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7941B1 - 가스방전패널 - Google Patents

가스방전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941B1
KR100807941B1 KR1020027009544A KR20027009544A KR100807941B1 KR 100807941 B1 KR100807941 B1 KR 100807941B1 KR 1020027009544 A KR1020027009544 A KR 1020027009544A KR 20027009544 A KR20027009544 A KR 20027009544A KR 100807941 B1 KR100807941 B1 KR 100807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elete delete
discharge
gap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021A (ko
Inventor
나가오노부아키
히가시노히데타카
안도도루
다카다유스케
니시무라마사키
무라이류이치
와니고이치
고스기나오키
다치바나히로유키
와타나베요시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9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94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01J2211/24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향하여 설치된 한쌍의 기판간에 방전가스가 봉입된 복수의 셀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쌍의 기판 중 제 1 기판의 제 2 기판에 대향하는 면 상에 주방전 갭을 통해 배치된 유지전극 및 스캔전극을 한쌍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표시전극이 복수의 셀에 걸치는 상태로 설치된 가스방전패널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 및 상기 스캔전극은 각각 상기 매트릭스의 행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라인부로 이루어지고, 또 구동시에 있어서, 상기 표시전극의 방전전류파형의 피크가 단일하게 되도록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라인부간의 라인부 갭과 주방전 갭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전패널로 한다.
유지전극, 스캔전극, 가스방전패널

Description

가스방전패널{GAS DISCHARGE PA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가스방전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표시장치의 일종이며, 두께가 얇으면서도 대화면화가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차세대의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주목받고 있다. 현재로서는 60인치급의 것도 상품화되어 있다.
도 42는 일반적인 교류면방전형 PDP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사시도이다. 도면 중 z방향이 PDP의 두께방향, xy 평면이 PDP의 패널면에 평행한 평면에 상당한다.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PDP(1)는 서로 주면을 대치시켜 설치된 전면패널(20) 및 후면패널(26)로 구성된다.
전면패널(20)의 기판이 되는 전면패널유리(21)에는 그 한쪽의 주면에 한쌍을 이루는 2개의 표시전극(22, 23)(스캔전극(22), 유지전극(23))이 x방향을 따라 복수쌍 구성되고, 각각 한쌍의 표시전극(22, 23) 사이에서 면방전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표시전극(22, 23)은 여기서는 일례로서 Ag에 유리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스캔전극(22)은 각각이 전기적으로 독립하여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또, 유지전극(23)은 각각이 모두 전기적으로 같은 전위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표시전극(22, 23)을 설치한 전면패널유리(21)의 주면에는 절연성 재료 로 이루어지는 유전체층(24)과 보호층(25)이 차례로 덮여져 있다.
후면패널(26)의 기판이 되는 후면패널유리(27)에는 그 한쪽 주면에 복수의 어드레스전극(28)이 y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일정 간격으로 스트라이프형상으로 병설된다. 이 어드레스전극(28)은 Ag과 유리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어드레스전극(28)을 설치한 후면패널유리(27)의 주면에는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전체층(29)이 덮여진다. 유전체층(29) 상에는 인접하는 2개의 어드레스전극(28)의 간극에 맞추어 격벽(30)이 설치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2개의 격벽(30)의 각 측벽과 그 사이의 유전체층(29)의 면 상에는 적색(R), 녹색(G), 청색(B) 중 어느 하나의 색에 대응하는 형광체층(31∼3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면패널(20)과 후면패널(20)은 어드레스전극(28)과 표시전극(22, 23)의 서로의 길이방향이 직교하도록 대향된다.
전면패널(20)과 후면패널(26)은 프릿유리 등의 봉함부에 의해 각각의 가장자리부에서 봉함(seal)되어, 양 패널(20, 20)의 내부가 밀봉되어 있다.
또 도 42에서는 설명을 위해 표시전극(22, 23) 및 어드레스전극(28)의 각 개수를 실제보다 적게 실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봉함된 전면패널(20)과 후면패널(26)의 내부에는 Xe를 포함하는 방전가스(봉입가스)가 소정의 압력(종래는 통상 40kPa∼66.5kPa 정도)으로 봉입된다.
이로 인하여, 전면패널(20)과 후면패널(20) 사이에서, 유전체층(24)과 형광체층(31∼33) 및 인접하는 2개의 격벽(30)으로 구획된 공간이 방전공간(38)이 된다. 또, 이웃하는 한쌍의 표시전극(22, 23)과 하나의 어드레스전극(28)이 방전공간 (38)을 사이에 두고 교차하는 영역이 화상표시에 관련된 셀(도시생략)이 된다. 여기서, 도 43은 PDP의 복수 쌍의 표시전극(22, 23)(N행)과 복수의 어드레스전극(28)(M행)이 형성하는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PDP 구동시에는 각 셀에서, 어드레스전극(28)과 표시전극(22, 23) 중 어느 하나의 사이에서 방전이 시작되고, 한쌍의 표시전극(22, 23)끼리에서의 방전에 의해 단파장의 자외선(Xe 공명선, 파장 약 147nm)이 발생되어 이 자외선을 받아 형광체층(31∼33)이 발광된다. 이에 따라 화상표시가 이루어진다.
이어서, 종래의 PDP의 구체적인 구동방법에 대하여 도 44, 도 4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4에 종래의 PDP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PDP 표시장치)의 블록개념도를 나타내고, 도 45에 패널의 각 전극에 인가되는 구동파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DP 표시장치에는 PDP을 구동하기 위한 프레임 메모리(10), 출력처리회로(11), 어드레스전극 구동장치(12), 유지전극 구동장치(13), 스캔전극 구동장치(14) 등이 내장되어 있다. 각 전극(22, 23, 28)은 스캔전극 구동장치(14), 유지전극 구동장치(13), 어드레스전극 구동장치(12)에 각각 상기와 동일한 순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12, 13, 14는 출력처리회로(1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PDP 구동시에는 외부로부터 화상정보가 프레임 메모리(10)에 일단 저장되고, 타이밍정보에 기초하여 프레임 메모리(10)로부터 출력처리회로(11)로 도 입된다. 그 후, 화상정보와 타이밍정보에 기초하여 출력처리회로(11)가 구동되어 어드레스전극 구동장치(12), 유지전극 구동장치(13), 스캔전극 구동장치(14)에 지시를 내려, 각 전극(22, 23, 28)에 펄스전압을 인가하여 화면표시를 이룬다.
PDP 구동시에는 도 45에서, 우선 스캔전극(22)에 초기화 펄스를 인가하여 패널의 셀 내의 벽전하를 초기화한다. 이어서, y방향 최상위(디스플레이 최상위)의 스캔전극(22)에 주사펄스를 인가하고, 유지전극(23)에 기입펄스를 인가하여 기입방전을 행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스캔전극(22)과 유지전극(23)에 대응하는 셀의 유전체층(24)의 표면에 벽전하를 축적한다.
그 후, 상기와 같이 하여, 상기 최상위에 이어지는 두 번째 이후의 스캔전극(22)과 유지전극(23)에 각각 주사펄스와 기입펄스를 인가하여 각 셀에 대응하는 유전체층(24)의 표면에 벽전하를 축적한다. 이 동작을 디스플레이 표면 전체의 표시전극(22, 23)에 대하여 행하여 1화면 분의 잠상을 기입한다.
이어서, 어드레스전극(28)을 접지하고, 스캔전극(22)과 유지전극(23)에 번갈아 유지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유지방전을 행한다. 유전체층(24)의 표면에 벽전하가 축적된 셀에서는 유전체(24)의 표면의 전위가 방전개시전압을 상회함으로써 방전이 발생하고, 유지펄스가 인가되어 있는 기간(유지기간)에 기입펄스에 의해 선택된 표시 셀의 유지방전이 이루어진다. 그 후, 폭이 좁은 소거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불완전한 방전이 발생하고, 벽전하가 소멸하여 화면소거가 행해진다.
텔레비전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NTSC 방식에서의 영상은 1초 동안에 60매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점등이나 소등의 2계조밖에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중간색을 표시하기 위해,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각 색의 점등시간을 시분할하고, 1필드를 여러개의 서브필드로 분할하여 그 조합에 의해 중간색을 표현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도 46은 종래의 교류구동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각 색 256계조를 표현하는 경우의 서브필드의 분할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각 서브필드의 방전유지기간 내에 인가하는 유지펄스수의 비를 1, 2, 4, 8, 16, 32, 64, 128과 같이 2진법으로 가중을 행하고, 이 8비트의 조합에 의해 265계조를 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PDP의 구동방법에서는 초기화기간, 기입기간, 유지기간, 소거기간이라는 일련의 순서로 표시를 행하고 있다.
그런데, 가능한 한 소비전력을 억제한 전기제품이 요구되는 오늘날에는 PDP 에서도 구동시의 소비전력을 낮게 하는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특히 현재의 대화면화 및 고선명화의 동향에 따라, 개발되는 PDP의 소비전력이 증가경향에 있기 때문에 전력절감을 실현시키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PDP의 소비전력을 절감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단순히 PDP의 소비전력을 줄이는 대책을 행하는 것 만으로는 상기 복수쌍의 표시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전규모가 작아져 충분한 발광량이 얻어지지 않게 되므로, 소비전력을 억제하면서도 양호한 표시성능을 얻을(즉, 양호한 발광효율을 얻을) 필요가 있다. 발광량이 부족하면 PDP의 표시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단순히 PDP의 소비전력을 줄인다는 대책은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효한 대책이라고는 하기 어렵다.
또,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형광체가 자외선을 가시광으로 변환할 때의 변환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단계에서는 그다지 두드러진 개선은 보이지 않아, 여전히 연구의 여지가 많다.
이와 같이 PDP 등의 가스방전패널에서, 발광효율을 적절히 확보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우수한 발광효율을 갖는 양호한 표시성능의 가스방전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향하여 설치된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방전가스가 봉입된 복수의 셀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되고, 당해 매트릭스의 행 방향으로 R, G, B의 각 색에 대응한 형광체 층이 셀 내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기판 중 제 1 기판의 제 2 기판에 대향하는 면 상에 유지전극 및 스캔전극을 한 쌍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복수 쌍의 표시전극이 복수의 셀에 걸치는 상태로 배치된 가스방전패널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 및 상기 스캔전극은, 각각 주 방전 갭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매트릭스의 행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라인의 라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R, G, B의 형광체 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맞추어서 상기 유지전극 또는 상기 스캔전극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서 인접하는 2개의 라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또한, 구동시에, 상기 표시전극의 방전전류 파형의 피크가 단일하게 되도록,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라인부 간의 라인부 갭과 주 방전 갭이 설정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접속부는 R, G, B의 형광체 층의 모두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고, 당해 R, G, B의 형광체 층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하는 접속부의 각각의 면적을 SbR, SbG, SbB라고 할 때에, 관계식 SbB
Figure 712007004759125-pct00363
SbR
Figure 712007004759125-pct00364
SbG가 성립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제 1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
도 2는 구동전압파형과 방전전류파형의 시간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3은 점등전압(구동전압)과, 주방전 갭 G와 전극간격 S(= S1 = S2)의 차 S-G의 관계에 의해 나타낸 방전전류 피크횟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표시전극패턴의 상면도.
도 5는 제 2 실시예의 PDP에서의 주방전 갭 G, 제 1 전극 갭 S1, 제 2 전극 갭 S2와 방전전류피크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제 3 실시예에 관한 표시전극의 상면도.
