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5405B1 -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405B1
KR100805405B1 KR1020060124144A KR20060124144A KR100805405B1 KR 100805405 B1 KR100805405 B1 KR 100805405B1 KR 1020060124144 A KR1020060124144 A KR 1020060124144A KR 20060124144 A KR20060124144 A KR 20060124144A KR 100805405 B1 KR100805405 B1 KR 100805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tilt
bracket
column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4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40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teering wheel, steering hand lever or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캠 구동 방식으로 이루어진 틸트레버의 작동 구조를 배제하고, 대신에 지지력 및 고유진동수 향상을 위해 나사 조임 방식으로 이루어진 틸트레버의 구동을 통해 테이퍼 형태의 클램프 록과 서포트 브라켓이 밀착되면서 조여지게 되므로 틸팅 레버부의 강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상기 서포트 브라켓의 측면부에 축방향으로 슬롯홀을 형성하여 충돌사고 발생시 칼럼 튜브의 수축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 충격흡수구조, 틸트레버, 너트 구조체, 조절 볼트, 틸트 브라켓, 서포트 브라켓, 클램프 록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Rocking structure of tilt lever for automotive steering colum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의 추돌사고시 충격흡수 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4는 종래의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틸트 레버부 11 : 틸트레버
12 : 틸트 브라켓 13 : 너트 구조체
14 : 조절 볼트 15 : 서포트 브라켓
16 : 어퍼튜브 17 : 클램프 록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틸트레버를 나사 조임 방식으로 하여 강성을 향상시키고, 충돌사고 발생시 칼럼 튜브의 수축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상해치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선회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스티어링 장치는, 운전석에 마련되는 스티어링 휠과,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토크를 전달받아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칼럼 샤프트와, 상기 칼럼 샤프트가 내설토록 되는 칼럼 튜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칼럼 튜브에는 틸트 브라켓 및 디스턴스 브라켓이 구비되어 칼럼 샤프트가 내설된 상태의 칼럼 튜브를 차체에 고정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칼럼 튜브의 마운팅 브라켓 일측에는 틸팅(Tilting) 레버부가 마련되어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스티어링 장치를 회동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틸팅 레버부는, 칼럼 샤프트(120)가 내설토록 되는 칼럼 튜브(110)의 외주부 양측에 틸트 브라켓(130)이 구비되어 칼럼 튜브(110)를 차체에 고정토록 하며, 상기 틸트 브라켓(130) 외측에는 틸트레 버(14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구성단품 즉, 칼럼 튜브(110), 틸트 브라켓(130), 틸트레버(140)는 그 일단에 캠록(150)을 통해 상호 작동 가능토록 조립되는바, 상기 틸트레버(140)를 칼럼 튜브(110)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캠록(150)이 틸트 브라켓(130)의 측벽부를 압박하고, 칼럼 튜브(110)에 고정하는 디스턴스 브라켓(160)에 압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스티어링 장치의 틸팅 레버부는, 칼럼 튜브(110)와 틸트 브라켓(130) 및 틸트레버(140)에 대한 결합구조의 강성이 약하여 그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상기 틸트 브라켓(130) 및 디스턴스 브라켓(160)이 그 후방의 스티어링 어셈블리와 연결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어 강성 측면에서 불리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충돌 사고시 스티어링 칼럼에 대한 결합력이 약한 스티어링 휠(미도시)에 의해 운전자에게 큰 상해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나사 조임 방식으로 이루어진 틸트레버의 구동을 통해 테이퍼 형태의 클램프 록과 서포트 브라켓이 밀착되면서 조여지게 되므로 틸트 레버부의 강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상기 서포트 브라켓의 측면부에 축방향으로 슬롯홀을 형성하여 충돌사고 발생시 칼럼 튜브의 수축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 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티어링 칼럼(100)을 틸팅하여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틸트레버(11)와;
상기 스티어링 칼럼(100)을 지지하기 위한 틸트 브라켓(12)과;
상기 틸트 브라켓(12)을 나사 체결방식으로 구속하는 너트 구조체(13) 및 조절 볼트(14)와;
상기 틸트 브라켓(12)의 내측으로 상하 양단이 서로 벌어진 형태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벌어진 방향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이루는 서포트 브라켓(15)과;
각각의 상기 서포트 브라켓(15) 사이에 상기 칼럼 튜브(110)에 축고정되어 있는 어퍼튜브(16)와;
