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안테나란 1개의 안테나일 필요는 없고,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는 송신 방법에 있어서, 어떤 채널에 복조를 위한 심볼을 삽입한 시각의 다른 채널의 심볼에서는, 동상(同相)-직교 평면에서의 동상 및 직교 신호는 0(zero)의 신호로 하는 송신 방법, 그 송신 방법에서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서의 시간축에 있어서의 채널 A 프레임 구성(120) 및 채널 B 프레임 구성(130)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101, 104, 107)은 채널 A에서의 파일롯 심볼, (102, 105, 108)는 채널 A에서의 가드 심볼, (103, 106)은 채널 A에서의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고 있으며, 데이터 심볼은, 예컨대, QPSK 변조로 변조되어 있는 심볼로 한다. (109, 112, 115)는 채널 B에서의 가드 심볼, (110, 113, 116)은 채널 B에서의 파일롯 심볼, (111, 114)는 채널 B에서의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고 있으며, 데이터 심볼은, 예컨대, QPSK 변조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채널 A의 파일롯 심볼(101)과 채널 B의 가드 심볼(109)이 동(同) 시각에서의 심볼로 된다. 마찬가지로, 채널 A의 가드 심볼(102)과 채널 B의 파일롯 심볼(110), 채널 A의 데이터 심볼(103)과 채널 B의 데이터 심볼(111), 채널 A의 파일롯 심볼(104)과 채널 B의 가드 심볼(112), 채널 A의 가드 심볼(105)과 채널 B의 파일롯 심볼(113), 데이터 심볼(106)과 채널 B의 데이터 심볼(114), 채널 A의 파일롯 심볼(107)과 채널 B의 가드 심볼(115), 채널 A의 가드 심볼(108)과 채널 B의 파일롯 심볼(116)이 동 시각에서의 심볼로 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서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채널 A 송신부(220)와 채널 B 송신부(230)와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09)로 이루어진다.
이 채널 A 송신부(220)는 변조 신호 생성부(202)와 무선부(204)와 전력 증폭부(206)와 안테나(208)로 구성된다.
채널 B 송신부(230)는 변조 신호 생성부(212)와 무선부(214)와 전력 증폭부(216)와 안테나(218)로 구성된다.
채널 A의 변조 신호 생성부(202)는 프레임 구성 신호(210), 채널 A의 송신 디지털 신호(20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채널 A의 변조 신호(203)를 출력한다.
채널 A의 무선부(204)는 채널 A의 변조 신호(203)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송신 신호(205)를 출력한다.
채널 A의 전력 증폭부(206)는 채널 A의 송신 신호(205)를 입력으로 하여, 증폭해서 증폭된 채널 A의 송신 신호(207)를 출력하여, 전파로서 채널 A의 안테나(208)로부터 출력된다.
프레임 구성 생성부(209)는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출력한다.
채널 B의 변조 신호 생성부(212)는 프레임 구성 신호(210), 채널 B의 송신 디지털 신호(2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채널 B의 변조 신호(213)를 출력한다.
채널 B의 무선부(214)는 채널 B의 변조 신호(213)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B의 송신 신호(215)를 출력한다.
채널 B의 전력 증폭부(216)는 채널 B의 송신 신호(215)를 입력으로 하여, 증폭해서 증폭된 채널 B의 송신 신호(217)를 출력하여, 전파로서 채널 B의 안테나(218)로부터 출력된다.
도 3은 도 2의 변조 신호 생성부(202, 212)의 상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데이터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302)는 송신 디지털 신호(301) 및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 프레임 구성 신호(311)가 데이터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QPSK 변조하여, 데이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3) 및 직교 성분(304)을 출력한다.
파일롯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305)는,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가 파일롯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6) 및 직교 성분(307)을 출력한다.
가드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308)는,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가 가드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9) 및 직교 성분(310)을 출력한다.
동상 성분 전환부(312)는, 데이터 심볼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3),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6),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9),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311)로 나타내어진 심볼에 상당하는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13)으로서 출력한다.
직교 성분 전환부(314)는, 데이터 심볼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04),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07),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10),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311)로 나타내어진 심볼에 상당하는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15)으로서 출력한다.
직교 변조기(316)는,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13) 및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15)을 입력으로 하여, 직교 변조해서 변조 신호(317)를 출력한다.
도 4는 동상-직교 평면에서의 QPSK(데이터 심볼), 파일롯 심볼, 가드 심볼의 신호점 배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401)은 QPSK의 신호점, (402)는 파일롯 심볼의 신호점, (403)은 가드 심볼의 신호점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무선부(503)는 안테나(50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502)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 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04) 및 직교 성분(505)을 출력한다.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6)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504 및 505)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전송로 왜곡을 추정해서,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07)를 출력한다.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8)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504 및 505)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B의 전송로 왜곡을 추정해서,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09)를 출력한다.
지연부(510)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04) 및 직교 성분(505)을 입력으로 하여, 채널 A 및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07, 509)를 구하는데 요하는 시간,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11) 및 직교 성분(512)을 출력한다.
무선부(515)는 안테나(513)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514)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16) 및 직교 성분(517)을 출력한다.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18)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516 및 517)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전송로 왜곡을 추정해서,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19)를 출력한다.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20)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516 및 517)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B의 전송로 왜곡을 추정해서,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21)를 출력한다.
지연부(522)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16) 및 직교 성 분(517)을 입력으로 하여, 채널 A 및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19, 521)를 구하는데 요하는 시간,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23) 및 직교 성분(524)을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525)는,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07),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09),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11) 및 직교 성분(512),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19),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21),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23) 및 직교 성분(524)을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26) 및 직교 성분(527), 채널 B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30) 및 직교 성분(531)을 출력한다.
복조부(528)는 채널 A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26) 및 직교 성분(527)을 입력으로 하여, 복조해서 채널 A의 수신 디지털 신호(529)를 출력한다.
복조부(532)는, 채널 B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30) 및 직교 성분(531)을 입력으로 하여, 복조해서 채널 B의 수신 디지털 신호(533)를 출력한다.
도 6은 채널 A 프레임 구성(620)과 채널 B 프레임 구성(630)과, 각각의 채널의 어떤 시각에서의 심볼(601~616), 채널 A의 전송로 왜곡(621), 채널 B의 전송로 왜곡(631),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632)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601, 607)은 채널 A의 파일롯 심볼, (602, 608)은 채널 A의 가드 심볼, (603, 604, 605, 606)은 채널 A의 데이터 심볼이다. (609, 615)는 채널 B의 가드 심볼, (610, 616)은 채널 B의 파일롯 심볼, (611, 612, 613, 614)는 채널 B의 데이터 심볼이다.
그리고, 채널 A의 파일롯 심볼(601)과 채널 B의 가드 심볼(609)이 시각 0에서의 심볼로 된다. 마찬가지로, 채널 A의 가드 심볼(602)과 채널 B의 파일롯 심볼(610), 채널 A의 데이터 심볼(603)과 채널 B의 데이터 심볼(611), 채널 A의 데이터 심볼(604)과 채널 B의 데이터 심볼(612), 채널 A의 데이터 심볼(605)과 채널 B의 데이터 심볼(613), 채널 A의 데이터 심볼(606)과 채널 B의 데이터 심볼(614), 채널 A의 파일롯 심볼(607)과 채널 B의 가드 심볼(615), 채널 A의 가드 심볼(608)과 채널 B의 파일롯 심볼(616)이 각각 시각 1, 시각 2, 시각 3, 시각 4, 시각 5, 시각 6, 시각 7에서의 심볼로 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서의 시간축에 있어서의 채널 A 프레임 구성(720) 및 채널 B 프레임 구성(730)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701, 702, 706, 707)은 채널 A의 파일롯 심볼, (703, 704, 708, 709)는 채널 A의 가드 심볼, (705)는 채널 A의 데이터 심볼, (710, 711, 715, 716)은 채널 B의 가드 심볼, (712, 713, 717, 718)은 채널 B의 파일롯 심볼, (714)는 채널 B의 데이터 심볼로 하고, 채널 A의 데이터 심볼(705) 및 채널 B의 데이터 심볼(714)은 QPSK 변조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채널 A의 파일롯 심볼(701)과 채널 B의 가드 심볼(710)이 동 시간에서의 심볼로 된다. 마찬가지로, 채널 A의 파일롯 심볼(702)과 채널 B의 가드 심볼(711), 채널 A의 가드 심볼(703)과 채널 B의 파일롯 심볼(712), 채널 A의 가드 심볼(704)과 채널 B의 파일롯 심볼(713), 채널 A의 데이터 심볼(705)과 채널 B의 데이터 심볼(714), 채널 A의 파일롯 심볼(706)과 채널 B의 가드 심볼(715), 채널 A의 파일롯 심볼(707)과 채널 B의 가드 심볼(716), 채널 A의 가드 심볼(708)과 채널 B의 파일롯 심볼(717), 채널 A의 가드 심볼(709)과 채널 B의 파일롯 심볼(718)이 동 시간에서의 심볼로 된다.
그리고, 도 1, 도 2, 도 3, 도 4를 이용해서 송신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09)는 도 1에 나타낸 프레임 구성의 정보를 프레임 구성 신호(210)로서 출력한다. 채널 A의 변조 신호 생성부(202)는 프레임 구성 신호(210), 채널 A의 송신 디지털 신호(20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채널 A의 변조 신호(203)를 출력한다. 그리고, 채널 B의 변조 신호 생성부(212)는 프레임 구성 신호(210), 채널 B의 송신 디지털 신호(2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채널 B의 변조 신호(213)를 출력한다.
이 때의 변조 신호 생성부(202) 및 변조 신호 생성부(212)의 동작을 도 3을 이용해서 채널 A의 송신부(220)를 예로 설명한다.
데이터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302)는 송신 디지털 신호(301) 즉 도 2의 채널 A의 송신 디지털 신호(201) 및 프레임 구성 신호(311) 즉 도 2의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311)가 데이터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QPSK 변조해서 데이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3) 및 직교 성분(304)을 출력한다.
파일롯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305)는,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가 파일롯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6) 및 직교 성분(307)을 출력한다.
가드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308)는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가 가드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9) 및 직교 성분(310)을 출력한다.
이 때의 동상-직교 평면에서의 각 심볼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와 같다. 데이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3) 및 직교 성분(304)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1)과 같다. 그리고,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6) 및 직교 성분(307)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2)와 같다. 또한,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9) 및 직교 성분(310)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3)과 같다.
동상 성분 전환부(312)는 데이터 심볼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3),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6),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9),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311)로 나타내어진 심볼에 상당하는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13)으로서 출력한다.
직교 성분 전환부(314)는 데이터 심볼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04),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07), 가드 심볼 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10),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311)로 나타내어진 심볼에 상당하는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15)으로서 출력한다.
직교 변조기(316)는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13) 및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15)을 입력으로 하여, 직교 변조해서 변조 신호(317) 즉 도 2의 (203)을 출력한다.
다음에, 도 5, 도 6을 이용하여 수신 장치의 동작, 특히,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6),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8), 신호 처리부(525)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서의 안테나(50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04) 및 직교 성분(505)을 예로 도 6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시각 0에서는, 채널 A의 파일롯 심볼(601)과 채널 B의 가드 심볼(609)이 다중되어 있고, 이 때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04) 및 직교 성분(505)을 각각 I0, Q0으로 한다. 그리고, 채널 A 전송로 왜곡을 (Ia0, Qa0), 채널 B 전송로 왜곡을 (Ib0, Qb0)라고 하면, 송신 장치에 있어서, 채널 B의 가드 심볼에서는 0을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04) 및 직교 성분(505)의 I0, Q0은 채널 A의 파일롯 심볼(601)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04) 및 직교 성분(505)의 I0, Q0으로부터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Ia0, Qa0)=(I'0, Q'0)으로 추 정 가능하다.
단, 채널 A의 전송로 왜곡(Ia0, Qa0)의 추정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시간의 채널 A의 파일롯 심볼을 이용하여 시각 0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Ia0, Qa0)을 구하더라도 된다.
마찬가지로, 시각 1에서는 채널 A의 가드 심볼(602)과 채널 B의 파일롯 심볼(610)이 다중되어 있고, 이 때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04) 및 직교 성분(505)을 각각 I1, Q1로 한다. 그리고, 채널 A 전송로 왜곡을 (Ia1, Qa1), 채널 B 전송로 왜곡을 (Ib1, Qb1)이라고 하면, 송신 장치에 있어서, 채널 A의 가드 심볼에서는 0을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04) 및 직교 성분(505)의 I1, Q1은 채널 B의 파일롯 심볼(610)의 성분으로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04) 및 직교 성분(505)의 I1, Q1로부터,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Ib1, Qb1)=(I'1, Q'1)로 추정 가능이다. 단,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b1, Qb1)의 추정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시각의 채널 B의 파일롯 심볼을 이용하여, 시각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Ib1, Qb1)을 구하더라도 된다.
마찬가지로, 시각 6에서는, 채널 A의 파일롯 심볼(607)과 채널 B의 가드 심볼(615)이 다중되어 있고, 이 때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04) 및 직교 성분(505)을 각각 I6, Q6으로 한다. 그리고, 채널 A 전송로 왜곡을 (Ia6, Qa6), 채널 B 전송로 왜곡을 (Ib6, Qb6)이라고 하면, 송신 장치에 있어서, 채널 B의 가드 심볼에서는 0을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04) 및 직교 성분(505)의 I6, Q6은 채널 A의 파일롯 심볼(607)의 성분으로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04) 및 직교 성분(505)의 I6, Q6으로부터,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Ia6, Qa6)=(I'6, Q'6)으로 추정 가능하다. 단, 채널 A의 전송로 왜곡(Ia6, Qa6)의 추정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시간의 채널 A의 파일롯 심볼을 이용하여, 시각 6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Ia6, Qa6)도 구하더라도 된다.
마찬가지로, 시각 7에서는, 채널 A의 가드 심볼(608)과 채널 B의 파일롯 심볼(616)이 다중되어 있고, 이 때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04) 및 직교 성분(505)을 각각 I7, Q7로 한다. 그리고, 채널 A 전송로 왜곡을 (Ia7, Qa7), 채널 B 전송로 왜곡을 (Ib7, Qb7)이라고 하면, 송신 장치에 있어서, 채널 A의 가드 심볼에서는 0을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04) 및 직교 성분(505)의 I7, Q7은 채널 B의 파일롯 심볼(610)의 성분으로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04) 및 직교 성분(505)의 I7, Q7로부터,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Ib7, Qb7)=(I'7, Q'7)로 추정 가능하다. 단, 채널 B의 전송로 왜곡(Ib7, Qb7)의 추정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시간의 채널 B의 파일롯 심볼을 이용하여, 시각 7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Ib7, Qb7)을 구하더라도 된다.
시각 2, 3, 4, 5에서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을 각각 (Ia2, Qa2), (Ia3, Qa3), (Ia4, Qa4), (Ia5, Qa5)로 한다. 이들은, 예컨대, 상기 시각 0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Ia0, Qa0)=(I'0, Q'0) 및 상기 시각 6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Ia6, Qa6)=(I'6, Q'6)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보간함으로써 구한다. 단, (Ia2, Qa2), (Ia3, Qa3), (Ia4, Qa4), (Ia5, Qa5)를 구하는데, (Ia0, Qa0), (Ia6, Qa6) 이외에, 다른 시각의 채널 A의 파일롯 심볼을 이용하여 구하더라도 된다.
마찬가지로, 시각 2, 3, 4, 5에서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을 각각 (Ib2, Qb2), (Ib3, Qb3), (Ib4, Qb4), (Ib5, Qb5)로 한다. 이들은, 예컨대, 상기 시각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Ib1, Qb1)=(I1, Q'1) 및 상기 시각 7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Ib7, Qb7)=(I'7, Q'7)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보간함으로써 구한다. 단, (Ib2, Qb2), (Ib3, Qb3), (Ib4, Qb4), (Ib5, Qb5)를 구하는데, (Ib1, Qb1), (Ib7, Qb7) 이외에, 다른 시각의 채널 B의 파일롯 심볼을 이용하여 구하더라도 된다.
이에 따라,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6)는, 예를 들면, 상기 (Ia0, Qa0), (Ia1, Qa1), (Ia2, Qa2), (Ia3, Qa3), (Ia4, Qa4), (Ia5, Qa5), (Ia6, Qa6), (Ia7, Qa7)을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07)로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8)는, 예를 들면, 상기 (Ib0, Qb0), (Ib1, Qb1), (Ib2, Qb2), (Ib3, Qb3), (Ib4, Qb4), (Ib5, Qb5), (Ib6, Qb6), (Ib7, Qb7)을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07)로서 출력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I, Q)의 표현으로 전송로 왜곡을 표현하고 있지만, 파워 및 위상에 의한 표현이라도 되고, 파워 및 위상에 의한 표현을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07) 및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09)로 해도 된다.
이상과 마찬가지로 해서, 도 5에서의 안테나(513)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16) 및 직교 성분(517)으로부터,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19)에서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19)가,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20)에서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20)가 출력된다.
신호 처리부(525)는,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07),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09),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19),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21),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11) 및 직교 성분(512),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30) 및 직교 성분(531)을 입력으로 하여, 이들 기지(旣知)의 신호로부터 행렬 연산을 함으로써 미지의 신호인 채널 A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 및 채널 B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를 구할 수 있어, 그들을 채널 A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26) 및 직교 성분(527), 채널 B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30) 및 직교 성분(531)으로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채널 A와 채널 B의 변조 신호의 분리가 가능해져, 복조가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 장치에서의 채널 A와 채널 B의 변조 신호의 분리의 정밀도는 파일롯 심볼의 수신 품질에 의존한다. 이로 인해, 파일롯 심볼의 대(對)잡음 내성을 강하게 하면, 채널 A와 채널 B의 변조 신호의 분리의 정밀도가 향상하여, 수신 데이터의 품질이 향상하게 된다. 그 수단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파일롯 심볼의 원점부터의 진폭을 Ap, QPSK의 원점으로부터의 최대 신호점 진폭을 Aq로 한다. 이 때, Ap>Aq로 함으로써 파일롯 심볼의 대잡음 내성이 향상하여, 채널 A와 채널 B의 변조 신호의 분리의 정밀도가 향상되어, 수신 데이터의 품질이 향상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채널 A의 프레임 구성에서의 채널 A의 파일롯 심볼(701, 702 및 706, 707), 채널 B의 프레임 구성에서의 (712, 713 및 717, 718)과 같이 시간축에서 연속하여 파일롯 심볼을 배치함으로써, 파일롯 심볼의 대잡음 내성이 향상하여, 채널 A와 채널 B의 변조 신호의 분리의 정밀도가 향상되어, 수신 데이터의 품질이 향상하게 된다. 단, 도 7에 나타내는 2 심볼 연속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중하는 채널 수를 2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레임 구성은 도 1, 도 6, 도 7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파일롯 심볼을 예로 설명했지만, 채널을 분리하기 위한 심볼은 파일롯 심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조를 위한 심볼이면, 마찬가지로 실시가 가능하다. 이 때, 복조를 위한 심볼이란, 예컨대, 파일롯 심볼, 단일(unique) 워드, 동기 심볼, 프리앰블 심볼, 제어 심볼, 테일 심볼, 콘트롤 심볼, 기지 PSK 변조 심볼, 데이터를 부가한 PSK 변조 심볼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데이터 심볼의 변조 방식은 QPSK 변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채널의 변조 방식이 상이하더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모든 채널이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을 이용하더라도 된다. 또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을 이용하고 있지 않은 방식이 혼재하고 있더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송신 장치의 구성은 도 2, 도 3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채널 수가 증가한 경우, 그에 따라 도 2의 (201) 내지 (208)로 구성하는 부분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은 도 5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채널 수가 증가한 경우, 채널 추정부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의 안테나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있으며, "안테나"라고 표기하고 있지만,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부로 생각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채널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에서, 전송로 왜곡을 추정했지만, 이 대신에, 전송로의 변동을 추정하더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는, 전송로 왜곡을 추정하는 전송로 왜곡 추정부 대신에, 전송로의 변동을 추정하는 전송로 변동 추정부를 이용한다. 이 경우의 출력 신호는 전송로의 변동 추정 신호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는 송신 방법에 있어서, 어떤 채널에 복조를 위한 심볼을 삽입한 시각의 다른 채널의 심볼에서는, 동상-직교 평면에서의 동상 및 직교 신호는 0의 신호로 하는 송신 방법, 그 송신 방법에서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로 함으로써, 동일 주파수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향상함과 동시에,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다중 변조 신호를 용이하게 분리 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각 안테나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를 추정하여, 각 수신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 추정 신호를 출력하는 전계 강도 추정부를 구비하고, 각 안테나의 어떤 채널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각 안테나의 어떤 채널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의 위상차를 구해서, 위상차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차 추정부를 구비하며, 각 안테나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 각 안테나에서의 각 채널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 상기 수신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 추정 신호, 상기 위상차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수신 신호로부터 각 채널의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 각 채널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신호 선택부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실시예에서의 설명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도 1의 프레임 구성의 변조 신호를 도 2의 송신 장치에서 송신했을 때를 예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무선부(803)는 안테나(80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802)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을 출력한다.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06)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을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실시예 1에서의 도 5에 있어서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6)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해서, 채널 A 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07)를 출력한다.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08)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을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실시예 1에서의 도 5에 있어서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6)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해서,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09)를 출력한다.
