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8557B1 -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 Google Patents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557B1
KR100788557B1 KR1020070000787A KR20070000787A KR100788557B1 KR 100788557 B1 KR100788557 B1 KR 100788557B1 KR 1020070000787 A KR1020070000787 A KR 1020070000787A KR 20070000787 A KR20070000787 A KR 20070000787A KR 100788557 B1 KR100788557 B1 KR 100788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absorbing layer
insulating film
light
light absorb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모
김성환
성진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557B1/ko
Priority to JP2007046045A priority patent/JP4672691B2/ja
Priority to US11/743,310 priority patent/US7982818B2/en
Priority to EP07113088A priority patent/EP1942366B1/en
Priority to CN2007101435706A priority patent/CN101216625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55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4Optical details, e.g. printed circuits comprising integral optical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04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n general
    • H05K2201/0112Absorbing light, e.g. dielectric layer with carbon filler for laser proces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431Details of mounted components
    • H05K2201/10439Position of a single component
    • H05K2201/10446Mounted on an e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도전 패턴 및 수동 소자에 유입되지 않도록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절연 필름과, 상기 제1절연 필름에 형성된 다수의 도전 패턴과, 상기 제1절연 필름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도전 패턴을 덮는 제2절연 필름과, 상기 도전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과, 상기 광원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흡수하는 상면광흡수층을 포함하며, 상기 상면광흡수층은 상기 광원의 일측면에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을 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 연성 회로 기판, 광흡수층, 수동 소자, 도전 패턴

Description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FLEXIBLE CIRCUIT BOARD FOR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LIGHT ABSORBING LAYER}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을 도시한 평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에서 광원이 실장(Mount)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5-5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6-6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7-7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역삼각형 형태의 상면광흡수층, 광원 및 도광판의 형성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110; 제1절연 필름 120; 도전 패턴
130; 제2절연 필름 140; 광원
150; 수동 소자 160; 광흡수층
161; 하면광흡수층 162; 상면광흡수층
170; 제1영역
180; 제2영역 181; 제1절개부
182; 제2절개부 183; 패널 접속부
185; 잉크층 190; 제3영역
191; 컨트롤 접속부 199; 고정용 홀
본 발명은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평판 표시 장치의 하나로서, 다른 표시 장치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구동 전압 및 낮은 소비 전력을 갖는 장점이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 기판과, 상기 TFT 기판에 대향하는 컬러 필터(color filter) 기판과, 상기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광 투과율을 변경시키는 액 정으로 이루어진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인가하는 구동 모듈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구동 모듈 사이에는 통상 연성 회로 기판이 개재된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에 포함된 액정이 자체적으로 발광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로 소정 휘도 이상의 빛을 제공하는 광원을 필요로 한다.
최근의 휴대 전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표시 장치에서는 두께를 더욱 얇게 하고 무게를 더욱 가볍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으로서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례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에 상기 광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이러한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후면에 위치하는 도광판에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연성 회로 기판에 실장된 광원으로부터의 빛은 모두 도광판으로 전달되어야 하지만, 일부의 빛은 도광판으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원하지 않는 영역으로 전달된다. 즉, 상기 연성 회로 기판에는 도전 패턴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저항 또는 캐패시터와 같은 수동 소자가 실장되는데,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상기 도전 패턴 또는 상기 수동 소자에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에는 일정 세기의 에너지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에너지가 상기 도전 패턴 및 상기 수동 소자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수동 소자 및 액정 표시 패널이 오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연성 회로 기판에 광원을 장착한 구조는 최근의 슬림화 및 경량화 추세에 반드시 채택되어야 할 기술이지만,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각종 수동 소자를 오동작시킴으로써, 이를 채택한 기술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도전 패턴 및 수동 소자에 유입되지 않도록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은 제1절연 필름과, 상기 제1절연 필름에 형성된 다수의 도전 패턴과, 상기 제1절연 필름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도전 패턴을 덮는 제2절연 필름과, 상기 도전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과, 상기 광원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흡수하는 상면광흡수층을 포함하며, 상기 상면광흡수층은 상기 광원의 일측면에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면광흡수층은 상기 광원과 도광판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상면광흡수층은 상기 광원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도광판 방향으로 역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역삼각형 형태의 상면광흡수층의 일측면 꼭지점은 상기 광원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꼭지점은 각도가 90도 내지 160도 사이일 수 있다.
