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975B1 -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8975B1 KR100778975B1 KR1020070022811A KR20070022811A KR100778975B1 KR 100778975 B1 KR100778975 B1 KR 100778975B1 KR 1020070022811 A KR1020070022811 A KR 1020070022811A KR 20070022811 A KR20070022811 A KR 20070022811A KR 100778975 B1 KR100778975 B1 KR 1007789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ondary battery
- lithium secondary
- binder
- acrylate
- porous membra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1차 열처리(℃) | 2차 열처리(℃) | 크랙 발생 여부 | 박리 테스트 박리강도(gf/mm) | |
비교예 1 | 100 | - | 없음 | 1.02 |
비교예 2 | 120 | - | 없음 | 1.15 |
비교예 3 | 150 | - | 있음 | 1.87 |
비교예 4 | 200 | - | 있음 | 1.76 |
실시예 1 | 100 | 150 | 없음 | 2.88 |
실시예 2 | 100 | 170 | 없음 | 3.09 |
실시예 3 | 100 | 200 | 없음 | 3.28 |
실시예 4 | 120 | 150 | 없음 | 3.17 |
실시예 5 | 120 | 170 | 없음 | 3.39 |
실시예 6 | 120 | 200 | 없음 | 3.28 |
바인더의 연신율 | 극판 상태 | 와인딩(winding) | |
비교예 5 | 125% | 크랙 발생 | 불가능 |
비교예 6 | 150% | 크랙 발생 | 불가능 |
비교예 7 | 175% | 크랙 발생 | 불가능 |
실시예 9 | 200% | 크랙 없음 | 가능 |
실시예 10 | 225% | 크랙 없음 | 가능 |
실시예 11 | 250% | 크랙 없음 | 가능 |
실시예 12 | 275% | 크랙 없음 | 가능 |
실시예 13 | 300% | 크랙 없음 | 가능 |
바인더의 팽윤도 | 전지 두께 | |
실시예 14 | 125% | 100% |
실시예 15 | 150% | 103% |
실시예 16 | 175% | 107% |
실시예 17 | 200% | 111% |
비교예 10 | 225% | 140% |
비교예 11 | 250% | 146% |
비교예 12 | 275% | 155% |
바인더의 열수축율(150℃) | 다공막 탈리 여부 | |
실시예 18 | 0.1% | 탈리 없음 |
실시예 19 | 0.2% | 탈리 없음 |
실시예 20 | 0.3% | 탈리 없음 |
실시예 21 | 0.4% | 탈리 없음 |
실시예 22 | 0.5% | 탈리 없음 |
비교예 13 | 0.6% | 탈리 있음 |
비교예 14 | 0.7% | 탈리 있음 |
비교예 15 | 0.8% | 탈리 있음 |
비교예 16 | 0.9% | 탈리 있음 |
Claims (28)
- 양극과, 음극과,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을 격리시키는 세퍼레이터 및 비수성 전해액을 포함하며,상기 세퍼레이터는 세라믹 물질과 바인더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다공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상기 다공막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며,상기 바인더가 200∼300%의 연신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전해액에 대한 팽윤도가 2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150℃에서 열수축율이 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음극의 기재에 대한 상기 다공막의 박리 강도가 3gf/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아크릴계 주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가교성 공단량체의 가교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아크릴계 고무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주단량체는 메톡시메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 비닐메타크릴레이트, 비닐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1,1-디메틸프로펜일메타크릴레이트, 1,1-디메틸프로펜일아크릴레이트, 3,3-디메틸부텐일메타크릴레이트, 3,3-디메틸부텐일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알켄일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 이타코네이트, 디비닐 말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불포화디카복실산에스테르; 비닐 1,1-디메틸프로펜일 에테르, 비닐 3,3-디메틸부텐일 에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비닐기 함유 에테르; 1-아크릴로일록시-1-페닐에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공단량체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비닐 클로로아세테이트, 아릴 클로로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알켄일 클로로아세테이트; 글 리시딜아크릴레이트, 비닐글리시딜에테르, 아크릴글리시딜에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글리시딜기 함유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중에서 선택되는 불포화카복실산; 2-클로로에틸비닐에테르; 클로로메틸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주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1만 내지 500만 범위 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주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상기 가교성 공단량체는 90:10 내지 60:40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주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상기 가교성 공단량체는 70:30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물질의 1차 입자가 부분 소결 또는 재결정 결합한 2차 입자가 바인더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입자는 방상(포도송이 모양) 또는 층상의 입자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2 항에 있어서, 방상을 이루는 상기 1차 입자는 직경이 0.01 내지 0.3㎛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2 항에 있어서, 층상을 이루는 상기 1차 입자는 너비가 100nm 내지 1㎛인 비늘 모양의 박편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물질은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지르코늄 산화물(ZrO2), 티타늄 산화물(Ti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물질은 실리콘(Si), 알루미늄(Al), 지르코늄(Zr), 티타늄(Ti) 각각의 절연성의 질화물, 수산화물, 알콕시화물, 케톤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물질은 200℃ 온도에서 열팽창율이 0.2% 이내, 400℃ 온도에서 열팽창율이 0.1 내지 0.4%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물질의 열전도도는 500℃ 이상 1000℃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100W/(mxK)를 중심으로 10% 영역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물질의 유전손실은 1MHz 주파수에서 10-5 내지 10-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물질과 바인더는 95:5 내지 80:20 중량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막은 공공율이 50%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막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가운데 하나에 대하여, 상기 세라믹 물질과 상기 바인더를 용매에 분산시킨 혼합용액에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적어도 하나를 담그는 방법, 상기 혼합용액을 상기 전극면에 스프레이하는 방법, 상기 혼합용액을 상기 전극면에 전면인쇄하는 방법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막은 100∼120℃에서 1차 열처리된 후, 150∼200℃에서 2차 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막은 1 내지 40㎛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막은 