지연부(810)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을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07) 및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09)를 구하는데 요한 시간 지연한,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11) 및 직교 성분(812)을 출력한다.
무선부(815)는, 안테나(813)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814)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16) 및 직교 성분(817)을 출력한다.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18)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16) 및 직교 성분(817)을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실시예 1에서의 도 5에 있어서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6)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해서,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19)를 출력한다.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20)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16) 및 직교 성분(817)을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실시예 1에서의 도 5에 있어서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6)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해서,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1)를 출력한다.
지연부(822)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16) 및 직교 성 분(817)을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19) 및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1)를 구하는데 요한 시간 지연한,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23) 및 직교 성분(824)을 출력한다.
무선부(827)는, 안테나(825)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826)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28) 및 직교 성분(829)을 출력한다.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30)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28) 및 직교 성분(829)을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실시예 1에서의 도 5에 있어서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6)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해서,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31)를 출력한다.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32)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28) 및 직교 성분(829)을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실시예 1에서의 도 5에 있어서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6)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해서,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33)를 출력한다.
지연부(834)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28) 및 직교 성분(829)을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31) 및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33)를 구하는데 요한 시간 지연한,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35) 및 직교 성분(836)을 출력한다.
무선부(839)는, 안테나(837)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838)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40) 및 직교 성분(841)을 출력한다.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42)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 분(840) 및 직교 성분(841)을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실시예 1에서의 도 5에 있어서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6)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해서,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43)를 출력한다.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44)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40) 및 직교 성분(841)을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실시예 1에서의 도 5에 있어서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6)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해서,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45)를 출력한다.
지연부(846)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40) 및 직교 성분(841)을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43) 및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45)를 구하는데 요한 시간 지연한,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47) 및 직교 성분(848)을 출력한다.
전계 강도 추정부(849)는, 수신 신호(802), 수신 신호(814), 수신 신호(826) 수신 신호(838)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신호(802)의 수신 전계 강도, 수신 신호(814)의 수신 전계 강도, 수신 신호(826)의 전계 강도, 수신 신호(838)의 전계 강도를 추정하여, 추정한 값을 수신 전계 강도 추정 신호(850)로서 출력한다.
위상차 추정부(851)는,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07),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19),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31),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43)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07)와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19)의 동상-직교 평면에서의 위상차를 예로 하는, 각각의 위상차를 구해서, 채널 A의 위상차 추정 신호(852)로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위상차 추정부(853)는,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09),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1),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33),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45)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09)와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1)의 동상-직교 평면에서의 위상차를 예로 하는, 각각의 위상차를 구해서, 채널 B의 위상차 추정 신호(854)로서 출력한다.
신호 선택부(855)는,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07),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09),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11) 및 직교 성분(812),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19),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1),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23) 및 직교 성분(824),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31),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33),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35) 및 직교 성분(836),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43),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45),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47) 및 직교 성분(848), 전계 강도 추정 신호(850), 채널 A의 위상차 추정 신호(852), 채널 B의 위상차 추정 신호(854)를 입력으로 하여, 전계 강도 추정 신호(850), 채널 A의 위상차 추정 신호(852), 채널 B의 위상차 추정 신호(854)를 입력으로부터, 가장 양호한 정밀도로 채널 A와 채널 B의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안테나로부터의 신호군을 선택하여, 신호군(856 및 857)을 출력한다.
단, 신호군이란, 예컨대, 안테나(80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에 의한 채널 A 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07),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09),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11) 및 직교 성분(812)을 의미한다.
신호 처리부(858)는, 신호군(856 및 857)을 입력으로 하여, 실시예 1에서의 도 5의 신호 처리부(525)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하여, 채널 A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59) 및 직교 성분(860), 채널 B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61) 및 직교 성분(862)을 출력한다.
복조부(863)는, 채널 A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59) 및 직교 성분(860)을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수신 디지털 신호(864)를 출력한다.
복조부(865)는, 채널 B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61) 및 직교 성분(862)을 입력으로 하여, 채널 B의 수신 디지털 신호(866)를 출력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8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전계 강도 추정부(9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16) 및 직교 성분(817),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28) 및 직교 성분(829),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40) 및 직교 성분(841)을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의 수신 전계 강도,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16) 및 직교 성분(817)의 수신 전계 강도,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28) 및 직교 성분(829)의 수신 전계 강도,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40) 및 직교 성분(841)의 수신 전계 강도를 추 정해서, 수신 전계 강도 추정 신호(850)로서 출력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서의 어떤 채널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1001)은 안테나(80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어떤 채널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이고, (I801, Q801)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1002)는 안테나(813)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어떤 채널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이며, (I813, Q813)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1003)은 안테나(825)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어떤 채널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이며, (I825, Q825)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1004)는 안테나(837)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어떤 채널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이며, (I837, Q837)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도 8, 도 10을 이용하여, 수신 장치의 동작, 특히, 위상차 추정부(851, 853) 및 신호 선택부(855)에 대해 설명한다.
위상차 추정부(851)에 있어서,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07)로서 도 10의 (1001)이,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19)로서 도 10의 (1002)가,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31)로서 도 10의 (1003)이,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43)로서 도 10의 (1004)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I-Q 평면에서의 (I801, Q801)와 (I813, Q813)의 위상차, (I801, Q801)와 (I825, Q825)의 위상차, (I801, Q801)와 (I837, Q837)의 위상차, (I813, Q813)와 (I825, Q825)의 위상차, (I813, Q813)와 (I837, Q837)의 위상차, (I825, Q825)와 (I837, Q837)의 위상차를 구하여, 채널 A의 위상차 추정 신호(852)로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위상차 추정부(853)에 있어서, 채널 B의 위상차 추정 신호(854)를 출력한다.
다음에, 신호 선택부(855)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채널 A의 위상차 추정 신호(852) 즉 (I801, Q801)과 (I813, Q813)의 위상차, (I801, Q801)와 (I825, Q825)의 위상차, (I801, Q801)와 (I837, Q837)의 위상차, (I813, Q813)와 (I825, Q825)의 위상차, (I813, Q813)과 (I837, Q837)의 위상차, (I825, Q825)와 (I837, Q837)의 위상차로서, 각각 0으로부터 π의 값을 취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I801, Q801)과 (I813, Q813)의 위상차를 θ로 했을 때, θ의 절대값을 구한다. 그리고, 다른 위상차에 대해서 절대값을 구한다.
또한, 채널 B의 위상 추정 신호(85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관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신호 선택부(855)는, 입력된 채널 A의 위상차 추정 신호(852), 채널 B의 위상 추정 신호(854)로부터, 선택하는 최적의 안테나 2 계통을 선택한다. 그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예컨대, 안테나(801) 및 안테나(813)에서 수신한 신호의 채널 A의 위상차가 0이고, 채널 B의 위상차가 0으로 얻어졌다고 한다. 이 때는, 안테나(801, 813)에서 수신하여 얻어진 신호를 신호군(856, 857)으로서는 선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안테나(801) 및 안테나(813)에서 수신한 신호의 채널 A의 위상차가 0이고, 채널 B의 위상차가 π로 얻어졌다고 한다. 이 때는, 안테나(801, 813)에서 수신하여 얻어진 신호를 신호군(856, 857)으로서는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전계 강도 추정 신호(850)로부터, 안테나(801)로부터의 수신 신호, 안테나(813)로부터의 수신 신호, 안테나(825)로부터의 수신 신호(825)로부터의 수신 신호, 안테나(837)로부터의 수신 신호(838)의 수신 전계 강도의 크기를 순위지어, 수신 전계 강도가 강한 신호를 신호군(856, 857)으로서 선택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위상차 및 수신 전계 강도로부터 최적의 신호군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신호군(856, 857)으로서 출력한다. 예컨대, 안테나(80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과 안테나(813)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의 위상차와 안테나(80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과 안테나(813)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의 위상차에 상관없이, 안테나(801)의 수신 전계 강도와 안테나(813)의 수신 전계 강도가, 다른 안테나의 수신 강도가 강한 경우,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07),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09),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11) 및 직교 성분(812)을 신호군(856)으로서,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19),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1),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23) 및 직교 성분(824)을 신호군(857)으로서 출력한다.
도 9에 있어서, 도 8과 비교하여, 전계 강도 추정부의 구성이 상이하다. 도 9에 있어서, 수신 전계 강도 추정부(9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16) 및 직교 성분(817),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28) 및 직교 성분(829),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40) 및 직교 성분(841)으로부터 각각의 수신 전계 강도를 구하고 있는 점이 도 8과는 다른 점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도 1의 프레임 구성의 송신 신호를 예로 설명했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채널 수를 2 채널로 설명했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채널 수가 증가한 경우, 전송로 왜곡 추정부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각각의 채널의 변조 방식이 상이하더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모든 채널이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을 이용하더라도 된다. 또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을 이용하고 있지 않은 방식이 혼재하고 있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수신 장치에서 안테나가 4개 이상 존재하면, 수신 감도가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의 안테나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있으며, "안테나"라고 표기하고 있지만,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부라고 생각하더라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안테나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를 추정하여, 각 수신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 추정 신호를 출력하는 전계 강도 추정부를 구비하며, 각 안테나의 어떤 채널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각 안테나의 어떤 채널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의 위상차를 구해서, 위상차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차 추정부를 구비하며, 각 안테나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 각 안테나에서의 각 채널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 상기 수신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 추정 신호, 상기 위상차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각 채널의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 각 채널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신호 선택부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로 함으로써, 양호한 정밀도로 다중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신호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전송로 왜곡을 추정하는 심볼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전송로 왜곡을 추정하는 심볼은 부호가 승산되고, 각 안테나에서의 상기 전송로 왜곡을 추정하는 심볼은 동일 시각에 배치되며, 각 안테나에서의 상기 부호는 서로 직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그 송신 방법에서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서의 시간축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인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프레임 구성(1120)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프레임 구성(1130)을 나타내고 있으며, (1101, 1103, 1105)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A의 파일롯 심볼을 나타내고 있으며, 부호가 승산되어 있다. (1102, 1104)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고 있으며, 부호가 승산되어 있다.
(1106, 1108, 1110)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파일롯 심볼을 나타내고 있으며, 부호가 승산되어 있다. (1107, 1109)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고 있으며, 부호가 승산되어 있다.
그리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파일롯 심볼(1101),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파일롯 심볼(1106)이 동 시간에서의 심볼로 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데이터 심볼(1102),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데이터 심볼(1107) 이 동 시간에서의 심볼로 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파일롯 심볼(1103),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파일롯 심볼(1108)이 동 시간에서의 심볼로 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데이터 심볼(1104),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데이터 심볼(1109)이 동 시간에서의 심볼로 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파일롯 심볼(1105),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파일롯 심볼(1110)이 동 시간에서의 심볼로 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서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송신부(1220)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송신부(1230)와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1217)로 이루어진다.
이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송신부(1220)는 변조 신호 생성부(1202)와 무선부(1204)와 전력 증폭부(1206)와 안테나(1208)로 구성되어 있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송신부(1230)는 변조 신호 생성부(1210)와 무선부(1212)와 전력 증폭부(1214)와 안테나(1216)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구성 신호(1217)는 도 11의 프레임 구성을 프레임 구성 신호(1218)로서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변조 신호 생성부(1202)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송신 디지털 신호(1201), 프레임 구성 신호(1218)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변조 신호(1203)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무선부(1204)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변조 신호(1203)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송신 신호(1205) 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력 증폭부(1206)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송신 신호(1205)를 입력으로 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송신 신호(1207)를 출력해서, 전파로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안테나(1208)로부터 출력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변조 신호 생성부(1210)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송신 디지털 신호(1209), 프레임 구성 신호(1218)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변조 신호(1211)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무선부(1212)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변조 신호(1211)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송신 신호(1213)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력 증폭부(1214)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송신 신호(1213)를 입력으로 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송신 신호(1215)를 출력해서, 전파로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안테나(1216)로부터 출력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서의 도 12의 변조 신호 생성부(1202, 12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파일롯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1301)는, 파일롯 심볼을 위한 부호 Cpa(t)(1302)를 입력으로 하여, 파일롯 심볼과 파일롯 심볼을 위한 부호 Cpa(t)(1302)를 승산해서,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03) 및 직교 성분(1304)을 출력한다.
1차 변조부(1306)는, 송신 디지털 신호(1305)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0의 1차 변조 후의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07) 및 직교 성분(1308)을 출력한다.
확산부(1309)는, 채널 0의 1차 변조 후의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07) 및 직교 성분(1308), 채널 0을 위한 부호 C0a(t)(1310),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1320)의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근거해서 채널 0의 1차 변조 후의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07) 및 직교 성분(1308)과 채널 0을 위한 부호 C0a(t)(1310)를 승산하여, 채널 0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11) 및 직교 성분(1312)을 출력한다.
1차 변조부(1313)는, 송신 디지털 신호(1305)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1의 1차 변조 후의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14) 및 직교 성분(1315)을 출력한다.
확산부(1316)는, 채널 1의 1차 변조 후의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14) 및 직교 성분(1315), 채널 1을 위한 부호 C1a(t)(1317),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1320)의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근거해서 채널 1의 1차 변조 후의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14) 및 직교 성분(1315)과 채널 1을 위한 부호 C1a(t)(1317)를 승산하여, 채널 1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18) 및 직교 성분(1319)을 출력한다.
가산부(1321)는, 채널 0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11) 및 채널 1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18)을 입력으로 하여 가산해 서, 가산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22)을 출력한다.
가산부(1323)는, 채널 0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1312) 및 채널 1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19)을 입력으로 하여 가산하고, 가산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1324)을 출력한다.
동상 성분 전환부(1325)는,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03), 가산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22),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1320)의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근거해서,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03), 가산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22)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26)을 출력한다.
직교 성분 전환부(1327)는,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1304), 가산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1324),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1320)의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근거해서,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1304), 가산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1324)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1328)을 출력한다.
직교 변조기(1329)는,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26) 및 직교 성분(1328)을 입력으로 하여 직교 변조하고, 변조 신호(1330)를 출력한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서의 시간축에 있어서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파일롯 심볼 구성(1420)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파일롯 심볼 구성(1430)에 서의, 파일롯 심볼과 승산하는 부호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1401)은 시각 0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확산 부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Cpa(0)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1402)는 시각 1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확산 부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Cpa(1)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1403)는 시각 2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확산 부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Cpa(2)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1404)는 시각 3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확산 부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Cpa(3)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1405)는 시각 4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확산 부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Cpa(4)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1406)은 시각 5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확산 부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Cpa(5)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1407)은 시각 6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확산 부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Cpa(6)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1408)은 시각 7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확산 부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Cpa(7)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확산 부호 Cpa는 시각 0부터 시각 7로 1 주기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1409)는 시각 0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확산 부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Cpb(0)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1410)는 시각 1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확산 부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Cpb(1)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1411)은 시각 2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확산 부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Cpb(2)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1412)는 시각 3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확산 부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Cpb(3)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1413은 시각 4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확산 부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Cpb(4)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1414)는 시각 5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확산 부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Cpb(5)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1415)는 시각 6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확산 부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Cpb(6)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1416)은 시각 7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확산 부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Cpb(7)로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확산 부호 Cpb는 시각 0부터 시각 7로 1 주기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04) 및 직교 성분(505)을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을 추정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502)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04) 및 직교 성분(505)을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을 추정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504)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16) 및 직교 성분(517)을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을 추정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506)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7)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16) 및 직교 성분(517)을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을 추정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508)를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1509)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502),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504),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11) 및 직교 성분(512),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506),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508),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523) 및 직교 성분(524)을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510) 및 직교 성분(1511),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512) 및 직교 성분(1513)을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 복조부(1514)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510) 및 직교 성분(1511)을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수신 디지털 신호군(1515)을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 복조부(1516)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512) 및 직교 성분(1513)을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수신 디지털 신호군(1517)을 출력한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서의 도 15의 스펙트럼 확산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1, 1505),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3, 1507)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파일롯 심볼 역확산부(16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601) 및 직교 성분(1602), 확산 부호(1604)를 입력으로 하여, 역확산 후의 파일롯 심볼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605) 및 직교 성분(1606)을 출력한다.
전송로 왜곡 추정부(1607)는, 역확산 후의 파일롯 심볼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605) 및 직교 성분(1606)을 입력으로 하여,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608)를 출력한다.
도 17은 시간축에서의 프레임 구성(1710)과 전송로 왜곡량(1720)을 나타내고 있으며, (1701)은 시각 0에서의 파일롯 심볼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송로 왜곡을 (I0, Q0)로 한다. (1702)는 시각 1에서의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송로 왜곡을 (I1, Q1)로 한다. (1703)은 시각 2에서의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송로 왜곡을 (I2, Q2)로 한다. (1704)는 시각 3에서의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송로 왜곡을 (I3, Q3)로 한다. (1705)는 시각 4에서의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송로 왜곡을 (I4, Q4)로 한다. (1706)은 시각 5에서의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송로 왜곡을 (I5, Q5)로 한다. (1707)은 시각 6에서의 파일롯 심볼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송로 왜곡을 (I6, Q6)로 한다.
도 11, 도 12, 도 13, 도 14를 이용하여 송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 다.
도 11의 동 시각 파일롯 심볼인,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파일롯 심볼(1101)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파일롯 심볼(1106)의 구성에 대하여 도 14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파일롯 심볼 1 심볼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파일롯 심볼(1101)은 부호 Cpa가 승산되어, 예컨대, (1401, 1402, 1403, 1404, 1405, 1406, 1407, 1408)의 확산 부호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도 11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파일롯 심볼(1106)은 부호 Cpb가 승산되어, 예컨대, (1409, 1410, 1411, 1412, 1413, 1414, 1415, 1416)의 확산 부호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파일롯 심볼에 승산되는 확산 부호 Cpa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파일롯 심볼에 승산되는 확산 부호 Cpb는 직교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송신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있어서, 프레임 구성 생성부(1217)는 도 11에 나타낸 프레임 구성의 정보를 프레임 구성 신호(1218)로서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변조 신호 생성부(1202)는, 프레임 구성 신호(1218),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송신 디지털 신호(120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변조 신호(1203)를 출력한다. 그리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변조 신호 생성부(1210)는, 프레임 구성 신호(1218),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송신 디지털 신호(1209)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변조 신호(1211)를 출력한다.
이 때의 변조 방식 생성부(1202 및 1210)의 동작을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송신부에서, 도 13의 파일롯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1301)는, 파일롯 심볼을 위한 부호(1302),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도 14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 파일롯 심볼 구성에 따른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03) 및 직교 성분(1304)을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송신부에서, 도 13의 파일롯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1301)는, 파일롯 심볼을 위한 부호(1302),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도 14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 파일롯 심볼 구성에 따른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03) 및 직교 성분(1304)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파일롯 심볼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파일롯 심볼의 확산 부호를 직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15, 도 16,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의 안테나(501)에서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가 혼재한 수신 신호(502)를 수신하고, 무선부(503)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가 혼재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 상 성분(504) 및 직교 성분(505)을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1) 및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3)의 동작을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서의 파일롯 심볼 역확산부(1603)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가 혼재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601) 및 직교 성분(1602),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파일롯 심볼을 위한 확산 부호(1604)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가 혼재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601) 및 직교 성분(1602)에서의 파일롯 심볼을 검출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가 혼재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601) 및 직교 성분(1602)에서의 파일롯 심볼 부분을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파일롯 심볼을 위한 확산 부호(1604)로 역확산을 실시하여, 역확산 후의 파일롯 심볼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605) 및 직교 성분(1606)을 출력한다.
이 때,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601) 및 직교 성분(1602)에서의 파일롯 부분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성분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부호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부호가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역확산을 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전송로 왜곡 추정부(1607)에 대해서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입력되는 역확산 후의 파일롯 심볼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605) 및 직교 성분(1606)으로부터, 도 17에서의 파일롯 심볼의 전송로 왜곡 (I0, Q0) 및 (I6, Q6)이 구해진다. 그리고, 파일롯 심볼의 전송로 왜곡 (I0, Q0) 및 (I6, Q6)로부터 데이터 심볼의 전송로 왜곡 (I1, Q1), (I2, Q2), (I3, Q3), (I4, Q4), (I5, Q5)를 구하여, 이들을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608)로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3)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가 혼재한 수신 신호(502)에서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504)를 출력한다. 그리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5) 및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7)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가 혼재한 수신 신호(514)로부터, 각각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506) 및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508)를 출력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I, Q)의 표현으로 전송로 왜곡을 표현하고 있지만, 파워 및 위상에 의한 표현이라도 무방하고, 파워 및 위상에 의한 표현을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502, 1506),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506, 1508)로 해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변조 신호의 분리가 가능해져, 복조가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 장치에서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변조 신호의 분리의 정밀도는 파일롯 심볼의 수신 품질에 의존한다. 이로부터, 파일롯 심볼의 대잡음 내성을 강하게 하면,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변조 신호의 분리의 정밀도가 향상되어, 수신 데이터의 품질이 향상하게 된다. 따라서, 파일롯 심볼만 송신 전력 파워를 데이터 심볼의 송신 전력 파워보다 크게 함으로써, 파일롯 심볼의 대잡음 내성이 향상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변조 신호의 분리의 정밀도가 향상되어, 수신 데이터의 품질이 향상하게 된다.
