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6842B1 - 개착식 토류공법에 있어서 축력에 따라 설치되는 버팀보 - Google Patents

개착식 토류공법에 있어서 축력에 따라 설치되는 버팀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842B1
KR100476842B1 KR10-2003-0000203A KR20030000203A KR100476842B1 KR 100476842 B1 KR100476842 B1 KR 100476842B1 KR 20030000203 A KR20030000203 A KR 20030000203A KR 100476842 B1 KR100476842 B1 KR 100476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e
steel
axial force
support
ear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4118A (ko
Inventor
우성택
Original Assignee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3-0000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842B1/ko
Publication of KR2003007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84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5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A47B57/54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clamped in discrete positions, e.g. on tubes with grooves or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연속벽공법, C.I.P공법 등과 같은 개착식 토목공법에 의하여 지중을 굴착할 때 토압을 지지하는 띠장(1)에 설치되는 버팀보(2)에 관한 것으로서, 띠장(1)에 복수개의 잭(3)을 강재(4)에 볼트 또는 용접이음을 하고, 1단의 버팀보(2)를 강재(4)에 설치하고 강재(4)와 버팀보(2)가 만나는 지점의 좌우측에 날개판(6)을 설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개착식 토류공법에 있어서 축력에 따라 설치되는 버팀보{soldier beam installed according to axial force in excavating work}
본 발명은 버팀보 설치에 관한 것으로서, 토공사시 굴착한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I형강과 I형강 사이에 토압과 굴착한 면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류벽을 설치하고 I형강과 토류벽을 지지하는 띠장을 I형강 길이 및 좌우 방향으로 굴착한 면 전체에 걸쳐 다수개 설치하고, 설치된 띠장에 버팀보가 설치되게 된다. 띠장과 강재 사이에 복수개의 잭을 고정 설치하고 1단의 버팀보를 설치하며 버팀보와 강재가 만나는 지점의 양측부에 날개판을 설치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지중연속벽 공법, C.I.P공법등과 같은 개착식 토류공법을 시공할 때 굴착단계별로 버팀보를 단계적으로 설치하는데 굴착 깊이별로 버팀보에 작용하는 축력이 균등하지 않아 그에 따른 각각의 버팀보 설계를 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시공성을 고려하여 설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설치되는 잭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버팀보의 허용축력과 잭의 허용축력을 비교하여 볼 때 잭의 안정과 효율을 고려하여 버팀보의 허용축력에 비해 비교적 작게 시공되고 있다. 따라서, 축력이 크게 발생되는 구간은 잭의 허용축력 때문에 버팀보를 2단으로 설치하고 있어 이로 인하여 비경제적인 시공이 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잭의 허용축력을 보강하면서 버팀보를 1단으로 설치하여 시공의 편리함과 경제적인 시공이 될 수 있게 하는 축력에 따라 설치되는 버팀보에 관한 것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토공사시 굴착한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I형강(9)과 I형강(9) 사이에 토압과 굴착한 면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류벽(10)을 설치하고 I형강(9)과 토류벽(10)을 지지하는 띠장(1)을 I형강(9) 길이 및 좌우측 방향으로 굴착한 면 전체에 걸쳐 다수개 설치를 하고 버팀보(2)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띠장(1)과 강재(4) 사이에 복수개의 잭(3)을 고정 설치하고 잭(3)의 타측단은 강재(4)로 고정함과 동시에 버팀보(2)를 설치하며 버팀보(2)와 강재(4)가 만나는 지점의 양측부에 날개판(6)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버팀보를 굴착 공사장의 굴착면 타측에 설치하여 토압을 지지하게 하면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버팀보 단면도로서 잭의 허용축력이 1단을 설치하는 버팀보의 허용 축력에 비하여 작으므로 토공사의 안전을 위하여 버팀보를 2단으로 설치하는 비경제적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와 3은 본 발명의 버팀보 설치 단면도 및 버팀보를 현장에 설치하는 설치예로서 토공사시 굴착한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I형강(9)과 I형강(9) 사이에 토압과 굴착한 면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류벽(10)을 설치하고 I형강(9)과 토류벽(10)을 지지하는 띠장(1)을 I형강(9) 길이 및 좌우 방향으로 굴착한 면 전체에 걸쳐 다수개 설치를 하고 버팀보(2)를 설치하게 된다. 강재(4)와 띠장(1)사이에 복수개의 잭(3)을 고정 설치하고 1단의 버팀보(2)를 설치하며 버팀보(2)와 강재(4)가 만나는 지점의 양측부에 날개판(6)을 설치하여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시공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버팀보를 굴착 공사장의 굴착면이 서로 바라보이는 타측면에 설치하여 토압을 지지하게 하면 된다.
이렇게 시공함으로써 일반적으로 버팀보(2)의 수평간격은 2.0~2.5m 정도로 설치되는데 상기의 방법으로 설치를 하게 되면 버팀보(2)의 설치 수평간격을 넓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공간의 확대와 시공성이 향상되며, 종래의 2단으로 버팀보(2)를 설치하는데 비하여 1단으로 버팀보(2)를 설치하게 됨으로써 버팀보(2)의 설치 개소가 줄어들고 버팀보(2)의 강재 수량이 감소하여 경제적이면서 안전한 시공이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버팀보의 설치 수평간격인 2.0~2.5m 정도보다 버팀보의 설치 수평간격을 넓게 할 수 있어 작업공간의 확대와 시공성이 향상되며, 1단으로 버팀보를 설치하게 됨으로써 버팀보의 설치 개소가 줄어들고 버팀보의 강재 수량이 감소되어 경제적이며 시공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버팀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설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의 현장설치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띠장 2 : 버팀보
3 : 잭 4 : 강재
5 : 고정부 6 : 날개판
7 : 좌측단 8 : 우측단
9 : I형강 10 : 토류벽

