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22048B1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048B1
KR102522048B1 KR1020180025972A KR20180025972A KR102522048B1 KR 102522048 B1 KR102522048 B1 KR 102522048B1 KR 1020180025972 A KR1020180025972 A KR 1020180025972A KR 20180025972 A KR20180025972 A KR 20180025972A KR 102522048 B1 KR102522048 B1 KR 102522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axial direction
ceiling type
radius
type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9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5430A (en
Inventor
황본창
서범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5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048B1/en
Publication of KR20190105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4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04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에는, 제어유닛으로 인한 공기의 유동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송풍팬으로 안내하는 공기유동통로가 형성된 오리피스가 포함되고, 상기 공기유동통로에는, 상기 흡입구와 인접한 상기 공기유동통로의 일 단을 형성하는 입구단, 상기 송풍팬과 인접한 상기 공기유동통로의 타 단을 형성하는 출구단 및 상기 입구단과 상기 출구단을 연결하는 유로가이드부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입구단에는, 제 1 반경을 갖는 제 1 곡면부 및 상기 제 1 곡면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가변부가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orifice formed with an air flow passage for guiding air introduced into an air flow inlet by a control unit to a blowing fan, and the air flow passage is adjacent to the inlet. An inlet end forming one end of the air flow passage, an outlet end forming the other end of the air flow passage adjacent to the blowing fan, and a flow guide part connecting the inlet end and the outlet end are included. At this time, the inlet end includes a first curved portion having a first radius and a variabl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curved portions and having a smaller radius than the first radius.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공기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maintaining the air in a predetermined space in the most suitable condition according to the use and purpose. In general,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and a refrigeration cycle that performs compression, condensation, expansion, and evaporation of refrigerant is driven to cool or heat the predetermined space. .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공기조화기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 공간일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propo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a place where the air conditioner is used. For exampl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disposed in a home or office, 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an indoor space of the house or building.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air conditioner performs a cooling operation, the outdoor heat exchanger included in the outdoor unit functions as a condenser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included in the indoor unit functions as an evaporator. 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onditioner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the indoor heat exchanger functions as a condenser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functions as an evaporator.

상기 공기조화기는 설치위치에 따라, 직립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직립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에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이며, 상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는 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로서 이해된다. The air conditioner may be classified into an upright type, a wall-mounted type, or a ceiling type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location. The upright type air conditioner is a type of air conditioner installed to stand in an indoor space, and the wall-mounted type air conditioner is understood to be a type of air conditioner installed to be attached to a wall surface.

그리고,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로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에는, 천장의 내부에 매립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하측에 결합되며 흡입구 및 토출구를 형성하는 패널이 포함된다.And,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s understood as a type of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the ceiling. For example,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asing embedded in the ceiling and a panel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casing and form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이와 같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다음과 같은 선행문헌을 출원하여 공개한 바 있다.In relation to such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the present applicant has filed and published the following prior literature.

<선행문헌 1><Prior Document 1>

1. 공개번호 : 제10-2017-0143318호(공개일자 : 2017년 12월 29일)1. Publication number: 10-2017-0143318 (publication date: December 29, 2017)

2. 발명의 명칭 : 천장형 공기조화기2. Title of Inventio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또한, 선행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에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으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오리피스 등 다양한 장치들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각종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이 설치된다.In addition, as disclosed in Prior Document 1, various devices such as a blowing fan for forming air flow and an orifice for guiding air flow with the blowing fan are installed in the casing. In addi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various configurations is installed inside the casing.

이때, 상기 제어유닛은 그 형상 및 구성으로 상기 케이싱의 일 측에 설치되고, 공기의 유동에 방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유닛으로 인해 간섭이 발생되고, 와류 및 소음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이 설치된 부분의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전체적인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ing in its shape and configuratio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low of air is obstructed. In detail,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terference occurs due to the control unit, and turbulence and noise increase.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efficiency was lowered because the flow of air in the part where the control unit was installed was not smooth.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는 상기 제어유닛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cluding an orific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ntrol unit.

또한, 본 실시 예는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팬으로 안내하는 공기유동통로가 형성된 오리피스를 갖고, 상기 공기유동통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어유닛과 대응되는 직선으로 연장된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having an orifice formed with an air flow passage for guiding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to the blowing fan, and at least a part of the air flow passage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unit. intended to provide

또한, 상기 오리피스의 형상을 통해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여, 소음이 개선된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with improved noise by smoothing the flow of air through the shape of the orifice.