단, 본 실시예에서, 다중하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수를 2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레임 구성은 도 11, 도 14, 도 1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파일롯 심볼을 예로 설명하여 전송로 왜곡이 추정 가능하면, 마찬가지로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 B 모두 다중수를 2 채널이라고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의 송신 장치의 구성은 도 12, 도 13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수가 증가한 경우, 그에 따라, 도 12의 (1201)로부터 (1208)로 구성하는 부분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채널 수가 증가한 경우, 그에 따라, 도 13의 (1306, 1309)로 구성하는 부분이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은 도 15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수가 증가한 경우,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의 안테나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있으며, "안테나"라고 표기하고 있지만,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부라고 생각하더라 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신호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 전송로 왜곡을 추정하는 심볼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전송로 왜곡을 추정하는 심볼은 부호가 승산되고, 각 안테나에서의 상기 전송로 왜곡을 추정하는 심볼은 동일 시각에 배치되며, 각 안테나에서의 상기 부호는 서로 직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그 송신 방법에서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로 함으로써, 동일 주파수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향상함과 동시에,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다중 변조 신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각 송신 안테나로부터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변조 신호를 동일 주파수 대역에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고, 각 안테나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를 추정하여, 각 수신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 추정 신호를 출력하는 전계 강도 추정부를 구비하며, 각 안테나의 어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각 안테나의 어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의 위상차를 구해서, 위상차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차 추정부를 구비하며, 각 안테나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 각 안테나에서의 각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 상기 수신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 추정 신호, 상기 위상차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각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 각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신호 선택부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실시예에서의 설명은 실시예 3에서 설명한, 도 11의 프레임 구성의 변조 신호를 도 12의 송신 장치에서 송신했을 때를 예로 설명한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8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8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을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실시예 3에서의 도 15에 있어서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1)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2)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8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을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실시예 3에서의 도 15에 있어서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1)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4)를 출력한다.
지연부(18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 분(805)을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2) 및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4)를 구하는데 요한 시간 지연한,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806) 및 직교 성분(1807)을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808)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을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실시예 3에서의 도 15에 있어서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1)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9)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810)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을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실시예 3에서의 도 15에 있어서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1)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11)를 출력한다.
지연부(1812)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을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9) 및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11)를 구하는데 요한 시간 지연한,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813) 및 직교 성분(1814)을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815)는, 수신 직교 베이 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을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실시예 3에서의 도 15에 있어서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1)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16)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817)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을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실시예 3에서의 도 15에 있어서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1)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18)를 출력한다.
지연부(1819)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을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16) 및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18)를 구하는데 요한 시간 지연한,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820) 및 직교 성분(1821)을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822)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을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실시예 3에서의 도 15에 있어서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1)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23)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824)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을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실시예 3에서의 도 15에 있어서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1501)의 설명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25)를 출력한다.
지연부(1826)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을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23) 및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25)를 구하는데 요한 시간 지연한,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827) 및 직교 성분(1828)을 출력한다.
위상차 추정부(1829)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2),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9),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16),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23)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2)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9)의 동상-직교 평면에서의 위상차를 예로 하는, 각각의 위상차를 구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위상차 추정 신호(1830)로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위상차 추정부(1831)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4),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11),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18),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25)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4)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11)의 동상-직교 평면에서의 위상차를 예로 하는, 각각의 위상차를 구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위상차 추정 신호(1832)로서 출력한다.
신호 선택부(1833)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2),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4),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806) 및 직교 성분(1807),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9),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11),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813) 및 직교 성분(1814),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16),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18),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820) 및 직교 성분(1821),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23),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25),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827) 및 직교 성분(1828), 전계 강도 추정 신호(850),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위상차 추정 신호(1830),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위상차 추정 신호(1832)를 입력으로 하여, 전계 강도 추정 신호(850),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위상차 추정 신호(1830),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위상차 추정 신호(1832)를 입력으로부터, 가장 양호한 정밀도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안테나로부터의 신호군을 선택하고, 신호군(1834 및 1835)을 출력한다.
단, 신호군이란, 예를 들면, 안테나(80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에 의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2),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4),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806) 및 직교 성분(1807)을 의미한다.
신호 처리부(1836)는, 신호군(1834 및 1835)을 입력으로 하여, 실시예 3에서의 도 15의 신호 처리부(1509)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837) 및 직교 성분(1838),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839) 및 직교 성분(1840)을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복조부(1841)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837) 및 직교 성분(1838)을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수신 디지털 신호(1842)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복조부(1843)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839) 및 직교 성분(1840)을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수신 디지털 신호(1844)를 출력한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8과 도 18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서의 어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1001)은 안테나(80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어떤 스펙 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이며, (I801, Q801)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1002)는 안테나(813)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어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이며, (I813, Q813)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1003)은 안테나(825)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어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이며, (I825, Q825)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1004)는 안테나(837)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어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이며, (I837, Q837)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도 10, 도 18을 이용하여, 수신 장치의 동작, 특히, 위상차 추정부(1829, 1831)에 대해서 설명한다.
위상차 추정부(1829)에 있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2)로서 도 10의 (1001)이,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9)로서 도 10의 (1002)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16)로서 도 10의 (1003)이,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23)로서 도 10의 (1004)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I-Q 평면에서의 (I801, Q801)와 (I813, Q813)의 위상차, (I801, Q801)와 (I825, Q825)의 위상차, (I801, Q801)와 (I837, Q837)의 위상차, (I813, Q813)와 (I825, Q825)의 위상차, (I813, Q813)과 (I837, Q837)의 위상차, (I825, Q825)와 (I837, Q837)의 위상차를 구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위상차 추정 신호(852)로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위상차 추정부(1831)에 있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위상차 추정 신호(1832)를 출력한다.
다음에, 신호 선택부(1833)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위상차 추정 신호(1830) 즉 (I801, Q801)과 (I813, Q813)의 위상차, (I801, Q801)와 (I825, Q825)의 위상차, (I801, Q801)와 (I837, Q837)의 위상차, (I813, Q813)와 (I825, Q825)의 위상차, (I813, Q813)와 (I837, Q837)의 위상차, (I825, Q825)와 (I837, Q837)의 위상차로서, 각각 0으로부터 π의 값을 취하게 된다. 예를 들면, (I801, Q801)과 (I813, Q813)의 위상차를 θ로 했을 때, θ의 절대값을 구한다. 그리고, 다른 위상차에 대해서 절대값을 구한다.
또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위상 추정 신호(183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관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신호 선택부(1833)는 입력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위상차 추정 신호(1830),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위상 추정 신호(1832)로부터 선택하는 최적의 안테나 2 계통을 선택한다. 그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예컨대, 안테나(801) 및 안테나(813)에서 수신한 신호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위상차가 0으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위상차가 0으로 얻어졌다고 한다. 이 때는, 안테나(801, 813)에서 수신하여 얻어진 신호를 신호군(856, 857)으로서는 선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안테나(801) 및 안테나(813)에서 수신한 신호의 채널 A의 위상차가 0으로, 채널 B의 위상차가 π로 얻어졌다고 한다. 이 때는, 안테나(801, 813)에서 수신하여 얻어진 신호를 신호군(1834, 1835)으로서 는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전계 강도 추정 신호(850)로부터, 안테나(801)로부터의 수신 신호, 안테나(813)로부터의 수신 신호, 안테나(825)로부터의 수신 신호(825)로부터의 수신 신호, 안테나(837)로부터의 수신 신호(838)의 수신 전계 강도가 강의 크기를 순위지어, 수신 전계 강도가 강한 신호를 신호군(1834, 1835)으로서 선택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위상차 및 수신 전계 강도로부터, 최적의 신호군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신호군(1834, 1835)으로서 출력한다. 예컨대, 안테나(801)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과 안테나(813)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의 위상차와 안테나(801)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과 안테나(813)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의 위상차에 상관없이, 안테나(801)의 수신 전계 강도와 안테나(813)의 수신 전계 강도가, 다른 안테나의 수신 강도가 강한 경우,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2),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4),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806) 및 직교 성분(1807)을 신호군(1834)으로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09),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1811), 지연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813) 및 직교 성분(1814)을 신호군(1835)으로서 출력한다.
도 19에 있어서, 도 18과 비교하여, 전계 강도 추정부의 구성이 상이하다. 도 19에 있어서, 수신 전계 강도 추정부(9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04) 및 직교 성분(805),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16) 및 직교 성분(817),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28) 및 직교 성분(829),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840) 및 직교 성분(841)으로부터 각각의 수신 전계 강도를 구하고 있는 점이 도 18과는 다른 점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도 11의 프레임 구성의 송신 신호를 예로 설명했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수를 2로 설명했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수가 증가한 경우, 전송로 왜곡 추정부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 B 모두 다중수를 2 채널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수신 장치에서 안테나가 4개 이상 존재하면, 수신 감도가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의 안테나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있으며, "안테나"라고 표기하고 있지만,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부라고 생각하더라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송신 안테나로부터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변조 신호를 동일 주파수 대역에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여, 각 안테나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를 추정해서, 각 수신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 추정 신호를 출력하는 전계 강도 추정부를 구비하며, 각 안테나의 어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각 안테나의 어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의 위상차를 구해서, 위상차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차 추정부를 구비하며, 각 안테나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 각 안테나에서의 각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 상기 수신 신호의 수신 전계 강도 추정 신호, 상기 위상차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각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 각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를 선택해서 출력하는, 신호 선택부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로 함으로써, 양호한 정밀도로 다중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는,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에 있어서, 어떤 채널에 삽입하는 복조를 위한 심볼은 연속한 복수 심볼로 구성되고, 각 채널의 복조를 위한 심볼은 동일 시각에 배치되며, 서로 직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송신 방법, 그 송신 방법에서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서의 시간축에 있어서의 채널 A의 프레임 구성(2020) 및 채널 B의 프레임 구성(2030)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2001, 2002, 2003, 2004, 2006, 2007, 2008, 2009)는 채널 A의 파일롯 심볼, (2005)는 채널 A의 데이터 심볼, (2010, 2011, 2012, 2013, 2015, 2016, 2017, 2018)은 채널 B의 파일롯 심볼, (2014)는 채널 B의 데이터 심볼이다.
도 21은 채널 A, 채널 B의 파일롯 심볼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2101, 2102)는 파일롯 심볼의 신호점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서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도 2의 변조 신호 생성부(202, 212)의 상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데이터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2202)는, 송신 디지털 신호(2201) 및 프레임 구성 신호(2208)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2208)가 데이터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예컨대 QPSK 변조해서 데이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203) 및 직교 성분(2204)을 출력한다.
파일롯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2205)는, 프레임 구성 신호(2208)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이 파일롯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206) 및 직교 성분(2207)을 출력한다.
동상 성분 전환부(2209)는, 데이터 심볼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203),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206), 프레임 구성 신호(2208)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2208)로 표시된 심볼에 상당하는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210)으로서 출력한다.
직교 성분 전환부(2211)는, 데이터 심볼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2204),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2207), 프레임 구성 신호(2208)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2208)로 표시된 심볼에 상당하는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2212)으로서 출력한다.
직교 변조기(2213)는,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210) 및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2212)을 입력으로 하여, 직교 변조해서 변조 신호(2214)를 출력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시간축에서의 전송로 왜곡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1701)은 시각 0에서의 상관 연산에 의해서 얻어진 전송로 왜곡을 (I0, Q0)로 한다. (1702)는 시각 1에서의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송로 왜곡을 (I1, Q1)로 한다. (1703)은 시각 2에서의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송로 왜곡을 (I2, Q2)로 한다. (1704)는 시각 3에서의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송로 왜곡을 (I3, Q3)로 한다. (1705)는 시각 4에서의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송로 왜곡을 (I4, Q4)로 한다. (1706)은 시각 5에서의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송로 왜곡을 (I5, Q5)로 한다. (1707)은 시각 6에서의 상관 연산에 의해서 얻어진 전송로 왜곡을 (I6, Q6)로 한다.
도 23은 본 실시예에서의 도 5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6, 518),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8, 52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파일롯 심볼 상관 연산부(23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301) 및 직교 성분(2302), 파일롯 심볼 계열(2304)을 입력으로 하여, 상관 연산 후의 파일롯 심볼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305) 및 직교 성분(2306)을 출력한다.
전송로 왜곡 추정부(2307)는, 상관 연산 후의 파일롯 심볼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305) 및 직교 성분(2306)을 입력으로 하여,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308)를 출력한다.
그리고, 도 20, 도 21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송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에서의 시각 0의 채널 A의 파일롯 심볼(2001)의 신호점을 도 21의 (2101)(1, 1)에 배치한다. 시각 1의 채널 A의 파일롯 심볼(2002)의 신호점을 도 21의 (2101)(1, 1)에 배치한다. 시각 2의 채널 A의 파일롯 심볼(2003)의 신호점을 도 21의 (2101)(-1, -1)에 배치한다. 시각 3의 채널 A의 파일롯 심볼(2004)의 신호점을 도 21의 (2102)(1, 1)에 배치한다.
그리고, 시각 0의 채널 B의 파일롯 심볼(2010)의 신호점을 도 21의 (2101)(1, 1)에 배치한다. 시각 1의 채널 B의 파일롯 심볼(2011)의 신호점을 도 21의 (2101)(1, 1)에 배치한다. 시각 2의 채널 B의 파일롯 심볼(2012)의 신호점을 도 21의 (2102)(-1, -1)에 배치한다. 시각 3의 채널 B의 파일롯 심볼(2013)의 신호점을 도 21의 (2102)(-1, -1)에 배치한다.
마찬가지로, (2006)은 (2001)과 신호점 배치를 동일하게 하고, (2007)은 (2002), (2008)은 (2003), (2004)는 (2009), (2015)는 (2010), (2016)은 (2011), (2017)은 (2012), (2018)은 (2013)과 신호점 배치를 동일하게 한다.
이와 같이, 채널 A의 연속한 파일롯 심볼(2001, 2002, 2003, 2004)과 채널 B의 연속한 파일롯 심볼(2010, 2011, 2012, 2013)의 상관이 0으로 되도록 한다.
다음에, 도 2, 도 22를 이용하여, 송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09)는, 도 20에 나타낸 프레임 구 성의 정보를 프레임 구성 신호(210)로서 출력한다. 채널 A의 변조 신호 생성부(202)는, 프레임 구성 신호(210), 채널 A의 송신 디지털 신호(20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채널 A의 변조 신호(203)를 출력한다. 그리고, 채널 B의 변조 신호 생성부(212)는, 프레임 구성 신호(210), 채널 B의 송신 디지털 신호(2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채널 B의 변조 신호(213)를 출력한다.
이 때의 변조 신호 생성부(202) 및 변조 신호 생성부(212)의 동작을 도 22를 이용하여, 채널 A의 송신부를 예로 설명한다.
데이터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2202)는, 송신 디지털 신호(2201) 즉 도 2의 채널 A의 송신 디지털 신호(201) 및 프레임 구성 신호(2208) 즉 도 2의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 프레임 구성 신호(208)가 데이터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예컨대, QPSK 변조하여 데이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203) 및 직교 성분(2204)을 출력한다.
파일롯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2205)는, 프레임 구성 신호(2208)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가 파일롯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206) 및 직교 성분(2207)을 출력한다.
동상 성분 전환부(312)는, 데이터 심볼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203),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206), 프레임 구성 신호(2208)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2208)로 나타내어진 심볼에 상당하는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210)으로서 출력한다.
직교 성분 전환부(2211)는, 데이터 심볼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2204), 파일롯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2207), 프레임 구성 신호(2208)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2208)로 나타내어진 심볼에 상당하는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2212)으로서 출력한다.
직교 변조기(2213)는,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210) 및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2212)을 입력으로 하여, 직교 변조해서 변조 신호(2214) 즉 도 2의 (203)을 출력한다.
다음에, 도 5, 도 23을 이용하여, 수신 장치의 동작, 특히,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6),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8), 신호 처리부(525)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6)를 예로 설명한다.
도 23에서의 파일롯 상관 연산부(2303)는, 안테나(501)에서 수신한, 채널 A와 채널 B가 혼재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301) 및 직교 성분(2302), 채널 A의 파일롯 심볼 계열(2304)을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와 채널 B가 혼재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301) 및 직교 성분(2302)에서의 파일롯 심볼을 검출해서, 채널 A와 채널 B가 혼재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301) 및 직교 성분(2302)에서의 파일롯 심볼 부분과 채널 A의 파일롯 심볼 계열(2304)의 상관 연산을 행해서 상관 연산 후의 파일롯 심볼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305) 및 직교 성분(2306)을 출력한다.
단, 채널 A의 파일롯 심볼 계열은 동상 성분, 직교 성분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된다. 이 때,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2301) 및 직교 성분(2302)에서의 파일롯 부분의 채널 B의 성분은 채널 A의 파일롯 심볼 계열과 채널 B에 파일롯 심볼 계열이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상관 연산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전송로 왜곡 추정부(2307)에 대해서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에서의 전송로 왜곡 (I0, Q0) 및 (I6, Q6)은 파일롯 심볼 상관 연산부(2303)에 의해서 구해진다. 그리고, 전송로 왜곡 (I0, Q0) 및 (I6, Q6)으로부터 데이터 심볼의 전송로 왜곡 (I1, Q1), (I2, Q2), (I3, Q3), (I4, Q4), (I5, Q5)를 구하여, 이들을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308)로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08)는, 채널 A와 채널 B가 혼재한 수신 신호(502)에서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09)를 출력한다. 그리고,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18) 및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520)는 채널 A와 채널 B가 혼재한 수신 신호(514)로부터, 각각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19) 및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21)를 출력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I, Q)의 표현으로 전송로 왜곡을 표현하고 있지만, 파워 및 위상에 의한 표현이라도 무방하며, 파워 및 위상에 의한 표현을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07, 519),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509, 521)로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채널 A와 채널 B의 변조 신호의 분리가 가능해져, 복조가 가능해진다.
단,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중하는 채널 수를 2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레임 구성은 도 2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파일롯 심볼을 예로 설명하여 전송로 왜곡이 추정 가능하면, 마찬가지로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의 안테나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있으며, "안테나"로 표기하고 있지만,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부로 생각하더라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송신 장치의 구성은 도 2, 도 2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채널 수가 증가한 경우, 그에 따라, 도 2의 (201)로부터 (208)로 구성하는 부분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수신 장치의 구성은, 도 5, 도 23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채널 수가 증가한 경우, 증가한 채널을 위한 전송로 왜곡 추정부가 증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에 있어서, 어떤 채널에 삽입하는 복조를 위한 심볼은 연속한 복수 심볼로 구성되고, 각 채널의 복조를 위한 심볼은 동일 시각에 배치되며, 서로 직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송신 방법, 그 송신 방법에서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로 함으로써, 동일 주파수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향상함과 동시에, 복조를 위한 심볼은 잡음에 대한 내성을 갖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수신 장치에서의 채널 추정 정밀도가 향상하여, 데이터의 전송 품질이 향상한다.
(실시예 6)
실시예 6에서는,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에 있어서, OFDM 방식의 프레임 구성에 어떤 채널에 복조를 위한 심볼을 삽입한 시간 및 서브캐리어의 다른 채널의 심볼에서는, 동상-직교 평면에서의 동상 및 직교 신호는 0의 신호로 하는 송신 방법, 그 송신 방법에서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는 본 실시예에서의 시간, 주파수축에서의 채널 A의 프레임 구성(2410) 및 채널 B의 프레임 구성(2420)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2401)은 파일롯 심볼, (2402)는 데이터 심볼이며,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채널 A의 시각 0, 서브캐리어 2는 파일롯 심볼이다. 이 때, 채널 B는 (I, Q)=(0, 0)의 심볼로 한다. 이상과 같이, 어떤 시간, 주파수에 있어서, 채널 A가 파일롯 심볼인 경우, 채널 B는 (I, Q)=(0, 0)의 심볼로 하고, 반대로, 채널 B가 파일롯 심볼인 경우, 채널 A는 (I, Q)=(0, 0)의 심볼로 한다.
