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432B1 -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6432B1 KR102626432B1 KR1020220171597A KR20220171597A KR102626432B1 KR 102626432 B1 KR102626432 B1 KR 102626432B1 KR 1020220171597 A KR1020220171597 A KR 1020220171597A KR 20220171597 A KR20220171597 A KR 20220171597A KR 102626432 B1 KR102626432 B1 KR 1026264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nd
- wale
- ground anchor
- guide bracket
- tension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4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39 C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40 Fe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2 fr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8 hot ro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엄지말뚝과; 상기 다수 개의 엄지말뚝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띠장과; 상기 띠장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인장재가 권취됨과 동시에 타측이 지반에 고정 정착되는 지반앵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엄지말뚝과; 상기 다수 개의 엄지말뚝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띠장과; 상기 띠장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인장재가 권취됨과 동시에 타측이 지반에 고정 정착되는 지반앵커로 구성된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지반을 일정한 직경 및 깊이로 굴착하여 다수 개의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에 엄지말뚝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엄지말뚝 사이에 지반앵커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엄지말뚝을 가로질러 가이드브라켓이 부착된 띠장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반앵커에 설치된 인장재를 가이드브라켓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인장재를 일정한 긴장력으로 긴장하여 띠장의 중간부에 배면측 지반에의 하중을 부여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을 도시한 굴착배면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을 도시한 굴착배면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의 가이드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의 가이드브라켓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의 가이드브라켓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의 가이드브라켓을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을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시공도.
130: 플랜지 200: 띠장
300: 가이드브라켓 310: 지지판
320: 수평판 330: 수직판
340: 좌측판 350: 우측판
360: 고정풀리 400: 지반앵커
410: 내하체 420: 인장재
G: 지반 L: 지반활동선
P: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Claims (9)
-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엄지말뚝(100)과;
상기 다수 개의 엄지말뚝(100)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띠장(200)과;
상기 띠장(200)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가이드브라켓(300)과;
상기 가이드브라켓(300)에 인장재(420)가 권취됨과 동시에 타측이 지반(G)에 고정 정착되는 지반앵커(400)로 구성되고,
상기 엄지말뚝(100)은 형강, 강관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띠장(200)은 형강, 강관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300)은 일정한 두께 및 폭을 갖는 지지판(310)과; 상기 지지판(310)의 양단부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각으로 각각 연장되는 수평판(320)과; 상기 수평판(320)으로 직각으로 각각 하향 연장되는 수직판(330)과; 상기 각각의 수직판(330)을 가로질러 용접 설치되는 좌, 우측판(340, 350)과 상기 좌, 우측판(340, 350) 사이에 결합되는 반원형 고정풀리(360)로 구성되며, 상기 반원형 고정풀리(360)에 인장재(420)가 걸려서 좌측판(340)과 우측판(350) 사이로 통과되고, 나아가 수직판(330) 사이로 통과되며, 상기 반원형 고정풀리(360)에 의해 인장재(420)의 각도가 수직에서 수평으로 변경되어 띠장(200)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반앵커(400)는 하단에 배치되는 일정한 중량을 갖는 내하체(410)와; 상기 내하체(410)에 일측이 매입됨과 동시에 타측으로 일정한 길이가 인발되는 인장재(420)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300)에 고정될 인장재(420)의 상부 자유장 부위는 띠장(200) 설치높이에서 굴토장비 굴착시 인장재(420)의 상부가 자유장이 쉽게 노출될 수 있도록 최초 지반앵커(400)의 수직 천공시 천공위치를 정확히 하고, 굴착단계별 가이드브라켓(300)에 고정될 인장재(420)를 구분하여 확인식별이 용이하도록 칼라 도색된 언본드형태로 설치하여 단계별 띠장(200)과 가이드브라켓(300)에 고정하며, 상기 지반앵커(400)의 경사각도는 0°를 기준으로 부지경계를 넘지 않는 각도 0°∼20°를 유지하며, 상기 지반앵커(400)는 인장재(420)에 긴장력을 도입한 상태에서 하부가 내하체(410)에 정착되고, 상부가 가이드브라켓(300)을 통해 띠장(200)의 중간부에 정착되며, 상기 지반앵커(400)가 설치되는 굴착영역 주위의 지반(G)에는 굴착영역의 깊이에서 20°∼45°의 직선의 지반활동선(L)을 상정하며, 지반앵커(400)의 내하체(410)는 지반활동선(L)보다 깊은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지반앵커(400)가 엄지말뚝(100)의 배면측의 지반으로부터 엄지말뚝(100) 측으로 소정각도 0°∼20°경사진 상태나 수직상태로 상향으로 신장 및 반원형 고정풀리(360)에서 90°∼110°으로 벤딩되어 띠장(200)의 중간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지반앵커(400)는 가이드브라켓(300)을 통해 지반(G)에 수직방향의 반력 및 수평방향의 반력을 취하여 띠장(200)의 중간부에 수평력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엄지말뚝(100)과;
