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63640B1 - 폐수처리 방법 및 폐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수처리 방법 및 폐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640B1
KR100763640B1 KR20010078031A KR20010078031A KR100763640B1 KR 100763640 B1 KR100763640 B1 KR 100763640B1 KR 20010078031 A KR20010078031 A KR 20010078031A KR 20010078031 A KR20010078031 A KR 20010078031A KR 100763640 B1 KR100763640 B1 KR 100763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electron acceptor
sludge
dissolved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7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5006A (ko
Inventor
다미코 사다이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카오덴키
와카오 기이치
다미코 사다이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카오덴키, 와카오 기이치, 다미코 사다이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카오덴키
Publication of KR2002009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잉여오니를 전혀 발생시키지 않거나 극력 억제하며 또한 무취상태에서 오니를 처리할 수 있다.
폐수원수를 유입조2에 유입함과 동시에, 이 유입조2에 전자수용체 조정수 저장조1로부터 미생물의 전자수용체 조정수11을 혼입하여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일명, 폭기라고도 한다)한다. 계속하여 이 포기 처리수를 반응조3으로 이송하여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한다. 계속하여 처리수를 침전조4에서 오니를 침전시켜 분리하여 상등수는 방류한다. 계속하여 침전오니를 오니 소화조5로 이송하여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한다. 이 포기 처리수의 상등수를 전자수용체 조정수11로서 상기 전자수용체 조정수 저장조1로 반송한다.

Description

폐수처리 방법 및 폐수처리 장치{LIQUID-WASTE TREATING APPARATUS AND LIQUID-WASTE TREATING METHOD}
도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폐수처리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수용체 조정수 저장조(電子受容體 調整水 貯藏槽)
2 : 폐수원수 유입조(廢水原水 流入槽)
3 : 반응조(反應槽) 4 : 침전조(沈澱槽)
5 : 오니 소화조(汚泥 消化槽)
본 발명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폐수를 미생물처리에 의하여 정화시키는 폐수처리 방법 및 폐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물을 포함하는 폐수를 미생물처리에 의하여 정화시키는 방법으로서, 활성오니 처리법이 하수처리, 산업폐수처리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활성오니 처리법의 프로세스는 이하와 같다. 우선 여과·침전 등의 전처리를 실시한 유입폐수를 포기조(曝氣槽 : 일명, 폭기조라고도 한다)로 이송하고, 활성오니를 교반·포기(攪拌·曝氣)하여 폐수 중의 수용성 유기화합물, 콜로이드 모양의 유기 화합물 등을 무기화 처리한다.
다음에 폐수를 침전조(沈澱槽)로 이송하여 오니를 분리·침전시켜서 상등수(上澄水)를 법정 기준치 이하가 되도록 살균처리를 한 후에 하천 등으로 방류한다. 침전조의 하층에 침강한 오니는 저장조로 이송하여 소정량이 괴었을 때에 적당한 처분을 하고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침전조의 오니 일부를 포기조로 반송하여 포기조 내의 오니의 미생물 농도를 조정하는 데 사용한다.
상기한 종래의 활성오니 처리법은, 일반적으로 호기성(好氣性) 미생물을 사용하여 포기조의 용존산소량(DO)을 높은 상태로 유지하여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증식을 촉진하고, 그 호기호흡(好氣呼吸)에 의하여 기질(基質)인 유기성 오물을 산화시켜서 분해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미생물의 시체와 아울러 폐수 중의 오물이 응집하여 대량의 오니가 발생하게 된다.
이 오니의 일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포기조 내로 반송되지만, 다량의 잉여오니는 지금까지 매립처리, 소각처리 등을 하였다. 그러나 잉여오 니 중에는 유해물질도 포함되어 있고, 그 자체가 여러 가지의 환경오염을 야기하기 때문에 잉여오니를 가능한 한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원하고 있다.
또한 활성오니 처리법은 각 처리공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기 때문에 탈취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비 코스트, 운영 코스트 등이 부담이 된다.
