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4844B1 -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의 로킹부재 - Google Patents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의 로킹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844B1
KR100834844B1 KR1020060001424A KR20060001424A KR100834844B1 KR 100834844 B1 KR100834844 B1 KR 100834844B1 KR 1020060001424 A KR1020060001424 A KR 1020060001424A KR 20060001424 A KR20060001424 A KR 20060001424A KR 100834844 B1 KR100834844 B1 KR 100834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wing portion
locking
locking member
headre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3474A (ko
Inventor
박무환
Original Assignee
박무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환 filed Critical 박무환
Priority to KR1020060001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844B1/ko
Priority to DE112007000099T priority patent/DE112007000099T5/de
Priority to JP2008549415A priority patent/JP2009522039A/ja
Priority to CNA2007800019415A priority patent/CN101365608A/zh
Priority to US12/160,189 priority patent/US20090001798A1/en
Priority to PCT/KR2007/000023 priority patent/WO2007078143A1/en
Publication of KR2007007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84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41B9/023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with separate spaces for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20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0Air permeability;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2Breathability, i.e. being vapour permeable and waterpro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6Deodorising or perfu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60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회동축을 감싸는 외통이 구비된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를 시트본체에 로킹시키는 로킹부재와, 상기 날개부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날개부를 절첩시키는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 클러치, 로킹, 절첩, 스프링

Description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의 로킹부재{Lockign apparatus of head rest having rotary w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중앙부와 날개부 연결부위 분리사시도.
도 2a는 도 1의 횡단면도.
도 2b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간략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앙부와 날개부 연결부위 횡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간략도.
도 3c는 도 3a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간략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중앙부와 날개부 연결부위 횡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간략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중앙부와 날개부 연결부위 횡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간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너트부
120 : 볼트부 130, 630 : 지지부
131, 631 : 댐핑부재 132, 632 : 후면
133, 633 : 연결면 134, 634 : 전면
141, 641 : 수직부 142, 642 : 연결부
150, 650 : 연결본체 160, 660 : 스프링
170, 670 : 프레임 210, 310, 410, 510 : 중앙부
211, 311, 411, 511 : 가이드홈 212 : 모터
220, 320, 420, 520 : 로킹부재 221, 321, 421, 521 : 돌출부
222, 322, 422, 522 : 제2돌출부 224, 324, 424, 524 : 누름부
225, 325, 425, 525 : 상부스프링 226, 326, 426, 526 : 전달편
227, 327, 427, 527 : 볼 228, 328, 428, 528 : 하부스프링
229, 429, 529 : 지지턱 230, 330, 430, 530 : 회동축
231, 232, 331, 332, 431, 531 : 장공 240, 340, 440, 540 : 제4전달부재
241, 341, 441, 541 : 돌기 242, 362, 446, 563 : 걸림홈
243, 343 : 하부플랜지 244, 344 : 상부플랜지
245, 345, 445, 545 : 치형 246, 361 : 가이드홈
250, 350, 450, 550 : 복귀스프링
251 : 고정부 252 : 회동부
260, 360, 460, 560 : 날개부 270, 370, 470, 570 : 제1전달 부재
271, 371, 471, 571 : 제1절개부
272, 275, 292, 295, 372, 375, 392, 395, 472, 475, 493, 495, 593, 572, 575, 595 : 매스
273, 275, 292, 295, 373, 376, 393, 396, 473, 476, 492, 496, 573, 574, 592, 595 : 탄성부재
274, 374, 474, 576 : 제2절개부
280, 380, 480, 580 : 제2전달부재 290, 390, 490, 590 : 제3전달부재
291, 391, 491, 591 : 제3절개부 294, 394, 496, 596 : 제4절개부
본 발명은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회동축을 감싸는 외통이 구비된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를 시트본체에 로킹시키는 로킹부재와, 상기 날개부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날개부를 절첩시키는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시트는 한국공개실용 제1998-37917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시트 백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시트 백을 받쳐주기 위한 시트 백 프레임이 배치된다. 헤드 레스트에 인접한 시트 백의 상부면위에는 편축설치된 사이드 헤드 레스트가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헤드레스트의 상단부에 조절손잡이가 부착된 스테이가 사이드 헤드 레스트의 편축홀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된다.