상기 역삼각형 형태의 상면광흡수층의 일측면 꼭지점은 상기 광원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꼭지점은 각도가 120도일 수 있다.
상기 상면광흡수층은 상기 광원의 외주연으로서 제2절연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며, 하면광흡수층은 상기 제1절연 필름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광흡수층의 면적이 상기 상면광흡수층의 면적보다 더 클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상면광흡수층의 외주연에는 상기 도전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동 소자와 대응되는 제1절연 필름의 표면에도 하면광흡수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광흡수층 및 하면광흡수층은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타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및 에폭시 레진(epoxy resi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 제1절연 필름은 상기 광원 및 광흡수층이 형성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일측에 형성되어 액정 표시 패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 컨트롤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3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에는 대칭되는 형태로 상호간 이격된 제1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절개부 사이에는 제2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절개부와 제2절개부가 이루는 절개 영역에는 액정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널 접속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접속부는 도전 패턴이 제1절연 필름의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영역에는 외부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컨트롤러 접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 접속부는 도전 패턴이 제1절연 필름의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과 제3영역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용 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은 광원의 외주연에 하면광흡수층 및 상면광흡수층을 더 형성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도전 패턴 및 수동 소자쪽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동 소자의 오동작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패널의 오동작도 효율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은 제1영역에 광원 및 수동 소자를 형성하고, 제2영역에 액정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널 접속부를 형성하며, 제3영역에 외부 컨트롤러에 접속되는 컨트롤러 접속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소 면적에 다수의 부품들을 효율적으로 전기 접속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최근의 슬림화 및 경량화한 휴대용 표시 장치에 적용하기 쉽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은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이 모두 연성의 제1절연 필름 및 제2절연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원하는 영역을 용이하게 접을 수 있고, 따라서 절곡 부분이 많은 각종 휴대용 표시 장치에 적용하기 쉽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의 평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에서 광원이 실장되기 전의 상태가 평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100)은 제1절연 필름(110), 도전 패턴(120), 제2절연 필 름(130), 광원(140), 수동 소자(150) 및 광흡수층(16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절연 필름(110)은 연성 회로 기판(100)의 기본층으로서, 연성의 폴리이미드(polyimide)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전 패턴(120)은 상기 제1절연 필름(110)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전 패턴(120)은 도전성이 우수한 구리 박막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도전 패턴(120)은 연성 회로 기판(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각종 전자 부품 예를 들면, 광원(14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수동 소자(150)에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1a 및 도 2에서는, 일부의 도전 패턴(120)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도전 패턴(120)은 수십에서 수천개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제2절연 필름(130)이 거의 불투명하기 때문에 잘 보이지 않는다.
상기 제2절연 필름(130)은 상기 제1절연 필름(110)에 형성되어, 상기 도전 패턴(120)을 덮는다. 따라서, 상기 제2절연 필름(130)은 상기 도전 패턴(120)이 외부로 노출되어 손상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한다. 물론, 상기 제2절연 필름(130)은 예를 들면 광원(140)이나 수동 소자(150)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부분(도전 패드)의 도전 패턴(120)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2절연 필름(130)은 연성의 커버 레이 필름(cover lay film)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원(140)은 상기 도전 패턴(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실질 적으로, 상기 도전 패턴(120)에는 도전 패드(120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도전 패드(120a)는 상기 제2절연 필름(13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광원(140)은 납땜 등에 의해 상기 도전 패드(120a)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광원(140)은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일렬로 배치된 3개의 광원(140)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광원(140)의 개수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동 소자(150) 역시 상기 도전 