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8647B1 -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647B1
KR100748647B1 KR1020010036556A KR20010036556A KR100748647B1 KR 100748647 B1 KR100748647 B1 KR 100748647B1 KR 1020010036556 A KR1020010036556 A KR 1020010036556A KR 20010036556 A KR20010036556 A KR 20010036556A KR 100748647 B1 KR100748647 B1 KR 100748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pm
fuel ratio
air
engine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0531A (ko
Inventor
한영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647B1/ko
Publication of KR20030000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6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Ignition Timing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공연비 및 점화 제어로 배기규제를 만족하면서도 출력 저하를 방지하여 가속감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스로틀 개도각이 일정값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조건을 만족한 상태에서 엔진 rpm이 일정값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는 스로틀 개도량의 변위 회수를 카운트 하여 1회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스로틀 개도 변위 시간을 누적하여 일정시간 이상이면, WOT 적용으로 출력 공연비로 연료 및 흡기 제어가 이루어지고, 점화시기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조건을 만족한 상태에서 엔진 rpm이 기준값이 이하이거나 다른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WOT 적용으로 출력 공연비로 연료 및 흡기 제어가 이루어지고, 점화시기 진각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스로틀 개도. 점화진각. 출력 공연비

Description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 {METHOD OF CONTROLLING AIR FUEL RATIO AND IGNITION FOR AN ENGINE IN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방법의 작동 흐름도.
도 3은 종래 작동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에 있어서, 공연비 및 점화 제어로 배기규제를 만족하면서도 출력 저하를 방지하여 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엔진은, 차량의 주행상태 및 주행조건에 따라 분사되는 연료량 및 흡기량과, 점화시기 등에 의하여 제어되며, 이런 제어과정은 운전조건에 따라 각 센서들로부터 검출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엔진 제어를 위한 전자제어유닛 (ECU)에 미리 입력되어진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소정의 로직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제어를 위한 엔진 제어 시스템은 엔진을 포함하는 차량의 적소에 배치된 각각의 센서들로부터 현재의 차량 운행 조건이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되어 전자제어유닛(ECU, 이하 ECU로 칭함)으로 전달되면 ECU에서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어로직에 따라 제어 구동부를 제어하여 현재 엔진 운전상태가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제어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예로서, 본 발명에 관계하여 스로틀 개도와 엔진 RPM에 따른 엔진 제어과정을 살펴보면, 도 3에서와 같이,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S300) 스로틀 개도각이 기준값 이상인가를 판단하게 된다(S310).
상기에서 기준값은 대략 60%로 설정되며, 상기 S310 단계에서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양측으로 분기되어 엔진 RPM이 기준값 이내인가를 판단하게 되는데 (S320)(S330), 상기 S320 단계에서는 엔진 RPM이 3320RPM 이상이고 4200RPM 이하인가를 판단하고, S330 단계에서는 엔진 RPM이 3320RPM 이하 또는 4200RPM 이상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에서의 엔진 RPM은 수동 변속기(MT)일 경우의 예이고, 자동 변속기(AT)인 경우에는 S320 단계에서 엔진 RPM이 3320RPM 이상이고 5360RPM 이하인가를 판단하고, S330 단계에서는 엔진 RPM이 3320RPM 이하 또는 5360RPM 이상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S320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이론 공연비로 제어만 이루어질 뿐 WOT(Wide Open Throttle, 이하 WOT로 칭함)판정은 실시하지 않게 된다 (S340).
또한, 상기 S330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WOT 판정을 실시하여(S350) 출력 공연비(A/F Enrichment)로 연료를 증가시키고, 점화시기 지각이 이루어지게 된다(S360).
상기에서 S340 단계에서는 WOT판정은 하지 않는다는 것은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에 관계없이 이론 공연비로만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는 바, 가속시 출력 저하를 야기시키게 된다.
