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3632B1 - 일회용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632B1
KR100833632B1 KR1020010073623A KR20010073623A KR100833632B1 KR 100833632 B1 KR100833632 B1 KR 100833632B1 KR 1020010073623 A KR1020010073623 A KR 1020010073623A KR 20010073623 A KR20010073623 A KR 20010073623A KR 100833632 B1 KR100833632 B1 KR 100833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region
side portions
portions
le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0652A (ko
Inventor
시노하라준지
고다히데후미
무카이히로토모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82992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3363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0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63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 A61F2013/49028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with different tensile str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및 제2 탄성 부재의 사이에 연장되는 제3 탄성 부재의 신장 응력을 충분히 이용하여 착용자의 다리부를 조여 밀착시킬 수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한다.
일회용 착용 물품(1A)에서는, 제1 탄성 부재(11)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양측 부분(11a)과 가랑이 영역을 가로지르는 제1 중앙 부분(11b)을 지니고, 제2 탄성 부재(12)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양측 부분(12a)과 가랑이 영역 (31)을 가로지르는 제2 중앙 부분(12b)을 지니며, 제3 탄성 부재(13)가 제1 양측 부분(11a)에 합류하여 연장되는 제1 연결 부분(13a)과 제2 양측 부분(12a)에 합류하야 연장되는 제2 연결 부분(13b)을 지닌다.

Description

일회용 착용 물품{A DISPOSABLE WEAR ARTICLE}
도 1은 팬츠형으로 성형하기 이전의 상태에서 도시한 기저귀의 부분 파단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팬츠형으로 성형한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패널의 중간부를 생략하고 도시한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는 개방형 기저귀의 부분 파단 평면도.
도 6은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을 연결한 착용 상태에서 도시한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7은 도 5의 C-C선 단면도.
도 8은 코어의 중간부를 생략하고 도시한 도 5의 D-D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일회용 착용 물품)
1B :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일회용 착용 물품)
2 :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
3 : 액체 불투과성 베이스 시트
4 : 액체 흡수성 코어
5 : 액체 불투과성 누설 방지 시트
9 : 양측 가장자리부
10 : 대향 측부
10a : 전단
10b : 후단
11 : 제1 탄성 부재
11a : 양측 부분(제1 양측 부분)
11b : 중앙 부분(제1 중앙 부분)
12 : 제2 탄성 부재
12a : 양측 부분(제2 양측 부분)
12b : 중앙 부분(제2 중앙 부분)
13 : 제3 탄성 부재
13a : 연결 부분(제1 연결 부분)
13b : 연결 부분(제2 연결 부분)
16 : 분기부
17 : 분기부
18 : 영역
19 : 영역
30 : 앞몸통 둘레 영역
31 : 가랑이 영역
32 : 뒤몸통 둘레 영역
P : 액체 흡수성 패널
본 발명은 배설물을 흡수, 유지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8-24291호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베이스 시트 사이에 액체 흡수성 코어가 개재하고, 전후 방향으로 앞몸통 둘레 영역 및 뒤몸통 둘레 영역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구비하여,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연결되어 몸통 둘레 개구와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가 구획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개시하고 있다.
이 기저귀에는, 가랑이 영역의 양측에서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한 한쌍의 다리 둘레 대향 측부가 형성되어 있다. 대향 측부는 다리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를 구획한다. 이 기저귀에는 대향 측부의 전단에서 전후 방향 후방을 향하여 호를 그리는 제1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고, 대향 측부의 후단에서 전후 방향 전방을 향하여 호를 그리는 제2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탄성 부재는 대향 측부의 전후단 근방으로 연장되는 양측 부분과,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리 가랑이 영역을 가로지르는 중앙 부분을 갖는다. 제1 및 제2 탄성 부재 사이에는 대향 측부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제3 탄성 부재는 제1 탄성 부재의 중앙 부분과 제2 탄 성 부재의 중앙 부분에 교차하고 있다.
