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5091B1 - 충전기 및 이 충전기를 구비한 직류-직류 컨버터, 및 그들의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충전기 및 이 충전기를 구비한 직류-직류 컨버터, 및 그들의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091B1
KR100835091B1 KR1020067001626A KR20067001626A KR100835091B1 KR 100835091 B1 KR100835091 B1 KR 100835091B1 KR 1020067001626 A KR1020067001626 A KR 1020067001626A KR 20067001626 A KR20067001626 A KR 20067001626A KR 100835091 B1 KR100835091 B1 KR 100835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oltage
control circuit
reference voltage
out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1280A (ko
Inventor
키미요시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신덴겐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덴겐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덴겐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09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6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by variation of field
    • H02J7/20Regulation of the charging current or voltage by variation of field due to variation of continuously variable ohmic resis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9Voltage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67Voltage of auxiliary devices, e.g. batteries,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865Voltage
    • H01M8/04888Voltage of auxiliary devices, e.g. batteries,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925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947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auxiliary devices, e.g. batteries, capaci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기의 내부에서 기준 전압을 설정할 수 있는 신규의 충전기를 제공한다. 전력 공급시의 출력 임피던스가 납축전지나 니켈-카드늄 축전지등의 일반 배터리에 비해 비교적 큰 연료 전지 또는 태양전지를 입력원(Vfc)으로 하고, 입력 전력을 일정화 제어하는 구성의 DC-DC 컨버터를 통하여 2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지(B)에는 제어 회로(10)가 접속되고, 이 전류 제어 회로와 상기 충전기의 입력의 사이에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를 접속하고, 이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충전기의 출력이 수하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저하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을 증가시켜서, 충전기의 출력 전압 안정화 제어에서 정해지는 전압으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충전기의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상승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에 대응하는 기준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를 제공한다.
충전기, DC-DC 컨버터

Description

충전기 및 이 충전기를 구비한 직류-직류 컨버터, 및 그들의 제어 회로{CHARGER, DC/DC CONVERTER HAVING THAT CHARGER, AND CONTROL CIRCUIT THEREOF}
본 발명은, 연료 전지의 소요되는 전력을 얻는 충전기 및 이 충전기를 구비한 DC-DC 컨버터, 및 그들의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연료 전지 또는 태양전지를 입력원으로 하는 DC-DC 컨버터에 있어서, 전력 급전시에 출력 임피던스의 작용으로 저하되는 입력 전압을 일정 전압화 제어하고, 입력 정전력화를 도모하는 수단으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입력 급전 전력(Pin)이 출력 급전 전력(Pout)보다 작은 때는, 입력 전압이 일정 전압화되어, 출력 전압이 수하(垂下) 상태로 되고, 입력 급전 전력(Pin)이 출력 급전 전력(Pout)보다 큰 때는, 입력 전압이 상승하여, 출력 전압이 일정 전압으로 되는 수단을 채택하고 있다(태양전지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수단을 채용한 경우, 입력 급전 전력(Pin)이 출력 급전 전력(Pout)보다 큰 때는, 입력 전압이 상승한다. 그 때문에, 특히 연료 전지를 입력원으로 한 경우, 연료 전지는 화학반응에 의해 발전하기 때문에, 급격한 전압 환경의 변화에 의해, 전지의 열화를 초래한다는 과제가 생겼다. 또한, 연료 전지의 동작 전압은, 전지 온도, 화학반응 등의 요인으로 변화하는, 예를 들면, 같은 동작 전압이라도 전지 온도의 차이에 의해 급전할 수 있는 전력량은 변화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최적화한 기준 전압을 외부로부터 입력하여, DC-DC 컨버터의 입력 전압을 제어하는 임의치의 전압 제어 입력과 연료 전지의 출력 전압을 입력하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DC-DC 컨버터를 발명하였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특개평11-341699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원2003-388747 공보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DC-DC 컨버터라도, 외부 입력의 경우, 전지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통합하여 전기 신호화하여 입력 신호로서 단일화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회로적으로 복잡해진다. 또한, 사용하기도 좋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DC-DC 컨버터의 내부에서 기준 전압을 설정할 수 있는 신규의 충전기 및 이 충전기를 구비한 DC-DC 컨버터를 제공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충전기는, 전력 공급시의 출력 임피던스가 납축전지나 니켈-카드늄 축전지등의 일반 배터리에 비해 비교적 큰 연료 전지 또는 태양전지를 입력원으로 하고, 입력 전력을 일정화 제어하는 구성의 충전기를 통하여 2차 전지를 충전하는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지에는 전류 제어 회로가 접속되고, 이 전류 제어 회로와 상기 충전기의 입력의 사이에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를 접속하고, 이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충전기의 출력이 수하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저하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을 증가시켜서, 충전기의 출력 전압 안정화 제어에서 정해지는 전압으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충전기의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상승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에 대응하는 기준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는, 2개의 정전류 회로와,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와,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와,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에서 검출하는 출력이 수하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정전류 회로를 통하여 상기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방전하여, 출력 전압을 상승시켜서 충전기의 출력 전압 안정화 제어에서 정해지는 전압으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에서 검출하는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정전류 회로를 통하여 상기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충전하여, 급전 전력에 대응하는 기준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충전기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는, 전력 공급시의 출력 임피던스가 납축전지나 니켈-카드늄 축전지등의 일반 배터리에 비해 비교적 큰 연료 전지 또는 태양전지를 입력원으로 하고, 입력 전력을 일정화 제어하는 상기 