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677B1 -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및 이의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및 이의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4677B1 KR100794677B1 KR1020070079180A KR20070079180A KR100794677B1 KR 100794677 B1 KR100794677 B1 KR 100794677B1 KR 1020070079180 A KR1020070079180 A KR 1020070079180A KR 20070079180 A KR20070079180 A KR 20070079180A KR 100794677 B1 KR100794677 B1 KR 1007946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ing
- mold
- securing
- mold support
- instal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7)
- 지반(10) 내에 일정한 폭과 간격을 두고 항타 설치되는 외측파일(12) 및 중간파일군(14)과;상기 외측 및 중간파일군(12, 14)의 일측 또는 양측 상부에 종으로 설치되는 주형지지보(16)와;상기 주형지지보(16)상에 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주형보(20)와;상기 주형보(20) 상에 일정한 규격을 가지며, 설치되는 복공판(22)과;상기 주형지지보(16)와 외측파일(12)의 측면하부 및 상기 주형지지보(16)와 중간파일군(14)의 하부를 고정하는 피스브라켓(24)과;상기 중간파일군(14)의 일측에 설치된 주형지지보(16)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주형지지보에 설치되는 프리로딩잭(26)과;상기 주형보(20)의 하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버팀보(28)와;상기 버팀보(28)의 강약축 방향 좌굴을 제어하기 위해 버팀보(28)에 교차 설치되는 브레이싱(52)과;상기 외측파일(12)의 외측에 적층 설치되는 토류판(30)과;상기 외측파일(12)을 연결 설치되는 띠장(32)과;상기 띠장(32)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프리로딩띠장(34)과;상기 프리로딩띠장(34)과 중간파일군(14) 사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트러스화타(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중간파일군(14)은 지반(10)에 다수개의 H빔이 항타 설치되고, 상기 H빔(38)의 사이를 가로질러 소정의 단수로 수평하게 수평재(40)가 설치되며, 상기 H빔(38)의 사이를 교차하도록 사재(42)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프리로딩띠장(34)은 고강도 H빔(38)을 사용하거나 또는 H빔(38)의 하부에 보강판(50)이 용접되고, 상부에 높낮이가 다른 쐐기(44)가 접합되어, 프리로딩띠장(34)이 형성되며, 상기 프리로딩띠장(34)의 양단을 프리로딩잭(26)으로 지지하여 띠장(32)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트러스화타(36)는 버팀보(28)의 양측에 트러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트러스화타(36)가 볼트 접합되고, 상기 트러스화타(36)의 외측에 다수개의 프리로딩잭(26)을 일정 간격을 유지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띠장(32)과 프리로딩띠장(34)은 볼트 또는 용접으로 접합한 합성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브레이싱(52)은 버팀보이음판(54)으로 버팀보(28)에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 지반(10)내에 일정한 폭과 간격을 두고 외측파일(12) 및 중간파일군(14)을 항타하는 단계(Ⅰ);상기 외측 및 중간파일군(12, 14)의 일측 또는 양측 상부에 종으로 주형지지보(16)를 설치하고, 상기 주형지지보(16)상에 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형보(20)를 설치하며, 상기 주형보(20) 상에 일정한 규격을 갖는 복공판(22)을 설치하는 단계(Ⅱ);상기 주형지지보(16)와 외측파일(12)의 측면하부 및 상기 주형지지보(16)와 중간파일군(14)의 하부를 피스브라켓(24)으로 고정 설치하는 단계(Ⅲ);상기 중간파일군(14)의 일측에 설치된 주형지지보(16)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주형지지보(16)에 프리로딩잭(26)을 설치하는 단계(Ⅳ);상기 주형보(20)의 하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버팀보(28)를 설치하고, 상기 외측파일(12)의 외측에 토류판(30)을 적층 설치하는 단계(Ⅴ);지반(10)을 굴착하면서 단계적으로 상기 외측파일(12)을 연결하는 띠장(32)을 설치하고, 상기 띠장(32)에 프리로딩잭(26)을 교차 설치하면서, 버팀보(28)를 단계적으로 설치하는 단계(Ⅵ);상기 띠장(32)의 사이에 프리로딩띠장(34)을 설치하고, 상기 프리로딩띠장(34)과 중간파일군(14)의 사이에 각각 트러스화타(36)를 설치하는 단계(Ⅶ);상기 프리로딩띠장(34)에 1~3단으로 프리로딩을 시행하는 단계(Ⅷ)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지중토류벽(W)을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시공방법.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중간파일군(14) 설치단계는 지반(10)에 다수개의 H빔(38)을 항타하여 설치하고, 상기 H빔(38)에 소정의 단수로 H빔(38)간을 가로질러 수평재(40)를 설치하고, 상기 H빔(38)간을 교차하도록 사재(42)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시공방법.
