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191B1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9191B1 KR100829191B1 KR1020070002074A KR20070002074A KR100829191B1 KR 100829191 B1 KR100829191 B1 KR 100829191B1 KR 1020070002074 A KR1020070002074 A KR 1020070002074A KR 20070002074 A KR20070002074 A KR 20070002074A KR 100829191 B1 KR100829191 B1 KR 1008291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air
- outdoor unit
- guide cover
- discharge 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토출안내커버의 크기를 크게하지 않으면서도 토출안내커버 내의 토출유로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출구 쪽의 유동저항이 줄어 토출공기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용 실외기를 개시한다. 이 실외기는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케이스와, 토출구에 마련된 벨마우스부와, 상방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해 벨마우스와 근접하도록 토출구에 설치된 송풍팬과, 상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측방으로 안내하기 위해 본체케이스 상부에 설치되며 측방에 출구가 마련된 토출안내커버를 포함하며, 토출유로의 확대를 위해 벨마우스부 상단이 송풍팬 상단보다 낮은 높이를 구비하는 것이다.Disclosed is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discharge flow path inside the discharge guide cover can be enlarged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discharge guide cover, thereby reducing the flow resistance on the discharge port side and allowing the discharged air to be discharged smoothly. The outdoor unit has a main body case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thereon, a bell mouse portion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a blower fan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 so as to be close to the bell mouse to blow air upward, and to guide the air discharged upward.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body case and includes a discharge guide cover provided with an outlet on the side, the upper end of the bell mouse portion is provided with a lower height than the top of the blowing fan for the expansion of the discharge passage.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요부 상세도이다.3 is a detail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본체케이스, 22: 열교환실,20: main body case, 22: heat exchange chamber,
23: 기계실, 24: 흡입구,23: machine room, 24: inlet,
25: 토출구, 26: 실외열교환기,25: discharge port, 26: outdoor heat exchanger,
27: 송풍팬, 27: 모터,27: blower fan, 27: motor,
30: 압축기, 40: 벨마우스부,30: compressor, 40: Bellemouth part,
50: 토출안내커버, 51: 출구. 50: discharge guide cover, 51: exi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안내하는 토출안내커버를 갖춘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having a discharge guide cover for guiding a discharge direction of air.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건물의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기를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실내기는 실내열교환기와 실내공기의 송풍을 통하여 실내열교환기를 냉각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형태이고, 실외기는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 및 외기의 송풍을 통하여 실외열교환기를 냉각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하는 형태이다.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door unit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of a building and an outdoor unit installed outside of the building. Typically, the indoor unit is a type having a blowing fan for cooling the indoor heat exchanger through the blowing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indoor air, the outdoor unit is a form having a blowing fan for cooling the outdoor heat exchanger through the blowing of the compressor, outdoor heat exchanger and outdoor air. to be.
도 1은 주상복합형 건물이나 아파트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종래의 대용량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외기는 측면 둘레에 흡입구(2)가 형성되고 상부에 토출구(3)가 형성되며 내부공간이 상부의 열교환실(4)과 하부의 기계실(5)로 구획된 본체케이스(1)를 구비한다. 상부의 열교환실(4) 내에는 측면의 흡입구(2)의 내측에 실외열교환기(6)가 설치되어 있고, 토출구(3) 쪽에 상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축류형 송풍팬(7)이 설치되어 있다. 토출구(3) 쪽에는 토출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기 위해 송풍팬(7)의 외주와 근접하는 벨마우스부(8)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의 기계실(5)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9)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실외기는 송풍팬(7)이 동작하면 측면의 흡입구(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실외열교환기(6)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후 상부의 토출구(3)를 통하여 배출된다.1 illustrates an outdoor unit of a conventional large-capacity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a veranda of a residential complex or an apartment. The outdoor unit has a main body case 1 in which an inlet port 2 is formed around a side surface, an outlet port 3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and an inner space is divided into an upper
토출구(3)의 벨마우스부(8)는 상단이 송풍팬(7)의 상단과 거의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토출공기를 상방향으로 안내한다. 또 이러한 실외기는 토출구(3)를 통하여 상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측방으로 안내하기 위해 본체케이스(1)의 상부에 설치되는 토출안내커버(10)를 구비한다. 토출안내커버(10)는 측면에 출구(11)를 구비함으로써 토출공기를 측방으로 안내한다. 이는 실외기가 주상복합형 건물의 베란다 등에 설치될 경우 토출공기가 토출안내커버(10)에 의해 측방으 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토출공기를 실외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bell mouth portion 8 of the discharge port 3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end thereof has a height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blowing
