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70135B1 -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135B1
KR100770135B1 KR1020050106289A KR20050106289A KR100770135B1 KR 100770135 B1 KR100770135 B1 KR 100770135B1 KR 1020050106289 A KR1020050106289 A KR 1020050106289A KR 20050106289 A KR20050106289 A KR 20050106289A KR 100770135 B1 KR100770135 B1 KR 100770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link
vehicle
hinged
br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286A (ko
Inventor
박득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6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135B1/ko
Priority to US11/422,196 priority patent/US7637344B2/en
Publication of KR2007004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13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4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 E05D3/145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최대한 짧은 액츄에이터의 스트로크(Stroke)를 이용하여 보행자 보호를 위한 충분한 후드의 상승 높이를 형성하도록 해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구조를 이루면서 차량 중량의 증가에도 적은 영향을 주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행자 보호 장치가 차량에 충돌하는 보행자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도록 범퍼(B)부위 주변으로 다수 장착된 센서(1)로부터 전달된 충격의 크기를 판단하는 ACU(2)와, 상기 ACU(2)로부터 발생된 제어 신호에 따라 엔진 후드(H)의 전방에 장착된 후드 래치의 반대쪽인 힌지 결합부위를 들어 올려 후드(H)가 엔진룸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후드리프터(3)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Road walker protecting apparatus of hood in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리프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리프터의 미 작용 시 고정 작용을 하는 링크래치의 변형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의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센서 2 : ACU
3 : 후드리프터 4 : 액츄에이터
4a : 캐리지 4b : 실린더
4c : 실린더로드 5 : 로어링크
5a : 지지바디부 5b : 연장연결부
5c : 안착위치제한턱 6 : 어퍼링크
7 : 차체마운틴브라켓 7a,8a : 로어·어퍼후드밀림방지턱
8 : 후드마운틴브라켓 9 : 링크구속부재
10 : 회동래치 10a,13,14a : 걸림턱
10b : 힌지연장단 10c,11a : 지지연장단
11 : 힌지체결단 12 : 스프링
14 : 회동연장래치 15 : 판스프링래치
15a : 안착홈 16 : 안착구속단
17 : 토션스프링
a : 후드안착높이제한부
C : 차체패널 B : 범퍼
E : 엔진커버 H : 후드
h1,h2,h3,h4,h5,h6 : 힌지핀
Ka : 후드밀림구속부
Kb : 링크구속부
R : 후드보강브라켓 SB : 지지브라켓
본 발명은 차량용 후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와 충돌될 때 후드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요시 엔진룸을 개방시킬 수 있는 후드는 앞쪽에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뒤쪽이 힌지 결합되어, 차량의 엔진룸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현재에는 보행자와의 접촉 내지 충돌 사고 시 후드위로 떨어지는 보행자의 부상을 줄이도록 보행자 보호 법규 규정을 제정해, 엔진룸을 가리는 후드의 근본적인 기능이외에 후드에 의한 보행자의 부상을 줄이도록 강제 조항으로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보행자 보호 법규 규정을 만족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보행자와의 충돌시 힌지 결합된 후드 부위를 강제로 들어 올려, 들어 올려진 후드가 보행자와 후드사이에 완충 역할을 하도록 해 보행자 보호 법규 규정을 만족하는 방식을 주로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보행자 보호 법규 만족을 위한 이러한 방식은 즉, 후드리프터(Hood Lifter)라 칭하는 후드의 힌지 부위를 들어 올려 주는 구조는 후드의 자체 중량이 크고 또한 충격이 감지 될 때 신속하게 후드를 상승시켜 주어야 만 되므로, 통상 유압식 액츄에이터(Hydraulic Type Actuator)나, 폭발력을 이용하는 파이로 타입 액츄에이터(Pyro Type Actuator)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후드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액츄에이터의 직선 이동력을 후드의 상승력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구적인 구조가 반드시 요구되는데, 이때 액츄에이터의 운동 방향 전환 구조와 더불어 이들간의 장착위치 설정에 대한 충분한 고려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콤팩트(Compact)한 구조가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조립성과 정비성등이 저하되어 진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최대한 짧은 액츄에이터의 스트로크(Stroke)를 이용하여 보행자 보호를 위한 충분한 후드의 상승 높이를 형성하도록 해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구조를 이루면서 차량 중량의 증가에도 적은 영향을 주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가 장착되는 엔진 룸 양쪽 측면을 이루는 차체의 에이프런(Apron)과 펜더(Fender)공간에서도 장착이 용이하도록 해 조립성은 물론 정비성도 우수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에 충돌하는 보행자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도록 범퍼부위 주변으로 다수 장착된 센서로부터 전달된 충격의 크기를 판단하는 ACU와;