도 7은 제 3 실시예의 PDP에서의 주방전 갭 G, 평균전극간격 Save, 각 전극간격차 △S와 방전전류피크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의 성능비교도.
도 9는 제 4 실시예에 관한 표시전극의 상면도.
도 10은 제 4 실시예의 PDP에서의 방전발광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은 제 5 실시예에 관한 표시전극의 상면도.
도 12는 제 5 실시예에 의한 구성의 PDP에서의 주방전 갭 G에 대한 제 1 전극 갭 S1비(S1/G)와, 전극 갭 비율(α= Sn+1/Sn)에 관한 방전전류 피크횟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3은 제 6 실시예에 관한 표시전극의 상면도.
도 14는 제 6 실시예의 PDP에서의 구동전압파형과 방전전류파형의 시간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5는 제 8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제 6 실시예 및 제 7 실시예의 PDP에서의 전력-휘도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7은 제 8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제 8 실시예의 PDP에서 L4를 변화시킨 경우의 흑(黑)비율과 명(明)개소 콘트라스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9는 제 9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제 10 실시예의 PDP의 격벽(30)에 따른 부분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제 11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제 11 실시예의 PDP에서의 구동전압파형과 방전전류파형의 시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3은 제 12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제 13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제 14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제 15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제 16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제 17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제 17 실시예의 PDP에서의 W1 = W2로 하였을 때의 표시전극의 면적과 휘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0은 제 18 실시예에 의한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제 18 실시예의 PDP에서의 W1 = W2로 하였을 때의 전극면적과 휘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2는 제 19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제 19 실시예의 PDP에서의 W1 = W2로 하였을 때의 전극면적과 휘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4는 제 20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제 20 실시예의 PDP에서의 W1 = W2로 하였을 때의 전극면적과 휘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6은 제 20 실시예에서의 셀의 휘도분포의 시산(試算)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7은 제 21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8은 제 21 실시예의 PDP에서의 W1 = W2로 하였을 때의 표시전극의 면적과 패널휘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9는 제 22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0은 제 23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1은 제 24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2는 일반적인 교류면방전형 PDP의 주요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사시도.
도 43은 PDP의 복수쌍의 표시전극(22, 23)(N행)과 복수의 어드레스전극 (28)(M행)이 형성하는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4는 종래의 PDP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의 블록개념도.
도 45는 PDP의 각 전극(스캔전극, 유지전극, 어드레스전극)에 각각 인가하는 구동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6은 종래의 교류구동형 PDP에서, 각 색 256계조를 표현하는 경우의 서브필드의 분할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PDP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종래예와 거의 동일하며, 본 발명의 특징은 주로 표시전극과 그 주변의 구조에 있으므로, 이하는 당해 표시전극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1-1. 표시전극의 구성
도 1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표시전극패턴의 상면도(모식도)이다.
도 1과 같이, 제 1 실시예의 특징은 2개의 인접하는 격벽(30)에 대응한 셀 내에서, 한쌍의 표시전극(22, 23)(스캔전극(22), 유지전극(23))을 각각 3개의 가는 라인부(22a∼22c, 23a∼23c)로 분할하여 설치한 것이다. 일례로서, 여기서는 화소피치(y방향 셀크기)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라인부 폭 L1∼L3 = 40㎛, 제 1 전극 갭 S1 = 80㎛, 제 2 전극 갭 S2 = 80㎛로 하고 있다. 이 표시전극 (22, 23)은 금속재료(Ag 또는 Cr/Cu/Cr 등)로 제작하고 있다.
또, 1화소는 RGB 3색에 대응하는 3개의 셀로 구성되므로, 화소피치 P에 대한 셀의 x방향폭(x방향 셀크기)은 P/3이 된다.
이러한 표시전극의 패턴은 PDP 구동시의 방전전류 파형피크가 단일하게 되도록 하면서 우수한 발광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설정한 일례이다.
1-3. 실시예의 효과
PDP에서의 방전시에서는 복수의 라인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방전전류의 파형피크가 복수 존재한다. 그리고, 임의의 방전전류피크에 의한 방전의 상태는 그 이전의 방전전류피크에서 발생한 방전에 의한 영향(잔류 이온이나 준안정입자 등에 의한 프라이밍효과)을 매우 받기 쉬운 성질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어떤 방전의 상태는 이것보다 선행하는 방전에 의해 구동펄스의 상승시간이 변동하거나, 전압강하 등의 영향을 받아서 발광 휘도나 발광효율이 변동된다. 따라서, 방전전류파형의 피크가 복수 존재하면 계조제어가 불안정하게 되기 쉬워진다. 이러한 것은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풀컬러 동화상표시를 양호하게 하는 데에 큰 장해가 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제 1 실시예에서는 방전전류피크가 단일하므로, 안정된 유지방전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펄스변조에 의한 계조제어를 안정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구성의 PDP에서의 구동전압파형과 방전전류파형의 시간변화를 나타낸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는 방전전류파형이 단일피크이기 때문에, 1회의 구동펄스에서의 방전발광이 1㎲ 이내에 종료한다. 이것에 덧붙여서, 구동펄스가 상승하고 나서 방전전류가 최대값을 나타내기까지의 시간(즉, 방전지연시간)이 약 0.2㎲ 정도로 짧으므로, 수 ㎲ 정도에서의 고속구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실시예에서는 방전전류파형의 피크가 단일하게 됨으로써 방전발광 파형의 피크도 단일하게 나타난다. 도 2에서, 본 발명에서는 단일 피크의 방전발광 파형의 반값 폭 Thw는 특히 50ns
Figure 112007049539483-pct00007
Thw
Figure 112007049539483-pct00008
7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 도 3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구성의 PDP에서 종래의 구동 파형(도 47 참조)으로 구동하였을 때의 점등전압과 주방전 갭 G와 전극간격 S(= S1 = S2)의 차 S - G 및 방전전류 피크횟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극 갭 S1, S2(도면에서는 S)가 주방전 갭 G 이하(즉 S-G가 음의 값을 취하는 범위)이면 방전전류파형의 피크가 단일하게 되도록 설정할 수 있어 PDP의 고속구동이 가능해진다.
또, 제 1 실시예에서는 표시전극(22, 23)을 라인형상패턴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띠형상의 표시전극보다도 방전에 드는 정전용량이 적어진다. 이 때문에,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어 양호한 발광효율(구동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제 1 실시예의 PDP는 표시전극(22, 23)을 종래의 표시전극보다 면적이 작은 형상패턴(라인부(22a∼22c, 23a∼23c))으로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하면서 단일의 방전전류 피크파형을 확보함으로써, 우수한 발광효율의 획득과 고속구동이 가능한 PDP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의 「방전전류의 파형이 단일피크이다」라는 정의는 방전전류파형에서, 외견상 최대피크 이외에 피크가 있더라도 그것이 최대피크의 10% 이하 의 높이인 경우로 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실시예에서는 화소피치 P를 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009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010
1.4mm, 주방전 갭 G를 6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11
G
Figure 112002023785371-pct00012
140㎛, 전극폭 L1∼L3을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13
L1, L2, L3
Figure 112002023785371-pct00014
60㎛, 제 1, 제 2 전극 갭 S1, S2를 5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15
S1, S2
Figure 112002023785371-pct00016
140㎛의 각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셀크기(화소피치 P)로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480㎛∼1400㎛로 설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셀 중에서의 모든 라인부의 전극 갭의 평균값을 S, 주방전 갭의 값을 G로 할 때, G-6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17
S
Figure 112002023785371-pct00018
G+20㎛의 관계식이 성립하도록 해도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인접하는 2개의 격벽의 피치는 P/3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밖의 값으로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R, G, B 각 셀의 상기 격벽의 각 피치의 비를 R, G, B 순으로 P/3 : P/3.75 : P/2.5와 같이 불균등하게 설정함으로써, 각 색의 휘도 밸런스(balance)를 개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1-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이어서, 상기한 제 1 실시예의 PDP의 제작방법에 대하여 그 일례를 설명한다. 또, 여기에 설명하는 제작방법은 이 이후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1-2-1. 전면패널의 제작
두께 약 2.6mm의 소다라임유리로 이루어지는 전면패널유리의 면 상에 표시전 극을 제작한다. 여기서는 금속재료(Ag)를 이용한 금속전극으로 표시전극을 형성하는 예(후막형성법)를 나타낸다.
우선, 금속(Ag)분말과 유기비히클(vehicle)에 감광성 수지(광분해성 수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감광성 페이스트를 제작한다. 이것을 전면패널유리의 한쪽 주면 상에 도포하고, 형성할 표시전극의 패턴을 갖는 마스크로 덮는다. 그리고, 당해 마스크 상에서 노광하여 현상 ·소성(590∼600℃ 정도의 소성온도)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100㎛의 선폭이 한계로 되어 있던 스크린 인쇄법에 비하여 30㎛ 정도의 선폭까지 세선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금속재료로는 이 밖에 Pt, Au, Ag, Al, Ni, Cr 또, 산화주석, 산화인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전극은 상기 방법 이외에도 증착법, 스퍼터링법 등으로 전극재료를 성막한 후, 에칭처리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유전체막의 표면에 두께 약 0.3∼0.6㎛의 보호층을 증착법 혹은 CVD(화학증착법)등으로 형성한다. 보호층에는 산화마그네슘(MgO)이 적합하다.
이로써, 전면패널이 제작된다.
1-2-2. 후면패널의 제작
두께 약 2.6mm의 소다라임유리로 이루어지는 후면패널유리의 표면 상에 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Ag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전체 재료를 일정간격으로 스트라이프형상으로 도포하고, 두께 약 5㎛의 어드레스전극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작하는 PDP를 예를 들어, 40인치급의 NTSC 또는 VGA로 하기 위해서는 이웃하는 2개의 어드레스전극의 간격을 0.4mm 정도 이하로 설정한다.
계속해서, 어드레스전극을 형성한 후면패널유리의 면 전체에 걸쳐 납계 유리 페이스트를 두께 약 20∼30㎛로 도포하여 소성하여 유전체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유전체막과 동일한 납계유리재료를 이용하여 유전체막 상에 이웃하는 어드레스전극의 사이마다 높이 약 60∼100㎛의 격벽을 형성한다. 이 격벽은 예를 들어, 상기 유리재료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반복하여 스크린인쇄하고, 그 후 소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
격벽이 형성되면 격벽의 벽면과, 격벽 사이에서 노출되어 있는 유전체막의 표면에 적색(R)형광체, 녹색(G)형광체, 청색(B)형광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광잉크를 도포하고, 이것을 건조 ·소성하여 각각 형광체층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PDP에 사용되고 있는 형광체재료의 일례를 이하에 열거한다.
적색형광체 : (YxGd1-x)BO : Eu3+
녹색형광체 : Zn2SiO4 : Mn3+
청색형광체 : BaMgAl10O17 : Eu3+(혹은 BaMgAl14O23 : Eu3+)
각 형광체재료는 예를 들어, 평균입자직경 약 3㎛ 정도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형광체잉크의 도포법은 몇가지 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공지의 매니스커스법이라는 미세노즐로부터 매니스커스(표면장력에 의한 가교)를 형성하면서 형광체잉크를 토출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 방법은 형광체잉크를 원하는 영역에 균일히 도포하는데에 적합하다. 또, 본 발명은 이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크린 인쇄법 등 다른 방법도 사용 가능하다.