Claims (1)

  1. 토공사시 굴착한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I형강(9)과 I형강(9) 사이에 토압과 굴착한 면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토류벽(10)과, I형강(9)과 토류벽(10)을 지지하기 위하여 I형강(9)의 길이 및 좌우방향으로 굴착한 면 전체에 걸쳐 다수개 설치된 띠장(1)과, 설치된 띠장(1)에 고정 설치된 복수개 잭(3)과, 복수개 잭(3)의 타측단을 강재(4)의 좌측단(7)과 고정하며, 강재(4)의 우측단(8)에 고정 설치된 1단의 버팀보(2)와, 버팀보(2)와 강재(4)의 우측단(8)이 만나는 지점의 버팀보(2) 양측부에 설치된 날개판(6)과 타측의 굴착면에 설치된 띠장(1)에 고정설치된 상기 1단 버팀보(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착식 토류공법에 있어서 축력에 따라 설치되는 버팀보.
KR10-2003-0000203A 2003-01-03 2003-01-03 개착식 토류공법에 있어서 축력에 따라 설치되는 버팀보 Expired - Fee Related KR100476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203A KR100476842B1 (ko) 2003-01-03 2003-01-03 개착식 토류공법에 있어서 축력에 따라 설치되는 버팀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203A KR100476842B1 (ko) 2003-01-03 2003-01-03 개착식 토류공법에 있어서 축력에 따라 설치되는 버팀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985U Division KR200277698Y1 (ko) 2002-03-09 2002-03-09 개착식 토류공법에 있어서 축력에 따라 설치되는 버팀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118A KR20030074118A (ko) 2003-09-19
KR100476842B1 true KR100476842B1 (ko) 2005-03-18