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에는, 제어유닛으로 인한 공기의 유동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송풍팬으로 안내하는 공기유동통로가 형성된 오리피스가 포함되고, 상기 공기유동통로에는, 상기 흡입구와 인접한 상기 공기유동통로의 일 단을 형성하는 입구단, 상기 송풍팬과 인접한 상기 공기유동통로의 타 단을 형성하는 출구단 및 상기 입구단과 상기 출구단을 연결하는 유로가이드부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입구단에는, 제 1 반경을 갖는 제 1 곡면부 및 상기 제 1 곡면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가변부가 포함된다.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orifice formed with an air flow passage for guiding air introduced into an air flow inlet by a control unit to a blowing fan, and the air flow passage is adjacent to the inlet. An inlet end forming one end of the air flow passage, an outlet end forming the other end of the air flow passage adjacent to the blowing fan, and a flow guide part connecting the inlet end and the outlet end are included. At this time, the inlet end includes a first curved portion having a first radius and a variabl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curved portions and having a smaller radius than the first radius.

또한, 상기 출구단은 제 2 반경을 갖는 제 2 곡면부로 형성된다. 즉, 상기 출구단은 완전한 원형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구단은 일부가 원형이 아닌 형상으로 마련된다.In addition, the outlet end is formed of a second curved portion having a second radius. That is, the outlet end is formed in a perfectly circular shape, and a portion of the inlet end is provided in a non-circular shape.

이때, 상기 가변부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제어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제어유닛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At this time, a control unit is disposed outside the variable part in a radial direction, and the variable part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오리피스의 형상을 통해 패널의 흡입구에서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어 송풍팬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low of air flowing from the inlet of the panel to the inside of the casing and flowing to the blowing fan is smoothly performed through the shape of the orifice.

그에 따라,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되는 유동의 간섭을 줄이고, 와류 및 소음이 저감되어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terference of the flow sucked into the casing is reduced, and the vortex and noise are reduced to increase efficiency.

또한, 상기 오리피스의 일 측에 배치된 제어유닛과 대응되는 상기 오리피스의 일부 형상만을 상기 제어유닛과 대응되도록 변경하여,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separate device is not required by changing only a part of the shape of the orific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rifice to correspond to the control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싱과 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오리피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
3 is a view showing a casing and a panel of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4 is a diagram showing a casing of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orifice of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an orifice of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another element between the ele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cut along line II-II′ of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0, 이하 공기조화기라 칭함)에는, 케이싱(50) 및 패널(20)이 포함된다. 상기 케이싱(50)은 상기 천장의 내부공간에 매립된다.1 and 2 ,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50 and a panel 20. The casing 50 is buri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eiling.

이때, 상기 패널(20)은 대략 천장의 높이에 위치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형태가 상기 천장에 노출된 공기조화기(10)로 이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nel 20 may be positioned at approximately the height of the ceiling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e form shown in FIG. 1 can be understood as the air conditioner 10 exposed to the ceiling.

또한, 상기 케이싱(50)의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실내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위하여 구동하는 송풍팬(60)가 포함된다. 상기 송풍팬(60)에는 팬 모터(65)의 모터 축(66)이 결합되고, 상기 팬 모터(65)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송풍팬(60)은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송풍팬(60)에는, 원심팬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 number of parts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ing 50 .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nclude a blowing fan 60 driven to suck in and discharge indoor air. A motor shaft 66 of a fan motor 65 is coupled to the blowing fan 60 , and the blowing fan 60 can be rotated by driving the fan motor 65 . For example, the blowing fan 60 may include a centrifugal fan.

도 2를 기준으로, 상하방향, 즉 팬 모터(65)의 모터 축(66)이 상기 송풍팬(60)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을 "축 방향"이라 이름하고, 상기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반경방향이라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축(66)을 축 방향 중심(c)이라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tor shaft 66 of the fan motor 65 extends toward the blowing fan 60 is called an “axi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is called It can be called radial direction. Also, the motor shaft 66 may be referred to as an axial center c.

또한,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상기 송풍팬(60)을 향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80)가 포함된다. 상기 오리피스(80)는 상기 송풍팬(60)의 흡입측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싱(50)으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팬(60) 측으로 안내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arts include an orifice 80 for guiding air sucked toward the blowing fan 60 . The orifice 80 is disposed on the suction side of the blowing fan 60 and guides the air sucked into the casing 50 to the blowing fan 60 side.

또한,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상기 케이싱(5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70)가 포함된다. 상기 열교환기(70)는, 상기 케이싱(50)의 내면을 따라 다수 회 절곡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송풍팬(60) 및 상기 오리피스(80)를 반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arts include a heat exchanger 70 that exchanges heat with air sucked into the casing 50 . The heat exchanger 70 may be arranged to be bent multiple tim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asing 50 and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blowing fan 60 and the orifice 80 from outside in a radial direction.