도 25는 본 실시예에서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채널 A 송신부(2530)와 채널 B 송신부(2540)와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521)로 이루어진다.
이 채널 A 송신부(2530)는 시리얼 패러렐 변환부(2502)와 역이산 퓨리에 변환부(2504)와 무선부(2506)와 전력 증폭부(2508)와 안테나(2510)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채널 B 송신부(2540)는 시리얼 패러렐 변환부(2512)와 역이산 퓨리에 변 환부(2514)와 무선부(2516)와 전력 증폭부(2518)와 안테나(2520)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521)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를 프레임 구성 신호(2522)로서 출력한다.
채널 A의 시리얼 패러렐 변환부(2502)는, 채널 A의 송신 디지털 신호(2501), 프레임 구성 신호(2522)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채널 A의 패러렐 신호(2503)를 출력한다.
채널 A의 역이산 퓨리에 변환부(2504)는, 채널 A의 패러렐 신호(2503)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역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2505)를 출력한다.
채널 A의 무선부(2506)는, 채널 A의 역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2505)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송신 신호(2507)를 출력한다.
채널 A의 전력 증폭부(2508)는, 채널 A의 송신 신호(2507)를 입력으로 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채널 A의 송신 신호(2509)를 출력해서, 전파로서 채널 A의 안테나(2510)로부터 출력된다.
채널 B의 시리얼 패러렐 변환부(2512)는, 채널 B의 송신 디지털 신호(2511), 프레임 구성 신호(2522)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채널 B의 패러렐 신호(2513)를 출력한다.
채널 B의 역이산 퓨리에 변환부(2514)는, 채널 B의 패러렐 신호(2513)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B의 역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2515)를 출력한다.
채널 B의 무선부(2516)는, 채널 B의 역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2515)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B의 송신 신호(2517)를 출력한다.
채널 B의 전력 증폭부(2518)는, 채널 B의 송신 신호(2517)를 입력으로 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채널 B의 송신 신호(2519)를 출력해서, 전파로서 채널 B의 안테나(2520)로부터 출력된다.
도 26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무선부(2603)는, 안테나(260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2602)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04)를 출력한다.
퓨리에 변환부(26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04)를 입력으로 하여, 패러렐 신호(2606)를 출력한다.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607)는, 패러렐 신호(2606)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패러렐 신호(2608)를 출력한다.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609)는, 패러렐 신호(2606)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패러렐 신호(2610)를 출력한다.
무선부(2613)는, 안테나(261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2612)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14)를 출력한다.
퓨리에 변환부(261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14)를 입력으로 하여, 패러렐 신호(2616)를 출력한다.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617)는, 패러렐 신호(2616)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패러렐 신호(2618)를 출력한다.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619)는, 패러렐 신호(2616)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패러렐 신호(2620)를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2621)는, 패러렐 신호(2606, 2616),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패러렐 신호(2608, 2618),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패러렐 신호(2610, 2620)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와 채널 B의 신호를 분리해서, 채널 A의 패러렐 신호(2622) 및 채널 B의 패러렐 신호(2623)를 출력한다.
채널 A의 복조부(2624)는, 채널 A의 패러렐 신호(2622)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수신 디지털 신호(2625)를 출력한다.
채널 B의 복조부(2626)는, 채널 B의 패러렐 신호(2623)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B의 수신 디지털 신호(2627)를 출력한다.
도 27은 어떤 캐리어의 시간축에서의 전송로 왜곡을 나타내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캐리어 1의 채널 A의 프레임 구성(2720)과,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2721)과, 캐리어 1의 채널 B의 프레임 구성(2730)과, 캐리어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2731)과, 캐리어 1의 수신 베이스밴드 신호(2732)의 각각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2701)은 시각 0의 어떤 캐리어의 채널 A의 심볼, (2702)는 시각 1의 어떤 캐리어의 채널 A의 심볼, (2703)은 시각 2의 어떤 캐리어의 채널 A의 심볼, (2704)는 시각 3의 어떤 캐리어의 채널 A의 심볼, (2705)는 시각 4의 어떤 캐리어의 채널 A의 심볼, (2706)은 시각 5의 어떤 캐리어의 채널 A의 심볼, (2707)은 시각 0의 어떤 캐리어의 채널 B의 심볼, (2708)은 시간 1의 어떤 캐리어의 채널 B의 심볼, (2709)는 시각 2의 어떤 캐리어의 채널 B의 심볼, (2710)은 시각 3의 어떤 캐리어의 채널 B의 심볼, (2711)은 시각 4의 어떤 캐리어의 채널 B의 심볼, (2712)는 시 각 5의 어떤 캐리어의 채널 B의 심볼이다.
도 28은 캐리어 1의 전송로 왜곡, 신호 처리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803)는, 패러렐 신호에서의 캐리어 1의 동상 성분(2801) 및 직교 성분(2802)을 입력으로 하여,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04)를 출력한다.
캐리어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805)는, 패러렐 신호에서의 캐리어 1의 동상 성분(2801) 및 직교 성분(2802)을 입력으로 하여, 캐리어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06)를 출력한다.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809)는, 패러렐 신호에서의 캐리어 1의 동상 성분(2807) 및 직교 성분(2808)을 입력으로 하여,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10)를 출력한다.
캐리어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811)는, 패러렐 신호에서의 캐리어 1의 동상 성분(2807) 및 직교 성분(2808)을 입력으로 하여, 캐리어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12)를 출력한다.
캐리어 1의 신호 처리부(2813)는, 패러렐 신호에서의 캐리어 1의 동상 성분(2801) 및 직교 성분(2802),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04), 캐리어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06), 패러렐 신호에서의 캐리어 1의 동상 성분(2807) 및 직교 성분(2808),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10), 캐리어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12)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와 채널 B의 신호를 분리해서, 채널 A의 패러렐 신호의 캐리어 1의 동상 성 분(2814) 및 직교 성분(2815), 채널 B의 패러렐 신호의 캐리어 1의 동상 성분(2816) 및 직교 성분(2817)을 출력한다.
그리고, 도 4, 도 24, 도 25를 이용하여, 송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4에 있어서, 파일롯 심볼(2401)의 신호점은 도 4의 (402)의 신호점이다. 데이터 심볼(2402)의 신호점은 도 4의 (401)의 신호점이다. 도 24의 (I, Q)=(0, 0)의 심볼의 신호점은 도 4의 (403)의 신호점이다.
도 2에 있어서,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521)는 도 24에 나타낸 프레임 구성의 정보를 프레임 구성 신호(2522)로서 출력한다.
채널 A의 시리얼 패러렐 변환부(2502)는, 채널 A의 송신 디지털 신호(2501), 프레임 구성 신호(2522)를 입력으로 하여, 도 24의 프레임 구성에 따른 채널 A의 패러렐 신호(2503)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채널 B의 시리얼 패러렐 변환부(2512)는, 채널 B의 송신 디지털 신호(2511), 프레임 구성 신호(2522)를 입력으로 하여, 도 24의 프레임 구성에 따른 채널 B의 패러렐 신호(2513)를 출력한다.
다음에, 도 26, 도 27, 도 28을 이용하여, 수신 장치의 동작, 특히,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607, 2617),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609, 2619), 신호 처리부(2621)에 대하여, 여기서는, 도 24의 캐리어 1을 예로 설명한다.
도 28은 도 26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607, 2617),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609, 2619), 신호 처리부(2621)에서 캐리어 1의 기능만을 추출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28에 있어서, 패러렐 신호에서의 캐리어 1의 동상 성분(2801) 및 직교 성분(2802)은 도 26의 패러렐 신호(2606)의 캐리어 1의 성분이다.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803)는, 도 26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607)에서의 캐리어 1의 기능의 구성이다.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04)는 도 26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패러렐 신호(2608)의 캐리어 1의 성분이다. 캐리어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805)는 도 26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609)에서의 캐리어 1의 기능의 구성이다. 캐리어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06)는 도 26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패러렐 신호(2610)의 캐리어 1의 성분이다.
패러렐 신호에서의 캐리어 1의 동상 성분(2807) 및 직교 성분(2808)은 도 26의 패러렐 신호(2616)의 캐리어 1의 성분이다.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809)는 도 26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617)에서의 캐리어 1의 기능의 구성이다.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10)는 도 26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패러렐 신호(2618)의 캐리어 1의 성분이다. 캐리어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811)는 도 26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619)에서의 캐리어 1의 기능의 구성이다. 캐리어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12)는 도 26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패러렐 신호(2620)의 캐리어 1의 성분이다.
캐리어 1의 신호 처리부(2813)는 신호 처리부(2621)의 캐리어 1의 기능의 구 성이다. 채널 A의 패러렐 신호의 캐리어 1의 동상 성분(2814) 및 직교 성분(2815)은 도 26의 채널 A의 패러렐 신호(2622)의 채널 1의 성분이다. 채널 B의 패러렐 신호의 캐리어 1의 동상 성분(2816) 및 직교 성분(2817)은 도 26의 채널 B의 패러렐 신호(2623)의 채널 1의 성분이다.
다음에, 도 28의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803, 2809), 채널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805, 2811)의 동작에 대해서, 도 27을 이용하여, 일례로서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803), 캐리어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2805)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27에 있어서, 시각 0으로부터 5의 캐리어 1의 수신 베이스밴드 신호, 즉, 패러렐 신호에서의 캐리어 1의 동상 성분(2807) 및 직교 성분(2808)을 각각 (I0, Q0), (I1, Q1), (I2, Q2), (I3, Q3), (I4, Q 4), (I5, Q5)로 한다.
시각 0으로부터 5의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즉,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04)를 각각 (Ia0, Qa0), (Ia1, Qa1), (Ia2, Qa2), (Ia3, Qa3), (Ia4, Qa4), (Ia5, Qa5)로 한다.
시각 0으로부터 5의 캐리어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즉, 캐리어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06)를 각각 (Ib0, Qb0), (Ib1, Qb1), (Ib2, Qb2), (Ib3, Qb3), (Ib4, Qb4),(Ib5, Qb5)로 한다.
이 때, (I0, Q0)는 캐리어 1의 채널 B의 파일롯 성분뿐이기 때문에, (Ib0, Qb0)=(I0, Q0)로 된다. 마찬가지로, (I1, Q1)는 캐리어 1의 채널 A의 파일롯 성분뿐이기 때문에, (Ia1, Qa1)=(I1, Q1)로 된다. 그리고, 예컨대, (Ia0, Qa0)=(Ia1, Qa1)=(Ia2, Qa2)=(Ia3, Qa3)=(Ia4, Qa4)=(Ia5, Qa5), (Ib0, Qb0)=(Ib1, Qb1)=(Ib2, Qb2)=(Ib3, Qb3)=(Ib4, Qb4)=(Ib5, Qb5)로 함으로써,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04) 및 캐리어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06)가 구해진다.
동일한 동작으로,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10) 및 캐리어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12)도 구해진다.
캐리어 1의 신호 처리부(2813)는,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04, 2810), 캐리어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06, 2812), 패러렐 신호에서의 캐리어 1의 동상 성분(2801) 및 직교 성분(2802), 패러렐 신호에서의 캐리어 1의 동상 성분(2807) 및 직교 성분(2808)을 입력으로 하여, 행렬 연산을 함으로써 채널 A의 신호와 채널 B의 신호를 분리할 수 있어, 채널 A의 패러렐 신호의 캐리어 1의 동상 성분(2814) 및 직교 성분(2815), 채널 B의 패러렐 신호의 캐리어 1의 동상 성분(2816) 및 직교 성분(2817)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채널 A와 채널 B의 변조 신호의 분리가 가능해져, 복조가 가능해진다.
이상의 설명에서, (I, Q)의 표현으로 전송로 왜곡을 표현하고 있지만, 파워 및 위상에 의한 표현이라도 되고, 파워 및 위상에 의한 표현을 캐리어 1의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04, 2810) 및 캐리어 1의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2806, 2812)로 해도 된다.
또한, 이상과 마찬가지로 해서, 캐리어 2, 3, 4에 대하여 도 28의 구성으로 채널 A의 신호와 채널 B의 신호의 분리가 가능하다.
삭제
삭제
도 24의 예컨대 캐리어 2의 전송로 추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신 장치에서는, 도 24의 시간 0의 캐리어 2의 파일롯 심볼로부터 전송로 변동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 1의 캐리어 1의 파일롯 심볼과 캐리어 3의 파일롯 심볼로부터 시간 1의 캐리어 2의 전송로 변동을 추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시간 0, 시간 1에서 추정된 캐리어 2의 전송로 변동의 추정값으로부터 캐리어 2의 전송로 변동을 추정한다. 이에 따라, 고정밀도로 전송로 변동을 추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의 안테나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있고, "안테나"로 표기하고 있지만,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부로 생각하더라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 장치에서의 채널 A와 채널 B의 변조 신호의 분리의 정밀도는 파일롯 심볼의 수신 품질에 의존한다. 이로부터, 파일롯 심볼의 대잡음 내성을 강하게 하면, 채널 A와 채널 B의 변조 신호의 분리의 정밀도가 향상하 여, 수신 데이터의 품질이 향상하게 된다. 그 수단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파일롯 심볼의 원점으로부터의 진폭을 Ap, 데이터 심볼의 변조 방식인 QPSK의 원점으로부터의 최대 신호점 진폭을 Aq로 한다. 이 때, Ap>Aq로 함으로써 파일롯 심볼의 대잡음 내성이 향상하여, 채널 A와 채널 B의 변조 신호의 분리의 정밀도가 향상되어, 수신 데이터의 품질이 향상하게 된다.
단,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중하는 채널 수를 2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프레임 구성은 도 24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파일롯 심볼을 예로 설명했지만, 채널을 분리하기 위한 심볼은 파일롯 심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조를 위한 심볼이면, 마찬가지로 실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데이터 심볼의 변조 방식은 QPSK 변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채널의 변조 방식이 상이하더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송신 장치의 구성은 도 25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채널 수가 증가한 경우, 그에 따라, 도 25의 (2501)로부터 (2510)로 구성하는 부분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은 도 26, 도 28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채널 수가 증가한 경우, 채널 추정부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에 있어서, OFDM 방식의 프레임 구성에 어떤 채널에 복조를 위한 심볼을 삽입한 시각 및 서브캐리어의 다른 채널의 심볼에서는, 동상-직교 평면에서의 동상 및 직교 신호는 0의 신호로 하는 송신 방 법, 그 송신 방법에서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로 함으로써, 동일 주파수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향상함과 동시에,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다중 변조 신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 7)
실시예 7에서는,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경우와, 하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경우를 전환하는 송신 방법, 그 송신 방법에서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채널 A의 프레임 구성(2910)과 채널 B의 프레임 구성(2920)을 나타내고 있다.
(2901, 2903)은 다중 정보 심볼, (2902, 2904)는 채널 A 프레임 심볼군, (2905)는 채널 B 프레임 심볼군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2901)의 다중 정보 심볼은 채널 A와 채널 B의 프레임 심볼군이 동시에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2902)의 채널 A 프레임 심볼군과 (2905)의 채널 B 프레임 심볼군은 동시에 송신된다.
그리고, (2903)의 다중 정보 심볼은 채널 A의 프레임 심볼군만이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2904)의 채널 A 프레임 심볼군만 송신된다.
도 30은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구체적으 로는 채널 A의 프레임 구성(3010)과 채널 B의 프레임 구성(3020)을 나타내고 있다.
(3001)은 다중 정보 심볼, (3002)는 정보 심볼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시각 0의 다중 정보 심볼는, 시각 1 내지 시각 5에서 채널 A의 정보 심볼과 채널 B의 정보 심볼이 동시에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시각 1 내지 시각 5에서 채널 A의 정보 심볼과 채널 B의 정보 심볼이 동시에 송신되어 있다.
그리고, 시각 6의 다중 정보 심볼은 시각 7 내지 시각 11에서 채널 A의 정보만이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시각 7 내지 시각 11에서 채널 A의 정보만이 송신되고 있다.
도 31은 본 실시예에서의 예컨대 기지국의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채널 A 송신부(3120)와 채널 B 송신부(3130)와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3118)로 구성된다.
이 채널 A 송신부(3120)는 변조 신호 생성부(3102)와 무선부(3105)와 전력 증폭부(3107)와 안테나(3109)로 구성되어 있다.
채널 B 송신부(3130)는 변조 신호 생성부(3102)와 무선부(3111)와 전력 증폭부(3113)와 안테나(3115)로 구성되어 있다.
변조 신호 생성부(3102)는, 송신 디지털 신호(3101), 프레임 구성 신호(3119)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채널 A의 변조 신호(3103), 채널 B의 변조 신호(3110)를 출력한다.
채널 A의 무선부(3105)는, 채널 A의 변조 신호(3103)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송신 신호(3106)를 출력한다.
채널 A의 전력 증폭부(3107)는, 채널 A의 송신 신호(3106)를 입력으로 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채널 A의 송신 신호(3108)를 출력해서, 채널 A의 안테나(3109)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채널 B의 무선부(3111)는, 채널 B의 변조 신호(3110)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B의 송신 신호(3112)를 출력한다.
채널 B의 전력 증폭부(3113)는, 채널 B의 송신 신호(3112)를 입력으로 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채널 B의 송신 신호(3114)를 출력해서, 채널 B의 안테나(3115)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3118)는, 전파(電波)의 전파(傳搬) 환경 정보(3116) 및 송신 데이터량 정보(3117)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3119)를 출력한다.
도 32는 본 실시예에서의 예컨대 단말의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무선부(3203)는, 안테나(320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3202)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204)를 출력한다.
다중 정보 심볼 복조부(32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204)를 입력으로 하여, 다중 정보 데이터(3206)를 출력한다.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3207)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204)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208)를 출력한다.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3209)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204)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210)를 출력한다.
*무선부(3213)는, 안테나(321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3212)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214)를 출력한다.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321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214)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216)를 출력한다.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3217)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214)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218)를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3219)는,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208, 3216),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210, 3218),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204, 3214), 다중 정보 데이터(3206)를 입력으로 하여, 다중 정보 데이터(3206)에 근거해서 채널 A의 신호(3220), 채널 B의 신호(3221)를 출력한다.
복조부(3222)는, 채널 A의 신호(3220), 채널 B의 신호(3221), 다중 정보 데이터(3206)를 입력으로 하여, 다중 정보 데이터(3206)에 근거해서 복조하여 수신 디지털 신호(3223)를 출력한다.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부(3224)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204, 3214)를 입력으로 하여, 전파의 전파 환경, 예컨대, 전계 강도, 전파의 전파 환경의 공간적 상관성을 추정해서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3225)로서 출력한다.
그리고, 도 29, 도 31, 도 32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예컨대, 기지국의 송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의 단말의 수신 장치와 같이, 예컨대,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부(3224)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204, 3214)를 입력으로 하여, 전파의 전파 환경, 예컨대, 전계 강도, 전파의 전파 환경의 공간적 상관성을 추정해서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3225)를 출력한다.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3225)의 정보는 단말의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로서 송신되어, 기지국이 수신해서 복조하여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3225)에 상당하는 정보를 기지국이 얻는다. 이 정보가 도 31의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3116)에 상당한다.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3118)는,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3116) 및 송신 데이터량 정보(3117)를 입력으로 하여,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2901)의 다중 정보 심볼이 채널 A와 채널 B의 프레임 심볼군이 동시에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2902)의 채널 A 프레임 심볼군과 (2905)의 채널 B 프레임 심볼군이 동시에 송신되는 프레임 구성인 것을, 그리고, (2903)의 다중 정보 심볼이 채널 A의 프레임 심볼군만이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2904)의 채널 A 프레임 심볼군만 송신되는 프레임 구성인 것을, 프레임 구성 신호(3119)로서 출력한다. 그리고, 도 31의 변조 신호 생성부(3102)는, 송신 디지털 신호(3101), 프레임 구성 신호(3119)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채널 A의 변조 신호(3103), 채널 B의 변조 신호(3110)를 출력한다.
다음에, 도 29, 도 32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예컨대, 단말의 수신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중 정보 심볼 복조부(32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204)를 입력으 로 하여, 도 29에 나타내는 다중 정보 심볼을 복조한다. 그리고, 예컨대, (2901)의 다중 정보 심볼을 복조한 경우 채널 A와 채널 B의 프레임 심볼군이 동시에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2903)의 다중 심볼을 복조한 경우 채널 A의 프레임 심볼군만이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다중 정보 데이터(3206)로서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3219)는,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208, 3216),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210, 3218),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204, 3214), 다중 정보 데이터(3206)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다중 정보 데이터(3206)가 채널 A와 채널 B의 프레임 심볼군이 동시에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208, 3216),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210, 3218),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204, 3214)로부터 역행렬 연산을 하여, 채널 A와 채널 B의 신호를 분리해서, 채널 A의 신호(3220), 채널 B의 신호(3221)를 출력한다. 또한, 다중 정보 데이터(3206)가, 채널 A의 프레임 심볼군만이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 채널 A의 신호(3220)만 출력한다.