엔진룸의 양쪽 측부를 이루는 차체 패널의 상면에 장착된 지지브라켓을 매개로 일단이 힌지 고정되어 차체 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실린더로드의 인출 시 실린더로드가 가하는 가압력을 통해 실린더로드와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상·하로 벌어져 후드를 들어올리도록, 상기 차체 패널의 상부에서 지지브라켓에 간격을 두고 고정된 차체마운틴브라켓에 힌지 결합되고, 후드부위에 고정된 후드마운틴브라켓에 힌지 결합되어진 링크부재;
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는 액츄에이터의 실린더로드에 일단이 힌지핀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면서 타단이 차체패널에 장착된 차체마운틴브라켓을 이용해 힌지핀을 매개로 힌지 결합된 로어링크와, 상기 로어링크에 힌지핀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 면서 후드에 장착된 후드마운틴브라켓을 이용해 힌지핀을 매개로 힌지 결합된 어퍼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를 이루는 차체마운틴브라켓과 후드마운틴브라켓에는 후드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간을 서로 구속해 충격을 받은 후드가 차실내쪽으로 밀려드는 것을 방지하는 후드밀림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어링크와 어퍼링크에는 후드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링크간을 구속하는 링크구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의 보행자 보호 장치는 차량에 충돌하는 보행자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도록 범퍼(B)부위 주변으로 다수 장착된 센서(1)로부터 전달된 충격의 크기를 판단하는 ACU(2)와, 상기 ACU(2)로부터 발생된 제어 신호에 따라 엔진 후드(H)의 전방에 장착된 후드 래치의 반대쪽인 힌지 결합부위를 들어 올려 후드(H)가 엔진룸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후드리프터(3)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센서(1)는 에어백 장치에 사용되는 센서이며, ACU(2)는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콘트롤러이며, 상기 ACU(2)는 에어백 작동시 보다 작은 충격을 갖는 보행자 충돌 상황에 따라 에어백이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후드(H)를 들어 올려주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드리프터(3)는 엔진룸의 양쪽 측면을 이루는 차체의 에이프런(Apron)과 펜더(Fender)부위인 차체패널(C)에 고정된 지지브라켓(SB)과 힌지핀(h1)을 매개로 실린더(4b)를 감싼 캐리지(4a)가 힌지 결합된 액츄에이터(4)와, 상기 액츄에이터(4)의 실린더로드(4c)의 인출 시 후드(H)를 들어올리기 위해 펼쳐지도록, 상기 차체 패널(C)의 상부에서 지지브라켓(SB)에 간격을 두고 고정된 차체마운틴브라켓(7)에 힌지 결합되고, 후드(H)부위에 고정된 후드마운틴브라켓(8)에 힌지 결합되어진 링크부재로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링크부재는 후드(H)의 앞쪽을 들어 엔진룸을 개방할 때 후드(H)가 열리도록 하는 힌지(Hinge) 기능도 함께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4)는 스프링 로드 타입(Spring Loaded type Actuator)이나, 폭발해 발생되는 가스 압력을 통해 신속하게 후드(H)를 들어 올리는 파이로 타입 액츄에이터(Pyro Type Actuator)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는 액츄에이터(4)의 실린더로드(4c)에 일단이 힌지핀(h5)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면서 타단이 차체패널(C)에 장착된 차체마운틴브라켓(7)을 이용해 힌지핀(h3)을 매개로 힌지 결합된 로어링크(5)와, 상기 로어링크(5)에 힌지핀(h3)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면서 후드(H)에 장착된 후드마운틴브라켓(8)을 이용해 힌지핀(h2)을 매개로 힌지 결합된 어퍼링크(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퍼링크(6)를 힌지 결합하는 후드마운틴브라켓(8)은 후드(H)에 결합되는 부위의 강성을 강화하는 후드보강브라켓(R)에 장착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로어링크(5)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패널(C)에 장착된 차체마운틴브라켓(7)에 힌지핀(h3)을 매개로 끝단을 힌지 결합한 지지바디부(5a)와, 상기 지지바디부(5a)로부터 연장되어 액츄에이터(4)의 실린더로드(4c)에 힌지핀(h5)을 매개로 힌지 결합된 연장연결부(5b)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바디부(5a)에서 연장연결부(5b)가 형성되는 절곡부에는 어퍼링크(6)가 힌지핀(h6) 결합되어진다.