상기 서포트 브라켓(15) 및 어퍼튜브(16)를 관통하여 상기 어퍼튜브(16)의 내측으로 진입한 조절 볼트(14)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칼럼 튜브(110)에 압착되어 틸트레버(11)의 조절을 통해 칼럼 튜브(110)에 구속되는 클램프 록(17)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틸트레버(11)는 칼럼 튜브(110)의 양측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부(11a)가 상기 틸트 브라켓(12)의 외측에 구성되고, 그 틸트레버(11)에는 그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11a)의 내측으로 단면이 "ㄷ"자 형상인 틸트 브라켓(12)이 지지되고, 그 틸트레버(11)의 회동에 의해 함께 작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11a) 및 틸트 브라켓(12) 사이에 상기 너트 구조체(13) 및 조절 볼트(14)가 상기 틸트레버(11)에 일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튜브(16)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15)의 내측면이 상기 어퍼튜브(16)의 외측면에 꼭맞게 밀착되는 다각형 형상의 중공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서포트 브라켓(15)은 충돌사고 발생시 칼럼 튜브(110)의 수축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그 측면부에 축방향으로 슬롯홀(15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의 추돌사고시 충격흡수 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캠 구동 방식으로 이루어진 틸트레버(11)의 작동 구조를 배제하고, 대신에 지지력 및 고유진동수 향상을 위해 나사 조임 방식으로 구현하여 그 결합 강성을 더욱 향상시켜 자동차의 충돌 사고시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레버부(10)는 스티어링 칼럼(100)을 틸팅하여 스티어링 휠(미도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틸트레버(11)와, 상기 스티어링 칼럼(100)을 지지하기 위한 틸트 브라켓(12)과, 상기 틸트 브라켓(12)을 구속하는 너트 구조체(13) 및 조절 볼트(14)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틸트레버(11)는 칼럼 튜브(110)의 양측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부(11a)가 상기 틸트 브라켓(12)의 외측에 구성되어 있다.
상기 틸트레버(11)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11a)의 내측으로는 상기와 같이 단면이 "ㄷ"자 형상인 틸트 브라켓(12)이 지지되고, 그 사이에는 상기 너트 구조체(13) 및 조절 볼트(14)가 상기 틸트레버(11)에 일체 형성되어 그 틸트레버(11)의 회동에 의해 함께 작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틸트 브라켓(12)과 조절 볼트(14)는 나사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틸트레버(11)를 회동시 조절 볼트(14)가 회동하면서 틸트 브라켓(12)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틸트 브라켓(12)의 내측으로는 서포트 브라켓(15)이 지지되어 있는바, 그 상하 양단이 서로 벌어진 형태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벌어진 방향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이룬다.
각각의 상기 서포트 브라켓(15) 사이에는 상기 칼럼 튜브(110)에 축고정되어 있는 어퍼튜브(16)가 구비되어 있는바, 상기 어퍼튜브(16)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15)의 내측면이 그 어퍼튜브(16)의 외측면에 꼭맞게 밀착되는 다각형 형상의 중공관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강성 보강을 위해 팔각형의 중공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조절 볼트(14)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15) 및 어퍼튜브(16)를 관통하여 상기 어퍼튜브(16)의 내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어퍼튜브(16)의 내측으로 진입한 조절 볼트(14)의 단부에는 상기 칼럼 튜브(110)에 압착되어 틸트레버(11)의 조절을 통해 칼럼 튜브(110)에 구속되는 테이퍼 형상의 클램프 록(17)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틸트레버(11)를 회동시키게 될 경우, 상기 틸트 브라켓(12) 및 서포트 브라켓(15) 그리고 상기 클램프 록(17)에 대한 상기 너트 구조체(13) 및 조절 볼트(14)의 조임력이 증대되거나 해제되어 상기 칼럼 튜브(110)에 대한 틸트 레버부(10)의 구속력이 조절되므로 칼럼 샤프트를 내설한 스티어링 칼럼(100)의 틸팅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즉,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맞는 적절한 높이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틸트레버(11)의 회동에 의해 최종의 작동 요소인 클램프 록(17)의 구속력이 해제되어 상기 틸트 레버부(10)의 위치가 조절 가능한 상태가 되고, 그 위치에서 틸트레버(11)를 원위치 시키게 될 경우, 스티어링 칼럼(100)이 상기 클램프 록(17)에 의해 구속되면서 그 가압력에 의해 어퍼튜브(16)를 일정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브라켓(15)의 측면부에는 축방향으로 슬롯홀(15a)이 형성되어 충돌사고 발생시 칼럼 튜브(110)의 수축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틸트레버(11)를 나사 조임 방식으로 하여 강성을 향상시키고, 충돌사고 발생시 칼럼 튜브(110)의 충격 흡수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상해치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에 의하면, 스티어링장치와 틸트 브라켓 및 디스턴스 브라켓을 연결하여 강성을 보강하고, 추돌사고시 스티어링장치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서포트 브라켓에 슬롯홀을 형성하여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최소화하여 치명적인 상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스티어링 칼럼(100)을 틸팅하여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틸트레버(11)와;
    상기 스티어링 칼럼(100)을 지지하기 위한 틸트 브라켓(12)과;
    상기 틸트 브라켓(12)을 나사 체결방식으로 구속하는 너트 구조체(13) 및 조절 볼트(14)와;
