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2481B1 - Pwm 인버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Pwm 인버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481B1
KR100812481B1 KR1020047018416A KR20047018416A KR100812481B1 KR 100812481 B1 KR100812481 B1 KR 100812481B1 KR 1020047018416 A KR1020047018416 A KR 1020047018416A KR 20047018416 A KR20047018416 A KR 20047018416A KR 100812481 B1 KR100812481 B1 KR 100812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es
switching
frequency
control method
pwm inver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3459A (ko
Inventor
다나카요시유키
야마나카가츠토시
와타나베에이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ublication of KR20050003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48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3Converters with outputs that each can have more than two voltages levels
    • H02M7/487Neutral point clamped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0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51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5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form or frequency
    • H02M7/52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form or frequency by pulse 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538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02M7/5387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with analogue control of three-phase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538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02M7/5387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with analogue control of three-phase output
    • H02M7/538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with analogue control of three-phase output based on synthesising a desired voltage vector via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fundamental voltage vectors, and corresponding dwelling ti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저소음화와 스위치 횟수 제한에 의해 저소음화와 에너지 절약을 양립할 수 있는 PWM 인버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2레벨 PWM 인버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직렬 접속한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인버터의 운전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는, 스위칭에 의한 소음의 주파수 성분이 집중되지 않도록 스위치 횟수와 타이밍을 설정하여 임의의 전압을 출력하고, 그 때에 스위치 횟수가 지나치게 적어지지 않도록 스위치 횟수에 하한을 설정하고, 한편, 인버터의 운전 주파수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스위치 횟수와 타이밍의 설정값을 운전 주파수와 일정 비율로 상승시키지만, 스위치 횟수가 어떤 설정값 이상으로는 상승하지 않도록 스위치 횟수의 상한을 설정하여, 제한하는 것이다.
스위칭, 인버터, PWM, 인버터 제어, 정류소자

Description

PWM 인버터 제어 방법{PWM INVERTER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모터 등의 가변속 구동이나 계통 연계를 행하는 PWM 인버터의 저소음화에 관한 것이다.
도 13은 종래의 PWM 인버터의 구성도이다. 도 13에서, 1은 컨트롤러, 2는 저소음화 PWM 작성 회로, 4는 전류 검출 회로, 5는 직류 전원, 11은 평활 콘덴서, 101∼106은 스위칭 소자, 201∼206은 프리 휠 다이오드이다.
이상의 구성에서, 컨트롤러(1)에 지령과 전류 검출 회로(4)로부터 출력 전류의 검출값을 입력한다. 컨트롤러(1)는 이들 입력에 따라서 저소음화 PWM 작성 회로(2)에 의해, 저소음에 특화한 PWM 스위칭 패턴을 작성하여, 스위칭 소자를 ON/OFF하는 지령을 출력한다.