상기 시트 백 프레임에 고정된 상기 스테이의 하단부에는 상기 조절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그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조절손잡이를 좌우로 간단히 조작함에 따라 상기 기어와 맞물려 연동회전이 가능한 위치 즉, 상기 사이드 백 프레임의 상기 스테이의 고정위치에 인접하는 지점에 기어가 장착된 브래킷이 장착된다.
한편, 뒷좌석에 앉은 탑승자가 주행시 머리를 뒤로하여 헤드 레스트에 기대고 있다가 편안한 자세로 기대기 위해, 시트백의 상면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던 사이드 헤드 레스트의 편축상에 있는 조절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테이의 하단부에 연결된 기어와 상기 시트백 프레임상에 장착된 기어가 서로 맞물려 연동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사이드 헤드 레스트의 외측단부가 서서히 프런트 시트를 향해 회전하게 되고 뒷좌석에 앉은 탑승자는 사이드 헤드 레스트를 원하는 각도상에 고정시켜 머리 받침대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트는 사용자가 한쪽방향으로만 머리를 기울였을 때 지지할 수 있게 되며, 만약에 양쪽에 사이드 헤드 레스트를 각각 구비할 경우 시트에 충격 이 가해질 경우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여 착좌한 사용자가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탑승자가 머리를 상기 사이드 헤드 레스트에 기대고 있는 상태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사용자 머리는 상기 사이드 헤드 레스트에 부딪히게 되어 부상을 당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사이드 헤드 레스트의 장착구조는 복잡하여 중량이 많이 나갈 뿐 아니라 제조비용이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회동축을 감싸는 외통이 구비된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를 시트본체에 로킹시키는 로킹부재와, 상기 날개부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날개부를 절첩시키는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는, 시트본체에 설치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을 감싸는 외통이 구비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를 상기 시트본체에 로킹시키는 로킹부재와, 상기 날개부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날개부를 절첩시키는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는 시트본체에 설치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을 감싸는 외통이 구비된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에 접속되거나 차단되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를 상기 시트본체에 로킹시키는 로킹부재와, 상기 날개부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비상시에는 날개부를 펼쳐지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는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클러치를 상기 날개부에 접속하거나 차단시키는 응답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날개부가 자동으로 펼쳐지게 되어 사용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로킹부재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통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으며 상기 가이드홈에 연통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에는 상기 로킹부재가 삽입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며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킹부재 상부에는 상부스프링이 배치되며, 상기 상부스프링 상부에는 누름부가 설치되며, 상기 로킹부재 하부에는 하부스프링이 배치되어, 단순한 구조로 로킹을 해제시킬 수 있고, 회동축에 로킹부재가 설치되어 장치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 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중앙부와 날개부 연결부위 분리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횡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간략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중앙부와 날개부 연결부위 횡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간략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간략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중앙부와 날개부 연결부위 횡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간략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중앙부와 날개부 연결부위 횡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간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는, 시트본체와, 상기 시트본체에 설치되는 회동축(230, 330, 430, 530), 상기 회동축(230, 330, 430, 530)을 감싸는 외통이 구비되는 날개부(260, 360, 460, 560), 상기 날개부(260, 360, 460, 560)를 상기 시트본체에 로킹시키는 로킹부재(220, 320, 420, 520), 상기 날개부(260, 360, 460, 560)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250, 350, 450, 550)을 포함하는 회동식 날개부(260, 360, 460, 560)가 구비된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시트본체는 의자형상으로 형성된 본체(100)와 본체(100) 상단에 설치된 중앙부(210, 310, 410, 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부(210, 310, 410, 510)와 상기 본체(100)를 연결하는 연결장치는 프레임(170, 670)과, 중앙부(210, 310, 410, 510)와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170, 670)에 설치되는 연결본체(150, 650)와, 상기 연결본체(150, 650) 측면에 배치되는 스프링(160, 660)과, 상기 스프링(160, 660)을 지지하는 지지부(130, 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70, 670)은 본체(100)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연결본체(150, 650), 스프링(160, 660), 지지부(130, 630) 등의 부품들이 삽입되어 중앙부(210, 310, 410, 510)용 연결장치를 모듈화한다.
연결본체(150, 650)는 중앙부(210, 310, 410, 510)와 연결되며 프레임(170, 670) 내부에 설치된다.
