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67055B1 - 전력 전달 및 양방향 통신을 위하여 2 모드 제어된 절연회로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전달 및 양방향 통신을 위하여 2 모드 제어된 절연회로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055B1
KR100867055B1 KR1020037002965A KR20037002965A KR100867055B1 KR 100867055 B1 KR100867055 B1 KR 100867055B1 KR 1020037002965 A KR1020037002965 A KR 1020037002965A KR 20037002965 A KR20037002965 A KR 20037002965A KR 100867055 B1 KR100867055 B1 KR 100867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ransceiver
communication device
mode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4987A (ko
Inventor
크누벤빌헬무스에이치씨
소레존제이
반드산드페트루스에이엠
Original Assignee
엔엑스피 비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엑스피 비 브이 filed Critical 엔엑스피 비 브이
Publication of KR20040014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05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2Capaci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6Arrangements for providing Galvanic isolation, e.g. by means of magnetic or capacitive coupling
    • H04L25/0268Arrangements for providing Galvanic isolation, e.g. by means of magnetic or capacitive coupling with modulation and subsequent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04L25/4902Pulse width modulation; Pulse position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5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solat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Transceiver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전력 공급된 트랜시버(2)와, 라인 트랜시버(3)와, 세 개의 캐패시터(Cb1,Cb2,Cb3)를 포함하는 절연 회로(4)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1)가 설명되어 있으며, 이는 전력 공급된 트랜시버(2)와 라인 트랜시버(3) 사이에 결합되어 있고, 제어 회로(5)는 전력 공급된 트랜시버(2)로부터 라인 트랜시버(3)로 전력의 전송을 제어하고, 절연 회로(4)를 거쳐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제어 회로는 2 모드 제어 회로(5)이고, 제 1 모드 동안 상기 전력이 전달되고, 한 방향에서 통신이 수행되도록 그리고, 제 2 모드 동안에, 다른 방향으로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장치(1) 및 회로(4)는 작고, 낮은 캐패시터 값을 가지며, 전화기, 의료 기구, 산업 프로세스, 모뎀, 제어 및 또는 측정 장치, 통신 장치 및 그와 유사한 것들에서 수백 MHz까지의 높은 스위칭 주파수에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전달 및 양방향 통신을 위하여 2 모드 제어된 절연 회로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TWO-MODE CONTROLLED ISOLATION CIRCUIT FOR POWER TRANSPORT AN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고,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 라인 트랜시버 및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와 라인 트랜시버 사이에 결합된 적어도 두 개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절연 회로와,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로부터 라인 트랜시버로의 전력의 전달을 제어하고, 절연 회로를 가로질러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통신 장치는 WO 98/48541에 개시되어 있다. 알려져 있는 통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특히 두 개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절연 장벽층(isolation barrier)을 가로질러 디지털 양방향 통신을 위한 회로를 개시한다. 캐패시터의 앙 측면에, 인코드 회로 및 디코드 회로를 포함하는 전송기/수신기 -후술에서 트랜시버라 칭함- 가 있다. 캐패시터의 한 쪽 측면에, 전원 디지털 회로가 나타나며, 이는 캐패시터의 다른 쪽 측면에서의 전화 라인 회로와 같은 비전원(non-powered) 라인 회로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전화 라인 회로는 전원 디지털 회로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또한 양방향 통신이 용량성 절연 장벽을 가로질러 수행되어야 한다. 두 개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용량성적 전기 분리 장벽이 특히 설명되어 있는데, 동일한 두 개의 캐패시터를 거쳐 양방향으로의 디지털 데이터가 통신되지만, 비전원 라인 회로에서 전력을 생성하기 위해, 바로 그 동일한 두 개의 캐패시터를 통해 에너지가 전달된다.
