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1358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358B1
KR100831358B1 KR1020050088421A KR20050088421A KR100831358B1 KR 100831358 B1 KR100831358 B1 KR 100831358B1 KR 1020050088421 A KR1020050088421 A KR 1020050088421A KR 20050088421 A KR20050088421 A KR 20050088421A KR 100831358 B1 KR100831358 B1 KR 100831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unit
lever member
discharge unit
discharg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5490A (ko
Inventor
홍종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8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358B1/ko
Priority to US11/443,012 priority patent/US20070063427A1/en
Priority to CNA2006100931738A priority patent/CN1936718A/zh
Publication of KR20070095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3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B65H31/36Auxiliary devices for contacting each article with a front stop as it is pi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6Auxiliary devices for retaining articles in the pi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shape
    • B65H2404/1114Padd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50Ti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배지부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용지 배출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 배지부로 배출되는 용지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용지를 상기 배지부에 밀착시켜 정렬하는 용지정렬유닛; 및 감지유닛의 출력신호에 따라 용지정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형성장치, 용지정렬, 용지만재, 배지부, 레버부재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정상적으로 배지부에 용지가 적재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고속으로 용지가 배출될 경우, 배지부에 용지가 불균일하게 적재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요부인 용지정렬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지유닛 100; 감지유닛
200; 용지정렬유닛 210; 구동원
220; 회전축 230; 레버부재
300; 제어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유닛(1), 이송유닛(2), 현상유닛(3), 전사유닛(4), 정착유닛(5), 배지유닛(10)을 구비하며, 상기 배지유닛(10)에는 인쇄가 완료되어 배출된 용지가 배지부(13)에 과도하게 적재되는 것을 감지하여, 인쇄를 정지시킬 수 있는 용지만재 감지레버(20)가 설치된다.
도 2는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유닛(10)은 배지롤러(11)와 백업롤러(12)를 구비하여, 인쇄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지부(13)로 배출한다. 배지부(13)는 일정 분량의 용지만이 적재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데, 설계된 양 이상의 용지가 적재되었는지의 여부는 배지유닛(10) 근처에 설치된 용지만재 감지레버(20)에 의해 감지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용지만재 감지레버(20)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몰드물로 형성되며, 배지유닛(10)에 의해 배지부(13)로 배출되는 용지(P)의 상면을 가이드 한다. 용지만재 감지레버(20)는 배지부(13)에 배출된 용지(P)가 적재됨에 따라 용지(P)의 상면과 접촉하면서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용지만재 감지레버(20)는 소정의 감지센서와 연결되는데, 상기 감지센서는 용지만재 감지레버(20)가 용지(P)의 상부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양이 일정 이상 될 경우, 즉, 설계된 적래량 이상으로 용지가 배지부(13)에 적재될 경우, 온 또는 오프 되면서 배지부(13)에 적재된 용지(P)가 만재 되었음을 알려주는 감지신호를 소정의 제어부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배지부(13)에 용지(P)가 만재되면,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동작을 잠시 중단하고, 사용자가 배지부(13)에 적재된 인쇄물을 제거하도록 유도한다.
그런데, 고속 인쇄가 가능한 최근의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배지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배출되는 용지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균일하게 배지부(13)에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용지가 불균일하게 적재되면, 각각의 용지 사이가 들떠 공간부가 형성되어 설계시 의도된 적재량에 비해 적은 양의 용지가 배지부(13)에 적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출되는 용지를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으며, 배지부에 적재되는 용지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용지정렬 수단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배지부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용지 배출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 상기 배지부로 배출되는 용지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상기 용지를 상기 배지부에 밀착시켜 정렬하는 용지정렬유닛; 및 상기 감지유닛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용지정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용지정렬유닛은 상기 감지유닛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과 연결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360도 회전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부재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용지와 대면되는 부분이 휘어 지는 것이 좋다.
상기 레버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참고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감지유닛(100), 용지정렬유닛(200) 및 제어부(300)를 구비한다.
감지유닛(100)은 인쇄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유닛(10) 부근에 설치되어, 정착유닛(미도시)에서 화상이 고착된 용지가 화상형성장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하여, 배지유닛(10)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한다. 감지유닛(100)으로는 소정의 발광부 및 수광부를 가지는 광센서(photo-sensor)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용지정렬유닛(2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유닛(10) 부근에 설치되어, 배지유닛(10)과 함께 동작하면서 배출되는 용지를 배지부(13)에 가지런히 정돈한다.
용지정렬유닛(200)은 구동원(210), 회전축(220) 및 레버부재(230)를 포함한다.