패턴(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실제로, 상기 도전 패턴(120)에는 도전 패드(120b: 도 5참조)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도전 패드(120b)는 제2절연 필름(13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 소자(150)는 납땜 등에 의해 상기 도전 패턴(120b)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수동 소자(15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저항,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 등일 수 있으며, 여기서 수동 소자(150)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일렬로 배치된 7개의 수동 소자(15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수동 소자(150)의 개수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흡수층(160)은 상기 제1절연 필름(110)에 형성된 하면광흡수층(161)과, 상기 제2절연 필름(130)에 형성된 상면광흡수층(162)을 포함한다. 상기 하면광흡수층(161)은 상기 광원(140) 및 수동 소자(150)가 전기 접속된 면의 반대면인 제1절연 필름(110)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면광흡수층(162)은 상기 광원(140)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제2절연 필름(130)에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2절연 필름(130)을 통해 노출된 도전 패드(120a)에 광원(140)이 용이하게 전기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상면광흡수층(162)은 상기 도전 패드(120a)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하면광흡수층(161) 및 상면광흡수층(162)의 구조에 의해 상기 광원(140)으로부터의 빛이 상기 도전 패턴(120) 및 수동 소자(150)로 유입되기 어렵게 된다. 즉, 상기 광원(140)으로부터의 빛이 도시되지 않은 도광판으로만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도전 패턴(120)이나 수동 소자(150)로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이러한 광흡수층(160)은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C8H16O4), 타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O2Ti) 및 에폭시 레진(epoxy resin)으로 이루어진 화합물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여기서 상기 광흡수층(16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의 광흡수층(160)은 검은색을 띠고 있기 때문에 통상 블랙 실크(black silk)라고도 한다. 더욱이, 상기 광흡수층(160)이 검은색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더욱 효율적으로 흡수한다. 더불어, 이러한 광흡수층(160)은 스크링 프린팅(screen printing),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및 그 등가 방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형성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광흡수층(160)은 무전해 도금하거나 또는 전해 도금하여 형성할 수 있고, 더욱이 검은색의 고분자 수지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상면광흡수층의 형성관계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면광흡수층은 광원과 도광판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도광판의 방향으로 역삼각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상면광흡수층을 제2절연 필름의 상면으로서 상기 광원의 외주연 전부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실질적으로 광원으로부터 빛은 상기 광원으로 부터 도광판 쪽으로 상부를 향하여 발산되는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광흡수층을 광원으로부터 도광판의 방향으로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하여도 상기 상면광흡수층이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차단하는 기능에는 차이가 없다. 따라서 상기 상면광흡수층을 본 발명에 따른 역삼각형의 형태로 제작한다면, 연성 회로 기판의 제작 비용의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100)은 평면적인 구조로 보았을 때 제1영역(170), 제2영역(180) 및 제3영역(190)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제1절연 필름(110)을 제1영역(170), 제2영역(180) 및 제3영역(190)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영역(17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광원(140), 수동 소자(150) 및 광흡수층(160)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여기서, 상기 광흡수층(160)중 상기 하면광흡수층(161)은 제1영역(170)에 대응되는 제1절연 필름(110)의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흡수층(160)중 상기 상면광흡수층(162)은 제2절연 필름(130)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면광흡수층(162)은 상기 광원(140)에만 형성되 고, 상기 수동 소자(150)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하면광흡수층(161)의 면적이 상기 상면광흡수층(162)의 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된다.
상기 제2영역(180)은 상기 제1영역(17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액정 표시 패널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패널 접속부(183)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영역(180)에는 상호간 소정 거리 이격된 제1절개부(18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절개부(181) 사이에는 제2절개부(18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절개부(181)와 제2절개부(182)는 대략 "H"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절개부(181)와 제2절개부(182)가 이루는 절개 영역에는 액정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널 접속부(183)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패널 접속부(183)에는 다수의 도전 패턴(120c: 도1c 참조)이 제1절연 필름(11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 1c에서 미설명 부호 185는 제2영역(180)의 절곡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제1절연층보다 연성이 훨씬 우수한 잉크층이다.