상기 다수 개의 엄지말뚝(100)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띠장(200)과;
상기 띠장(200)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가이드브라켓(300)과;
상기 가이드브라켓(300)에 인장재(420)가 권취됨과 동시에 타측이 지반(G)에 고정 정착되는 지반앵커(400)로 구성되고,
상기 엄지말뚝(100)은 형강, 강관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띠장(200)은 형강, 강관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300)은 일정한 두께 및 폭을 갖는 지지판(310)과; 상기 지지판(310)의 양단부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각으로 각각 연장되는 수평판(320)과; 상기 수평판(320)으로 직각으로 각각 하향 연장되는 수직판(330)과; 상기 각각의 수직판(330)을 가로질러 용접 설치되는 좌, 우측판(340, 350)과 상기 좌, 우측판(340, 350) 사이에 결합되는 반원형 고정풀리(360)로 구성되며, 상기 반원형 고정풀리(360)에 인장재(420)가 걸려서 좌측판(340)과 우측판(350) 사이로 통과되고, 나아가 수직판(330) 사이로 통과되며, 상기 반원형 고정풀리(360)에 의해 인장재(420)의 각도가 수직에서 수평으로 변경되어 띠장(200)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반앵커(400)는 하단에 배치되는 일정한 중량을 갖는 내하체(410)와; 상기 내하체(410)에 일측이 매입됨과 동시에 타측으로 일정한 길이가 인발되는 인장재(420)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300)에 고정될 인장재(420)의 상부 자유장 부위는 띠장(200) 설치높이에서 굴토장비 굴착시 인장재(420)의 상부가 자유장이 쉽게 노출될 수 있도록 최초 지반앵커(400)의 수직 천공시 천공위치를 정확히 하고, 굴착단계별 가이드브라켓(300)에 고정될 인장재(420)를 구분하여 확인식별이 용이하도록 칼라 도색된 언본드형태로 설치하여 단계별 띠장(200)과 가이드브라켓(300)에 고정하며, 상기 지반앵커(400)의 경사각도는 0°를 기준으로 부지경계를 넘지 않는 각도 0°∼20°를 유지하며, 상기 지반앵커(400)는 인장재(420)에 긴장력을 도입한 상태에서 하부가 내하체(410)에 정착되고, 상부가 가이드브라켓(300)을 통해 띠장(200)의 중간부에 정착되며, 상기 지반앵커(400)가 설치되는 굴착영역 주위의 지반(G)에는 굴착영역의 깊이에서 20°∼45°의 직선의 지반활동선(L)을 상정하며, 지반앵커(400)의 내하체(410)는 지반활동선(L)보다 깊은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지반앵커(400)가 엄지말뚝(100)의 배면측의 지반으로부터 엄지말뚝(100) 측으로 소정각도 0°∼20°경사진 상태나 수직상태로 상향으로 신장 및 반원형 고정풀리(360)에서 90°∼110°으로 벤딩되어 띠장(200)의 중간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지반앵커(400)는 가이드브라켓(300)을 통해 지반(G)에 수직방향의 반력 및 수평방향의 반력을 취하여 띠장(200)의 중간부에 수평력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된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지반(G)을 일정한 직경 및 깊이로 굴착기에 의해 굴착하여 다수 개의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에 엄지말뚝(10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엄지말뚝(100) 사이에 띠장(200) 후면부 지반앵커(4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엄지말뚝(100)을 가로질러 가이드브라켓(300)이 부착된 띠장(20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반앵커(400)에 설치된 인장재(420)를 가이드브라켓(300)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인장재(420)를 일정한 긴장력으로 긴장하여 띠장(200)의 중간부에 배면측 지반(G)에의 하중을 부여하는 단계; 깊은 굴착의 지보단계별 가이드브라켓(300)이 부착된 띠장(200)을 설치하고, 상기 다수 개의 지반앵커(400)에 설치된 인장재(420)를 가이드브라켓(300)에 고정하고, 상기 인장재(420)를 일정한 긴장력으로 긴장하여 띠장(200)에 전달된 하중이 엄지말뚝(100)으로 전달되어 지보역할을 하고 굴착 배면 지반측으로 하중을 부여하는 반복과정을 통하여 깊은 굴착의 지보구조가 안전하게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반앵커(400)를 굴착배면 부지내 수직영역의 정착력이 확보되는 심도의 지반(G)에 설치하고, 상기 굴착영역의 외주측의 띠장(200) 상에 가이드브라켓(300)을 설치하며, 상기 지반앵커(400)의 인장재(420)를 가이드브라켓(300)의 반원형 고정풀리(360)에 걸고, 상기 반원형 고정풀리(360)를 고정하고, 상기 인장재(420)를 긴장력을 도입한 상태에서 정착구에 의해 띠장(200)의 중간부에 정착하며, 상기 띠장(200)의 중간부에 정착시킨 지반앵커(400)의 인장재(420)를 띠장(200)에 설치된 가이드브라켓(300)의 반원형 고정풀리(360)에서 수평상태로 방향전환시키며, 상기 지반앵커(400)는 띠장(200)으로부터의 수평방향 거리를 억제한 후, 상기 지반앵커(400)를 지반(G)의 깊은위치까지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엄지말뚝(100)의 배면측의 지반(G) 부지의 광협에 관계없이 띠장(200)의 중간부에 수평력을 부여하여 엄지말뚝(100)의 굴착영역으로 엄지말뚝(100)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지반앵커(400)를 설치하며, 상기 지반앵커(400)를 띠장(200)의 중간부에 접속하기 위한 지반앵커(400)의 인장재(420)를 띠장(200)의 중간부에 설치된 가이드브라켓(300)에 설치하며, 상기 지반앵커(400)를 엄지말뚝(100)의 반대측으로 경사시키거나 수직이어도 되고, 엄지말뚝(100) 자체를 경사시켜도 가능하며, 상기 지반앵커(400)를 엄지말뚝(100)과 동일방향으로 수직으로 설치하며, 상기 지반앵커(400)는 엄지말뚝(100)의 배면측 지반(G)의 지반활동선(L) 보다 깊은 위치에 설치하며, 상기 띠장(200)은 굴착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여러 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띠장(200)의 단수가 늘어남에 따라 지반앵커(400)의 정착장의 직경과 길이가 크고 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1597A KR102626432B1 (ko) | 2022-12-09 | 2022-12-09 |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1597A KR102626432B1 (ko) | 2022-12-09 | 2022-12-09 |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0562A KR20230030562A (ko) | 2023-03-06 |
