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128B1 -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 Google Patents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6128B1 KR100746128B1 KR1020060084473A KR20060084473A KR100746128B1 KR 100746128 B1 KR100746128 B1 KR 100746128B1 KR 1020060084473 A KR1020060084473 A KR 1020060084473A KR 20060084473 A KR20060084473 A KR 20060084473A KR 100746128 B1 KR100746128 B1 KR 1007461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canine
- vegetation
- canine block
-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41000282465 Cani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3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9 suppor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5)
- 상하좌우로 순차 조적되어 토사를 지지하는 견치블록에 있어서,견치블록(10) 전면부(11)의 상부 후방으로 식생 가능한 일정 깊이의 홈에 좌우측면과 상부가 개방된 식생부(13)가 형성되고;상기 식생부(13) 후방으로는 상부돌출부(14´)와, 좌우측면과 상부가 개방된 상부삽입홈(14)이 서로 순차로 상향 돌출되어 다수개 형성되며;상기 견치블록(10) 전면부(11)의 하부 후방으로 각 상부삽입홈(14)과 동일한 갯수와 간격으로 하향 돌출된 하부삽입부(15)와, 이에 의해 하부삽입부(15) 사이로 좌우측면과 하부가 개방된 하부끼움홈(15´)이 형성되고;상기 하부끼움홈(15´)과 식생부(13)를 일부 관통하는 연결홈(16)과;상기 식생부(13)에서 후면부(12)로 일부 관통되는 장홈의 관통홈(17)이 형성됨으로써,하부에 형성된 견치블록(10)의 상부삽입홈(14)과 상부돌출부(14´)에 상부에 적층될 견치블록(10)의 하부삽입부(15)와 하부끼움홈(15´)을 각각 삽입해 축조하여, 경사를 가지는 토사의 붕괴를 막고, 식생공간을 가지는 견치블록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견치블록(10)의 후면부(12)는,전면부(11)와 후면부(12) 사이의 길이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짧아지는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견치블록(10)이 토사(1)에 지지되는 부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견치블록(10)은,전면부(11)에서 후면부(12)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모양의 횡단면을 가짐으로써,직선모양의 지형뿐만 아니라 굴곡을 가지는 지형에도 시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 상부로 식생부가 형성되고, 상기 식생부 후방으로 다수개의 상부삽입홈과 상기 상부삽입홈 전후방향으로 상부돌출부가 형성되며, 하부로는 상부삽입홈과 동일한 갯수와 간격으로 돌출된 하부삽입부와 상기 하부삽입부 사이로 하부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끼움홈과 식생부를 일부 관통하는 연결홈이 형성되며, 식생부와 후면부를 일부 관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된 견치블록에 있어서,견치블록(10) 설치 지점에 기초터파기를 하고, 후면부(12)에 토사(1)를 채울 공간을 확보한 후 바닥부분에 일정높이의 기초콘크리트(2)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지반정리 및 기초콘크리트 타설단계(S1);최하단에 설치될 견치블록(10)을 선형과 높이가 일치하도록 최하단의 견치블록(10)을 설치한 후 상기 견치블록(10)이 적어도 반이 매입되도록 다시 기초콘크리트(2)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최하단 블록 설치단계(S2);상기 견치블록(10)의 후면부(12)에 토사(1)를 채운 후 다지는 토사 채움 및 다짐단계(S3);상기 견치블록(10)의 상부삽입홈(14)과 상부돌출부(14´)에 상단에 적층될 견치블록(10)의 하부삽입부(15)과 하부끼움홈(15´)을 삽입하여, 상단의 견치블록(10)의 전면부(11)하부와 하부끼움홈(15´)이 하단의 견치블록(10)의 상부돌출부(14´)에 의해 지지되도록 견치블록(10)을 다단으로 적층하는 블록 다단설치단계(S4);상기 상부에 적층된 견치블록(10)의 식생부(13) 바닥에 모르타르(3)를 타설함으로써, 연결홈(16)을 따라 하단에 적층된 견치블록(10)의 상부삽입홈(14)에 모르타르(3)가 함께 타설되어, 좌우로 이웃하는 견치블록(10)과 상하로 적층된 견치블록(10)을 함께 일체로 형성하는 식생부 모르타르 타설단계(S6);상기 적층된 견치블록(10)에 토사 채움 및 다짐단계(S3)에서 식생부 모르타르 타설단계(S6)까지 반복 실행하여 원하는 높이까지 견치블록(10)을 적층하는 반복수행단계(S7);원하는 높이까지 적층이 완료된 견치블록(10)의 상부를 토사(1) 또는 기타 마감블록으로 마무리하고 식생부(13)에 토사(1)를 채워 식물을 식생하는 블록상부 마무리 및 식생부 채움단계(S8)로 이루어져,식생부(13)의 공간만큼 뒤로 물러서는 계단식으로 적층되어 경사를 가지고, 식물의 식생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며, 기초콘크리트(2)와 각 견치블록(10)이 일체로 시공되어 견고하면서도 안전해 옹벽, 축대, 제방 등을 설치하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 축조방법.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견치블록(10)이 설치되는 높이가 4미터 이상인 경우,상기 블록 다단설치단계(S4) 다음으로는,양 끝단부가 구부러진 지지봉(21)의 일측은 견치블록(10)의 관통홈(17)을 통해 식생부(13) 하단으로 삽입하여 걸고, 타측은 블록형태의 지지용블록(20)에 삽입하여 거는 지지용블록 연결단계(S5)를 더 포함함으로써,4미터 이상의 높이로 견치블록(10)을 설치할 때, 각 견치블록(10)을 지지용블록(20)으로 지지하여, 견치블록(10) 전체의 지지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 축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4473A KR100746128B1 (ko) | 2006-09-04 | 2006-09-04 |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4473A KR100746128B1 (ko) | 2006-09-04 | 2006-09-04 |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1373A KR20060101373A (ko) | 2006-09-22 |