한편 전술한 활성오니 처리법과 조합하여 혐기성(嫌氣性) 내지 통기혐기성(通氣嫌氣性)의 미생물을 사용하는 오니 처리법도 알려져 있지만, 새로운 혐기성 처리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설비의 신설 코스트나 그 운영 코스트의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으로부터 생성오니의 감량화와 악취제거 대책을 목적으로 하여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그 일례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47787호 공보가 제안되어 있다. 이 폐수정화 시스템은 혐기성 및 통기혐기성 미생물을 사용하여 폐수를 미생물처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통혐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포기조의 공기 공급량을 억제하거나 또는 미생물의 생성조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포기조 뒤에 설치하는 침전조의 상등수와 침강오니를 소정의 비율로 포기조로 반송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폐수정화 시스템은 폐수원수의 유입조건, 포기조건 등에 의하여서는 충분한 미생물량을 유지할 수 없어 안정한 정화처리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침전조의 상등수와 침강오니를 소정의 비율로 포기조에 반송하기 때문에 그 제어시스템이 복잡하게 되는 등의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현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제1과제는, 잉여오니를 전혀 발생시키지 않거나 극력 억제하며 또한 무취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는 폐수처리 방법 및 폐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과제는, 항상 필요한 미생물량을 유지함으로써 안정하고 효율적으로 정화처리를 할 수 있는 폐수처리 방법 및 폐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과제는, 잉여오니 처리코스트나 탈취장치의 설치코스트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간단한 시스템 구성에 의하여 저코스트로 실시할 수 있는 폐수처리 방법 및 폐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다양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미생물을 포함하는 폐액을 미생물처리(혐기성 또는 통기혐기성 미생물처리)를 하는 데 있어서, 미생물이 에너지원으로서 사용하는 전자수용체(電子受容體)에 착안하여 그 전자수용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폐수처리 방법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폐수원수(廢水原水)에 미생물의 전자수용체 조정수(電子受容體 調整水)를 혼입하여 용존산소량(溶存酸素量)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曝氣)하고,
계속하여 상기 포기 처리수에 포함되는 오니를 침전시켜 분리처리하고,
계속하여 상기 침전오니를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하며 또한 상등수(上澄水)를 전자수용체 조정수로서 상기 폐수원수에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한정되는 폐수처리 방법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폐수원수에 전자수용체 조정수를 혼입하여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의 처리수를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의 처리수를 침전시켜 분리처리하는 제3공정과,
상기 제3공정의 침전오니를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하며 또한 상등수를 전자수용체 조정수로서 상기 제1공정으로 반송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폐수처리 방법에 의하여 처리되는 폐수는 분뇨폐수, 가축분뇨폐수, 공장폐수 등 모든 생활폐수 또는 산업폐수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포기처리는 포기조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내용물을 교반, 포기하는 보통의 방법으로 충분하고, 공기 공급량을 조절하여 포기조 내의 용존산소량(DO)을 상기한 범위로 유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자수용체 조정수란, 미생물이 에너지원으로 하는 화학물질을 다량 포함하는 액체이고, 구체적으로는 미생물학적으로 생성된 초산염, 유황 화합물, 인산염(燐酸鹽) 등을 다량 포함하는 무기용액이다.
본 발명에서 용존산소량을 실질적으로 1mg/L 이하로 하는 이유는, 미생물에 필요한 최소한의 산소를 공급하며 또한 산소 이외의 전자수용체의 소비를 촉진하여 미생물의 활성증식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1mg/L 이상이 되면 호기성(好氣性) 미생물이 활성증식하여 산소가 주로 작용하는 활성오니 처리법이 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라고 하는 것은, 1mg/L 이상이더라도 본 발명과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미소한 차이의 범위를 포함하는 취지이다. 또 용존산소량은 0이더라도 좋다. 이는 미생물이 공급산소량 이상의 산소를 소비하고 있는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공정에서, 소취 미생물의 전자수용체는 산소가 주로 작용한다. 전술한 낮은 용존산소량 상태에서는, 소취 미생물은 전자수용체 조정수에 포함되는 초산염을 사용하여 시작하고, 그 영역에 들어 오는 산소도 동시에 사용한다.
소취 미생물은, 예를 들면 화학 합성균, 메트파일균(methophils) 등으로서, 암모니아, 황화메틸 등의 악취성분을 전자공급체로서 분해시켜 사용함으로써 악취성분을 제거한다. 제1공정에서 증식한 소취 미생물은 전체공정에서 사용되고, 전체공정에서의 악취 발생을 미생물학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화학 합성균은 초산을 생성하고, 메트파일균은 황화물을 합성한다. 이들은 제2공정 이후에서 사용된다.