이때, 상기 연장연결부(5b)가 지지바디부(5a)에 대해 절곡되는 정도는, 액츄에이터(4)의 실린더로드(4c)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로어링크(5)가 들어 올려질 때, 어퍼링크(6)도 위로 올려질 수 있도록 액츄에이터(4)의 힘이 가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지지바디부(5a)에는 후드(H)가 닫힌 상태에서 차체마운틴브라켓(7)에 의해 지지됨과 더불어 로어링크(5)의 위치를 일정한 후드안착높이제한부(a)로 한정하는 안착위치제한턱(5c)이 저부로 돌출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후드안착높이제한부(a)는 액츄에이터(4)의 장착 위치와 연관되어 닫힌 후드(H)가 엔진룸을 완전히 가리는 즉, 상기 후드(H)가 닫힌 상태에서 들뜨지 않는 높이로 지지바디부(5a)로부터 돌출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어퍼링크(6)와 로어링크(5)의 체결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링크(5)의 지지바디부(5a)에서 연장연결부(5b)가 형성되는 절곡부에 힌지핀(h6)을 매개로 결합되어진다.
또한, 상기 차체마운틴브라켓(7)과 후드마운틴브라켓(8)에도 후드(H)가 닫힌 상태에서 브라켓(7,8)간을 서로 구속해 충격을 받은 후드(H)가 차실내쪽으로 밀려드는 것을 방지하는 후드밀림구속부(Ka)가 형성되는데, 상기 후드밀림구속부(Ka)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링크(5)를 장착한 차체마운틴브라켓(7)의 측면에서 돌출되면서 상단을 꺾어 절곡시킨 로어후드밀림방지턱(7a)과, 어퍼링크(6)를 장착한 후드마운틴브라켓(8)의 측면에서 상기 로어후드밀림방지턱(7a)쪽으로 돌출되도록 절곡시킨 어퍼후드밀림방지턱(8a)으로 구성되어진다.
즉, 상기 어퍼후드밀림방지턱(8a)이 로어후드밀림방지턱(7a)의 앞쪽으로 위치되어, 차량 전방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후드(H)가 밀려 들 때 차체패널(C)에 고정된 차체마운틴브라켓(7)을 통해 후드(H)의 밀림을 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링크(5)와 어퍼링크(6)에는 후드(H)가 닫힌 상태에서 링크(5,6)간을 구속하는 링크구속부(Kb)가 형성되는데, 상기 링크구속부(K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링크(6)의 끝단에 돌출된 걸림턱(13)과, 차체마운틴브라켓(7)에 일단이 힌지핀(h4)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걸림턱(13)에 맞물리도록 돌출된 걸림턱(10a)을 형성한 회동래치(10) 및 후드(H)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동래치(10)가 걸림턱(13)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위치를 잡아주도록, 회동래치(10)의 끝단부인 지지연장단(10c)과 차체마운틴브라켓(7)으로부터 돌출된 지지연장단(11a)사이에 개재된 스프링(12)으로 이루어진 링크구속부재(9)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동래치(10)는 차체마운틴브라켓(7)으로부터 돌출된 힌지체결단(11)에 힌지핀(h4)을 매개로 고정되도록 돌출 연장되어진 힌지연장단(10b)이 형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링크구속부(Kb)를 이루는 링크구속부재(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구조를 갖게 되는데, 예를 들면 도 4(가)에 도시된 링크구속부재(9)는 차체마운틴브라켓(7)에 힌지 결합된 로어링크(5)의 끝단부위로부터 회동연장래치(14)가 어퍼링크(6)의 걸림턱(13)쪽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연장래치(14)의 끝단부위에는 어퍼링크(6)의 걸림턱(13)에 맞물려 구속하도록 돌출된 걸림턱(14a)이 형성된다.
또한, 도 4(나)에 도시된 링크구속부재(9)는 후드마운틴브라켓(8)에 힌지 결합된 어퍼링크(6)의 끝단부위를 감싸면서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안착구속단(16)와, 차체마운틴브라켓(7)에 고정되어 어퍼링크(6)쪽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안착구속단(16)이 수용되도록 함몰된 안착홈(15a)을 통해 어퍼링크(6)에 대한 구속력을 발생하는 판스프링래치(15)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4(다)에 도시된 링크구속부재(9)는 어퍼링크(6)의 끝단에 돌출된 걸림턱(13)과, 차체마운틴브라켓(7)으로부터 돌출된 힌지체결단(11)에 힌지핀(h4)을 매개로 고정되는 힌지연장단(10b)이 형성되면서 상기 걸림턱(13)에 맞물리도록 돌출된 걸림턱(10a)을 형성한 회동래치(10) 및 상기 힌지핀(h4)에 결합되면서 일단은 회동래치(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차체마운틴브라켓(7)으로부터 돌출된 지지연장단(11a)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17)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링크구속부재(9)를 이루는 어퍼링크(6)에 형성된 걸림턱(13)과 회동래치(10)에 형성된 걸림턱(10a)은, 상기 어퍼링크(6)의 상방향 회동 시 이탈이 용이하도록 대략 돌출된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행자 보호 장치인 후드리프터(3)는 보행자와의 충돌이 없는 경우 엔진룸을 점검하기 위해 앞쪽을 들어 올릴 때 힌지 작용을 하게 되고, 만약 보행자와 차량이 어느 정도 이상의 충격력으로 충돌하게 되면 후드(H)위로 떨어지는 보행자의 부상 방지를 위한 충격 흡수를 위해 엔진룸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후드(H)의 후방 부위를 들어 올려주게 된다.
