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440Y1 - 곡물용 일체형 조분쇄장치 - Google Patents
곡물용 일체형 조분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7440Y1 KR200497440Y1 KR2020220001124U KR20220001124U KR200497440Y1 KR 200497440 Y1 KR200497440 Y1 KR 200497440Y1 KR 2020220001124 U KR2020220001124 U KR 2020220001124U KR 20220001124 U KR20220001124 U KR 20220001124U KR 200497440 Y1 KR200497440 Y1 KR 20049744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ins
- roller
- unit
- crushing
- outl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62793 Sorgh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713 mill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394 Sorghum bicolo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84 Sorghum sacchar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68 grain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B5/02—Combined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상기 파쇄부는 껍질을 갖는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와, 상기 투입호퍼의 하부에 배치되는 파쇄부 본체로 구성되되, 상기 투입호퍼로부터 투입되는 곡물이 그 사이로 인입되어 파쇄되도록 나란히 배치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호 소정간격만큼 이격배치되어 곡물을 파쇄시키는 제1로울러 및 제2로울러와, 상기 제1로울러 및 제2로울러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1로울러 및 제2로울러에 의해 분리된 곡물 및 껍질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종동풀리는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투입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곡물의 크기에 따라 제1로울러와 제2로울러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탈피부는, 상기 파쇄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면이 개방형성되어 파쇄부로부터 배출되는 곡물 및 껍질이 내부로 투입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며, 외부의 송풍기와 연결되는 송풍관과 연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에 수평 방향을 따라 바람이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구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열형성되는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벽면에는 상기 제2배출구의 상측으로 제2배출구를 차단하는 가이드판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곡물과 껍질이 하우징 본체 내부로 낙하할 때 측방에서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 가벼운 껍질은 제2배출구 측으로 선별분리되어 배출되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곡물은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수직으로 낙하하여 상기 제1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조분쇄부는, 상기 제1배출구의 하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설치되어 제1배출구를 통한 곡물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타측 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내부로 곡물이 투입되는 타공드럼과, 상기 타공드럼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방사방향으로 배열설치되며, 상기 타공드럼 내부의 곡물을 조분쇄하는 다수개의 조분쇄날과, 상기 타공드럼의 하부에서 상기 조분쇄날에 의해 조분쇄된 곡물을 수거하는 수거함을 포함하며,
상기 파쇄부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메인브라켓과, 상기 메인브라켓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의 각 축봉에 연결되는 한 쌍의 이송브라켓과, 상기 파쇄부 본체의 일측면에 나사체결되며 그 일단부가 상기 이송브라켓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가압축봉과, 상기 메인브라켓과 이송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축봉의 단부에는 가압축봉의 회전을 위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는 핸들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메인브라켓과 이송브라켓 사이에서 이송브라켓을 탄발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제1로울러와 제2로울러의 간격에 대한 탄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압축봉의 일방향 회전시 탄성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제2로울러가 제1로울러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가압축봉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탄성스프링의 압축된 탄성력에 의해 이송브라켓을 탄발적으로 밀어내게 되어 제2로울러가 제1로울러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 가능하며, 상기 투입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곡물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제1로울러와 제2로울러 사이의 폭을 조절하여 파쇄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용 일체형 조분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탈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5a) 및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분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용 일체형 조분쇄장치의 사용상태도.