그런데 이러한 실외기는 주상복합형 건물의 베란다 처럼 천장의 높이가 낮고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토출안내커버(10)의 높이를 높게 하여 출구(11)의 면적을 크게 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토출안내커버(10)에 의해 토출공기의 배출방향이 급격하게 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토출구(3) 쪽의 유동저항이 큰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uch outdoor units are often installed in narrow spaces with low ceilings, such as verandas of multi-purpose buildings, and there is a limit to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특히 이러한 실외기의 토출유로(12)는 벨마우스부(8)의 상단으로부터 토출안내커버(10)의 상면까지의 이격거리(h1)가 클수록 유로가 넓어지기 때문에 공기의 배출이 원활할 수 있는데, 종래의 실외기는 벨마우스부(8)가 송풍팬(7)의 높이와 거의 같은 정도로 높은 상태이고, 토출안내커버(10)를 크게 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토출유로(12)를 확대하기 어려웠다.In particular, th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안내커버의 크기를 크게하지 않으면서도 토출안내커버 내의 토출유로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출구 쪽의 유동저항이 줄어 토출공기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용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discharge flow path in the discharge guide cover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discharge guide cover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at the discharge port side smoothly discharge air It is to provide a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that can be discharg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외기는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케이스와, 상기 토출구에 마련된 벨마우스부와, 상방으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해 상기 벨마우스와 근접하도록 상기 토출구에 설치된 송풍팬과, 상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측방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본체케이스 상부에 설치되며 측방에 출구가 마련된 토출안내커버를 포함하며, 토출유로의 확대를 위해 상기 벨마우스부 상단이 상기 송풍팬 상단보다 낮은 높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ort so as to be close to the bell mouse to blow air upward, the main body case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upper portion, the bell mouse portion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 A blowing fan and a discharge guide cove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ase to guide the air discharged upwardly to the side and having an outlet at a side thereof, and an upper end of the bell mouse part at an upper end of the blower fan to enlarge a discharge passage.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lower height.
또한 상기 벨마우스부의 높이는 상기 송풍팬 높이의 50~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bell mous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50 to 60% of the height of the blowing fan.
또한 상기 벨마우스부의 상단은 상기 송풍팬의 상하 50%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bell mous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at the top and
또한 상기 토출안내커버의 출구는 하단의 높이가 상기 벨마우스부의 상단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utlet of the discharge guid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bottom is lower than the top of the bell mouse por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외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이 구획판(21)에 의해 상부의 열교환실(22)과 하부의 기계실(23)로 구획된 본체케이스(20)를 구비한다. 본체케이스(20)의 열교환실(22)의 측면 둘레에는 흡입구(24)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토출구(25)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열교환실(22) 내부에는 흡입구(24)와 근접하도록 실내열교환기(26)가 설치되고, 상부의 토출구(25) 쪽에 축류형 송풍팬(27)이 설치된다. 송풍팬(27)을 구동시키는 모터(28)는 본체케이스(20)의 내측 상부를 횡단하도록 설치되는 팬 지지부재(29)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은 송풍팬(27)이 동작하면 열교환실(22) 측면 의 흡입구(24)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가 실내열교환기(26)와 열교환을 하면서 열교환실(22) 내부로 유입된 후 상부의 토출구(25)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n
기계실(23) 내부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0)가 설치되고, 기계실(23)의 측면에는 압축기(30)의 냉각을 위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기계실 흡입구(32)가 형성된다. 기계실(23) 상부의 구획판(21)에는 열교환실(22)과 기계실(23)이 연통되도록 복수의 통공(33)이 형성된다. 이는 송풍팬(27)이 동작할 때 기계실 흡입구(32)로 유입된 외기가 기계실(23) 내부의 압축기(30)를 냉각시킨 후 통공(33)을 통해 상측의 열교환실(22)로 흐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
본체케이스(20) 상부의 토출구(25)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팬(27)의 송풍효과를 높이고 상방향 송풍을 안내하는 벨마우스부(40)가 마련된다. 벨마우스부(40)는 회전하는 송풍팬(27)의 외주부에 근접하도록 토출구(25)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소정의 곡률로 벤딩된다. As shown in FIG. 3, a
또 본체케이스(20) 상부에는 송풍팬(27)에 의하여 상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측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토출안내커버(50)가 설치된다. 이는 실외기가 주상복합형 건물의 베란다처럼 협소한 공간에 설치될 경우 토출공기가 토출안내커버(50)에 의해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토출공기를 실외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토출안내커버(50)는 하부가 개방된 사각의 상자형태로 마련되며, 측방에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51)를 구비한다. 토출안내커버(50)의 하단은 고정나사(미도시) 체결 등에 의하여 본체케이스(20) 상부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외기는 토출안내커버(50)의 크기를 종래보다 확대하지 않 으면서도 토출안내커버(50) 내부의 토출유로(52)를 확대하기 위해 벨마우스부(40)의 높이가 송풍팬(27)의 높이보다 낮게 마련된다. 즉 벨마우스(40) 상단이 송풍팬(27)의 상단보다 소정높이(h2) 낮게 마련된다. In addition, the outdo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ight of the
이는 송풍팬(27)이 동작할 때 열교환실(22) 내부의 공기가 토출구(25) 쪽으로 원활히 안내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벨마우스부(40)의 상단으로부터 토출안내커버(50)의 상면까지의 이격거리(h3)가 종래보다 커지도록 하여 토출안내커버(50) 내부의 토출유로(52)가 종래보다 확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토출공기가 벨마우스부(40)를 통과하자마자 유로가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토출안내커버(50) 내에서의 토출공기 유동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is allows the air inside the