5 내지 20㎛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및 음극은 각각 리튬 이온을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양극 활물질 및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하기 (1) 내지 (1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리튬 화합물인 리튬 이차 전지.LixMn1-yMyA2 (1)LixMn1-yMyO2-zXz (2)LixMn2O4-zXz (3)LixMn2-yMyM'zA4 (4)LixCo1-yMyA2 (5)LixCo1-yMyO2-zXz (6)LixNi1-yMyA2 (7)LixNi1-yMyO2-zXz (8)LixNi1-yCoyO2-zXz (9)LixNi1-y-zCoyMzAα (10)LixNi1-y-zCoyMzO2-αXα (11)LixNi1-y-zMnyMzAα (12)LixNi1-y-zMnyMzO2-αXα (13)(상기 식에서 0.9≤x≤1.1, 0≤y≤0.5, 0≤z≤0.5, 0≤α≤2이고, M과 M'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며, Mg, Al, Co, K, Na, Ca, Si, Ti, Sn, V, Ge, Ga, B, As, Zr, Mn, Cr, Fe, Sr, V 및 희토류 원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A는 O, F, S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는 F, S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은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탄소 복합체, 탄소 섬유, 리튬 금속 및 리튬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리튬 이차 전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2811A KR100778975B1 (ko) | 2007-03-08 | 2007-03-08 | 리튬 이차 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2811A KR100778975B1 (ko) | 2007-03-08 | 2007-03-08 | 리튬 이차 전지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60624A Division KR100770105B1 (ko) | 2005-07-06 | 2005-07-06 | 리튬 이차 전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4038A KR20070034038A (ko) | 2007-03-27 |
KR100778975B1 true KR100778975B1 (ko) | 2007-11-28 |
Family
ID=4163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2811A Expired - Lifetime KR100778975B1 (ko) | 2007-03-08 | 2007-03-08 | 리튬 이차 전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897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44557A3 (en) * | 2008-10-15 | 2010-07-15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8977B1 (ko) * | 2007-03-29 | 2009-07-2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의 전극 조립체 |
KR100983161B1 (ko) | 2008-01-11 | 2010-09-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
KR101009551B1 (ko) * | 2008-02-19 | 2011-01-1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
KR100947072B1 (ko) | 2008-03-27 | 2010-04-0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
KR101708883B1 (ko) * | 2012-09-19 | 2017-02-2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
EP3031092B1 (en) * | 2013-08-09 | 2019-10-09 | Robert Bosch GmbH | Li-ion battery with alumina coated porous silicon anode |
KR102051544B1 (ko) * | 2015-11-05 | 2019-12-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완충형 바인더층을 가진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
KR102437371B1 (ko) | 2018-09-28 | 2022-08-2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80395A (ja) * | 1997-09-09 | 1999-03-26 | Nitto Denko Corp | 多孔質膜および非水電解液電池用セパレータ |
KR20020080797A (ko) * | 2001-04-17 | 2002-10-26 | 한국과학기술원 | 가교화된 겔상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리튬고분자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
2007
- 2007-03-08 KR KR1020070022811A patent/KR100778975B1/ko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80395A (ja) * | 1997-09-09 | 1999-03-26 | Nitto Denko Corp | 多孔質膜および非水電解液電池用セパレータ |
KR20020080797A (ko) * | 2001-04-17 | 2002-10-26 | 한국과학기술원 | 가교화된 겔상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한 리튬고분자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44557A3 (en) * | 2008-10-15 | 2010-07-15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4038A (ko) | 2007-03-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70105B1 (ko) | 리튬 이차 전지 | |
KR100686816B1 (ko) | 리튬 이차 전지 | |
KR100659854B1 (ko) | 리튬 이차 전지 | |
KR100670483B1 (ko) | 리튬 이차 전지 | |
KR100686848B1 (ko) | 리튬 이차 전지 | |
KR100778975B1 (ko) | 리튬 이차 전지 | |
WO2017188537A1 (ko) | 다공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 |
KR102244904B1 (ko) | 전극 보호층을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적용한 리튬 이차전지 | |
KR100770518B1 (ko) | 리튬이온 이차전지 | |
KR102564970B1 (ko) |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KR20090129937A (ko) |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 |
KR20160059858A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KR20110021974A (ko) |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극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 | |
KR102207527B1 (ko) | 전극 보호층을 포함하는 음극 및 이를 적용한 리튬 이차전지 | |
KR20210060191A (ko) |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KR20210101540A (ko) |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KR102297823B1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KR20230061278A (ko) |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KR100686849B1 (ko) | 리튬 이차 전지 | |
WO2015076602A1 (ko) | 개선된 굴곡강도를 가지는 전극 조립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전지 | |
KR20210015260A (ko) |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KR100670484B1 (ko) | 이차 전지용 음극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 |
KR100719672B1 (ko) | 리튬 이차 전지 | |
KR101428710B1 (ko) |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 |
KR20090063442A (ko) |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30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