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805B1 - Installation structure of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stallation structure of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52805B1 KR100652805B1 KR1020050099686A KR20050099686A KR100652805B1 KR 100652805 B1 KR100652805 B1 KR 100652805B1 KR 1020050099686 A KR1020050099686 A KR 1020050099686A KR 20050099686 A KR20050099686 A KR 20050099686A KR 100652805 B1 KR100652805 B1 KR 1006528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door unit
- building
- air conditioner
- air
- installation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4—Inlet and outlet arranged on opposite si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 F24F1/68—Arrangement of multiple separate outdoor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외벽의 오목부에 건물의 외벽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대를 마련하고, 설치대와 건물 외벽사이에 상하방향으로 통풍로를 형성하고 실외기를 설치대에 설치하되, 실외기의 토출방향은 건물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실외기의 흡입방향은 건물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실외기를 설치하여 토출공기가 다시 흡입구로 유입되는 재순환현상을 방지하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stallation stand so as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building wall, and form a ventilation path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mounting table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install the outdoor unit on the mounting tabl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outdoor unit to the building The outdoor unit is installed to face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building, and the outdoor unit is installed to face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building, thereby preventing the recirculation of discharge air into the suction port, thereby improving heat exchange performance of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n outdoor unit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발명을 구성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도2의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of FIG. 2.
도5는 도2의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하우징, 24,25 : 흡입구,20: housing, 24, 25: inlet,
26 : 토출구, 27 : 가이드,26 discharge port, 27 guide,
100 : 실외기, 110 : 건물,100: outdoor unit, 110: building,
111,112 : 측벽 113 : 오목부,111,112: sidewall 113: recess,
114 : 설치대, 115 : 외벽,114: mounting table, 115: outer wall,
116 : 통공, 117 : 통풍로.116: through-hole, 117: ventilation path.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상복합건물이나 상업용 건물에서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door unit installation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in a residential complex or a commercial building.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증발기를 기본 구성으로 하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들 냉동사이클이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일체형과, 증발기와 응축기가 각각 별도의 유닛에 구성되는 분리형으로 구분된다.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cooling or heating a room by a refrigeration cycle hav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der, and an evaporator as a basic unit.The refrigeration cycle is composed of one unit, and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are separate units. It is divided into separate types composed in.
분리형 공기조화기에는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구비하는 실외기가 마련되는데,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주상복합건물 등 대형건물에는 대용량의 실외기가 건물의 옥상에 상향토출방식으로 설치된다.In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n outdoor unit including a compressor and a condenser is provided. In general, in a large building such as a building or a residential complex, a large outdoor unit is installed on the roof of a building by an upward discharge method.
그러나 최근에는 제품의 경향에 따라 층마다 설치장소를 마련하여 실외기를 설치하는데, 도1에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층마다 설치되는 실외기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Recently, however, outdoor units are installed by installing an installation place for each floor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product. FIG.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n outdoor unit installed generally on each floor of a building.
이러한 종래의 실외기 설치구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층마다 실외기(10)를 설치하는데 전면 흡토출방식으로 마련되어 흡입구(11)와 토출구(12)가 건물반대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This conventional outdoor unit installation structure is provided in the front suction method to install th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실외기 설치구조는 건물로 불어오는 빌딩풍('A'방향의 바람)의 영향과 건물외부공기의 압력차에 의한 굴뚝효과로 인하여 건물벽(13)을 타고 상측으로 기류(B'방향의 바람)가 형성되기 때문에 하층의 실외기의 토출구에서 토출된 고온의 토출 공기가 상층의 실외기의 흡입구에 재흡입되는 토출공기의 재순환현상(short circuit)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고 이는 공 기조화기의 성능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outdoor unit installation structure has an air flow (B ') upward through th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상복합건물, 상업용 건물에 설치되는 실외기의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토출공기의 재순환현상을 방지하여 공기조화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er by preventing the recirculation of the discharge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outdoor unit installed in the columnar composite building, commercial buildings It is to provide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외기의 흡입방향과 토출방향을 빌딩풍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하여 실외기의 흡입, 토출공기의 풍속을 향상시켜 실외기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outdoor unit of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of the outdoor unit by forming the suction direction and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outdoor uni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the building wind to improve the wind speed of the outdoor unit suction and discharge air To provid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복수층에 설치되는 복수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외벽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대를 마련하고, 상기 실외기를 상기 설치대에 설치하되, 상기 실외기의 토출방향은 상기 건물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실외기의 흡입방향은 상기 건물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실외기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outdoor unit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ers installed on a plurality of floors of the building, providing a mounting table so as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outdoor unit It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outdoor unit is installed to face the building, the suction direction of the outdoo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outdoor unit to face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building.
또한, 상기 실외기의 상면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건물을 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do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ort is provided with a guide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toward the building.