KR102626432B1 true KR102626432B1 (ko) | 2024-01-16 |
Family
ID=8550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71597A Active KR102626432B1 (ko) | 2022-12-09 | 2022-12-09 |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643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9431B1 (ko) | 2024-04-05 | 2024-10-18 | 백경종 | 인장재의 각도 조절 장치 및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2179B1 (ko) * | 2010-06-24 | 2011-09-05 | 김성규 |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 |
KR101928054B1 (ko) * | 2016-11-29 | 2018-12-11 | 보현산업개발 주식회사 | 협소한 테두리 여유공간을 갖는 지하 구조물의 흙막이벽 구축공법 |
KR101949086B1 (ko) * | 2018-06-26 | 2019-02-15 | 백진명 | 자립식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벽체의 시공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8711B1 (ko) | 2013-09-09 | 2015-03-05 | 이대동 |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102097855B1 (ko) * | 2017-11-08 | 2020-04-06 | 백진명 | 더블 아이 빔에 압축응력이 도입된 자립식 흙막이 공법 |
-
2022
- 2022-12-09 KR KR1020220171597A patent/KR10262643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2179B1 (ko) * | 2010-06-24 | 2011-09-05 | 김성규 | 모든 앵커 각도에 적용 가능한 브라켓 |
KR101928054B1 (ko) * | 2016-11-29 | 2018-12-11 | 보현산업개발 주식회사 | 협소한 테두리 여유공간을 갖는 지하 구조물의 흙막이벽 구축공법 |
KR101949086B1 (ko) * | 2018-06-26 | 2019-02-15 | 백진명 | 자립식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벽체의 시공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9431B1 (ko) | 2024-04-05 | 2024-10-18 | 백경종 | 인장재의 각도 조절 장치 및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0562A (ko) | 2023-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93645B1 (ko)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 |
KR102162467B1 (ko)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 |
US12060689B1 (en) | Provisional facility for retaining earth by using ground anchors and guide brackets for stepwise retention during deep excava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 |
KR20080005109A (ko) | 수평 아치형 구조재에 의한 흙막이 벽체 단위 지보구조 및이를 시공하는 방법 | |
KR100642341B1 (ko) | 흙막이 토류벽 보강용 파일부재 | |
KR100633796B1 (ko) |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중앙 버팀보 연결구조 | |
KR102626432B1 (ko) | 가이드브라켓과 내하체가 구비된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061516B1 (ko) | 아치형 강판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구조 | |
CN108035360A (zh) | 一种用于基坑支护的方法 | |
KR102610817B1 (ko) |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230130783A (ko) | 강선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구조물 | |
KR102637150B1 (ko) | 가이드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을 이용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 |
KR102626433B1 (ko) |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2382845B1 (ko) | 경사식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 |
KR20230030532A (ko) |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 |
KR20040031451A (ko) | 혁신적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 |
KR102587630B1 (ko) | 가이드브라켓과 걸이형 브라켓을 이용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 |
KR102587627B1 (ko) | 상부캡형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 |
KR102626431B1 (ko) | 가이드브라켓과 천공경 하단부 지반앵커를 이용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 |
KR20200029077A (ko) | 더블 아이 빔이 포함된 현장타설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 |
KR20200029075A (ko) | 더블 아이 빔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 |
KR200308716Y1 (ko) |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 |
KR20230032050A (ko) | 천공홀 하단부 그라우팅 고정식 변위제어용 프리스트레스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 |
KR20230035903A (ko) | 경사식 또는 교차식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자립식 가설 흙막이 시공방법 | |
KR20240047107A (ko) | 가이드브라켓과 걸이형 브라켓을 이용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2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215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