충전기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의 출력이 수하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저하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을 증가시켜서, 충전기의 출력 전압 안정화 제어에서 정해지는 전압으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충전기의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상승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에 대응하는 기준치를 설정하는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는, 2개의 정전류 회로와,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와,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와,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에서 검출하는 출력이 수하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정전류 회로를 통하여 상기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방전하고, 출력 전압을 상승시켜서 충전기의 출력 전압 안정화 제어에서 정해지는 전압으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에서 검출하는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정전류 회로를 통하여 상기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충전하여, 급전 전력에 대응하는 기준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기의 출력에 임의 부하와 병렬로 2차 전지를 구비하고, 상기 2차 전지에 접속되는 전류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이 전류 제어 회로는, 상기 부하의 전류가 감소하면, 상기 2차 전지에 유입하는 충전 전류를 증가시키고, 상기 부하의 전류가 증가하면, 상기 2차 전지에의 충전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하고, 출력 전압이 설정하는 수하 전압으로 유지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DC-DC 컨버터는, 전력 공급시의 출력 임피던스가 납축전지나 니켈-카드늄 축전지등의 일반 배터리에 비해 비교적 큰 연료 전지 또는 태양전지를 입력원으로 하고, 입력 전력을 일정화 제어하는 DC-DC 컨버터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를 구비하고, 출력에 임의 부하와 병렬로 2차 전지를 구비하고, 상기 2차 전지에 전류 제어 회로를 접속하고, 이 전류 제어 회로와 상기 DC-DC 컨버터의 입력의 사이에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를 접속하고, 이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이 수하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저하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을 증가시켜서,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 안정화 제어에서 정해지는 전압으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DC-DC 컨버터의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상승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에 대응하는 기준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는, 2개의 정전류 회로와,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와,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와,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에서 검출하는 출력이 수하(垂下)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정전류 회로를 통하여 상기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방전하여, 출력 전압을 상승시켜서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 안정화 제어에서 정해지는 전압으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에서 검출하는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정전류 회로를 통하여 상기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충전하여, 급전 전력에 대응하는 기준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DC-DC 컨버터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는, 전력 공급시의 출력 임피던스가 납축전지나 니켈-카드늄 축전지등의 일반 배터리에 비해 비교적 큰 연료 전지 또는 태양전지를 입력원으로 하고, 입력 전력을 일정화 제어하는 상기 DC-DC 컨버터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이 수하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저하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을 증가시켜서,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 안정화 제어에서 정해지는 전압으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DC-DC 컨버터의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상승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에 대응하는 기준치를 설정하는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는, 2개의 정전류 회로와,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와,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와,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에서 검출하는 출력이 수하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정전류 회로를 통하여 상기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방전하고, 출력 전압을 상승시켜서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 안정화 제어에서 정해지는 전압으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에서 검출하는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정전류 회로를 통하여 상기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충전하여, 급전 전력에 대응하는 기준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에 임의 부하와 병렬로 2차 전지를 구비하고, 상기 2차 전지에 접속되는 전류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이 전류 제어 회로는, 상기 부하의 전류가 감소하면, 상기 2차 전지에 유입하는 충전 전류를 증가시키고, 상기 부하의 전류가 증가하면, 상기 2차 전지에의 충전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하고, 출력 전압이 설정하는 수하 전압으로 유지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관한 충전기에 의하면, 충전기의 제어 회로에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이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는, 충전기의 출력이 수하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저하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을 증가시키고, 출력 전압을 상승시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충전기의 입력이 상승한 때에는, 기준 전압을 상승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에 걸맞는 기준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함에 의해, 기준 전압의 변화는 완만하게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급격한 출력 특성 변화에 약한 연료 전지의 열화 대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DC-DC 컨버터에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충전기에 있어서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 충전기를 구성하는 전류 제어 회로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전류 제어 회로와는 다른 전류 제어 회로의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 충전기를 구성하는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의 상세한 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DC-DC 컨버터에 있어서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의 회로도.
도 7은 종래의 충전기를 도시한 회로도.