또한,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유닛(90)이 포함된다.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송풍팬(60)을 구동시키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열교환기(70)와 상기 오리피스(8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arts include a control unit 90 that controls various parts. The control unit 90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driving the blowing fan 60 . Also, the control unit 9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eat exchanger 70 and the orifice 80 .

또한,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상기 열교환기(70)의 하부에 배치되는 드레인 팬(40)이 포함된다. 상기 드레인 팬(40)은 열교환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팬(40)에 상기 오리피스(80) 및 상기 제어유닛(90)이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nclude a drain pan 40 disposed under the heat exchanger 70 . The drain pan 40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 process. In addition, the orifice 80 and the control unit 90 may be fixedly installed to the drain pan 40 .

상기 패널(20)은 상기 케이싱(50)의 하측에 결합되며, 하방에서 바라볼 때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20)은 상기 케이싱(50)의 하단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둘레부가 상기 천장의 하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anel 2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asing 50 and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below. In addition, the panel 20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more than the lower end of the casing 50 so that a circumferential portion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ceiling.

상기 패널(20)에는, 패널 본체(21) 및 상기 케이싱(50)의 내부공간을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22)가 포함된다. 상기 토출구(22)는 상기 패널 본체(21)의 적어도 일부분이 천공하여 형성되며, 상기 패널 본체(21)의 4개의 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22)는 상기 패널(20)의 각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20)에 장착되는 토출베인(25)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anel 20 includes a discharge port 22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panel body 21 and the casing 50 is discharged. The outlet 22 is formed by punch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anel body 21 and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four sides of the panel body 21 . Also, the discharge port 22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side of the panel 20 and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discharge vane 25 mounted on the panel 20 .

상기 패널(20)의 중앙부에는 흡입 그릴(30)이 장착된다. 상기 흡입 그릴(30)은 상기 공기조화기(1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며, 대략 4각형 프레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 그릴(30)에는, 격자형을 이루며 흡입구(34)를 가지는 그릴 본체(32)가 포함된다. A suction grill 30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panel 20 . The suction grill 30 forms a lower exterior of the air conditioner 10 and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shape. The suction grill 30 includes a grill body 32 having a grid shape and having a suction port 34 .

상기 토출구(22)는 상기 흡입 그릴(30)의 외측 4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토출구(22)는 상기 흡입구(34)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하좌우 방향으로 모두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흡입구(34) 및 토출구(22)의 배치에 의하여, 실내공간의 공기는 상기 패널(20)의 중앙부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50)의 내부로 흡입되어 조화되고, 상기 조화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22)를 통하여 상기 패널(20)의 외측 4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The outlet 22 may be disposed in four outer directions of the suction grill 30 . In detail, the discharge port 22 is disposed outside the suction port 34, and may be provided with four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inlet 34 and the outlet 22, the air in the indoor space is sucked into the casing 50 through the center of the panel 20 and conditioned, and the conditioned air is supplied to the outlet. Through (22) it can be discharged in four directions outside the panel (20).

상기 공기 조화기(10)에서의 공기 유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팬모터(65)가 구동하여 상기 송풍팬(60)에 회전력이 발생하면, 실내공간의 공기는 상기 흡입구(34)를 통하여 흡입된다. 상기 흡입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80)를 통과하여 상기 송풍팬(60)으로 유동하며, 상기 송풍팬(60)을 거치면서 유동방향이 변화된다.Air flow in the air conditioner 10 will be briefly described. When the fan motor 65 is driven and rotational force is generated in the blowing fan 60 , air in the indoor space is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34 . The sucked air passes through the orifice 80 and flows to the blowing fan 60, and the flow direction is chan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blowing fan 60.

그리고, 상기 송풍팬(60)을 통과하여 반경반경 외측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7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 된다. 상기 열교환 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2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flowing outside the radial radius through the blowing fan 60 is heat-exchan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70 . The heat-exchanged ai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2 .

즉, 공기는 상기 패널(20)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기 흡입구(34)을 통하여 축방향 상방으로 흡입되며, 상기 케이싱(50)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34)의 반경방향 외측 방향으로 유동하며, 상기 토출구(34)를 통하여 축방향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That is, air is sucked upward in the axial direction through the inlet 34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anel 20, and flows radially outward from the inlet 34 inside the casing 50, It may be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discharge port 34 in the axial direc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싱과 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상기 송풍팬(60) 등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고, 설치구조 및 결합구조 등을 생략하였다.3 is a view showing a casing and a panel of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In FIG. 3,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blowing fan 60 and the like is briefly shown,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and coupling structure are omit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20)은 상기 케이싱(5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널(20)을 상기 케이싱(50)에서 분리하여, 상기 케이싱(50)의 내부에 배치된 구성 및 상기 패널(20)을 점검 및 교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panel 2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asing 50 . For example, by separating the panel 20 from the casing 50, components disposed inside the casing 50 and the panel 20 may be inspected and replaced.