여기서, 저소음에 특화한 PWM 스위칭 패턴에 관해서 설명하면, 도 13에 도시하는 회로가 출력하는 3상 2레벨의 PWM 펄스를 공간 벡터도로 나타내면 도 2와 같이 되고, 일반적인 PWM 펄스 패턴을 나타내면 도 3과 같은 패턴이 된다. 도 2의 공간 벡터도 상의 기호, a, b, Op, On벡터는 도 3에 도시하는 각 상의 스위칭 패턴과 대응하고, H는 상측 스위칭 소자가 ON하고 있는 상태, L은 하측 스위칭 소자가 ON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PWM 인버터는 통상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패턴을 출력하고 있으나, 또한 저소음화 PWM 작성 회로(2)에 의해 펄스 패턴을 재조정한,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저소음화 패턴을 출력한다. 이 저소음화 패턴은, 통상적인 도 3의 패턴과 시간 평균은 동일하고, 펄스를 분할하여 집중시키거나 분산시킨, 도 4와 같은 펄스 패턴을 생성하여, 소음의 분산을 도모하여, 저소음화를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통상적인 PWM 방식은, 모든 상이 균등하게 스위칭을 행하고 있으므로, 소음이 발생하는 주파수가 집중하여, 귀에 거슬리는 소음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저소음화 대책에 의해 펄스 패턴을 복잡하게 하면, 스위치 횟수가 대폭적으로 상승하여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로스가 상승하고, 발열이 커진다. 이는 인버터를 안전하게 운전한다는 점에서는 큰 문제이며, 스위칭 소자의 수명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각 상의 스위칭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PWM 제어 방법으로서, 이들 소음의 피크를 분산하는 동시에, 스위칭 횟수에 하한값, 상한값을 두어 스위칭 로스를 설정값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저소음 대책과 에너지 절약화를 양립시킬 수 있는 PWM 인버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스위칭 소자와 역 병렬 접속한 정류 소자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를 2개 직렬로 접속한 것을 2조 이상 다수 조 이용한 구성에서, 상기 직렬 접속한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각 조마다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2레벨 PWM 제어 방식의 PWM 인버터 제어 방법 으로서, 상기 직렬 접속한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인버터의 운전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는, 스위칭에 의한 소음의 주파수 성분이 집중되지 않도록 스위치 횟수와 타이밍을 설정하여 임의의 전압을 출력하고, 그 때에 스위치 횟수가 지나치게 적어지지 않도록 스위치 횟수에 하한을 설정하고, 한편, 인버터의 운전 주파수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 횟수와 타이밍의 설정값을 운전 주파수와 일정 비율로 상승시키지만, 스위치 횟수가 어떠한 설정값 이상으로는 상승하지 않도록 스위치 횟수의 상한을 설정하여,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PWM 인버터 제어 방법에서는, 각 상의 스위칭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2레벨의 PWM 인버터 제어 방법에서, 소음의 피크를 분산시켜, 스위칭 횟수에 상한, 하한값을 두어 제한하므로, 귀에 거슬리는 소음을 저감시켜 스위칭 로스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스위칭 소자와 역 병렬 접속한 정류 소자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를 4개 또는 그 이상의 짝수 개 직렬 접속한 것을 2조 이상 다수 개 이용한 구성에서, 상기 직렬 접속한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각 조마다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기능을 구비하여 출력 레벨로 3 레벨 이상의 PWM 펄스를 출력하는 멀티 레벨 PWM 제어 방식의 PWM 인버터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직렬 접속한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인버터의 운전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는, 스위칭에 의한 소음의 주파수 성분이 집중되지 않도록 스위칭 횟수와 타이밍을 설정하여 임의의 전압을 출력하고, 그 때에 스위치 횟수가 지나치게 적어지지 않도록 스위치 횟수에 하한을 설정하며, 한편, 인버터의 운전 주파수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 횟수와 타이밍의 설정값을 운전 주파수와 일정 비율로 상승시키지만, 스위치 횟수가 어떠한 설정값 이상으로는 상승하지 않도록 스위치 횟수에 상한을 설정하여,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있다.