또한, 상기 실외기와 상기 건물의 외벽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통풍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path is provided between the outdoor unit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건물의 외벽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대는 상기 오목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s formed with a rec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table is provided in the reces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0)을 구비하고, 하우징(20) 내부 공간은 수평으로 설치되는 격판(21)에 의해 하측의 기계실(22)과 상측의 열교환실(23)로 구획된다. 하우징(20)의 전면에는 실외 공기를 하우징(20)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24,25)가 마련된다. 흡입구(24,25)는 하우징(20) 전면 하부에 마련되어 흡입된 공기가 기계실(22)로 유입되게 하는 기계실 측 흡입구(25)와, 하우징(20) 전면 상부에 마련되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실(23)로 유입되게 하는 열교환실 측 흡입구(24)로 구분된다. 하우징(20) 상부에는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26)가 형성되며, 이 토출구(26)의 상부에는 토출구(26)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가이드(27)가 마련된다. As shown therein, the
기계실(22)에는 실내기(미도시)에서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28)와, 냉매가 상기 압축기(28)로 유입되기 전 액냉매를 걸러내기 위한 어큐뮬레이터(29)가 구비된다. 열교환실(23)에는 압축기(28)에서 압축된 냉매를 실외공기와 열교환시켜 액상으로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30)가 구비된다. 열교환실(23)의 상 부에는 실외공기를 하우징(20) 내부로 흡입하고 이를 다시 토출하기 위한 유동력을 발생시키는 송풍팬(31)이 구비된다. 또한 송풍팬(31)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32)는 하우징(20) 내측 상부를 횡단하도록 설치되는 모터고정브라켓(32a)을 통해 고정된다.The
격판(21)에는 다수의 통공(21a)이 형성되어 있어 기계실 측 흡입구(25)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압축기(28)를 냉각시킨 후 열교환실(23)을 거쳐 외부로 토출된다. A plurality of through
가이드(27)는 토출구(26)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토출구(26)를 덮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가이드(27)를 이용하여 흡입구(24,25)의 흡입방향과 반대측으로 토출방향을 형성하도록 가이드(27)의 개구부(27a)가 흡입구(24,25)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마련한다.The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구조는 단지 하나의 일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흡입방향과 토출방향이 반대로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실외기를 이용하여 본발명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The structure of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just one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by using various types of outdoor units in which suction and discharge directions are opposite to each other.
다음은 상기한 본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설치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도2의 측면도이며, 도5는 도2의 평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Figure 2, Figure 5 is a plan view of FIG.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상복합건물이나 상업용 건물에는 복수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0)가 각 층마다 동일위치에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건물(110)을 향해 불어오는 빌딩풍('C'방향의 바람)에 의하여 공기의 흡입과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이 원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건물(110)의 양측벽(111,112)에 비해 소정정도 함몰되어 형성되는 오목부(113)에 실외기(100)를 마련한다. 이러한 오목부(113)는 연직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되어, 오목부(113)에 설치되는 실외기(100)도 대략 수직방향을 이루게 설치된다.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건물(110)의 오목부(113)에는 양측벽(111,112)으로부터 연장되어 실외기(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설치대(114)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설치대(114)는 오목부(113)의 외벽(115)과 소정폭 이격되어 마련되어 설치대(114)와 오목부(113)의 외벽(115)사이에는 상하로 개방된 통공(116)이 형성되고, 각 층에 형성된 통공(116)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통되어 수직방향의 통풍로(117)를 형성하여 각 층의 설치대(114)에 설치된 실외기(100)에서 토출된 공기가 합류하여 상향이동 할 수 있도록 한다.The mounting table 114 is spaced apart from the
이러한 설치대(114)가 마련되는 건물(110)의 오목부(113)에는 실외기(100)가 설치되는데 실외기(100)의 흡입구(24,25)가 건물(110)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실외기(100)의 상부에 마련된 토출구(26)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이 건물을 향하도록 하기 위해 토출구(26)에 가이드(27)를 설치하여 토출방향을 조정한다.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설치구조에 따른 동작 및 그 작용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실내기(미도시)의 증발기(미도시)에서 기체상태로 증발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29)를 거쳐 액냉매가 분리된 후 압축기(28)로 흡입된다. 압축기(28)에서는 흡입된 냉매를 압축한 후 열교환실(23)에 마련된 응축기(30)로 보내어 다시 액체상태로 응축시키게 된다. The refrigerant evaporated in the gaseous state in the evaporator (not shown) of the indoor unit (not shown) is sucked into the
응축기(30)에서 냉매의 응축을 활발히 일어나게 하기 위하여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30)와 열교환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송풍팬(31)을 구동하면 응축기(30) 주변의 흡입구(24)를 통해 실외공기가 유입되어 응축기(30)와 열교환하고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구(26)를 통해 배출된다.In order to actively generate the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in the