상기 드레인 팬(40)은 상기 패널(20)의 토출 측과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팬(40)에는 상기 토출구(22)로 유동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토출공기유동통로(4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공기유동통로(42)는 상기 토출구(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drain pan 40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discharge side of the panel 20 . In addition, a discharge air flow passage 42 through which the air flowing into the discharge port 22 passes is formed in the drain pan 40 . The discharge air flow passage 4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ort 22 .

이때, 상기 드레인 팬(40)은 상기 패널(20) 및 상기 케이싱(50)과 같이 대칭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송풍팬(60)을 중심으로 대략 사각 형상으로 마련된다.At this time, the drain pan 40 is provid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like the panel 20 and the casing 50 . In detail, it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with the blowing fan 60 as the center.

상기 오리피스(80)는 상기 패널(20)의 흡입 측과 대응되도록, 상기 드레인 팬(40)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80)에는 상기 흡입구(34)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팬(65)으로 안내하는 흡입공기유동통로(10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공기유동통로(100)는 상기 흡입구(3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orifice 80 is disposed inside the drain pan 40 in the radi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suction side of the panel 20 . In addition, a suction air flow passage 100 is formed in the orifice 80 to guid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34 to the blowing fan 65 . The intake air flow passage 10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take port 34 .

이때, 상기 오리피스(80)의 일 측에 상기 제어유닛(90)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제어유닛(90)의 형상제한으로 일반적인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배치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오리피스(80)는 상기 드레인 팬(40), 상기 패널(20) 및 상기 케이싱(50)와 다르게 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될 수 없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9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rifice 80. This structure corresponds to the arrangement of a general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due to the shape limitation of the control unit 90. Accordingly, the orifice 80 cannot be form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unlike the drain pan 40 , the panel 20 , and the casing 50 .

더하여, 종래의 천정형 공기조화기에서는 상기 제어유닛(90)이 상기 흡입공기유동통로(100)의 일부를 가로막게 배치되었다. 즉, 상기 흡입공기유동통로(100)로 유동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어유닛(90)에 의해 유동간섭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와류가 형성되고, 소음이 증대되며 효율이 저감되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eiling-type air conditioner, the control unit 90 is disposed to block a portion of the intake air flow passage 100. That is, a part of the air flowing into the intake air flow passage 100 is interfered with flow by the control unit 90 . Thus, vortices were formed, noise increased and efficiency was reduced.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흡입공기유동통로(100)의 일부가 비대칭형상을 갖는다. 이하, 상기 흡입공기유동통로를 공기유동통로(100)라 한다. 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intake air flow passage 100 has an asymmetrical shape. Hereinafter, the intake air flow passage is referred to as an air flow passage (1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상기 패널(20)이 분리 또는 생략된 천정형 공기조화기(10)를 도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4 is a diagram showing a casing of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FIG. 4 shows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10 in which the panel 20 is separated or omitted in FIG. 1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 축(66)을 축 방향 중심(c)이라 한다. 또한, 도 4를 기준으로 종이로 수직하게 들어가는 방향을 축 방향 상방이라 하고, 종이에서 수직하게 나오는 방향을 축 방향 하방이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otor shaft 66 is referred to as the axial center c.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is referred to as an axial upward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is referred to as an axial downward direction.

또한, 상기 축 방향 중심(c)에서 종이면을 따라 멀어지는 방향을 반경방향 외측이라 하고, 상기 축 방향 중심(c)으로 종이면을 따라 가까워지는 방향을 반경방향 내측이라 한다.In addition, a direction away from the axial center c along the paper surface is referred to as a radial outer side, and a direction closer to the axial center c along the paper surface is referred to as a radial inner side.

이때,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10)로 흡입되는 공기는 전체적으로 축 방향 상방으로 유동되고, 토출되는 공기는 전체적으로 축 방향 하방으로 유동된다. 즉, 상기 공기유동통로(100)로 공기가 유동되는 방향은 축 방향 상방에 해당된다.At this time, the air sucked into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10 flows upward in the axial direction as a whole, and the air discharged as a whole flows downward in the axial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air flows through the air flow passage 100 corresponds to the axial direction upward.

