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7224B1 - 은행껍질 파쇄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은행껍질 파쇄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224B1
KR100777224B1 KR1020070023490A KR20070023490A KR100777224B1 KR 100777224 B1 KR100777224 B1 KR 100777224B1 KR 1020070023490 A KR1020070023490 A KR 1020070023490A KR 20070023490 A KR20070023490 A KR 20070023490A KR 100777224 B1 KR100777224 B1 KR 100777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kgo
endothelial
bank
skin
she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환
Original Assignee
정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환 filed Critical 정재환
Priority to KR1020070023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22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5/00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 A23N5/08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for removing fleshy or fibrous hulls of n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5/00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 A23N5/002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for skinning nut ker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12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flu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파쇄방법은 수확된 은행열매를 원통형의 회전체에 투입 회전시킴과 동시에 물을 분사공급하여 은행열매의 중과피로부터 외과피 만을 분리 제거하는 공정(S1); 상기 분리된 중과피를 가마솥 내에서 볶는 공정(S2); 상기 볶아진 중과피를 중과피 파쇄장치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정(S3); 상기 공급되는 중과피의 량이 많을 경우 상기 중과피 파쇄장치에 대한 중과피 공급공정을 일시 중지하는 공정(S4~S6); 상기 순차적으로 공급된 볶아진 중과피를 중과피 파쇄장치에 의해서 파쇄하여 중과피 껍질과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얻는 공정(S7); 상기 중과피 껍질을 외부로 송풍하여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만을 얻는 공정(S8); 상기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콘베이어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공정(S9); 상기 이송되어오는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원통형의 회전체에 투입 회전시킴과 동시에 물을 분사공급하여 은행알맹이로부터 상기 내종피를 분리하여 순수한 은행알맹이만을 추출하기 위한 내종피 분리공정(S10); 및 상기 내종피가 제거된 순수한 은행알맹이를 건조하여 진공포장하는 공정(S11)을 포함한다.
볶은은행, 파쇄, 외과피, 파쇄부재, 간격조절부재, 중과피, 내종피, 은행알 맹이, 진공포장, 장기보관

Description

은행껍질 파쇄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ulverizing a nutshell of a gingko nut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은행열매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은행열매의 외과피를 제거한 중과피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중과피를 제거한 상태의 은행 알맹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파쇄시스템에 사용하는 외과피 분리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은행열매의 외과피를 분리 제거하여 중과피를 얻기 위한 외과피 분리장치의 부분 절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파쇄시스템에 사용하는 중과피 파쇄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볶은상태의 중과피를 파쇄하는 상태를 도시한 중과피파쇄장치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8과 도 9는 은행의 크기에 따른 파쇄부재의 조절상태를 각각 도시한 정면도;
삭제
도 10은 은행자동공급장치를 더 구비하여 은행껍질을 자동적으로 파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파쇄시스템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중과피파쇄장치의 배면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중과피 파쇄장치에서 은행이 과잉공급될 경우 작동을 정지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6에 도시된 중과피 파쇄장치의 배면사시도;
도 13은 송풍기를 더 구비한 은행껍질 파쇄시스템의 사시도;
도 14는 내종피분리장치와 컨베이어를 더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행껍질 파쇄시스템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내종피분리장치에 의해 갈색 피막의 내종피가 분리된 상태의 청록색 은행 알맹이들 만이 남게 되는 내종피 분리장치의 내부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파쇄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외과피 분리장치 20: 중과피 파쇄장치
30: 은행자동공급장치 31,32: 센서
40: 송풍기 50: 컨베이어
60: 내종피분리장치 100: 고정케이싱
101: 호퍼 110: 회전판
100a,110a: 돌기 120: 물공급부재
130: 제1배출구 140: 제2배출구
150: 제어패널 161: 투시창
211,212: 파쇄부재 231,231: 치차
270: 간격조절부재 273: 간격조절용 볼트
본 발명은 은행껍질의 파쇄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분사 원심분리방식을 이용하여 은행열매의 외과피를 제거하고, 이렇게 외과피가 제거된 중과피를 갖는 은행을 볶아 중과피를 파쇄하고 나서 다시 물분사 원심분리방식을 이용하여 내종피를 분리 제거한 청록색의 배젖(이하 '은행알맹이'라 약칭함)을 얻은 후, 은행알맹이를 진공 포장하여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외관이 수려하여 소비자의 구매력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한 은행 껍질 파쇄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나무는 암수 딴 그루로서 10월에 암그루에 달린 은행열매가 황색으로 익는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매 바깥쪽의 외과피(外果皮)(1)는 다육성으로 악취가 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과피(1)를 제거하고나면 안쪽에는 2개의 모서리가 있는 흰색의 단단한 중과피(2)를 가진 달걀 모양 원형의 종자가 있는바, 이것을 은행 또는 백자(白子)라 한다. 마지막으로, 중과피(2)를 파쇄하면 안쪽에는 도 3에서와 같이 갈색피막의 내종피(3)가 있고 이 속에 청록색의 은행알맹이(4)가 있는데 이를 인(仁) 또는 배젖이라 한다.