복조부(3222)는, 채널 A의 신호(3220), 채널 B의 신호(3221), 다중 정보 데이터(3206)를 입력으로 하여, 다중 정보 데이터(3206)가, 채널 A와 채널 B의 프레임 심볼군이 동시에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 채널 A의 신호(3220), 채널 B의 신호(3221)의 복조를 하고, 다중 정보 데이터(3206)가, 채널 A의 프레임 심볼군만이 송신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고 있 는 경우, 채널 A의 신호(3220)만 복조를 하여, 수신 디지털 신호(3223)를 출력한다.
OFDM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생각된다. 도 30, 도 31, 도 32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예컨대, 기지국의 송신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2의 단말의 수신 장치와 같이, 예컨대,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부(3224)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204, 3214)를 입력으로 하여, 전파의 전파 환경, 예컨대, 전계 강도, 전파의 전파 환경의 공간적 상관성을 추정해서,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3225)를 출력한다.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3225)의 정보는 단말의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로서 송신되어, 기지국이 수신하고 복조하여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3225)에 상당하는 정보를 기지국이 얻는다. 이 정보가 도 31의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3116)에 상당한다.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3118)는, 상술한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3116) 및 송신 데이터량 정보(3117)를 입력으로 하여,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시각 0의 다중 정보 심볼이 시각 1 내지 시각 5에서 채널 A의 정보 심볼과 채널 B의 정보 심볼이 동시에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시각 1 내지 시각 5에서 채널 A의 정보 심볼과 채널 B의 정보 심볼이 동시에 송신되어 있는 프레임 구성인 것을, 시각 6의 다중 정보 심볼이 시각 7 내지 시각 11에서 채널 A의 정보만이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시각 7 내지 시간 11에서 채널 A의 정보만이 송신되어 있는 프레임 구성인 것을, 프레임 구성 신호(3119)로서 출력한다. 그리고, 도 31의 변조 신호 생성부(3102)는, 송신 디지털 신호(3101), 프레임 구성 신호(3119)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채널 A의 변조 신호(3103), 채널 B의 변조 신호(3110)를 출력한다.
다음에, 도 30, 도 32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예컨대, 단말의 수신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중 정보 심볼 복조부(32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204)를 입력으로 하여, 도 30에 나타내는 다중 정보 심볼을 복조한다. 그리고, 예컨대, 시각 0의 다중 정보 심볼을 복조한 경우 채널 A와 채널 B의 프레임 심볼군이 동시에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시각 6의 다중 심볼을 복조한 경우 채널 A의 프레임 심볼군만이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다중 정보 데이터(3206)로서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3219)는,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208, 3216),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210, 3218),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204, 3214), 다중 정보 데이터(3206)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다중 정보 데이터(3206)가, 채널 A와 채널 B의 프레임 심볼군이 동시에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208, 3216),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210, 3218),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204, 3214)로부터 역행렬 연산을 하여, 채널 A와 채널 B의 신호를 분리해서 채널 A의 신호(3220), 채널 B의 신호(3221)를 출력한다. 또한, 다중 정보 데이터(3206)가, 채널 A의 프레임 심볼군만이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 채널 A의 신호(3220)만 출력한다.
복조부(3222)는, 채널 A의 신호(3220), 채널 B의 신호(3221), 다중 정보 데이터(3206)를 입력으로 하여, 다중 정보 데이터(3206)가, 채널 A와 채널 B의 프레임 심볼군이 동시에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 채널 A의 신호(3220), 채널 B의 신호(3221)의 복조를 해서, 다중 정보 데이터(3206)가, 채널 A의 프레임 심볼군만이 송신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 채널 A의 신호(3220)만 복조하고, 수신 디지털 신호(3223)를 출력한다.
단,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중하는 채널 수를 2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프레임 구성은 도 29, 도 3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송신 장치의 구성은 도 3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채널 수가 증가한 경우, 그에 따라, 도 31의 (3103)으로부터 (3109)로 구성하는 부분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은 도 3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의 설명에서의 안테나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있고, "안테나"로 표기하고 있지만,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부로 생각하더라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경우와, 하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경우를 전환하는 송신 방법, 그 송신 방법에서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로 함으로써, 동일 주파수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향상함과 동시에, 수신 장치에서, 수신한 다중 변조 신 호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 8)
실시예 8에서는,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는 송신 방법의 동기를 위한 심볼의 송신 방법, 그 송신 방법에서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서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상-직교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3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간축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채널 A의 프레임 구성(3310)과 채널 B의 프레임 구성(3320)을 나타내고 있다.
(3301, 3305)는 동기 심볼, (3302, 3304)는 가드 심볼, (3303, 3306)은 데이터 심볼을 나타내고 있다.
도 3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간축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채널 A의 프레임 구성(3410)과 채널 B의 프레임 구성(3420)을 나타내고 있다.
(3401)은 동기 심볼, (3402, 3404)는 데이터 심볼, (3403)은 가드 심볼을 나타내고 있다.
도 35는 도 2의 변조 신호 생성부(202, 21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 며, 도 3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동기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3501)는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311)가 동기 심볼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502) 및 직교 성분(3503)을 출력한다.
동상 성분 전환부(312)는, 데이터 심볼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3),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502),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9),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311)로 나타내어진 심볼에 상당하는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13)으로서 출력한다.
직교 성분 전환부(314)는, 데이터 심볼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04),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503),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10),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311)로 나타내어진 심볼에 상당하는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15)으로서 출력한다.
도 36은 도 2의 변조 신호 생성부(202, 21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가드 심볼 또는 동기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3601)는,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가드 심볼 또는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602) 및 직교 성분(3603)을 출력한다.
도 37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무선부(3703)는 안테나(370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3702)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를 출력으로 한다.
전송로 왜곡 추정부(37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 타이밍 신호(3719)를 입력으로 하여,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706)를 출력한다.
무선부(3708)는, 안테나(3706)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3707)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를 출력한다.
전송로 왜곡 추정부(3710)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 타이밍 신호(3719)를 입력으로 하여,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711)를 출력한다.
무선부(3714)는, 안테나(3712)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3713)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를 출력한다.
전송로 왜곡 추정부(3716)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 타이밍 신호(3719)를 입력으로 하여,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717)를 출력한다.
동기부(3717)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장치가 송신한 동기 심볼을 검색함으로써, 송신 장치와 동기를 취해서 타이밍 신호(3719)를 출력한다.
신호 분리부(3720)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 3709, 3715),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706, 3711, 3717), 타이밍 신호(3719)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21), 채널 B의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22)를 출력한다.
복조부(3723)는, 채널 A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21)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디지털 신호(3724)를 출력한다.
복조부(3725)는, 채널 B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22)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디지털 신호(3725)를 출력한다.
도 38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7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동기부(38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801)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장치가 송신한 동기 심볼을 검색함으로써, 송신 장치와 동기를 취해서 타이밍 신호(3802)를 출력한다.
전송로 왜곡 추정부(37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 타이밍 신호(3802)를 입력으로 하여,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705)를 출력한다.
동기부(38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809)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장치가 송신한 동기 심볼을 검색함으로써, 송신 장치와 동기를 취하고, 타이밍 신호(3804)를 출력한다.
전송로 왜곡 추정부(3710)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 타이밍 신호(3804)를 입력으로 하여,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711)를 출력한다.
동기부(38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815)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장치가 송신한 동기 심볼을 검색함으로써, 송신 장치와 동기를 취하고, 타이밍 신호(3806)를 출력한다.
전송로 왜곡 추정부(3716)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 타이밍 신 호(3806)를 입력으로 하여,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3717)를 출력한다.
도 39는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7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전계 강도 추정부(3901)는, 수신 신호(3702)를 입력으로 하여, 전계 강도를 추정하고, 전계 강도 추정 신호(3902)를 출력한다.
전계 강도 추정부(3903)는, 수신 신호(3707)를 입력으로 하여, 전계 강도를 추정하고, 전계 강도 추정 신호(3904)를 출력한다. 전계 강도 추정부(3903)는, 수신 신호(3707)를 입력으로 하여, 전계 강도를 추정하고, 전계 강도 추정 신호(3904)를 출력한다.
도 40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7, 도 39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신호 선택부(4001)는, 전계 강도 추정 신호(3902, 3904, 3906),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 3709, 3715)를 입력으로 하여, 전계 강도 추정 신호 중에서 예컨대, 가장 전계 강도가 강한 신호를 수신한 안테나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4002)로서 출력한다.
동기부(4003)는, 선택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4002)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장치가 송신한 동기 심볼을 검색함으로써, 송신 장치와 동기를 취하고, 타이밍(4004)을 출력한다.
도 41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9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42는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9, 도 40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그리고, 도 2, 도 4, 도 33, 도 34, 도 35, 도 36을 이용하여, 송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09)는, 도 33 또는 도 34에 나타낸 프레임 구성의 정보를 프레임 구성 신호(210)로서 출력한다. 채널 A의 변조 신호 생성부(202)는, 프레임 구성 신호(210), 채널 A의 송신 디지털 신호(20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채널 A의 변조 신호(203)를 출력한다. 그리고, 채널 B의 변조 신호 생성부(212)는, 프레임 구성 신호(210), 채널 B의 송신 디지털 신호(2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채널 B의 변조 신호(213)를 출력한다.
다음에, 프레임 구성이 도 33일 때의 변조 신호 생성부(202, 212)의 동작을 도 35를 이용하여, 채널 A의 송신부를 예로 설명한다.
데이터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302)는, 송신 디지털 신호(301) 즉 도 2의 채널 A의 송신 디지털 신호(201) 및 프레임 구성 신호(311) 즉 도 2의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311)가 데이터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데이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3) 및 직교 성분(304)을 출력한다.
동기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3501)는,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가 동기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동기 심볼의 송 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502) 및 직교 성분(3503)을 출력한다.
가드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308)는,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가 가드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9) 및 직교 성분(310)을 출력한다.
이 때의 동상-직교 평면에서의 각 심볼의 신호점 배치가 도 4와 같다. 데이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3) 및 직교 성분(304)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1)과 같다. 그리고,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502) 및 직교 성분(3503)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2)와 같다. 또한,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9) 및 직교 성분(310)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3)과 같다.
동상 성분 전환부(312)는, 데이터 심볼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3),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502),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9),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311)로 나타내어진 심볼에 상당하는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13)으로서 출력한다.
직교 성분 전환부(314)는, 데이터 심볼 송신 직교 스펙트럼 신호의 직교 성분(304),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503),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10),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311)로 나타내어진 심볼에 상당하는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15)으로서 출력한다.
직교 변조기(316)는,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13) 및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15)을 입력으로 하여, 직교 변조하고, 변조 신호(317) 즉 도 2의 (203)을 출력한다.
다음에, 프레임 구성이 도 34일 때의 변조 신호 생성부(202, 212)의 동작을 도 3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변조 신호 생성부(202)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302)는, 송신 디지털 신호(301) 즉 도 34의 채널 A의 송신 디지털 신호(201) 및 프레임 구성 신호(311) 즉 도 34의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311)가 데이터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데이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3) 및 직교 성분(304)을 출력한다.
동기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3601)는,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가 동기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602) 및 직교 성분(3603)을 출력한다.
이 때의 동상-직교 평면에서의 각 심볼의 신호점 배치가 도 4와 같다. 데이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3) 및 직교 성분(304)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1)과 같다. 그리고,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602) 및 직교 성분(3603)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2)와 같다.
동상 성분 전환부(312)는, 데이터 심볼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3),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602),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311)로 나타내어진 심볼에 상당하는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13)으로서 출력한다.
직교 성분 전환부(314)는, 데이터 심볼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04),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603),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311)로 나타내어진 심볼에 상당하는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15)으로서 출력한다.
직교 변조기(316)는,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13) 및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15)을 입력으로 하여, 직교 변조하고, 변조 신호(317) 즉 도 2의 (203)을 출력한다.
변조 신호 생성부(212)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302)는, 송신 디지털 신호(301) 즉 도 34의 채널 B의 송신 디지털 신호(201) 및 프레임 구성 신호(311) 즉 도 34의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311)가 데이터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데이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3) 및 직교 성분(304)을 출력한다.
가드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3601)는,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 여, 프레임 구성 신호가 가드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었던 경우,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602) 및 직교 성분(3603)을 출력한다.
이 때의 동상-직교 평면에서의 각 심볼의 신호점 배치가 도 4와 같다. 데이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3) 및 직교 성분(304)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1)과 같다. 그리고,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602) 및 직교 성분(3603)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3)과 같다.
동상 성분 전환부(312)는, 데이터 심볼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03),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602),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311)로 나타내어진 심볼에 상당하는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13)으로서 출력한다.
직교 성분 전환부(314)는, 데이터 심볼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04),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603), 프레임 구성 신호(31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311)로 나타내어진 심볼에 상당하는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15)으로서 출력한다.
직교 변조기(316)는,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313) 및 선택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직교 성분(315)을 입력으로 하여, 직교 변조하고, 변조 신호(317) 즉 도 2의 (213)을 출력한다.
다음에, 도 37, 도 38, 도 39, 도 40, 도 41, 도 42를 이용하여, 수신 장치 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7을 이용하여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무선부(3714)는, 안테나(3712)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3713)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를 출력한다.
동기부(3718)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장치가 송신한 신호 중의 동기 심볼을 검출하고, 송신 장치와 시간 동기한 타이밍 신호(3719)를 출력한다. 타이밍 신호(3719)는 수신 장치에서의 각부(各部)에서 사용하는 타이밍 신호로 한다.
다음에, 도 38을 이용하여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부(3703)는, 안테나(370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3702)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를 출력한다.
동기부(38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장치가 송신한 신호 중의 동기 심볼을 검출하고, 송신 장치와 시간 동기한 타이밍 신호(3802)를 출력한다. 타이밍 신호(3802)는, 예컨대, 전송로 왜곡 추정부(3705), 신호 분리부(3807)에 입력되고,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로부터 타이밍 신호(3802)의 타이밍에 맞추어 신호를 추출해서 신호 처리를 한다.
무선부(3708)는, 안테나(3706)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3707)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를 출력한다.
동기부(38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장치가 송신한 신호 중의 동기 심볼을 검출하고, 송신 장치와 시간 동기한 타이밍 신호(3804)를 출력한다. 타이밍 신호(3804)는, 예컨대, 전송로 왜곡 추정부(3710), 신호 분리부(3807)에 입력되고,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로부터 타이밍 신호(3804)의 타이밍에 맞추어 신호를 추출해서 신호 처리를 한다.
무선부(3714)는, 안테나(3712)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3713)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를 출력한다.
동기부(38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장치가 송신한 신호 중의 동기 심볼을 검출하고, 송신 장치와 시간 동기한 타이밍 신호(3806)를 출력한다. 타이밍 신호(3806)는, 예컨대, 전송로 왜곡 추정부(3716), 신호 분리부(3807)에 입력되고,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로부터 타이밍 신호(3806)의 타이밍에 맞추어 신호를 추출해서 신호 처리를 한다.
다음에, 도 39를 이용하여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계 강도 추정부(3901)는, 안테나(370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3702)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전계 강도를 추정하고, 전계 강도 추정 신호(3902)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전계 강도 추정부(3903)는, 안테나(3706)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3707)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전계 강도를 추정하고, 전계 강도 추정 신호(3904)를 출력한다. 또한, 전계 강도 추정부(3905)는, 안테나(3712)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3713)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전계 강도를 추정하고, 전계 강도 추정 신호(3906)를 출력한다.
동기부(3907)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장치가 송신한 신호 중 동기 심볼을 검출하고, 송신 장치와 시간 동기한 타이밍 신호(3908)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동기부(3909)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장치가 송신한 신호 중 동기 심볼을 검출하고, 송신 장치와 시간 동기한 타이밍 신호(3910)를 출력한다. 또한, 동기부(391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장치가 송신한 신호 중 동기 심볼을 검출하고, 송신 장치와 시간 동기한 타이밍 신호(3912)를 출력한다.
*동기 신호 선택부(3913)는, 전계 강도 추정 신호(3902, 3904, 3906), 타이밍 신호(3908, 3910, 3912)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전계 강도 추정 신호로부터 안테나(3701)의 수신 신호의 전계 강도가 가장 양호한 경우, 타이밍 신호(3908)를 선택된 타이밍 신호(3914)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수신 전계 강도가 가장 양호한 수신 신호로부터 구한 타이밍 신호를 수신 장치의 타이밍 신호로 한다.
다음에, 도 40을 이용하여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신호 선택부(4001)는, 전계 강도 추정 신호(3902, 3904, 3906),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 3709, 3715)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전계 강도 신호로부터 안테나(3701)의 수신 신호의 전계 강도가 가장 양호한 경우,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를 선택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4002)로서 출력한다.
동기부(4003)는, 선택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4002)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장치가 송신한 신호 중 동기 심볼을 검출하고, 송신 장치와 시간 동기한 타이 밍 신호(4004)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수신 전계 강도가 가장 양호한 수신 신호로부터 구한 타이밍 신호를 수신 장치의 타이밍 신호로 한다.
다음에, 도 41을 이용하여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1은, 도 39에 있어서, 전계 강도를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를 이용하여 구하고 있는 점이 상이하다.
전계 강도 추정부(39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전계 강도를 추정하고, 전계 강도 추정 신호(3902)를 출력한다.
전계 강도 추정부(39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전계 강도를 추정하고, 전계 강도 추정 신호(3904)를 출력한다.
전계 강도 추정부(39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전계 강도를 추정하고, 전계 강도 추정 신호(3906)를 출력한다.
도 42는, 도 40에 있어서, 전계 강도를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를 이용하여 구하고 있는 점이 상이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전파의 전파 환경의 파라미터로서 전계 강도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저되는 것이 아니라, 도플러 주파수, 멀티패스의 패스 수 등을 파라미터로 하여도 된다.
이상으로부터,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의 시간 동기를 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중하는 채널 수를 2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프레임 구성은 도 33, 도 3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 심볼의 변조 방식은 QPSK 변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채널의 변 조 방식이 상이하더라도 된다. 그리고, 모든 채널이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을 이용하더라도 된다. 또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을 이용하고 있지 않은 방식이 혼재하고 있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도 33, 도 34의 동기 심볼은, 수신 장치가 송신 장치와의 시간 동기를 하기 위한 심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수신 장치가 송신 장치와의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기 위한 심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송신 장치의 구성은 도 2, 도 35, 도 36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채널 수가 증가한 경우, 그에 따라, 도 2의 (201)로부터 (208)로 구성하는 부분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은 도 37, 도 38, 도 39, 도 40, 도 41, 도 4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안테나 수를 증가시키더라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의 안테나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있고, "안테나"로 표기하고 있지만,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부라고 생각하더라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는 송신 방법의 동기를 위한 심볼의 송신 방법, 그 송신 방법에서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로 함으로써, 동일 주파수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향상함과 동시에,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시간 동기를 할 수 있다.
(실시예 9)
실시예 9에서는,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에 있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에서의 동기 심볼의 송신 방법, 및 그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상-직교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서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간축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프레임 구성(4310)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프레임 구성(4320)을 나타내고 있다.
(4301, 4305)는 동기 심볼, (4302, 4304)는 가드 심볼, (4303, 4306)은 데이터 심볼이다.
도 4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간축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프레임 구성(4410)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프레임 구성(4420)을 나타내고 있다.
(4401)은 동기 심볼, (4402, 4404)는 데이터 심볼, (4403)은 가드 심볼이다.
*도 4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간축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프레임 구성(4510)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프레임 구성(4520)을 나타내고 있다.
(4503, 4505, 4507)은 가드 심볼, (4502, 4504, 4506, 4508)은 데이터 심볼, (4501)은 동기 심볼이다.
도 46은 도 12의 변조 신호 생성부(1202, 12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3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가드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4601)는,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1320)가 가드 심볼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602) 및 직교 성분(4603)을 출력한다.
동기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4604)는,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1320)가 동기 심볼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605) 및 직교 성분(4606)을 출력한다.
도 47은 도 12의 변조 신호 생성부(1202, 12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3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가드 심볼 또는 동기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4701)는,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가드 심볼 또는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702) 및 직교 성분(4703)을 출력한다.
도 48은 도 12의 변조 신호 생성부(1202, 12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3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1차 변조부(4802)는, 제어 정보(4801),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1차 변조 후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803) 및 직교 성분(4804)을 출력한다.
동기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4805)는,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806) 및 직교 성분(4807)을 출력한다.
확산부(4808)는, 1차 변조 후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803) 및 직교 성분(4804),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806) 및 직교 성분(4807), 확산 부호(1317),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1320)에 대응한 심볼의 확산 후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809) 및 직교 성분(4810)을 출력한다.
도 49는 도 12의 변조 신호 생성부(1202, 12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3, 도 48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가드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4901)는,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902) 및 직교 성분(4903)을 출력한다.