즉, 엔진룸 개방 시 후드리프터(3)를 통한 후드(H)의 힌지 작용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H)의 앞쪽을 들어 올려주게 되면, 상기 후드리프터(3)를 이루는 링크부재의 힌지 작용을 이용해 후드(H)의 앞쪽이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는, 상기 후드(H)의 앞쪽이 들어 올려짐에 따라 링크부재의 로어링크(5)에 결합된 어퍼링크(5)의 후드(H)결합부위를 통해 즉, 후드(H)에 장착된 후드마운틴브라켓(8)과 힌지 결합된 어퍼링크(6)의 힌지핀(h2)부위를 통해, 상기 어퍼링크(6)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후드마운틴브라켓(8)과 함께 후드(H)가 들어 올려지게 된다.
한편, 상기 후드리프터(3)가 엔진룸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후드(H)의 후방 부위를 들어 올려주는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차량의 전방을 이루는 범퍼(B)부위로 장착된 충격감지센서(1)가 보행자와 충돌에 따른 충격 신호를 ACU(2)에 전달하게 되면, 상기 ACU(2)는 충격감지센서(1)의 신호에 따라 충격력의 크기를 판단해 후드리프터(3)를 작동시킬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어, 상기 ACU(2)가 제어 신호를 발생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리프터(3)를 이루는 액츄에이터(4)가 작동되면서 실린더로드(4c)가 실린더(4b)로부터 신속하게 인출되고, 이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4)의 스트로크(Stroke)가 증가하면 지지브라켓(SB)에 힌지핀(h)결합된 액츄에이터(4)가 들어 올려지면서 동시에, 상기 실린더로드(4c)의 증가된 스트로크에 의해 실린더로드(4c)에 고정된 링크부재가 펼쳐지면서 후드(H)를 들어 올려주게 된다.
즉, 상기 링크부재의 로어링크(5)가 액츄에이터(4)의 실린더로드(4c)스트로크 증가에 의한 힘을 받게 되면, 상기 로어링크(5)의 연장연결부(5b)는 차체패널(C)에 고정된 차체마운틴브라켓(7)에 힌지핀(h3)을 매개로 결합된 지지바디부(5a)의 끝단 부위를 중심으로 상승하는 회전력이 발생된다.
이어, 상기 로어링크(5)가 차체마운틴브라켓(7)과 힌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위로 회동(시계 방향 회전)하면, 상기 로어링크(5)에 고정된 어퍼링크(6)도 액츄에이터(4)의 가압력과 로어링크(5)의 회전력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후드(H)는 앞쪽에서 래치(Latch)에 의해 고정부위를 회동점으로 하여 뒤쪽이 들어 올려져 엔진커버(E)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되어, 후드(H)로 떨어진 보행자의 충격을 흡수·완충할 수 있는 보호 공간을 형성해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후드(H)가 들어 올려질 때 어퍼링크(6)를 구속하는 링크구속부(Kb)는 상기 어퍼링크(6)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링크(6)가 위로 들어 올려지면서 어퍼링크(6)의 끝단에 돌출된 걸림턱(13)이 회동래치(10)의 걸림턱(10a)으로부터 저항을 받게 되면, 상기 회동래치(10)의 힌지연장단(10b)이 힌지핀(h4)을 매개로 어느 정도 회동되어 어퍼링크(6)의 걸림턱(13)이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래치(10)를 지지하는 스프링(12)은 회동래치(10)의 유동 정도에 따라 압축된 후 복원되면서, 초기 위치로 복귀시켜 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링크구속부(Kb)를 이루는 다양한 구조의 링크구속부재(9)도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데 즉, 도 4(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0a)형상을 갖으면서 차체마운틴브라켓(7)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래치(10)와, 탄성력을 발생하는 토션스프링(17)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2의 링크구속부재(9)의 경우와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도 4(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래치(10)가 로어링크(5)의 힌지 결합된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로어링크(5)의 회동에 따라 어퍼링크(6)의 걸림턱(13)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로어링크(5)와 함께 회동되면서 해제되어진다.
또한, 도 4(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구속부재(9)가 판스프링래치(15)에 의해 어퍼링크(6)가 구속되는 경우는, 어퍼링크(6)의 회동에 따라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안착구속단(16)이 판스프링래치(15)의 함몰된 안착홈(15a)으로부터 벗어나면서 해제되어진다.