그리고 S350 단계에서는 WOT 판정을 실시함으로써, 스로틀 개도와 엔진 RPM에 따른 연료 증량이 이루어지게 되는 출력이 향상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S340 단계에서 배기가스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WOT 판정을 금지하고 있는 바, 출력 저하를 초래함은 물론 가속을 위하여 가속페달을 밟더라도 출력 공연비가 출력되지 않음으로써, 수동 변속기 차량은 물론 자동 변속기 차량에 있어서도 가속감 및 출력 부족을 야기시킨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연비 및 점화 제어로 배기규제를 만족하면서도 출력 저하를 방지하여 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제어방법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스로틀 개도각이 일정값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조건을 만족한 상태에서 엔진 rpm이 일정값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는 스로틀 개도량의 변위 회수를 카운트 하여 1회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스로틀 개도 변위 시간을 누적하여 일정시간 이상이면, WOT 적용으로 출력 공연비로 연료 및 흡기 제어가 이루어지고, 점화시기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조건을 만족한 상태에서 엔진 rpm이 기준값이 이하이거나 다른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WOT 적용으로 출력 공연비로 연료 및 흡기 제어가 이루어지고, 점화시기 지각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제어계통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제어계통은 엔진 및 차량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미리 입력되어진 데이터와 비교하여 출력하는 전자제어유닛(ECU)과,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감지수단으로는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rpm 센서(2)와,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센서(4)와, 스로틀 포지션 센서(6)로 이루어지는데, 이의 감지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운용하는데 최소한으로 필요한 감지수단의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전자제어유닛 (ECU)에서는 구동수단으로 엔진 출력에 관계되는 연료계통(8)과 흡기계통(10), 그리고 점화계통(10)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어계통을 제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도 2에서와 같이,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S100) 스로틀 개도각이 기준값 이상인가를 판단하게 된다(S110).
상기에서 스로틀 개도의 기준값은 대략 60%로 설정되며, 상기 S110 단계에서 스로틀 개도가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양측으로 분기되어 엔진 RPM이 기준값 이내인가를 판단하게 되는데(S120)(S130), 상기 S120 단계에서는 엔진 RPM이 3320RPM 이상이고 4200RPM 이하인가를 판단하고, S130 단계에서는 엔진 RPM이 3320RPM 이하 또는 4200RPM 이상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에서의 엔진 RPM은 수동 변속기(MT)일 경우의 예이고, 자동 변속기(AT)인 경우에는 S120 단계에서 엔진 RPM이 3320RPM 이상이고 5360RPM 이하인가를 판단하고, S330 단계에서는 엔진 RPM이 3320RPM 이하 또는 5360RPM 이상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S120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스로틀 개도량의 변위 회수를 카운트하여(S140) 1회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스로틀 개도 변위 시간을 누적하여 일정시간 이상인가를 판단하게 된다(S150).
상기에서 스로틀 개도 변위 시간 누적이라고 함은 스로틀 개도각이 60% 이상인 상태에서 운전자가 더욱 가속을 하기 위하여 가속페달을 밟음에 따른 시간을 누적 계산하는 것이며, 이의 기준값을 25초로 설정하였다.
이의 기준값은 적어도 25초 이상일 때 운전자가 가속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다라고 판단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S140 단계에서 스로틀 개도량 변위 회수를 카운트하는 것은 배기가스 규제의 만족을 위하여 피이드 백이 이루어짐으로써, 가속 페달의 변위에 따라 엔진 출력이 일정시간 동안 서서히 상승하여 급상승으로 인한 배기가스 배출을 억제하기 위함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S150 단계에서 조건이 만족되거나 상기 S130 단계에서 조건을 만족하면, WOT(Wide Open Throttle)판정을 실시하여(S160) 출력 공연비(A/F Enrichment)로 연료를 증가시키고, 점화시기 지각이 이루어지게 된다(S170).