확산부(4808)는, 1차 변조 후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803) 및 직교 성분(4804),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902) 및 직교 성분(4903), 확산 부호(1317),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1320)에 대응한 심볼의 확산 후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809) 및 직교 성분(4810)을 출력한다.
도 37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8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9는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0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1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2는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4, 도 12, 도 43,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도 48, 도 49를 이용하여, 송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 있어서, 프레임 구성 생성부(1217)는 도 43 또는 도 44 또는 도 45에 나타낸 프레임 구성의 정보를 프레임 구성 신호(1218)로서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변조 신호 생성부(1202)는, 프레임 구성 신호(1218),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송신 디지털 신호(1201)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변조 신호(1203)를 출력한다. 그리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변조 신호 생성부(1210)는, 프레임 구성 신호(1218),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송신 디지털 신호(1209)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변조 신호(1211)를 출력한다.
다음에, 프레임 구성이 도 43일 때의 변조 신호 생성부(1202, 1210)의 동작을 도 46을 이용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송신부를 예로 설명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송신부에서, 도 46의 가드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4601)는,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1320)가 가드 심볼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 상 성분(4602) 및 직교 성분(4603)을 출력한다.
동기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4604)는,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1320)가 동기 심볼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605) 및 직교 성분(4606)을 출력한다.
이 때의 동상-직교 평면에서의 각 심볼의 신호점 배치가 도 4와 같다. 데이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11, 1318) 및 직교 성분(1312, 1319)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1)과 같다. 그리고,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605) 및 직교 성분(4606)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2)와 같다. 또한,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602) 및 직교 성분(4603)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3)과 같다.
다음에, 프레임 구성이 도 44일 때의 변조 신호 생성부(1202, 1210)의 동작을 도 47을 이용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송신부를 예로 설명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송신부에 있어서, 변조 신호 생성부(1202)의 상세 구성은 도 47과 같다. 도 47의 가드 심볼 또는 동기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4701)는,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1320)가 동기 심볼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702) 및 직교 성분(4703)을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송신부에 있어서, 변조 신호 생성부(1210)의 상세 구성은 도 47과 같다. 도 47의 가드 심볼 또는 동기 심볼 변조 신호 생성 부(4701)는,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1320)가 가드 심볼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702) 및 직교 성분(4703)을 출력한다.
이 때의 동상-직교 평면에서의 각 심볼의 신호점 배치가 도 4와 같다. 데이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1311, 1318) 및 직교 성분(1312, 1319)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1)과 같다. 그리고,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2)와 같다. 또한,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3)과 같다.
다음에, 프레임 구성이 도 45일 때의 변조 신호 생성부(1202, 1210)의 동작을 도 48, 도 49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송신부를 예로 설명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송신부에 있어서, 변조 신호 생성부(1202)의 상세 구성은 도 48과 같다. 도 48의 1차 변조부(4802)는, 제어 정보(4801) 및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 정보의 송신 직교 스펙트럼 신호의 동상 성분(4803) 및 직교 성분(4804)을 출력한다.
동기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4805)는,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가 동기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806) 및 직교 성분(4807)을 출력한다.
확산부(4808)는, 제어 정보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803) 및 직교 성분(4804),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806) 및 직교 성분(4807), 확산 부호(1317),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1320)가 나타내고 있는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와 확산 부호(1317)를 승산하고, 제어 채널의 확산 후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809) 및 직교 성분(4810)을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송신부에 있어서, 변조 신호 생성부(1210)의 상세 구성은 도 49와 같다.
가드 심볼 변조 신호 생성부(4901)는,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가 가드 심볼인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902) 및 직교 성분(4903)을 출력한다.
확산부(4808)는, 제어 정보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803) 및 직교 성분(4804),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902) 및 직교 성분(4903), 확산 부호(1317), 프레임 구성 신호(132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1320)가 나타내고 있는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와 확산 부호(1317)를 승산하고, 제어 채널의 확산 후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4809) 및 직교 성분(4810)을 출력한다.
이 때의 동상-직교 평면에서의 각 심볼의 신호점 배치가 도 4와 같다. 데이터 심볼, 제어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1)과 같다. 그리고, 동기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2)와 같다. 또한, 가드 심볼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의 동상 성분 및 직교 성분의 신호점 배치는 도 4의 (403)과 같다.
다음에, 도 37, 도 38, 도 39, 도 40, 도 41, 도 42를 이용하여,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7, 도 38, 도 39, 도 40, 도 41, 도 42에 있어서, 복조부(3723, 3725)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복조, 즉, 역확산을 하고, 그 후, 복조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전파의 전파 환경의 파라미터로서 전계 강도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플러 주파수, 멀티패스의 패스 수 등을 파라미터로 하여도 된다.
이상으로부터,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의 시간 동기를 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 안테나를 2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다중하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수를 2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프레임 구성은 도 43, 도 44, 도 45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 B 모두 다중수를 2 채널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 43, 도 44, 도 45의 동기 심볼은 수신 장치가 송신 장치와의 시간 동기를 하기 위한 심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수신 장치가 송신 장치와의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기 위한 심볼로 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송신 장치의 구성은 도 12, 도 13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수가 증가한 경우, 그에 따라, 도 12의 (1201)로부터 (1208)로 구성하는 부분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채널 수가 증가한 경우, 그에 따라, 도 13의 (1306, 1309)로 구성하는 부분이 증가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의 안테나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있고, "안테나"로 표기하고 있지만,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부로 생각하더라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에 있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에서의 동기 심볼의 송신 방법, 및 그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로 함으로써, 동일 주파수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는 것에 의해서,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향상함과 동시에,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시간 동기를 할 수 있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에서는,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에 있어서, OFDM 방식에서의 동기 심볼의 송신 방법, 그것을 이용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는 본 실시예에서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이다.
도 50은 본 실시예에서의 시간, 주파수축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채널 A의 프레임 구성(5010)과 채널 B의 프레임 구성(5020)을 나타내고 있다.
(5001)은 동기 심볼, (5002)는 데이터 심볼이다.
도 5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간, 주파수축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채널 A의 프레임 구성(5110)과 채널 B의 프레임 구성(5120)을 나타내고 있다.
(5101)은 동기 심볼, (5102)는 데이터 심볼이
도 52는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6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동기부(52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04)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장치와의 시간 동기를 취하고, 타이밍 신호(5202)를 출력한다.
동기부(52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14)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장치와의 시간 동기를 취하고, 타이밍 신호(5204)를 출력한다.
도 53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6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동기부(53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04)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장치와의 시간 동기를 취하고, 타이밍 신호(5302)를 출력한다.
도 54는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7, 도 39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이산 퓨리에 변환부(54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 선택된 타이밍 신호(3914)를 입력으로 하여,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5402)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이산 퓨리에 변환부(54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 호(3709), 선택된 타이밍 신호(3914)를 입력으로 하여,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5404)를 출력한다.
*또한, 이산 퓨리에 변환부(54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 선택된 타이밍 신호(3914)를 입력으로 하여,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5406)를 출력한다.
도 55는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7, 도 39, 도 40, 도 54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56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7, 도 39, 도 54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57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7, 도 39, 도 40, 도 54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그리고, 도 4, 도 25, 도 50, 도 51을 이용하여, 송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0의 프레임 구성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의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521)는, 도 50의 프레임 구성의 정보를 프레임 구성 신호(2522)로서 출력한다.
도 50에 있어서, 시간 0에서, 채널 A에서 동기 심볼을 송신하고 있을 때, 채널 B는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즉, 도 4의 (403)의 신호로 된다. 마찬가지로, 시간 1에서, 채널 B에서 동기 심볼을 송신하고 있을 때, 채널 A는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즉, 도 4의 (403)의 신호로 된다.
도 51의 프레임 구성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의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521)는 도 51의 프레임 구성의 정보를 프레임 구성 신호(2522)로서 출력한다.
도 51에 있어서, 시간 0에서, 채널 A에서 동기 심볼을 송신하고 있을 때, 채널 B는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즉, 도 4의 (403)의 신호로 된다.
다음에, 도 50, 도 51, 도 52, 도 53, 도 54, 도 55, 도 56, 도 57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2에 있어서, 동기부(52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04)를 입력으로 하여, 도 50 또는 도 51에서 송신된 동기 심볼을 검출함으로써 송신 장치와의 시간 동기를 취하고, 타이밍 신호(5202)로서 출력한다.
이산 퓨리에 변환부(26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04), 타이밍 신호(5202)를 입력으로 하여, 타이밍 신호(5202)에 근거해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04)를 이산 퓨리에 변환하고,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2606)를 출력한다.
동기부(52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14)를 입력으로 하여, 도 50 또는 도 51에서 송신된 동기 심볼을 검출함으로써 송신 장치와의 시간 동기를 취하 고, 타이밍 신호(5204)로서 출력한다.
이산 퓨리에 변환부(261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14), 타이밍 신호(5204)를 입력으로 하여, 타이밍 신호(5204)에 근거해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14)를 이산 퓨리에 변환하고,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2616)를 출력한다.
도 53에 있어서, 동기부(53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04)를 입력으로 하여, 도 50 또는 도 51에서 송신된 동기 심볼을 검출함으로써 송신 장치와의 시간 동기를 취하고, 타이밍 신호(5302)로서 출력한다.
이산 퓨리에 변환부(26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04), 타이밍 신호(5302)를 입력으로 하여, 타이밍 신호(5302)에 근거해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04)를 이산 퓨리에 변환하고,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2606)를 출력한다.
이산 퓨리에 변환부(261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14), 타이밍 신호(5302)를 입력으로 하여, 타이밍 신호(5302)에 근거해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14)를 이산 퓨리에 변환하고,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2616)를 출력한다.
도 54에 있어서, 이산 퓨리에 변환부(54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 수신 전계 강도가 가장 양호한 안테나로부터 얻어진 타이밍 신호(3914)를 입력으로 하여, 타이밍 신호(3914)에 근거해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를 이산 퓨리에 변환하고,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5402)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이산 퓨리에 변환부(54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 수신 전계 강도가 가장 양호한 안테나로부터 얻어진 타이밍 신호(3914)를 입력으로 하여, 타이밍 신호(3914)에 근거해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를 이산 퓨리에 변환하고,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5404)를 출력한다.
또한, 이산 퓨리에 변환부(54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 수신 전계 강도가 가장 양호한 안테나로부터 얻어진 타이밍 신호(3914)를 입력으로 하여, 타이밍 신호(3914)에 근거해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를 이산 퓨리에 변환하고,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5406)를 출력한다.
도 55에 있어서, 이산 퓨리에 변환부(54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 수신 전계 강도가 가장 양호한 안테나로부터 얻어진 타이밍 신호(4004)를 입력으로 하여, 타이밍 신호(4004)에 근거해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를 이산 퓨리에 변환하고,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5402)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이산 퓨리에 변환부(54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 수신 전계 강도가 가장 양호한 안테나로부터 얻어진 타이밍 신호(4004)를 입력으로 하여, 타이밍 신호(4004)에 근거해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를 이산 퓨리에 변환하고,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5404)를 출력한다.
또한, 이산 퓨리에 변환부(54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 수신 전계 강도가 가장 양호한 안테나로부터 얻어진 타이밍 신호(4004)를 입력으로 하여, 타이밍 신호(4004)에 근거해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를 이산 퓨리에 변환하고,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5406)를 출력한다.
도 56에 있어서, 이산 퓨리에 변환부(54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 수신 전계 강도가 가장 양호한 안테나로부터 얻어진 타이밍 신호(3914)를 입력으로 하여, 타이밍 신호(3914)에 근거해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를 이산 퓨리에 변환하고,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5402)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이산 퓨리에 변환부(54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 수신 전계 강도가 가장 양호한 안테나로부터 얻어진 타이밍 신호(3914)를 입력으로 하여, 타이밍 신호(3914)에 근거해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를 이산 퓨리에 변환하고,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5404)를 출력한다.
또한, 이산 퓨리에 변환부(54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 수신 전계 강도가 가장 양호한 안테나로부터 얻어진 타이밍 신호(3914)를 입력으로 하여, 타이밍 신호(3914)에 근거해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를 이산 퓨리에 변환하고,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5406)를 출력한다.
도 57에 있어서, 이산 퓨리에 변환부(54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 수신 전계 강도가 가장 양호한 안테나로부터 얻어진 타이밍 신호(4004)를 입력으로 하여, 타이밍 신호(4004)에 근거해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를 이산 퓨리에 변환하고,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5402)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이산 퓨리에 변환부(54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 수신 전계 강도가 가장 양호한 안테나로부터 얻어진 타이밍 신호(4004)를 입력으로 하여, 타이밍 신호(4004)에 근거해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를 이산 퓨리에 변환하고,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5404)를 출력한다.
또한, 이산 퓨리에 변환부(54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 수신 전계 강도가 가장 양호한 안테나로부터 얻어진 타이밍 신호(4004)를 입력으로 하여, 타이밍 신호(4004)에 근거해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를 이산 퓨리에 변환하고, 이산 퓨리에 변환 후의 신호(5406)를 출력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전파의 전파 환경의 파라미터로서 전계 강도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플러 주파수, 멀티패스의 패스 수 등을 파라미터로 하여도 된다.
이상으로부터,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의 시간 동기를 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 안테나를 2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다중하는 채널 수를 2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프레임 구성은 도 50, 도 5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 50, 도 51의 동기 심볼은, 수신 장치가 송신 장치와의 시간 동기를 하기 위한 심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수신 장치가 송신 장치와의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기 위한 심볼로 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송신 장치의 구성은 도 25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수신 장치의 구성은 도 52, 도 53, 도 54, 도 55, 도 56, 도 57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의 설명에서의 안테나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있으며, "안테나"로 표기하고 있지만,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부로 생각하더라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에 있어서, OFDM 방식에서의 동기 심볼의 송신 방법, 그것을 이용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로 함으로써, 동일 주파수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는 것에 의해서,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향상함과 동시에,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시간 동기를 할 수 있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에서는,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하는 송신 신호에 제어를 위한 심볼이 포함되어 있는 송신 방법을 이용한 수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3, 도 34, 도 43, 도 44, 도 45, 도 50, 도 51은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58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7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58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5801)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장치와의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5802)를 출력한다.
주파수 제어부(5803)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5802)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제어하고, 예컨대, 무선부의 원(源)신호로 되는 신호(5804)를 출력한다.
도 59는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7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59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5902)를 출력한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59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5904)를 출력한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59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5906)를 출력한다.
계산부(5907)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5902, 5904, 5906)을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평균하고, 평균한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5908)를 출력한다.
주파수 제어부(5909)는, 평균한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5908)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무선부의 원신호로 되는 신호(5910)를 출력한다.
도 60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7, 도 39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60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002)를 출력한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60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004)를 출력한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60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006)를 출력한다.
계산부(6007)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002, 6004, 6006), 전계 강도 추 정 신호(3902, 3904, 3906)를 입력으로 하여, 전계 강도에서 가중치 부여하고, 주파수 오프셋 신호를 평균화해서, 평균한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008)를 출력한다.
주파수 제어부(6009)는, 평균한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008)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무선부의 원신호로 되는 신호(6010)를 출력한다.
도 61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7, 도 39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6101)는, 선택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102)를 출력한다.
주파수 제어부(6103)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102)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무선부의 원신호로 되는 신호(6104)를 출력한다.
도 62는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7, 도 39, 도 60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63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7, 도 39, 도 40, 도 61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64는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6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64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04)를 입력으 로 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402)를 출력한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64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14)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404)를 출력한다.
계산부(6405)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402, 6404)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평균화하고, 평균한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406)를 출력한다.
주파수 제어부(6407)는, 평균한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406)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무선부의 원신호로 되는 신호(6408)를 출력한다.
도 65는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6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65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604)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502)를 출력한다.
주파수 제어부(6503)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502)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무선부의 원신호로 되는 신호(6504)를 출력한다.
도 66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7, 도 39, 도 54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66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4)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602)를 출력한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66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09)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604)를 출력한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66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606)를 출력한다.
계산부(6607)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602, 6604, 6606), 전계 강도 추정 신호(3902, 3904, 3906)를 입력으로 하여, 전계 강도에서 가중치 부여하고, 주파수 오프셋 신호를 평균화해서, 평균한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608)를 출력한다.
주파수 제어부(6609)는, 평균한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608)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무선부의 원신호로 되는 신호(6610)를 출력한다.
도 67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7, 도 39, 도 40, 도 54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6701)는, 선택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4002)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702)를 출력한다.
주파수 제어부(6703)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702)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무선부의 원신호로 되는 신호(6704)를 출력한다.
도 68은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7, 도 39, 도 54, 도 66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69는 본 실시예에서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7, 도 39, 도 40, 도 54, 도 67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다음에,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하는 송신 신호에 제어를 위한 심볼이 포함되어 있는 송신 방법을 이용한 수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3, 도 34, 도 43, 도 44, 도 45, 도 50, 도 51은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수신 장치에서는, 예컨대, 동기 심볼을 이용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한다. 이 때, 송신 장치에서는, 하나의 주파수원밖에 구비하지 않고,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신호는 주파수 동기가 취해진 신호이다.
다음에, 도 58의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58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3715)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동기 심볼로부터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를 출력한다.
복조부(3723, 3725)는 입력된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5802)로부터 주파수 오프셋을 제거한다.
주파수 제어부(5803)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5802)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제거하고, 무선부의 원신호(5804)를 출력한다.
다음에, 도 59의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58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계산부(5907)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5902, 5904, 5906)를 입력으로 하여, 평균하고, 평균한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5908)를 출력한다. 이 평균화에 의해, 주파수 오프셋의 추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다음에, 도 60의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 58과 다른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계산부(6007)는, 전계 강도 추정 신호(3902, 3904, 3906),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6002, 6004, 6006)를 입력으로 하여, 전계 강도에 따라 가중치 부여하고, 평균한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전계 강도가 강한 주파수 오프셋 추정 신호의 신뢰도를 높게 함으로써, 주파수 오프셋의 추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다음에, 도 61의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58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신호 선택부(4001)에서, 전계 강도가 강한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가 (4002)로 출력되고 있기 때문에,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6101)에서는 주파수 오프셋의 추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도 62, 도 63은, 도 60, 도 61에 있어서, 전계 강도를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로부터 구하고 있는 점이 상이하다.
이상에 의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또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을 이용했을 때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주파수 오프셋을 제거할 수 있다.
도 64, 도 65, 도 66, 도 67, 도 68, 도 69는 송신 방법에서 OFDM 방식을 이용했을 때의 수신 장치의 구성이며, 동작은 도 58, 도 59, 도 60, 도 61, 도 62, 도 63과 마찬가지이다.
이상에 의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에서 OFDM 방식을 이용했을 때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주파수 오프셋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의 주파수 오프셋을 제거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 구성은 도 33, 도 34, 도 43, 도 44, 도 45, 도 50, 도 5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송신 장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무선부에 입력되는 원신호는, 각 안테나마다 구비하는 무선부에 대하여, 공통으로 함으로써 주파수 오프셋의 추정을 복수의 안테나에 대해서 공통으로 실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송신 장치, 수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 장치에서의 변조 신호의 생성, 수신 장치에서의 동기용의 원신호는 각 안테나마다 구비하는 변조 신호 생성부, 동기부에서 공통으로 함으로써, 시간 동기를 복수의 안테나에 대하여 공통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의 안테나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있고, "안테나"로 표기하고 있지만,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부라고 생각하더라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하는 송신 신호에 제어를 위한 심볼이 포함되어 있는 송신 방법을 이용한 수신 장치로 함으로써, 동일 주파수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는 것에 의해서,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수신 장치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 12)
실시예 12에서는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 상대가 상기 변조 신호를 수신하여, 각 안테나에서의 전파의 전파 환경을 추정하고, 추정한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전파의 전파 환경의 정보에 근거해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통신 방법, 그 통신 방법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및,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 상대가 상기 변조 신호를 수신하여, 각 안테나에서의 전파의 전파 환경을 추정하고, 추정한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에 근거해서 송신 방법으로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요구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요구 정보에 근거하여,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통신 방법, 그 통신 방법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70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간축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이며, 구체적으로는 기지국의 송신 신호의 프레임 구성(7040)과 단말의 송신 신호의 프레임 구성(7050)을 나타내고, 또한 기지국의 송신 신호의 프레임 구성(7040)의 일례로서 채널 A의 프레임 구성(7020)과 채널 B의 프레임 구성(7030)을 나타내고 있다.
(7001, 7003, 7004, 7005)는 기지국 송신 신호의 채널 A의 정보 심볼, (7002)는 기지국 송신 신호의 채널 A의 가드 심볼, (7007, 7009)는 기지국 송신 신호의 채널 B의 정보 심볼, (7006, 7008, 7010)은 기지국 송신 신호의 채널 B의 가드 심볼, (7011, 7012, 7013)은 단말 송신 신호의 정보 심볼이다.
도 71은 본 실시예에서의 기지국 송신 신호 채널 A의 정보 심볼의 구성(7110)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7101)은 다중 정보 심볼, (7102)는 데이터 심볼이다.