연결본체(150, 650) 상부에는 중앙부(210, 310, 410, 510)와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70, 670)이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본체(150, 650)가 좌우측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70, 670)에는 상기 연결프레임(170, 670)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160, 660)은 연결본체(150, 650) 양측부에 각각 배치된다.
지지부(130, 630)는 스프링(160, 660)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스프링(160, 660)을 지지한다.
지지부(130, 630)는 스프링(160, 660)에 접촉되는 전면(134, 634)과 후면 (132, 632)과 전면(134, 634)과 후면(132, 632)을 연결하는 연결면(133, 633)으로 이루어져 있다.
나아가, 지지부(130, 630) 외측에 오도록 상기 프레임(170, 670)에 설치되는 너트부(110)와, 상기 너트부(110)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부(120)를 포함한다.
너트부(11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부(120)는 머리부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로 이루어져, 상기 나사부가 상기 관통공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본체(150, 650)와 상기 지지부(130, 63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본체(150, 650)에 설치된 수직부(141, 641)와, 상기 지지부(130, 630)와 상기 수직부(141, 641) 사이에 배치되는 댐핑부재(131, 631)를 더 포함한다.
수직부(141, 641)는 지지부(130, 630) 내부에 배치되며, 연결부(142, 642)를 통해 연결본체(150, 650)에 연결된다.
연결(142, 642)부는 전면(134, 634)을 관통하여 연결본체(150, 650)가 슬라이딩 됨에 따라 동시에 슬라이딩된다.
댐핑부재(131, 631)는 지지부(130, 630) 내부에 채워지게 되며, 점성유체등으로 구비되어 연결본체(150, 650)에 전해지는 진동을 감쇠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중앙부(210, 310, 410, 510)에 설치된 날개부(260, 360, 460, 560)가 회동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날개부(260, 360, 460, 560) 및 중앙부(210, 310, 410, 510)가 동시에 충격이 가해진 방향으로 연결본체(150, 650) 및 수직부(141, 641)가 슬라이딩되게 된다.
이때, 연결본체(150, 650)는 스프링(160, 660)에 의해 지지되어 충격이 흡수되게 되며, 스프링(160, 660)의 진동을 댐핑부재(131, 631)가 감쇠하여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볼트부(120)를 회동시켜서 지지부(130, 630)를 밀게되면 지지부(130, 630)지지부(130, 630)본체(150, 650)의 사이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스프링(160, 660)이 연결본체(150, 650)에 가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회동축(230, 330, 430, 530)은 시트본체에 양측에 설치되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중앙부(210, 310)에 설치되거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동축(230, 330, 430, 530)에는 상기 로킹부재(220, 320, 420, 520)가 삽입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며 돌출부(221, 321, 421, 521)가 삽입되는 장공(231, 232, 331, 332, 431, 531)이 상하방향으로 두개 형성되어 있다.
외통은 중공부재로 형성되어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회동축(430, 530) 바로 외측에 배치되어 회동축(430, 530)을 감싸거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회동축(230, 330)과 외통 사이에 클러치가 배치되도록 회동축(230, 330)을 감쌀 수 있다.
날개부(260, 360, 460, 560)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외통 외측에 설치되거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외통 외측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탑승한 사람의 머리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로킹부재(220, 320, 420, 520)는 날개부(260, 360, 460, 560)를 상기 시트본체에 로킹시키는 부재로, 시트본체에 대해 날개부(260, 360, 460, 560)의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시켜준다.
이러한 로킹부재(220, 320, 420, 520)는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축(230, 330, 430, 530) 공간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돌출부(221, 321, 421, 521)와 제2돌출부(222, 322, 422, 522)가 형성된다.
제2돌출부(222, 322, 422, 522)는 장공(232, 332)에 삽입되어 로킹부재(220, 320, 420, 520)가 회동축(230, 330, 430, 530) 속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슬라이딩이 원활하도록 한다.
돌출부(221, 321, 421, 521)는 장공(231, 331, 431, 531)을 관통하며, 제2돌출부(222, 322, 422, 522)는 장공(231, 331, 431, 531)을 마주보는 면에 있는 장공(232, 332)에 삽입된다.