도 8은 도 7의 도시와는 다른 종래의 충전기를 도시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Vfc : 입력원(연료 전지) Vset : 전압 제어 입력
Ro : 부하 B : 2차 전지
1 : DC-DC 컨버터 본체 2 : 제어 회로
3 : 동작 상태 검출 회로 10 : 전류 제어 회로
11 : 비교 회로 12 : 정전류 제어 회로
20 :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 21, 22 : 정전류 회로
#A : 차동 증폭기 #B : 비교기
#C : 전압 검출기 #D : 비교기
#E :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 #F :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
#G : 비교기 #H : 비교기
OSC : 삼각파 발진기 Q1 : 컨버터(1)의 제어용 스위치
Q2, Q3 : 반도체 스위치 R1, R2 : 저항
R3, R4, R5, R6, R7, R8 : 분압 저항 R24 : 전류 검출 저항
Ref1, Ref2, Ref3 : 기준 전압 SENS1, SENS2, SENS3 : 검출 단자
D1 : 다이오드 C1 : 기준 전압용 콘덴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의 회로도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충전기는, 전력 공급시의 출력 임피던스(Z)가 납축전지나 니켈-카드늄 축전지등의 일반 배터리에 비해 비교적 큰 연료 전지를 입력원(Vfc)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 전지를 입력원(Vfc)으로서 사용하고 있지만, 태양전지 그 밖에 출력 임피던스가 비교적 큰 것이라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이 DC-DC 컨버터 본체(1)는 출력측에 2차 전지(B)를 병렬로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충전기에는 제어 회로(2)를 마련하고 있고, 제어 회로(2)는 동작 상태 검출 회로(3), 전류 제어 회로(10) 및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회로(2)의 상세는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다. DC-DC 컨버터 본체(1)의 출력측에 분압 저항(R3, R4)을 접속하고, 이 분압 저항(R3, R4)의 접속점에 전류 제어 회로(10)를 접속하고 있다. 이 전류 제어 회로(10)는 2차 전지(B)의 부극에도 접속하고 있다. 이 전류 제어 회로(10)는 2차 전지(B)에 충전이 시작되면, 2차 전지(B)에 유입하는 충전 전류를 입력 전력치로부터 결정되는 전류치로서 일정 전류 충전을 행하고, 2차 전지(B)의 전압이 출력 전압 부근까지 달하는 충전 말기가 되면 입력 전력의 일정 제어를 저지하고 상승한 입력 전압을 검출하여 충전을 정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전류 제어 회로(10)의 구체적인 예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충전기는, 전압 비교기(#C)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압 비교기(#C)는, 분압 저항(R3, R4)에 의해 검출된 출력 전압 신호와, 기준 전압(Ref1)을 비교하여 레벨 변환하고, 이 출력에 접속하고 있는 비교기(#B)에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충전기는, 차동 증폭기(#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차동 증폭 기(#A)는, 후술한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의 전압 제어 입력 신호(Vset)와 연료 전지의 출력 전압(Vfc)을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비교기(#B)는, 전압 검출기(#C)로부터 부하(R)의 출력 전압을 레벨 변환하여 되는 전압 신호와, 삼각파 발진기(OSC)로부터 발진하는 안정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비교하고, DC-DC 컨버터 본체(1)의 제어용 스위치(Q1)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전류 제어 회로(10)의 구체적인 예를 도 2에 도시하고, 이에 관해 설명한다. 전류 제어 회로(10)는, 충전기의 출력 전압과 전류 제어 회로(10)의 기준 전압(Ref2)을 비교하여 제어량을 출력하는 비교 회로(11)와, 이 제어량을 이용하여 2차 전지(B)의 정전류 제어를 행하는 정전류 제어 회로(12)를 구비하고 있다. 비교 회로(11)는 비교기(#D)를 구비하고, 이 비교기(#D)에서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Ref2)을 비교하여 레벨 변환하고, 제어량을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정전류 제어 회로(12)는 분압 저항(R5, R6)을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분압 저항(R5)의 일단을 비교기(#D)의 출력 단자에 접속하고, 다른쪽의 분압 저항(R6)의 타단을 충전기의 정측의 출력단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분압 저항(R5, R6)과의 접속점에 반도체 스위치(Q2)의 제어 단자에 접속하고, 또한, 정전류 제어 회로(12)는 분압 저항(R7, R8)을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분압 저항(R7)의 일단을 반도체 스위치(Q2)의 출력 단자에 접속하고, 다른쪽의 분압 저항(R8)의 타단을 충전기의 부측의 출력단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분압 저항(R7, R8)과의 접속점에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3)의 제어 단자에 접속하고, 이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3)는 2차 전지(B)의 부의 단자에 접속하고 있다. 그 때문에, 출력 전압이 상승한 경우에 반도체 스위치(Q2) 및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3)를 온시킴에 의해, 2차 전지(B)에 전력을 정전류로 공급하여,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기준 전압(Ref2)으로 정해지는 전압까지 내려서 제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출력 전압이 하강한 경우에 반도체 스위치(Q2) 및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3)를 오프시킴에 의해, 2차 전지(B)에의 전력의 공급을 억제하여, 충전기의 출력 전압을 기준 전압(Ref2)으로 정해지는 전압까지 올려서 제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계속해서, 다른 전류 제어 회로(10)의 실시예를 도 3에 도시한다. 전류 제어 회로(10)는, 본 실시예도 충전기의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Ref2)을 비교하여 제어량을 출력하는 비교 회로(11)와, 이 제어량을 이용하여 2차 전지(B)의 정전류 제어를 행하는 정전류 제어 회로(12)를 구비하고 있다. 비교 회로(11)는 비교기(#D)를 구비하고, 이 비교기(#D)에서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Ref2)을 비교하여 레벨 변환하고, 제어량을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정전류 제어 회로(12)는 분압 저항(R5, R6)을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분압 저항(R5)의 일단을 비교기(#D)의 출력 단자에 접속하고, 다른쪽의 분압 저항(R6)의 타단을 충전기의 정측의 출력단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분압 저항(R5, R6)과의 접속점에 반도체 스위치(Q2)의 제어 단자에 접속하고, 또한, 정전류 제어 회로(12)는 분압 저항(R7, R8)을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분압 저항(R7)의 일단을 반도체 스위치(Q2)의 출력 단자에 접속하고, 다른쪽의 분압 저항(R8)의 타단을 충전기의 부측의 출력단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분압 저항(R7, R8)과의 접속점에 비교기(#G)의 검출 단자에 접속하고, 이 비교기(#G)의 출력 단자를 FET로 구성한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3)의 게이트 단자에 접속하고 있다. 