구동원(210)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모터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동원(210)을 배지유닛(10)과 연결되는 기어트레인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축(220)은 구동원(210)과 연결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유닛(1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레버부재(230)는 탄력성 및 마찰력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레버부재(230)는 적어도 1개가 회전축(220)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220)의 회전동작에 따라 360도 회전한다. 레버부재(230)는 배지유닛(10)을 통해 배출되는 용지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배출되는 용지(P)를 배지부(13)에 밀착시켜 용지를 가지런하게 정돈한다. 이 과정에 대해서는 뒤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300)는 감지유닛(100)이 출력하는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아 용지정렬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감지유닛(100)이 배지유닛(10)으로 용지가 진입 및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300)는 용지정렬유닛(200)의 동작 시점을 설정하여, 배출되는 용지(P)를 배지부(13)에 정돈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용지정렬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된 용지(P)가 배지유닛(10)으로 진입하면, 감지유닛(100)에 의해 감지신호가 출력되며, 배지유닛(10)은 회전하면서 인쇄된 용지를 배지부(13)로 배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유닛(10)에 의해 용지가 배출되면, 감지유닛(100)은 용지(P)가 배지유닛(10)을 이탈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300)는 이 시점을 용지정렬유닛(200)의 작동 개시시점으로 설정하여, 구동원(210)에 동작신호를 인가한다. 구동원(210)이 회전 동력을 출력하면, 구동원(210)과 연 결된 회전축(220) 및 회전축(220)에 고정된 레버부재(230)는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용지정렬유닛(200)의 작동 개시시점은 상기한 바와 같이, 용지(P)가 배지유닛(10)을 이탈하는 시점으로 설정되는 것이 좋으나, 용지가 배지유닛(10)을 이탈하여 배지부(13)에 적재된 후로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용지(P)의 후단부가 배지유닛(10)에서 이탈된 후에 레버부재(230)가 회전하면, 레버부재(2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의 상부면의 후단을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가압하여, 배출된 용지(P)가 배지부(13)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레버부재(2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적재된 용지(PS)에 배출된 용지(P)가 밀착되면,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배출된 용지(P)를 끌어당겨 배지부(13)의 벽면(14)으로 배출된 용지(P)를 밀착시켜 선단을 정렬한다.
이와 같이 배출된 용지(P)의 선단을 정렬한 레버부재(23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변형을 통해 회전을 계속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위치로 360도 회전하여 복귀되어, 새로운 용지(P)가 배지유닛(10)에 감지되면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레버부재(230)의 360도 1회전 주기는 인쇄된 용지(P)의 1장 배출 주기와 연동시켜, 1매 배출시 1회전 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좋다. 또한 레버부재(230)의 단면형상은 배지부(13)의 크기에 따른 적재량에 따라 직선 또는 곡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배지부(13)의 바닥면과 레버부재(230)의 거리가 멀 경우에는 단면이 직선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배지부(13)의 바닥면과 레버부재(230)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에는 단면이 원호를 그리도록 곡선을 가지는 것이 좋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배지부(13)에 적재되는 용지의 만재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용지만재 감지레버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한 용지정렬유닛(200)에 토크미터와 같은 별도의 센서부재를 설치하여, 설계된 용지 적재량에서 레버부재(230)의 회전에 필요한 토크를 기준값으로 하여, 기준값 이상의 토크가 필요하면 용지가 만재되었음을 감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배지부에 적재되는 용지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적재된 용지가 가지런하게 정돈된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배지부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용지 배출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
    상기 배지부로 배출되는 용지의 후단을 잡아당겨서 정렬하는 용지정렬유닛; 및
    상기 감지유닛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용지정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정렬유닛은,
    상기 감지유닛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와 연결된 회전축; 및
    상기 용지와 대면되는 부분이 직선구간과 휘어진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360도 회전하는 고무 재질의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용지 배출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
    상기 배지부로 배출되는 용지의 후단을 잡아당겨서 정렬하는 용지정렬유닛; 및
    상기 감지유닛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용지정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정렬유닛은,
    상기 감지유닛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와 연결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360도 회전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용지와 대면되는 부분이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용지와 대면되는 부분에 직선 구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감지유닛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와 연결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360도 회전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배지부로 배출되는 용지의 후단을 잡아당겨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정렬유닛.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정렬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용지와 대면되는 부분이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정렬유닛.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정렬유닛.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용지와 대면되는 부분에 직선 구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정렬유닛.
KR1020050088421A 2005-09-22 2005-09-22 화상형성장치 Active KR100831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421A KR100831358B1 (ko) 2005-09-22 2005-09-22 화상형성장치
US11/443,012 US20070063427A1 (en) 2005-09-22 2006-05-31 Image forming apparatus
CNA2006100931738A CN1936718A (zh) 2005-09-22 2006-06-23 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421A KR100831358B1 (ko) 2005-09-22 2005-09-22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490A KR20070095490A (ko) 2007-10-01
KR100831358B1 true KR100831358B1 (ko) 2008-05-21