즉, 돌출부(221, 321, 421, 521)는 제2돌출부(221, 321, 421, 521)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외통에는 상기 돌출부(221, 321, 421, 52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46, 361)과, 상기 가이드홈(246, 361)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으며 상기 가이드홈(246, 361)에 연통되는 걸림홈(242, 362, 446, 563)이 형성된다.
걸림홈(242, 362, 446, 563)은 가이드홈(246, 361)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제2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는 외통에 걸림홈(362, 563) 및 가이드홈(361)이 형성되며, 제1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는 클러치에 걸림홈(242, 446) 및 가이드홈 (246)이 형성된다.
상기 로킹부재(220, 320, 420, 520) 상부에는 상부스프링(225, 325, 425, 525)이 배치되며, 상기 상부스프링(225, 325, 425, 525) 상부에는 누름부(224, 324, 424, 524)가 설치되며, 상기 로킹부재(220, 320, 420, 520) 하부에는 하부스프링(228, 328, 428, 528)이 배치된다.
회동축(230, 330, 430, 530) 내주면에는 하부스프링(228, 328, 428, 528)이 걸리는 지지턱(229, 429, 529)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누름부(224, 324, 424, 524)의 힘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부스프링(225, 325, 425, 525) 하부에는 전달편(226, 326, 426, 526)이 배치된다.
전달편(226, 326, 426, 526)은 블럭으로 형성되거나, 단면형상이 I형상인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달편(226, 326, 426, 526) 하부에는 볼(227, 327, 427, 527)이 배치되어, 사용자가 힘을 편심되게 누름부(224, 324, 424, 524)를 통해 전달하더라도 누르는 힘이 로킹부재(220, 320, 420, 520)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클러치는 상기 날개부(260, 360, 460, 560)에 접속되거나 차단되며, 상기 날개부(260, 360, 460, 560)에 접속될 경우에는 상기 날개부(260, 360, 460, 560)의 회동력을 통해 동시에 회전되어 로킹부재(220, 320, 420, 520)에 의해 로킹된다.
이와 같이 클러치가 로킹되면 날개부(260, 360, 460, 560)도 동시에 로킹된다.
상기 클러치는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날개부(260, 360, 460, 560)에 접속하거나 차단시키는 응답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응답부재는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클러치를 상기 날개부(260, 360, 460, 560)에 접속시키는 핀을 이동시켜 상기 클러치와 상기 날개부(260, 360, 460, 560)를 접속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클러치는 제1전달부재(270, 370, 470, 570)와 상기 제1전달부재(270, 370, 470, 570) 내부에 삽입되는 제2전달부재(280, 380, 480, 580)와 상기 제2전달부재(280, 380, 480, 580) 내부에 삽입되는 제3전달부재(290, 390, 490, 590)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3전달부재(290, 390, 490, 590) 내부에 삽입되거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1전달부재(270, 370, 470, 570)를 감싸는 제4전달부재(240, 340, 440, 5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응답부재는 매스(272, 275, 292, 295, 372, 375, 392, 395, 472, 475, 493, 495, 593, 572, 575, 595)와, 상기 매스(272, 275, 292, 295, 372, 375, 392, 395, 472, 475, 493, 495, 593, 572, 575, 595)를 지지하는 탄성부재(273, 275, 292, 295, 373, 376, 393, 396, 473, 476, 492, 496, 573, 574, 592, 595)로 이루어진다.
제1전달부재(270, 370, 470, 570)에는 제1절개부(271, 371, 471, 571)가 형성되며, 외통 또는 제4전달부재(240, 340, 440, 540)에는 제1절개부(271, 371, 471, 57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홈이 형성된다.
제1전달부재(270, 370, 470, 570)에는 제2절개부(274, 374, 474, 576)가 형 성되며, 제2전달부재(280, 380, 480, 580)에는 제2절개부(274, 374, 474, 576)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홈이 형성된다.
제1절개부(271, 371, 471, 571)와 제2절개부(274, 374, 474, 576)는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제3전달부재(290, 390, 490, 590)에는 제3절개부(291, 391, 491, 591)가 형성되며, 외통 또는 제4전달부재(240, 340, 440, 540)에는 제3절개부(291, 391, 491, 59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홈이 형성된다.