이 은행알맹이(4)의 성분은 탄수화물 34.5%, 단백질 4.7%, 지방 1.7% 외에 카로틴, 비타민 C 등을 함유하고 있다. 그 밖에 청산배당체(靑酸配糖體)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은행을 많이 먹으면 중독을 일으키는 수가 있다. 은행을 볶아서 그냥 먹거나 술안주로 하고 신선로 등 여러 음식에 고명으로 이용한다. 한방에서는 백과(白果)라 하여 진해·거담 등의 효능이 있어 해수·천식·유정(遺精)·소변의 백탁(白濁)·잦은 소변 등에 처방하며 자양제(滋養劑)로도 복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은행을 얻기 위해서는 수확한 은행열매에서 외부에 쌓인 황갈색의 연한 외과피를 제거하여야 하는데, 주로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수작업에 의해 탈피시킨다.
외과피가 제거된 중과피를 파쇄하여 은행 알맹이를 얻고자 할 때에는 주로 플라이어(plier)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은행의 외주에 형성된 모서리를 눌러 줌으로서 모서리가 개방되면서 껍질은 2개로 양분(분할)되며, 양분된 껍질에서 내종피를 벗겨냄으로써 은행알맹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플라이어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껍질을 분리시켜 탈피시키는 방법은 껍질을 양분하기 위하여 은행의 양면을 일측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을 이용하여 도구에 압력을 가할 때에 은행이 도구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용이하게 탈피시킬 수 없어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압력을 가하여 분리시킬 때에 압착되는 도구에 의해 은행을 파지하고 있는 손을 집게 되어 손이 손상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은행을 파지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에서는 심한 은행 고유의 냄새가 배이게 되고 작업자의 손이 거칠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은행 열매의 외과피를 제거(분리)하기 위한 기술들과, 외과피가 제거된 중과피인 은행껍질을 파쇄하기 위한 기술들이 안출된 바 있다.
전자의 외과피 제거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341052호(은행껍질 자동 탈피기), 제421366호(은행탈피기) 및 제434986호(은행껍질 탈피장치)가 있는바, 실용신안 등록 제341052호는 회전통과 물파이프 및 회전갈퀴부를 구비하여 회전통이 회전하면서 외과피를 제거하도록 한 것이고, 실용신안등록 제421366호와 제434986호는 원통체와 스크류 및 회전봉을 구비하여 외과피를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외과피 제거용 실용신안등록 고안들에 사용되는 원통체에는 많은 통공을 형성하여야하는바, 이의 제작공정이 용이하지 않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후자의 은행껍질 파쇄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19672호(은행껍질 탈피장치)가 있는바, 이는 이송체인 콘벨이어상에 중과피인 은행이 이동할시 컨베이어의 상측에 위치된 압착탈피구가 상하 이동하여 은행껍질을 부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은행껍질 파쇄기술은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은행을 일일이 압착 파쇄하여야 하는바, 이를 위해서는 컨베이어의 이송속도와 압착탈피구의 승하강 운동이 정확하게 일치하여야만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여 실용화 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중과피가 파쇄된 은행-소위 생은행은 포장되어 판매 될 수 있는바, 이럴 경우 장기간의 보관이 불가능하여 반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과피만이 제거된 은행을 파쇄할 경우에는 은행알맹이가 파손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은행으로서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은행은 익혀 먹어도 효능은 떨어지지 않는바, 본 출원인은 이를 감안하여 외과피가 제거된 은행을 볶아서 은행껍질을 파쇄하면 은행껍질을 용이하게 파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은행알맹이의 파손이 없어 은행으로서의 상품가치를 고양할 수도 있고, 일단 볶았으므로 장기 보관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분사 원심분리방식을 이용하여 은행열매의 외과피를 제거하고, 이렇게 외과피가 제거된 중과피를 갖는 은행을 볶아 중과피를 파쇄하고 나서 다시 물분사 원심분리방식을 이용하여 내종피를 분리 제거한 청록색의 은행알맹이를 얻은 후, 은행알맹이를 진공 포장하여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외관이 수려하여 소비자의 구매력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한 은행 껍질 파쇄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은행열매의 외과피를 물분사 원심분리방식으로 제거하고, 은행을 볶아서 중과피를 자동적으로 파쇄하고 난후, 내종피를 다시 물분사 원심분리방식으로 제거하여 은행알맹이를 진공포장함으로써 은행알맹이의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도록 한 은행껍질 