이상으로 후면패널이 완성된다.
또, 전면패널유리 및 후면패널유리를 소다라임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것은 재료의 일례로서 든 것이고, 이것 이외의 재료라도 된다.
1-2-3. PDP의 완성
제작한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을 밀봉용 유리를 이용하여 접합시킨다. 그 후, 방전공간의 내부를 고진공(1.1 ×10-4Pa) 정도로 배기하고, 이것에 소정의 압력(여기서는 2.7 ×105Pa)으로 Ne-Xe계나 He-Ne-Xe계, He-Ne-Xe-Ar계 등의 방전가스를 봉입한다.
(제 2 실시예)
도 4에, 제 2 실시예에 관한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제 2 실시예의 특징은 표시전극(22, 23)을 라인부(22a∼22c, 23a∼23c)로 구성하면서 제 1, 제 2 방전 갭(S1, S2)을 주방전 갭 G로부터 멀어질수록 좁게 한 것이다. 일례로서, 방전 셀의 각 부분의 치수는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3 = 40㎛,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PDP의 구동시에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제 2 실시예의 PDP에서의 주방전 갭 G, 제 1 전극 갭 S1, 제 2 전 극 갭 S2와 방전전류 피크 수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S1, S2가 G보다 10㎛ 정도 넓더라도 S2가 S1보다 좁은 경우에는 방전피크는 분리하지 않고 단일하게 되므로, 펄스변조에 의한 계조제어를 안정되게 행할 수 있어, 고속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제 1 전극 갭(S1)에서의 방전의 확대는 S1의 위치가 방전이 발생하는 주방전 갭 G에 가깝기 때문에 비교적 자연스럽게 이행된다.
여기서, 제 2 실시예에서는 방전 셀의 각 부분의 치수를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3 = 40㎛,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019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020
1.4mm, 6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21
G
Figure 112002023785371-pct00022
14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23
L1, L2, L3
Figure 112002023785371-pct00024
60㎛, 5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25
S1
Figure 112002023785371-pct00026
150㎛, 4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27
S2
Figure 112002023785371-pct00028
140㎛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6에 제 3 실시예에 관한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제 2 실시예에서는 S1, S2를 등비급수적으로 작게 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제 3 실시예에서는 표시전극(22, 23)을 각각 4개의 라인부(22a∼22d, 23a∼23d)로 구성하여 주방전 갭 G로부터 멀어질수록 각 표시전극 갭 S1∼S3을 이 순서로 등차급수적으로 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4 = 40㎛,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로 각각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이하의 특성도 발휘된다.
도 7은 제 3 실시예의 PDP에서의 주방전 갭 G, 평균전극간격 Save, 각 전 극간격차 △S와 방전전류 피크수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 갭 S1이 주방전 갭 G보다도 10㎛ 정도 넓더라도 평균전극간격 Save가 주방전 갭 G보다 좁고 각 표시전극 갭의 차가 10㎛ 이상이면 방전피크는 단일하게 되어 고속구동이 가능해진다.
도 8의 (a)에 제 2 실시예의 구성(3개의 라인부)과 제 3 실시예의 구성(4개의 라인부)의 각각에서의 전력-휘도특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8의 (b)에 유지전압-전력특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들 그래프에서의 표시점등 영역은 약 4000화소 분이며, 도 8의 (a)의 그래프의 기울기는 효율의 정도를 나타낸다. 도 8의 (a)에서는, 제 3 실시예의 전력-휘도곡선은 제 2 실시예의 전극구조의 전력-휘도곡선과 거의 겹쳐 있고, 제 3 실시예의 PDP의 성능은 제 2 실시예의 PDP의 연장선 상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8의 (b)에서는 동일한 인가전압조건에서, 4개의 라인형상 표시전극구조는 3개의 라인형상 표시전극구조보다 투입전력이 풍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제 2 실시예와 제 3 실시예의 PDP에 각각 동일한 전력을 공급하면 구동시에 거의 동일한 휘도를 얻을 수 있는데, 추가로 제 3 실시예에서는 구동전압 이 비교적 낮아지는 만큼 가스방전패널과 당해 패널구동장치를 포함시킨 전체적인 전력손실이나 회로에 대한 부담을 절감시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제 3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4 = 40㎛,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029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030
1.4mm, 7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31
G
Figure 112002023785371-pct00032
12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33
L1, L2, L3, L4
Figure 112002023785371-pct00034
60㎛, 8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35
S1
Figure 112002023785371-pct00036
130㎛, 7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37
S2
Figure 112002023785371-pct00038
120㎛, 6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39
S3
Figure 112002023785371-pct00040
110㎛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9에 제 4 실시예에 관한 표시전극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제 4 실시예의 특징은 각 표시전극(22, 23)을 각각 4개의 라인부(22a∼22d, 23a∼23d)로 구성하고, 이 중 라인부(22a, 22b, 23a, 23b)보다 라인부(22c, 22d, 23c, 23d)를 폭이 넓게 하여 주방전 갭 G에서 멀어질수록 각 전극 갭 S1∼S3을 이 순서로 등비급수적으로 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 L2 = 30㎛, L3, L4 = 40㎛,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60㎛, 제 3 전극 갭 S3 = 40㎛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이하의 특성도 발휘된다.
도 10에 제 4 실시예의 PDP에서의 방전발광파형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데이터는 PDP의 1셀만을 표시점등시키고, 광화이버를 애벌런치(avalanche) 포토 다이오드와 접속하며, 여기에 1셀만의 광을 도입하여,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구동전압 파형과 동시에 측정한 것이다. 도 10의 발광피크파형은 디지털 오실로스코프 상에서 1000회 분을 누계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고 있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의 PDP에서는 방전발광파형이 단일피크이기 때문에, 구동펄스에서의 방전발광이 단기간(400ns) 이내에 종료하고, 또 피크의 반값폭이 200ns 정도로 매우 급격하게 되어 있다. 또, 구동펄스가 상승하고 나서 발광파형이 최대값을 나타내기까지의 시간(방전지연시간)도 100∼200ns 정도로 짧고, 따라서 1.25㎲ 정도에서의 고속구동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S1∼S3을 등비급수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라인부(22d, 23d) 부근에서의 전계강도가 높아져 방전이 재빨리 종료되기 때문에, 방전의 형성지연이나 통계지연이 감소되어 방전발광피크의 반값폭 및 방전지연의 편차가 감소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PDP에서, 기입기간에서의 방전셀 선택시의 어드레스방전의 방전확률이 저하되면 화면에 플리커가 발생하거나 또는 화면이 거칠어지는 등의 화질의 저하를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어드레스방전의 방전확률이 99.9% 미만이면 화면의 거친 느낌이 증가하고, 99% 미만이면 화면에 플리커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어드레스 방전시의 기입 불량은 적어도 0.1% 이하로 억제해야 한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방전지연의 평균시간이 기입펄스폭의 약 1/3 이하여야 한다.
PDP의 선명도가 NTSC 혹은 VGA 정도이면 주사선 수는 500개 정도이므로, 기입펄스폭은 2∼3㎲ 정도에서 구동이 가능하지만, SXGA 혹은 풀스펙의 하이비전 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주사선 수가 1080개가 되며, 기입 펄스 폭을 1∼1.3㎲ 정도로 구동해야 한다. 이 때문에, 방전 발광이 복수 회 발생하는 전극구조에서는 방전이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이 길기 때문에 고선명화에 대응하기가 어렵다.
이에 대하여, 제 4 실시예에 의한 전극구조를 이용한 PDP는 단일의 방전이 재빨리 종료되고, 방전지연도 매우 짧기 때문에, 고속구동이 가능하고 고선명화가 용이하다.
또, 제 4 실시예에서는 각 유지전극을 4개의 라인형상 표시전극으로 구성하는 전극구조를 이용하고 있으나, 그 이상의 갯수의 라인부(예를 들어, 5개의 라인부)를 갖는 표시전극으로 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 4 실시예에서는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 L2 = 30㎛, L3, L4 = 40㎛,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60㎛, 제 3 전극 갭 S3 = 40㎛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041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042
1.4mm, 7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43
G
Figure 112002023785371-pct00044
12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45
L1, L2
Figure 112002023785371-pct00046
50㎛, 2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47
L3, L4
Figure 112002023785371-pct00048
60㎛, 8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49
S1
Figure 112002023785371-pct00050
130㎛, 7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51
S2
Figure 112002023785371-pct00052
120㎛, 3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53
S3
Figure 112002023785371-pct00054
110㎛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라인폭 L1∼L4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특히 주방전 갭 G에서 가장 먼 라인부의 폭 Ln을 설정하는 경우, 모든 라인부의 평균값을 Lave로 할 때, 관계식 Lave
Figure 112002023785371-pct00055
Ln
Figure 112002023785371-pct00056
{0.35P - (L1 + L2+····Ln-1)}가 성립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L1 및 L2에 대해서는 0.5Lave
Figure 112007049539483-pct00057
L1 및 L2
Figure 112007049539483-pct00058
Lave의 각 관계식이 성립하도록 설정하면 바람직하다는 것이 실험에 의해 명백하게 되었다.
또, 상기 전극폭 L1∼L4를 동일한 폭으로 설치하더라도 본 실시예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 여기서는 4개의 라인부(22a∼22d, 23a∼23d)로 표시전극을 구성하고 있으나, 5개 이상의 라인부를 형성해도 된다.
(제 5 실시예)
도 11에 제 5 실시예에 관한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제 5 실시예의 특징은 표시전극(22, 23)을 각각 동일한 폭의 4개의 라인부(22a∼22d, 23a∼23d)로 구성하고, 전극 갭(S1∼S3)을 주방전 갭 G에서 멀어질수록 등비급수적으로 좁게 한 것이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4 = 40㎛, 제 1 전극 갭 S1 = 120㎛, 제 2 전극 갭 S2 = 90㎛, 제 3 전극 갭 S3 = 67.5㎛로 각각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이하의 특성도 발휘된다.
도 12는 제 5 실시예에 의한 구성의 PDP에서의 주방전 갭 G에 대한 제 1 전극 갭 S1의 비율 (S1/G)와, 전극 갭 비율(α= Sn+1/Sn)에 관한 방전전류 피크 회수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 갭 S1이 주방전 갭 G보다 1.5배 정도 넓더라도(즉 S1/G가 1.5정도이더라도), 전극 갭 비율(α= Sn+1/Sn)이 0.8 이하이면 방전피크는 단일하게 되어 고속구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제 5 실시예에 의한 전극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방전전류피크를 분리하지 않고 안정된 유지방전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펄스변조에 의한 계조제어를 안정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제 5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4 = 40㎛, 제 1 전극 갭 P1 = 120㎛, 제 2 전극 갭 P 2 = 90㎛, 제 3 전극 갭 P3 = 67.5㎛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059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060
1.4mm, 6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61
G
Figure 112002023785371-pct00062
14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63
L1, L2, L3, L4
Figure 112002023785371-pct00064
60㎛, 5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65
P1
Figure 112002023785371-pct00066
150㎛, 4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67
P2
Figure 112002023785371-pct00068
140㎛, 3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69
P3
Figure 112002023785371-pct00070
130㎛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13에 제 6 실시예에 관한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본 제 6 실시예의 특징은 한쌍의 표시전극(22, 23)을 각각 4개의 라인부(22a∼22d, 23a∼23d)로 구성하고, 이 중 라인부(22d, 23d)의 폭을 넓게 하며, 각 전극 갭 S1∼S3을 동일한 값으로 설정한 것이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3 = 40㎛, L4 = 80㎛, 전극간격 S1∼S3 = 70㎛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이하의 특성이 발휘된다.