제3전달부재(290, 390, 490, 590)에는 제4절개부(294, 394, 496, 596)가 형성되며, 제3전달부재(290, 390, 490, 590)에는 제4절개부(294, 394, 496, 596)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홈이 형성된다.
제3절개부(291, 391, 491, 591)와 제4절개부(294, 394, 496, 596)는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제3절개부(291, 391, 491, 591)와 제4절개부(294, 394, 496, 596)는 제1절개부(271, 371, 471, 571) 및 제2절개부(274, 374, 474, 576)와는 9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배치되어 엇갈리게 된다.
이와같이 절개부는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다양한 방향의 충격에 대해서도 상기 클러치가 날개부(260, 360, 460, 56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절개부와 이에 대응되는 홈에는 매스(272, 275, 292, 295, 372, 375, 392, 395, 472, 475, 493, 495, 593, 572, 575, 595)가 삽입되며, 매스(272, 275, 292, 295, 372, 375, 392, 395, 472, 475, 493, 495, 593, 572, 575, 595)를 지지하는 탄성부재(273, 275, 292, 295, 373, 376, 393, 396, 473, 476, 492, 496, 573, 574, 592, 595)가 상기 각각의 절개부에 삽입된다.
제4전달부재(240, 340, 440, 540) 하단에는 돌기(241, 341, 441, 541)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시트본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에는 돌기(241, 341, 441, 54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11, 311, 411, 511)이 중심각이 90도가 되도록 원호모양으로 형성된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는 제4전달부재(240, 340)에 상부플랜지(244, 344)와 하부플랜지(243, 343)가 형성된다.
상부플랜지(244, 344)는 제1전달부재(270, 370), 제2전달부재(280, 380), 제3전달부재(290, 39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플랜지(243, 343)는 하단에 돌기(241, 3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치형(245, 345)이 형성되어 있다.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는 제4전달부재(440, 540)는 하부플랜지(443, 543)가 내벽에 형성되어, 하부플랜지(443, 543) 외주면에는 치형(445, 545)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돌기(441, 541)가 형성되어 있다.
복귀스프링(250, 350, 450, 550)은 날개부(260, 360, 460, 560)를 펼쳐진 상태로 복귀시킨다.
복귀스프링(250, 350, 450, 550)은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일단인 고정부(251)는 가이드부재에 설치되어 고정되며, 타단인 회동부(252)는 외통에 설치되어 날개부(260, 360, 460, 560)가 회동시에 같이 회동된다.
중앙부(210, 310, 410, 510) 또는 연결본체(150, 650)에는 모터가 설치되어, 날개부(260, 360, 460, 560)를 자동으로 절첩시킬 수 있다.
모터에는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기어에 치형(245, 345, 445, 545)이 맞물려서 제4전달부재(240, 340, 440, 540)를 회동시킴으로써, 날개부(260, 360, 460, 560)를 90도로 회동시킬 수 있다.
한편, 모터가 연결본체(150, 650)에 설치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70, 670)이 상기 회동축(230, 330, 430, 530)으로 사용되며, 너트부 및 볼트부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클러치 대신에 스위치를 누르면 전달편(226, 326, 426, 526)을 신장시키거나 누름부(224, 324, 424, 524)를 누르도록 하여 로킹을 해제시키는 로킹해제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충격시에 사용자가 바로 날개부(260, 360, 460, 560)를 펼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로킹이 해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는 평상시(a) 날개부(260)가 펼쳐진 상태이며, 탑승자가 수면 등을 위해 날개부(260)를 사용시(b)에는 날개부(260)를 회동시켜 90도로 유지시킨다.
이때, 날개부(260)를 회동시키면 날개부(260)에 연결된 클러치도 회동되게 되고, 돌출부(221)는 제4전달부재(240)의 가이드홈(246)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다 가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인 90도가 되면 하부스프링(228)에 의해 돌출부(221)는 상부로 향하는 힘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으므로 걸림홈(242)에 걸리게 되어 날개부(260) 및 클러치는 로킹상태가 된다.