이 기저귀에서는 이들 탄성 부재가 하나로 연결되어 다리 둘레 개구의 가장자리부로 연장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탄성 부재가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더라도, 제1∼제3 탄성 부재에 의해서 착용자의 다리부 전체 둘레를 조일 수 있어서,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배설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일본 공보에 개시된 기저귀에서는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3 탄성 부재가 대향 측부를 전후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기저귀를 착용했을 때, 제3 탄성 부재가 착용자의 다리부를 둘러싸는 식으로, 다리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은 없다. 이 기저귀에서는 제3 탄성 부재의 신장 응력이 다리부의 둘레 방향으로 작용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다리부의 조임에 제3 탄성 부재의 신장 응력을 충분히 이용하고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대향 측부에서는 상기 양측 부분과 상기 중앙 부분과의 분기부 근방에서 전후단 근방에 이르는 영역이 착용자의 피부와 이격되기 쉬워서, 그곳을 다리부에 밀착시킬 필요가 있지만, 이 기저귀에서는 그 수단을 하등 교시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제3 탄성 부재의 신장 응력을 충분히 이용하여 착용자의 다리부를 조여, 대향 측부의 상기 영역을 다리부에 밀착시킬 수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전제로 하는 바는 전후 방향으로 앞몸통 둘레 영역 및 뒤몸통 둘레 영역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구비하여, 상기 가랑이 영역의 양측을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한 한쌍의 다리 둘레 대향 측부에 신축성의 다리 둘레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고, 상기 다리 둘레 탄성 부재가 상기 대향 측부의 전단 근방에서 전후 방향 후방을 향하여 실질적으로 호를 그리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대향 측부의 후단 근방에서 전후 방향 전방을 향하여 실질적으로 호를 그리는 제2 탄성 부재와, 상기 대향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부재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탄성 부재로 형성된 일회용 착용 물품이다.
이러한 전제에서,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제1 탄성 부재가 상기 대향 측부의 전단 근방으로 연장되는 제1 양측 부분과 상기 가랑이 영역을 가로지르는 제1 중앙 부분을 지니고, 상기 제2 탄성 부재가 상기 대향 측부의 후단 근방으로 연장되는 제2 양측 부분과 상기 제1 중앙 부분에서 전후 방향 후방으로 소정의 치수 이격되어 상기 가랑이 영역을 가로지르는 제2 중앙 부분을 지니며, 상기 제3 탄성 부재가 상기 대향 측부를 따라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하여 호를 그리고, 상기 제1 양측 부분과 상기 제1 중앙 부분과의 분기부 근방에서 상기 제1 양측 부분에 합류하여 연장되는 제1 연결 부분과, 상기 제2 양측 부분과 상기 제2 중앙 부분과의 분기부 근방에서 상기 제2 양측 부분에 합류하여 연장되는 제2 연결 부분을 갖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일례로서, 상기 물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양측 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부분이 서로 연장되는 영역의 신장 응력이, 상기 영역 을 제외한 상기 제1∼제3 탄성 부재가 연장되는 나머지 영역의 그것보다도 높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물품이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베이스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액체 흡수성 코어로 형성된 일회용 기저귀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물품이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누설 방지 시트 사이에 액체 흡수성 코어가 개재하는 액체 흡수성 패널과, 상기 앞뒤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을 구획하는 액체 불투과성 베이스 시트로 형성된 일회용 기저귀이며, 상기 패널이 상기 가랑이 영역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누설 방지 시트를 통해 상기 베이스 시트의 내면에 고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부재가 상기 베이스 시트에 부착되고, 상기 제3 탄성 부재가 상기 대향 측부로 연장되는 상기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부착되어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을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와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는 팬츠형으로 성형하기 이전의 상태로 나타내는 기저귀(1A)의 부분 파단 평면도와, 도 1의 상태에서 팬츠형으로 성형한 기저귀(1A)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고, 도 3,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와, 패널(P)의 중간부(P2)를 생략하고 도시한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내고, 전후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낸다. 도 2에서는 몸통 둘레 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내고, 다리 둘레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낸다. 또한, 표면/베이스 시트(2, 3)나 누설 방지 시트(5)에 있어서의 내면이란, 코어(4)에 대향하는 면을 말하며, 이들 시트(2, 3, 5)의 외면이란 코어(4)에 비대향(非對向)인 면을 말한다.