    상기 틸트 브라켓(12)의 내측으로 상하 양단이 서로 벌어진 형태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벌어진 방향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이루는 서포트 브라켓(15)과;
    각각의 상기 서포트 브라켓(15) 사이에 상기 칼럼 튜브(110)에 축고정되어 있는 어퍼튜브(16)와;
    상기 서포트 브라켓(15) 및 어퍼튜브(16)를 관통하여 상기 어퍼튜브(16)의 내측으로 진입한 조절 볼트(14)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칼럼 튜브(110)에 압착되어 틸트레버(11)의 조절을 통해 칼럼 튜브(110)에 구속되는 클램프 록(17)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레버(11)는 칼럼 튜브(110)의 양측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 부(11a)가 상기 틸트 브라켓(12)의 외측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레버(11)에는 그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11a)의 내측으로 단면이 "ㄷ"자 형상인 틸트 브라켓(12)이 지지되고, 그 틸트레버(11)의 회동에 의해 함께 작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11a) 및 틸트 브라켓(12) 사이에 상기 너트 구조체(13) 및 조절 볼트(14)가 상기 틸트레버(11)에 일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튜브(16)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15)의 내측면이 상기 어퍼튜브(16)의 외측면에 꼭맞게 밀착되는 다각형 형상의 중공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튜브(16)는 강성 보강을 위해 팔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브라켓(15)은 충돌사고 발생시 칼럼 튜브(110)의 수축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그 측면부에 축방향으로 슬롯홀(15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1020060124144A 2006-12-07 2006-12-07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805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144A KR100805405B1 (ko) 2006-12-07 2006-12-07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144A KR100805405B1 (ko) 2006-12-07 2006-12-07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405B1 true KR100805405B1 (ko) 2008-02-20

Family

ID=3938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1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05405B1 (ko) 2006-12-07 2006-12-07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723A (ko) 2015-02-11 2016-08-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격흡수가능한 스티어링 칼럼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9807A (ja) * 2005-06-30 2007-01-18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9807A (ja) * 2005-06-30 2007-01-18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998-072649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723A (ko) 2015-02-11 2016-08-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격흡수가능한 스티어링 칼럼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541B1 (ko) 차량용 조향칼럼의 텔레스코픽장치 및 틸트장치
US8651526B2 (en) Steering apparatus
JP3988200B2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EP1747966B1 (en) Steering device
JP2002293250A (ja) 舵取装置
US20060090586A1 (en) Pop-up prevention structure for steering columns
JP6598724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4192502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00805405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JP4582374B2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JP5970992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719846B2 (ja) 舵取装置
JP2010105521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5970989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3212133A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0076690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04161242A (ja) 車両用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07223549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4306335B2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23168046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885108B1 (ko) 자동차 스티어링 장치의 틸트 레버 구조
JP2005104429A (ja) コラムアシスト形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200126646A (ko) 조향장치용 스프링 스토퍼구조
JP597099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80084458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레이크 브라켓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