이 PWM 인버터 제어 방법에서는, 3레벨의 PWM 인버터 제어 방법에서, 소음의 피크를 분산시켜, 스위칭 횟수에 상한, 하한값을 두어 제한하므로, 귀에 거슬리는 소음을 저감시켜 스위칭 로스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PWM 인버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횟수의 상한값을, 스위칭 소자로부터 발생하는 스위칭 로스의 시간 평균이 어떤 설정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PWM 인버터 제어 방법에서는, 스위치 횟수 제한의 상한값을, 스위칭 로스의 시간 평균이 설정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므로, 스위칭 로스를 제어량으로 하여, 스위치 횟수의 상한값을 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PWM 인버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횟수의 상한값을, PWM 인버터의 발열이 어떤 설정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PWM 인버터 제어 방법에서는, 스위치 횟수 제한의 상한값을 인버터의 발열이 설정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므로, 발열량을 제어량으로 하여, 스위치 횟수의 상한값을 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PWM 인버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설정하는 스위치 횟수의 주파수 성분이, 출력 측에 접속되는 모터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해지지 않도록, 그 주파수를 스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PWM 인버터 제어 방법에서는, 저소음화를 도모하고, 스위치 횟수 제한에 의해 스위칭 로스를 억제하는 동시에, 모터의 공진 주파수대의 주파수 스킵에 의해서, 제어계의 진동을 억지하고, 기계음의 발생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PWM 인버터 제어 방법의 회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인버터의 공간 벡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인버터의 통상적인 스위칭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패턴이 저소음화된 스위칭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인버터의 저소음화 및 스위치 횟수 제한을 행한 스위칭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스위치 횟수 제한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그래프의 스킵 주파수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PWM 인버터 제어 방법의 회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인버터의 공간 벡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8에 도시하는 인버터의 통상적인 스위칭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패턴이 저소음화된 스위칭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8에 도시하는 인버터의 저소음화 및 스위치 횟수 제한을 행한 스위칭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종래의 PWM 인버터 장치의 회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1은 컨트롤러, 2는 저소음화 PWM 작성 회로, 3은 스위치 횟수 제한 회로, 4는 전류 검출 회로, 5는 직류 전원, 11은 평활 콘덴서, 12, 13은 분압 콘덴서, 101∼118은 스위칭 소자, 201∼218은 프리 휠 다이오드, 301∼306은 클램프 다이오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PWM 인버터 제어 방법의 회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인버터의 공간 벡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인버터의 통상적인 스위칭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패턴이 저소음화된 스위칭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인버터의 저소음화 및 스위치 횟수 제한을 행한 스위칭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스위치 횟수 제한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그래프의 스킵 주파수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1은 컨트롤러, 2는 저소음화 PWM 작성 회로, 3은 스위치 횟수 제한 회로, 4는 전류 검출 회로, 5는 직류 전원, 11은 평활 콘덴서, 101∼106은 스위칭 소자, 201∼206은 프리 휠 다이오드이다.
다음으로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3상 2레벨의 PWM 인버터에서는, 컨트롤러(1)로부터 지령을 입력하면, 그 지령값에 따라서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공간 벡터를 기초로,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PWM 펄스 패턴을 작성한다. 도 2의 공간 벡터의 기호 a, b, Op, On은 도 3에 도시하는 각 상 U, V, W의 스위칭 패턴과 대응하고, H는 상측 스위칭 소자(101, 103, 105)가 ON하고 있는 상태, L은 하측의 스위칭 소자(102, 104, 106)이 ON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스위칭 소자「101, 102」가 U상, 「103, 104」가 V상, 「105, 106」이 W상에 상당하고 있다.
이 PWM 펄스 패턴은 다음으로, 저소음화 PWM 작성 회로(2)에 의해 저소음화된 PWM 스위칭 패턴으로 변경된다. 즉 도 3의 경우는, U, V, W상 모두 균등하게 스위칭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노이즈 출력이 특정한 주파수에 집중되지만, 도 4의 저소음화 패턴에서는, 출력되는 전압의 평균값은 도 3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패턴을 분할하여 재조정하여, 특정(귀에 거슬리는 음성 대역 내 주파수 등)한 주파수를 출력하지 않도록 주파수 조정된다. U상의 예로 설명하면, 도 3의 U상의 균등한 펄스는, 도 4의 U상에서는 펄스폭이 상이한 배수의 펄스로 재조정되지만, 토탈 전압 평균값은 동일하고 주파수만이 재조정에 의해 음성대역 밖이 되도록 높은 쪽으로 시프트하여 조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귀에 거슬리는 음성대역 내 등의 소음이 분산·저감된다.