기저귀(1A)는 액체 흡수성 패널(P)과, 소수성 섬유 부직포(3a)에 플라스틱 필름(3b)을 고착한 복합 시트로 이루어지는 액체 불투과성 베이스 시트(3)를 주요한 구성 부재로 한다.
기저귀(1A)는 전후 방향으로 앞몸통 둘레 영역(30) 및 뒤몸통 둘레 영역(32)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30, 32)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31)을 갖는다. 기저귀 (1A)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30, 32)을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양단부(6)와, 앞뒤 몸통 둘레 영역(30, 32)을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양측부(7, 8)를 갖는다. 기저귀 (1A)에서는 모래시계 형상을 띠는 베이스 시트(3)가 앞뒤 몸통 둘레 영역(30, 32)과 가랑이 영역(31)을 구획하고, 패널(P)이 가랑이 영역(31)에 있어서의 베이스 시트(3)의 내면에 부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패널(P)은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2)와, 액체 불투과성 누설 방지 시트(5)와, 표면 시트(2)와 누설 방지 시트(5)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시트(2, 5)에 접합된 액체 흡수성 코어(4)로 형성되어 있다.
패널(P)은 베이스 시트(3)보다도 작은 모래시계 형상을 띠고, 전방부(P1) 및 후방부(P3)와 전후방부(P1, P3)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P2)를 갖는다. 패널(P)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9)가 기저귀(1A)의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하여 호를 그리고 있다. 패널(P)은 누설 방지 시트(5)를 통해 부직포(3a)에 고착되어 있다.
표면 시트(2)와 누설 방지 시트(5)는 그 둘레 가장자리부가 코어(4)의 둘레 가장자리에서 둘레 방향 외측으로 약간 연장되어 있고, 이들 시트(2, 5)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가랑이 영역(31)의 양측에는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한 한쌍의 다리 둘레 대향 측부(10)가 형성되어 있다. 가랑이 영역(31)에는 탄성적인 신축성을 갖는 복수개의 제1 및 제2 탄성 부재(11, 12)와 제3 탄성 부재(13)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30, 32)에는 탄성적인 신축성을 갖는 복수개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4)와 보조 탄성 부재(15)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제1 탄성 부재(11)는 앞몸통 둘레 영역(30) 측에 위치하는 대향 측부(10)의 전단(10a)에서 전후 방향 후방을 향하여 실질적으로 호를 그리며 연장되어 있다. 제1 탄성 부재(11)는 대향 측부(10)의 전단(10a) 근방을 대향 측부(10)를 따라 연장하는 양측 부분(11a)과, 패널(P)의 전방부(P1)를 가로지르는 중앙 부분(11b)을 갖는다.
제2 탄성 부재(12)는 뒤몸통 둘레 영역(32) 측에 위치하는 대향 측부(10)의 후단(10b)에서 전후 방향 전방을 향하여 실질적으로 호를 그리며 연장되어 있다. 제2 탄성 부재(12)는 대향 측부(10)의 후단(10b) 근방을 대향 측부(10)를 따라 연장하는 양측 부분(12a)과, 제1 탄성 부재(11)의 중앙 부분(11b)에서 전후 방향 후방으로 소정의 치수 이격되어 패널(P)의 후방부(P3)를 가로지르는 중앙 부분(12b)을 갖는다.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4)는 양단부(6)를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보조 탄성 부재(15)는 제1 및 제2 탄성 부재(11, 12)와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4) 사이를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들 탄성 부재(11, 12, 13, 14, 15)는 베이스 시트(3)를 형성하는 부직포(3a)와 플라스틱 필름(3b)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에 고착되어 있다.