-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중간파일군(14)은 H빔(38)을 항타하여 사각형상으로 설치하고, 상기 중간파일군(14)의 사변에 사재(42)와 수평재(40)를 설치하여 변위를 억제하고, 근입된 H빔(38)에는 수직력만 재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시공방법.
-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중간파일군(14)은 그 상단에 주형지지보(16)를 큰 강재로 설치하여 연속으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시공방법.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버팀보(28)에는 그 상단에 브레이싱(52)을 설치하여, 버팀보(28)의 좌굴장을 축소시켜, 버팀보(28)의 강재를 작은 강재로 큰 토압에 견디도록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시공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버팀보(28)에 브레이싱(52)이 버팀보 이음판(54)을 볼트로 접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시공방법.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프리로딩띠장(34) 설치는 H빔(38)에 일정한 하중을 재하하고, 상기 재하된 H빔(38)의 하부에 보강판(50)을 용접하고, 상기 보강판(50) 용접 후 H빔(38)에 가해진 하중을 제거하고, 상부인장 후 쐐기(44)를 접합하여, 프리로딩띠장(34)을 형성하며, 상기 프리로딩띠장(34)의 양단을 프리로딩잭(26)으로 지지하여 띠 장(32)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시공방법.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트러스화타(36) 설치단계는 버팀보(28)의 양측에 트러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트러스화타(36)를 볼트 접합하고, 상기 트러스화타(36)의 외측에 다수개의 프리로딩잭(26)을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시공방법.
- 제 7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트러스화타(36)는 그 내측의 볼트 접합을 조정하여, 타측 트러스화타(36)의 가로보(46)의 길이를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시공방법.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띠장(32)과 프리로딩띠장(34)은 볼트 또는 용접으로 접합한 합성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시공방법.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프리로딩띠장(34)을 띠장(32) 보다 허용응력이 높은 H빔(38)을 이용하여 H빔(38) 중간은 높고, 양단으로 가면서 낮아지는 쐐기(44)를 결합하여 프리로딩 띠장(34)을 형성하며, 상기 프리로딩띠장(34)의 양단을 프리로딩잭(26)으로 지지하여 띠장(32)에 설치하며, 일정한 하중을 띠장(32)에 동일하게 재하함과 동시에 프리로딩을 가한 후에도 프리로딩띠장(34)의 허용응력이 띠장(32)의 허용응력을 초과하게 조정하여 추후 토압이 작용후에도 띠장(32)의 허용응력만을 안전성을 평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9180A KR100794677B1 (ko) | 2007-08-07 | 2007-08-07 |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및 이의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9180A KR100794677B1 (ko) | 2007-08-07 | 2007-08-07 |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및 이의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94677B1 true KR100794677B1 (ko) | 2008-01-11 |
Family
ID=3921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918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4677B1 (ko) | 2007-08-07 | 2007-08-07 |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및 이의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4677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276748A (zh) * | 2013-05-17 | 2013-09-04 | 广州机施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用于地铁基坑支撑梁的钢模板体系 |
KR101307821B1 (ko) * | 2013-05-08 | 2013-09-23 |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
KR101587062B1 (ko) * | 2015-02-11 | 2016-01-21 |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 강재합성 지중토류벽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CN107558478A (zh) * | 2017-10-23 | 2018-01-09 |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非首道支撑带有动态应力调节功能的基坑及施工方法 |
CN108193695A (zh) * | 2018-01-25 | 2018-06-22 | 中铁第六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地铁车站基坑围护结构支撑及施工方法 |
CN113981983A (zh) * | 2021-10-19 | 2022-01-28 | 中国化学工程第十六建设有限公司 | 一种基坑无支撑支护结构和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21820A (ja) | 1982-07-26 | 1984-02-03 | Marufuji Shiitopairu Kk | 山止め用火打ち材 |