도 14는 제 6 실시예의 PDP에서의 구동전압파형과 방전전류파형의 시간변화를 나타낸다. 도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6 실시예에서는 방전전류파형이 단일피크이기 때문에, 1회의 구동펄스에서의 방전발광이 1㎲ 이내에 종료하고, 또, 구동펄스가 상승하고 나서 방전전류가 최대값을 나타내기까지의 시간 즉, 방전지연시간이 약 0.2㎲ 정도로 짧다. 따라서, 2∼3㎲ 정도에서의 고속구동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다음의 표 1은 제 6 실시예의 PDP에서의 라인부(22d, 23d)의 폭 L4를 변화시켰을 때의 라인저항값의 변화, 최소어드레스전압 Vdmin 및 방전전류파형의 피크수를 각각 측정했을 때의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Figure 112002023785371-pct00071
이 표 1에서, 제 6 실시예에서는 방전전류의 단일피크를 확보하면서 L4를 증가시켜 라인저항 값을 감소시켜서, 기입기간에서의 어드레스동작에 필요한 어드레스 인가 전압값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제 6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3 = 40㎛, L4 = 80㎛, 전극간격 S1∼S 3 = 70㎛로 하였지만, 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072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073
1.4mm, 6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74
G
Figure 112002023785371-pct00075
14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76
L1, L2, L3
Figure 112002023785371-pct00077
60㎛, L1
Figure 112002023785371-pct00078
L4
Figure 112002023785371-pct00079
3L1, 5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80
S
Figure 112002023785371-pct00081
140㎛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7 실시예)
도 15에 제 7 실시예의 표시전극패턴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제 7 실시예의 특징은 한쌍의 표시전극(22, 23)을 각각 4개의 라인부(22a∼22d, 23a∼23d)로 구성하고, 이 중 라인부(22c, 22d, 23c, 23d)를 폭이 넓게 하고, 각 전극 갭 S1∼S3을 주방전 갭 G에서 멀어질수록 작게 설정한 것이다. 일례로서, 여기서는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 L2 = 30㎛, L3, L4 = 40㎛,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이하의 효과도 얻어진다.
도 16은 제 6 실시예 및 제 7 실시예의 PDP에서의 전력-휘도곡선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PDP에서는 투입하는 전력과 패널휘도는 비례관계에 있지만, 이 관계를 나타내는 전력-휘도곡선은 포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발광효율은 투입전력의 증가에 따라 나빠진다.
그러나,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7 실시예에서는 제 6 실시예와 동일한 전력조건에서도 높은 휘도가 실현되고, 우수한 발광효율이 얻어진다.
또, 제 7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 전극폭 L1∼L3 = 40㎛,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082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083
1.4mm, 6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84
G
Figure 112002023785371-pct00085
14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86
L1, L2
Figure 112002023785371-pct00087
60㎛, 2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88
L3, L4
Figure 112002023785371-pct00089
70㎛, 5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90
S1
Figure 112002023785371-pct00091
150㎛, 4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92
S2
Figure 112002023785371-pct00093
140㎛, 3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94
S3
Figure 112002023785371-pct00095
130㎛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8 실시예)
도 17에 제 8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제 8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표시전극(22, 23)을 각각 4개의 라인부(22a∼22d, 23a∼23d)로 구성하고, 이 중 라인부(22c, 22d, 23c, 23d)를 폭이 넓게 하고, 각 전극 갭 S1∼S3을 주방전 갭 G에서 멀어질수록 작게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당해 표시전극(22, 23)과 전면패널유리(21)의 사이에는 상기 표시전극(22, 23)의 형상패턴에 맞추어 산화루테늄 등의 흑색재료를 함유하는 흑색층(도시생략)을 설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시인성(視認性)을 높이고 있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 L2 = 35㎛, L3 = 45㎛, L4 = 85㎛,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로 각각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이하의 효과도 얻어진다.
도 18은 제 8 실시예의 PDP에서 L4를 변화시킨 경우의 흑 비율과 밝은 부분(明 個所)의 콘트라스트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8에서의 밝은 부분의 콘트라스트는 PDP의 표시 면에 대하여 수직조도 70Lx, 수평조도 150Lx 하에서 백색표시시와 흑색표시시의 휘도 비를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
일반적으로 PDP에서는 형광체층이나 격벽 등이 백색이기 때문에, 패널표시면측의 외광반사가 크고, 밝은 부분에서의 콘트라스트 비는 20∼50 : 1 정도이다. 이에 대하여, 제 8 실시예에서는 L4를 증가시킴으로써, 충분한 방전규모를 얻으면서 상기 흑색층의 효과를 상승시킴으로써, 밝은 부분의 콘트라스트가 약 70 : 1로 매우 높은 비율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 L4의 값과 흑비율을 증가시키면 밝은 부분의 콘트라스트는 더욱 상승하지만, 흑 비율을 지나치게 증가시키면 셀 개구율이 감소되어 휘도가 저하된다(흑 비율이 50%에서는 약 1할 정도 휘도가 저하된다). 이 때문에, 흑 비율은 최대 60% 정도까지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또, 제 8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 L2 = 35㎛, L3 = 45㎛, L4 = 85㎛,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096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097
1.4mm, 60㎛
Figure 112002023785371-pct00098
G
Figure 112002023785371-pct00099
14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00
L1, L2
Figure 112002023785371-pct00101
60㎛, 2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02
L3
Figure 112002023785371-pct00103
70㎛, 2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04
L4
Figure 112002023785371-pct00105
{0.3P - (L1 + L2 + L3}㎛, 5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06
S1
Figure 112002023785371-pct00107
150㎛, 4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08
S2
Figure 112002023785371-pct00109
140㎛, 3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10
S3
Figure 112002023785371-pct00111
130㎛의 범위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상기 흑색층의 재료에는 니켈, 크롬, 철 등의 금속산화물을 함유하는 흑색재료를 이용해도 된다.
(제 9 실시예)
9-1. 표시전극의 구성
도 19에 제 9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본 제 9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표시전극(22, 23)을 각각 4개의 라인부(22a∼22d, 23a∼23d)로 구성하고, 이 중 라인부(22d, 23d)를 폭이 넓게 하고, 각 전극 갭 S1∼S3을 이 순서로 좁게 설정하고 있다. 또, 제 9 실시예의 최대의 특징으로서, 각 라인부(22a∼22d, 23a∼23d)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쇼트바(22Sb1∼22Sb3, 23Sb1∼23Sb3)를 무작위로 배치하고 있다. 쇼트바(22Sb1∼22Sb3, 23Sb1∼23Sb3)는 여기서는 y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띠형으로 하고 있으나, 그 밖의 형상이어도 된다.
제 9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 L2 = 35㎛, L3 = 45㎛, L4 = 85㎛, 제 1 전극 갭 S 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 쇼트바 선폭 Wsb = 40㎛이다.
9-2. 제 9 실시예의 효과
이상의 구성을 갖는 제 9 실시예의 PDP에서도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이하의 효과도 얻어진다.
표 2에 제 9 실시예의 PDP에 관한 성능측정 데이터(쇼트바의 유무, 간격과 단선발생율(회/라인), 라인저항값 및 단선의 회복(repair)성)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L4를 50㎛∼85㎛까지 변화시켰을 때의 성능측정을 하였다. 또, 여기서 말하는 「회복성」이란 단선을 일으킨 라인부(22d, 23d)를 수리할 수 있는 난이도(표 중에서는
Figure 112002023785371-pct00112
, △, ×의 순서로 난이도가 높아지는 것을 나타낸다)를 나타내는 것이다.
Figure 112002023785371-pct00113
이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쇼트바를 설치한 PDP는 쇼트바가 없는 PDP에 비해 라인저항값이 낮고, 단선의 발생확률도 15%에서 0.4%로 저하되어 매우 효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제 9 실시예에서는 각 전극간에 쇼트바를 설치하여 그 위치를 무작위로 배치함으로써, 단선의 발생확률을 감소시켜서 모아레(moire)가 억제된 양호한 표시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제 9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 L2 = 35㎛, L3 = 45㎛, L4 = 85㎛,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로 하였지만, 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114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115
1.4mm, 6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16
G
Figure 112002023785371-pct00117
14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18
L1, L2
Figure 112002023785371-pct00119
60㎛, 2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20
L3
Figure 112002023785371-pct00121
70㎛, 4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22
L4
Figure 112002023785371-pct00123
{0.3P-(Ll + L2 + L3)}㎛, 5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24
S1
Figure 112002023785371-pct00125
150㎛, 4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26
S2
Figure 112002023785371-pct00127
140㎛, 3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28
S3
Figure 112002023785371-pct00129
13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30
Wsb
Figure 112002023785371-pct00131
80㎛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0 실시예)
도 20에 제 10 실시예의 PDP의 격벽(30)에 따른 부분단면도를 나타낸다(도 20에서는 방전공간(38)의 지면 안쪽이 격벽(30)이 된다). 제 10 실시예의 표시전극패턴은 제 9 실시예와 마찬가지이지만,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인부(22d, 23d)의 주방전 갭 G측과 반대측에 상기 라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조격벽(제 2 격벽)(3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보조격벽(34)은 한 쌍의 표시전극(22, 23)을 구획하면서 격벽(제 1 격벽)(30)과 직교하여 매트릭스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10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 극폭 L1, L2 = 35㎛, L3 = 45㎛, L4 = 85㎛, 제 1 전극 갭 S 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 쇼트바 선폭 Wsb = 40㎛, 격벽높이 H = 110㎛, 보조격벽높이 h = 60㎛, 보조격벽정상부 폭 Walt = 60㎛, 보조격벽저부 폭 Walb = 100㎛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9 실시예의 효과에 덧붙여서, 이하의 효과도 얻어진다.
표 3에 제 10 실시예의 PDP에서 Ipg(y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각 셀간에서 이웃하는 라인부(22d, 23d)간의 거리)를 60㎛∼360㎛로 변화시킨 경우 및 보조격벽의 유무와 크로스토크에 의한 방전오류의 유무에 관한 각 데이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2023785371-pct00132
이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조격벽(34)이 없는 경우에는 Ipg가 약 300㎛ 이하가 되면 크로스토크에 기인하는 오 방전이 발생하기 쉽다. 이것은 PDP 구동시에 있어서 표시화면이 거칠어지거나 플리커가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한편, 제 10 실시예에서는 보조격벽(34)에 의해 Ipg가 120㎛ 정도까지 작더라도 크로스토크 등의 오 방전이 발생하지 않아서 양호한 표시성능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방전에 관한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한 하전입자 등의 프라이밍입자나 진공자외영역에서의 공명선이 보조격벽(34)에 의해 방전 셀 주변부에서 인접 셀로 확산하는 것이 억제되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보조격벽(34)의 높이 h(도 20 참조)를 증가시키면 크로스토크의 억제효과는 증가하지만, 격벽(30)의 높이 H와 동일한 정도까지 지나치게 높이면 제조공정시에 양호하게 방전공간(38) 내를 탈기하여 방전가스를 주입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보조격벽(34)의 높이 h는 격벽(30)의 높이 H보다 10㎛ 이상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50㎛ 이상 120㎛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보조격벽(34)의 정상부 폭 Walt 및 저부 폭 Walb는, 너무 넓게 취하면 방전규모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구체적으로는 특히 30㎛ 이상 300㎛ 이하의 폭이 바람직하다.