여기서, 날개부(260) 외측으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제1절개부(271)와 제2절개부(274)에 있는 매스(272, 275)는 충격으로 인해 내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충격시(c)에 매스(272, 275)가 밀리게 되면 날개부(260)와 클러치를 연결하는 핀역할을 하는 매스(272, 275)가 외통으로부터 이탈되므로 날개부(260)와 클러치는 분리되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반대쪽에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제3절개부(291)와 제4절개부(294)에 있는 매스(272, 275)가 충격으로 인해 밀리게 되어, 날개부(260)와 클러치는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클러치가 다수개의 전달부재로 구비되고, 각각의 전달부재는 매스(272, 275)와 스프링(273, 276)으로 연결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충격이 전해지더라도 날개부(260)는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221)는 제4전달부재(240)의 걸림홈(242)에 걸려 있으므로, 사용자가 누름부(224) 누르지 않더라도 날개부(260)는 복귀스프링(250)에 의해서 펼쳐진 상태로 되게 된다.
한편, 사용시(b)에서 평상시(a)로 날개부(260)를 펼치기 위해서 누름부(224)를 누르게 되면 누르는 힘은 전달편(226) 및 볼(227)을 통해 로킹부재(220)로 전달되며 전달된 힘에 의해 돌출부(221)는 장공(231)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누름부(224)를 누른 후에는 상부스프링(225)에 의해 누름부(224)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로써 로킹이 해제되고 날개부(260)는 복귀스프링(250)에 의해서 펼쳐진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상태를 날개부(260)가 90도 회동된 상태로 놓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90도로 회동된 상태의 날개부(260)를 뒷자석 시트에 적용하여, 평상시(a)에는 시트(100) 후방에 날개부(260)를 배치하고, 날개부(260) 사용시(b)에는 90도로 회동된 상태로 전방측으로 슬라이딩시켜서 날개부(260)를 사용하고 충격시(c)에는 날개부(260)가 펼쳐진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평상시(a)는 날개부(360)가 180도 접혀진 상태에 있고, 외통에 형성된 걸림홈(362)에 돌출부(321)가 걸려 있어서 180도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날개부(360)를 사용하기 위해서 누름부(324)를 누르게 되면, 돌출부(321)가 하강하여 걸림홈(362)을 빠져나오게 되고 복귀스프링(350)의 힘에 의해서 돌출부(321)는 외통에 형성된 가이드홈(361)을 따라 슬라이딩 된다.
가이드홈(361)은 중심각이 180가 되도록 형성하고, 제4전달부재(340)에는 회동축(330)의 장공(331)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중심각이 180도가 되도록 장공(342)을 형성하여 돌출부(321)의 상하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4전달부재(340)에 형성된 돌기(341)는 가이드부재의 중심각이 90 도인 가이드홈(311)을 따라 회동한다.
90도만큼 회전된 날개부(360)는 클러치에 형성된 돌기(341)가 가이드홈(311)에 걸려 클러치 및 날개부(360)는 90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로킹상태가 되어 사용시(b) 상태가 된다.
또한, 충격이 날개부(360) 외측에서 가해지게 되면, 즉 충격시(c)에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매스(372, 375)가 밀리게 되면 날개부(360)와 클러치를 연결하는 핀역할을 하는 매스(372, 375)가 외통으로부터 이탈되므로 날개부(360)와 클러치는 분리되게 된다.
이때, 돌출부(321)는 외통에 형성된 가이드홈(361)을 따라 슬라이딩 하게 되어 날개부(360)는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180도 접혀진 날개부(360)는 자동차의 앞좌석에 적용하여, 날개부(360)를 비 사용시에는 시트를 컴팩트하게 유지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는 평상시(a)에는 날개부(460)가 펼쳐진 상태이며, 날개부(460) 사용시(b)에는 날개부(460)를 회동시켜 90도로 유지시킨다.
이때, 평상시(a)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날개부(460)를 회동시키면 날개부(460)에 연결된 클러치도 회동되게 되고, 돌출부(421)는 제4전달부재(440)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인 90도가 되면 걸림홈(446)에 걸리게 되어 날개부(460) 및 클러치는 로킹상태가 되어 사용시(b) 상태가 된다.
돌출부(421)의 회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외통에는 회동축(430)의 장공(431)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중심각이 90도가 되도록 장공(463)이 형성된다.