이처럼 원활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유동저항을 줄이기 위해서는 벨마우스부(40)의 높이가 송풍팬(27) 높이의 50~60%정도가 되도록 하고, 벨마우스부(40) 상단의 위치가 대략 송풍팬(27)의 상하 50%지점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토출안내커버(50) 내부의 공기가 출구(51)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토출안내커버(50)의 출구(51)는 하단의 높이가 벨마우스부(40)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는 출구(51)의 면적확대를 통해 공기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smooth air flow and reduce flow resistance, the height of th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실외기는 벨마우스부의 높이를 송풍팬의 높이보다 낮게 하여 토출안내커버 내부의 유로를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토출안내커버의 외형을 종래보다 크게하지 않으면서도 토출구 쪽의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토출구 쪽의 원활한 송풍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outdoor unit for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nlarge the flow path inside the discharge guide cover by lowering the height of the bell mouse portion than the height of the blowing fan,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discharge guide cover is not larger than b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on the discharge port side without, and through th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lement a smooth air blowing on the discharge port side.
또한 본 발명은 토출구 쪽의 유동저항을 줄여 토출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동일한 풍량을 유지하는 수준에서 상대적으로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송풍팬의 동작에 따른 소음을 종래보다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discharge flow rate by reducing the flow resistance of the discharge port side,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er fan can be relatively reduced at the level of maintaining the same air flow rate as before, so that the nois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an can be reduc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duced.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2074A KR100829191B1 (en) | 2007-01-08 | 2007-01-08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2074A KR100829191B1 (en) | 2007-01-08 | 2007-01-08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29191B1 true KR100829191B1 (en) | 2008-05-14 |
Family
ID=3965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20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29191B1 (en) | 2007-01-08 | 2007-01-08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919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440106A (en) * | 2016-10-21 | 2017-02-22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and assembling method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
EP2603748A4 (en) * | 2010-08-11 | 2018-03-21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Low ambient cooling kit for variable refrigerant flow heat pump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9579A (en) * | 2000-06-09 | 2001-12-21 | Daikin Ind Ltd | Outdoor unit Snowproof hood and outdoor unit with snowproof hood |
KR20040008712A (en) * | 2002-07-19 | 2004-01-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2007
- 2007-01-08 KR KR1020070002074A patent/KR10082919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49579A (en) * | 2000-06-09 | 2001-12-21 | Daikin Ind Ltd | Outdoor unit Snowproof hood and outdoor unit with snowproof hood |
KR20040008712A (en) * | 2002-07-19 | 2004-01-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603748A4 (en) * | 2010-08-11 | 2018-03-21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Low ambient cooling kit for variable refrigerant flow heat pump |
CN106440106A (en) * | 2016-10-21 | 2017-02-22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and assembling method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82197B1 (en) | Air conditioner | |
US11002451B2 (en) | Air conditioner | |
CN108386905B (en) | air conditioner | |
US10107507B2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JP2010078274A (en) | Indoor unit for floor setting type air conditioner | |
JP6690256B2 (en) | Ceiling embedded air conditioner | |
JP6139669B2 (en) | Air conditioner | |
KR100829191B1 (en)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US7028506B2 (en) | Indoor unit of packaged air conditioner | |
KR20090041467A (en) | Blower fan | |
KR20080019357A (en) | Air conditioner | |
KR20070078255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JP5860752B2 (en) | Air conditioner | |
WO2016084216A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0652805B1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419941B1 (en) | The indoor uni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WO2018029878A1 (en) | Indoor unit and air-conditioning device | |
KR102522048B1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KR20090040792A (en) | Ceiling air conditioner | |
CN2669060Y (en) | Front suction-discharge type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 |
KR20090041806A (en) | Ceiling air conditioner | |
JP6340694B2 (en) | Blower | |
KR101468739B1 (en) | Fan assembly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 |
JP2005164206A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and air conditioner | |
JP2008095971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