KR100746128B1 true KR100746128B1 (ko) | 2007-08-03 |
Family
ID=37632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447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6128B1 (ko) | 2006-09-04 | 2006-09-04 |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612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3539B1 (ko) | 2010-10-25 | 2012-09-24 | 임철식 | 친환경 생태옹벽블록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2658B1 (ko) * | 2007-01-15 | 2007-07-25 | 주식회사 강산산업 | 식생옹벽블록과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10326A (ja) * | 1996-05-22 | 1997-12-02 | Kyowa Concrete Kogyo Kk | 多自然型積みブロック |
KR100401333B1 (en) | 2003-05-24 | 2003-10-10 | Sangwon Dev Co Ltd | Vegetation block for constructing green retaining wall |
KR200389250Y1 (ko) | 2005-04-13 | 2005-07-07 | 곽윤형 | 붕괴방지용 사면보호 중량블록체 |
KR200405616Y1 (ko) | 2005-10-05 | 2006-01-10 | 일호산업개발주식회사 | 생태 축조블럭 |
-
2006
- 2006-09-04 KR KR1020060084473A patent/KR10074612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10326A (ja) * | 1996-05-22 | 1997-12-02 | Kyowa Concrete Kogyo Kk | 多自然型積みブロック |
KR100401333B1 (en) | 2003-05-24 | 2003-10-10 | Sangwon Dev Co Ltd | Vegetation block for constructing green retaining wall |
KR200389250Y1 (ko) | 2005-04-13 | 2005-07-07 | 곽윤형 | 붕괴방지용 사면보호 중량블록체 |
KR200405616Y1 (ko) | 2005-10-05 | 2006-01-10 | 일호산업개발주식회사 | 생태 축조블럭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3539B1 (ko) | 2010-10-25 | 2012-09-24 | 임철식 | 친환경 생태옹벽블록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1373A (ko) | 2006-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10104786U (zh) | 一种可绿化的路肩挡土构件 | |
KR100654936B1 (ko) | 옹벽 블록 시공 방법 | |
KR100746128B1 (ko) |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 |
KR100402843B1 (ko) | 블록식 녹화 옹벽 | |
KR101334749B1 (ko) |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
KR100536620B1 (ko) | 어소 및 옹벽용 블록 | |
KR200345937Y1 (ko) |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 |
KR100393515B1 (ko) | 블록식 녹화 옹벽 | |
KR100536304B1 (ko) |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 |
KR100644795B1 (ko) | 조립 패널 옹벽 | |
KR100923315B1 (ko) | 식생 및 어소 옹벽. | |
KR200235107Y1 (ko) | 블록식 녹화 옹벽 | |
KR100601126B1 (ko) |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 |
KR200345934Y1 (ko) |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 |
KR200381308Y1 (ko) |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 |
KR200235108Y1 (ko) | 블록식 녹화 옹벽 | |
JP2001123467A (ja) | 環境共生型緑化用擁壁ブロック | |
KR101089356B1 (ko) | 옹벽용 보강토 블럭 및 설치방법 | |
JP3774459B2 (ja) | 組立柵工 | |
KR100607605B1 (ko) |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 |
KR101129494B1 (ko) | 식생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시공방법 | |
KR200275387Y1 (ko) | 식생옹벽 구조체 | |
KR100897420B1 (ko) | 옹벽설치용 기초 블록 | |
KR100669031B1 (ko) | 식생블록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법면 시공방법 | |
KR20080070630A (ko) | 옹벽 블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7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