이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3)는 2차 전지(B)의 부의 단자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3)의 소스 단자에 전류 검출 저항(R24)의 일단을 접속하고, 이 전류 검출 저항(R24)의 양단을 비교기(#H)의 양 입력 단자에 접속하고, 이 비교기(#H)의 출력 단자를 상기 비교기(#G)의 기준 단자에 접속하고, 피드백을 걸고 있다. 그 때문에, 출력 전압이 상승한 경우에 반도체 스위치(Q2) 및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3)를 온시킴에 의해, 2차 전지(B)에 전력을 정전류로 공급하고, 충전기의 출력 전압을 기준 전압(Ref2)으로 정해지는 전압까지 내려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때, 정전류의 최대치를 분압 저항(R7, R8)에 의해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2차 전지(B)의 충전 전류를 임의 설정할 수 있고, 안전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전압이 하강한 경우에 반도체 스위치(Q2) 및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3)를 오프시킴에 의해, 2차 전지(B)에의 전력의 공급을 억제하고, 충전기의 출력 전압을 기준 전압(Ref2)으로 정해지는 전압까지 올려서 제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계속해서,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의 구체적인 예를 도 4에 도시하 고, 이에 관해 설명한다.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는, 2개의 정전류 회로(21, 22)와,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E)와,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F)와, 기준 전압용 콘덴서(C1)를 구비하고 있다.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F)는 전류 제어 회로(10)의 검출 단자(SENS3)에서 검출한 전압과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의 외부에 마련한 기준 전압(Ref3)을 비교하고,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F)에서 검출하는 출력 신호가 수하(垂下) 상태일 때에는 로우로 되고, 제 2의 정전류 회로(22)를 통하여 기준 전압용 콘덴서(C1)를 방전하고, 출력 전압을 상승시켜서 충전기의 출력 전압을 기준 전압(Ref2)으로 정해지는 전압으로 정전력화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는, 입력 전압과 정전류 회로(21)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E)에서 검출하는 출력 신호가 전력 과잉 상태일 때에는 하이로 되고, 제 1의 정전류 회로(21)를 통하여 기준 전압용 콘덴서(C1)를 충전하여, 급전 전력에 대응하는 기준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 1의 정전류 회로(21)는 분압 저항(R10, R11)을 통하여, 전압 제어 입력 신호(Vset)를 차동 증폭기(#A)에 출력하고, 차동 증폭기(#A)는 전압 제어 입력 신호(Vset)와 연료 전지의 출력 전압(Vfc)을 입력으로 하고,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를 구성하는 정전류 회로(21, 22)의 구체적 구성예를 도 5에 도시하고, 이에 관해 설명한다. 이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를 구성하는 제 1의 정전류 회로(21)는 3개의 반도체 스위치(Q4, Q5, Q6) 를 구비하고,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E)의 출력 단자에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4)의 제어 단자를 접속하고 있다. 이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4)의 입력 단자에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5)의 출력 단자를 접속하고, 이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5)의 입력 단자에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E)의 출력 단자를 접속하고,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E)로부터 온 신호가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4)에 출력되면,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4)는 온하여,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5) 및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4)에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5)의 미러 스위치인 제 3의 반도체 스위치(Q6)는 기준 전압용 콘덴서(C1)에 접속하고,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4)가 온하면, 제 3의 반도체 스위치(Q6)도 온하고, 기준 전압용 콘덴서(C1)가 충전을 시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를 구성하는 제 2의 정전류 회로(22)는 3개의 반도체 스위치(Q7, Q8, Q9)를 구비하고,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F)의 출력의 단자에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7)의 제어 단자를 접속하고 있다. 이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7)의 출력 단자에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8)의 입력 단자를 접속하고,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F)로부터 온 신호가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7)에 출력되면,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7)는 온하여,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8) 및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7)에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8)의 미러 스위치인 제 3의 반도체 스위치(Q9)는 기준 전압용 콘덴서(C1)에 접속하고,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7)가 온하면, 제 3의 반도체 스위치(Q9)도 온하여, 기준 전압용 콘덴서(C1)가 방전을 시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있는 충전기는,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우선, 2차 전지에 충전이 시작되면, 입력(Vfc)은 저하된다. 이와는 반대로, 출력 전압(Vout)은 상승한다. 이때,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에서는, 출력 전압이 수하 상태이기 때문에,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를 구성하는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F)는 온 신호를 출력하고, 제 2의 정전류 회로(22)의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7)에 출력되면,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7)는 온하여,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8) 및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7)에 전류가 흐른다. 또한, 제 3의 반도체 스위치(Q9)는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8)의 미러 스위치이기 때문에,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7)가 온하면, 제 3의 반도체 스위치(Q9)도 온하여, 기준 전압용 콘덴서(C1)가 방전을 시작한다.