Family

ID=3788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421A Active KR100831358B1 (ko) 2005-09-22 2005-09-22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63427A1 (ko)
KR (1) KR100831358B1 (ko)
CN (1) CN19367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2223B2 (ja) * 2006-03-31 2010-05-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データ処理装置
JP5339931B2 (ja) * 2008-01-30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97214B2 (ja) * 2008-02-29 2010-07-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
JP5169642B2 (ja) * 2008-05-28 2013-03-27 株式会社リコー 排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060241A (ja) * 2011-09-12 2013-04-04 Ricoh Co Ltd 用紙排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253253B2 (ja) * 2013-05-10 2017-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96825B2 (ja) * 2014-02-26 2018-03-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の後処理装置および記録装置
JP6145794B2 (ja) * 2014-09-19 2017-06-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7238572B2 (ja) * 2019-04-23 2023-03-1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6270A (ja) * 2002-04-15 2003-10-28 Sharp Corp 印刷シート排出検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40074475A (ko) * 2003-02-19 2004-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
KR20050073289A (ko) * 2004-01-09 200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기 배지부의 용지정렬장치
KR100509147B1 (ko) 2004-03-22 2005-08-22 주식회사신도리코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7388A (en) * 1972-12-20 1974-11-12 Xerox Corp Sheet stacking method and apparatus
JPH10152256A (ja) * 1996-11-22 1998-06-09 Sharp Corp 用紙整合装置
JP3639737B2 (ja) * 1999-01-29 2005-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整合回転体を備える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装置
JP3665276B2 (ja) * 2001-06-04 2005-06-29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排出制御方法、シート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726384B2 (en) * 2001-11-28 2004-04-27 Lexmark International, Inc. Paper controlled clutch for a paper exit system in a printer
KR100477681B1 (ko) * 2002-11-20 200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US7007948B2 (en) * 2003-02-28 2006-03-07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tacking/aligning apparatus, sheet handl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6270A (ja) * 2002-04-15 2003-10-28 Sharp Corp 印刷シート排出検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40074475A (ko) * 2003-02-19 2004-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정렬장치
KR20050073289A (ko) * 2004-01-09 200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기 배지부의 용지정렬장치
KR100509147B1 (ko) 2004-03-22 2005-08-22 주식회사신도리코 인쇄기기용 용지정렬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530627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36718A (zh) 2007-03-28
KR20070095490A (ko) 2007-10-01
US20070063427A1 (en)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358B1 (ko) 화상형성장치
EP0577403B1 (en) Automatic sheet feeder
US7347419B2 (en) Sheet supplying device,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etecting overlapping sheets
US7331578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overlapping sheets
US7775519B2 (en) Large capacity sheet feeding apparatus having an intermediate conveying device
US7357387B2 (en) Sheet feed device for feeding cut sheets while interposing shortened interval between successive fed two sheets
JP2002187336A (ja) 排版収納装置及び孔版印刷機
JP5233045B2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690315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method
KR101142639B1 (ko) 기록매체 수집장치 및 방법
US7819517B2 (en) Ultraviolet ray irradiation apparatus for fixing printed material
JP5580808B2 (ja) 媒体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2556708A (zh) 介质重张检测方法及装置、介质处理装置
US8505909B2 (en) Feed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feeding apparatus, and feeding method
JP6686841B2 (ja) 給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219397A (ja) 排紙装置
JP5585460B2 (ja) シート折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761105B1 (ko) 용지버퍼장치
JPH0694329B2 (ja) 用紙仕分け装置
JP2015003494A (ja) 孔版印刷装置
JP2000280452A (ja) 画像形成装置の異物除去装置
JP2003081509A (ja) 排紙装置
JP3061382B2 (ja) 印刷装置の給紙装置
JPS62105826A (ja) 紙葉類集積装置
KR100537788B1 (ko) 상품권의 자동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8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2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927

Appeal identifier: 2007101003012

Request date: 20070319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4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1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10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70521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416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1030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7092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70319

Decision date: 20070927

Appeal identifier: 2007101003012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1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7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