또, 제 10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 L2 = 35㎛, L3 = 45㎛, L4 = 85㎛,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로 하였지만, 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133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134
1.4mm, 6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35
G
Figure 112002023785371-pct00136
14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37
L1, L2
Figure 112002023785371-pct00138
60㎛, 2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39
L3
Figure 112002023785371-pct00140
70㎛, 2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41
L4
Figure 112002023785371-pct00142
{0.3P - (L1 + L2 + L3}㎛, 5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43
S1
Figure 112002023785371-pct00144
150㎛, 4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45
S2
Figure 112002023785371-pct00146
140㎛, 3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47
S3
Figure 112002023785371-pct00148
13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49
Wsb
Figure 112002023785371-pct00150
80㎛, 5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51
Walt
Figure 112002023785371-pct00152
450㎛, 6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53
h
Figure 112002023785371-pct00154
H-10㎛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이 보조격벽(34)은 다른 실시예에 적용해도 된다.
(제 11 실시예)
11-1. 표시전극의 구성
도 21에 제 11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제 11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표시전극(22, 23)을 각각 4개의 라인부(22a∼22d, 23a∼23d)로 구성하고, 이 중 라인부(22d, 23d)를 폭이 넓게 하며, 각 전극 갭 S1∼S3을 일정하게 하고 있다. 또, 제 11 실시예의 최대의 특징으로서, 각 라인부(22a∼22d, 23a∼23d)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쇼트바(22Sbg, 23Sbg)를 녹색을 표시하는 방전 셀(G셀) 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3 = 40㎛, L4 = 80㎛, 전극간격 S(S1∼S3) = 70㎛, 쇼트바 선폭 Wsb = 40㎛로 하고 있다.
11-2. 제 11 실시예의 효과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이하의 효과도 얻어진다.
즉, 도 22는 제 11 실시예의 PDP에서의 구동전압파형과 방전전류파형의 시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1 실시예에 의한 구성의 전극구조에서는 방전전류파형이 단일피크이기 때문에, 1회의 구동펄스 에서의 방전발광이 1㎲ 이내에 종료하고, 또 구동펄스가 상승하고 나서 방전전류가 최대값을 나타내기까지의 시간 즉, 방전지연시간이 약 0.2㎲ 정도로 짧고, 2∼3㎲ 정도에서의 고속구동이 가능하다.
이어서, 표 4는 제 11 실시예의 PDP에서의 R, G, B 각 셀의 최소유지전압 Vsusmin의 쇼트바 의존성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Figure 112002023785371-pct00155
이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쇼트바가 셀 내에 없는 PDP에서는 R, G, B 각 셀의 Vsusmin이 다르다. 여기서, 패널 전체에서의 최소인가전압은 가장 전압값이 높은 G 셀의 Vsusmin 이상으로 설정하므로, 각 셀마다 Vsusmin이 다르면 구동마진의 하한이 상승하는데, 그 때문에 구동전압의 설정마진이 좁아진다.
이에 대하여 본 제 11 실시예에서는 G 셀 내에 쇼트바(22Sbg, 23Sbg)를 설치함으로써 Vsusmin을 10V 정도 저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R, G, B 사이에서의 Vsusmin의 편차가 작아지고, 인가전압의 설정값을 저하시켜 구동전압마진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는 G 셀에 설치한 쇼트바에 따라서 이 부분에서의 표시전극(22, 23)의 면적이 증가하고, G 셀에 축적되는 벽 전하량이 증가하여 방전개시전압이 저감된 것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 제 11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3 = 40㎛, L4 = 80㎛, 전극간격 S1∼S4 = 70㎛, 쇼트바 선폭 Vsb = 40㎛로 하였으나 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156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157
1.4mm, 6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58
G
Figure 112002023785371-pct00159
14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60
L1, L2, L3
Figure 112002023785371-pct00161
60㎛, L1
Figure 112002023785371-pct00162
L4
Figure 112002023785371-pct00163
3L1, 5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64
S
Figure 112002023785371-pct00165
14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66
Wsb
Figure 112002023785371-pct00167
100㎛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2 실시예)
도 23에 제 12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제 12 실시예는 한쌍의 표시전극(22, 23)을 각각 4개의 라인부(22a∼22d, 23a∼23d)로 구성하고, 이 중 라인부(22d, 23d)를 폭이 넓게 하고, 각 전극 갭 S1∼S3을 주방전 갭 G에서 멀어질수록 좁게 하고 있다. 또, 각 라인부(22a∼22d, 23a∼23d)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쇼트바(22Sbg, 22sbr, 23Sbg, 23sbr)를 녹색을 표시하는 셀(G셀) 내와 적색을 표시하는 셀(R셀) 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3 = 40㎛, L4 = 80㎛,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 쇼트바 선폭 Wsb = 40㎛이다.
이러한 구성은 발광효율의 향상에 덧붙여서 이하의 효과도 얻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즉, R, G, B 각 셀을 구비하는 PDP에서는 일반적으로 R, G, B 각 셀의 Ts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기입기간에서의 어드레스방전시의 방전지연시간도 다르다. 특히, R셀 및 G셀의 Ts가 크기 때문에, 이들 셀에서의 어드레스방전의 확률이 약간 낮고, 기입불량이 비교적 발생하기 쉬운 성질이 있다. 이것은 PDP 구동시에서 플리커 등을 발생하여 화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것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기입펄스전압을 상승시키고 Ts를 감소시켜 기입시의 방전확률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데이터 드라이버회로의 소비전력이 증가하여 소비전력을 증가시킨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생긴다.
이에 대하여, 제 12 실시예는 발광효율의 개선과 함께 상기 문제에 대해서도 해결수단이 된다. 즉, R셀 및 G셀 내에 쇼트바를 설치하고, 이들 셀에서 부분적으로 전극면적을 증가시켜 정전용량을 늘려 Ts의 단기화를 도모한다. 이로 인하여, 종래에 비하여 어드레스방전시의 방전확률이 한자리수 정도 향상되어 플리커 등의 어드레스불량에 의한 화질열화가 개선된다. 또, 종래보다 낮은 어드레스방전전압 (Vdata)이라도 양호한 표시성능이 얻어지기 때문에, 구동전압마진을 확대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표 5는 제 2 실시예에 의한 구성의 PDP에서의 R, G, B 각 셀의 통계지연시간 Ts의 쇼트바 의존성을 나타낸다.
Figure 112002023785371-pct00168
이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즉, 쇼트바가 셀 내에 없는 PDP에서는 R, G, B 각 셀의 Ts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기입기간에서의 어드레스방전시의 방전지 연 시간도 다르다. 한편, 제 12 실시예에 의한 전극구조를 이용한 PDP는 쇼트바를 R셀 및 G셀 내에 배치함으로써 통계지연시간이 개선되어 방전확률의 불균형이 억제되어 있어 우수한 표시성능의 PDP가 실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 12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3 = 40㎛, L4 = 80㎛,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 쇼트바 선폭 Wsb = 40㎛로 하였으나,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169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170
1.4mm, 6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71
G
Figure 112002023785371-pct00172
14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73
L1, L2, L3
Figure 112002023785371-pct00174
60㎛, L1
Figure 112002023785371-pct00175
L4
Figure 112002023785371-pct00176
3L1, 5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77
S1
Figure 112002023785371-pct00178
150㎛, 4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79
S2
Figure 112002023785371-pct00180
140㎛, 3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81
S3
Figure 112002023785371-pct00182
13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83
Wsb
Figure 112002023785371-pct00184
100㎛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3 실시예)
도 24에 제 13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제 12 실시예와의 차이는 쇼트바(22sbb, 23sbb)를 청색을 표시하는 셀(B셀) 내에만 배치한 것이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3 = 40㎛, L4 = 80㎛,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 쇼트바 선폭 Wsb = 40㎛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발광효율의 향상에 덧붙여서 이하의 효과도 얻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종래의 PDP에서는 일반적으로 R, G, B 각 셀의 휘도의 밸런스를 취하기가 어렵고, 패널의 색온도가 5000∼7000K 정도에 머물러 있다. 이 패널의 색온도를 11000K 정도까지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PDP 구동시의 G셀이나 R셀의 휘도를 떨어뜨려 B셀의 휘도·색도에 맞춤으로써 화이트밸런스를 취하는 방법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디스플레이의 표시 휘도가 저하된다는 큰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제 13 실시예는 발광효율의 개선과 함께, 상기 문제점에 대해서도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B셀 내에 쇼트바(22sbb, 23sbb)를 설치함으로써 B셀에서의 전극면적을 증가시켜 G셀, R셀에 대한 상대휘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표시휘도를 손상시키지 않고 패널의 색온도를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표 3은 제 13 실시예에 의한 구성의 PDP에서의 백색표시시의 색온도의 쇼트바 의존성을 나타낸다.
Figure 112002023785371-pct00185
이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3 실시예의 PDP는 B셀 내에 배치한 쇼트바(22sbb, 23sbb)에 의해 색온도가 9500∼13000K로 매우 높은 PDP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제 13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3 = 40㎛, L4 = 80㎛, 제 1 전극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 쇼트바 선폭 Wsb = 40㎛으로 하였지만, 제 13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186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187
1.4mm, 6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88
G
Figure 112002023785371-pct00189
14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90
L1, L2, L3
Figure 112002023785371-pct00191
60㎛, L1
Figure 112002023785371-pct00192
L4
Figure 112002023785371-pct00193
3L1, 5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94
S1
Figure 112002023785371-pct00195
150㎛, 4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96
S2
Figure 112002023785371-pct00197
140㎛, 30㎛
Figure 112002023785371-pct00198
S3
Figure 112002023785371-pct00199
130㎛, 10 ㎛
Figure 112002023785371-pct00200
Wsb
Figure 112002023785371-pct00201
100㎛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4 실시예)
도 25에 제 14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제 12 실시예와의 차이는 쇼트바(22sb)를 스캔전극(22)에만 배치한 것이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3 = 40㎛, L4 = 80㎛,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 쇼트바 선폭 Wsb = 40㎛로 설정하고 있다.
여기서, 쇼트바(22sb)는 R, G, B 각 셀의 어떤 스캔전극(22)에 설치해도 된다. 제 14 실시예에서는 모든 셀에 쇼트바(22sb)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발광효율의 향상에 덧붙여서, 이하의 효과도 얻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즉, 일반적으로 PDP에서는 특정한 발광화소를 선택하는 기입기간에 앞서, 패널 내의 모든 방전 셀의 벽전하의 상태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초기화 방전을 적어도 1필드에 1회 이상 행할 필요가 있다. 이 초기화시에 패널 내의 모든 방전 셀이 일제히 발광(초기화 발광)하기 때문에 구동시에 패널에서 흑색을 표시하더라도 정확히 재현되지 않아(즉, 완전한 비점등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콘트라스트비가 뛰어나지 않은 원인이 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의 PDP에서는 예를 들어, 콘트라스트가 500 : 1 정도였다.