기준 전압용 콘덴서(C1)의 방전에 의해, 급전되는 전력은 증가한다. 이에 수반하여 출력 전압(Vo)은 상승한다. 출력 전압(Vo)이 상승하고, 출력 전압(Vo)이 기준 전압(Ref2)을 상회하면, 전류 제어 회로(10)에 마련한 비교기(#D)로부터 부방향의 제어량을 출력한다. 이것이 분압 저항(R5, R6)을 통하여 반도체 스위치(Q2)의 제어 단자에 출력되고, 반도체 스위치(Q2)는 온한다. 또한, 분압 저항(R7, R8)을 통하여 전류 제어 회로(10)의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3)의 제어 단자에 출력되고,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3)도 온하면, 2차 전지(B)에 흐르는 충전 전류가 발생하고, 이로써 출력 전압(Vo)은, 기준 전압(Ref2)으로 정해지는 전압으로 안정 제어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 전류의 발생에 의해 검출 단자(SENS3)가 상승하고 기준 전압(Ref3)을 상회하면 기준 전압용 콘덴서(C1)의 방전은 정지되고, 출력 공급 전력 (Pout)은 일정화한다.
계속해서, 정전력 충전에 들어가면, 입력 전압(Vfc)은 정전력화의 작용으로, 정전압화한다. 한편, 출력 전압(Vout)은 전류 제어 회로(10)의 수하 전압에 의해 정전압화한다. 또한, 전지 전압(VB)은, DC-DC 컨버터 본체(1)의 출력으로부터 2차 전지(B)에 전류가 공급되어 2차 전지(B)가 충전됨에 의해, 서서히 상승한다. 또한, 충전 전류(Ich)는 전류 제어 회로(10)의 작용에 의해 정전류 제어되고, 정전류가 유지된다.
충전이 시작되고, 잠시 동안은 정전력 상태가 계속하지만, 충전 말기가 되면, 전지 전압(VB)이 출력 전압(Vout)의 값 부근에 달함으로써, 정전류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로써, 충전 전류(Ich)는 감소하고, 전력 과잉 상태로 되고 입력 전압이 상승한다. 충전기(1)의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가 되면,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를 구성하는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E)가 온 신호를 출력하고, 제 1의 정전류 회로(21)의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4)에 출력되면,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4)는 온하여,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5) 및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4)에 전류가 흐른다. 또한, 제 3의 반도체 스위치(Q6)는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5)의 미러 스위치이기 때문에,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4)가 온하면, 제 3의 반도체 스위치(Q6)도 온하여, 기준 전압용 콘덴서(C1)가 충전을 시작한다.
기준 전압용 콘덴서(C1)의 충전에 의해, 급전되는 전력은 감소한다. 이에 수반하여 출력 전압(Vo)은 하강한다. 출력 전압(Vo)이 하강하고, 출력 전압(Vo)이 기준 전압(Ref2)을 하회하면, 전류 제어 회로(10)에 마련한 비교기(#D)로부터 정방향 의 제어량을 출력한다. 이것이 분압 저항(R5, R6)을 통하여 반도체 스위치(Q2)의 제어 단자에 출력되고, 반도체 스위치(Q2)는 오프한다. 또한, 분압 저항(R7, R8)을 통하여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3)의 제어 단자에 출력되고,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3)도 오프하면, 2차 전지(B)에 흐르는 충전 전류가 감소하고, 이로써 출력 전압(Vo)은, 기준 전압(Ref2)으로 정해지는 전압으로 안정 제어시킬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압용 콘덴서(C1)의 충전은 충전기의 동작 전압의 검출 값인 검출 단자(SENS2)의 전압으로 정지되고, 출력 공급 전력(Pout)은 일정화한다.
또한, 충전 완료 직전에서는, 급전 전력이 감소하여 상승하는 입력 전압(Vfc)과 동작 상태 검출 회로(2) 내에서 임의 설정하는 정지 전압 기준을 비교 검출함에 의해, DC-DC 컨버터 본체(1)에 구비한 제어용 스위치(Q1)를 오프하여, 충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충전기로서 사용 가능해진다. 또한, 동작 상태 검출 회로(2)를 사용하지 않고 전력 감소에 의해 입력 전압(Vfc)이 개방 전압에 달하면 DC-DC 컨버터 본체(1)는 자동적으로 정지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이때를, 충전 완료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 1]
계속해서, 충전 기능을 구비한 DC-DC 컨버터의 실시예의 회로도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한 DC-DC 컨버터는, 전력 공급시의 출력 임피던스(Z)가 납축전지나 니켈-카드늄 축전지등의 일반 배터리에 비해 비교적 큰 연료 전지를 입력원(Vfc)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 전지를 입력원(Vfc)으로서 사용하고 있지만, 태양전지 그 밖에 출력 임피던스가 비교적 큰 것이라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이 DC-DC 컨버터 본체(1)는 출력측에 부하(Ro)와 2차 전지(B)를 병렬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의 충전기와 거의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고 있는 DC-DC 컨버터는,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우선, 부하(Ro)에 흐르는 전류가 정격 이상의 상태(기준 전압(Ref2)으로 정해지는 전압 이하의 수하)에 있는 경우는, 전류 제어 회로(10)는 기능하지 않고, DC-DC 컨버터 출력 및 2차 전지(B)로부터 전류가 공급된다. 2차 전지(B)는 다이오드(D1)를 통하여 급전을 행한다. 또한,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에서는,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F)가 온 신호를 출력하고, 제 2의 정전류 회로(22)의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7)에 출력되면,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7)는 온하여,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8) 및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7)에 전류가 흐른다. 또한, 제 3의 반도체 스위치(Q9)는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8)의 미러 스위치이기 때문에,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7)가 온하면, 제 3의 반도체 스위치(Q9)도 온하여, 기준 전압용 콘덴서(C1)가 방전을 시작한다.
