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467B1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2467B1 KR102162467B1 KR1020190175579A KR20190175579A KR102162467B1 KR 102162467 B1 KR102162467 B1 KR 102162467B1 KR 1020190175579 A KR1020190175579 A KR 1020190175579A KR 20190175579 A KR20190175579 A KR 20190175579A KR 102162467 B1 KR102162467 B1 KR 1021624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thumb pile
- hanging
- prestress
- thum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H빔으로 이루어진 엄지말뚝과; 상기 엄지말뚝의 소정의 위치에 상호 대향되게 결합되는 걸이형 브라켓과; 상기 걸이형 브라켓 간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인장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을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은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을 제작하는 단계(S 1); 지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직경 및 깊이로 천공하여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S 2); 상기 천공홀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을 항타 근입하는 단계(S 3);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에 설치된 인장재를 인장하는 단계(S 4);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의 전면부를 굴착 진행함과 동시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단계(S 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의 걸이형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을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를 도시한 예시도.
200a: 걸이형 상부브라켓 200b: 걸이형 하부브라켓
210: 수직판 220: 수평판
230: 걸이판 232: 보강살
234: 삽입홈 240: 경사판
250: 정착공 300: 인장재
G: 지반 H: 천공홀
P: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
Claims (11)
- 일정한 길이를 갖는 H빔으로 이루어진 엄지말뚝(100)과; 상기 엄지말뚝의 소정의 위치에 상호 대향되게 결합되는 걸이형 브라켓(200)과; 상기 걸이형 브라켓(200) 간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인장재(300)로 구성되고, 상기 걸이형 브라켓(200)은 걸이형 상부브라켓(200a)과 걸이형 하부브라켓(200b)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걸이형 상부브라켓(200a)과 걸이형 하부브라켓(200b)은 일정한 두께 및 폭을 갖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직판(210)과; 상기 수직판(210)의 단부로부터 직각으로 꺾여 형성되는 수평판(220)과; 상기 수평판(220)의 단부로부터 직각으로 꺾여 형성되는 걸이판(230)과; 상기 수직판(210)과 수평판(220) 간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사판(240)과; 상기 수평판(220)에 일정한 직경을 갖도록 다수개가 천공 형성된 정착공(2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판(210)과 수평판(220) 및 경사판(240)의 형상은 각각 다르게 형성되되, 상기 수평판(220)은 수직판(210)과 경사판(240)에 비하여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판(210)과 경사판(240)은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240)은 큰 경사판(240)과 작은 경사판(240)으로 구분하여 형성되되, 상기 경사판(240)을 수직판(210)에 부착시 수직판(210)의 내측에는 복수의 큰 경사판(240)이 설치되고, 상기 큰 경사판(240)의 외측에 작은 경사판(240)이 설치되며, 상기 걸이판(230)의 표면의 양측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보강살(232)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걸이판(230)의 가운데에 일정한 길이 및 폭을 갖도록 삽입홈(234)이 형성되며, 상기 걸이형 상부브라켓(200a)은 엄지말뚝(100)의 최상단의 일측에 걸이판(230)의 삽입홈(234)을 엄지말뚝(100)의 웨브에 끼워서 설치되며, 상기 걸이형 하부브라켓(200b)는 상기 걸이형 상부브라켓(200a)으로부터 하향 수직으로 일정거리 유지된 상태로 엄지말뚝(100)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걸이형 하부브라켓(200b)은 걸이형 상부브라켓(200a)에 대향되는 위치인 엄지말뚝(100)의 최하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사전에 긴장력을 적용하여 지반 굴착의 배면 토압에 의해 발생되는 휨모멘트와 수평변위를 감소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일정한 길이를 갖는 H빔으로 이루어진 엄지말뚝(100)과; 상기 엄지말뚝의 소정의 위치에 상호 대향되게 결합되는 걸이형 브라켓(200)과; 상기 걸이형 브라켓(200) 간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인장재(300)로 구성되고, 상기 걸이형 브라켓(200)은 걸이형 상부브라켓(200a)과 걸이형 하부브라켓(200b)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걸이형 상부브라켓(200a)과 걸이형 하부브라켓(200b)은 일정한 두께 및 폭을 갖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직판(210)과; 상기 수직판(210)의 단부로부터 직각으로 꺾여 형성되는 수평판(220)과; 상기 수평판(220)의 단부로부터 직각으로 꺾여 형성되는 걸이판(230)과; 상기 수직판(210)과 수평판(220) 간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사판(240)과; 상기 수평판(220)에 일정한 직경을 갖도록 다수개가 천공 형성된 정착공(2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판(210)과 수평판(220) 및 경사판(240)의 형상은 각각 다르게 