이에 대하여, 제 14 실시예의 PDP에서는 스캔전극(22)에 설치한 쇼트바(22sb)에 의해 스캔전극(22)의 면적이 증가되어 당해 스캔전극(22)에 축적되는 벽전하량이 증가된다. 이로 인하여, 벽전압이 증가하여 방전개시전압이 저하되므로, 초기화 방전시의 패널투입전력이 저하되고, 이 때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되어 우수한 표시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표 7은 제 14 실시예에 의한 구성의 PDP에서의 초기화 전압(Vset) 및 콘트라스트의 쇼트바 의존성을 나타낸다.
Figure 112002023785371-pct00202
이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쇼트바가 없는 비교예에 비하여 쇼트바를 스캔전극에 설치한 PDP(제 14 실시예)에서는 Vset가 저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이로 인하여, 콘트라스트가 종래의 2배로 개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 14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3 = 40㎛, L4 = 80㎛,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 쇼트바 선폭 Wsb = 40㎛로 하였으나, 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203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204
1.4mm, 6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05
G
Figure 112002023785371-pct00206
14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07
L1, L2, L3
Figure 112002023785371-pct00208
60㎛, L1
Figure 112002023785371-pct00209
L4
Figure 112002023785371-pct00210
3L1, 5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11
S1
Figure 112002023785371-pct00212
150㎛, 4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13
S2
Figure 112002023785371-pct00214
140㎛, 3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15
S3
Figure 112002023785371-pct00216
13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17
Wsb
Figure 112002023785371-pct00218
100㎛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5 실시예)
도 26에 제 15 실시예에 의한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제 14 실시예와의 차이는 쇼트바(22sb)를 스캔전극(22)의 중앙(라인부(22b, 22c)의 사이)에 배치한 것이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3 = 40㎛, L4 = 80㎛,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 쇼트바 선폭 Wsb = 40㎛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상기 제 14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쇼트바(22sb)를 스캔전극(22)의 중앙부에 설치함으로써 셀 내에서의 발광휘도분포가 가장 높은 주방전 갭 G 부근의 셀 개구율을 유지하면서, 비교적 넓은 전극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5 실시예에 의하면, 단순한 복수라인구조의 표시전극보다 양호한 패널휘도가 확보된다.
표 8은 제 5 실시예에 의한 구성의 PDP에서의 데이터전압(Vdata)의 쇼트바 의존성을 나타낸다.
Figure 112002023785371-pct00219
이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쇼트바(22sb)를 설치한 셀에서는 초기화 전압(Vset)의 저감화에 성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구동시의 어드레스 방전전압의 펄스에는 200∼400V/㎲ 정도의 상승속도가 필요하게 된다. 어드레스방전에 관한 무효전력 WLd는,
WLd = Cp ·Vdata 2 ·f
(Vdata : 어드레스 방전전압, Cp : 패널정전용량, f : 기입주파수)
로 나타내고, 데이터전압의 2승에 비례한다. 제 15 실시예에서는 어드레스 방전전압을 종래보다 2할 정도 삭감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무효전력 WLd는 종래보다 36% 정도까지 저하시킬 수 있다.
또, 제 15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3 = 40㎛, L4 = 80㎛,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 쇼트바 선폭 Vsb = 40㎛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220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221
1.4mm, 6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22
G
Figure 112002023785371-pct00223
14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24
L1, L2, L3
Figure 112002023785371-pct00225
60㎛, L1
Figure 112002023785371-pct00226
L4
Figure 112002023785371-pct00227
3L1, 5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28
S1
Figure 112002023785371-pct00229
150㎛, 4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30
S2
Figure 112002023785371-pct00231
140㎛, 3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32
S3
Figure 112002023785371-pct00233
13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34
Wsb
Figure 112002023785371-pct00235
100㎛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 15 실시예에서는 쇼트바(22sb)를 스캔전극(22)의 중앙(라인부 (22b, 22c의 사이)에 설치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 이외에 예를 들어, 라인부 (22c, 22d) 사이에 설치해도 된다.
(제 16 실시예)
도 27에 제 16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제 15 실시예와의 차이는 쇼트바(22sb)를 스캔전극(22)의 라인부(22a, 22b)의 사이에만 배치한 것이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3 = 40㎛, L4 = 80㎛, 제 1 전극 갭 S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 쇼트바 선폭 Vsb = 40㎛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상기 제 14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제 16 실시예에서는 쇼트바(22sb)를 라인부(22a, 22b)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주방전 갭 G 부근의 벽전하량 혹은 벽전압이 증가되고, Vset, Vdata가 저하되어 초기화 방전이나 어드레스방전이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 Vset 및 Vdata의 저하에 수반되어 초기화 불량 혹은 어드레스 불량이 개선되므로, 구동마진이 넓어져서 Vsus도 저감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양호하게 패널의 소비전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표 9는 제 16 실시예의 PDP에서의 Vset, Vsus, Vdata의 쇼트바 의존성을 나타낸다.
Figure 112002023785371-pct00236
이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쇼트바가 없는 전극구조의 패널에 비하여 쇼트바를 스캔전극의 주방전 갭측에 설치한 패널에서는 Vset, Vsus, Vdata가 모두 구동전압의 저감에 성공하고 있다.
또, 제 16 실시예에서는 방전 셀의 각 부분의 치수를 화소피치 P = 1.08mm, 주방전 갭 G = 80㎛, 전극폭 L1∼L3 = 40㎛, L4 = 80㎛, 제 1 전극갭 S 1 = 90㎛, 제 2 전극 갭 S2 = 70㎛, 제 3 전극 갭 S3 = 50㎛, 쇼트바 선폭 Wsb = 40㎛ 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237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238
1.4mm, 6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39
G
Figure 112002023785371-pct00240
14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41
L1, L2, L3
Figure 112002023785371-pct00242
60㎛, L1
Figure 112002023785371-pct00243
L4
Figure 112002023785371-pct00244
3L1, 5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45
S1
Figure 112002023785371-pct00246
150㎛, 4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47
S2
Figure 112002023785371-pct00248
140㎛, 30㎛S4
Figure 112002023785371-pct00250
13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51
Wsb
Figure 112002023785371-pct00252
100㎛의 범위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 16 실시예에서는 쇼트바(22sb)를 R, G, B 각 색 모든 셀에 설치하면서 R, G, B 각 셀에 대응하는 쇼트바의 면적 SbR, SbG, SbB를 SbB
Figure 112002023785371-pct00253
SbR
Figure 112002023785371-pct00254
SbG로 하면 R, G 각 셀의 벽전하가 B셀의 벽전하에 대하여 증가하고, 어드레스방전시의 Ts가 감소하여, R, G, B 각 셀간의 방전지연의 차가 저감된다는 효과가 얻어지므로 바람직하다.
(제 17 실시예)
17-1. 표시전극의 구성
도 28에 제 17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제 17 실시예의 특징은 상기한 제 1 실시예∼제 16 실시예와는 크게 다르다. 즉, 여기서는 표시전극(22(23))을 라인부(221(231))와, 이것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면서 주방전 갭 G측에 설치된 내측 돌출부(222(232))로 구성하고 있다. 내측 돌출부(222, 232)는 서로 상하를 평행하게 대향시킨 내부를 제거한 사다리꼴형상의 패턴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전극길이 L = 0.37mm, Wf = 220㎛로 하였다. 또, 표시전극(22, 23)의 라인저항을 저하시키기 위해 내측 돌출부의 선폭 W2
Figure 112002023785371-pct00255
라인부 폭 W1로 하고 있다.
이러한 표시전극의 패턴은 PDP 구동시의 방전전류파형피크가 단일하게 되도록 하면서 우수한 발광효율이 얻어지도록 설정한 것이다.
17-2. 실시예의 효과
이상의 구성에 의해서도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즉, 방전개시시에는 비교적 가는(전극면적이 작은) 돌출부(222, 232)에서 적은 정전용량으로 방전을 개시할 수 있고, 그 후는 라인부(221, 231)의 갭으로까지 방전규모를 확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전개시전압을 억제할 수 있어, 양호한 전력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이것에 덧붙여 표시전극(22, 23)에서 발생하는 방전의 전류파형이 단일피크이기 때문에, 1회의 구동펄스에서의 방전발광이 1㎲ 이내에 종료한다. 이것에 덧붙여서 구동펄스가 상승하고 나서 방전전류가 최대값을 나타내기까지의 시간(즉 방전지연시간)이 약 0.2㎲ 정도로 짧으므로, 수㎲ 정도에서의 고속구동이 가능하여 높은 그래픽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9는 제 17 실시예의 PDP에서의 W1=W2로 하였을 때의 표시전극의 면적과 휘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극폭이 40㎛ 이하에서는 표시전극의 면적이 감소하고, 방전전류가 감소하기 때문에, 휘도가 감소된다. 반대로, 전극폭이 80㎛ 이상에서는 표시전극면적이 증가하여 개구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휘도가 감소된다. 이 때문에, 제 17 실시예에서는 전극폭(라인부와 내측 돌출부의 각 폭)이 40∼80㎛의 범위에서 패널휘도가 극대가 된다.
한편, 발광효율은 도 29에서 각 점과 원점을 연결하는 직선의 기울기로 나타낸다. 도 29에 의하면, 발광효율을 위해서는 전극 폭이 가는 편이 좋다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실제의 제작방법을 고려하면, 전극 폭은 각각 40
Figure 112007049539483-pct00256
W1
Figure 112007049539483-pct00257
80(㎛), 10
Figure 112007049539483-pct00258
W2
Figure 112007049539483-pct00259
4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7 실시예에서는 방전 셀의 각 부분의 치수는 화소피치 P = 1.08mm, 격벽간격을 화소피치 P의 3분의 1, 전극길이 L = 0.37mm, Wf = 220㎛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9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260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261
1.4mm, 0.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262
L <0.4mm, 0.08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263
Wf
Figure 112002023785371-pct00264
0.4mm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돌출부(222, 232)의 y방향 측면부를 격벽(30)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면, 격벽(30) 근처의 형광체층(31∼33)의 벽전하를 이용하여 방전규모가 커지므로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하의 제 18 실시예∼제 24 실시예 중 어디에 적용해도 된다.
(제 18 실시예)
도 30에 제 18 실시예에 의한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제 17 실시예와 차이는 돌출부(222, 232)가 중공의 직사각형상패턴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 때, 전극선폭은 제 17 실시예와 동일한 목적으로 W2
Figure 112002023785371-pct00265
W1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거의 제 17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1은 제 18 실시예의 PDP에서의 W1 = W2로 하였을 때의 전극면적과 휘도의 관계이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극폭이 40㎛ 이하에서는 전극면적이 감소하여 방전전류가 감소하기 때문에, 휘도가 감소하고, 반대로, 전극면적이 70㎛ 이상에서는 전극면적의 증가에 의해 개구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휘도가 감소한다. 이 때문에, 제 18 실시예에서는 전극폭이 50∼80㎛의 범위에서 휘도가 극대가 된다. 한쪽의 발광효율은 도 31에서는 각 점과 원점을 연결하는 곡선의 기울기로 나타내기 때문에, 전극 폭은 가는 편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의 실제의 제작조건을 감안하여 정리하면 전극 폭은 각각 40
Figure 112007049539483-pct00266
W1
Figure 112007049539483-pct00267
70(㎛), 10
Figure 112007049539483-pct00268
W2
Figure 112007049539483-pct00269
40(㎛)가 바람직하다.
