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5332B1 - 유기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332B1
KR100745332B1 KR1020050090738A KR20050090738A KR100745332B1 KR 100745332 B1 KR100745332 B1 KR 100745332B1 KR 1020050090738 A KR1020050090738 A KR 1020050090738A KR 20050090738 A KR20050090738 A KR 20050090738A KR 100745332 B1 KR100745332 B1 KR 100745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organic
stepped portion
pixel defin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5857A (ko
Inventor
노석원
김무현
성진욱
김선호
송명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0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332B1/ko
Priority to JP2006031007A priority patent/JP4422111B2/ja
Priority to US11/526,664 priority patent/US7667392B2/en
Priority to EP06255001A priority patent/EP1770800A3/en
Priority to CN2006101393840A priority patent/CN1941400B/zh
Publication of KR20070035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3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8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non-liquid printing techniques, e.g. thermal transfer printing from a donor shee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40Thermal treatment, e.g. annealing in the presence of a solvent vapour
    • H10K71/421Thermal treatment, e.g. annealing in the presence of a solvent vapour using coherent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ann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전사법을 이용하여 유기막층을 형성할 때, 유기막층과 화소정의막 사이에 갇히게 되는 기체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도록 한 유기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된 평탄화층; 상기 평탄화층의 일영역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 주변의 일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가 형성된 화소정의막; 및 상기 화소정의막의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단차부 상의 일영역에 형성되는 유기막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유기막층과 화소정의막 사이의 접착력이 향상됨으로써, 유기막층이 형성될 유기 발광다이오드 기판으로의 전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레이저 전사법, 단차부

Description

유기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픽셀부(pixel)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레이저 전사법에 따른 전사모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픽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픽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선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픽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D-D´선에 따른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3, 6, 8 : 픽셀부 100, 300, 600, 800 : 화소정의막
101, 301, 601, 801 : 유기막층 303, 603, 803 : 단차부
515 : 돌출부
본 발명은 유기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저 전사법을 이용하여 유기막층을 형성할 때, 유기막층과 화소정의막 사이에 갇히게 되는 기체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유기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다이오드는 절연기판 상에 하부전극인 애노드전극이 형성되고, 애노드전극 상에 유기박막층이 형성되며, 유기박막층 상에 상부전극인 캐소드전극이 형성된다. 유기박막층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정공억제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유기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증착법과 리소그라피법이 있다. 증착법은 새도우 마스크를 이용하여 유기발광물질을 진공증착하여 유기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마스크의 변형 등에 의해 고정세의 미세패턴을 형성하기 어렵고, 대면적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어렵다. 리소그라피법은 유기발광물질을 증착한 다음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해 패터닝하여 유기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고정세의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액 또는 유기발광물질의 식각액 등에 의해 유기막층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증착법과 리소그라피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직접 유기막층을 패터닝하는 잉크젯 방식이 제안되었다. 잉크젯 방식은 발광재료를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토출액으로써 잉크젯 프린트 장치의 헤드로부터 토출시켜 유기막층을 형 성하는 방법이다. 잉크젯 방식은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지만, 수율저하나 막두께의 불균일성이 발생되고, 대면적의 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레이저 전사법을 이용하여 유기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건식식각 공정이기 때문에 전사층의 용해성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언더레이어와 같은 유기 가공성 정공 전사층을 도입하여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레이저 전사법은 광원에서 나온 빛을 열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열에너지에 의해 이미지 형성물질을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기판으로 전사시켜 R, G, B 유기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레이저 전사법은 레이저로 유도된 이미징 프로세스로 고해상도의 패턴 형성, 필름 두께의 균일성, 멀티레이어 적층 능력, 대형 마더글래스로의 확장성과 같은 고유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레이저 전사법은 액정표시소자용 컬러필터 제조에 이용되기도 하며, 또한 발광물질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미국특허 제 5,998,085호)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픽셀(pixel)부(1)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광 영역인 유기막층(101)은 레이저 전사법에 의해 화소정의막(100)의 개구부(미도시)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화소정의막(100)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종래의 레이저 전사법에 따른 전사모델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너필름(216)은 기재기판(213) 상에 형성된 광-열 변환층(214), 광-열 변환층(214) 상에 형성된 유기막층(101)을 포함한다. 