상기 공기유동통로(100)에는, 상기 흡입구(34)와 인접한 상기 공기유동통로(100)의 일 단을 형성하는 입구단(110), 상기 송풍팬(65)과 인접한 상기 공기유동통로(100)의 타 단을 형성하는 출구단(120)이 포함된다. 즉, 상기 입구단(110)과 상기 출구단(120)는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출구단(120)은 상기 입구단(110)보다 축방향 상방에 위치된다.In the air flow passage 100, an inlet end 110 forming one end of the air flow passage 100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34, and the air flow passage 100 adjacent to the blowing fan 65 An outlet end 120 forming the other end of is included. That is, the inlet end 110 and the outlet end 120 are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utlet end 120 is located above the inlet end 110 in the axial direction.

또한, 상기 공기유동통로(100)에는 상기 입구단(110)과 상기 출구단(120)을 연결하는 유로가이드부(160)가 포함된다. 즉, 상기 유로가이드부(160)는 축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입구단(110)과 상기 출구단(120)을 연결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air flow passage 100 includes a flow guide part 160 connecting the inlet end 110 and the outlet end 120. That is, the flow guide part 160 is formed to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to connect the inlet end 110 and the outlet end 120 spaced apart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입구단(110)에는, 제 1 반경(R1)을 갖는 제 1 곡면부(112) 및 상기 제 1 반경(R1)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가변부(114)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제 1 반경(R1)은 상기 중심(c)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에 해당된다.The inlet end 110 includes a first curved portion 112 having a first radius R1 and a variable portion 114 having a smaller radius than the first radius R1. In this case, the first radius R1 corresponds to a length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based on the center c.

또한, 상기 입구단(110)은 상기 제 1 곡면부(112)와 상기 가변부(114)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변부(114)는 상기 제 1 곡면부(112)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곡면부(112)는 제 1 반경(R1)으로 연장된 호(arc) 형상으로 이해되고, 상기 가변부(114)는 상기 호의 양 단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et end 110 is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curved portion 112 and the variable portion 114 . In addition,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variable portion 114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urved portion 112 . In addition, the first curved portion 112 may be understood as an arc shape extending to the first radius R1, and the variable portion 114 may be understood as a portion connecting both ends of the arc.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부(114)는 상기 제 1 곡면부(112)의 양 단을 연결하는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가변부(114)는 상기 제 1 반경(R1)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점들의 집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소정의 곡률을 갖는 호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variable portion 114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connecting both ends of the first curved portion 112 . This is an example, and the variable portion 114 may be understood as a set of points having a smaller radius than the first radius R1. That is, it may be provided in an ar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이때, 상기 제 1 곡면부(112)는 상기 제 1 반경(R1)으로 270도 이상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면부(112)가 형성하는 호의 중심각(360-x)은 270도 이상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 1 곡면부(112)의 양 단과 상기 중심(c)을 연결한 선이 이루는 각도(x)는 90도 미만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urved portion 112 may extend more than 270 degrees in the first radius R1. That is, the central angle 360-x of the arc formed by the first curved portion 112 may be 270 degrees or more. Accordingly, an angle x formed by a line connecting both ends of the first curved portion 112 and the center c may be less than 90 degrees.

다르게 말하면, 상기 제 1 곡면부(112)는 상기 가변부(114)의 3배 이상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호의 길이는 반경과 중심각을 곱한 값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곡면부(112)의 반경이 상기 가변부(114)보다 크며 중심각이 3배 이상이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the first curved portion 112 may be provided with a length three or more times that of the variable portion 114 . This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arc can be calculated as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radius and the central angle, and the radius of the first curved portion 112 is greater than that of the variable portion 114 and the central angle is three times or more.

이와 같은 형상은 상기 공기유동통로(100)의 일 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어유닛(9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가변부(114)는 상기 제어유닛(90)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형성된 부분이다. 그에 따라, 상기 가변부(114)는 상기 제어유닛(90)의 일 면(90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Such a shape is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control unit 9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ir flow passage 100 . That is, the variable part 114 is formed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control unit 90 . Accordingly, the variable portion 114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90a of the control unit 9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드레인 팬(40) 및 상기 케이싱(50)이 형상한 4면 중 일 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가변부(114)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하, 상기 가변부(114)와 인접한 상기 제어유닛(90)의 일 면을 접촉면(90a)이라 한다.As shown in FIG. 4 , the control unit 90 is disposed adjacent to one of the four surfaces formed by the drain pan 40 and the casing 50 . In detail, the control unit 90 is disposed outside the variable portion 114 in the radial direction. Hereinafter, one surface of the control unit 90 adjacent to the variable unit 114 is referred to as a contact surface 90a.