이에따라 차량은 연료계통(8)을 통한 연료 증량과 흡기계통(10)에 의한 흡기의 제어로 출력 공연비가 이루어지고, 점화계통(12)에 의한 점화시기 지각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출력증가와 가속감을 증대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료계통(8) 및 흡기계통(10)과 점화계통(12)의 제어경로는 종래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구성 및 제어방법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 흐름은 시동 정지후 다시 시동이 이루어질 때마다 적용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로틀이 기준값 이상인 상태에서 엔진 회전수가 일정 범위내에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가속을 위하여 가속페달을 밟는 경우, 초기 상태에서는 피이드 백 제어로 배기가스의 배출을 규제한 후, 출력 증강이 이루어짐으로써, 가속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스로틀 개도각이 일정값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조건을 만족한 상태에서 엔진 rpm이 일정값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는 스로틀 개도량의 변위 회수를 카운트 하여 1회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스로틀 개도 변위 시간을 누적하여 일정시간 이상이면, WOT 적용으로 출력 공연비로 연료 및 흡기 제어가 이루어지고, 점화시기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조건을 만족한 상태에서 엔진 rpm이 기준값 이하이거나 다른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WOT 적용으로 출력 공연비로 연료 및 흡기 제어가 이루어지고, 점화시기 지각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계에서의 스로틀 개도량의 기준값은 60%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2단계에서의 엔진 rpm의 기준값은 수동 변속기의 경우 3320RPM 이상 4200RPM 이하이고, 자동 변속기인 경우 3320RPM 이상 5360RPM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3 단계에 있어서의 엔진 rpm의 기준값은 수동변속기의 경우 3320RPM 이하 또는 4200RPM 이상이고, 자동 변속기의 경우 3320RPM 이하 또는 5360RPM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2 단계에서 스로틀 개도량의 변위 회수가 1회 이내의 경우에는 피이드 백 제어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2 단계에 있어서, 누적시간의 기준값은 25초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
KR1020010036556A 2001-06-26 2001-06-26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48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556A KR100748647B1 (ko) 2001-06-26 2001-06-26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556A KR100748647B1 (ko) 2001-06-26 2001-06-26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531A KR20030000531A (ko) 2003-01-06
KR100748647B1 true KR100748647B1 (ko) 2007-08-10

Family

ID=2771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55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8647B1 (ko) 2001-06-26 2001-06-26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387B1 (ko) 2009-10-01 2012-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기통별 공연비 제어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748B1 (ko) * 2004-10-12 2007-04-10 백태선 수평계 기능을 갖는 퍼터용렌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4633A (ja) * 1982-02-23 1983-08-29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電子制御燃料噴射方法
JPS6388277A (ja) * 1986-10-02 1988-04-19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点火時期制御装置
JPH02149768A (ja) * 1988-11-30 1990-06-08 Suzuki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KR19990020574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연료 피이드 백 제어 방법
KR19990025462A (ko) * 1997-09-12 1999-04-06 정몽규 자동차의 배기 가스 저감 방법
KR19990058599A (ko) * 1997-12-30 1999-07-15 손경식 이중 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4633A (ja) * 1982-02-23 1983-08-29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電子制御燃料噴射方法
JPS6388277A (ja) * 1986-10-02 1988-04-19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点火時期制御装置
JPH02149768A (ja) * 1988-11-30 1990-06-08 Suzuki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KR19990020574A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연료 피이드 백 제어 방법
KR19990025462A (ko) * 1997-09-12 1999-04-06 정몽규 자동차의 배기 가스 저감 방법
KR19990058599A (ko) * 1997-12-30 1999-07-15 손경식 이중 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387B1 (ko) 2009-10-01 2012-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기통별 공연비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531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2996B2 (ja) エンジンの出力制御装置
US20070068489A1 (en) Control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40000340B1 (ko) 차량 탑재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US6497637B2 (en) Vehicular constant-spee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speed
US691520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of a vehicle
KR100748647B1 (ko)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
JP3403420B2 (ja) 自動車の制御装置
US7413526B2 (en) Automatic shifting-operation control system
KR100774311B1 (ko) 자동차의 고지 연료 제어방법
KR100427293B1 (ko) 디젤 엔진의 연료 제어방법
US6932741B2 (en) Engine control device
KR100373032B1 (ko) 수동 변속 차량의 엔진 회전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54023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연비 제어방법
KR100373046B1 (ko) 무단 변속기 차량 엔진의 연료 차단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0394677B1 (ko) 자동차 엔진의 점화 제어방법
KR100428188B1 (ko)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노이즈 유입시 엔진 제어 방법
US6878098B2 (en) Selective governor usage for an engine
KR20030036679A (ko) 구동 유닛의 작동 변수 조절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456875B1 (ko) 차량용 전자 스로틀 개도 보정 제어 방법
KR100428140B1 (ko)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 제어 방법
KR100405533B1 (ko) 자동차의 시동꺼짐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07778B1 (ko) 자동차의 자동 변속기와 엔진 일체형 제어방법
JPH03141839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KR100394688B1 (ko) 자동 변속기의 엔진 토크 제어방법
KR100270537B1 (ko) 아이들 밸브의 오동작 검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6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6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