100 : 파쇄부
110 : 투입호퍼
120 : 파쇄부 본체
121 : 제1로울러 122 : 제2로울러
123 : 구동풀리 124 : 종동풀리
125 : 구동모터
127 : 메인브라켓 128 : 가압축봉
129 : 탄성부재 130 : 이송브라켓
200 : 탈피부
210 : 하우징 본체 211 : 가이드판
212 : 물리충돌벽 213 : 개방부
220 : 송풍구
230 : 제1배출구 231 : 제2배출구
240 : 송풍기 241 : 송풍관
300 : 조분쇄부
310 : 조분쇄 하우징 311 : 투입호퍼
320 : 이송관 321 : 이송스크류
330 : 타공드럼 331 : 조분쇄홀
340 : 회전축 341 : 조분쇄날
350 : 구동모터 360 : 수거함
400 : 진공흡입장치
500 : 이송컨베이어
Claims (6)
- 껍질을 갖는 곡물을 파쇄하여 곡물로부터 껍질을 분리시킨 후 배출하는 파쇄부(100)와; 상기 파쇄부로부터 배출되는 곡물 및 곡물을 각각 제1배출부 및 제2배출부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탈피부(200)와; 상기 탈피부의 제1배출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제1배출부로 배출되는 곡물을 조분쇄하는 조분쇄부(300);를 포함하며, 껍질을 갖는 곡물이 상기 파쇄부와, 탈피부 및 조분쇄부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껍질이 탈피된 조분쇄물로 조성되도록 하되,
상기 파쇄부(100)는, 껍질을 갖는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110)와, 상기 투입호퍼의 하부에 배치되는 파쇄부 본체(120)로 구성되되,
껍질을 갖는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110)와,
상기 투입호퍼(110)로부터 투입되는 곡물이 그 사이로 인입되어 파쇄되도록 나란히 배치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호 소정간격만큼 이격배치되어 곡물을 파쇄시키는 제1로울러(121) 및 제2로울러(122)와,
상기 제1로울러 및 제2로울러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풀리(123) 및 종동풀리(124)와,
상기 구동풀리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25)를 포함하여, 상기 제1로울러 및 제2로울러에 의해 분리된 곡물 및 껍질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종동풀리는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투입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곡물의 크기에 따라 제1로울러와 제2로울러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탈피부(200)는,
상기 파쇄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면이 개방형성되어 파쇄부로부터 배출되는 곡물 및 껍질이 내부로 투입되는 하우징 본체(210)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며, 외부의 송풍기와 연결되는 송풍관과 연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에 수평 방향을 따라 바람이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구(220)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열형성되는 제1배출구(230) 및 제2배출구(231)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벽면에는 상기 제2배출구의 상측으로 제2배출구를 차단하는 가이드판(211)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곡물과 껍질이 하우징 본체 내부로 낙하할 때 측방에서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 가벼운 껍질은 제2배출구 측으로 선별분리되어 배출되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곡물은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수직으로 낙하하여 상기 제1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조분쇄부(300)는,
상기 제1배출구(230)의 하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설치되어 제1배출구를 통한 곡물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관(320)과,
상기 이송관의 타측 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내부로 곡물이 투입되는 타공드럼(330)과,
상기 타공드럼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340) 및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방사방향으로 배열설치되며, 상기 타공드럼 내부의 곡물을 조분쇄하는 다수개의 조분쇄날(341)과,
상기 타공드럼의 하부에서 상기 조분쇄날에 의해 조분쇄된 곡물을 수거하는 수거함(360)을 포함하며,
상기 파쇄부 본체(120)의 일측에 마련되는 메인브라켓(127)과, 상기 메인브라켓 내부에 마련되되 상기 구동풀리(123) 및 종동풀리(124)의 각 축봉에 연결되는 한 쌍의 이송브라켓(130)과, 상기 파쇄부 본체의 일측면에 나사체결되며 그 일단부가 상기 이송브라켓(130)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가압축봉(128)과, 상기 메인브라켓(127)과 이송브라켓(130)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29)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축봉(128)의 단부에는 가압축봉의 회전을 위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는 핸들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129)는 상기 메인브라켓(127)과 이송브라켓(130) 사이에서 이송브라켓을 탄발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제1로울러(121)와 제2로울러(122)의 간격에 대한 탄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압축봉(128)의 일방향 회전시 탄성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제2로울러(122)가 제1로울러(121)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가압축봉(128)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탄성스프링(129)의 압축된 탄성력에 의해 이송브라켓(130)을 탄발적으로 밀어내게 되어 제2로울러(122)가 제1로울러(121)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이격 가능하며, 상기 투입호퍼(110)를 통해 투입되는 곡물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제1로울러(121)와 제2로울러(122) 사이의 폭을 조절하여 파쇄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용 일체형 조분쇄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벽면에는 상기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의 경계부에는 소정의 개방부(213) 및 상기 개방부의 상측에 수직으로 소정높이의 물리충돌벽(212)이 형성되어,