이렇게 하여 저소음화된 스위칭 패턴은, 다음으로, 스위치 횟수 제한 회로(3)에 입력하고, 설정된 스위치 횟수가 만족되고 있는가를 판단한다. 스위치 횟수 제한 회로(3)에서는 스위칭 로스에 의한 발열을 억제하기 위해서 설정한 스위치 횟수 이상이 되지 않도록 제한을 가하고 있다. 이 제한은, PWM 인버터의 설계 시에 스위칭 소자(IGBT 등)의 특성으로부터 설정하여도 되고,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조건 하에서의 발열량 등을 바탕으로 실측적으로 설정하여도 되며, 특정한 고정값으로는 설정하지 않고 있다.
PWM 인버터에서는, 운전 주파수가 상승하면 동시에 스위치 횟수도 상승하지만, 스위치 횟수 제한 회로(3)의 판단에서 스위치 횟수가 설정값을 넘으면,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횟수 제한 기능이 작용하여 그 이상의 스위치는 제한된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 횟수가 설정값을 넘으면, 저소음화 PWM 작성 회로(2)에서, 시간 평균의 스위치 횟수는 일정하게 되도록, 캐리어 주기 단위 등으로 PWM 패턴의 분할 수를 감소시키거나, 분산시키는 방법을 변경하여 스위치 횟수가 저감하도록 조정하고 있다.
예컨대, 도 5는 스위치 횟수 제한을 행한 저소음화 패턴이고, T1의 기간은 도 4에 도시하는 펄스 패턴과 동일하지만, 주기가 T1에서 T2로 변화하여 운전 주파 수가 상승한 경우, 스위치 횟수의 제한을 받아 펄스를 감소시키고 있다. 이 경우의, 각 제어 기간마다의 스위치 횟수는, T1기간이 11회로 도 4와 동일하지만, T2기간 쪽은 7회로 저감되어 있다. 그러나 전체 시간 평균으로는 스위치 횟수는 거의 균등화되어, 스위칭 로스의 시간 평균이 설정값 이하로 유지되어, 스위칭 소자의 발열이 억제된다.
또한, 스위치 횟수가 지나치게 적더라도 출력되는 전류에 큰 리플이 발생하여 문제가 되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스위치 횟수 제한 회로(3)에서 스위치 횟수의 하한값을 두고(이것도 특성값 등으로부터 설정한다), 그 이하의 스위치 횟수가 되지 않도록 제한을 둔다.
또,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부하로서 접속되는 모터의 공진 주파수와, 출력하는 PWM 펄스 패턴의 스위치 횟수가 일치하지 않도록, 스위치 횟수 제한 회로(3)의 처리로서, 스위치 횟수를 스킵 처리한다.
이와 같이, 공진 주파수를 출력하지 않도록 스위치 횟수를 스킵시킴으로써, 진동이 억지되어 기계음의 발생을 억제하여, 더욱 안정한 저소음화를 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PWM 인버터의 제어 방법의 회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인버터의 공간 벡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하는 인버터의 통상적인 스위칭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 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패턴이 저소음화된 스위칭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하는 인버터의 저소음화 및 스위치 횟수 제한을 행한 스위칭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3상 3레벨 인버터에 적용한 예이고, 1은 컨트롤러, 2는 저소음화 PWM 작성 회로, 3은 스위치 횟수 제한 회로, 4는 전류 검출 회로, 5는 직류 전원, 12 및 13은 평활 콘덴서, 107∼118은 스위칭 소자(스위칭 소자107∼110이 U상, 111∼114가 V상, 115∼118이 W상에 상당), 201∼206은 프리 휠 다이오드, 301∼306은 중간 레벨 출력용 클램프 다이오드이다.