이때, 후드(H)가 위로 들어 올려질 때 후드(H)가 차실내쪽으로 밀려드는 것을 방지하는 후드밀림구속부(Ka)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데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H)에 고정된 후드마운틴브라켓(8)의 어퍼후드밀림방지턱(8a)과 차체패널(C)에 고정된 차체마운틴브라켓(7)의 로어후드밀림방지턱(7a)이 서로 떨어진 상태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후드(H)가 들어 올려 지게 되면 액츄에이터(4)내 가스 압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실린더로드(4c)가 로어링크(5)와 어퍼링크(6)가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고, 만약 보행자가 후드(H)위로 떨어져 후드(H)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액츄에이터(4)와 펼쳐진 로어링크(5)와 어퍼링크(6)가 충격을 완충해주게 된다.
즉, 보행자로부터 후드(H)에 가해지는 충격이 어퍼링크(6)쪽으로 전달되면, 도 5의 상태에서 반대로 작용하는 경우와 같이, 상기 어퍼링크(6)가 로어링크(5)를 가압하면서 로어링크(5)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밑으로 내려가고, 이와 같이 로어링크(5)가 내려감에 따라 로어링크(5)에 고정된 액츄에이터(4)의 스트로크가 짧아지면서 짧아진 스트로크만큼 후드(H)를 내려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해주게 된다.
이때, 상기 로어링크(5)가 가하는 가압력이 액츄에이터(4)의 실린더로드(4c)를 실린더(4b)로 삽입시키게 되며, 이는 상기 실린더(4b)내에서 일정 압력을 갖는 가스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실린더로드(4c)가 가스를 실린더(4b)밖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액츄에이터(4)의 가스 배출은 파이로 타입 액츄에이터가 갖는 일반적인 구조인데 이는, 실린더(4a)내부에서 실린더로드(4c)가 가스를 가압하는 경우 벤트홀(Vent Hole)이 형성된 피스톤등을 이용하여 실린더(4b)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4)의 가스 배출 속도는, 설계시 보행자로부터 받는 후드 충격에 따른 링크부재의 하강 정도를 통한 최적의 충격 완충에 따라 설계되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후드를 상승시켜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도록 액츄에이터와 서로 힌지 결합된 링크부재의 거동이, 차체 측면을 따라 길게 배열된 액츄에이터의 직선 이동에 따라 서로 힌지 결합된 링크부재가 중간부위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후드를 들어 올려주도록 되어, 액츄에이터와 링크부재가 차지하는 공간 영역이 차체 측면을 따라 형성되므로 차체 측면에 대한 구조 변경등이 없이 설계된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여 장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드를 들어 올려주는 힘을 발생시키는 액츄에이터가 차체 측면을 따라 길게 배열되면서 양단이 힌지핀을 매개로 고정되는 구조로 되므로, 후드를 조립한 상태에서 수행될 수밖에 없는 차체 도장 작업시 링크부재만이 장착된 채로 도장 작업을 완료한 후 나중에 액츄에이터를 간단히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의 스트로크가 서로 힌지 결합된 링크부재의 중간 부위를 가압해 펼쳐지도록 하므로, 링크부재의 길이 조절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이동된 스트로크에 대해 매우 증가된 후드 상승 높이를 형성할 수 있고, 짧은 스트 로크를 갖는 액츄에이터를 이용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콤팩트(Compact)한 구조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6)

  1. 차량에 충돌하는 보행자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도록 범퍼(B)부위 주변으로 다수 장착된 센서(1)로부터 전달된 충격의 크기를 판단하는 ACU(2)와;
    엔진룸의 양쪽 측부를 이루는 차체 패널(C)의 상면에 장착된 지지브라켓(SB)을 매개로 일단이 힌지 고정되어 차체 패널(C)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액츄에이터(4)와, 상기 액츄에이터(4)의 실린더로드(4c)의 인출 시 실린더로드(4c)가 가하는 가압력을 통해 실린더로드(4c)와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상·하로 벌어져 후드(H)를 들어올리도록, 상기 차체 패널(C)의 상부에서 지지브라켓(SB)에 간격을 두고 고정된 차체마운틴브라켓(7)에 힌지 결합되고, 후드(H)부위에 고정된 후드마운틴브라켓(8)에 힌지 결합되어진 링크부재;
    로 구성되어진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패널(C)부위는 엔진룸의 양쪽 측면을 이루는 차체의 에이프런(Apron)과 펜더(Fender)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후드(H)의 앞쪽을 들어 엔진룸을 개방할 때 후드(H)가 열리도록 하는 힌지(Hinge) 기능도 함께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4)는 파이로 타입 액츄에이터(Pyro Type Actua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액츄에이터(4)의 실린더로드(4c)에 일단이 힌지핀(h5)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면서 타단이 차체패널(C)에 장착된 차체마운틴브라켓(7)을 이용해 힌지핀(h3)을 매개로 힌지 결합된 로어링크(5)와,