제1공정에서는, 소취 미생물 이외에 제2공정에서 사용하는 발효성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하는 유황환원 미생물(시원세균(archaebacterium)을 포함한다)도 증식시키고 있다. 이 유황환원 미생물의 전자수용체는 상기 전자수용체 조정수에 포함되는 황화물이다. 전자수용체 조정수에 포함되는 인산염은 소취 미생물이나 유황환원 미생물의 증식을 더 촉진시키는 데 유효하다.
상기 제2공정에서는, 발효성 미생물에 의하여 제1공정에서 이송된 처리수에 포함되는 유기물의 대부분이 발효하여 소화된다. 발효성 미생물이란, 예를 들면 효모, 바실루스(bacillus), 알칼리게네스(alcaligenes), 클로스트리디움(Clostrium), 수다머너스(Pseudomonas), 유산균 등이다. 이들은 전 자수용체 조정액에 포함되는 초산염을 전자수용체로 하여 탈질소(N2가스의 생성방출) 작용이 이루어진다. 전자공급체는 유기물로서 분자량이 더 작은 유기물로 분해된다. 또한 발효에 의한 휘발성 물질인 악취물질은 상기한 소취 미생물에 의하여 소비된다.
또한 발효성 미생물을 증식시키기 위하여 발효성 미생물이 생성하는 H2, C02 등의 생성물, 특히 H2는 유황 화합물을 전자수용체로 하는 유황환원(硫黃還元) 미생물 등에 의하여 분해되고, 이에 따라 발효성 미생물의 활성증식이 촉진되어 발효성 미생물을 항상 고농도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3공정에서는, 상기 제2공정의 처리수를 소정의 시간동안 가만히 놓아 둠으로써 처리수 중의 오니가 침전하여 상등수와 분리된다. 이 제3공정에서는 발효성 미생물에 의하여 유기물이 소비되고, 포기에 의한 산소공급도 없기 때문에 미생물 환경적으로는 혐기상태에 있어 발효성 미생물의 증식이 멈춘다. 대신에 상기 제1공정 및 제2공정을 거치면서 증가한 유황 화합물을 전자수용체로 하는 유황환원 미생물 등이 증식하고, 이들 미생물에 의하여 오니가 소화되기 때문에 오니량이 적어지게 된다. 또한 유황 화합물을 전자수용체로 하는 인흡수성 미생물이 증식하여 탈인처리가 이루어진다.
제3공정에서 처리된 상등수는 필요하면 살균처리 등을 더 한 후에 하천 등으로 방류된다. 또한 침전오니는 다음의 제4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4공정에서는, 제3공정에서 생성된 침전오니가 저장되어 산소, 유황 화합물 등을 전자수용체로 하는 오니 소화성 미생물이 활성증식된다. 오니 소화성 미생물로서는 메탄 생성균, 유황 환원균, 화학 합성균, 메트파일균 등으로서, 이들이 활성증식함으로써 오니의 소화가 더 진행하여 잉여오니의 감량이 진행된다.
제4공정은 오니 중의 유기물 대부분이 소화된 상태의 무기용액으로서, 발효성 미생물의 활성증식은 거의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무취(無臭)이다. 또한 전술한 오니 소화성 미생물이 오니를 소화함으로써 초산염, 유황 화합물, 인산염 등이 생성되고, 이들 성분이 풍부한 무기용액이 생성된다. 이 제4공정에서 생성되는 상등수는 전자수용체 조정수로서 직접 상기 제1공정으로 반송되거나 또는 일단 전용 저장조에 회수된 후에 필요에 따라 농도가 조정된 것이 소정량 제1공정으로 반송된다. 이하, 상기한 사이클에 의하여 폐액이 정화처리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폐액처리 방법을 유효하게 실시하는 폐액처리 장치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폐수원수를 저장하며 또한 미생물의 전자수용체 조정수를 혼입하여 용존산소량을 실질적으로 1mg/L 이하로 하여 포기하는 제1포기조와,
상기 제1포기조의 처리수를 침전처리하는 침전조(沈澱槽)와,
상기 침전조의 침전오니를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 건에서 포기하는 제2포기조와,
상기 제2포기조에서 생성된 상등수를 전자수용체 조정수로서 상기 제1포기조로 반송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액처리 장치는,
폐수원수를 저장하고 그 폐수원수를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하는 유입조(流入槽)와,
상기 유입조의 처리수를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하는 반응조(反應槽)와,
상기 반응조의 처리수를 침전처리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침전오니를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하는 오니 소화조(汚泥 消化槽)와,
상기 오니 소화조에서 생성된 상등수를 전자수용체 조정수로서 저장하고 소정량의 전자수용체 조정수를 상기 유입조에 혼입하기 위한 전자수용체 조정수 저장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자수용체 조정수 저장조는 상기 배수원수 유입조의 전방에 설치하여도 좋고, 상기 오니 소화조의 후방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용존산소량을 전술한 범위로 유지하기 위하여 각 조에 용존산소량 측정수단을 설치하고, 각 조에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의 공기공급량을 이 용존산소량 측정수단에서 출력되는 정보에 따라 소정의 용존산소량이 되도록 제어한다.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1은 전자수용체 조정수 저장조, 2는 폐수원수(廢水原水) 유입조, 3은 반응조, 4는 침전조, 5는 오니 소화조(汚泥 消化槽)이다.