도 4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상기 접촉면(90a)과 상기 가변부(114)를 완전히 겹쳐지는 하나의 선으로 도시하였으나, 소정의 이격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접촉면(90a) 및 상기 가변부(114)를 완전한 직선으로 도시하였으나, 소정의 곡률을 갖는 선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FIG. 4,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the contact surface 90a and the variable portion 114 are shown as a line that completely overlaps, bu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although the contact surface 90a and the variable portion 114 are shown as perfect straight lines, they may be provided as lines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이때, 상기 출구단(120)은 제 2 반경(R2)을 갖는 제 2 곡면부(122)로 형성된다. 즉, 상기 출구단(120)은 상기 중심(c)에서 상기 제 2 반경(R2)으로 형성된 원에 해당된다. 도 4에서는 상기 제 2 곡면부(122)의 일 측과 상기 가변부(114)가 접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수치에 해당된다.At this time, the outlet end 120 is formed of a second curved portion 122 having a second radius R2. That is, the outlet end 120 corresponds to a circle formed from the center c to the second radius R2. In FIG. 4 , one side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122 and the variable portion 114 are shown in contact, but this corresponds to exemplary values.

또한, 상기 제 1 반경(R1)은 상기 제 2 반경(R2)보다 크게 마련된다. 이는 상기 공기유동통로(100)를 통과하는 공기를 모아주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first radius R1 is provided larger than the second radius R2. This is to collec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passage 100.

정리하자면, 상기 공기유동통로(100)의 일 단인 상기 입구단(110)은 일 측이 내측으로 찌그러진 원형으로 마련되고, 타 단인 상기 출구단(120)은 완전한 원형으로 마련된다. 이하, 상기 입구단(120) 및 상기 출구단(130)을 연결하는 상기 유로가이드부(160)의 형상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In summary, the inlet end 110, which is one end of the air flow passage 100,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with one side bent inward, and the outlet end 120, which is the other end, is provided in a perfectly circular shape. Hereinafter, the shape of the flow guide part 160 connecting the inlet end 120 and the outlet end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오리피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orifice of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shows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an orifice of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가이드부(160)에는 상기 제 1 곡면부(112)와 상기 제 2 곡면부(122)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140)와 상기 가변부(114)와 상기 제 2 곡면부(122)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150)가 포함된다.As shown in FIG. 5 , the flow guide part 16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140 connecting the first curved part 112 and the second curved part 122 and the variable part 114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50 connecting the second curved part 122 is included.

또한, 상기 입구단(110)은 상기 제 1 연결부(140) 및 상기 제 2 연결부(150)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상 점선으로 상기 제 1 연결부(140) 및 상기 제 2 연결부(150)를 구분하였다. 또한, 기재의 편의상 앞서 설명한 상기 가변부(114)보다 상기 제 2 연결부(150)를 넓게 표시하였다.In addition, the inlet end 110 is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14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0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connection part 14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0 are distinguished by a dotted line.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50 is displayed wider than the previously described variable portion 114 .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연결부(140) 및 상기 제 2 연결부(150)를 축방향으로 3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 the first connection part 14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0 may be divided into three parts in the axial direction.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연결부(140)에는, 상기 제 1 곡면부(112)에서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하단부(142), 상기 제 1 하단부(142)에서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중단부(144) 및 상기 제 1 중단부(144)에서 상기 제 2 곡면부(122)로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상단부(146)가 포함된다.In detail,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0 includes a first lower end portion 142 extending forwardly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first curved portion 112, and a first extending forwardly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first lower end portion 142. An intermediate portion 144 and a first upper portion 146 extending axially forward from the first intermediate portion 144 to the second curved portion 122 are included.

또한, 상기 제 2 연결부(150)에는, 상기 가변부(114)에서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하단부(152), 상기 제 2 하단부(152)에서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중단부(154) 및 상기 제 2 중단부(154)에서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상단부(156)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50 includes a second lower portion 152 extending forwar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variable portion 114 and a second stop portion extending forwar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second lower portion 152 ( 154) and a second upper end portion 156 extending axially forward from the second stop portion 154.

이때, 상기 제 1, 2 연결부(140, 150)의 제 1, 2 하단부(142, 152), 제 1, 2 중단부(144, 154) 및 상기 제 1, 2 상단부(146, 156)를 구분하는 기준은 반경방향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즉, 대응되는 각 부분의 축방향 수직거리는 동일하다.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lower ends 142 and 152, the first and second middle parts 144 and 154, and the first and second upper ends 146 and 156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140 and 150 are divided. The criterion to be located is located on the radial collinear. That is, the vertical distance in the axial direction of each corresponding part is the same.