파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파쇄시스템은 은행열매가 투입되는 호퍼를 구비한 원통형의 고정 케이싱과, 상기 고정 케이싱의 내측 하부에 축설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여 상기 은행열매를 회전시켜 은행열매의 중과피로부터 외과피 만을 분리제거하기 위한 회전판과, 상기 고정 케이싱의 내측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상기 고정 케이싱의 내부에 물을 분사 공급하여 상기 은행 열매의 중과피로부터 분리 제거된 외과피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한 물분사부재와, 상기 회전판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제거된 외과피와 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와, 상기 고정 케이싱의 하측 외주연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외과피가 분리 제거된 중과피를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구 및, 상기 회전판 구동용 모터의 전원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케이싱의 내측벽과 회전판의 외주연 사이는 상기 중과피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외과피 분리장치와; 상기 외과피 분리장치에 의해 외과피가 분리 제거된 중과피를 갖는 은행을 가마솥에서 볶은 후 상기 볶아진 은행이 투입되는 은행투입구와, 상기 투입되는 볶아진 은행의 중과피를 파쇄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상기 은행의 중과피를 가압하여 파쇄하기 위해 V-자형 요홈이 각각 형성된 파쇄부재와, 상기 각각의 파쇄부재의 회전축에 축설되어 상기 각각의 파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한쌍의 치차와, 상기 파쇄부재와 치차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판과, 상기 파쇄부재 및 치차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과, 상기 파쇄부재의 회전시 파쇄된 중과피 껍질 및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배출하기 위한 경사진 배출구, 및 파쇄될 은행의 중과피 크기에 따라 파쇄부재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판의 외측에 각각 고정된 고정대와, 상기 각각의 고정대에 장착되어 상기 파쇄부재에 대한 상기 파쇄부재의 수평거리를 가변시키기 위한 간격조절용 볼트와, 상기 파쇄부재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하기 위한 스크류 연결형 핸들을 포함한 간격조절부재를 구비한 중과피 파쇄장치와; 상기 볶아진 은행을 중과피 파쇄장치의 은행투입구에 자동적으로 공급하되, 상기 은행투입구에 은행이 과도하게 공급될 경우 상기 구동원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한 센서를 구비한 은행자동공급장치와; 상기 경사진 배출구 측에 설치되며, 상기 파쇄된 중과피 껍질과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선별하기 위한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선별된 상기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온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가 투입되는 호퍼를 구비한 원통형의 고정 케이싱과, 상기 고정 케이싱의 내측 하부에 축설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여 상기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회전시켜 순수한 은행 알맹이로부터 내종피 만을 분리제거하기 위한 회전판과, 상기 고정 케이싱의 내측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상기 고정 케이싱의 내부에 물을 분사 공급하여 상기 내종피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한 물분사부재와, 상기 회전판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제거된 내종피와 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와, 상기 고정 케이싱의 하측 외주연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내종피가 제거된 순수한 은행알맹이를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구, 및 상기 회전판 구동용 모터의 전원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케이싱과 회전판 사이는 상기 순수한 은행알맹이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원심분리방식으로 회전시켜 내종피를 제거하여 순수한 은행알맹이만을 추출하기 위한 내종피 분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과피 분리장치의 고정 케이싱의 내측과 회전판의 상측에는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은행열매의 중과피로부터 외과피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내종피 분리장치의 고정 케이싱의 내측과 회전판의 상측에는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순수한 은행알맹이로부터 내종피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지하다.