상기 제3영역(190)은 상기 제2영역(18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외부 컨트롤러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컨트롤러 접속부(191)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컨트롤러 접속부(191)에는 다수의 도전 패턴(120d)이 제1절연 필름(110) 및 제2절연 필름(13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1영역(170)과 제3영역(190)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용 홀(199a,199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용 홀(199a,199b)은 본 발명에 의한 연성 회로 기판(100)이 몰딩 프레임의 고정 돌기에 결합됨으로써, 그 몰딩 프레임에 연성 회로 기판(100)이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3-3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00)은 제1영역(170), 제2영역(180) 및 제3영역(190)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70)에는 광원(140)이 도전 패턴(120)에 형성된 도전 패드(120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동 소자(150)가 도전 패턴(120)에 형성된 도전 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영역(170)중 제1절연 필름(110)의 표면에는 하면광흡수층(16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역(170)중 제2절연 필름(130)의 표면에는 상면광흡수층(162)이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상면광흡수층(162)은 상기 수동 소자(150)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2영역(180)에는 패널 접속부(18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패널 접속부(183)에는 도전 패턴(120)에 형성된 도전 패드(120c)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2영역(180)에는 절곡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일부 영역에 제1절연층보다 연성이 좋은 잉크층(18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잉크층(185)은 통상의 자외선 경화 잉크, 적외선 경화 잉크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상기 제3영역(190)에는 컨트롤러 접속부(19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컨트롤러 접속부(191)에는 도전 패턴(120)에 형성된 도전 패드(120d)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의 4-4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00)에는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14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실장되어 있다. 물론, 상기 각각의 광원(140)은 도전 패턴(120)에 형성된 도전 패드(120a)에 납땜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도전 패드(120a) 및 도전 패턴(120)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물론, 제1절연층(110)의 표면에는 하면광흡수층(161)이 형성되고, 제2절연층(130)의 표면에는 상면광흡수층(16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원(140)으로부터의 빛이 도전 패턴(120)에 전달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의 5-5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00)에는 저항, 커패시터 또는 인덕터와 같은 수동 소자(15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실장되어 있다. 물론, 상기 각각의 수동 소자(150)는 도전 패턴(120)에 형성된 도전 패드(120b)에 납땜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도전 패드(120b) 및 도전 패턴(120)을 통하여 전기적 신호를 공급받는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1의 6-6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00)에는 제2영역(180)중 제1절연 필름(110) 대신 상대적으로 절곡이 더 잘되는 잉크층(18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절연 필름과 제2절연 필름이 상호 접착된 구성이 아닌 잉크층(185)과 제2절연 필름(130)이 상호 접착된 구성을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2영역(180)에 대하여 절곡이 수월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영역(180)중 패널 접속부(183)는 액정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소정 각도 절곡되는데 이때 상기 절곡 영역에 응력이 집중하여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절곡되는 제2영역(180)에 제1절연 필름(110) 대신 잉크층(185)을 형성함으로써, 절곡 공정중 응력을 흡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1의 7-7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 회로 기판(100)에는 제2영역(180)중 액정 표시 패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널 접속부(183)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패널 접속부(183)는 실질적으로 제1절연 기판(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다수의 도전 패턴(120c)일 수 있다. 즉, 이러한 다수의 도전 패턴(120c)이 액정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외부 컨트롤러 접속부(191)를 통한 각종 전기적 신호가 액정 표시 패널에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은 광원의 외주연에 상면광흡수층 및 하면광흡수층을 더 형성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수동 소자 및 도전 패턴쪽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동 소자의 오동작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패널의 오동작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은 광원으로부터 빛이 원하지 않는 영역(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 및 구동용 드라이버 IC 등)으로 유출되지 않음으로써 화면 품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은 제1영역에 광원 및 수동 소자를 형성하고, 제2영역에 액정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널 접속부를 형성하며, 제3영역에 외부 컨트롤러에 접속되는 컨트롤러 접속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소 면적에 다수의 부품들을 효율적으로 전기 접속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최근의 슬림화 및 경량화한 휴대용 표시 장치에 적용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은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이 모두 연성의 제1절연 필름 및 제2절연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원하는 영역을 용이하게 접을 수 있고, 따라서 절곡 부분이 많은 각종 휴대용 표시 장치에 적용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더욱이 상기 상면광흡수층의 경우 광원으로부터 도광판의 방향으로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제2절연 필름의 상면 전부에 상기 상면광흡수층을 형성하는 것에 비해 비용 절감의 효과를 누릴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층에 갖는 연성 회로 기판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0)

  1. 제1절연 필름;
    상기 제1절연 필름에 형성된 다수의 도전 패턴;
    상기 제1절연 필름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도전 패턴을 덮는 제2절연 필름;