전자수용체 조정수 저장조1에는 오니 소화조5로부터 반송되는 전자수용체 조정수11이 저장되어 있다. 전자수용체 조정수11은 초산염, 유황화합물, 인산염을 다량 함유하는 무기용액으로서, 필요에 따라 적당한 농도로 묽게 하여 사용한다. 오니처리장치의 기동시에는 별도의 오니처리장치에서 생성되는 전자수용체 조정수11이 투입된다.
폐수원수 유입조2에는 처리하여야 하는 폐수원수10이 유입되어 스크리닝(screening) 처리 등의 전처리가 이루어지며 또한 폐수원수10을 일단 저장함으로써 시시 각각 변화되는 폐수원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입조2에는 상기 전자수용체 조정수 저장조1로부터 소정량의 전자수용체 조정수11이 혼입되어 용존산소량이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曝氣) 처리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하고, 또한 전자수용체 조정수11에 포함되는 초산염 등을 소비하면서 소취(消臭) 미생물이 증식하게 된다.
폐수원수 유입조2의 처리수는 반응조3으로 이송되어 폐수원수 유입조2와 마찬가지로 용존산소량이 1mg/L 이하의 조건에서 소정의 시간(수일)동안 포기 처리된다. 반응조3에서는, 초산염을 전자수용체로 하여 발효성 미생물이 처리수 중의 유기물의 대부분을 발효시켜 소화하여 질소를 생성하여 방출한다(탈질(脫窒)). 또한 발효성 미생물의 생성물, 특히 H2는 메트파일균, 시원세균, 유황 환원균 등에 의하여 소비되어 발효성 미생물의 증식과 이에 따르는 유기물의 소화가 촉진된다. 또 발효성 미생물에 의하여 생성되는 악취성분은 유입조2에서 증식되어 이송된 소취 미생물에 의하여 소비된다.
이러한 미생물의 생태 사이클에 의하여 처리액 중 대량의 유기물이 분해, 소비되어 반응조3의 미생물량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반응조3의 처리수는 계속하여 침전조4로 이송되어, 소정의 시간(수일)동안 처리수를 가만히 놓아 둠으로써 처리수에 포함된 오니를 침전시켜서 상등수와 분리한다. 침전조4에서는 유기물은 무기화되고, 또한 미생물의 전자수용체가 되는 산소나 초산염이 부족하여 혐기(嫌氣) 상태가 되어 발효성 미생물의 활성증식이 멈춘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침전조4에서는 유입조2 및 반응조3을 거치면서 황산이 증가되어 이를 전자수용체로 하는 유황 환원성 미생물이 활성증식하고, 이들이 침전오니를 소화하기 때문에 오니의 용량이 작아지게 된다. 또한 인흡수 미생물이 활성증식하여 인을 소비하므로(탈인(脫燐)) 상등수의 인성분이 적어지 게 된다.
침전조4에 있어서의 침전오니의 일부는 필요에 따라 반응조3으로 반송되어 반응조3의 미생물 농도를 조정하는 데 제공되고, 나머지 침전오니는 다음의 오니 소화조5로 이송된다. 또한 상등수는 필요에 따라 살균처리된 후에 방류(放流)12 된다.