형성되되, 상기 수평판(220)은 수직판(210)과 경사판(240)에 비하여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판(210)과 경사판(240)은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240)은 큰 경사판(240)과 작은 경사판(240)으로 구분하여 형성되되, 상기 경사판(240)을 수직판(210)에 부착시 수직판(210)의 내측에는 복수의 큰 경사판(240)이 설치되고, 상기 큰 경사판(240)의 외측에 작은 경사판(240)이 설치되며, 상기 걸이판(230)의 표면의 양측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보강살(232)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걸이판(230)의 가운데에 일정한 길이 및 폭을 갖도록 삽입홈(234)이 형성되며, 상기 걸이형 상부브라켓(200a)은 엄지말뚝(100)의 최상단의 일측에 걸이판(230)의 삽입홈(234)을 엄지말뚝(100)의 웨브에 끼워서 설치되며, 상기 걸이형 하부브라켓(200b)는 상기 걸이형 상부브라켓(200a)으로부터 하향 수직으로 일정거리 유지된 상태로 엄지말뚝(100)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걸이형 하부브라켓(200b)은 걸이형 상부브라켓(200a)에 대향되는 위치인 엄지말뚝(100)의 최하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사전에 긴장력을 적용하여 지반 굴착의 배면 토압에 의해 발생되는 휨모멘트와 수평변위를 감소시키도록 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을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으로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P)을 제작하는 단계(S 1);
지반(G)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직경 및 깊이로 천공하여 천공홀(H)을 형성하는 단계(S 2);
상기 천공홀(H)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P)의 걸이형 브라켓(200)의 방향이 굴착배면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항타 근입하는 단계(S 3);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P)에 설치된 인장재(300)를 인장하는 단계(S 4);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100)의 전면부를 굴착 진행함과 동시에 토류판을 설치하는 단계(S 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을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5579A KR102162467B1 (ko) | 2019-12-26 | 2019-12-26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5579A KR102162467B1 (ko) | 2019-12-26 | 2019-12-26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62467B1 true KR102162467B1 (ko) | 2020-10-06 |
Family
ID=7282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5579A Active KR102162467B1 (ko) | 2019-12-26 | 2019-12-26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2467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0561A (ko) * | 2022-11-18 | 2023-03-06 | 오용환 | 가이드브라켓과 걸이형 브라켓을 이용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
KR20230065592A (ko) * | 2021-11-05 | 2023-05-12 | 주식회사 은덕엔지니어링 | 자원 회수가 용이한 흙막이 벽체용 프리스트레스트 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
KR20230110050A (ko) * | 2022-01-14 | 2023-07-21 | 최정주 | Ps 빔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2561502B1 (ko) * | 2022-04-13 | 2023-08-01 | (주)화성기초기술 | 제작 및 해체가 용이한 프리스트레스 말뚝 조립체 |
KR102581735B1 (ko) | 2023-06-27 | 2023-09-22 | 오용환 | 끼움 방식의 브라켓을 구비하는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 |
KR102613254B1 (ko) | 2023-02-15 | 2023-12-14 | 주식회사 토우디엔씨 | 자립 정착형 엄지 말뚝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 |
KR20240138250A (ko) | 2023-03-10 | 2024-09-20 | 주식회사 토우디엔씨 | 흙막이 가시설용 말뚝의 두부 긴장력을 이용한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 방법 |
US12104343B1 (en) | 2023-06-27 | 2024-10-01 | Yong Hwan Oh | Thumb pile including fitting bracke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tructure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9805B1 (ko) | 2015-08-25 | 2016-04-06 | 오용환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
KR102046965B1 (ko) * | 2018-08-20 | 2019-11-20 | 토우산업 주식회사 | 프리스트레스빔 |
-
2019
- 2019-12-26 KR KR1020190175579A patent/KR10216246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9805B1 (ko) | 2015-08-25 | 2016-04-06 | 오용환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
KR102046965B1 (ko) * | 2018-08-20 | 2019-11-20 | 토우산업 주식회사 | 프리스트레스빔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65592A (ko) * | 2021-11-05 | 2023-05-12 | 주식회사 은덕엔지니어링 | 자원 회수가 용이한 흙막이 벽체용 프리스트레스트 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2647214B1 (ko) * | 2021-11-05 | 2024-03-13 | 주식회사 은덕엔지니어링 | 자원 회수가 용이한 흙막이 벽체용 프리스트레스트 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