    상기 로어링크(5)에 힌지핀(h6)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면서 후드(H)에 장착된 후드마운틴브라켓(8)을 이용해 힌지핀(h2)을 매개로 힌지 결합된 어퍼링크(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링크(5)는 차체패널(C)에 장착된 차체마운틴브라켓(7)에 힌지핀(h3)을 매개로 끝단을 힌지 결합한 지지바디부(5a)와, 상기 지지바디부(5a)에 힌지핀(h6)을 매개로 어퍼링크(6)가 힌지 결합된 부위로부터 연장되어 액츄에이터(4)의 실린더로드(4c)에 힌지핀(h5)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는 연장연결부(5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부(5a)에는 후드(H)가 닫힌 상태에서 차체마운틴브라켓(7)에 의해 지지됨과 더불어 로어링크(5)의 위치를 일정한 후드안착높이제한부(a)로 한정하는 안착위치제한턱(5c)이 저부로 돌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링크(6)를 힌지 결합하는 후드마운틴브라켓(8)은 후드(H)에 결합되는 부위의 강성을 강화하는 후드보강브라켓(R)에 장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마운틴브라켓(7)과 후드마운틴브라켓(8)에는 후드(H)가 닫힌 상태에서 브라켓(7,8)간을 서로 구속해 충격을 받은 후드(H)가 차실내쪽으로 밀려드는 것을 방지하는 후드밀림구속부(K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밀림구속부(Ka)는 로어링크(5)를 장착한 차체마운틴브라켓(7)의 측면에서 돌출되면서 상단을 꺾어 절곡시킨 로어후드밀림방지턱 (7a)과, 어퍼링크(6)를 장착한 후드마운틴브라켓(8)의 측면에서 상기 로어후드밀림방지턱(7a)의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절곡시킨 어퍼후드밀림방지턱(8a)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링크(5)와 어퍼링크(6)에는 후드(H)가 닫힌 상태에서 링크(5,6)간을 구속하는 링크구속부(K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구속부(Kb)는 어퍼링크(6)의 끝단에 돌출된 걸림턱(13)과, 차체마운틴브라켓(7)에 일단이 힌지핀(h4)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걸림턱(13)에 맞물리도록 돌출된 걸림턱(10a)을 형성한 회동래치(10) 및 후드(H)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동래치(10)가 걸림턱(13)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위치를 잡아주도록, 회동래치(10)의 끝단부인 지지연장단(10c)과 차체마운틴브라켓(7)으로부터 돌출된 지지연장단(11a)사이에 개재된 스프링(12)으로 이루어진 링크구속부재(9)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래치(10)는 차체마운틴브라켓(7)으로부터 돌출된 힌지체결단(11)에 힌지핀(h4)을 매개로 고정되도록 돌출 연장되어진 힌지연장단(10b)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구속부(Kb)는 차체마운틴브라켓(7)에 힌지 결합된 로어링크(5)의 끝단부위로부터 회동연장래치(14)가 어퍼링크(6)의 걸림턱(13)쪽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회동연장래치(14)의 끝단부위로 어퍼링크(6)의 걸림턱(13)에 맞물려 구속하도록 돌출된 걸림턱(14a)이 형성된 링크구속부재(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구속부(Kb)는 후드마운틴브라켓(8)에 힌지 결합된 어퍼링크(6)의 끝단부위를 감싸면서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안착구속단(16)과, 차체마운틴브라켓(7)에 고정되어 어퍼링크(6)쪽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안착구속단(16)이 수용되도록 함몰된 안착홈(15a)을 통해 어퍼링크(6)에 대한 구속력을 발생하는 판스프링래치(15)로 구성된 링크구속부재(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구속부(Kb)는 어퍼링크(6)의 끝단에 돌출된 걸림턱(13)과, 차체마운틴브라켓(7)으로부터 돌출된 힌지체결단(11)에 힌지핀(h4)을 매개로 고정되는 힌지연장단(10b)이 형성되면서 상기 걸림턱(13)에 맞물리도록 돌출된 걸림턱(10a)을 형성한 회동래치(10) 및 상기 힌지핀(h4)에 결합되면서 일단은 회동래치(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차체마운틴브라켓(7)으로부터 돌출된 지지연장단(11a)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17)으로 구성된 링크구속부재(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KR1020050106289A 2005-11-08 2005-11-08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70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289A KR100770135B1 (ko) 2005-11-08 2005-11-08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US11/422,196 US7637344B2 (en) 2005-11-08 2006-06-05 Pedestrian protecting apparatus of vehicle h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289A KR100770135B1 (ko) 2005-11-08 2005-11-08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286A KR20070049286A (ko) 2007-05-11
KR100770135B1 true KR100770135B1 (ko) 2007-10-24

Family

ID=38002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28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0135B1 (ko) 2005-11-08 2005-11-08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37344B2 (ko)
KR (1) KR1007701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8886B1 (en) 2014-09-26 2016-04-12 Hyundai Motor Company Active hood device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8212B1 (fr) * 2004-11-22 2008-08-29 Pyroalliance Sa Systemes d'absorption mecaniques pour articulation active de capot
FR2886612B1 (fr) * 2005-06-06 2007-10-12 Renault Sas Dispositif de commande de l'ouverture du capot d'un vehicule, notamment pour proteger la tete d'un pieton en cas de choc.