제3 탄성 부재(13)는 패널(P)의 양측 가장자리부(10)에 부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기저귀(1A)의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하여 호를 그리고 있다. 제3 탄성 부재(13)는 패널(P)의 전방부(P1)로 연장되는 연결 부분(13a)과, 패널(P)의 후방부(P3)로 연장되는 연결 부분(13b)을 갖는다. 제3 탄성 부재(13)는 표면 시트(2)와 누설 방지 시트(5)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시트(2, 5)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연결 부분(13a)은 제1 탄성 부재(11)의 양측 부분(11a)과 중앙 부분(11b)과의 분기부(16)에서 양측 부분(11a)에 겹치고, 양측 부분(11a)과 함께 대향 측부 (10)의 전단(10a)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연결 부분(13b)은 제2 탄성 부재(12)의 양측 부분(12a)과 중앙 부분(12b)과의 분기부(17)에서 양측 부분(12a)에 겹치고, 양측 부분(12a)과 함께 대향 측부(10)의 후단(10b)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기저귀(1A)에서는 이들 연결 부분(13a, 13b)이 양측 부분(11a, 12a)에 겹침으로써, 제1 및 제2 탄성 부재(11, 12)와 제3 탄성 부재(13)가 대향 측부(10)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합류된다. 기저귀(1A)에는 대향 측부(10)에 이들 탄성 부재(11, 12, 13)가 서로 연장되는 영역(18, 19)이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뒤 몸통 둘레 영역(30, 32)으로 연장되는 양측부(7, 8)가 간헐적으로 늘어선 접합부(20)를 통해 고착되어, 팬츠형으로 성형된다. 팬츠형으로 성형된 기저귀(1A)에는 몸통 둘레 개구(21)와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22)가 구획되어 있다. 기저귀(1A)에서는 양단부(6)가 몸통 둘레 개구(21)의 가장자리부를 형성하고, 대향 측부(10)가 다리 둘레 개구(22)의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탄성 부재(11, 12)의 양측 부분(11a, 12a)과 제3 탄성 부재(13)는 다리 둘레 개구(21)의 가장자리부를 다리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4)는 몸통 둘레 개구(21)의 가장자리부를 몸통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보조 탄성 부재(15)는 앞뒤 몸통 둘레 영역(30, 32)을 몸통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기저귀(1A)에서는 이들 탄성 부재(11, 12, 13, 14, 15)가 수축하여, 이들 개구(21, 22)의 가장자리부와 앞뒤 몸통 둘레 영역(30, 32)에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A)에서는 영역(17, 18)에 있어서 양측 부분(11a, 12a)과 연결 부분(13a, 13b)이 서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영역(17, 18)의 신장 응력이 제1∼제3 탄성 부재(11, 12, 13)가 연장되는 나머지 영역의 그것보다도 높다. 기저귀 (1A)에서는 영역(17, 18)이 착용자의 다리부를 강하게 조여, 대향 측부(10)를 영역(17, 18)에 있어서 다리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5, 6은 개방형 기저귀(1B)의 부분 파단 평면도와, 앞뒤 몸통 둘레 영역 (30, 32)을 연결한 착용 상태에서 도시한 기저귀(1B)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고, 도 7, 8은 도 5의 C-C선 단면도와, 코어(4)의 중간부(4b)를 생략하여 도시한 도 5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내고, 전후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낸다. 도 6에서는 몸통 둘레 방향을 화살표 X로 나타내고, 다리 둘레 방향을 화살표 Y로 나타낸다.
기저귀(1B)는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2)와, 소수성 섬유 부직포(3a)에 플라스틱 필름(3b)을 고착한 액체 불투과성 베이스 시트(3)와, 전체가 티슈 페이퍼(도시하지 않음)에 피복되어 접합된 액체 흡수성 코어(4)를 주요한 구성 부재로 한다.
코어(4)는 가랑이 영역(31)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부(4a) 및 후방부(4c)와 전후방부(4a, 4c)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4b)를 갖는다. 코어(4)는 표면 시트(2)와 베이스 시트(3) 사이에 개재하고, 티슈 페이퍼를 통해 이들 시트 (2, 3)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가랑이 영역(31)의 양측에는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한 한쌍의 다리 둘레 대향 측부(10)가 형성되어 있다. 가랑이 영역(31)에는 대향 측부(10)의 전단(10a)에서 전후 방향 후방을 향하여 실질적으로 호를 그리는 제1 탄성 부재(11)와, 대향 측부(10)의 후단(10b)에서 전후 방향 전방을 향하여 실질적으로 호를 그리는 제2 탄성 부재(12)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가랑이 영역(31)에는 제1 및 제2 탄성 부재(11, 12) 사이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탄성 부재 (13)가 신장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탄성 부재(11, 12)는 대향 측부(10)의 전후단(10a, 10b) 근방에서 대향 측부(10)를 따라 연장되는 양측 부분(11a, 12a)과, 전후 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치수 이격되어 코어(4)의 전후방부(4a, 4c)를 가로지르는 중앙 부분(11b, 12b)을 갖는다.