기준 전압용 콘덴서(C1)의 방전에 의해, 급전되는 전력은 증가한다. 이에 수반하여 출력 전압(Vo)은 상승한다. 출력 전압(Vo)이 상승하고, 출력 전압(Vo)이 기준 전압(Ref2)을 상회하면, 전류 제어 회로(10)에 마련한 비교기(#D)로부터 부방향의 제어량을 출력한다. 이것이 분압 저항(R5, R6)을 통하여 반도체 스위치(Q2)의 제어 단자에 출력되고, 반도체 스위치(Q2)는 온한다. 또한, 분압 저항(R7, R8)을 통하여 전류 제어 회로(10)의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3)의 제어 단자에 출력되고,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3)도 온하면, 2차 전지(B)에 흐르는 충전 전류가 발생하고, 이로써 출력 전압(Vo)은, 기준 전압(Ref2)으로 정해지는 전압으로 안정 제어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 전류의 발생에 의해 검출 단자(SENS3)가 상승하고 기준 전압(Ref3)을 상회하면 기준 전압용 콘덴서(C1)의 방전은 정지되고, 출력 공급 전력(Pout)은 일정화한다.
계속해서, DC-DC 컨버터의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에 있는 경우는, 부하(Ro)는 DC-DC 컨버터로부터 전력 급전되고, 2차 전지(B)는 최대 전류로 충전 상태로 된다. 출력 전압은, 기준 전압(Ref1)으로 정해지는 전압으로 된다. 또한,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에서는,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E)가 온 신호를 출력하고, 제 1의 정전류 회로(21)의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4)에 출력되면,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4)는 온하여,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5) 및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4)에 전류가 흐른다. 또한, 제 3의 반도체 스위치(Q6)는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5)의 미러 스위치이기 때문에, 제 1의 반도체 스위치(Q4)가 온하면, 제 3의 반도체 스위치(Q6)도 온하여, 기준 전압용 콘덴서(C1)가 충전을 시작한다.
기준 전압용 콘덴서(C1)의 충전에 의해, 급전되는 전력은 감소한다. 이에 수반하여 출력 전압(Vo)은 하강한다. 출력 전압(Vo)이 하강하고, 출력 전압(Vo)이 기준 전압(Ref2)을 하회하면, 전류 제어 회로(10)에 마련한 비교기(#D)로부터 정방향의 제어량을 출력한다. 이것이 분압 저항(R5, R6)을 통하여 반도체 스위치(Q2)의 제어 단자에 출력되고, 반도체 스위치(Q2)는 오프한다. 또한, 분압 저항(R7, R8)을 통하여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3)의 제어 단자에 출력되고, 제 2의 반도체 스위치(Q3)도 오프하면, 2차 전지(B)에 흐르는 충전 전류가 감소하고, 이로써 출력 전압 (Vo)은, 기준 전압(Ref2)으로 정해지는 전압으로 안정 제어시킬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압용 콘덴서(C1)의 충전은 DC-DC 컨버터의 동작 전압의 검출치인 검출 단자(SENS2)의 전압으로 정지되고, 출력 공급 전력(Pout)은 일정화한다.
본 발명에 관한 충전기에 의하면, 충전기의 제어 회로에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이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는, 충전기의 출력이 수하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저하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을 증가시키고, 출력 전압을 상승시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충전기의 입력이 상승한 때에는, 기준 전압을 상승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에 걸맞는 기준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함에 의해, 기준 전압의 변화는 완만하게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급격한 출력 특성 변화에 약한 연료 전지의 열화 대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DC-DC 컨버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출력 전압은 설정한 수하점으로 안정화되기 때문에 부하에 안정 전력을 급전할 수 있다.