여기서, 날개부(460) 외측으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즉 충격시(c)에는 제1절개부(471)와 제2절개부(474)의 매스(472, 475)는 충격으로 인해 내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매스(472, 475)가 밀리게 되면 날개부(460)와 클러치를 연결하는 핀역할을 하는 매스(472, 475)가 외통으로부터 이탈되므로 날개부(460)와 클러치는 분리되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반대쪽에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제3절개부(491, 591)제3절개부(491)부에 있는 매스(493, 495)가 충격으로 인해 밀리게 되어, 날개부(460)와 클러치는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돌출부(421)는 제4전달부재(440)의 걸림홈(446)에 걸려 있고, 외통에는 돌출부(421)가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도록 장공(463)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누름부(424) 누르지 않더라도 날개부(460)는 복귀스프링(450)에 의해서 펼쳐진 상태로 되게 된다.
한편, 사용시(b)에서 평상시(a)로 날개부(460)를 펼치기 위해서 누름부(424)를 누르게 되면 누르는 힘은 전달편(426) 및 볼(427)을 통해 로킹부재(420)로 전달되며 전달된 힘에 의해 돌출부(421)는 장공(431, 463)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로써 로킹이 해제되고 날개부(460)는 복귀스프링(450)에 의해서 펼쳐진 상태에 있게 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는 평상시(a)에는 날개부(560)가 180도 접혀진 상태에 있고, 외통에 형성된 걸림홈(563)에 돌출부(521)가 걸려 있어서 180도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날개부(560)를 사용하기 위해서 누름부(524)를 누르게 되면, 돌출부(521)가 하강하여 걸림홈(563)을 빠져나오게 되고 복귀스프링(550)의 힘에 의해서 돌출부(521)는 외통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중심각이 180가 되도록 형성하여 돌출부(521)의 슬라이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4전달부재(540)에 형성된 돌기(541)는 가이드부재의 중심각이 90도인 가이드홈(511)을 따라 회동한다.
90도만큼 회전된 날개부(560)는 클러치에 형성된 돌기(541)가 가이드홈(511) 끝에 걸려 날개부(560) 및 클러치는 90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로킹상태가 된다.
또한, 충격이 날개부(560) 외측에서 가해지게 되면,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매스(572, 575)가 밀리게 되면 날개부(560)와 클러치를 연결하는 핀역할을 하는 매스(572, 575)가 외통으로부터 이탈되므로 날개부(560)와 클러치는 분리되게 된다.
이때, 돌출부(521)는 외통에 중심각이 180도가 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하게 되어 날개부(560)는 펼쳐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시트본체에 설치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을 감싸는 외통이 구비된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를 상기 시트본체에 로킹시키는 로킹부재와, 상기 날개부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날개부를 절첩시키는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장시간 시트에 앉아있어야 하는 버스, 열차, 비행기에 장착되는 시트에 사용될 경우 탑승자가 편안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날개부에 접속되거나 차단되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를 상기 시트본체에 로킹하는 로킹부재를 구비하여, 비상시에는 날개부를 펼쳐지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는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클러치를 상기 날개부에 접속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응답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날개부가 자동으로 펼쳐지게 되어 사용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로킹부재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통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으며 상기 가이드홈에 연통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에는 상기 로킹부재가 삽입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며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킹부재 상부에는 상부스프링이 배치되며, 상기 상부스프링 상부에는 누름부가 설치되며, 상기 로킹부재 하부에는 하부스프링이 배치되어, 단순한 구조로 로킹을 해제시킬 수 있고, 회동축에 로킹부재가 설치되어 장치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연결본체 측면에 배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중앙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탑승자가 수면을 취할 때 탑승자의 머리를 날개부를 회동시켜 지지하고, 중앙부 및 날개부가 동시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탑승자의 자세가 자연스럽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허용하여, 탑승자가 편안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 외측에 오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너트부와, 상기 너트부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충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연결본체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본체에 설치된 수직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직부 사이에 배치되는 댐핑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충격을 감쇠시켜 더욱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날개부를 시트본체에 로킹시키는 로킹부재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으며 상기 가이드홈에 연통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본체에 설치되는 회동축에는 상기 로킹부재가 삽입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며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킹부재 하부에는 하부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로킹부재 상부에는 누름부가 설치되며, 상기 누름부와 상기 로킹부재 사이에는 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의 로킹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와 상기 볼 사이에는 상부스프링이 배치되며, 상기 상부스프링과 상기 볼 사이에는 전달편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의 로킹부재.