또, 제 18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1.08mm, 격벽 간격을 화소 피치 P의 3분의 1, 전극길이 L = 0.37mm, Wf = 220㎛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9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270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271
1.4mm, 0.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272
L<0.4mm, 0.08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273
Wf
Figure 112002023785371-pct00274
0.4mm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9 실시예)
도 32의 (a), (b)에 제 19 실시예에 관한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2의 (a)는 사다리꼴 돌출부를 갖고, 도 32의 (b)는 삼각형 돌출부를 갖는 표시전극(22, 23)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들의 제 19 실시예와 제 17 실시예와의 주된 차이는 주방전 갭 G로부터 멀어질수록 돌출부 폭 W2, W3의 폭을 이 순서로 가늘게 한 점에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제 17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이하의 효과도 얻어진다.
즉, PDP 구동시에서, 폭이 넓은 돌출부 폭 W2를 갖는 돌출부(222)부분에서 충분한 양의 정전용량을 확보함으로써, 주방전 갭 G 부근에서 원활하게 방전을 개시한 후, 방전 플라즈마가 방전전극(여기서는 표시전극)의 외측으로 성장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돌출부 폭 W3을 가늘게 해도 양호한 방전규모가 얻어진다. 이 가는 돌출부 폭 W3에 의해 방전플라즈마를 형광체가 도포된 격벽(30) 부근까지 유도하여 플라즈마 밀도의 저하가 억제된다. 이에 따라, 종래보다 방전에 필요하던 정전용량이 적어져 PDP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3은 제 19 실시예에 의한 구성의 PDP에서의 W1 = W2로 하였을 때의 전극면적과 휘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극폭이 50㎛ 이하에서는 전극면적이 감소하여 방전전류가 감소하기 때문에, 휘도가 감소한다. 또, 전극폭이 120㎛ 이상에서는 전극면적이 증가하여 개구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휘도가 감소한다. 이 밸런스를 취하기 위해, 제 19 실시예에서는 전극폭이 80∼120㎛의 범위에서 휘도가 극대가 된다. 한편, 발광효율은 각 점과 원점을 연결하는 직선의 경사로 나타내기 때문에, 전극폭은 가는 편이 좋다. 이 때문에, 전극폭은 각각 5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75
W1
Figure 112002023785371-pct00276
100(㎛),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77
W2
Figure 112002023785371-pct00278
50(㎛)가 바람직하다. 또, W3에서는 10
Figure 112002023785371-pct00279
W3
Figure 112002023785371-pct00280
4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제 20 실시예)
도 34의 (a), (b)에 제 20 실시예에 관한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4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0 실시예의 표시전극(22, 23)은 모두 라인부(221, 231)와, y방향을 길이로 하는 띠형상의 내측 돌출부(222, 232)를 구비하고 있다. 셀 내에서 하나의 표시전극(22(23))에는 2개의 내측 돌출부(222(232))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는, 전극폭의 관계를 W2
Figure 112002023785371-pct00281
W1로 하고 있고, 상기 제 17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도모하고 있다.
또, 제 20 실시예의 특징으로서, 도 34의 (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개의 내측 돌출부(222(232)) 사이의 라인부(221(231)) 폭 W3이 굵게 되어 있고, 당해 라인부(221(231))의 전기저항값을 저하시키면서 PDP 구동시의 초기화 발광을 상기 라인부(221(231))에서 차폐함으로써, 콘트라스트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도 34의 (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표시전극(22, 23)에 외측 돌출부(223, 233)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PDP 구동시에 라인부(221, 231)로부터 외측으로까지 방전규모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5는 제 20 실시예의 PDP에서의 W1 = W2로 하였을 때의 전극면적과 휘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3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극폭이 40㎛ 이하에서는 전극면적이 감소하여 방전전류가 감소하기 때문에, 패널휘도가 저하된다. 반대로, 전극폭이 70㎛ 이상에서는 전극면적의 증가에 의해 셀 개구율이 감소하여 패널휘도가 저하된다. 이 밸런스를 취하기 위해, 제 20 실시예에서는 전극폭이 40∼70㎛의 범위에서 휘도가 극대가 되므로 바람직하다. 한편, 발광효율은 도 35에서, 각 점과 원점을 연결하는 직선의 기울기로 나타내기 때문에, 전극 폭은 가는 편이 좋다. 이 때문에, 전극 폭으로서는 각각 40
Figure 112007049539483-pct00282
W1
Figure 112007049539483-pct00283
70(㎛), 10
Figure 112007049539483-pct00284
W2
Figure 112007049539483-pct00285
70(㎛)가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36에 제 20 실시예에서의 셀의 휘도분포의 시산(試算) 결과를 나타낸다. 휘도분포는 전극을 분할하여 분할된 각 부분의 전극면적에 비례하여 휘도 분포의 적분값을 분배하여, 각각의 분포가 서로 중첩하는 셀 내부의 휘도분포로 하고, 셀 개구부로부터 가시광이 인출되는 것으로 하여 시산을 행하였다.
도 3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라즈마 생성부분(방전개시부분)이 셀의 중심부(주방전 갭 G 부근)에 있고, 셀의 외측으로 향하여 플라즈마가 성장하기 때문에, 셀의 중심부분의 휘도가 높다. 이 때문에, 띠형상의 내측 돌출부(222, 232)를 갖는 본 제 20 실시예에서는 플라즈마 생성부분과 성장부분의 중앙을 따라 셀 개구부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양호한 패널휘도와 발광효율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표 10에 제 17 실시예와 제 20 실시예의 PDP의 패널휘도와 발광효율의 비교를 나타낸다.
Figure 112002023785371-pct00286
이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0 실시예의 PDP는 고휘도이며 우수한 PDP를 실현할 수 있다. 이것은 내측 돌출부(222, 232)와 외측 돌출부(223, 233)를 조합하여 표시전극(22, 23)을 구성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제 20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격벽간격을 화소 피 치 P의 3분의 1, 전극길이 L = 0.37mm, 내측 돌출부의 합계폭 Wf = 220㎛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9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287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288
1.4mm, 0.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289
L< 0.4mm, 0.08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290
Wf
Figure 112002023785371-pct00291
0.4mm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 21 실시예)
도 37의 (a), (b)에 제 21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제 17 실시예와의 차이는 내측 돌출부(222, 232)의 형상을 중공의 삼각형상 또는 중공의 포탄형상으로 하고, 서로 대향하는 내측 돌출부(222, 232)의 정점이 어긋나도록 표시전극(22, 23)의 형상패턴을 셀 중심점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배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내측 돌출부(222, 232)의 정점이 어긋나도록 배치하면 특히, 셀크기가 작은 경우에 비교적 큰 표시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방전 플라즈마의 이동거리(확대규모)가 길어지기(커지기) 때문에, 보다 많은 형광체 표면을 여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패널휘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제 17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이하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38은 제 21 실시예의 PDP에서의 W1 = W2로 하였을 때의 표시전극의 면적과 패널휘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3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극폭이 50㎛ 이하에서는 전극면적이 감소하여 방전전류가 감소하기 때문에, 휘도가 감소하고, 반대로, 전극폭이 80㎛ 이상에서는 전극면적의 증가에 의해 개구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휘도가 감소된다. 이 때문에, 도 6의 전극패턴에서는 전극폭이 50∼80㎛의 범위에서 휘도가 극대가 된다. 한편, 발광효율은 각 점과 원점을 연결하는 직선의 기울기로 나타내기 때문에, 전극 폭은 가는 편이 좋다. 이 때문에, 전극 폭은 각각 50
Figure 112007049539483-pct00292
W1
Figure 112007049539483-pct00293
80(㎛), 10
Figure 112007049539483-pct00294
W2
Figure 112007049539483-pct00295
50(㎛)가 바람직하다.
이어서, 표 11에 제 17 실시예와 제 21 실시예의 패널휘도 및 발광효율의 비교를 나타낸다.
Figure 112002023785371-pct00296
이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1 실시예의 PDP는 제 17 실시예의 PDP 이상으로 우수한 발광효율과 고휘도를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 21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화소피치 P = 1.08mm, 격벽 간격을 화소피치 P의 3분의 1, 전극길이 L = 0.37mm, Wf = 220㎛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9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297
P
Figure 112002023785371-pct00298
1.4mm, 0.05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299
L< 0.4mm, 0.08mm
Figure 112002023785371-pct00300
Wf
Figure 112002023785371-pct00301
0.4mm의 범위이더라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 22 실시예)
22-1. 표시전극의 구성
도 39의 (a), (b)에 제 22 실시예에 의한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제 22 실시예에서는 도 39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유지전극(23)이 라인부와 돌출부(232a, 232b)로 구성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y방향 상하로 향하여 마름모꼴(도 39의 (a)) 또는 변형 육각형(도 39의 (b))의 돌출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돌출부(232a, 232b)와 대향하도록 라인부(22a, 22b)로 구성되는 스캔전극(22)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22 실시예에서는 셀 내에 주방전 갭이 2개소 설치되어 있다. 도 39에서 라인부(22a, 22b, 231)의 폭 W1은 돌출부(232a, 232b)의 폭 W2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있고, 라인부(22a, 22b, 231)에서의 정전용량의 저감이 도모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7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이하의 효과도 얻어진다.
표 12에 제 17 실시예와 제 22 실시예에서의 표시전극과 패널휘도 등의 성능비교 데이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2023785371-pct00302
이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7 실시예에 비하여 제 22 실시예에서는 패널휘도 및 발광효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유지방전은 PDP 구동시에서 주방전 갭 G 부근으로부터 시작되고, 이 주방전 갭 G 부근의 발광휘도가 가장 높은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주방전 갭 G를 2개소 갖는 제 22 실시예에서는 우수한 패널휘도를 발휘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 제 22 실시예에서는 스캔전극(22)의 라인부(22a, 22b) 사이에 유지전극(23)이 삽입되는 구성을 나타내었으나, 이것과는 반대로, 유지전극(23)을 라인부(23a, 23b)로 구성하고, 이 사이에 스캔전극(22)이 삽입되어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제 23 실시예)
도 40의 (a), (b)에 제 23 실시예에서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제 22 실시예와의 차이는 셀 내에 유지전극(23)이 삽입되도록 스캔전극(22)의 라인부(22a, 22b)를 설치하고, 당해 라인부(22a, 22b)로부터 유지전극(23)에 대향하여 중공사다리꼴형상(도 40의 (a)) 혹은 중공삼각형상(도 40의 (b))의 돌출부(222a, 232a)를 설치함으로써 셀 내에 2개소의 주방전 갭 G를 확보하고 있는 점이다.
이러한 구성은 이하의 이유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즉, 최근 들어 본 발명자들은 AC형 PDP에서의 셀 내의 방전이 발생할 때의 플라즈마의 성장과정을 Xe 발광의 시간공간분해측정 등에 의해 상세하게 검토해왔다. 그리고, 동일 플레이트면 상에 형성된 한쌍의 표시전극(22, 23)에서는 방전에 관한 플라즈마는 주방전 갭 G에 면한 양극측의 표시전극의 측단부로부터 발생하고, 음극측의 표시전극의 측단부로 향하여 글로우가 성장하여 당해 방전이 셀 내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 이것과 거의 동시에, 상기 양극측의 표시전극 상에도 발광개소가 생기고, 그 발광위치는 방전이 지속되는 기간 중에 거의 불변인 것을 관찰하였다.
제 23 실시예는 이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유지방전을 시작하는 2개의 주방전 갭 G가 셀 내의 중앙부분에 위치하고, 이 2개의 주방전 갭 G에서 생긴 충분한 휘도의 방전이 서서히 돌출부(222a, 232a)를 따라 라인부(221a, 231a)에까지 넓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제 17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이하의 효과도 얻어진다.