두 개의 장벽 캐패시터의 최소 수를 요구하는 면에서는 비용 효과적이나, 좁은 두 개의 캐패시터 처리량에 의해 부과되는 요구 사항 및 제한에 모든 신호, 타이밍, 제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집중되어야 한다. 게다가, 신뢰성 있는, 장벽을 통한 에너지의 전송 및 신호의 통신이 두 개의 캐패시터에 많이 의존한다. 실제로, 종래 기술의 통신 장치는 실패에 취약하며, 특히 장기간의 문제없는 동작이 보증될 수 없다는 것에 주목하라. 게다가, 알려져 있는 장치의 어떤 실패는 가령, 대체로 수립되어야 하는 전화 라인 연결에서의 실패를 알아내도록 전화가 완전히 아무 소리도 나지 않게 만들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더 신뢰성 있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여전히 충분히 비용 효과적이고, 이는 어떤 통신 라인 또는 전력이 제공될 망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덕트의 설계 및 구조에 관해 더 유연성을 제공한다.
그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는 절연 회로가 세 개의 캐패시터를 포 함하고, 제어 회로가 2 모드 제어 회로이며, 제 1 모드 동안에, 상기 전력이 전달되고, 한 방향으로의 통신이 수행되며, 제 2 모드 동안에, 다른 방향으로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배치되게 특징지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의 유리한 점은 세 개의 절연 회로 캐패시터에 걸쳐 분산되며, 제 1 모드 동안에 전력 전달 및 한 방향으로의 통신과, 제 2 모드 동안에 다른 방향으로의 통신이 효과적으로 결합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 동작의 이러한 형태는 실패에 덜 취약하게 나타났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의 2 모드 동작은 세 개의 캐패시터 절연 회로를 통한 전력 전달 및 통신 프로세스에 대해 더 나은 제어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상기 장치에 의한 통신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는 세 개의 캐패시터 중 하나가 망가진 경우, 다른 두 개는 동작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장치가 적절히 기능하는 것에 관한 어떤 형태 감시를 가능하게 하며, 이는 장치가 장애를 도시하는 장애 표시(failure indication)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전화 라인 연결에서의 결점이 배제될 수 있다. 다른 추가적인 유리한 점은 캐패시터 중 하나가 통신 목적으로만 사용된다면, 이 캐패시터는 다른 두 개보다 더 낮은 캐패시터 값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더 작은 사이즈의 더 비용 효과적인 하나의 캐패시터로 이르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회로의 실시예는 제 1 모드가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가 전달하기 위해 제어되고, 라인 트랜시버가 수신하기 위해 제어되는 모드인 것에 특징지어진다.
가령, 양방향 데이터 경로가 세 개의 캐패시터 절연 장벽 중 어느 측면 상에서 두 개의 트랜시버 사이에 사용된다면, 후자의 측면은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로부터 나오는 전파 정류 클럭 신호(full-wave rectified clock signal)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제 1 모드 또는 수신 모드 동안에, 전력 구동될 라인 트랜시버는 장벽을 통한 데이터 전달을 인에이블할 것이다. 이는 온-후크(on-hook) 상황 동안 팁(Tip) 및 링(Ring) 인터페이스 회로 -이 회로들은 전화 라인 환경에서 잘 알려져 있음- 를 위한 명쾌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제 1 모드 동안, 절연 회로인 세 개의 캐패시터가 전력 전달 및 한 방향으로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것에 특징지어진다.
본 실시예는 제 1 모드 동안에, 한 쪽으로는 전력 전달 그리고 다른 한 쪽으로는 한 방향으로의 통신의 장애 안전한 부분적 분리의 형태를 제공한다.
제 1 모드 동안의 제어를 위한 통신 장치의 더 세부적으로 도시된 실시예는 제 1 모드 동안에, 세 개의 캐패시터 중 두 개 캐패시터의 제 1 조합을 건너(across) 전력 전달이 수행되고, 제 1 조합과 부분적으로 다른 제 2 조합을 건너 상기 한 방향으로의 통신이 수행되는 것에 특징지어진다.
동작하고 구현하기 쉬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의 실시예는, 통신 장치가 절연 회로에 결합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고, 2 모드 제어 회로에 결합되는 스위칭 제어 입력이 스위칭 수단에 제공되는 것에 특징지어진다.
가령, 스위칭 수단이 제어 가능한 2 방향 및 3 방향 스위치라면, 제어 수단 에 의한 제어가 제 1 모드가 스위칭 수단 중 두 개의 스위칭 위치/싸이클을 포함하도록 일어난다. 그 때, 두 개의 스위칭 싸이클은 절연 회로 장벽을 건너(across the barrier) 에너지 전달을 수행하고, 이 두 개의 싸이클 동안에, 장벽을 거친 동시의 단방향(uni-directional) 또는 양방향 통신도 가능하다.