Claims (12)

  1. 연료 전지 또는 태양전지를 입력원으로 하고, 입력 전력을 일정화 제어하는 구성의 충전기를 통하여 2차 전지(B)를 충전하는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지에는 전류 제어 회로(10)가 접속되고, 이 전류 제어 회로와 상기 충전기의 입력의 사이에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를 접속하고, 이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충전기의 출력이 수하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저하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을 증가시켜서, 충전기의 출력 전압 안정화 제어에서 정해지는 전압으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충전기의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상승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에 대응하는 기준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는, 2개의 정전류 회로(21, 22)와,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E)와,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F)와, 기준 전압용 콘덴서(C1)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에서 검출하는 출력이 수하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정전류 회로를 통하여 상기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방전하여, 출력 전압을 상승시켜서 충전기의 출력 전압 안정화 제어에서 정해지는 전압으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에서 검출하는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정전류 회로를 통하여 상기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충전하여, 급전 전력에 대응하는 기준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3. 연료 전지 또는 태양전지를 입력원으로 하고, 입력 전력을 일정화 제어하는 청구항 제 1항 기재된 충전기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2)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의 출력이 수하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저하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을 증가시켜서, 충전기의 출력 전압 안정화 제어에서 정해지는 전압으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충전기의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상승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에 대응하는 기준치를 설정하는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의 제어 회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는, 2개의 정전류 회로(21, 22)와,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E)와,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F)와, 기준 전압용 콘덴서(C1)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에서 검출하는 출력이 수하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정전류 회로를 통하여 상기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방전하여, 출력 전압을 상승시켜서 충전기의 출력 전압 안정화 제어에서 정해지는 전압으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에서 검출하는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정전류 회로를 통하여 상기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충전하고, 급전 전력에 대응하는 기준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의 제어 회로.
  5. 삭제
  6. 삭제
  7. 연료 전지 또는 태양전지를 입력원으로 하고, 입력 전력을 일정화 제어한 DC-DC 컨버터에 있어서,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충전기를 구비하고, 출력에 임의 부하(Ro)와 병렬로 2차 전지(B)를 구비하고, 상기 2차 전지에 전류 제어 회로(10)를 접속하고, 이 전류 제어 회로와 상기 DC-DC 컨버터의 입력의 사이에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를 접속하고, 이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이 수하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저하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을 증가시켜서,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 안정화 제어에서 정해지는 전압으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DC-DC 컨버터의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상승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에 대응하는 기준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는, 2개의 정전류 회로(21, 22)와,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E)와,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F)와, 기준 전압용 콘덴서(C1)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에서 검출하는 출력이 수하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정전류 회로를 통하여 상기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방전하여, 출력 전압을 상승시켜서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 안정화 제어에서 정해지는 전압으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에서 검출하는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정전류 회로를 통하여 상기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충전하여, 급전 전력에 대응하는 기준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
  9. 연료 전지 또는 태양전지를 입력원으로 하고, 입력 전력을 일정화 제어하는 청구항 제 7항에 기재된 DC-DC 컨버터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2)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이 수하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저하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을 증가시켜서,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 안정화 제어에서 정해지는 전압으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DC-DC 컨버터의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일 때에는, 기준 전압을 상승시킴에 의해 급전 전력에 대응하는 기준치를 설정하는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의 제어 회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력 기준 전압 제어 회로(20)는, 2개의 정전류 회로(21, 22)와,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E)와,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F)와, 기준 전압용 콘덴서(C1)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에서 검출하는 출력이 수하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정전류 회로를 통하여 상기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방전하여, 출력 전압을 상승시켜서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 안정화 제어에서 정해지는 전압으로 정전력화시키고, 상기 입력 전압 검출 콤퍼레이터에서 검출하는 입력 전력이 과잉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정전류 회로를 통하여 상기 기준 전압용 콘덴서를 충전하여, 급전 전력에 대응하는 기준치를 설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의 제어 회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에 임의 부하(Ro)와 병렬로 2차 전지(B)를 구비하고, 상기 2차 전지에 접속되는 전류 제어 회로(10)를 구비하고, 이 전류 제어 회로는, 상기 부하의 전류가 감소하면, 상기 2차 전지에 유입하는 충전 전류를 증가시키고, 상기 부하의 전류가 증가하면, 상기 2차 전지에의 충전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하고, 출력 전압이 설정하는 수하 전압으로 유지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의 제어 회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에 임의 부하(Ro)와 병렬로 2차 전지(B)를 구비하고, 상기 2차 전지에 접속되는 전류 제어 회로(10)를 구비하고, 이 전류 제어 회로는, 상기 부하의 전류가 감소하면, 상기 2차 전지에 유입하는 충전 전류를 증가시키고, 상기 부하의 전류가 증가하면, 상기 2차 전지에의 충전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하고, 출력 전압이 설정하는 수하 전압으로 유지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DC 컨버터의 제어 회로.