삭제
그리고 고정 케이싱의 상부에는 투시창을 구비한 커버가 더 포함되어 고정 케이싱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행껍질 파쇄방법은, 수확된 은행열매를 원통형의 회전체에 투입 회전시킴과 동시에 물을 분사공급하여 은행열매의 중과피로부터 외과피 만을 분리 제거하는 공정; 상기 분리된 중과피를 가마솥 내에서 볶는 공정; 상기 볶아진 중과피를 중과피 파쇄장치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정; 상기 공급되는 중과피의 량이 많을 경우 상기 중과피 파쇄장치에 대한 중과피 공급공정을 일시 중지하는 공정; 상기 순차적으로 공급된 볶아진 중과피를 중과피 파쇄장치에 의해서 파쇄하여 중과피 껍질과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얻는 공정; 상기 중과피 껍질을 외부로 송풍하여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만을 얻는 공정; 상기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콘베이어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공정; 상기 이송되어오는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원통형의 회전체에 투입 회전시킴과 동시에 물을 분사공급하여 은행알맹이로부터 상기 내종피를 분리하여 순수한 은행알맹이만을 추출하기 위한 내종피 분리공정; 및 상기 내종피가 제거된 순수한 은행알맹이를 건조하여 진공포장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파쇄시스템에 사용하는 외과피 분리장치(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도 4에 도시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은행열매의 외과피(1)를 사람의 손을 이용하지않고 물분사 원심분리방식으로 자동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외과피 분리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은행열매가 투입되는 호퍼(101)를 구비한 원통형의 고정 케이싱(100)과, 이 고정 케이싱(100)의 내측 하부에 축설되어 모터(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회전 가능하여 은행열매를 회전시켜 은행열매의 중과피(2)로부터 외과피(1) 만을 분리제거하기 위한 회전판(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 케이싱(100)의 내측 상부에는 회전판(110)의 회전시 고정 케이싱(100)의 내부에 물을 분사 공급하여 은행 열매의 중과피(2)로부터 제거된 외과피(1)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한 물분사부재(120)가 도 5와 같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판(110)이 회전됨과 동시에 물분사부재(120)로부터 물이 분사됨에 따라 회전판(110)의 하측에 위치된 제1배출구(130)를 통해서는 뭉게진(분리제거된) 외과피(1)와 물이 동시에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케이싱(100)의 내측과 회전판의 상측에는 다수의 돌기(100a,110a)가 형성되어 은행열매의 외과피(1)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였는바, 이렇게 돌기(100a,110a)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회전판(110)의 회전시 은행열매들끼리 상호 부딪침과 동시에 돌기(100a,110a)와도 충돌하게 되므로 은행열매의 물렁물렁한 외과피(1)가 벗겨져서(제거되어) 물과 함께 제1배출구(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고정 케이싱(100)의 하측 외주연에는 회전판(110)의 회전시 외과피(1)가 제거된 중과피(2)를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구(140)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판 구동용 모터의 전원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패널(150)이 구비되어 있는바, 이 제어패널(150)은 전원스위치(151)와 회전속도 조절스위치(15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에서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케이싱(100)의 내측벽과 회전판(110)의 외주연 사이는 중과피(2)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의 공간(SP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중과피(2)가 이 공간(SP1)을 통해 제1배출구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외과피 분리장치(10)에 있어서, 물분사부재(120)에 공급되는 물의 량은 사람이 노브(121)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고정 케이싱(100)의 내부를 청소할 경우에도 이 노브(121)를 이용하여 물의 량을 조절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고정 케이싱(100)의 상부에는 투시창(161)을 구비한 커버(160)가 더 포함되어 고정 케이싱(100)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파쇄시스템에 이용되는 중과피 파쇄장치(2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외과피(1)가 제거된 은행(중과피를 갖는 은행)을 먼저 볶은 후에 이를 파쇄하는데 사용하는 것인바, 일반적으로 볶은 은행과 생은행(볶지 않은 은행)의 성분 차이가 없는 점을 착안하여 본 발명은 외과피가 제거된 은행을 일단 볶은후 중과피(2)를 파쇄하도록 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중과피 파쇄장치(20)는 볶은 은행이 투입되는 은행투입구(200)와, 투입되는 볶은 은행의 중과피(2)를 파쇄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은행을 가압하여 파쇄하도록 요홈(211a),(212a)을 각각 구비한 파쇄부재(211),(21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각각의 파쇄부재(211) 및 파쇄부재(212)의 외주연은 V-자 형상의 단면을 가져 이들 파쇄부재(211) 및 파쇄부재(212)가 면하였을 경우 전체적으로 ◇-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하여 중과피(2)가 압착되어 껍질이 파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치차(231) 및 치차(232)가 파쇄부재(211) 및 파쇄부재(212)와 회전축(221,222)을 매개로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판(241,242)이 파쇄부재(211) 및 파쇄부재(212)와, 치차(231) 및 