    상기 도전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흡수하는 상면광흡수층을 포함하며, 상기 상면광흡수층은 상기 광원의 일측면에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광흡수층은 상기 광원과 도광판의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광흡수층은 상기 광원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도광판 방향으로 역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각형 형태의 상면광흡수층의 일측면 꼭지점은 상기 광원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꼭지점은 각도가 90도 내지 160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각형 형태의 상면광흡수층의 일측면 꼭지점은 상기 광원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꼭지점은 각도가 1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광흡수층은 상기 광원의 외주연으로서 제2절연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며, 하면광흡수층은 상기 제1절연 필름의 하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7. 삭제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광흡수층의 면적이 상기 상면광흡수층의 면적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광흡수층의 외주연에는 상기 도전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소자와 대응되는 제1절연 필름의 표면에도 하면광흡수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광흡수층은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타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및 에폭시 레진(epoxy resin)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 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광흡수층은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타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및 에폭시 레진(epoxy resin)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 필름은 상기 광원 및 광흡수층이 형성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일측에 형성되어 액정 표시 패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 컨트롤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3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에는 대칭되는 형태로 상호간 이격된 제1절개부가 형성되고, 상 기 제1절개부 사이에는 제2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절개부와 제2절개부가 이루는 절개 영역에는 액정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널 접속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접속부는 도전 패턴이 제1절연 필름의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역에는 외부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컨트롤러 접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접속부는 도전 패턴이 제1절연 필름의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제3영역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용 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KR1020070000787A 2007-01-03 2007-01-03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Expired - Fee Related KR100788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787A KR100788557B1 (ko) 2007-01-03 2007-01-03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JP2007046045A JP4672691B2 (ja) 2007-01-03 2007-02-26 液晶表示装置用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
US11/743,310 US7982818B2 (en) 2007-01-03 2007-05-02 Flexible circuit board of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a triangular light absorbing layer
EP07113088A EP1942366B1 (en) 2007-01-03 2007-07-25 Flexible circuit board having a light absorbing layer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CN2007101435706A CN101216625B (zh) 2007-01-03 2007-08-09 具有光吸收层的液晶显示器的柔性电路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787A KR100788557B1 (ko) 2007-01-03 2007-01-03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8557B1 true KR100788557B1 (ko) 2007-12-26

Family

ID=38734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78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8557B1 (ko) 2007-01-03 2007-01-03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82818B2 (ko)
EP (1) EP1942366B1 (ko)
JP (1) JP4672691B2 (ko)
KR (1) KR100788557B1 (ko)
CN (1) CN1012166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66046B (en) * 2008-04-03 2012-06-11 Chimei Innolux Corp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9232634B2 (en) * 2011-01-17 2016-01-05 Canon Components, Inc. Flexible circuit board for mounting light emitting element, illumination apparatus, and vehicle lighting apparatus
US10823895B2 (en) 2014-01-29 2020-11-03 E Ink Holdings Inc. Light-emitting module
TWI526743B (zh) 2014-01-29 2016-03-2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發光模組
KR102548931B1 (ko) * 2016-03-22 2023-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8411A (ja) * 1996-12-06 1998-06-23 Seiko Epson Corp 異方性導電接着剤、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50118530A (ko) * 2004-06-14 2005-12-19 하바텍 코포레이션 백색 발광 다이오드 광원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00236A (ko) * 2004-06-28 2006-01-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KR20060088940A (ko) * 2005-02-02 2006-08-07 럭스피아 주식회사 엘이디 패키지 어레이를 이용하는 액정표시모듈
KR20060090392A (ko) * 2005-02-07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Emi 차폐를 위한 평판표시장치
KR20060126074A (ko) * 2005-06-03 200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개선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9818A (en) 1983-02-25 1984-03-27 Scheib Joseph J Flexible light display with evenly distributed illumination
JP2978383B2 (ja) 1993-09-22 1999-11-1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TW383508B (en) 1996-07-29 2000-03-01 Nichia Kagaku Kogyo Kk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JP3073701B2 (ja) 1996-12-16 2000-08-07 株式会社東芝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00231096A (ja) 1999-02-10 2000-08-22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