JP4569822B2 (ja) * 2005-08-16 2010-10-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JP4410822B2 (ja) * 2008-01-25 2010-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US20090194348A1 (en) * 2008-01-31 2009-08-06 Faubert Robert J Automotive hood-hinge system
US8336666B2 (en) * 2008-10-24 2012-12-25 Honda Motor Co., Ltd. Hood hinge
US7987939B2 (en) * 2008-12-04 2011-08-02 Honda Motor Co., Ltd. Hood system with multiple open positions
DE102010029410A1 (de) * 2010-05-27 2011-12-0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eder- und Dämpfer-Baueinheit
KR101138967B1 (ko) * 2010-08-13 2012-04-25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액티브 힌지 구조
US8490735B2 (en) * 2011-06-28 2013-07-23 Ford Global Technologies Vehicle hood structure for pedestrian body impact protection
CN102582567B (zh) * 2012-02-29 2014-04-02 华南理工大学 一种有利于行人保护的发动机罩弹起装置
DE102012006496B4 (de) * 2012-03-29 2016-05-04 Audi Ag Fußgängerschutz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02849120B (zh) * 2012-08-21 2015-03-18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工程机械及其覆盖件支撑装置
KR101438966B1 (ko) * 2012-12-26 2014-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행자 상해 저감용 라디에이터그릴
US8768574B1 (en) * 2013-02-22 2014-07-01 Ventra Group, Inc. Pedestrian protection vehicle hood hinge assembly
DE102013017456B4 (de) * 2013-10-21 2018-07-12 Audi Ag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 Frontklappe und zugehöriges Kraftfahrzeug
US9033092B1 (en) * 2013-11-21 2015-05-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ront end structure providing pedestrian protection
JP6044560B2 (ja) * 2014-02-17 2016-1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JP6166695B2 (ja) * 2014-07-11 2017-07-1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フードリフター
US9283924B1 (en) 2014-09-23 2016-03-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nge for a vehicle hood
KR101637747B1 (ko) * 2014-11-26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단형 후드 힌지장치
US9821755B2 (en) 2016-01-29 2017-1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nge for a vehicle hood
US10315612B2 (en) * 2016-08-24 2019-06-11 Honda Motor Co., Ltd. Vehicle hood lift system
USD835015S1 (en) * 2016-11-15 2018-12-04 Byd Company Limited Automobile hood
KR102596236B1 (ko) * 2016-11-23 2023-11-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액티브 후드장치
TWD188471S (zh) * 2016-11-30 2018-02-11 Bmw股份有限公司 汽車用前保險桿
USD823197S1 (en) * 2017-02-06 2018-07-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ood
USD826805S1 (en) * 2017-03-14 2018-08-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ood
USD876999S1 (en) * 2017-05-17 2020-03-03 Jaguar Land Rover Limited Vehicle front bumper upper
USD856876S1 (en) * 2017-06-14 2019-08-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hood
USD856240S1 (en) * 2017-06-30 2019-08-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ear fender for a vehicle
USD836046S1 (en) * 2017-09-21 2018-12-18 Ningbo Geely Automotiv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Hood for a vehicle
USD843280S1 (en) * 2017-10-05 2019-03-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hood
USD855515S1 (en) * 2017-11-07 2019-08-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hood
USD896714S1 (en) * 2017-12-07 2020-09-22 Hall Labs Llc Automobile hood
USD848328S1 (en) * 2017-12-13 2019-05-14 Jaguar Land Rover Limited Hood for a vehicle
US10589677B1 (en) 2018-10-11 2020-03-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to exhibit information after a pedestrian crash incident
US11383672B2 (en) * 2018-11-27 2022-07-12 Magna Closures Inc. Active pedestrian hood hinge with integrated latch assembly
USD930520S1 (en) 2019-02-18 2021-09-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ront of a motor vehicle, toy and/or replica
USD908563S1 (en) * 2019-11-04 2021-01-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hood
USD921544S1 (en) * 2019-11-08 2021-06-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Radiator grille for vehicle
US12077126B2 (en) * 2022-07-05 2024-09-03 Hyundai Motor Company Active hood system