치차(23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치차(23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250)인 모터의 회전력이 V-벨트(251)를 매개로 휠(252)에 공급됨으로써 치차(231)가 회전되고, 이에 치합된 치차(232)가 회전됨으로써, 파쇄부재(211) 및 파쇄부재(212)가 회전하여 중과피(2)를 도 7에서와 같이 파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파쇄부재(211) 및 파쇄부재(212)의 회전에 의해 중과피가 파쇄된 은행은 도 7에서와 같이 경사진 배출구(260)를 따라 별도의 그릇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은행의 크기는 서로 상이하므로 중과피를 파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은행을 크기에 따라 분류할 필요가 있는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중과피 파쇄장치(20)는 다양한 크기의 중과피를 용이하게 파쇄하기 위해서 파쇄부재(211)에 대한 파쇄부재(212)와의 간격(외주연 간의 거리)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재(270)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간격조절부재(270)는 가이드판(241,242)의 외측에 각각 고정된 고정대(271)(도 6에는 1개만이 도시되었으며, 나머지 고정대(271)는 도 6의 배면측을 도시한 도 12에 도시되어 있음)와, 이 고정대(271)에 장착되어 파쇄부재(212)와 치차(232)의 회전축(222)을 파쇄부재(211) 및 치차(231)의 회전축(221)에 대한 축간거리를 가변시키기 위한 간격조절용 볼트(273)와, 파쇄부재(212)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274) 및, 이 스프링(274)의 탄성을 조절하기 위한 스크류 연결형 핸들(275)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8에서와 같이 파쇄부재(211)와 파쇄부재(212)의 외주연 간의 거리를 도 9와 같이 늘리고자할 경우, 간격조절용 볼트(273)를 돌려 이 간격조절용 볼트(273)의 끝단부가 회전축(222)을 화살표방향으로 가변시키도록 하면 된다.
이와는 반대로 도 9에서와 같이 늘려진 회전축간 거리를 좁히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것과는 반대의 절차를 통해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에 따른 은행껍질 파쇄시스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은행투입구(200)에 은행을 자동적으로 공급하되, 은행투입구에 은행이 과도하게 공급될 경우 구동원(25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한 다수의 센서(31,32)를 구비한 은행자동 공급장치(3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은행자동 공급장치(30)는 통상의 볼트 공급용 피더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나, 본 발명은 은행의 과도공급 및 정상 공급상태를 감지하는 센서(31,32)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서, 은행의 중과피를 파쇄하는 기능은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행껍질 파쇄시스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경사진 배출구측(260)에 송풍기(40)가 장착되어 파쇄된 은행의 중과피와 내종피가 둘러 쌓인 은행알맹이를 선별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파쇄된 중과피와 은행알맹이의 중량차이를 이용하여 송풍기(40)로서 선별하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파쇄된 중과피는 은행알맹이보다 가벼운 점에 착안하여 송풍기(40)를 작동시켜 파쇄된 은행껍질을 외부로 날려보내고 내종피가 둘러 쌓인 은행알맹이는 별도의 그릇에 수용되도록 하였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은행껍질 파쇄시시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된 각각의 장치들을 종합적으로 연결하고, 송풍기(40)에 의해 선별된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50)와 내종피 분리장치(60)를 포함하여 1개의 은행껍질 파쇄시스템을 구성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내종피 분리장치(6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외과피 분리장치(10)를 약간 변형한 것이나, 그의 주된 기능은 외과피 분리장치(10)와 동일하므로 도 14 및 도 15에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인용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내종피 분리장치(60)는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원심분리방식으로 회전시켜 은행알맹이(4)로부터 내종피(3)만을 분리 추출하도록 한 것인바, 내종피 분리장치(60)는, 컨베이어(50)에 의해 이송되어온 내종피(3)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가 투입되는 호퍼를 구비한 원통형의 고정 케이싱과, 이 고정 케이싱의 내측 하부에 축설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여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회전시켜 내종피와 순수한 은행알맹이를 분리하기 위한 회전판과, 고정 케이싱의 내측 상부에 장착되어 회전판의 회전시 고정 케이싱의 내부에 물을 분사 공급하여 내종피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한 물분사부재와; 회전판의 하측에 위치되어 회전판의 회전시 제거된 내종피와 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와, 고정 케이싱의 하측 외주연에 위치되어 회전판의 회전시 내종피가 제거된 순수한 은행알맹이를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구 및 회전판 구동용 모터의 전원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패널을 포함하되, 고정 케이싱과 회전판 사이는 순수한 은행알맹이(4)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의 공간(SP2)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고정 케이싱(100)의 내측과 회전판(110)의 상측에는 다수의 돌기(100a,110a)가 형성되어 내종피(3)(도 3 참조)가 제거된 순수한 은행알맹이(4)만이 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5 참조).