양방향 통신은 아날로그 통신, 디지털 통신 또는 원한다면 그것들의 조합일 수 있다. 디지털 통신의 경우에,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 및 라인 트랜시버는 펄스 폭 변조 통신 또는 더 일반적인 형태의 펄스 밀도 변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배치되는 디지털 트랜시버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는 전화, 의료 기구, 모뎀, 산업 프로세스, 제어 및/또는 측정 장치, 통신 장치 및 그 와 같은 것들에 라인 트랜시버가 사용된다는 것에 특징지어진다. 상기 통신 장치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상의 집적 회로와 같은 전자 장치의 내부 연결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정보를 교환한다.
이제, 유사한 구성요소들이 동일한 참조 번호에 의해 참조되는 첨부 도면으로 참조가 이루어지는 동안 그 추가적인 유리한 점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는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제 1 모드 동안 제 1 스위칭 싸이클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제 1 모드 동안 제 2 스위칭 싸이클에서 도 1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제 2 모드 동안 제 3 스위칭 싸이클에서 도 1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은 통신 장치(1)의 관련있는 부분을 도시한다. 통신 장치(1)는 트랜시버(2)를 포함하는데, 이는 전력, 즉, (도시되지 않은) 220 볼트 전원으로부터 도출되는 것과 같은 어떤 전압원 Vm에 의한 공급 전압이 제공되는 종류의 전송기/수신기이다. 장치(1)는 전화 선 또는 망 라인 트랜시버와 같은 라인 트랜시버(3)를 포함하는데, 이에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로부터 나오는 공급 전압이 제공되어야 한다. 가령,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PSTN)과 같은 전화망을 고려해보면, 그 중에서 특히, 트랜시버(2)와 트랜시버(3)의 전기 분리에 관해 존재한다. 후술될 세 개의 캐패시터의 경우에, 캐패시터 Cb1, Cb2 및 Cb3을 포함하는 절연 회로(4)에 의해 이 트랜시버들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이 캐패시터들 Cb1, Cb2 및 Cb3은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와 라인 트랜시버(3) 사이에 결합된다. 게다가, 통신 회로(1)는 제어 회로(contr.)(5)를 포함하며, 이는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로부터 라인 트랜시버(3)로의 전력의 전달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다. 제어 회로(5)는 캐패시터 Cb1, Cb2 및 Cb3을 통해 양방향 통신도 수행하는데, 이 통신은 절연 회로(5)를 통해 디지털 신호의 전송을 일반적으로 포함할 것이다. 그것으로, 제어 회로(5)는 2 모드 제어 회로이며, 이에 따라 제 1 모드 동안에 전력이 전송되고, 한 방향으로의 통신이 수행되고, 이에 따라 제 2 모드 동안에, 다른 방향으로의 통신이 수행된다.
라인 트랜시버(3)뿐만 아니라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도 아날로그, 그러나 최근에 특히 상호 디지털 통신을 그 사이에 허용하기 위하여 인코더 및/또는 디코더(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후술에서, 본 통신 장치(1)의 원리가 명백해질 것이며, 이는 스위칭 수단 S1...S5를 설명함으로써 수행된다. 특히, 이 스위칭 수단들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s:FETs)와 같은 반도체 스위치에 의해 구현될 것이다. 2 모드(two-mode) 제어 회로(5)의 기능 그리고 특히, 그것의 스위칭 제어 입력(6,7)을 통한 스위치 S1...S5의 제어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회로(5)의 제 1 제어 모드는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스위칭 싸이클을 포함하고, 제 2 제어 모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제 3 스위칭 싸이클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스위치(S1...S3)는 세 개의 상태 또는 싸이클을 가지고, 스위치 S4 및 S5는 두 개의 상태 또는 싸이클을 가진다. 