그리고, 광-열 변환층(214)과 유기막층(101) 사이에 층간삽입층(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판(200) 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107)와 제1 전극층(209)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유기막층을 전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화소정의막(100)과 대향하도록 화소정의막(100) 상부에 도너필름(216)을 위치시킨다. 그 다음, 도너필름(216)에 레이저를 조사하면, 광-열 변환층(214)이 레이저광을 열로 변환시켜 열을 방출하면서 팽창한다. 이에 따라, 전사층인 유기막층(101)도 팽창되어 도너필름(216)으로부터 분리되면서 화소정의막(100) 상에 유기막층(101)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패터닝된 물질이 레이저가 전사되는 방향에 따라 화소정의막(100)에 부착되는 것이므로, 전사되는 과정에서 유기막층(101)과 화소정의막(100) 사이에 기체가 갇히게 된다. 따라서, 갇혀있는 기체로 인해 유기막층(101)과 화소정의막(100) 사이의 접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전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 전사법을 이용하여 유기막층을 형성할 때, 유기막층과 화소정의막 사이에 갇히게 되는 기체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도록 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된 평탄화층과, 상기 평탄화층의 일영역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제1 전극층과,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 주변의 일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가 형성된 화소정의막 및 상기 화소정의막의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단차부 상의 일영역에 형성되는 유기막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평탄화층의 일영역 상에 형성된 제1 전극층과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전극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 주변의 일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가 형성된 화소정의막을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화소정의막의 상기 개구부 및 단차부 상에 유기막층을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표시장치 및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픽셀부(3)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광 영역인 유기막층(301)은 레이저 전사법에 의해 화소정의막(300)의 개구부(미도시) 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차부(303)는 레이저 전사 방향을 따라 유기막층(301)이 가장 마지막에 전사되는 화소정의막(300)의 우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기판(400)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307)를 형성한다. 기판(400) 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307)의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기판(400) 상에 버퍼층(401)이 형성되고, 버퍼층(401) 상에 형성된 액티브 채널층(302a)과 오믹콘택층(302b) 사이에 LDD층(미도시)을 포함하는 반도체층(302)이 형성된다. 반도체층 상에는 게이트 절연층(403)과 게이트 전극(404)이 패터닝되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404) 상에 형성되며, 반도체층(302) 중 오믹콘택층(302b)을 노출시키는 층간절연층(405)과, 층간절연층(405) 상에 소스 및 드레인 전극(306a, 306b)이 노출된 오믹콘택층(302b)과 접촉하여 형성된다.
그 다음, 박막트랜지스터(307) 상에 평탄화층(408)을 형성하고, 평탄화층(408)의 일영역 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307)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306a, 306b) 중 어느 하나와 제1 전극층(409)을 연결시킨다. 평탄화층(408) 상에는 평탄화층(408)의 일영역을 식각하여 소스 및 드레인 전극(306a, 306b) 중 어느 하나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비어홀(402)을 통해, 유기 발광다이오드와 제1 전극층(409)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그 다음, 레이저 전사 방향을 따라 유기막층(301)이 가장 마지막에 전사되는 영역의 우측에 단차부(303)가 형성된 화소정의막(300)을 제1 전극층(409) 상에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화소정의막(300)에는 제1 전극층(409)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414) 및 전사되는 유기막층(301)과 화소정의막(300) 사이에 갇히게 되는 기체를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단차부(303)가 있다. 상기 단차부(303)는 레이저 전사 방향을 따라 유기막층(301)이 가장 마지막에 전사되는 화소정의막(300)의 우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으며, 플라즈마 등을 사용하여 에칭하는 건식에칭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화소정의막(300)은 500Å 내지 3000Å의 범위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303)는 화소정의막(300) 두께의 1/4 내지 1/3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단차부의 폭은 화소 영역의 1/4 내지 1/2의 범위로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화소정의막(300)의 개구부(414) 및 단차부(303) 상에 유기막층(301)을 전사시킨다. 유기막층(301)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정공억제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내지 제4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상,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와 단차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도 3의 B-B´선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표시장치는 기판(500)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307)와, 박막트랜지스터(307) 상에 형성된 평탄화층(508)과, 평탄화층(508)의 일영역 상에 박막트랜지스터(307)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306a, 306b)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제1 전극층(509)이 있다. 