제3 탄성 부재(13)는 대향 측부(10)를 따라 기저귀(1B)의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하여 호를 그리고 있다. 제3 탄성 부재(13)는 제1 탄성 부재(11)의 양측 부분 (11a)과 중앙 부분(11b)의 분기부(16)로부터 양측 부분(11a)에 합류하는 연결 부분 (13a)과, 제2 탄성 부재(12)의 양측 부분(12a)과 중앙 부분(12b)의 분기부(17)로부터 양측 부분(12a)에 합류하는 연결 부분(13b)을 갖는다. 연결 부분(13a)은 양측 부분(11a)과 함께 대향 측부(10)의 전단(10a)까지 연장되어 있다. 연결 부분(13b)은 양측 부분(12a)과 함께 대향 측부(10)의 후단(10b)까지 연장되어 있다.
뒤몸통 둘레 영역(32)의 단부(6)에는 띠 모양의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4)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들 탄성 부재(11, 12, 13, 14)는 부직포(3a)와 플라스틱 필름(3b)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에 고착되어 있다.
뒤몸통 둘레 영역(32)의 양측부(8)에는 가로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테이프 파스너(23)가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 파스너(23)는 그 기단부가 부직포(3a)와 플라스틱 필름(3b)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에 고착되어 있다. 테이프 파스너(23)의 자유 단부에는 점착제(도시하지 않음)가 도포되어 있다.
앞몸통 둘레 영역(30)에 있어서의 베이스 시트(3)의 외면에는 플라스틱 시트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타겟 테이프(24)가 부착되어 있다. 타겟 테이프(24)는 테이프 파스너(23)에 대한 고착 영역이 된다.
이 기저귀(1B)를 착용하려면, 뒤몸통 둘레 영역(32)의 양측부(8)를 앞몸통 둘레 영역(30)의 양측부(7)의 외측에 중첩시키고, 점착제를 통해 테이프 파스너 (23)의 자유 단부를 타겟 테이프(24)에 고착하여, 앞몸통 둘레 영역(30)과 뒤몸통 둘레 영역(32)을 연결한다. 앞뒤 몸통 둘레 영역(30, 32)이 연결된 기저귀(1B)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 둘레 개구(21)와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22)가 구획되어 있다.
기저귀(1B)의 대향 측부(10)에는 양측 부분(11a, 12a)과 연결 부분(13a, 13b)이 서로 연장되는 영역(18, 19)이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1B)에서는 영역(18, 19)의 신장 응력이 상기 제1∼제3 탄성 부재(11, 12, 13)가 연장되는 나머지 영역의 그것보다도 높고, 대향 측부(10)를 영역(18, 19)에 있어서 착용자의 다리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들 도시한 예의 기저귀(1A, 1B)에서는 제3 탄성 부재(13)가 대향 측부(10)를 따라 기저귀(1A, 1B)의 가로 방향 내측으로 호를 그려 연장되고 있기 때문에, 제3 탄성 부재(13)가 착용자의 다리부를 둘러싸는 식으로, 다리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다. 기저귀(1A, 1B)에서는 제3 탄성 부재(13)의 신장 응력이 다리부의 둘레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제3 탄성 부재(13)의 신장 응력을 충분히 이용하여 다리부를 조일 수 있다.