DE19939076A1 (de) * 1999-08-18 2001-02-22 Beiersdorf Ag Verpackungsklebeband mit Naturkautschuk-Schmelzhaftkleber
JP3787753B2 (ja) 1999-12-28 2006-06-21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US6699351B2 (en) 2000-03-24 2004-03-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isotropically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anisotropically conductive adhesive film formed from it
AU2001286239A1 (en) 2000-09-16 2002-04-02 Goo Chemical Co., Ltd. Ultraviolet-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photosolder resist ink containing the composition
JP2003149665A (ja) * 2001-11-08 2003-05-21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2003242817A (ja) 2002-02-13 2003-08-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ックライト装置
AU2003219936A1 (en) 2002-03-01 2003-09-16 Markem Corporation Marking substrates
JP4039115B2 (ja) * 2002-05-10 2008-0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
JP2003344851A (ja) 2002-05-22 2003-12-03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
JP4543772B2 (ja) * 2003-09-19 2010-09-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222543B (en) * 2003-09-26 2004-10-2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LCM)
DE10350099A1 (de) 2003-10-27 2005-06-09 Kwl-Lighting Gmbh Leucht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euchtvorrichtung
TWI277032B (en) 2004-02-27 2007-03-21 Au Optronics Corp Planar display module
TWM263518U (en) 2004-07-06 2005-05-0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JP2006030726A (ja) 2004-07-20 2006-02-02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US20060082297A1 (en) 2004-10-19 2006-04-20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preparing a lens-less LED
JP4251129B2 (ja) 2004-10-25 2009-04-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実装構造体、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60036298A (ko) 2004-10-25 2006-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 연성 회로 기판을 갖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60058596A (ko) 2004-11-25 2006-05-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JP2006154008A (ja) * 2004-11-26 2006-06-15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および携帯電話
JP4552637B2 (ja) 2004-12-09 2010-09-29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674759B1 (ko) * 2004-12-22 2007-01-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KR20060071553A (ko) 2004-12-22 2006-06-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KR20060082471A (ko) 2005-01-12 2006-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60123912A (ko) 2005-05-30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7284894B2 (en) 2005-05-31 2007-10-23 Avago Technologies Eceliip (Singapore) Pte Ltd Light source utilizing a flexible circuit carrier
JP2006349789A (ja) * 2005-06-14 2006-12-28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TWI306652B (en) * 2005-10-28 2009-02-21 Chipmos Technologies Inc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structur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8411A (ja) * 1996-12-06 1998-06-23 Seiko Epson Corp 異方性導電接着剤、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50118530A (ko) * 2004-06-14 2005-12-19 하바텍 코포레이션 백색 발광 다이오드 광원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00236A (ko) * 2004-06-28 2006-01-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KR20060088940A (ko) * 2005-02-02 2006-08-07 럭스피아 주식회사 엘이디 패키지 어레이를 이용하는 액정표시모듈
KR20060090392A (ko) * 2005-02-07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Emi 차폐를 위한 평판표시장치
KR20060126074A (ko) * 2005-06-03 200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개선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72691B2 (ja) 2011-04-20
US20080158474A1 (en) 2008-07-03
CN101216625B (zh) 2010-07-28
CN101216625A (zh) 2008-07-09
EP1942366A1 (en) 2008-07-09
EP1942366B1 (en) 2012-05-16
JP2008165158A (ja) 2008-07-17
US7982818B2 (en)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556B1 (ko)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US9570424B2 (en) Light sourc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acklight unit
KR101951956B1 (ko) 반도체 패키지용 연성회로기판
KR100786479B1 (ko)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표시기기
EP1942709B1 (en) Flexible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CN106547154A (zh) 显示装置
KR100788557B1 (ko)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US9807880B2 (en) Circuit board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circuit board
KR100833746B1 (ko)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US862504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0833748B1 (ko)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KR100833747B1 (ko) 광흡수층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용 연성 회로 기판
CN111025709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110051718A (ko) 백라이트 유닛용 브라켓 일체형 방열 pcb와 이를 구비한 샤시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95666B1 (ko) 액정 표시 장치
WO2024036636A1 (zh) 基板和电子装置
KR101273009B1 (ko) 블랑켓 일체형 방열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이용되는 패턴 마스크
KR101164958B1 (ko) 백라이트 유닛용 브라켓 일체형 방열 인쇄회로기판 및 이에 사용되는 메탈 마스크
KR20070052915A (ko) 백라이트 유닛용 발광소자
KR20070033507A (ko)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TWM664497U (zh) 感測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