제1 전극층(509) 상에는 제1 전극층(509)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514) 및 기체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단차부(303)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303)는 레이저 전사 방향을 따라 유기막층(301)이 가장 마지막에 전사되는 화소정의막(300)의 우측 모서리에 형성된다. 단차부(303)의 단차면에는 돌출부(515)가 형성되며, 유기막층(301)은 개구부(514) 및 단차부(303)의 단차면에 형성된 돌출부(515) 상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515)의 높이는 적어도 단차부(303)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화소정의막(30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515)에 의해 형성된 단차로 인해 유기막층(301)과 화소정의막(300) 사이에 갇혀있는 기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픽셀부(6)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광 영역인 유기막층(601)은 레이저 전사법에 의해 화소정의막(600)의 개구부(미도시) 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차부(603)는 레이저 전사 방향을 따라 상기 유기막층(601)이 가장 마지막에 전사되는 화소정의막(600)의 하단부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도 6의 C-C´선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표시장치는 기판(700)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607)와, 박막트랜지스터(607) 상에 형성된 평탄화층(708)과, 평탄화층(708)의 일영역 상에 박막트랜지스터(607)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606a, 606b)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제1 전극층(709)과, 제1 전극층(709) 상에 제1 전극층(709)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714) 및 레이저 전사 방향을 따라 상기 유기막층이 가장 마지막에 전사되는 화소정의막(600)의 하단부 전체에 단차부(603)가 형성되어 있다. 유기막층(601)은 개구부(714) 및 단차부(603)의 일영역 상에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픽셀부(8)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발광 영역인 유기막층(801)은 레이저 전사법에 의해 화소정의막(800)의 개구부(미도시) 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레이저 전사 방향을 따라 유기막층(801)이 가장 마지막에 전사되는 화소정의막(800)의 좌측 모서리에 단차부(803)가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도 8의 D-D´선에 따른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표시장치는 기판(900)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807)와, 박막트랜지스터(807) 상에 형성된 평탄화층(908)과, 평탄화층(908)의 일영역 상에 박막트랜지스터(807)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806a, 806b)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제1 전극층(909)과, 제1 전극층(909) 상에 제1 전극층(909)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914) 및 레이저 전사 방향을 따라 유기막층(801)이 가장 마지막에 전사되는 화소정의막 (800)의 좌측 모서리에, 단차부(803)가 형성되어 있다. 유기막층(800)은 개구부(914) 및 단차부(803)의 일영역 상에 형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단차부의 위치 이외에, 기체 배출이 용이한 다른 위치에도 형성가능하며, 단차부의 단차면에 돌출부를 두 개 이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기막층을 전사할 때 하나의 층만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복수의 층을 적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 전사법을 이용하여 유기막층을 형성할 때, 화소정의막 상에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유기막층과 화소정의막 사이에 갇히게 되는 기체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기막층과 화소정의막 사이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유기막층이 형성될 유기 발광다이오드 기판으로의 전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8)

  1. 기판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형성된 평탄화층;
    상기 평탄화층의 일영역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 주변의 일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가 형성된 화소정의막; 및
    상기 화소정의막의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단차부 상의 일영역에 형성되는 유기막층;
    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층은 레이저 전사법에 의해 전사되는 유기 발광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레이저 전사 방향을 따라 상기 유기막층이 가장 마지막에 전사되는 상기 화소정의막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은 500Å 내지 3000Å의 범위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는 상기 화소정의막 두께의 1/4 내지 1/3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폭은 화소 영역의 1/4 내지 1/2의 범위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화소정의막과 상기 유기막층 사이에 갇혀있는 기체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유기 발광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단차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단차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유기 발광표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화소정의막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유기 발광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층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정공억 제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구성되는 유기 발광표시장치.