도 72는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의 송신 신호의 정보 심볼의 구성(7210)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7201)는 전계 강도 정보 심볼, (7202)는 전송로 왜곡 정보 심볼, (7203)은 멀티패스 정보 심볼, (7204)는 방해파 정보 심볼, (7205)는 데이터 심볼이다.
도 73은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의 송신 신호의 정보 심볼의 구성(7310)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7301)은 송신 방법 요구 정보 심볼, (7302)는 데이터 심볼이다.
도 74는 본 실시예에서의 기지국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채널 A 송신부(7410)와 채널 B 송신부(7420)와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09)로 이루어진다.
이 채널 A 송신부(7410)는 변조 신호 생성부(202)와 무선부(204)와 전력 증폭부(206)와 안테나(208)로 구성된다.
채널 B 송신부(7420)는 변조 신호 생성부(212)와 무선부(214)와 전력 증폭부(216)와 안테나(218)로 구성된다.
또한, 도 13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변조 신호 생성부(202)는, 송신 디지털 신호(7401), 다중 정보(7402),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에 (210)에 따른 변조 신호(203)를 출력한다.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09)는, 송신 방법 결정 정보(7403)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출력한다.
변조 신호 생성부(212)는, 송신 디지털 신호(7401),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으로 하여, 변조 신호(213)를 출력한다.
도 75는 본 실시예에서의 기지국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무선부(7503)는, 안테나(750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7502)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504)를 출력한다.
복조부(75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504)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디지털 신호(7506)를 출력한다.
신호 분리부(7507)는, 수신 디지털 신호(7506)를 입력으로 하여,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정보, 또는, 송신 방법 요구 정보(7508) 및 수신 데이터(7509)를 출력한다.
송신 방법 결정부(7510)는,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 또는, 송신 방법 요구 정보(7508)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방법 결정 정보(7511), 다중 정보(7512)를 출력한다.
도 76은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변조 신호 생성부(7606)는, 송신 디지털 신호(7601),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602, 7603), 프레임 구성 신호(7605)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607)를 출력한다.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7604)는 프레임 구성 신호(7605)를 출력한다.
변조부(7608)는,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607)를 입력으로 하여, 변조 신호(7609)를 출력하고, 안테나(7610)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도 77은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무선부(7703)는, 안테나(7701)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7702)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를 출력한다.
멀티패스 추정부(77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를 입력으로 하여, 멀티패스 추정 신호(7706)를 출력한다.
방해파 강도 추정부(7707)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를 입력으로 하여, 방해파 강도 추정 신호(7708)를 출력한다.
채널 A의 전계 강도 추정부(7709)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7710)를 출력한다.
채널 B의 전계 강도 추정부(771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7712)를 출력한다.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771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7714)를 출력한다.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771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7716)를 출력한다.
정보 생성부(7717)는, 멀티패스 추정 신호(7706), 방해파 강도 추정 신호(7708), 채널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7710), 채널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7712),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7714),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7716)를 입력으로 하여,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를 출력한다.
신호 분리부(7719)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 7729),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7714, 7739),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7716, 7741)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0) 및 채널 B의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1)를 출력한다.
무선부(7728)는, 안테나(7726)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7727)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를 출력한다.
멀티패스 추정부(7730)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를 입력으로 하여, 멀티패스 추정 신호(7731)를 출력한다.
방해파 강도 추정부(7732)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를 입력으로 하여, 방해파 강도 추정 신호(7733)를 출력한다.
채널 A의 전계 강도 추정부(7734)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7735)를 출력한다.
채널 B의 전계 강도 추정부(7736)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7737)를 출력한다.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7738)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7739)를 출력한다.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7740)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를 입력으로 하여,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7741)를 출력한다.
정보 생성부(7742)는, 멀티패스 추정 신호(7731), 방해파 강도 추정 신호(7733), 채널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7735), 채널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7737),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7739),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7741)를 입력으로 하여,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43)를 출력한다.
도 78은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76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송신 방법 요구 정보 생성부(7801)는,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7602, 7603)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방법 요구 정보를 (7802)에 출력한다.
도 84(a)는 본 실시예에서의 기지국의 송신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채널 A의 프레임 구성(8410)과 채널 B의 프레임 구성(8420)을 나타내고 있다.
도 84(b)는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의 송신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기지국은 OFDM 방식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있으며, (8401)은 기지국 송신 신호의 가드 심볼, (8402)는 기지국 송신 신호의 정보 심볼, (8403)은 단말 송신 신호의 정보 심볼이다.
다음에, 도 4, 도 70, 도 71, 도 72, 도 74, 도 75, 도 76, 도 77을 이용하여,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 상대가 상기 변조 신호를 수신하여, 각 안테나에서의 전파의 전파 환경을 추정하고, 추정한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전파의 전파 환경의 정보에 근거해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통신 방법, 그 통신 방법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4는 기지국의 송신 장치의 구성이며,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7403)는, 송신 방법 결정 정보(7403)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방법 결정 정보(7403)에 근거해서, 예컨대, 도 70의 채널 A의 정보 심볼(7004)과 채널 B의 정보 심볼이 다중되어 있는 송신 방법, 또는 도 70의 채널 A의 정보 심볼(7005)은 송신되고 있지만 채널 B는 가드 심볼(7010)로 되어 있다고 하도록 다중하지 않은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구성 정보를 프레임 구성 신호(210)로서 출력한다. 단, 송신 방법 결정 정보(7403)는 도 75의 기지국의 수신 장치의 (7511)에 상당한다.
변조 신호 생성부(202)는, 송신 디지털 신호(7401) 및 다중 정보(7402),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으로 하여, 정보 심볼의 변조 신호(203)를 출력한다. 이 때 정보 심볼은 도 71과 같이, 다중 정보 심볼(7101)과 데이터 심볼(7102)로 구성되어 있고, 다중 정보 심볼(7101)은 다중 정보(7402)의 심볼이며, 데이터 심볼(7102)은 송신 디지털 신호(7401)이다. 단, 다중 정보(7402)는 도 75의 기지국의 수신 장치의 (7512)에 상당한다.
변조 신호 생성부(212)는, 송신 디지털 신호(7401),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으로 하여, 도 70과 같이, 프레임 구성 신호(210)에 따라서, 가드 심볼 또는 정보 심볼의 변조 신호(213)를 출력한다. 이 때, 가드 심볼의 변조 신호는 도 4의 (403)의 신호점이다.
도 75는 기지국의 수신 장치의 구성이며, 신호 분리부(7507)는 도 72의 프레임 구성도에서, 데이터 심볼(7205)과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에 상당하는 전계 강도 정보 심볼(7201), 전송로 왜곡 정보 심볼(7202), 멀티패스 정보 심볼(7203), 방해파 정보 심볼(7204)을 분리하고, 데이터 심볼(7205)의 정보를 수신 데이터(7509)로서 출력한다. 또한, 전계 강도 정보 심볼(7201), 전송로 왜곡 정보 심볼(7202), 멀티패스 정보 심볼(7203), 방해파 정보 심볼(7204)의 정보를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정보(7508)로서 출력한다.
송신 방법 결정부(7510)는,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7508)를 입력으로 하여,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7508)에 근거하여,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통신 방법을 선택하고, 그 송신 방법의 정보를 송신 방법 결정 정보(7511), 다중 정보(7512)로서 출력한다.
도 76은 단말의 송신 장치의 구성이며, 송신 디지털 신호(7601),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602, 7603), 프레임 구성 신호(7605)를 입력으로 하여, 도 72의 프레임 구성에 따라서, 송신 디지털 신호(7601)를 데이터 심볼(7205)로 해서,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602, 7603)를 전계 강도 정보 심볼(7201), 전송로 왜곡 정보 심볼(7202), 멀티패스 정보 심볼(7203), 방해파 정보 심볼(7204)로서 변조 신호(7606)를 출력한다. 단,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602, 7603)는 도 77의 단말의 수신 장치의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 7743)에 상당한다.
도 77은 단말의 수신 장치의 구성이며, 정보 생성부(7717)는 멀티패스 추정 신호(7706), 방해파 강도 추정 신호(7708), 채널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7710), 채널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7712),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7714),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7716)를 입력으로 하여, 도 72의 전계 강도 정보 심볼(7201), 전송로 왜곡 정보 심볼(7202), 멀티패스 정보 심볼(7203), 방해파 정보 심볼(7204)의 정보에 상당하는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정보 생성부(7742)는 멀티패스 추정 신호(7731), 방해파 강도 추정 신호(7733), 채널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7735), 채널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7737),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7739),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7741)를 입력으로 하여, 도 72의 전계 강도 정보 심볼(7201), 전송로 왜곡 정보 심볼(7202), 멀티패스 정보 심볼(7203), 방해파 정보 심볼(7204)의 정보에 상당하는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43)를 출력한다.
*이상에 의해, 전파의 전파 환경에 따라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지 않고서 송신하는 송신 방법을 전환함으로써 정보의 품질이 향상한다.
단,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 7743)는 도 76의 단말의 송신 장치의 (7602, 7603)에 상당한다.
다음에, 통신 개시 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신 개시 시에, 기지국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면, 단말은, 예컨대 전파 전달 상황이 나쁘고,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에 적합하지 않을 때에,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면 수신 데이터의 품질이 열화되어 버린다.
그래서, 기지국 송신 신호는, 단말과의 통신 개시 시에는, 도 70의 심 볼(7001, 7006)의 시간 및 심볼(7002, 7007) 시간과 같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지 않고서 송신한다.
도 74의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09)는, 단말과의 통신 개시 시에 도 70의 심볼(7001, 7006)의 시간 및 심볼(7002, 7007) 시간과 같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지 않고서 송신하는 설정을 하여, 그 때의 프레임 구성을 프레임 구성 신호(210)로서 출력한다.
단말의 수신 장치도 도 77은 도 74의 기지국 송신 신호의 심볼(7001, 7007)의 수신 신호로부터 전파의 전파 환경을 추정하여,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 7743)를 생성한다.
단말의 송신 장치도 도 76은 기지국 송신 신호의 심볼(7001, 7007)의 수신 신호로부터 전파의 전파 환경을 추정한,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 7743)를 도 70의 정보 심볼(7011, 7012)로 전송한다.
기지국에 수신 장치도 도 75는 단말의 송신 장치도 도 76이 송신한 송신 신호 중, 정보 심볼(7011)에 포함되는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정보로부터,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지 않고서 송신하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예컨대, 전파의 전파 환경이 양호하면, 정보 심볼(7004, 7009)과 같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한다.
이상에 의해, 단말과의 통신 개시 시는,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지 않고서 송신함으로써, 정보의 품질이 향상된다.
단,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최초에 단말이 기지국과 통신하고자 한다고 하는 요구를 하기 위한 변조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된다.
또한, 기지국의 송신 방법이 OFDM 방식일 때도 마찬가지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4, 도 70, 도 71, 도 73, 도 74, 도 75, 도 77, 도 78을 이용하여,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 상대가 상기 변조 신호를 수신하여, 각 안테나에서의 전파의 전파 환경을 추정하고, 추정한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에 근거하여 송신 방법으로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요구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요구 정보에 근거하여,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통신 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4는 기지국의 송신 장치의 구성이며,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7403)는, 송신 방법 결정 정보(7403)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방법 결정 정보(7403)에 근거해서, 예컨대, 도 70의 채널 A의 정보 심볼(7004)과 채널 B의 정보 심볼이 다중되어 있는 송신 방법, 또는 도 70의 채널 A의 정보 심볼(7005)은 송신되고 있지만 채널 B는 가드 심볼(7010)로 되어 있다고 하도록 다중하지 않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구성 정보를 프레임 구성 신호(210)로서 출력한다. 단, 송신 방법 결정 정보(7403)는 도 75의 기지국의 수신 장치의 (7511)에 상당한다.
변조 신호 생성부(202)는, 송신 디지털 신호(7401) 및 다중 정보(7402),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으로 하여, 정보 심볼의 변조 신호(203)를 출력한다. 이 때 정보 심볼은 도 71과 같이, 다중 정보 심볼(7101)과 데이터 심볼(7102)로 구성되어 있고, 다중 정보 심볼(7101)은 다중 정보(7402)의 심볼이며, 데이터 심볼(7102)은 송신 디지털 신호(7401)이다. 단, 다중 정보(7402)는 도 75의 기지국의 수신 장치의 (7512)에 상당한다.
변조 신호 생성부(212)는, 송신 디지털 신호(7401),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으로 하여, 도 70과 같이, 프레임 구성 신호(210)에 따라서, 가드 심볼 또는 정보 심볼의 변조 신호(213)를 출력한다. 이 때, 가드 심볼의 변조 신호는 도 4의 (403)의 신호점이다.
도 75는 기지국의 수신 장치의 구성이며, 신호 분리부(7507)는 도 73의 프레임 구성도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7302)과 송신 방법 요구 정보(7301)를 분리하여, 데이터 심볼(7205)의 정보를 수신 데이터(7509)로서, 또한, 송신 방법 요구 정보 심볼(7301)을 송신 방법 요구 정보(7508)로서 출력한다.
송신 방법 결정부(7510)는, 송신 방법 요구 정보(7508)를 입력으로 하여,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통신 방법을 선택하고, 그 송신 방법의 정보를 송신 방법 결정 정보(7511), 다중 정보(7512)로서 출력한다.
도 78은 단말의 송신 장치의 구성이며, 송신 방법 요구 정보 생성부(7801)는,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602, 7603)를 입력으로 하여,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602, 7603)에 따라서, 예컨대 전파의 전파 환경이 좋은 경우,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나쁜 경우, 하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통신 방법을 송신 요구 정보(7802)로서 출력한다.
변조 신호 생성부(7606)는, 송신 디지털 신호(7601), 프레임 구성 신호(7605), 송신 요구 정보(7802)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7605)로부터 출력되는 도 73의 프레임 구성에 따라서, 송신 디지털 신호(7601) 및 송신 요구 정보(7802)를 변조하고,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607)를 출력한다. 단,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602, 7603)는 도 77의 단말의 수신 장치의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 7743)에 상당한다.
도 77은 단말의 수신 장치의 구성이며, 정보 생성부(7717)는 멀티패스 추정 신호(7706), 방해파 강도 추정 신호(7708), 채널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7710), 채널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7712),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7714), 채널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7716)를 입력으로 하여,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정보 생성부(7742)는 멀티패스 추정 신호(7731), 방해파 강도 추정 신호(7733), 채널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7735), 채널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7737),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7739), 채널 B의 전 송로 왜곡 추정 신호(7741)를 입력으로 하여,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43)를 출력한다.
단,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 7743)는 도 78의 단말의 송신 장치의 (7602, 7603)에 상당한다.
이상에 의해, 전파의 전파 환경에 따라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지 않고서 송신하는 송신 방법을 전환함으로써 정보의 품질이 향상한다.
다음에, 통신 개시 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신 개시 시에, 기지국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면, 단말은, 예컨대 전파 전달 상황이 나쁘게,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에 적합하지 않을 때에, 기지국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면 수신 데이터의 품질이 열화되어 버린다.
그래서, 기지국 송신 신호는, 단말과의 통신 개시 시는, 도 70의 심볼(7001, 7006)의 시간 및 심볼(7002, 7007) 시간과 같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지 않고서 송신한다.
도 74의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09)는, 단말과의 통신 개시 시에 도 70의 심볼(7001, 7006)의 시간 및 심볼(7002, 7007) 시간과 같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지 않고서 송신하는 설정을 하여, 그 때의 프레임 구성을 프레임 구성 신호(210)로서 출력한다.
단말의 수신 장치도 도 77은 도 74의 기지국 송신 신호의 심볼(7001, 7007)의 수신 신호로부터 전파의 전파 환경을 추정하고,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 7743)를 생성한다.
단말의 송신 장치도 도 78의 송신 방법 요구 정보 생성부(7801)는, 기지국 송신 신호의 심볼(7001, 7007)의 수신 신호로부터 전파의 전파 환경을 추정한,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 7743)를 입력으로 하여,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지 않고서 송신하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송신 요구 정보(7802)를 출력하며, 이 정보가 예컨대 도 70의 정보 심볼(7011)에서, 도 73의 송신 신호의 정보 심볼의 구성으로 송신된다.
기지국의 수신 장치도 도 75는 단말의 송신 장치도 도 78이 송신한 송신 신호 중, 정보 심볼(7011)에 포함되는 송신 방법 요구 정보 심볼로부터,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지 않고서 송신하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한다.
이상에 의해, 단말과의 통신 개시 시는,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화하지 않고서 송신함으로써, 정보의 품질이 향상된다.
단,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최초에 단말이 기지국과 통신하고자 한다고 하는 요구를 하기 위한 변조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싱글 캐리어 방식,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다중 방식인 CDMA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실시가 가능하고, 이 경우, 송신 장치에서는 확산부, 수신 장치에서는 역확산부가 구성으로서 필요하게 된다.
특히, OFDM 방식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4는 기지국의 송신 방법이 OFDM 방식일 때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이다. 기지국의 송신 장치는, 시간 0에서는 채널 A의 변조 신호가 송신되어 있고, 시간 1에서는 채널 B의 변조 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 단말은, 시간 0의 기지국이 송신한 변조 신호, 시각 1의 기지국이 송신한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전파의 전파 환경, 예컨대, 멀티패스, 방해파 전계 강도, 채널 A의 전계 강도, 채널 B의 전계 강도, 채널 A의 전송로 왜곡, 채널 B의 전송로 왜곡을 추정하며, 이들의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정보, 또는,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다중하지 않고서 송신하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요구하는 송신 요구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고, 기지국은 이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정보 또는 송신 요구 정보로부터 송신 방법을 결정하여, 예컨대, 전파의 전파 환경이 좋은 경우, 도 84의 시간 3, 시간 4와 같이 채널 A와 채널 B가 다중되어 송신되고, 전파의 전파 환경이 나쁜 경우, 도 84의 시간 5와 같이 채널 A의 변조 신호만이 송신된다. 이 때의 기지국 및 단말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는, 상술한 도 70의 프레임 구성에서 설명한 도 74, 도 75, 도 76, 도 77, 도 78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신호를 OFDM 방식으로 변조 신호를 생성한 방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동일 주파수 대역에 다중하는 채널 수는 2 채널과 1 채널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 주파수 대역에 예컨대 3 채널 다중이 가능한 경우, 기지국의 송신 장치는 1 내지 3 채널 사이에서 다중수를 전환하는 것으로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의 안테나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있고, "안테나"로 표기하고 있지만,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군으로 생각하여도 된다.
이상에 의해,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 상대가 상기 변조 신호를 수신하여, 각 안테나에서의 전파의 전파 환경을 추정하고, 추정한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전파의 전파 환경의 정보에 근거해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통신 방법, 그 통신 방법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과 하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 방법을 전파의 전파 환경에 의해 전환함으로써 정보를 보다 적확(的確)하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13)
실시예 13에서는,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변조 신호를 송신 가능 하며,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송신 방법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 상대가 상기 변조 신호를 수신하여, 각 안테나에서의 전파의 전파 환경을 제어 채널의 수신 신호로부터 추정하고, 추정한 전파의 전파 환경의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에 근거해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통신 방법, 그 통신 방법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및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변조 신호를 송신 가능하고,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송신 방법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 상대가 상기 변조 신호를 수신하여, 각 안테나에서의 전파의 전파 환경을 제어 채널의 수신 신호로부터 추정하고, 추정한 전파의 전파 환경의 정보로부터,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송신 방법을 요구하는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요구 정보에 근거해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송신 방법을 선택하는 통신 방법, 그 통신 방법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72는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 송신 신호의 정보 심볼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73은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의 정보 심볼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75는 본 실시예에서의 기지국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76은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78은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79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간축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지국의 송신 신호의 프레임 구성(7980)과 단말의 송신 신호의 프레임 구성(7990)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기지국의 송신 신호의 프레임 구성(7980)의 일례로서, 데이터 채널(7920)과 제어 채널(7930)로 이루어지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프레임 구성(7960)과, 데이터 채널(7940)과 제어 채널(7950)로 이루어지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프레임 구성(7970)을 나타낸다.
(7901, 7902)는 기지국 송신 신호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정보 심볼, (7903, 7904, 7905, 7906)은 기지국 송신 신호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심볼이다.
(7907)은 기지국 송신 신호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정보 심볼, (7908)은 가드 심볼, (7909, 7910, 7911, 7912)는 기지국 송신 신호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심볼이다.
(7913, 7914, 7915)는 단말 송신 신호의 정보 심볼이다.
도 80은 본 실시예에서의 기지국의 송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송신부(8020)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송신부(8030)와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09)로 이루어진다.
