 연결장치
CN111536345A (zh) 一种防漏型铜软管接头
KR100943787B1 (ko) 슬라이드 조임식 파이프 연결 소켓
KR100535577B1 (ko) 배기파이프의 연결 구조
KR20110094866A (ko) 파이프 연결구
KR200413818Y1 (ko) 주철관용 조인트
KR100909878B1 (ko) 파이프연결 어셈블리
JP3135596U (ja) 継手
KR20130006276U (ko) 파이프 피팅 연결장치
JP3027062U (ja) 管継手の締付装置
KR100927165B1 (ko) 관 연결 소켓
KR200296078Y1 (ko)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WO2002046655A1 (en) Pipe joint
KR200396421Y1 (ko) 편심 파이프 이음용 유니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