  11. 기판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평탄화층의 일영역 상에 형성된 제1 전극층과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를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 주변의 일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가 형성된 화소정의막을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화소정의막의 상기 개구부 및 단차부 상에 유기막층을 전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레이저 전사방향을 따라 유기막층이 가장 마지막에 전사되는 상기 화소정의막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정의막은 500Å 내지 3000Å의 범위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는 상기 화소정의막 두께의 1/4 내지 1/3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 는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폭은 화소 영역의 1/4 내지 1/2의 범위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건식에칭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단차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단차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화소정의막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50090738A 2005-09-28 2005-09-28 유기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0745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738A KR100745332B1 (ko) 2005-09-28 2005-09-28 유기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6031007A JP4422111B2 (ja) 2005-09-28 2006-02-08 有機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11/526,664 US7667392B2 (en) 2005-09-28 2006-09-26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06255001A EP1770800A3 (en) 2005-09-28 2006-09-27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2006101393840A CN1941400B (zh) 2005-09-28 2006-09-27 有机发光二极管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738A KR100745332B1 (ko) 2005-09-28 2005-09-28 유기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857A KR20070035857A (ko) 2007-04-02
KR100745332B1 true KR100745332B1 (ko) 2007-08-02

Family

ID=37529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0738A Active KR100745332B1 (ko) 2005-09-28 2005-09-28 유기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67392B2 (ko)
EP (1) EP1770800A3 (ko)
JP (1) JP4422111B2 (ko)
KR (1) KR100745332B1 (ko)
CN (1) CN19414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17378B (zh) 2005-10-17 2016-01-1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及其製造方法
TWI340467B (en) * 2007-03-21 2011-04-11 Au Optronics Corp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substra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833772B1 (ko) * 2007-06-20 2008-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24137B1 (ko) 2008-01-31 2009-10-2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47428B1 (ko) * 2009-02-09 2012-05-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107036A (ko) 2013-02-27 2014-09-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도너 기판
KR20140118000A (ko) 2013-03-27 2014-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27688A (ko) * 2013-04-25 2014-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128080A (ko) 2013-04-26 2014-1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39304A (ko) * 2013-05-27 2014-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8231824B (zh) * 2016-12-16 2024-04-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102660313B1 (ko) * 2017-09-12 2024-04-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표시장치
US12150331B2 (en) * 2019-03-06 2024-11-1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having a thin electrode that has a uniform film thickness
CN110941126B (zh) * 2019-12-27 2021-04-27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097A (ko) * 2004-02-04 2005-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00745A (ko) * 2004-06-29 2006-0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8085A (en) 1996-07-23 1999-12-07 3M Innovative Properties Process for preparing high resolution emissive arrays and corresponding articles
JPH11204267A (ja) * 1998-01-14 1999-07-30 Sharp Corp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EP1096568A3 (en) * 1999-10-28 2007-10-24 Sony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3809758B2 (ja) * 1999-10-28 2006-08-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021177B2 (ja) * 2000-11-28 2007-1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2004031262A (ja) * 2002-06-28 2004-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JP2004071554A (ja) * 2002-07-25 2004-03-04 Sanyo Electric Co Ltd 有機el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05282B2 (ja) * 2002-10-03 2005-10-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パネル及びその表示パネル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4165067A (ja) * 2002-11-14 2004-06-10 Sanyo Electric Co Ltd 有機電界発光パネル
NL1022269C2 (nl) * 2002-12-24 2004-06-25 Otb Group B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substraat ten gebruike bij een dergelijke werkwijze, alsmede e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verkregen met de werkwijze.
JP3915806B2 (ja) * 2003-11-11 2007-05-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883234A (zh) * 2003-11-21 2006-12-2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
JP2005158494A (ja) * 2003-11-26 2005-06-16 Seiko Epson Corp 薄膜の形成方法、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KR101007717B1 (ko) * 2003-11-28 201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턴 마스크,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11159B1 (ko) 2003-11-29 2006-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KR100579174B1 (ko) * 2003-12-22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레이저 전사용 도너 필름 및 그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8278818B2 (en) * 2004-06-04 2012-10-02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097A (ko) * 2004-02-04 2005-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00745A (ko) * 2004-06-29 2006-0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69639A1 (en) 2007-03-29
KR20070035857A (ko) 2007-04-02
US7667392B2 (en) 2010-02-23
EP1770800A3 (en) 2012-08-01
EP1770800A2 (en) 2007-04-04
CN1941400A (zh) 2007-04-04
JP2007096251A (ja) 2007-04-12
CN1941400B (zh) 2010-06-09
JP4422111B2 (ja)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2111B2 (ja) 有機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690187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80827B1 (ko)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6154572B2 (ja) 薄膜蒸着用のマスクフレームアセンブリー
CN101794049B (zh) 平板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0551177C (zh) 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制造方法
US8530268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14584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0838086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7280963A (ja) フルカラー有機電界発光表示素子
KR100496425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33773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8243406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US2008023077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JP2004319119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160080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apparatus
US7686052B2 (en) Lamination apparatus and laser-induced thermal imag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05057530A1 (ja) 薄膜トランジスタ集積回路装置、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表示装置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707601B1 (ko) 유기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46936B1 (ko) 유기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19242384A1 (zh) 显示面板背板结构、其制备方法及顶发射型显示面板
JP2015079618A (ja) 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を用いた有機el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263474B2 (ja) 表示装置用素子基板の製造方法及び転写体
JP2014072001A (ja) 転写用ドナー基板、デバイス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機能素子
KR100812027B1 (ko) 레이저 열 전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