도 1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은행껍질 파쇄방법이 도시되어 있는바, 수확된 은행열매의 외과피를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외과피 분리장치(10)를 이용하여 분리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케이싱(100)내부에 은행열매(1)를 투입하여 회전시킴과 동시에 물을 분사 공급하여 은행열매의 외과피를 분리한다(S1).
이렇게 외과피가 제거되어 세척된 중과피는 적당한 그릇에 넣어 볶은후(S2), 상기 볶아진 중과피를 은행자동공급장치(30)를 이용하여 파쇄장치(20)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되(S3), 상기 공급되는 중과피의 량은 센서(31,32)에 의해 감지되는바, 중과피가 과도하게 공급될 경우에는 공급 공정을 일시 중지하고, 만약에 과잉공급상태가 해제될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공급된 볶아진 중과피를 파쇄하는 공정(S4~S7)을 거친다.
그리고, 이렇게 파쇄된 중과피를 송풍기(40)를 이용하여 송풍하고, 내종피가 둘러 쌓인 은행알맹이를 분리한 뒤(S8), 상기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콘베이어(50)를 이용하여 이송하며(S9),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내종피 분리장치(60)의 고정 케이싱 내부에 투입하여 회전시킴과 동시에 물을 분사 공급하여 내종피를 분리하는 공정(S10)을 거쳐 내종피가 제거된 순수한 은행알맹이(4)를 건조하여 진공 포장한다(S1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은행열매의 외과피를 원심분리방식으로 분리하고, 이렇게 얻어진 중과피를 볶아 껍질만을 파쇄하고, 내종피가 제거된 청록색의 은행알맹이를 진공 포장함으로써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은행 알맹이의 외관이 수려하여 소비자의 구매력을 촉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은행열매가 투입되는 호퍼를 구비한 원통형의 고정 케이싱과, 상기 고정 케이싱의 내측 하부에 축설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여 상기 은행열매를 회전시켜 은행열매의 중과피로부터 외과피 만을 분리제거하기 위한 회전판과, 상기 고정 케이싱의 내측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상기 고정 케이싱의 내부에 물을 분사 공급하여 상기 은행 열매의 중과피로부터 분리 제거된 외과피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한 물분사부재와, 상기 회전판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제거된 외과피와 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와, 상기 고정 케이싱의 하측 외주연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외과피가 분리 제거된 중과피를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구 및, 상기 회전판 구동용 모터의 전원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케이싱의 내측벽과 회전판의 외주연 사이는 상기 중과피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의 공간(SP1)이 형성되도록 한 외과피 분리장치(10)와;
    상기 외과피 분리장치에 의해 외과피가 분리 제거된 중과피를 갖는 은행을 가마솥에서 볶은 후 상기 볶아진 은행이 투입되는 은행투입구(200)와, 상기 투입되는 볶아진 은행의 중과피를 파쇄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상기 은행의 중과피를 가압하여 파쇄하기 위해 V-자형 요홈(211a)(212a)이 각각 형성된 파쇄부재(211)(212)와, 상기 각각의 파쇄부재의 회전축(221)(222)에 축설되어 상기 각각의 파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한쌍의 치차(231)(232)와, 상기 파쇄부재와 치차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판(242,242)과, 상기 파쇄부재 및 치차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250)과, 상기 파쇄부재의 회전시 파쇄된 중과피 껍질 및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배출하기 위한 경사진 배출구(260), 및 파쇄될 은행의 중과피 크기에 따라 파쇄부재(211)(212)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판의 외측에 각각 고정된 고정대(271)와, 상기 각각의 고정대에 장착되어 상기 파쇄부재(211)에 대한 상기 파쇄부재(212)의 수평거리를 가변시키기 위한 간격조절용 볼트(273)와, 상기 파쇄부재(212)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274), 및 상기 스프링의 탄성을 조절하기 위한 스크류 연결형 핸들(275)을 포함한 간격조절부재(270)를 구비한 중과피 파쇄장치(20)와;
    상기 볶아진 은행을 중과피 파쇄장치(20)의 은행투입구에 자동적으로 공급하되, 상기 은행투입구에 은행이 과도하게 공급될 경우 상기 구동원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한 센서를 구비한 은행자동공급장치(30)와;
    상기 경사진 배출구(260) 측에 설치되며, 상기 파쇄된 중과피 껍질과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선별하기 위한 송풍기(40)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선별된 상기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50); 및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온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가 투입되는 호퍼를 구비한 원통형의 고정 케이싱과, 상기 고정 케이싱의 내측 하부에 축설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여 상기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회전시켜 순수한 은행 알맹이로부터 내종피 만을 분리제거하기 위한 회전판과, 상기 고정 케이싱의 내측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상기 고정 케이싱의 내부에 물을 분사 공급하여 상기 내종피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한 물분사부재와, 상기 회전판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제거된 내종피와 물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와, 상기 고정 케이싱의 하측 외주연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내종피가 제거된 순수한 은행알맹이를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구, 및 상기 회전판 구동용 모터의 전원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케이싱과 회전판 사이는 상기 순수한 은행알맹이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의 공간(SP2)이 형성되어 상기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원심분리방식으로 회전시켜 내종피를 제거하여 순수한 은행알맹이만을 추출하기 위한 내종피 분리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껍질 파쇄시스템.