상기 파쇄부에 의한 껍질의 분리가 원활하지 못할 경우 상기 송풍기의 유량이나 유속을 증대시켜 상기 하우징 본체 내부에서 상기 물리충돌벽과 강제로 충돌하도록 하여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곡물로부터 껍질이 분리되도록 하며, 분리된 껍질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제2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용 일체형 조분쇄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1124U KR200497440Y1 (ko) | 2022-05-06 | 2022-05-06 | 곡물용 일체형 조분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1124U KR200497440Y1 (ko) | 2022-05-06 | 2022-05-06 | 곡물용 일체형 조분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7440Y1 true KR200497440Y1 (ko) | 2023-11-08 |
Family
ID=8874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20001124U Active KR200497440Y1 (ko) | 2022-05-06 | 2022-05-06 | 곡물용 일체형 조분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744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122414A (zh) * | 2024-05-06 | 2024-06-04 | 长春职业技术学院 | 一种基于人工智能的大米加工用去壳抛光设备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9824Y1 (ko) | 2002-06-07 | 2002-09-19 | 조해준 | 식품 분쇄기 |
KR200360708Y1 (ko) * | 2004-06-14 | 2004-09-01 | 조해준 | 전두유 제조장치 |
KR100777224B1 (ko) * | 2007-03-09 | 2007-11-28 | 정재환 | 은행껍질 파쇄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20032824A (ko) * | 2010-09-29 | 2012-04-06 | 남중수 | 생콩 파쇄 두유 제조기 |
-
2022
- 2022-05-06 KR KR2020220001124U patent/KR200497440Y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9824Y1 (ko) | 2002-06-07 | 2002-09-19 | 조해준 | 식품 분쇄기 |
KR200360708Y1 (ko) * | 2004-06-14 | 2004-09-01 | 조해준 | 전두유 제조장치 |
KR100777224B1 (ko) * | 2007-03-09 | 2007-11-28 | 정재환 | 은행껍질 파쇄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20032824A (ko) * | 2010-09-29 | 2012-04-06 | 남중수 | 생콩 파쇄 두유 제조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122414A (zh) * | 2024-05-06 | 2024-06-04 | 长春职业技术学院 | 一种基于人工智能的大米加工用去壳抛光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44085B1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rn grains for production of ethanol | |
CN107348526A (zh) | 一种食品加工用果壳破碎筛选装置 | |
CN107497526A (zh) | 一种农作谷物的粉碎研磨装置 | |
CN107736624A (zh) | 一种花生分类去壳装置 | |
US6647866B1 (en) | Processing device for coffee beans | |
CN207605775U (zh) | 一种农作谷物的粉碎研磨装置 | |
KR200497440Y1 (ko) | 곡물용 일체형 조분쇄장치 | |
CN107442209A (zh) | 一种谷物脱壳研磨一体机 | |
CN105521848B (zh) | 一种利用荞麦剥壳装置的荞麦脱壳工艺 | |
US10722896B2 (en) | Degerminator | |
CN108636486B (zh) | 谷物脱皮装置 | |
US7246762B2 (en) | Process of forming corn flaking grits of improved quality with minimization of production of corn doubles | |
CN211359127U (zh) | 一种保健品制造用原材料粉碎装置 | |
CN219129366U (zh) | 一种蔬菜粉粉磨风选设备 | |
CN215963812U (zh) | 一种粮食生产加工用原料粉碎装置 | |
CN215775432U (zh) | 一种大豆加工用脱皮分离粉碎系统 | |
CN113477298B (zh) | 一种大米除尘装置及其除尘方法 | |
CN210753143U (zh) | 碎料机 | |
CN209348714U (zh) | 一种高效的谷物加工用碾磨装置 | |
CN108722532B (zh) | 一种大米加工方法 | |
CN108787462B (zh) | 面粉加工装置 | |
CN113545503A (zh) | 一种大豆加工用脱皮分离粉碎系统 | |
CN207476259U (zh) | 一种高脱净率谷物脱粒机 | |
CN221246075U (zh) | 一种饲料原料筛选装置 | |
CN215901816U (zh) | 一种具有缓冲结构的农业用碾米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2050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30118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230609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1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2311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31103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