이때, 상기 제 2 하단부(152) 및 상기 제 2 중단부(154)는 상기 제어유닛(90)의 접촉면(90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으로 형성된 상기 접촉면(90a)과 대응되어 상기 제 2 하단부(152) 및 상기 제 2 중단부(154)는 축방향 전방으로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lower part 152 and the second stop part 154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urface 90a of the control unit 90 . For example, the second lower portion 152 and the second intermediate portion 154 may extend in a straight line forward in the axial direc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tact surface 90a formed in a plane.

즉, 상기 제 2 하단부(152) 및 상기 제 2 중단부(154)의 반경방향 외측에 상기 제어유닛(90)이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상단부(156)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상기 제어유닛(90)이 배치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유닛(90)은 상기 제 2 상단부(156)보다 축방향 하방에 위치된다.That i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ntrol unit 90 is disposed outside the second lower portion 152 and the second stop portion 154 in the radial direction. In addi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ntrol unit 90 is not disposed outside the second upper end 156 in the radial direction. That is, the control unit 90 is located below the second upper end portion 156 in the axi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 1 하단부(142)는 상기 제 2 하단부(152)보다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곡면부(112)는 상기 가변부(114)보다 더 큰 반경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first lower end 142 is bent more radially inward than the second lower end 152 and extends forward in the axi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the first curved portion 112 has a larger radius than the variable portion 114 .

또한, 상기 제 1 상단부(146) 및 상기 제 2 상단부(156)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져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된다. 이는 출구단에서 반경이 증대되는 오리피스의 일반적인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 2 연결부(150)는 상기 출구단에서 가장 큰 반경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upper end portion 146 and the second upper end portion 156 are bent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o extend forward in the axial direction.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general shape of an orifice whose radius increases at the exit end. Accordingly,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50 may be provided to have the largest radius at the outlet end.

정리하자면, 상기 제 1 연결부(140)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지고 다시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연결부(150)는 직선으로 연장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구비된다.In summary,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0 is provided in a shape bent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n bent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gai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50 is provided in a shape extended in a straight line and bent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그에 따라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 1 연결부(140)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A)는 반경방향 내측방향으로 유입되어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부(150)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B)는 직선으로 유입되어 반경방향 외측방향으로 토출된다.Accordingly, referring to FIG. 6 , the air A flowing alo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0 is introduced in a radially inward direction and discharged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In addition, the air (B) flowing along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50 is introduced in a straight line and discharged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제어유닛(90)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공기가 상기 제 1, 2 연결부(140, 150)를 따라 원활하게 유동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유닛(90)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방해받지 않으며,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Through this structure, it can be seen that air smoothly flows alo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140 and 150 despite the presence of the control unit 90 . That is, the flow of air is not hindered by the control unit 90 and no interference occurs. As a result, noise can be reduced.

10 : 천장형 공기조화기 20 : 패널
50 : 케이싱 80 : 오리피스
90 : 제어유닛 100 : 공기유동통로
110 : 입구단 112 : 제 1 곡면부
114 : 가변부 120 : 출구단
122 : 제 2 곡면부 160 : 유로가이드부
10: ceiling air conditioner 20: panel
50: casing 80: orifice
90: control unit 100: air flow passage
110: inlet end 112: first curved portion
114: variable part 120: exit end
122: second curved part 160: flow guide part

Claims (15)