이들 기저귀(1A, 1B)에서는 제1 및 제2 탄성 부재(11, 12)와 제3 탄성 부재 (13)가 하나로 연결되어 착용자의 다리부를 둘러싸고, 이들 탄성 부재(11, 12, 13)가 착용자의 다리부 전체 둘레를 조이기 때문에, 제1 및 제2 탄성 부재(11, 12)가 가랑이 영역(31)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고 있더라도, 가랑이 영역(31)으로부터 배설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저귀(1A, 1B)에서는 제1 및 제2 탄성 부재(11, 12)의 중앙 부분 (11b, 12b)이 수축하고, 그 수축에 의해 패널(P)의 전후방부(P1, P3) 또는 코어(4)의 전후방부(4a, 4c)가 착용자의 피부에 눌리기 때문에, 이들 전후방부(P1, P3, 4a, 4b)를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표면 시트(2)에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 또는 개공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있다. 베이스 시트(3)에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3a)에 플라스틱 필름(3b)을 고착한 복합 시트 외에도, 소수성 섬유 부직포,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 소수성 섬유 부직포를 중첩시킨 2층의 부직포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누설 방지 시트(5)에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 또는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시트(3)와 누설 방지 시트(5)에는 높은 내수성을 갖는 멜트 블로법에 의한 부직포를, 높은 강도를 지니고 또한 유연성이 풍부한 스펀 본드법에 의한 부직포로 사이에 끼운 복합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부직포로서는 스펀 레이스, 니들 펀치, 멜트 블로, 서멀 본드, 스펀 본드, 케미컬 본드, 에어 스루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로서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의 각 섬유,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심초형 복합 섬유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코어(4)는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의 혼합물, 또는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와의 혼합물이며, 소정의 두께로 압축되어 있다. 폴리머 입자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 합성 폴리머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탄성 부재(11, 12)나 제3 탄성 부재(13), 몸통 둘레용 탄성 부재(14), 보조 탄성 부재(15)에는 합성 고무나 천연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시트(2, 3, 5)의 고착, 코어(4)의 접합, 탄성 부재(11, 12, 13, 14, 15)의 부착에는 핫 멜트계 접착제, 또는 히트 시일이나 소닉 시일 등의 열에 의한 용착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1A, 1B) 외에도, 유아의 기저귀 떼기를 촉진하기 위한 트레이닝 팬츠, 내면에 액체 흡수성 패드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기저귀 커버에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착용 물품에 의하면, 제3 탄성 부재가 대향 측부를 따라 물품의 가로 방향 내측으로 호를 그려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물품을 착용했을 때, 제3 탄성 부재가 착용자의 다리부를 둘러싸는 식으로 다리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다. 물품에서는 제3 탄성 부재의 신장 응력이 다리부의 둘레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제3 탄성 부재의 신장 응력을 충분히 이용하여 다리부를 조여, 대향 측부를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밀착시킬 수 있다.
물품에서는 제1 및 제2 탄성 부재의 양측 부분에 제3 탄성 부재의 연결 부분이 합류하여, 이들 탄성 부재가 서로 연장되는 영역의 신장 응력이 이들 탄성 부재가 연장되는 나머지 영역의 그것보다도 높기 때문에, 영역에 있어서 착용자의 다리 부를 강하게 조일 수 있다. 물품에서는 제1 및 제2 탄성 부재의 양측 부분과 중앙 부분과의 분기부 근방에서 대향 측부의 전후단 부근에 이르는 영역에 있어서, 대향 측부를 착용자의 다리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로 피복된 액체 흡수성 코어와, 앞몸통 둘레 영역 및 뒤몸통 둘레 영역과 이들 몸통 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구비하는 액체 불투과성 베이스 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가랑이 영역의 양측을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한 한쌍의 다리 둘레 대향 측부에 신축성의 다리 둘레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고, 상기 다리 둘레 탄성 부재가 상기 대향 측부의 전단 근방에서 전후 방향 후방을 향해 호를 그리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대향 측부의 후단 근방에서 전후 방향 전방을 향하여 호를 그리는 제2 탄성 부재와, 상기 대향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탄성 부재 사이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탄성 부재로 형성된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수성 코어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가랑이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가 상기 대향 측부의 전단 근방으로 연장되는 제1 양측 부분과 상기 코어의 전단부를 가로지르는 제1 중앙 부분을 지니고, 상기 제2 탄성 부재가 상기 대향 측부의 후단 근방으로 연장되는 제2 양측 부분과 상기 제1 중앙 부분으로부터 전후 방향 후방으로 소정의 치수 이격되어 상기 코어의 후단부를 가로지르는 제2 중앙 부분을 지니며, 상기 제3 탄성 부재가 상기 대향 측부를 따라 가로 방향 내측을 향하여 호를 그려서, 상기 제1 양측 부분과 상기 제1 중앙 부분과의 분기부 근방에서 상기 제1 양측 부분에 합류하여 연장되는 제1 연결 부분과, 상기 제2 양측 부분과 상기 제2 중앙 부분과의 분기부 근방에서 상기 제2 양측 부분에 합류하여 연장되는 제2 연결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양측 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부분이 서로 연장되는 영역의 신장 응력이 상기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1∼제3 탄성 부재가 연장되는 나머지 영역의 신장 응력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