Family

ID=3222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203A Expired - Fee Related KR100476842B1 (ko) 2003-01-03 2003-01-03 개착식 토류공법에 있어서 축력에 따라 설치되는 버팀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8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454A (ko) 2021-07-19 2023-01-26 고천석 메서플레이트를 활용한 개착터널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021B1 (ko) * 2006-11-13 2007-08-30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주형보의 압축반력을 이용하여 시설물설치공간부를 형성한지중토류벽시공방법.
KR100910987B1 (ko) * 2007-01-24 2009-08-05 (주)써포텍 띠장용 홈메우기 장치
KR101308575B1 (ko) * 2011-08-31 2013-09-17 주식회사 비앤비엠스틸 띠장-버팀보 일체형 세그먼트
CN107476314A (zh) * 2017-08-22 2017-12-15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深基坑垫层加轴力施工方法
CN109590675B (zh) * 2018-10-30 2021-01-19 上海建工(江苏)钢结构有限公司 一种塔式锅炉钢架叠合式大板梁制作方法
CN109853579A (zh) * 2019-03-13 2019-06-07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深基坑钢支撑支设预加轴力施工方法
CN111441363A (zh) * 2020-04-13 2020-07-24 河北建设勘察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内支撑同步换撑方法
KR102260481B1 (ko) * 2020-05-27 2021-06-04 한국콘크리트산업 주식회사 흙막이 공정용 브레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CN114411754B (zh) * 2022-01-07 2024-08-27 上海巨鲲科技有限公司 一种基坑钢支撑预应力补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454A (ko) 2021-07-19 2023-01-26 고천석 메서플레이트를 활용한 개착터널 시공방법
KR20230127961A (ko) 2021-07-19 2023-09-01 고천석 메서플레이트를 활용한 개착터널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118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440B1 (ko) 연결용 엔클로저를 포함하는 강관버팀보
KR100720321B1 (ko) 작용하중에 따라 발생되는 변위와 반력을 직접회복 및상쇄하도록 제어하는 자동싱크로나이즈지지시스템 및 이의설치방법
KR100668486B1 (ko) 이동식 가시설시스템
KR100855098B1 (ko)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102162467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KR100476842B1 (ko) 개착식 토류공법에 있어서 축력에 따라 설치되는 버팀보
CN108301332A (zh) 贝雷片可拆卸式钢栈桥施工方法
KR100648409B1 (ko) 가설 흙막이 공법
KR101479267B1 (ko) 터널 벽체를 선시공한 후 터널 내부를 굴착하는 비개착 터널 시공방법
KR100794677B1 (ko)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및 이의시공방법
JP2022067519A (ja) 傾斜地における小段構築方法
KR100776964B1 (ko) 압축강관을 이용한 지하 연속벽 흙막이 구조체 및 굴토방법
KR101069702B1 (ko) 강관압입식 지하터널 구조물 형성공법에 있어서의 측벽형성용 방수철판 및 토류방지판의 설치방법
KR100698878B1 (ko) 강관 버팀보의 와이형 연결구조
KR200277698Y1 (ko) 개착식 토류공법에 있어서 축력에 따라 설치되는 버팀보
KR101952669B1 (ko) 아치형 강판과 가이드 구조물을 이용한 원형 가시설 흙막이 공법
KR101431623B1 (ko) 지하주차장 증축을 위한 지하 벽체 시공공법
KR20190142547A (ko) 개량된 흙막이 띠장 프리스트레스 공법
KR200270234Y1 (ko) 토건용 스티프너 잭
KR100837340B1 (ko) 지하 구조물 강관용 보강 조립체
KR100880351B1 (ko) 프리스트레스를 조정 가능한 터널용 강재 가인버트
KR100904397B1 (ko) 흙막이 공법
KR200390445Y1 (ko) 작용하중에 따라 발생되는 변위와 반력을 직접회복 및상쇄하도록 제어하는 자동싱크로나이즈지지시스템
JP2009114642A (ja) コンクリート函体の接続方法
KR20050012615A (ko) 분할 메서플레이트를 이용한 메서실드 굴착장치 및 이를이용한 지중터널굴착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8 Dual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30103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