스위치 S1...S5의 공통 접속부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캐패시터 Cb1, Cb2 및 Cb3에 결합되고, 스위치 S1...S5의 제 각기의 접속부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결합되며, 이는 후술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 1 스위칭 싸이클에서, 트랜시버(3)에서의 캐패시터 C 및 부하 L은 상측위 전압원(the upper voltage source) Vm으로부터 도출되는 공급 전압 Vp를 수신한다. 그 후 Cb1은 -(Vm-Vp)/2와 동일한 전압으로 가정한다. Cb2는 +(Vm-Vp)/2으로 충전되고, Cb3은 -(Vm-Vp)/2로 충전된다. 도시된 것과 같은 통신 장치(1)의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는 스위치 S1 및 S2의 더 낮은 접속부에 결합되는 수신기(8)를 구비하고, 라인 트랜시버(3)는 본 명세서에서 캐패시터 Cb2 및 Cb3에 직접 결합되는 수신기(9)를 구비한다. 그래서, 도 1의 싸이클 1에서, 수신기 출력 신호 RX는 적어도 이러한 스위칭 방법으로는 정의되지 않을 것이고, 수신기 출력 신호 TX는 "하이" 또는 원하는 대로, 하측 전압원(the lower voltage source) Vm을 변조하기 위하여 트랜시버(2)에서 사용되는 변조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태이다. 가능한 변경에서 수신기(9)의 더 위의 입력 -이는 이제, 캐패시터 Cb3과 스위치 S4의 연결에 결합되어 도시됨- 은 삭제되고 내부적으로 접지되거나, 대신에, 공급 전압 Vp의 어느 한쪽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의 제 2 스위칭 싸이클에서, 트랜시버(3)의 캐패시터 C 및 부하 L은 하측 전압원 Vm으로부터 지금 도출되는 유사한 전압 Vp를 수신한다. 이제, 캐패시터 Cb1, Cb2 및 Cb3 상의 전압의 극성은 반대로 되고, 스위치 S4 및 S5도 정류 브리지(rectifying bridge)를 형성하며 역전된다. 그 후, 이 변형례에서 캐패시터 Cb2 및 Cb3은 병렬로 연결되고, Cb3은 +(Vm-Vp)/2로 충전되나,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로부터 라인 트랜시버(3)로의 전하 전달에는 기여하지 않다. TX 출력 신호는 이제 '로우' 또는 상측 또는 하측 어느 쪽의 전원 Vm 상의 어떤 데이터 변조 신호도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이다. 출력 신호 RX는 여전히 정의되지 않는다. 제어 회로(5)의 제 1 제어 모드이라면, 전력 전송 및 일반적으로 트랜시버(2)로부터 트랜시버(3)로의 또는 그 역으로의 한 방향의 통신을 위해 모든 세 개의 캐패시터가 사용된다.
도 3의 제 3 스위칭 싸이클에서 제 2 모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신 신호는 라인 트랜시버(3)로부터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로 캐패시터 Cb1 및 Cb2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출력 신호 TX 및 RX는 스위치 S4 및 S5의 위치에 의존하여 '하이'이거나 '로우'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 및 라인 트랜시버(3)는 일반적으로 펄스 폭 변조 통신을 위해 배치되며, 이는 펄스 밀도 변조의 한 가지 가능한 형태이다. 통신 장치(1)는 가령, 전화, 의료 기구, 산업 프로세스, 모뎀, 제어 및/또는 측정 장치 또는 다른 통신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공급 전압의 크기에 의존하여 수백 MHz까지의 스위칭 주파수가 가능하며,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절연 캐패시터 값을 가져와서, 상대적으로 비싸지 않고, 얻기 쉬운 상대적으로 작은 캐패시터를 가져온다.