  3. 삭제
  4. 삭제
KR1020010073623A 2000-11-24 2001-11-24 일회용 착용 물품 Expired - Lifetime KR100833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57938A JP3820100B2 (ja) 2000-11-24 2000-11-24 使い捨て着用物品
JPJP-P-2000-00357938 2000-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652A KR20020040652A (ko) 2002-05-30
KR100833632B1 true KR100833632B1 (ko) 2008-05-30

Family

ID=1882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623A Expired - Lifetime KR100833632B1 (ko) 2000-11-24 2001-11-24 일회용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821271B2 (ko)
EP (1) EP1208825B1 (ko)
JP (1) JP3820100B2 (ko)
KR (1) KR100833632B1 (ko)
CN (2) CN1364452A (ko)
AT (1) ATE336214T1 (ko)
AU (1) AU783810B2 (ko)
CA (1) CA2363364C (ko)
CO (1) CO5380007A1 (ko)
DE (1) DE60122265T2 (ko)
MX (1) MXPA01012203A (ko)
MY (1) MY128874A (ko)
SG (1) SG101521A1 (ko)
TW (1) TW52674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0731B2 (en) 1997-11-17 2006-12-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underpants
US7344524B2 (en) 1997-11-17 2008-03-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underpants
JP3807924B2 (ja) * 2000-10-31 2006-08-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EP1300124B1 (en) * 2001-09-28 2012-03-21 Kao Corporation Shorts type disposable diaper
JP3953848B2 (ja) * 2002-03-13 2007-08-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4113397B2 (ja) * 2002-08-30 2008-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4160807B2 (ja) * 2002-08-30 2008-10-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4119718B2 (ja) * 2002-08-31 2008-07-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US7959618B2 (en) * 2003-03-07 2011-06-14 Sca Hygiene Products Ab Pant-shaped article with improved fit
US7364572B2 (en) * 2003-03-07 2008-04-29 Sca Hygiene Products Ab Pant-shaped article with improved fit
JP3975176B2 (ja) * 2003-04-18 2007-09-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US20070021727A1 (en) * 2005-07-22 2007-01-25 Fabrega Marco A Disposable absorbent undergarment with pocket
JP5160863B2 (ja) * 2007-11-15 2013-03-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ES2604959T3 (es) * 2008-06-11 2017-03-10 Ontex Bvba Prenda interior desechable con secciones elásticas mejoradas
JP5764287B2 (ja) * 2009-08-13 2015-08-19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5764286B2 (ja) * 2009-08-13 2015-08-19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5486347B2 (ja) * 2010-02-27 2014-05-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US8506544B2 (en) 2010-06-21 2013-08-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pant with efficient design and convenient single-section side stretch panels
US10993849B2 (en) * 2010-09-16 2021-05-04 Dsg Technology Holdings Ltd. Article with chassis having an elastic distribution, absorbent core and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5947610B2 (ja) * 2012-04-23 2016-07-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291225B1 (ja) * 2012-04-27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213877B2 (ja) * 2014-09-29 2017-10-18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ES2983519T3 (es) * 2015-09-29 2024-10-23 Essity Hygiene & Health Ab Artículo absorbente de tipo pantalón desechable adaptado especialmente para un usuario masculino
CA3054306A1 (en) * 2017-02-22 2018-08-30 Dsg Technology Holdings Ltd. Article with chassis having an elastic distribution, absorbent core and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ame
CN112076027A (zh) * 2019-06-14 2020-12-15 李新民 纸尿裤及其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361A (ja) * 1992-05-14 1993-12-03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H07299094A (ja) * 1994-03-10 1995-11-14 Zuikou:Kk 使い捨ておむつまたは使い捨てパンツ
JPH0824291A (ja) * 1994-07-18 1996-01-30 Uni 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JPH09313531A (ja) * 1996-05-31 1997-12-09 Oji Paper Co Ltd パンツ型おむつ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6185B2 (ja) * 1990-03-12 1998-11-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パンツ型着用物品