  4. 삭제
KR1020060001424A 2006-01-05 2006-01-05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의 로킹부재 Expired - Fee Related KR100834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424A KR100834844B1 (ko) 2006-01-05 2006-01-05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의 로킹부재
DE112007000099T DE112007000099T5 (de) 2006-01-05 2007-01-03 Kopfstütze mit Drehflügel
JP2008549415A JP2009522039A (ja) 2006-01-05 2007-01-03 ロータリーウィング付きヘッドレスト
CNA2007800019415A CN101365608A (zh) 2006-01-05 2007-01-03 具有旋转翼的头枕
US12/160,189 US20090001798A1 (en) 2006-01-05 2007-01-03 Head Rest Having Rotary Wing
PCT/KR2007/000023 WO2007078143A1 (en) 2006-01-05 2007-01-03 Head rest having rotary w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424A KR100834844B1 (ko) 2006-01-05 2006-01-05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의 로킹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484A Division KR20070073668A (ko) 2007-05-22 2007-05-22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474A KR20070073474A (ko) 2007-07-10
KR100834844B1 true KR100834844B1 (ko) 2008-06-03

Family

ID=3850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4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4844B1 (ko) 2006-01-05 2006-01-05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의 로킹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34844B1 (ko)
CN (1) CN1013656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4503A1 (fr) * 2016-08-01 2018-02-02 Zodiac Seats France Tetiere oreiller pour siege de cabine d'aerone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263A (ko) * 1996-06-29 1998-03-30 양재신 차량의 보조 헤드레스트 설치구조
KR19980035893A (ko) 1996-11-15 1998-08-05 김영귀 헤드 레스트(Head Rest) 지지구조
KR100189489B1 (ko) * 1994-07-25 1999-06-01 정몽규 시트의 헤드 레스트
JP2003054343A (ja) * 2001-08-13 2003-02-26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ヘッドレスト装置
US6666517B2 (en) * 2000-09-20 2003-12-23 Robert Clough Seat headres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489B1 (ko) * 1994-07-25 1999-06-01 정몽규 시트의 헤드 레스트
KR980001263A (ko) * 1996-06-29 1998-03-30 양재신 차량의 보조 헤드레스트 설치구조
KR19980035893A (ko) 1996-11-15 1998-08-05 김영귀 헤드 레스트(Head Rest) 지지구조
US6666517B2 (en) * 2000-09-20 2003-12-23 Robert Clough Seat headrest
JP2003054343A (ja) * 2001-08-13 2003-02-26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ヘッドレスト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개2003-5434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474A (ko) 2007-07-10
CN101365608A (zh)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9393B2 (en) Load limiting (energy management) child restraint seat
JP4172744B2 (ja) 車両用シート
US20010040396A1 (en) Head rest for a vehicle seat
JP6974548B2 (ja) チャイルドセーフティシート
US9452695B2 (en) Child car seat and base
US6416127B1 (en) Oscillating damped energy management device
CN105102267B (zh) 装备有诸如托盘的折叠元件的交通工具座椅
JPH09220956A (ja) 車両シート
US20150115668A1 (en) Vehicle seat
US11691545B2 (en) Child safety seat
KR100834844B1 (ko)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의 로킹부재
CN104924929B (zh) 一种可用作座椅座垫的扶手总成
US9440563B2 (en) Occupant support system
US20250170929A1 (en) Displaceable panel for seating assembly
US8864229B2 (en) Occupant support system
KR102512382B1 (ko) 좌석부 회동 지연기능이 있는 관람석 의자
JP5486373B2 (ja) 乗物用シート
KR100728800B1 (ko) 헤드레스트용 연결장치
JPH106832A (ja) 車両用シート
KR20070073668A (ko) 회동식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레스트
JP7224384B2 (ja) 展開機構を備えたヘッドレスト
EP4347352B1 (en) Differential energy absorbing steering column
JP5787342B2 (ja) 乗員サポートシステム
JP2009522039A (ja) ロータリーウィング付きヘッドレスト
JP4855792B2 (ja) シートバックの荷重調整構造を備えた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52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3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10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704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3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0514

Appeal identifier: 2008101003126

Request date: 20080408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4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11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5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805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509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