오니 소화조5에서는 침전조4에서 이송되는 잉여오니를 용존산소량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 처리함으로써, 산소, 유황 화합물을 전자수용체로 하여 오니 소화성 미생물을 활성화시켜서 잉여오니를 소화시켜 감량한다. 이 오니 소화조5에서는 초산염, 유황 화합물, 인산염 등을 포함하는 전자수용체 조정수11이 생성되고, 이 전자수용체 조정수11이 상기 전자수용체 조정수 저장조1로 이송된다.
상기한 폐수처리 장치에서는 폐수원수 유입조2와 반응조3이 따로 따로 설치되어 있지만, 폐수원수의 유량이 일정하면 유입조2를 생략하여 반응조3에 유입조2의 기능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전자수용체 조정수 저장조1은 폐수원수 유입조2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지만, 오니 소화조5의 후방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필요하다면 전자수용체 조정수 저장조1의 하층에 침전한 소량의 잔존오니를 오니 소화조5로 반송하여 재소화 처리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유입조2에서의 BOD는 10000mg/L 이상이더라도 처리할 수 있고, BOD 200mg/L 정도의 일반적인 폐수라도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표1에 나타낸다. 표1은 본 발명에 의한 폐수 처리전과 처리후의 환경 측정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유입조2에 투입되는 폐수원수와 침전조4에서의 방류수(상등수)의 측정치를 비교하고 있다.
(표1)
Figure 112001032611143-pat00001
위의 표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처리수는 하천에 방류 가능한 기준치를 만족하고 있다. 또한 전체 처리공정에서 거의 무취(無臭)이고, 잉여오니도 종래와 비교하여 대폭 경감시킬 수 있었다. 또한 MLSS를 언제나 5600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종래에는 정화처리를 거의 필요로 하지 않는 시기에 포기조의 미생물이 감소).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미생물의 전자수용체를 조정하여 각 처리공정에서 필요한 미생물의 활성증식을 도모함으로써, 폐수를 환경기준치 이하까지 정화시키며 또한 잉여오니를 전혀 발생시키지 않거나 극력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전체 처리공정을 무취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오니의 처리코스트나 탈취장치 등의 설비코스트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처리공정 특히 반응조에서의 미생물량을 안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BOD 농도가 낮은 폐수이더라도 안정하고 효율적으로 정화처리를 할 수 있다.

Claims (9)

  1. 유기물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폐수원수(廢水原水)에 미생물의 전자수용체 조정수(電子受容體 調整水)를 혼입하여 용존산소량(溶存酸素量)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曝氣)하고,
    계속하여 상기 포기 처리수에 포함되는 오니를 침전시켜 분리처리하고,
    계속하여 상기 침전오니를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하며 또한 상등수(上澄水)를 전자수용체 조정수로서 상기 폐수원수에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 방법.
  2. 유기물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폐수원수에 전자수용체 조정수를 혼입하여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하는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의 처리수를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하는 제2공정과,
    상기 제2공정의 처리수를 침전시켜 분리처리하는 제3공정과,
    상기 제3공정의 침전오니를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하며 또한 상등수를 전자수용체 조정수로서 상기 제1공정으로 반송(返送)하는 제4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수용체 조정수는 미생물 처리에 의하여 생성되는 초산염, 유황 화합물을 포함하는 무기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수용체 조정수는 인산염(燐酸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에서 산출된 전자수용체 조정수를 저장조로 회수한 후에 그 저장조로부터 필요한 양의 전자수용체 조정수를 상기 제1공정에 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 방법.
  6. 유기물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폐수원수를 저장하며 또한 미생물의 전자수용체 조정수를 혼입하여 용존산소량을 실질적으로 1mg/L 이하로 하여 포기하는 제1포기조와,
    상기 제1포기조의 처리수를 침전처리하는 침전조(沈澱槽)와,
    상기 침전조의 침전오니를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하는 제2포기조와,
    상기 제2포기조에서 생성된 상등수를 전자수용체 조정수로서 상기 제1포기조로 반송하는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 장치.
  7. 유기물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폐수원수를 저장하고 그 폐수원수를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하는 유입조(流入槽)와,
    상기 유입조의 처리수를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하는 반응조(反應槽)와,
    상기 반응조의 처리수를 침전처리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침전오니를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1mg/L 이하의 조건에서 포기하는 오니 소화조(汚泥 消化槽)와,
    상기 오니 소화조에서 생성된 상등수를 전자수용체 조정수로서 저장하고 소정량의 전자수용체 조정수를 상기 유입조에 혼입하기 위한 전자수용체 조정수 저장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수용체 조정수 저장조를 상기 유입조의 전방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수용체 조정수 저장조를 상기 오니 소화조의 후방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 장치.