KR20050101145A (ko) * | 2005-09-30 | 2005-10-20 | 정순용 | 버팀대 선행재하 시스템 |
KR100633796B1 (ko) | 2005-11-16 | 2006-10-16 | (주)써포텍 |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중앙 버팀보 연결구조 |
KR200432105Y1 (ko) | 2006-09-11 | 2006-11-29 | 주식회사 동호 | 흙막이 벽체의 선행하중 재하 시스템 |
KR100714434B1 (ko) | 2006-09-25 | 2007-05-04 | 김찬수 | 버팀보 보강용 브레이싱 |
-
2007
- 2007-08-07 KR KR1020070079180A patent/KR10079467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21820A (ja) | 1982-07-26 | 1984-02-03 | Marufuji Shiitopairu Kk | 山止め用火打ち材 |
KR20050101145A (ko) * | 2005-09-30 | 2005-10-20 | 정순용 | 버팀대 선행재하 시스템 |
KR100633796B1 (ko) | 2005-11-16 | 2006-10-16 | (주)써포텍 |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중앙 버팀보 연결구조 |
KR200432105Y1 (ko) | 2006-09-11 | 2006-11-29 | 주식회사 동호 | 흙막이 벽체의 선행하중 재하 시스템 |
KR100714434B1 (ko) | 2006-09-25 | 2007-05-04 | 김찬수 | 버팀보 보강용 브레이싱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7821B1 (ko) * | 2013-05-08 | 2013-09-23 |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
CN103276748A (zh) * | 2013-05-17 | 2013-09-04 | 广州机施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用于地铁基坑支撑梁的钢模板体系 |
CN103276748B (zh) * | 2013-05-17 | 2015-05-20 | 广州机施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用于地铁基坑支撑梁的钢模板体系 |
KR101587062B1 (ko) * | 2015-02-11 | 2016-01-21 |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 강재합성 지중토류벽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CN107558478A (zh) * | 2017-10-23 | 2018-01-09 |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 非首道支撑带有动态应力调节功能的基坑及施工方法 |
CN108193695A (zh) * | 2018-01-25 | 2018-06-22 | 中铁第六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地铁车站基坑围护结构支撑及施工方法 |
CN108193695B (zh) * | 2018-01-25 | 2023-08-08 | 中铁第六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地铁车站基坑围护结构支撑及施工方法 |
CN113981983A (zh) * | 2021-10-19 | 2022-01-28 | 中国化学工程第十六建设有限公司 | 一种基坑无支撑支护结构和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94677B1 (ko) |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및 이의시공방법 | |
KR102162467B1 (ko)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 |
KR101308575B1 (ko) | 띠장-버팀보 일체형 세그먼트 | |
KR100777212B1 (ko) | 버팀보 조인트 | |
CN111270683A (zh) | 一种大跨度的基坑土层临时支撑系统 | |
KR101103909B1 (ko) | 토류벽체 지지용 띠장재 | |
JP6905387B2 (ja) | 土留め構造の施工方法 | |
KR100477195B1 (ko) |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흙막이 공법용 단띠장재 | |
CN100441782C (zh) | 新型预应力脚手架系统 | |
KR100476842B1 (ko) | 개착식 토류공법에 있어서 축력에 따라 설치되는 버팀보 | |
KR102185246B1 (ko) | 흙막이 가시설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
JP3958319B2 (ja) | プレストレスト仮設工法 | |
KR101958768B1 (ko) | 보강봉을 가지는 버팀보를 이용한 토류판 시공 구조물 | |
KR101307821B1 (ko) |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 |
CN212153398U (zh) | 一种大跨度的基坑土层临时支撑系统 | |
KR102233513B1 (ko) | 플랜지-웨브 보강 형강 | |
KR102229174B1 (ko) | 플랜지-웨브 보강 형강 | |
JP7219529B2 (ja) | 鋼材の組合せ構造体,山留支保工構造,及び構築方法 | |
KR100904397B1 (ko) | 흙막이 공법 | |
KR20120126927A (ko) | 지하 가시설의 이중 레이커 시스템 | |
KR102690540B1 (ko) | 시공성 향상 보강재를 구비한 터널 굴착면 지지용 강지보재 | |
CN222796451U (zh) | 一种拉森钢板桩支护结构 | |
KR100908479B1 (ko) | 건축 및 토목공사용 멀티거더 | |
KR102728954B1 (ko) | 흙막이 지보공의 재사용 가능한 띠장(Recycling Wale;RW) 연결 조립체 | |
JP2021021225A (ja) | 山留め壁の支持構造及び山留め壁の支持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8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0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