KR102588783B1 (ko) * 2023-04-13 2023-10-12 이도희 화물 상하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 차량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4402B1 (en) 1999-07-19 2002-04-0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ehicular hood apparatus
KR20020050344A (ko) * 2000-12-21 2002-06-27 이계안 자동차 후드힌지부의 충격 흡수장치
JP2004203249A (ja) * 2002-12-25 2004-07-22 Aisin Seiki Co Ltd リフトアップ装置及びリフトアップシステム構造
KR20050031609A (ko) * 2003-09-30 2005-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힌지의 충격흡수장치
US6942056B2 (en) 2002-12-20 2005-09-13 Pyroalliance Safety device for lifting a bonnet of a motor vehicl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US6953220B2 (en) 2003-10-15 2005-10-11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Hood apparatus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6716A1 (de) * 2001-04-04 2002-10-10 Volkswagen Ag Scharniereinrichtung für eine anhebbare Fronthaube an einem Fahrzeug
JP2003182510A (ja) * 2001-12-25 2003-07-03 Toyota Motor Corp リフトアップフード
GB2400826B (en) * 2003-04-24 2006-05-10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device
JP4472942B2 (ja) * 2003-05-13 2010-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ードリフトアップ装置の配設構造
US7296624B2 (en) * 2003-05-21 2007-11-20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Press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4013900B2 (ja) * 2004-01-13 2007-11-28 株式会社デンソー 歩行者検出装置
FR2864936B1 (fr) * 2004-01-14 2008-08-15 Pyroalliance Leve capot a actionneur muni d'un systeme de verrouillage par crochet.
FR2867733B1 (fr) * 2004-03-17 2007-06-15 Oxford Automotive Mecanismes E Dispositif d'absorption d'un choc subi par le capot d'un vehicule
FR2878212B1 (fr) * 2004-11-22 2008-08-29 Pyroalliance Sa Systemes d'absorption mecaniques pour articulation active de capot
US7232178B2 (en) * 2005-02-10 2007-06-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hood assembly and method of elevating vehicle ho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4402B1 (en) 1999-07-19 2002-04-0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ehicular hood apparatus
KR20020050344A (ko) * 2000-12-21 2002-06-27 이계안 자동차 후드힌지부의 충격 흡수장치
US6942056B2 (en) 2002-12-20 2005-09-13 Pyroalliance Safety device for lifting a bonnet of a motor vehicl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JP2004203249A (ja) * 2002-12-25 2004-07-22 Aisin Seiki Co Ltd リフトアップ装置及びリフトアップシステム構造
KR20050031609A (ko) * 2003-09-30 2005-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힌지의 충격흡수장치
US6953220B2 (en) 2003-10-15 2005-10-11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Hood apparatus for a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8886B1 (en) 2014-09-26 2016-04-12 Hyundai Motor Company Active hood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02219A1 (en) 2007-05-10
US7637344B2 (en) 2009-12-29
KR20070049286A (ko) 200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135B1 (ko)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JP6727147B2 (ja) 車両用アクティブフード装置
US7954588B2 (en) Hood pop-up system and hood pop-up method for a vehicle
JP6526548B2 (ja) 自動車用パッシブフードヒンジ装置
JP4453285B2 (ja) 衝突対象保護装置の制御装置
JP4991725B2 (ja) 歩行者を保護する自動車のボンネットのヒンジ組立体
EP1323597B1 (en) Hood structure of motor vehicle with a system for absorbing impact energy exerted on a colliding body
US9340179B2 (en) Active hood apparatus for vehicle
KR100921062B1 (ko) 액티브 후드 시스템의 리프트 장치
JPH11115680A (ja) 跳ね上げ式フード
CN100400346C (zh) 用于偏转机动车外镶板部件的布置
JP3785754B2 (ja) 跳ね上げ式フード
KR20100055932A (ko)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JP2006224890A (ja) 車両の歩行者保護装置
KR101281462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화약식 후드 리프팅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EP2380787A1 (en) Hinge Mechanism
KR100613778B1 (ko) 에어백을 이용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
KR100645206B1 (ko) 복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후드 리프트 업 장치
KR20090005582A (ko) 자동차용 후드 스트라이커 개선 구조
JP2013173501A (ja)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KR100764500B1 (ko) 화물 차량의 리어 가드
KR102362316B1 (ko) 후드 에어백 장치
KR20130007349A (ko) 후드 에어백 장치
KR20070005064A (ko) 차량의 후드 리프트 장치
KR100709464B1 (ko) 차량의 직접 작용식 후드 상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