KR20230110050A (ko) * | 2022-01-14 | 2023-07-21 | 최정주 | Ps 빔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2572296B1 (ko) * | 2022-01-14 | 2023-08-30 | 최정주 | Ps 빔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2561502B1 (ko) * | 2022-04-13 | 2023-08-01 | (주)화성기초기술 | 제작 및 해체가 용이한 프리스트레스 말뚝 조립체 |
KR20230030561A (ko) * | 2022-11-18 | 2023-03-06 | 오용환 | 가이드브라켓과 걸이형 브라켓을 이용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
KR102587630B1 (ko) * | 2022-11-18 | 2023-10-10 | 오용환 | 가이드브라켓과 걸이형 브라켓을 이용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
KR102613254B1 (ko) | 2023-02-15 | 2023-12-14 | 주식회사 토우디엔씨 | 자립 정착형 엄지 말뚝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 |
KR20240138250A (ko) | 2023-03-10 | 2024-09-20 | 주식회사 토우디엔씨 | 흙막이 가시설용 말뚝의 두부 긴장력을 이용한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 방법 |
KR102581735B1 (ko) | 2023-06-27 | 2023-09-22 | 오용환 | 끼움 방식의 브라켓을 구비하는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 |
US12104343B1 (en) | 2023-06-27 | 2024-10-01 | Yong Hwan Oh | Thumb pile including fitting bracke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tructure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2467B1 (ko)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 |
KR102393645B1 (ko)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 |
KR20190036591A (ko)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 |
KR20080005109A (ko) | 수평 아치형 구조재에 의한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 및이를 시공하는 방법 | |
KR101103909B1 (ko) | 토류벽체 지지용 띠장재 | |
KR100831332B1 (ko) |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 |
US12060689B1 (en) | Provisional facility for retaining earth by using ground anchors and guide brackets for stepwise retention during deep excava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 |
KR20040011113A (ko) | 가설 흙막이 공법 | |
KR20110060291A (ko) | 거푸집 및 지하외벽 수직철근 겸용 철재수직토류판과 그 지지구조 | |
KR101061516B1 (ko) | 아치형 강판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구조 | |
KR100477195B1 (ko) |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흙막이 공법용 단띠장재 | |
KR20040011610A (ko) | 가설 흙막이 공법 | |
KR101221084B1 (ko) | 벤딩 복원하중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용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 |
KR102558051B1 (ko) | 경사식 또는 교차식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 |
CN100441782C (zh) | 新型预应力脚手架系统 | |
KR102626432B1 (ko) |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637150B1 (ko) | 가이드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을 이용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 |
KR200247053Y1 (ko) |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흙막이 공법용 띠장재 | |
KR102195496B1 (ko) | 더블 아이 빔이 포함된 현장타설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 |
KR20230035897A (ko) | 가설 흙막이 공사용 형강이 보강된 엄지말뚝과 이의 제작 및 이를 이용한 깊은 굴착 시공방법 | |
KR20020096596A (ko) |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흙막이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띠장재 | |
KR200308716Y1 (ko) |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 |
JPH0559728A (ja) | 地下既設構造物上方における山留工法 | |
KR20040051182A (ko) |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가설 흙막이 공법 및 그 파일 | |
KR102587630B1 (ko) | 가이드브라켓과 걸이형 브라켓을 이용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2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003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6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4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6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4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7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6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6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4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