전술에서, 본질적으로 선호되는 실시예 및 가능한 최적 모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위 내에 떨어지는 다양한 변경, 특징 및 특징들의 조합이 당업자의 이해 범주 내에 있기 때문에, 이 실시예들이 관련되는 장치를 제한하는 예로 생각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3)

  1. 통신 장치(1)에 있어서,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powered transceiver)(2)와, 라인 트랜시버(3)와, 상기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와 상기 라인 트랜시버(3) 사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절연 회로(4)와, 상기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로부터 상기 라인 트랜시버(3)로 전력의 전달을 제어하고, 상기 절연 회로(4)를 거쳐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어 회로(5)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회로(4)는 세 개의 캐패시터(Cb1,Cb2,Cb3)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2 모드(two-mode) 제어 회로(5)인데, 제 1 모드 동안에 상기 전력이 전달되고, 한 방향의 통신이 수행되며, 제 2 모드 동안에 다른 방향으로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가 전송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라인 트랜시버(3)가 수신하도록 제어되는 모드인
    통신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 동안에, 상기 절연 회로(4)의 모든 세 개의 캐패시터(Cb1,Cb2,Cb3)는 상기 전력 전달 및 한 방향으로의 상기 통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통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 동안에, 상기 세 개의 캐패시터(Cb1,Cb2,Cb3) 중 두 개(Cb1,Cb2)로 구성된 제 1 조합을 건너 상기 전력 전송이 수행되고,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로 구성된 제 2 조합(Cb3 또는 Cb2,Cb3) -상기 제 1 조합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름- 을 건너 상기 한 방향으로의 상기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1)는 상기 절연 회로(4)에 결합되는 스위칭 수단(S1,...,S5)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수단(S1,...,S5)은 상기 2 모드 제어 회로(5)에 결합되는 스위칭 제어 입력(6,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제어 가능한 두 방향 스위치(S4, S5) 및 세 방향 스위치(S1...S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스위칭 수단(S1...S5)의 두 가지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통신은 아날로그 통신 및/또는 디지털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 및 상기 라인 트랜시버(3)는 펄스 폭 변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배치되는 디지털 트랜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트랜시버(3)는 전화, 의료 기구, 산업 프로세스, 모뎀, 제어 장치 및/또는 측정 장치, 통신 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통신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1)는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와, 라인 트랜시버(3)와, 상기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와 라인 트랜시버(3) 사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절연 회로(4)와, 상기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로부터 상기 라인 트랜시버(3)로 전력의 전달을 제어하고 상기 절연 회로(4)를 거쳐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어 회로(5)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회로(4)는 세 개의 캐패시터(Cb1,Cb2,Cb3)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2 모드(two-mode) 제어 회로(5)인데, 제 1 모드 동안에, 상기 전력이 전달되고, 한 방향으로의 통신이 수행되며, 제 2 모드 동안에, 다른 방향으로의 상기 통신이 수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통신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라인 트랜시버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1)는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와, 라인 트랜시버(3)와, 상기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와 라인 트랜시버(3) 사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절연 회로(4)와, 상기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로부터 상기 라인 트랜시버(3)로 전력의 전달을 제어하고, 상기 절연 회로(4)를 거쳐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어 회로(5)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회로(4)는 세 개의 캐패시터(Cb1,Cb2,Cb3)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2 모드 제어 회로(5)인데, 제 1 모드 동안에, 상기 전력이 전달되고, 한 방향으로의 통신이 수행되며, 제 2 모드 동안에, 다른 방향으로의 상기 통신이 수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라인 트랜시버(3).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통신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절연 회로(4)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1)는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와, 라인 트랜시버(3)와, 상기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와 라인 트랜시버(3) 사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절연 회로(4)와, 상기 전원 공급된 트랜시버(2)로부터 상기 라인 트랜시버(3)로 전력의 전달을 제어하고 상기 절연 회로(4)를 거쳐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어 회로(5)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회로(4)는 세 개의 캐패시터(Cb1,Cb2,Cb3)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2 모드 제어 회로(5)인데, 제 1 모드 동안에, 상기 전력이 전달되고, 한 방향으로의 통신이 수행되며, 제 2 모드 동안에, 다른 방향으로의 상기 통신이 수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절연 회로(4).