KR20010078031A 2001-06-11 2001-12-11 폐수처리 방법 및 폐수처리 장치 KR100763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75094 2001-06-11
JP2001175094A JP3667254B2 (ja) 2001-06-11 2001-06-11 廃水処理方法及び廃水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006A KR20020095006A (ko) 2002-12-20
KR100763640B1 true KR100763640B1 (ko) 2007-10-05

Family

ID=1901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78031A KR100763640B1 (ko) 2001-06-11 2001-12-11 폐수처리 방법 및 폐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67254B2 (ko)
KR (1) KR1007636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618A (ja) * 2003-02-21 2004-09-09 Hoomaa Clean Kk 有機物処理真菌共生菌群及びその用途
JP4841850B2 (ja) * 2005-03-01 2011-12-21 住重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有機性排水処理方法及び有機性排水処理装置
JP4865294B2 (ja) * 2005-10-25 2012-02-01 クラリス環境株式会社 有機性廃棄物の分解処理方法
JP2007275846A (ja) * 2006-04-11 2007-10-25 Sumitomo Heavy Industries Environment Co Ltd 廃水処理装置及び廃水処理方法
JP2007326016A (ja) * 2006-06-07 2007-12-20 Yusei Kenkyu Kikinkai 生物学的廃水処理方法
JP2011020050A (ja) * 2009-07-15 2011-02-03 Kurarisu Kankyo Kk 廃水処理方法及び装置
JP5297304B2 (ja) * 2009-08-27 2013-09-25 クラリス環境株式会社 廃水処理方法
JP5783399B2 (ja) * 2010-08-16 2015-09-24 多美子 定家 液肥の製造方法
JP7337560B2 (ja) * 2019-06-25 2023-09-04 多美子 定家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2377A (ja) * 1992-12-24 1994-07-05 Ngk Insulators Ltd 下水の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2377A (ja) * 1992-12-24 1994-07-05 Ngk Insulators Ltd 下水の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67254B2 (ja) 2005-07-06
KR20020095006A (ko) 2002-12-20
JP2002361279A (ja) 2002-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7597B1 (ko) 토양미생물을 이용한 하폐수의 무취 고도처리 방법
AU2008244181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processing waste water containing sulphides and ammonium
US11325853B2 (en) Sewage treatment system
JP4317964B2 (ja) 腐植物質を用いた廃水処理システム
JP4017657B1 (ja) 有機物含有排水の処理方法
KR100763640B1 (ko) 폐수처리 방법 및 폐수처리 장치
WO2005019121A1 (ja) 有機性廃水の処理方法とその装置
JP4729718B2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
TWI403467B (zh) 含有有機硫化合物之排水之處理裝置
KR100229237B1 (ko) 분뇨의 고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JPH10323685A (ja) 生物防臭脱臭方法及び余剰汚泥消化減量方法
KR100403864B1 (ko) 유기물의 부식화에 의한 폐수의 처리방법
KR20100046936A (ko) 복합탈질시스템
JP2004188281A (ja) 廃水処理方法及び廃水処理装置
KR100983829B1 (ko) 메탄발효조를 이용하는 유기물의 부식화에 의한 폐수의처리방법
JP2023077601A (ja) メタン発酵消化液の処理方法及びメタン発酵消化液の処理システム
US785085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 of waste treatment processes
JP4490659B2 (ja) 下水処理システム
JPH0810792A (ja) 厨芥含有汚水処理装置
KR102607197B1 (ko) 상향류 복합 생물 반응조를 이용한 고농도의 매립장 침출수, 축산폐수, 분뇨,음폐수,산업폐수및저농도의 하폐수처리시스템
JP3271322B2 (ja) ジメチルスルホキシドを含む排水の処理法
JP3271326B2 (ja) 生物脱リン方法および装置
KR20020089085A (ko) 하폐수의 질소 및 인 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H0768285A (ja) 有機性排液の好気性処理方法
JP3392295B2 (ja) 有機性汚水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4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12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7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9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