다음으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3레벨 NPC 인버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출력할 수 있는 PWM 펄스를 공간 벡터도로 나타내면 도 9와 같이 되고, 이것을 사용한 일반적인 펄스 패턴은 도 10과 같이 된다. 공간 벡터의 각 기호, a, b, ap, an, bp, bn, Op, On, Oo는, 도 1O에 도시하는 각 상의 스위칭 패턴과 대응하고, H, O, L은 H가 상측 스위칭 소자가 ON하고 있는 상태, O는 콘덴서 분압된 중성점 전압을 출력하는 한가운데 2개의 스위칭 소자가 ON하고 있는 상태, L은 하측 스위칭 소자가 ON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통상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균등한 패턴을 출력하고 있으나, 저소음화 PWM 작성 회로(2)에 의해, 도 11과 같은 저소음화된 PWM 스위치 패턴으로 변경된다. 이 저소음화 PWM 패턴은, 도 10에 도시하는 통상적인 균등 패턴과 전압의 시간 평균은 동일하고, 펄스를 분할하여 집중시키거나, 분산시켜 도 11과 같은 저소음화 패턴을 생성하여, 소음의 분산화를 도모하여, 저소음화를 실현하고 있다.
다음으로, 앞 실시형태와 같이, 스위칭 로스에 의한 발열을 억제하기 위해서 설정한 스위치 횟수 이상이 되지 않도록, 스위치 횟수 제한 회로(3)에 의해,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횟수 제한을 두어,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저소음화 패턴으로부터, 도 1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스위치 횟수 제한 패턴을 생성한다. 도 12의 예에서는 T1의 기간은 도 11과 동일한 횟수이지만, 운전 주파수가 상승하여 스위치 횟수 제한이 작용하는 T2기간에서는 스위치 횟수를 감소시켜, 펄스의 분할 수가 줄고 있다.
따라서, 그 이상 운전 주파수가 상승하더라도, PWM 패턴의 분할 수를 감소시키거나, 분산시키는 방법을 변경함으로써, 시간 평균한 스위치 횟수를 그대로 유지하여, 스위칭 로스의 상승을 막아, 안전하게 저소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라도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스킵 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02년 6월 12일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특원 2002-171395)에 기초하는 것이고,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상의 스위칭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PWM 인버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들 소음의 피크를 분산하도록, 각 상의 스위치 패턴을 재조정하여, 저소음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스위칭 횟수에 하한값, 상한값을 두어 스위칭 로스를 설정값 이하로 억제함으로써, 저소음과 에너지 절약화를 양립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스위칭 소자와 역 병렬 접속한 정류 소자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를 2개 직렬로 접속한 것을 2조 이상 다수 조 이용한 구성에서, 상기 직렬 접속한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각 조마다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2레벨 PWM 제어 방식의 PWM 인버터 제어 방법으로서,
    PWM 인버터의 운전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운전 주파수가 낮은지 높은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운전 주파수가 낮거나 높은 경우, 상기 직렬 접속한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직렬 접속한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PWM 인버터의 운전 주파수가 설정값 보다 낮은 경우에는, 스위칭에 의한 소음의 주파수 성분이 집중되지 않도록 스위치 횟수와 타이밍을 설정하여 임의의 전압을 출력하고, 그 때에 스위치 횟수가 지나치게 적어지지 않도록 스위치 횟수에 하한을 설정하고, 한편, 상기 PWM 인버터의 운전 주파수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 횟수와 타이밍의 설정값을 운전 주파수와 일정 비율로 상승시키지만, 스위치 횟수가 어떤 설정값 이상으로는 상승하지 않도록 스위치 횟수의 상한을 설정하여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터의 제어 방법.