송풍팬이 설치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하측에 결합되고, 토출구 및 흡입구가 형성되는 패널; 및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팬으로 안내하는 공기유동통로가 형성된 오리피스;가 포함되고,
상기 공기유동통로에는,
상기 흡입구와 인접한 상기 공기유동통로의 일 단을 형성하는 입구단;
상기 송풍팬과 인접한 상기 공기유동통로의 타 단을 형성하며 원형으로 이루어진 출구단; 및
상기 입구단과 상기 출구단을 연결하는 유로가이드부;가 포함되고,
상기 입구단에는,
제 1 반경을 갖는 제 1 곡면부; 및
상기 제 1 곡면부의 사이에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가변부;가 포함되고,
상기 가변부는,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로가이드부와 마주하는 면이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어유닛에 대해, 상기 공기유동통로의 상기 입구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유닛과 간섭되지 않도록 이격 배치되며, 절개된 양단이 상기 제어유닛의 일면과 대응하는 직선으로 연결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A casing in which a blowing fan is installed;
a panel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casing and having a discharge port and a suction port; and
An orifice formed with an air flow passage for guid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to the blowing fan;
In the air flow passage,
an inlet end forming one end of the air flow passage adjacent to the inlet;
an outlet end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forming the other end of the air flow passage adjacent to the blowing fan; and
A flow guide unit connecting the inlet end and the outlet end; is included,
At the inlet end,
a first curved portion having a first radius; and
A variable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curved portions in a partially incised form and having a radius smaller than the first radius;
The variable part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is formed at the inlet end of the air flow passage with respect to the control unit having a straight surface facing the flow path guide part, and is spaced apar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ntrol unit,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both ends of the incision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단은 제 2 반경을 갖는 제 2 곡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end is formed of a second curved portion having a second radiu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부에는,
상기 제 1 곡면부와 상기 제 2 곡면부를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가변부와 상기 제 2 곡면부를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2 연결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2,
In the flow guide part,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in an axial direction; and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variable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in an axial direc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에는,
상기 제 1 곡면부에서 축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하단부;
상기 제 1 하단부에서 축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중단부; 및
상기 제 1 중단부에서 상기 제 2 곡면부로 축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상단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3,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a first lower end extending upward in an axial direction from the first curved surface;
a first stop portion extending upward in an axial direction from the first lower portion; and
and a first upper end portion extending upward in an axial direction from the first stop portion to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에는,
상기 가변부에서 축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하단부;
상기 제 2 하단부에서 축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중단부; 및
상기 제 2 중단부에서 상기 제 2 곡면부로 축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상단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4,
In the second connection part,
a second lower end extending upward in an axial direction from the variable part;
a second stop portion extending upward in an axial direction from the second lower portion; and
and a second upper end portion extending upward in an axial direction from the second stop portion to the second curved surface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단부 및 상기 제 2 중단부는 축방향 상방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5,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lower end and the second middle part extends in a straight line upward in an axial dire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단부는 상기 제 2 하단부보다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축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5,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ower end is bent radially inward than the second lower end and extends upward in the axial dire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단부 및 상기 제 2 상단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져 축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5,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upper end and the second upper end are bent outward in a radial direction and extend upward in an axial dire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 2 연결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5,
The control unit is disposed outsid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n a radial direc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단부 및 상기 제 2 중단부는 상기 제 2 연결부와 인접한 상기 제어유닛의 일 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9,
The second lower part and the second middle part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in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control unit adjacent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경은 상기 제 2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radius is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greater than the second radiu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오리피스를 반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오리피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어유닛;이 더 포함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2,
a heat exchanger disposed to surround the blowing fan and the orifice from outside in a radial direction; and
A ceiling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disposed between the heat exchanger and the orif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면부는 상기 제 1 반경으로 270도 이상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urved portion extends 270 degrees or more in the first radius.
KR1020180025972A 2018-03-05 2018-03-05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tive KR1025220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972A KR102522048B1 (en) 2018-03-05 2018-03-05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972A KR102522048B1 (en) 2018-03-05 2018-03-05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430A KR20190105430A (en) 2019-09-17
KR102522048B1 true KR102522048B1 (en) 2023-04-14

Family

ID=6807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972A Active KR102522048B1 (en) 2018-03-05 2018-03-05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0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9463B (en) * 2020-05-29 2022-01-07 佛山市万物互联科技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1455A (en) * 2000-02-10 2001-08-17 Toshiba Kyaria Kk Ceiling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JP2017044133A (en) * 2015-08-26 2017-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Centrifugal blower and ventilator
JP2017048979A (en) * 2015-09-03 2017-03-0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1455A (en) * 2000-02-10 2001-08-17 Toshiba Kyaria Kk Ceiling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JP2017044133A (en) * 2015-08-26 2017-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Centrifugal blower and ventilator
JP2017048979A (en) * 2015-09-03 2017-03-0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430A (en)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9031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5987457B (en) The outdoor unit of air regulator
CN108386905B (en) air conditioner
WO2016063397A1 (en) Air conditioner
WO2015145740A1 (en) Air conditioner
KR102522048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0702323B1 (en) Ceiling air conditioner
KR100728674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419941B1 (en) The indoor unit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190141479A (en) An outdoor unit for a an air conditioner
JP2018025357A (en)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KR10245131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39295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829191B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WO2019123743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4365497A1 (en) Air conditioner
JP7025682B2 (en) Duct type air conditioner
KR100335082B1 (en) An outdoor unit of a window type air-conditioner
KR101419944B1 (e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KR20190041808A (en) Air conditioner
KR20080045563A (en) Ceiling air conditioners
KR100653785B1 (en) Air conditioner
KR20230087064A (en)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230106451A (en) Air conditioner
WO2023152802A1 (en)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ing device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3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