표 13에 제 17, 22, 23 실시예의 각 PDP에서의 표시성능비교(패널휘도 및 발광효율의 비교)를 나타낸다.
Figure 112002023785371-pct00303
이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제 17 실시예 및 제 22 실시예에 비하여, 상기 효과에 의해 제 23 실시예의 패널휘도 및 발광효율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 23 실시예에서는 제 2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표시전극 패턴을 그대로 하고 스캔전극(22)과 유지전극(23)을 교체한 구조로 해도 된다.
(제 24 실시예)
도 41의 (a), (b)에 제 24 실시예의 표시전극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제 24 실시예의 특징은 표시전극(22, 23)이 라인부(221, 231)와, y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띠형상의 라인형상 돌출부(도 41의 (a)) 또는 갈고리형상 돌출부(도 41의 (b))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 예에서는, 도 41의 (a)에서는 돌출부(222, 232)의 최단거리가 주방전 갭 G가 되고, 도 41의 (b)에서는 돌출부(232)의 선단(돌출부(222))과 돌출부(232)(돌출부(222)의 선단)의 최단거리가 이것에 상당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제 17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외에, 이하의 효과도 얻어진다.
즉, 종래는 주방전 갭 G를 크게 확보함으로써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는 경우가 있으나, 이것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높은 방전개시전압이 필요하게 된다. 이 대책으로서 셀 내의 방전가스압을 저하시키거나 방전가스 중의 Xe 농도를 저하시켜 방전개시전압을 억제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것에 의하면 패널휘도가 저하되므로 발광효율이 우수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제 24a 및 24b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표시전극(22, 23)이 형성하는 주방전 갭 G의 영역(제 24a 및 24b 실시예에서는 돌출부(222, 232)의 y방향을 따른 측면)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갭값이 작아도 양호한 발광효율이 얻어지게 되어 있다.
다음의 표 14에 제 17 실시예와 제 24a 및 24b 실시예에 의한 PDP의 성능비 교 데이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2023785371-pct00304
이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4a 및 24b 실시예에서는 패널휘도 및 발광효율이 모두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y방향을 따라 긴 돌출부(222, 232)에 충분한 정전량이 확보되어 양호한 방전규모와 발광효율이 확보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특히, 고선명도의 재현화상이 가능한 하이텔레비전에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4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대향하여 설치된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방전가스가 봉입된 복수의 셀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되고, 당해 매트릭스의 행 방향으로 R, G, B의 각 색에 대응한 형광체 층이 셀 내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기판 중 제 1 기판의 제 2 기판에 대향하는 면 상에 유지전극 및 스캔전극을 한 쌍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복수 쌍의 표시전극이 복수의 셀에 걸치는 상태로 배치된 가스방전패널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 및 상기 스캔전극은, 각각 주 방전 갭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매트릭스의 행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라인의 라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R, G, B의 형광체 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맞추어서 상기 유지전극 또는 상기 스캔전극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서 인접하는 2개의 라인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또한, 구동시에, 상기 표시전극의 방전전류 파형의 피크가 단일하게 되도록,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라인부 간의 라인부 갭과 주 방전 갭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전패널.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R, G, B의 형광체 층의 모두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고, 당해 R, G, B의 형광체 층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하는 접속부의 각각의 면적을 SbR, SbG, SbB라고 할 때에, 관계식 SbB
    Figure 712007004759125-pct00315
    SbR
    Figure 712007004759125-pct00316
    SbG가 성립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방전패널.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KR1020027009544A 2000-01-25 2001-01-25 가스방전패널 Expired - Fee Related KR100807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15302 2000-01-25
JPJP-P-2000-00015302 2000-01-25
JPJP-P-2000-00253723 2000-08-24
JP2000253723 2000-08-24
JPJP-P-2000-00258661 2000-08-29
JP2000258661 2000-08-29
JPJP-P-2000-00260391 2000-08-30
JP2000260391 2000-08-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649A Division KR100879689B1 (ko) 2000-01-25 2001-01-25 가스방전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021A KR20020069021A (ko) 2002-08-28
KR100807941B1 true KR100807941B1 (ko) 2008-02-28

Family

ID=27480952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5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07941B1 (ko) 2000-01-25 2001-01-25 가스방전패널
KR102008700690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8406B1 (ko) 2000-01-25 2001-01-25 가스방전패널
KR1020087019469A Withdrawn KR20080078744A (ko) 2000-01-25 2001-01-25 가스방전패널
KR102008700691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8405B1 (ko) 2000-01-25 2001-01-25 가스방전패널
KR102008700690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80774B1 (ko) 2000-01-25 2001-01-25 가스방전패널
KR10200770276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9689B1 (ko) 2000-01-25 2001-01-25 가스방전패널
KR10200870194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9742B1 (ko) 2000-01-25 2001-01-25 가스방전패널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90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8406B1 (ko) 2000-01-25 2001-01-25 가스방전패널
KR1020087019469A Withdrawn KR20080078744A (ko) 2000-01-25 2001-01-25 가스방전패널
KR102008700691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8405B1 (ko) 2000-01-25 2001-01-25 가스방전패널
KR102008700690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80774B1 (ko) 2000-01-25 2001-01-25 가스방전패널
KR10200770276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79689B1 (ko) 2000-01-25 2001-01-25 가스방전패널
KR10200870194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9742B1 (ko) 2000-01-25 2001-01-25 가스방전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07259B2 (ko)
KR (7) KR100807941B1 (ko)
CN (1) CN1263067C (ko)
TW (1) TW523774B (ko)
WO (1) WO20010560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3005B2 (en) 2000-07-05 2006-11-07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the same
KR100870351B1 (ko) * 2000-08-18 2008-11-25 파나소닉 주식회사 가스방전패널
TW556241B (en) * 2001-02-14 2003-10-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anel for discharging within cells positioned on a pair of line electrodes
US7323818B2 (en) * 2002-12-27 2008-01-29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US7315122B2 (en) * 2003-01-02 2008-01-01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US7605537B2 (en) * 2003-06-19 2009-10-20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bus electrodes extending across areas of non-discharge regions
US7327083B2 (en) * 2003-06-25 2008-02-05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US7425797B2 (en) * 2003-07-04 2008-09-16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protrusion electrode with indentation and aperture
US20050001551A1 (en) * 2003-07-04 2005-01-06 Woo-Tae Kim Plasma display panel
US7208876B2 (en) * 2003-07-22 2007-04-24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EP1517349A3 (en) 2003-09-18 2008-04-09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imited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589369B1 (ko) * 2003-11-29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9048B1 (ko) 2004-04-20 2007-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58740B1 (ko) * 2004-06-18 2006-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0770B1 (ko) * 2004-10-11 2007-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캔 전극과 서스테인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DE602005009107D1 (de) * 2004-11-17 2008-10-02 Samsung Sdi Co Ltd Plasma Anzeigetafel
US20060125398A1 (en) * 2004-11-23 2006-06-15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KR100578936B1 (ko) 2004-11-30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747257B1 (ko) * 2004-12-16 200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3437B1 (ko) * 2004-12-31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9541B1 (ko) * 2005-01-11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74907B1 (ko) * 2005-02-01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7782B1 (ko) * 2005-04-06 2007-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117409A (ko) * 2005-05-10 2006-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9039B1 (ko) 2005-06-30 2007-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8723B1 (ko) * 2005-08-01 2006-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9557B1 (ko) * 2005-08-13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단자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WO2007023568A1 (ja) * 2005-08-26 2007-03-01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imite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30143B1 (ko) * 2005-08-30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단자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KR100722264B1 (ko) * 2005-11-04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22263B1 (ko) * 2005-11-04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7244B1 (ko) * 2005-11-04 2007-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80679B1 (ko) * 2006-05-30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2250B1 (ko) 2006-05-30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2252B1 (ko) * 2006-05-30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55327B1 (ko) * 2006-06-13 200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13230A (ko) * 2006-08-07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11605B1 (ko) 2006-08-18 2008-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17204A (ko) * 2006-08-21 2008-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72366B1 (ko) * 2006-10-26 200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850901B1 (ko) * 2006-12-08 2008-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그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장치
KR100857070B1 (ko) * 2007-03-13 2008-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90135097A1 (en) * 2007-11-15 2009-05-28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device
US20100008068A1 (en) * 2008-07-11 2010-01-14 Joo-Young Kim Electron emission device, electron emission type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electron emission device
KR101110551B1 (ko) * 2009-03-09 2012-01-31 양규식 무동력 온수펌핑장치
US8547004B2 (en) * 2010-07-27 2013-10-0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Encapsulated metal microtip microplasma devices, arrays and fabrication metho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772A (ja) * 1994-07-08 1996-01-23 Pioneer Electron Corp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08315735A (ja) * 1995-05-12 1996-11-29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8218A (en) * 1983-08-24 1987-01-20 Fujitsu Limited Gas discharge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3010658B2 (ja) 1989-12-15 2000-02-21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と駆動方法
JP3433032B2 (ja) * 1995-12-28 2003-08-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放電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H09283028A (ja) * 1996-04-17 1997-10-31 Matsushita Electron Corp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547267B2 (ja) * 1996-09-13 2004-07-2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440352B2 (ja) * 1997-05-20 2003-08-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466092B2 (ja) 1997-08-19 2003-1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ガス放電パネル
DE69836143T2 (de) 1997-08-19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Gasentladungsanzeigetafel
JPH11126557A (ja) * 1997-10-21 1999-05-11 Fujitsu Ltd 遮光膜及びその形成方法
JPH11213894A (ja) * 1998-01-23 1999-08-06 Fujitsu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11297214A (ja) * 1998-04-14 1999-10-29 Pioneer Electron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0021313A (ja) 1998-06-30 2000-01-21 Fujitsu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6184848B1 (en) * 1998-09-23 2001-02-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sitive column AC plasma display
JP2000357463A (ja) * 1999-04-14 2000-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772A (ja) * 1994-07-08 1996-01-23 Pioneer Electron Corp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08315735A (ja) * 1995-05-12 1996-11-29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742B1 (ko) 2009-07-29
KR20070120200A (ko) 2007-12-21
US6707259B2 (en) 2004-03-16
US20030146713A1 (en) 2003-08-07
CN1419704A (zh) 2003-05-21
KR100878405B1 (ko) 2009-01-13
KR20080032259A (ko) 2008-04-14
CN1263067C (zh) 2006-07-05
KR20080080240A (ko) 2008-09-02
KR20020069021A (ko) 2002-08-28
KR100878406B1 (ko) 2009-01-13
KR20080078744A (ko) 2008-08-27
KR20080032012A (ko) 2008-04-11
KR100879689B1 (ko) 2009-01-21
KR20080031530A (ko) 2008-04-08
WO2001056052A1 (fr) 2001-08-02
TW523774B (en) 2003-03-11
KR100880774B1 (ko)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941B1 (ko) 가스방전패널
KR100865617B1 (ko) 가스방전패널
US7825596B2 (en) Full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US5674553A (en) Full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JPWO2002033690A1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3670971B2 (ja) ガス放電パネル
JPH10308176A (ja) 表示用放電管
US7576495B2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50231110A1 (en) Plasma Display Panel (PDP)
KR1998003514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
US20070046203A1 (en) Plasma display panel
JP201016099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4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7-div-PA0104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4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08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807941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8022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2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22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