이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송신부(8020)는 데이터 채널 변조 및 확산부(8002)와, 제어 채널 변조 및 확산부(8006)와, 가산부(8004)와, 무선부(204)와 전력 증폭부(206)와 안테나(208)로 구성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송신부(8030)는 데이터 채널 변조 및 확산부(8009)와, 제어 채널 변조 및 확산부(8012)와, 가산부(8011)와, 무선부(214)와 전력 증폭부(216)와 안테나(218)로 구성된다.
또한, 도 2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데이터 채널 변조 및 확산부(8002)는, 송신 디지털 신호(8001),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데이터 채널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8003)를 출력한다.
제어 채널 변조 및 확산부(8006)는, 송신 방법 결정 정보(8005),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채널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8010)를 출력한다.
가산부(8004)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데이터 채널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8003) 및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채널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8010)를 입력으로 하여, 가산하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가산 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03)를 출력한다.
데이터 채널 변조 및 확산부(8009)는, 송신 디지털 신호(8008),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데이터 채널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8010)를 출력한다.
제어 채널 변조 및 확산부(8012)는, 송신 방법 결정 정보(8005),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채널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8013)를 출력한다.
가산부(8011)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데이터 채널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8010) 및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채널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8013)를 입력으로 하여, 가산하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가산된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213)를 출력한다.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09)는, 송신 방법 결정 정보(8005)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출력한다.
도 81은 제어 심볼의 구성(8110)이며, 도 79의 제어 심볼(7903, 7904, 7905, 7906, 7909, 7910, 7911, 791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8101)은 다중 정보, (8102)는 파일롯 심볼, (8103)은 송신 전력 제어 정보이다.
도 82는 본 실시예에서의 단말의 수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77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계 강도 추정부(8201)는, 수신 직교 베이스 밴드 신호(7704)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02)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계 강도 추정부(82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04)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2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06)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207)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08)를 출력한다.
정보 생성부(7717)는, 멀티패스 추정 신호(7706), 방해파 강도 추정 신호(7708),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02),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04),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06),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08)를 입력으로 하여,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계 강도 추정부(8209)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10)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계 강도 추정부(8211)는, 수신 직교 베이스 밴드 신호(7729)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12)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21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14)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21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16)를 출력한다.
정보 생성부(7742)는, 멀티패스 추정 신호(7731), 방해파 강도 추정 신호(7733),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10),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12),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14),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16)를 입력으로 하여,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43)를 출력한다.
도 83은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지국의 송신 신호의 프레임 구성(8301)과 단말의 송신 신호의 프레임 구성(8302)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기지국의 송신 신호의 프레임 구성(8301)의 일례로서, 데이터 채널(8305)과 제어 채널(8306)로 이루어지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프레임 구성(8303)과, 데이터 채널(8307)만으로 이루어지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프레임 구성(8304)을 나타낸다.
도 85는 본 실시예에서의 기지국이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신호를 OFDM 방식으로 송신할 때의 제어 채널(8510)의 제어 심볼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8501, 8502, 8503, 8504)는 제어 심볼이고, 시간축에서 제어 심볼이 구성되어 있다.
도 86은 본 실시예에서의 기지국이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신호를 OFDM 방식으로 송신할 때의 제어 채널(8610)의 제어 심볼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8601, 8602, 8603, 8604)는 제어 심볼이고, 주파수축에서 제어 심볼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4, 도 72, 도 75, 도 76, 도 79, 도 80, 도 81, 도 82를 이용하여,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변조 신호를 송신 가능하고,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송신 방법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 상대가 상기 변조 신호를 수신하여, 각 안테나에서의 전파의 전파 환경을 제어 채널의 수신 신호로부터 추정하고, 추정한 전파의 전파 환경의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에 근거해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통신 방법, 그 통신 방법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0은 기지국의 송신 장치의 구성이며,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09)는, 송신 방법 결정 정보(8005)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방법 결정 정보(8005)에 근거해서, 예컨대,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정보 심볼(7901)과 스펙트럼 확 산 통신 방식 B의 정보 심볼(7907)이 다중되어 있는 송신 방법, 또는,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정보 심볼(7902)은 송신되고 있지만,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는 가드 심볼(7908)로 되어 있다고 하도록 다중하지 않은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구성 정보를 프레임 구성 신호(210)로서 출력한다. 단, 송신 정보 결정 정보(8005)는 도 75의 기지국의 수신 장치(7511)에 상당한다.
데이터 채널 변조 및 확산부(8002)는, 송신 디지털 신호(8001) 및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8003)를 출력한다.
데이터 채널 변조 및 확산부(8009)는, 송신 디지털 신호(8008) 및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으로 하여, 도 79와 같이, 프레임 구성 신호(210)에 따라서, 가드 심볼 또는 정보 심볼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8010)를 출력한다. 이 때, 가드 심볼의 변조 신호는 도 4의 (403)의 신호점이다.
제어 채널 변조 및 확산부(8006)는, 송신 방법 결정 정보(8005)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도 81과 같이, 다중 정보(8101), 파일롯 심볼(8102), 송신 전력 제어 정보(8103) 등의 제어를 위한 정보의 제어 채널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8007)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제어 채널 변조 및 확산부(8012)는, 송신 방법 결정 정보(8005)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도 81과 같이, 다중 정보(8101), 파일롯 심볼(8102), 송신 전력 제어 정보(8103) 등의 제어를 위한 정보의 제어 채널의 송신 직교 베이 스밴드 신호(8013)를 출력한다.
여기서, 도 81의 다중 정보(8101)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를 다중하는 송신 방법, 또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만 송신하는 방식 중 어느 쪽인지를 단말에 통지하기 위한 심볼이다.
도 75는 기지국의 수신 장치의 구성이며, 신호 분리부(7507)는 도 72의 프레임 구성도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7205)과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에 상당하는 전계 강도 정보 심볼(7201), 전송로 왜곡 정보 심볼(7202), 멀티패스 정보 심볼(7203), 방해파 정보 심볼(7204)을 분리해서, 데이터 심볼(7205)의 정보를 수신 데이터(7509)로서 출력한다. 또한, 전계 강도 정보 심볼(7201), 전송로 왜곡 정보 심볼(7202), 멀티패스 정보 심볼(7203), 방해파 정보 심볼(7204)의 정보를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정보(7508)로서 출력한다.
송신 방법 결정부(7510)는,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7508)를 입력으로 하여,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7508)에 근거해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그 송신 방법의 정보를 송신 방법 결정 정보(7511), 다중 정보(7512)로서 출력한다.
도 76은 단말의 송신 장치의 구성이며, 송신 디지털 신호(7601),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602, 7603), 프레임 구성 신호(7604)를 입력으로 하여, 도 72의 프레임 구성에 따라서, 송신 디지털 신호(7601)를 데이터 심볼(7205)로 하여,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602, 7603)를 전계 강도 정보 심볼(7201), 전송로 왜곡 정보 심볼(7202), 멀티패스 정보 심볼(7203), 방해파 정보 심볼(7204)로서 변조 신호(7606)를 출력한다. 단,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602, 7603)는 도 82의 단말의 수신 장치의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 7743)에 상당한다.
도 82는 단말의 수신 장치의 구성이며,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계 강도 추정부(82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 중의 예컨대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채널의 성분으로부터 전계 강도를 추정하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신호(8202)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계 강도 추정부(82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 중의 예컨대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채널의 성분으로부터 전계 강도를 추정하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04)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2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채널의 성분으로부터 전송로 왜곡을 추정하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06)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207)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채널의 성분으로부터 전송로 왜곡을 추정하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08)를 출력한다.
정보 생성부(7717)는, 멀티패스 추정 신호(7706), 방해파 강도 추정 신호(7708),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02),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04),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 왜곡 추정 신호(8206),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08)를 입력으로 하여, 도 72의 전계 강도 정보 심볼(7201), 전송로 왜곡 정보 심볼(7202), 멀티패스 정보 심볼(7203), 방해파 정보 심볼(7204)의 정보에 상당하는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계 강도 추정부(8209)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 중의 예컨대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채널의 성분으로부터 전계 강도를 추정하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10)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계 강도 추정부(821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 중의 예컨대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채널의 성분으로부터 전계 강도를 추정하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12)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213)는, 수신 직교 베이 스밴드 신호(7729)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 중의 예컨대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채널의 성분으로부터 전송로 왜곡을 추정하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14)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21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 중의 예컨대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채널의 성분으로부터 전송로 왜곡을 추정하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16)를 출력한다.
정보 생성부(7742)는, 멀티패스 추정 신호(7731), 방해파 강도 추정 신호(7733),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10),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12),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14),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16)를 입력으로 하여, 도 72의 전계 강도 정보 심볼(7201), 전송로 왜곡 정보 심볼(7202), 멀티패스 정보 심볼(7203), 방해파 정보 심볼(7204)의 정보에 상당하는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43)를 출력한다.
이상에 의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을 전환함으로써 정보의 품질이 향상한다.
단,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 7743)는 도 76의 단말의 송신 장치의 (7602, 7603)에 상당한다.
다음에, 통신 개시 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신 개시 시에, 기지국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면, 단말은, 예컨대 전파 전달 상황이 나쁘고,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에 적합하지 않을 때에, 기지국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면 수신 데이터의 품질이 열화되어 버린다.
그래서, 기지국 송신 신호는, 단말과의 통신 개시 시는,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정보 심볼 및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정보 심볼이 존재하지 않도록, 예컨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심볼(7903)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심볼(7909)의 시간,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심볼(7904)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심볼(7913)의 시간과 같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이 존재하지 않도록 한다.
도 80의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09)는, 단말과의 통신 개시 시에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A의 제어 심볼(7903)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심볼(7909)의 시간,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심볼(7904)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심볼(7913)의 시간과 같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설정을 해서, 그 때의 프레임 구성을 프레임 구성 신호(210)로서 출력한다.
단말의 수신 장치도 도 82는 도 80의 기지국 송신 신호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A의 제어 심볼(7903)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심볼(7909),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심볼(7904)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심볼(7913)의 수신 신호로부터 전파의 전파 환경을 추정하고,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 7743)를 생성한다.
단말의 송신 장치도 도 76은, 기지국 송신 신호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A의 제어 심볼(7903)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심볼(7909),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심볼(7904)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심볼(7913)의 수신 신호로부터 전파의 전파 환경을 추정한,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 7743)를 도 79의 정보 심볼(7913, 7914)로 전송한다.
기지국의 수신 장치도 도 75는, 단말의 송신 장치도 도 76이 송신한 송신 신호 중, 정보 심볼(7913)에 포함되는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정보로부터,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예컨대, 전파의 전파 환경이 좋으면, 정보 심볼(7901, 7907)과 같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한다.
이상에 의해, 단말과의 통신 개시 시는,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 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설정에 의해 정보의 품질이 향상된다.
단,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최초에 단말이 기지국과 통신하고자 한다고 하는 요구를 하기 위한 변조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된다.
다음에, 도 4, 도 73, 도 75, 도 78, 도 79, 도 80, 도 81, 도 82를 이용하여,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변조 신호를 송신 가능하고,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송신 방법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 상대가 상기 변조 신호를 수신하여, 각 안테나에서의 전파의 전파 환경을 제어 채널의 수신 신호로부터 추정하고, 추정한 전파의 전파 환경의 정보로부터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송신 방법을 요구하는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요구 정보에 근거해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송신 방법을 선택하는 통신 방법, 그 통신 방법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0은 기지국의 송신 장치의 구성이며,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09)는, 송신 방법 결정 정보(8005)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방법 결정 정보(8005)에 근거해서, 예컨대,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정보 심볼(7901)과 스펙트럼 확 산 통신 방식 B의 정보 심볼(7907)이 다중되어 있는 송신 방법, 또는,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정보 심볼(7902)는 송신되고 있지만,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는 가드 심볼(7908)로 되어 있다고 하도록 다중하지 않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구성 정보를 프레임 구성 신호(210)로서 출력한다. 단, 송신 정보 결정 정보(8005)는 도 75의 기지국의 수신 장치(7511)에 상당한다.
데이터 채널 변조 및 확산부(8002)는, 송신 디지털 신호(8001) 및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으로 하여,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8003)를 출력한다.
데이터 채널 변조 및 확산부(8009)는, 송신 디지털 신호(8008) 및 프레임 구성 신호(210)를 입력으로 하여, 도 79와 같이, 프레임 구성 신호(210)에 따라서, 가드 심볼 또는 정보 심볼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8010)를 출력한다. 이 때, 가드 심볼의 변조 신호는 도 4의 (403)의 신호점이다.
제어 채널 변조 및 확산부(8006)는, 송신 방법 결정 정보(8005)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도 81과 같이, 다중 정보(8101), 파일롯 심볼(8102), 송신 전력 제어 정보(8103) 등의 제어를 위한 정보의 제어 채널의 송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8007)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제어 채널 변조 및 확산부(8012)는, 송신 방법 결정 정보(8005)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도 81과 같이, 다중 정보(8101), 파일롯 심볼(8102), 송신 전력 제어 정보(8103) 등의 제어를 위한 정보의 제어 채널의 송신 직교 베이 스밴드 신호(8013)를 출력한다.
여기서, 도 81의 다중 정보(8101)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를 다중하는 송신 방법, 또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만 송신하는 방식 중 어느 쪽인지를 단말에 통지하기 위한 심볼이다.
도 75는 기지국의 수신 장치의 구성이며, 신호 분리부(7507)는 도 73의 프레임 구성도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7302)과 송신 방법 요구 정보 심볼(7301)을 분리하고, 데이터 심볼(7302)의 정보를 수신 데이터(7509)로서 출력한다. 또한, 송신 방법 요구 정보 심볼(7301)의 정보를 송신 요구 정보(7508)로서 출력한다.
송신 방법 결정부(7510)는, 송신 요구 정보(7508)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요구 정보(7508)에 근거해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그 송신 방법의 정보를 송신 방법 결정 정보(7511), 다중 정보(7512)로서 출력한다.
도 78은 단말의 송신 장치의 구성이며, 송신 방법 요구 정보 생성부(7801)는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602, 7603)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 요구 정보(7802)를 출력한다. 변조 신호 생성부(7606)는, 송신 디지털 신호(7601), 송신 요구 정보(7802), 프레임 구성 신호(7605)를 입력으로 하여, 도 73의 프레임 구성에 따른 변조 신호(7607)를 출력한다. 단,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602, 7603)는 도 82의 단말의 수신 장치의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 7743)에 상당한다.
도 82는 단말의 수신 장치의 구성이며,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계 강도 추정부(820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 중의 예컨대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채널의 성분으로부터 전계 강도를 추정하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신호(8202)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계 강도 추정부(820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 중의 예컨대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채널의 성분으로부터 전계 강도를 추정하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04)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205)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채널의 성분으로부터 전송로 왜곡을 추정하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06)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207)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04)를 입력으로 하여, 예컨대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채널의 성분으로부터 전송로 왜곡을 추정하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08)를 출력한다.
정보 생성부(7717)는, 멀티패스 추정 신호(7706), 방해파 강도 추정 신호(7708),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02), 스펙 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04),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06),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08)를 입력으로 하여, 도 72의 전계 강도 정보 심볼(7201), 전송로 왜곡 정보 심볼(7202), 멀티패스 정보 심볼(7203), 방해파 정보 심볼(7204)의 정보에 상당하는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계 강도 추정부(8209)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 중의 예컨대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채널의 성분으로부터 전계 강도를 추정하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10)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계 강도 추정부(8211)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 중의 예컨대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채널의 성분으로부터 전계 강도를 추정하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12)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213)는,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 중의 예컨대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채널의 성분으로부터 전송로 왜곡을 추정하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14)를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부(8215)는, 수신 직교 베이 스밴드 신호(7729)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직교 베이스밴드 신호(7729) 중의 예컨대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채널의 성분으로부터 전송로 왜곡을 추정하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16)를 출력한다.
정보 생성부(7742)는, 멀티패스 추정 신호(7731), 방해파 강도 추정 신호(7733),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10),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신호의 전계 강도 추정 신호(8212),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14),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전송로 왜곡 추정 신호(8216)를 입력으로 하여, 도 72의 전계 강도 정보 심볼(7201), 전송로 왜곡 정보 심볼(7202), 멀티패스 정보 심볼(7203), 방해파 정보 심볼(7204)의 정보에 상당하는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43)를 출력한다.
이상에 의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을 전환함으로써 정보의 품질이 향상된다.
단,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 7743)는 도 78의 단말의 송신 장치의 (7602, 7603)에 상당한다.
다음에, 통신 개시 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신 개시 시에, 기지국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면, 단말은, 예컨대 전파 전달 상황이 나쁘고,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에 적합하지 않을 때에, 기지국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면 수신 데이터의 품질이 열화되어 버린다.
그래서, 기지국 송신 신호는, 단말과의 통신 개시 시는,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정보 심볼 및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정보 심볼이 존재하지 않도록, 예컨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심볼(7903)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심볼(7909)의 시간,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심볼(7904)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심볼(7913)의 시간과 같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이 존재하지 않도록 한다.
도 80의 프레임 구성 신호 생성부(209)는, 단말과의 통신 개시 시에 도 79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A의 제어 심볼(7903)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심볼(7909)의 시간,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심볼(7904)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심볼(7913)의 시간과 같이,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설정을 행해서, 그 때의 프레임 구성을 프레임 구성 신호(210)로서 출력한다.
단말의 수신 장치도 도 82는 도 80의 기지국 송신 신호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A의 제어 심볼(7903)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심볼(7909),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심볼(7904)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심 볼(7913)의 수신 신호로부터 전파의 전파 환경을 추정하고,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 7743)를 생성한다.
단말의 송신 장치도 도 78은, 기지국 송신 신호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A의 제어 심볼(7903)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심볼(7909),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의 제어 심볼(7904)과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심볼(7913)의 수신 신호로부터 전파의 전파 환경을 추정한, 전파의 전파 환경 추정 신호(7718, 7743)로부터, 송신 방법 요구 정보 생성부(7801)는,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요구하는 정보를 송신 요구 정보(7802)를 도 79의 정보 심볼(7913, 7914)로 전송한다.
기지국의 수신 장치도 도 75는 단말의 송신 장치도 도 76이 송신한 송신 신호 중, 정보 심볼(7913)에 포함되는 송신 요구 정보로부터,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결정한 송신 방법의 변조 신호를 안테나로부터 송신한다.
이상에 의해, 단말과의 통신 개시 시는,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설정에 의해 정보의 품질이 향상된다.
단,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최초에 단말이 기지국과 통신하고자 한다고 하는 요구를 하기 위한 변조 신호를 송신하더라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도 7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 및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 모두 제어 채널이 존재하고 있지만, 예컨대, 도 83과 같이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만 제어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실시 가능하다. 이 때, 기지국의 송신 장치는, 도 80에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제어 채널 변조 및 확산부(8012)가 없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동일 주파수 대역에 다중하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수는 2 채널과 1 채널의 전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 주파수 대역에 예컨대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수가 3 가능한 경우, 기지국의 송신 장치는 1 내지 3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사이에서 다중수를 전환하게 된다.
그리고,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신호를 OFDM 방식으로 변조 신호를 생성한 방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실시가 가능하다. 그 때의 기지국이 송신하는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제어 심볼의 구성의 일례를 도 85 및 도 86에 나타낸다. 도 85에서는, 제어 심볼은 시간축 상에서 확산되어 있다. 도 86에서는, 제어 심볼은 주파수축 상에서 확산되어 있다. 정보 심볼도 도 85, 도 86과 마찬가지로 시간축 및 주파수축 상에서 어느 하나에서 확산되어 있고, 제어 채널의 신호와 다중되어 있게 된다. 이 때의 기지국 및 단말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는, 상술한 도 70의 프레임 구성에서 설명한 도 75, 도 76, 도 78, 도 80, 도 82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 및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B의 데이터 채널의 수를 각각 1 채널로서 설명했지만, 데이터 채널수는 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2 이상으로 해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 A와 스펙트럼 확산 통신 B에서 확산 및 역확산을 위해 사용하는 부호는 동일한 부호, 다른 부호 어느 쪽이라도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의 안테나란,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도 있고, "안테나"로 표기하고 있지만,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부라고 생각하더라도 무방하다.
이상에 의해,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변조 신호를 송신 가능하고,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송신 방법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 상대가 상기 변조 신호를 수신하여, 각 안테나에서의 전파의 전파 환경을 제어 채널의 수신 신호로부터 추정하고, 추정한 전파의 전파 환경의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전파의 전파 환경 정보에 근거해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통신 방법, 그 통신 방법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및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변조 신호를 송신 가능하고,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있는 송신 방법의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 상대가 상기 변조 신호를 수신하여, 각 안테나에서의 전파의 전파 환경을 제어 채널의 수신 신호로부터 추정하고, 추정한 전파의 전파 환경의 정보로부터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 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송신 방법을 요구하는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요구 정보에 근거해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 복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하나의 스펙트럼 확산 통신 방식의 데이터 채널의 변조 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송신 방법을 선택하는 통신 방법, 그 통신 방법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로 함으로써, 정보를 보다 적확하게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