KR1020037002965A 2001-06-27 2002-06-20 전력 전달 및 양방향 통신을 위하여 2 모드 제어된 절연회로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67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202466 2001-06-27
EP01202466.7 2001-06-27
PCT/IB2002/002381 WO2003003680A1 (en) 2001-06-27 2002-06-20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two-mode controlled isolation circuit for power transport an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987A KR20040014987A (ko) 2004-02-18
KR100867055B1 true KR100867055B1 (ko) 2008-11-04

Family

ID=818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96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7055B1 (ko) 2001-06-27 2002-06-20 전력 전달 및 양방향 통신을 위하여 2 모드 제어된 절연회로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20245B2 (ko)
EP (1) EP1405477B1 (ko)
JP (1) JP4204461B2 (ko)
KR (1) KR100867055B1 (ko)
CN (1) CN100401725C (ko)
AT (1) ATE471020T1 (ko)
DE (1) DE60236656D1 (ko)
WO (1) WO20030036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6964A1 (de) * 2010-09-29 2012-03-29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Ladungspumpe
KR101844422B1 (ko) * 2012-04-19 201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에너지 전송 장치 및 방법, 무선 에너지 수신 장치
US9106270B2 (en) * 2012-10-02 2015-08-11 Covidien Lp Transmitting data across a patient isolation barrier using an electric-field capacitive coupler module
RU2755209C1 (ru) * 2018-03-27 2021-09-14 Майкро Моушн, Инк. Электрон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включающее в себя электрическую изоляцию
EP3795302A1 (de) * 2019-09-23 2021-03-24 Hilti Aktiengesellschaft Robuste kommunikation
EP4002703B1 (en) * 2020-11-11 2024-10-09 Aptiv Technologies A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ircuit, system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0336A1 (en) * 1998-11-16 2000-05-25 Conexant Systems, Inc. Multifunction data access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0046A (en) * 1997-04-22 1999-02-09 Silicon Laboratories Inc. Analog isolation system with digital communication across a capacitive barrier
US6339048B1 (en) * 1999-12-23 2002-01-15 Elementis Specialties, Inc. Oil and oil invert emulsion drilling fluids with improved anti-settling properties
US6359973B1 (en) * 1998-11-16 2002-03-19 Conexant Systems, Inc. Data access arrangement utilizing a serialized digital data path across an isolation barri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0336A1 (en) * 1998-11-16 2000-05-25 Conexant Systems, Inc. Multifunction data access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987A (ko) 2004-02-18
ATE471020T1 (de) 2010-06-15
JP4204461B2 (ja) 2009-01-07
EP1405477B1 (en) 2010-06-09
DE60236656D1 (de) 2010-07-22
WO2003003680A1 (en) 2003-01-09
EP1405477A1 (en) 2004-04-07
CN1520666A (zh) 2004-08-11
JP2004531181A (ja) 2004-10-07
US20040196113A1 (en) 2004-10-07
US7120245B2 (en) 2006-10-10
CN100401725C (zh)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2936A (ko) 아이솔레이터및그것을사용하는모뎀장치
JP3732851B2 (ja) ツイストペアとインテリジェント・セルとをインタフェースさせる方法
KR980006296A (ko) 적응성 입력-출력 포트를 갖는 집적 회로 칩과 이의 전기적 시스템
JP4642298B2 (ja) 双方向接続ライン用のオプトカプラを備えた電気絶縁装置
WO1999055083A1 (en) Cmos imaging apparatus
KR19980702125A (ko) 양방향 신호 전송 시스템
KR100867055B1 (ko) 전력 전달 및 양방향 통신을 위하여 2 모드 제어된 절연회로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US7404094B2 (en) Relay set in network device and method thereof
JP3519708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H11508424A (ja) 改良されたデータアクセス装置
CN117040534A (zh) 一种隔离型adc装置
JPH06224976A (ja) 半2重シリアル伝送用インターフェース変換回路
US6661894B1 (en) Circuit configuration and chip set for supplying a telephone subscriber loop with a supply voltage and network-side terminal of a telephone subscriber loop
TW356620B (en) Semiconductor component
CN101425802A (zh) 一种信号转换装置及方法
JP2000307413A (ja) 電圧変換回路及び通信回路網
RU2808715C1 (ru) Канал однолинейной двунаправленной прямой связи между внутричиповыми контактными площадками и способ его создания
US69988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ansmission of differential signals
CN101944900A (zh) 用于信号传输的电路、装置以及方法
JP2003163617A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ケーブル
KR0128170B1 (ko) 디지탈 키폰시스템에서 디지털 키폰전화기 접속장치 및 방법
RU2185030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обхода для сетей связи
JP2850844B2 (ja) 動作周波数切替可能な伝送システム
KR100201624B1 (ko) 제어된 직류 전원을 이용한 정전시 국선, 내선 전화기 접속 장치
KR100297211B1 (ko) 서로 다른 신호 레벨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6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9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