US5779689A (en) * 1990-10-26 1998-07-14 Peaudouce Diapers with elasticized crotch and end regions and a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thereof
JP3012425B2 (ja) * 1993-03-30 2000-0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5830203A (en) * 1994-05-24 1998-11-03 Paragon Trade Brands, Inc.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299633U (en) * 1994-07-14 1997-03-01 Uni Charm Corp Disposable absorbent undergarment
US5745922A (en) * 1995-01-31 1998-05-05 Kimberly Clark Corporation Disposable garment and related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s
SE9501619L (sv) 1995-05-03 1996-10-28 Moelnlycke Ab Absorberande artikel, såsom en blöja innefattande elastiska element, som sträcker sig tvärs över artikeln.
JP3150601B2 (ja) * 1996-01-31 2001-03-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3323100B2 (ja) * 1997-04-30 2002-09-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パンツ型着用物品
KR20010053447A (ko) 1998-07-10 2001-06-25 로날드 디. 맥크레이 편재된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일회용 언더팬츠
JP3576045B2 (ja) * 1999-08-30 2004-10-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BR0110230A (pt) * 2000-05-08 2005-01-18 Kimberly Clark Co Roupas ìntimas absorventes descartáveis para a contenção de fluidos corpóreo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7361A (ja) * 1992-05-14 1993-12-03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H07299094A (ja) * 1994-03-10 1995-11-14 Zuikou:Kk 使い捨ておむつまたは使い捨てパンツ
JPH0824291A (ja) * 1994-07-18 1996-01-30 Uni 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JPH09313531A (ja) * 1996-05-31 1997-12-09 Oji Paper Co Ltd パンツ型おむつ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26749U (en) 2003-04-01
JP3820100B2 (ja) 2006-09-13
US6821271B2 (en) 2004-11-23
CO5380007A1 (es) 2004-03-31
CA2363364A1 (en) 2002-05-24
ATE336214T1 (de) 2006-09-15
AU9341001A (en) 2002-05-30
CN1364452A (zh) 2002-08-21
EP1208825B1 (en) 2006-08-16
AU783810B2 (en) 2005-12-08
CN1650829A (zh) 2005-08-10
EP1208825A2 (en) 2002-05-29
CA2363364C (en) 2008-02-26
US20020068919A1 (en) 2002-06-06
KR20020040652A (ko) 2002-05-30
CN100528118C (zh) 2009-08-19
DE60122265T2 (de) 2007-07-19
DE60122265D1 (de) 2006-09-28
MXPA01012203A (es) 2004-08-12
MY128874A (en) 2007-02-28
EP1208825A3 (en) 2003-07-09
JP2002159527A (ja) 2002-06-04
SG101521A1 (en) 200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632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816235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784775B1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US7014632B2 (en) Pants-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
US6808516B2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KR100784776B1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596079B1 (ko)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
JP4116845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US7955311B2 (en) Disposable diaper with stretchable suspender members joined outside absorbent pad
KR100792197B1 (ko) 일회용 기저귀
KR200150696Y1 (ko) 일회용 흡수성 팬츠
JP3699360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EP0955977B1 (en) Absorbent product with leg closures
KR100593657B1 (ko)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JP3848559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KR100764578B1 (ko) 일회용 기저귀 및 그 제조 방법
JP4024467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070095323A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3851835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0825843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2003265533A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2003024381A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2002028181A (ja) パンツ型使いすておむつ
JP2003126142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03102785A (ja) 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0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11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20524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