  14. 수확된 은행열매를 원통형의 회전체에 투입 회전시킴과 동시에 물을 분사공급하여 은행열매의 중과피로부터 외과피 만을 분리 제거하는 공정(S1);
    상기 분리된 중과피를 가마솥 내에서 볶는 공정(S2);
    상기 볶아진 중과피를 중과피 파쇄장치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정(S3);
    상기 공급되는 중과피의 량이 많을 경우 상기 중과피 파쇄장치에 대한 중과피 공급공정을 일시 중지하는 공정(S4~S6);
    상기 순차적으로 공급된 볶아진 중과피를 중과피 파쇄장치에 의해서 파쇄하여 중과피 껍질과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얻는 공정(S7);
    상기 중과피 껍질을 외부로 송풍하여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만을 얻는 공정(S8);
    상기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콘베이어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공정(S9);
    상기 이송되어오는 내종피가 둘러쌓인 은행알맹이를 원통형의 회전체에 투입 회전시킴과 동시에 물을 분사공급하여 은행알맹이로부터 상기 내종피를 분리하여 순수한 은행알맹이만을 추출하기 위한 내종피 분리공정(S10); 및
    상기 내종피가 제거된 순수한 은행알맹이를 건조하여 진공포장하는 공정(S11)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껍질 파쇄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과피 분리장치의 상기 고정 케이싱의 내측과 회전판의 상측에는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상기 은행열매의 중과피로부터 외과피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은행껍질 파쇄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종피 분리장치의 상기 고정 케이싱의 내측과 회전판의 상측에는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상기 순수한 은행알맹이로부터 내종피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은행껍질 파쇄시스템.
KR1020070023490A 2007-03-09 2007-03-09 은행껍질 파쇄시스템 및 그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77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490A KR100777224B1 (ko) 2007-03-09 2007-03-09 은행껍질 파쇄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490A KR100777224B1 (ko) 2007-03-09 2007-03-09 은행껍질 파쇄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7224B1 true KR100777224B1 (ko) 2007-11-28

Family

ID=3908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49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7224B1 (ko) 2007-03-09 2007-03-09 은행껍질 파쇄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22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825B1 (ko) * 2013-05-08 2015-02-09 박재명 은행외피 탈피방법
CN107890118A (zh) * 2018-01-08 2018-04-10 南京林业大学 一种新鲜银杏果去壳装置
KR20180106760A (ko) * 2017-03-21 2018-10-01 박재명 은행 분리장치
KR20180106761A (ko) * 2017-03-21 2018-10-01 박재명 은행 분리장치
KR20210022347A (ko) * 2019-08-20 2021-03-03 황주명 특화된 발아통밀가루 제조를 위한 제분방법
KR20220081680A (ko) 2020-12-09 2022-06-16 정상용 은행껍질 자동 탈피장치
KR200497440Y1 (ko) * 2022-05-06 2023-11-08 주식회사 서로바이오 곡물용 일체형 조분쇄장치
KR102791029B1 (ko) * 2025-02-06 2025-04-07 박영애 은행 탈피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020U (ko) * 1999-01-21 2000-08-16 서영춘 은행 껍질 자동 탈피기
KR200419672Y1 (ko) 2006-03-30 2006-06-23 윤창중 은행껍질 탈피장치
KR200421366Y1 (ko) 2006-04-14 2006-07-13 서영춘 은행 탈피기
KR200434986Y1 (ko) 2006-09-05 2007-01-02 서영춘 은행껍질 탈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020U (ko) * 1999-01-21 2000-08-16 서영춘 은행 껍질 자동 탈피기