이때, 실외기(100)의 흡입구(24,25)는 건물의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어, 건물측으로 불어오는 빌딩풍(C방향의 바람)의 영향에 의해 원할한 공기의 흡입이 가능해진다. 또한 건물의 외부에서 건물의 상부는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고, 건물의 하부는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아 압력차가 생기고 이러한 압력차로 인한 굴뚝효과에 의해 건물 외부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켜 실외기(100)에서 토출되는 고온의 공기가 통풍로(117)를 통해 상향으로 유출된다. 따라서, 토출구(26)에서 토출된 고온의 공기가 다시 빌딩풍에 의해 열교환실측 흡입구(2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하부의 실외기의 토출구(26)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부의 실외기의 흡입구(24,25)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기의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상복합건물, 상업용 건물에 실외기를 설치함에 있어, 실외기를 건물의 외벽과 소정폭 이격시켜 설치하고, 실외기의 토출방향을 건물방향으로 하고, 흡입방향을 토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하며, 실외기와 건물의 외벽사이에 상하방향으로 통풍로를 마련하여 토출공기가 다시 흡 입구로 유입되는 재순환현상을 방지하여 공기조화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 installing the outdoor unit in the columnar composite building and commercial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door unit is install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outdoor unit is the building direction, and the suction direction is dischar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ventilation path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outdoor unit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prevent the recirculation of the discharged air into the inlet,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er.
또한, 실외기의 흡입방향과 토출방향이 빌딩풍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실외기의 흡입, 토출공기의 풍속을 향상시켜 실외기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direction and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outdoor unit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the building win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of the outdoor unit by improving the wind speed of the outdoor unit suction, discharge air.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9686A KR100652805B1 (en) | 2005-10-21 | 2005-10-21 | Installation structure of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9686A KR100652805B1 (en) | 2005-10-21 | 2005-10-21 | Installation structure of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52805B1 true KR100652805B1 (en) | 2006-12-01 |
Family
ID=3773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99686A KR100652805B1 (en) | 2005-10-21 | 2005-10-21 | Installation structure of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52805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2884B1 (en) | 2014-09-02 | 2015-09-16 | (주)대우건설 | Air Conditioning Outdoor Unit Room with double layer structure for 2 housing's simultaneous use |
CN108800385A (en) * | 2018-06-28 | 2018-11-13 | 董帅 | Air-conditioning temperature-reducing system based on building body structure |
CN109185997A (en) * | 2018-09-19 | 2019-01-11 | 中铁建设集团有限公司 | Installation system in a kind of skyscraper multi-connected machine outdoor unit chambers |
-
2005
- 2005-10-21 KR KR1020050099686A patent/KR10065280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2884B1 (en) | 2014-09-02 | 2015-09-16 | (주)대우건설 | Air Conditioning Outdoor Unit Room with double layer structure for 2 housing's simultaneous use |
CN108800385A (en) * | 2018-06-28 | 2018-11-13 | 董帅 | Air-conditioning temperature-reducing system based on building body structure |
CN108800385B (en) * | 2018-06-28 | 2020-08-18 | 东阳市天杨建筑工程设计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cooling system based on building body structure |
CN109185997A (en) * | 2018-09-19 | 2019-01-11 | 中铁建设集团有限公司 | Installation system in a kind of skyscraper multi-connected machine outdoor unit chamber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3068542A3 (en) | Built-in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 |
CN104748258A (en) | Blower apparatus an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
KR100605205B1 (en) | Built-in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 |
US20090113915A1 (en) | Air conditioner | |
KR20130040550A (en)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US7191616B2 (en) | Front suction/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and outdoor unit installation system using it | |
JP5807668B2 (en) | Air conditioner | |
KR100652805B1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CN102135316A (en) | Zenithal type air-conditioning indoor machine shell with multiple air outlets | |
KR100829191B1 (en) |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0608128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573067B1 (en) | Wall-mounted outdoor unit for split type air conditioner and outdoor unit for split type air conditioner | |
KR100602693B1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437055B1 (en) | Air guide of air conditioner | |
KR100707468B1 (en) | Corner type air conditioner | |
KR100500988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272518Y1 (en) | Blower fixed structure of in door unit for an aricondition | |
EP3059507B1 (en) | Outdoor unit | |
KR100696420B1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982857B1 (en) | Front suction and 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 |
KR20040015880A (en) | The cabinet's structure of an air-conditioner | |
KR20100091136A (en) | Front suction and 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 |
KR20030036581A (en) | Front suction and 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 |
KR200334459Y1 (en) | Fender plate for Air-conditioner filled in ceiling | |
KR200356783Y1 (en) | A window type room air-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