  2. 스위칭 소자와 역 병렬 접속한 정류 소자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를 4개 또는 그 이상의 짝수 개 직렬 접속한 것을 2조 이상 다수 개 이용한 구성에서, 상기 직렬 접속한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각 조마다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기능을 구비하여 출력 레벨에 3레벨 이상의 PWM 펄스를 출력하는 멀티 레벨 PWM 제어 방식의 PWM 인버터 제어 방법으로서,
    PWM 인버터의 운전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운전 주파수가 낮은지 높은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운전 주파수가 낮거나 높은 경우, 상기 직렬 접속한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직렬 접속한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PWM 인버터의 운전 주파수가 설정값 보다 낮은 경우에는, 스위칭에 의한 소음의 주파수 성분이 집중되지 않도록 스위치 횟수와 타이밍을 설정하여 임의의 전압을 출력하고, 그 때에 스위치 횟수가 지나치게 적어지지 않도록 스위치 횟수에 하한을 설정하며, 한편, 상기 PWM 인버터의 운전 주파수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 횟수와 타이밍의 설정값을 운전 주파수와 일정 비율로 상승시키지만, 스위치 횟수가 어떤 설정값 이상으로는 상승하지 않도록 스위치 횟수에 상한을 설정하여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터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횟수의 상한값을, 스위칭 소자로부터 발생하는 스위칭 로스의 시간 평균이 어떤 설정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터 제어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횟수의 상한값을, PWM 인버터의 발열이 어떤 설정값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터 제어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설정하는 스위치 횟수의 주파수 성분이, 출력 측에 접속되는 모터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해지지 않도록, 그 주파수를 스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WM 인버터 제어 방법.
KR1020047018416A 2002-06-12 2003-05-26 Pwm 인버터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12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71395A JP3864308B2 (ja) 2002-06-12 2002-06-12 Pwmインバータ制御方法
JPJP-P-2002-00171395 2002-06-12
PCT/JP2003/006538 WO2003107520A1 (ja) 2002-06-12 2003-05-26 Pwmインバータ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459A KR20050003459A (ko) 2005-01-10
KR100812481B1 true KR100812481B1 (ko) 2008-03-10

Family

ID=2972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41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2481B1 (ko) 2002-06-12 2003-05-26 Pwm 인버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42741B2 (ko)
EP (1) EP1533887B1 (ko)
JP (1) JP3864308B2 (ko)
KR (1) KR100812481B1 (ko)
CN (1) CN100418296C (ko)
TW (1) TW200404401A (ko)
WO (1) WO20031075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1169A1 (ja) * 2004-06-25 2006-01-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車両用空調装置
JP4784207B2 (ja) * 2004-11-18 2011-10-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直流電源装置
US20060268975A1 (en) * 2005-05-13 2006-11-30 Bors Douglas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utilizing a randomly generated pattern subsequently modified to create desired control characteristics
KR100789441B1 (ko) * 2005-12-30 2007-1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의 전류 검출 장치 및 방법
JP5050395B2 (ja) * 2006-04-24 2012-10-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及び電力制御方法
JP4811102B2 (ja) * 2006-04-26 2011-11-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239235B2 (ja) * 2006-10-13 2013-07-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変換方法
US7782005B2 (en) * 2006-11-07 2010-08-24 Nissan Motor Co., Ltd. Power converter control
JP5396948B2 (ja) * 2009-03-17 2014-01-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モータ制御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01997473B (zh) * 2009-08-20 2013-12-25 上海御能动力科技有限公司 伺服控制器的降噪控制方法
KR101115384B1 (ko) * 2010-01-07 2012-02-1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Bldc 모터의 제어장치 및 멀티레벨 인버터의 제어방법
EP2348627A1 (de) * 2010-01-25 2011-07-27 ABB Research Ltd. Wandlerschaltun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ehrstufigen Wandlerschaltung
JP5742110B2 (ja) * 2010-04-14 2015-07-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EP2590311A4 (en) * 2010-09-29 2014-04-23 Panasonic Corp POWER CONVERSION DEVICE
JP5648654B2 (ja) * 2012-04-23 2015-01-07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機の制御装置