KR200419672Y1 (ko) 2006-03-30 2006-06-23 윤창중 은행껍질 탈피장치
KR200421366Y1 (ko) 2006-04-14 2006-07-13 서영춘 은행 탈피기
KR200434986Y1 (ko) 2006-09-05 2007-01-02 서영춘 은행껍질 탈피장치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825B1 (ko) * 2013-05-08 2015-02-09 박재명 은행외피 탈피방법
KR20180106760A (ko) * 2017-03-21 2018-10-01 박재명 은행 분리장치
KR20180106761A (ko) * 2017-03-21 2018-10-01 박재명 은행 분리장치
KR101950164B1 (ko) 2017-03-21 2019-02-2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징코밀 은행 분리장치
KR101950163B1 (ko) 2017-03-21 2019-02-2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징코밀 은행 분리장치
CN107890118A (zh) * 2018-01-08 2018-04-10 南京林业大学 一种新鲜银杏果去壳装置
KR20210156253A (ko) * 2019-08-20 2021-12-24 황주명 특화된 발아통밀가루 제조 방법
KR20210154135A (ko) * 2019-08-20 2021-12-20 황주명 발아통밀가루 제조 방법
KR20210022347A (ko) * 2019-08-20 2021-03-03 황주명 특화된 발아통밀가루 제조를 위한 제분방법
KR20210156811A (ko) * 2019-08-20 2021-12-27 황주명 발아통밀가루 제조를 위한 제분방법
KR102367920B1 (ko) * 2019-08-20 2022-02-25 주식회사 한결이엔지 특화된 발아통밀가루 제조 방법
KR102367918B1 (ko) * 2019-08-20 2022-02-25 주식회사 한결이엔지 발아통밀가루 제조를 위한 제분방법
KR102367919B1 (ko) * 2019-08-20 2022-02-25 주식회사 한결이엔지 발아통밀가루 제조 방법
KR102381625B1 (ko) * 2019-08-20 2022-03-31 황주명 특화된 발아통밀가루 제조를 위한 제분방법
KR20220081680A (ko) 2020-12-09 2022-06-16 정상용 은행껍질 자동 탈피장치
KR102492848B1 (ko) * 2020-12-09 2023-01-26 정상용 은행껍질 자동 탈피장치
KR200497440Y1 (ko) * 2022-05-06 2023-11-08 주식회사 서로바이오 곡물용 일체형 조분쇄장치
KR102791029B1 (ko) * 2025-02-06 2025-04-07 박영애 은행 탈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224B1 (ko) 은행껍질 파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2027B1 (ko) 호두 탈피기
KR101132556B1 (ko)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
KR101255521B1 (ko) 은행껍질 탈피기
CN106605914A (zh) 一种具有润肠通便、排毒排铅效果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90052571A (ko) 밤 껍질 탈피 장치
RU2129393C1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пищевая добавка в дозированной форме
JPH0347059A (ja) 果肉を取り出すための流体衝突方法及び装置
KR20120003468U (ko) 호두 탈피장치
CN101690569A (zh) 一种制作芦笋粉及芦笋嘴嚼片的工艺
CN206866092U (zh) 一种籽瓜皮瓤籽分离机
US5702746A (en) Process of converting food waste to re-hydratable edible food
KR100959653B1 (ko) 퓨레 제조장치
CN106391243B (zh) 剁碎机
KR20070105654A (ko) 양파즙 제조장치 및 그 방법
JPS62228251A (ja) 食用の混合された粉砕圧縮フル−ツおよびナツツ製品を作る方法
EP3866617B1 (en) Method and device for drying plant material
KR20090005005U (ko) 은행 껍질 탈피기
WO2007105969A1 (en) Powdered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CN109121732B (zh) 一种瓜籽脱粒装置
CN206199439U (zh) 剁碎机
KR100711807B1 (ko) 장어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2393611B1 (ko) 씨선별분리장치
NO319407B1 (no) Fremgangsmate for bearbeiding av fiskehoder og apparat for separering av bearbeidede fiskehoder
EP1223820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juice from fruits such as pomegran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