KR1020067001626A 2004-02-27 2005-02-14 충전기 및 이 충전기를 구비한 직류-직류 컨버터, 및 그들의 제어 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835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52596 2004-02-27
JPJP-P-2004-00052597 2004-02-27
JP2004052597 2004-02-27
JP2004052596 2004-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280A KR20060041280A (ko) 2006-05-11
KR100835091B1 true KR100835091B1 (ko) 2008-06-03

Family

ID=34914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6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5091B1 (ko) 2004-02-27 2005-02-14 충전기 및 이 충전기를 구비한 직류-직류 컨버터, 및 그들의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21898B2 (ko)
EP (1) EP1737100A4 (ko)
JP (1) JP4115501B2 (ko)
KR (1) KR100835091B1 (ko)
WO (1) WO20050838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069B1 (ko) 2023-06-01 2023-10-26 켄코아에비에이션 주식회사 연료전지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81580A4 (en) * 2005-05-12 2015-08-26 Shindengen Electric Mfg DC-DC CONVERTER
JP4827457B2 (ja) * 2005-08-11 2011-11-30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バッテリ装置
JP2007207474A (ja) * 2006-01-31 2007-08-16 Nitto Denko Corp 充電装置
EP1993186A1 (en) * 2007-05-15 2008-11-19 Chen-Yueh Fan Solar power system
JP4647684B2 (ja) * 2007-06-28 2011-03-0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EP2017946A1 (en) * 2007-07-20 2009-01-21 Stichting IMEC Nederland Electronic power conversion circuit
JP4852028B2 (ja) * 2007-12-21 2012-0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直流電源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車両
US8450964B2 (en) * 2009-02-09 2013-05-28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 of forming a control circuit and device
US20110258126A1 (en) * 2010-04-14 2011-10-20 Lg Chem,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warranty obligation of a supplier to an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for a vehicle battery pack
US20120153895A1 (en) * 2010-12-20 2012-06-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 Line Current And Power During Vehicle Battery Charging
JP5597310B2 (ja) * 2011-07-27 2014-10-01 三菱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電制御装置及び充電制御方法
US9379543B2 (en) 2012-04-10 2016-06-28 Sol Chip Ltd. Integrated circuit energy harvester
JPWO2014057603A1 (ja) * 2012-10-10 2016-08-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燃料電池と鉛蓄電池を含む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その充電方法
KR101558705B1 (ko) * 2013-12-26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09787B1 (ko) * 2015-03-10 2017-12-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터리 전력 공급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US10630105B2 (en) * 2017-08-23 2020-04-21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AC-OK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CN112751063B (zh) * 2019-10-31 2022-07-22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燃料电池的控制方法与装置、电池管理系统和车辆
CN111509264B (zh) * 2020-04-21 2022-06-14 电子科技大学 一种空冷型燃料电池最佳工作点的恒功率测试方法
CN111934395B (zh) * 2020-09-15 2021-01-05 深圳英集芯科技有限公司 切换控制电路、充电芯片及电子装置
CN113572355B (zh) * 2021-09-26 2021-12-14 苏州贝克微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稳定输出电压的供电电路
CN114356006B (zh) * 2022-03-17 2022-05-27 钰泰半导体股份有限公司 一种恒功率输出控制方法、控制芯片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820A (ko) * 1997-08-11 1999-03-05 윤종용 엘씨디 모듈의 후광장치 구조
KR20020097369A (ko) * 2001-06-20 2002-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4382U (ko) 1987-04-15 1988-10-26
JP2827188B2 (ja) 1992-09-02 1998-11-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電源装置
JP2601974B2 (ja) * 1992-09-16 1997-04-2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電子機器用電源装置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
GB9725128D0 (en) * 1997-11-27 1998-01-28 Weinberg Alan H Solar array system
JPH11341677A (ja) * 1998-05-22 1999-12-10 Sankosha Corp 保護回路及び保安器
JP3949818B2 (ja) 1998-05-28 2007-07-25 新電元工業株式会社 太陽電池を用いた電源装置における太陽電池最適動作点追尾回路
JP4096430B2 (ja) * 1998-12-10 2008-06-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燃料電池装置
JP3438646B2 (ja) * 1999-05-14 2003-08-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充電制御器
JP3968228B2 (ja) * 2001-10-05 2007-08-29 富士通株式会社 レギュレータ回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820A (ko) * 1997-08-11 1999-03-05 윤종용 엘씨디 모듈의 후광장치 구조
KR20020097369A (ko) * 2001-06-20 2002-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069B1 (ko) 2023-06-01 2023-10-26 켄코아에비에이션 주식회사 연료전지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 방법 및 시스템
EP4528882A1 (en) 2023-06-01 2025-03-26 Kencoa Aviation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battery using fuel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7100A4 (en) 2012-12-19
JPWO2005083868A1 (ja) 2008-01-17
US20070138996A1 (en) 2007-06-21
WO2005083868A1 (ja) 2005-09-09
JP4115501B2 (ja) 2008-07-09
EP1737100A1 (en) 2006-12-27
KR20060041280A (ko) 2006-05-11
US7521898B2 (en) 200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091B1 (ko) 충전기 및 이 충전기를 구비한 직류-직류 컨버터, 및 그들의 제어 회로
US7038333B2 (en) Hybrid power supply
US7522435B2 (en) Power supply converter/s with controller/s responsive to voltage, current, and power
EP2195902B1 (en) Circuit arrangement with multiple batteries
US7474079B2 (en) Battery charger with backup charging circuit
KR100786529B1 (ko) 충전기 및 직류-직류 컨버터
US7436150B2 (en) Energy storage apparatus having a power processing unit
US20050112420A1 (en) Power supply device
JP5131805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8035573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を用いた蓄電装置
JP4137175B2 (ja) Dc−dcコンバータ
JP2006158103A (ja) 充電器
JP2008004379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509323B1 (ko) 선형 레귤레이터를 이용한 2차 전지 충전회로
JP2011211812A (ja) 電源装置
KR100835092B1 (ko) 직류-직류 컨버터
JPH11327671A (ja) 電子機器の充電回路
JP3703755B2 (ja) 入力電力追従型変換回路
JP2023184332A (ja) 太陽電池システム
KR20050005925A (ko) 배터리의 충전제어장치
CN117957740A (zh) 电池管理设备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