CN102868291B (zh) * 2012-09-19 2015-08-19 华为技术有限公司 二极管中点箝位型三电平逆变器限流控制方法及相关电路
KR101865954B1 (ko) * 2012-09-21 2018-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음 저감을 위한 친환경 자동차의 인버터 제어 방법
US9379606B2 (en) * 2013-05-30 2016-06-28 Apple Inc. Discrete narrow-band switching frequency avoidance of a switch mode power converter
CN106208729B (zh) * 2015-05-25 2020-01-2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力变换装置
JP7259608B2 (ja) * 2018-08-01 2023-04-18 株式会社安川電機 電力変換装置及び制御方法
CN111220844A (zh) * 2020-01-20 2020-06-02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的三相电流检测系统
CN113114061B (zh) * 2021-03-26 2022-06-24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变换器及抑制变换器的环流干扰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8488A (ja) * 1987-10-31 1989-05-10 Fukushin Kogyo Kk スクリーンメッシュ製造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1824A (en) * 1979-07-05 1983-02-01 Eaton Corporation Base drive and overlap protection circuit
US4370702A (en) * 1981-01-15 1983-01-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Microprocessor control of inverter power transistors with DC content correction
US4825132A (en) * 1987-05-21 1989-04-25 Eaton Corporation Current mode motor control
JP3140042B2 (ja) * 1990-11-28 2001-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変換装置
JP3675014B2 (ja) * 1995-06-08 2005-07-27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バータ制御装置
JPH09182452A (ja) * 1995-12-25 1997-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3レベルインバータ装置
JP3708292B2 (ja) 1997-06-17 2005-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Pwmインバータ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KR100326104B1 (ko) * 1997-08-04 2002-10-1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력변환장치의제어방법
US6169670B1 (en) * 1999-04-08 2001-01-02 Hitachi, Ltd. Inverter apparatus operatable over extended frequency range while suppressing output error
KR100655917B1 (ko) 2000-02-28 2006-12-08 가부시키가이샤 야스가와덴끼 Pwm 펄스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8488A (ja) * 1987-10-31 1989-05-10 Fukushin Kogyo Kk スクリーンメッシュ製造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33887A1 (en) 2005-05-25
EP1533887B1 (en) 2015-10-28
EP1533887A4 (en) 2008-07-02
JP2004023814A (ja) 2004-01-22
TWI311005B (ko) 2009-06-11
US20060067093A1 (en) 2006-03-30
US7042741B2 (en) 2006-05-09
JP3864308B2 (ja) 2006-12-27
CN100418296C (zh) 2008-09-10
KR20050003459A (ko) 2005-01-10
CN1659775A (zh) 2005-08-24
TW200404401A (en) 2004-03-16
WO2003107520A1 (ja)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481B1 (ko) Pwm 인버터 제어 방법
KR100655917B1 (ko) Pwm 펄스 제어방법
US10158299B1 (en) Common voltage reduction for active front end drives
US10778116B2 (en) Three-phase inverter with reduced DC bus capacitor ripple
JP5900470B2 (ja) 電流形電力変換装置
JP2016146717A (ja) スイッチング回路及び半導体装置
US90469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ulse frequency modulation in single-inductor dual-output power circuit
JPWO2009013992A1 (ja) マトリクスコンバータ
EP2692045A2 (en) Rate limited common mode control for pulse-width modulation drives
JPWO2020166003A1 (ja) 電力変換装置
JP2019057992A (ja) 電力変換回路
US7786690B2 (en) Motor control apparatus
TWI784727B (zh) 馬達驅動電路及馬達模組
JP4491718B2 (ja) 3レベルコンバータ
JP7494321B2 (ja) 三相3レベルインバータの駆動制御装置および駆動制御方法
JP7202244B2 (ja) 電力変換装置
WO2021059741A1 (ja) モータ制御装置
JPH1028378A (ja) 電力変換装置の制御方法及び電力変換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9278704A (ja) 電圧駆動型半導体素子のゲート駆動装置
JP2005143212A (ja) 三相降圧形整流器
JP201807473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8074733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im et al. A new link potential control scheme for four-level inverter with passive rectifier
Faraji et al. SiC 99.55%-Efficient Fanless Three-Phase Three-Level Flying Capacitor Converter
JP3788302B2 (ja) 誘導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4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