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3512B1 -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512B1
KR100743512B1 KR1020017011509A KR20017011509A KR100743512B1 KR 100743512 B1 KR100743512 B1 KR 100743512B1 KR 1020017011509 A KR1020017011509 A KR 1020017011509A KR 20017011509 A KR20017011509 A KR 20017011509A KR 100743512 B1 KR100743512 B1 KR 100743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foil
copper
silane coupling
coupling agent
electroly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2562A (ko
Inventor
미츠하시마사카즈
카타오카타카시
타카하시나오토미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2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51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4Wires; Strips;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56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alloys
    • C25D3/565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alloys containing more than 50% by weight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48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6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exture of the layers
    • C25D5/605Surface topography of the layers, e.g. rough, dendritic or nodular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8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 H05K3/382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by special treatment of the metal
    • H05K3/384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by special treatment of the metal by p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22/00Aspects relating to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medium
    • C23C2222/20Use of solutions containing sila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35Layered conductors or foils
    • H05K2201/0355Metal f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3Metal processing
    • H05K2203/0307Providing micro- or nanometer scale roughness on a metal surface, e.g. by plating of nodules or dendri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7Treatments involving liquids, e.g. plating, rinsing
    • H05K2203/0703Plating
    • H05K2203/0723Electroplating, e.g. finish pl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1Treatm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e.g. heating, cooling, roughening
    • H05K2203/1105Heating or thermal processing not related to soldering, firing, curing or laminating, e.g. for shaping the substrate or during finish pl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8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 H05K3/389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by the use of a coupling agent, e.g. si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31Foil or filament smaller than 6 m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 Electroplating And Plating Baths Therefor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Abstract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도금 방청층을 가지는 동박에 사용하는 실레인 카플링제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꺼내는 것으로, 0.2mm 폭 동박회로에서 10% 이하의 내염산성 열화율을 확보할 수 있으며, 더욱이, 내습성이 우수한 표면처리 동박의 공급을 목적으로 한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동박 표면에 대한 조화처리와 방청처리를 한 표면처리 동박이고, 상기 방청처리는, 동박 표면에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도금 방청층을 형성하며, 상기 방청도금층의 표면에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층을 형성하고, 상기 방청도금층 위에 실레인 커플링제 흡착층을 형성하여 전해동박 자체의 온도를 105℃∼200℃의 범위로 하여 2∼6초간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프린트 배선판용 표면처리 동박 등에 의한다.
실레인 커플링(silane coupling), 3원합금, 조화(粗化)처리, 축합(縮合)결합, 관능기(官能基), 상태(常態), 벌크 동박, 전해동박

Description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SURFACE TREATED COPPER FOIL}
본 발명은, 방청처리를 실시한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표면처리 동박은, 전기,전자산업의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는 프린트 배선판 제조의 기초재료로서 사용되어져 왔다. 일반적으로, 전해동박은 유리-에폭시기재(基材), 페놀기재,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 절연기재와 열간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접합된 동 클래드 적층판으로서 , 프린트 배선판 제조에 사용되어진다.
그 중에서도,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도금층과 전기도금층을 방청층으로서 형성한 표면처리 동박은, 프린트 배선판을 제조한 때의 내열특성(통칭, UL 특성), 및 내약품성(특히, 내염산성)이 우수한 프린트 배선판용 동박으로서 널리 알려져 왔다. 그 중에서도, 내염산성의 평가는, 동박 회로를 형성한 프린트 배선판을, 소정 농도의 염산용액중에 일정시간 침지(浸漬)하여, 접합된 동박과 기재(基材)의 경계면에 어느 정도 염산용액이 진입하여 침식할지를 정량평가하기 위해, 염산침지 전과 염산침지 후 동박회로 각각의 박리강도를 측정하고, 그 박리강도의 열화율(劣 化率)을 환산하여 평가치로 하는 것이다.
이 프린트 배선판용 동박의 내염산성은, 일반적으로 프린트 배선판에 사용되는 회로 폭이 미세하게 될 수록, 양호한 품질이 얻어진다. 즉, 내염산성 열화율이 큰 값으로 되면 프린트 배선판의 동박과 기재의 경계면에 용액이 진입하기 쉽고, 동박과 기재의 접합 경계면을 침식하기 쉽게 되고, 이것은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공정에서 여러가지 산성용액에 노출한 결과, 동박회로가 박리할 위험성이 높게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최근의 전자, 전기기기의 경박단소(輕薄短小)화 흐름 중에서는, 그 내부에 넣어지는 프린트 배선판에도 경박단소화가 요구되어, 형성하는 동박회로의 폭도 보다 미세화 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프린트 배선판 재료인 강박에는 보다 양호한 내염산성이 계속 요구되어 왔다.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도금층과 전기도금층을 조합하여 방청층으로서 사용한 동박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4-318997, 일본 특개평7-321458에 개시되고, 각각 내염산성이 우수한 동박인 점을 효과로서 기재하고 있다. 단지, 이들의 출원이 이루어진 시점에 있어서, 내염산성의 평가는 1mm 폭의 동박회로를 가지고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후자의 명세서 중에 있어서도, 1mm 폭 회로에서 평가를 한 요지가 기록되어져 있다. 이들 문헌에서 개시된 동박을, 본 건 발명자들이 시험적으로 제조하고, 1mm 폭의 동박회로를 가지고 내염산성 시험을 해 보았으나, 개시된 내용과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 또한, 이하에 서술하는 공개공보 등에서 볼 수 있듯이, 기재와 접합된 동박면을 실레인 커플링 제(silane coupling agent))제 처리하는 것으로 내염산성을 향상시키는 수법도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전술한 공보에 개시되어 시험적으로 제조한 동박을 사용하여, 0.2mm 폭 동박회로를 형성하여, 내염산성 시험을 해 보면 거의 15% 이상의 열화율이 되는 것을 판명했다. 최근 동박의 내염산성 시험에서는, 0.2mm 폭 정도의 동박회로를 사용하는 평가가 아니면, 최근 동박회로의 미세화에 따르는 제품의 품질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다고 언급되어왔다. 예를 들면, 1mm 폭 동박회로를 사용하여 측정한 내염산성 열화율이 3.0% 정도의 것이라도, 0.2mm 폭 동박회로로 하면 10%를 초과하는 열화율을 나타내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20% 이상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즉, 종래의 1mm 폭 동박회로를 사용하는 것 같은 시험방법으로는, 파미세피치용 동박으로서의 품질보증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실레인 커플링제에 관해서는, 동클래드 적층판이 된 상태에서는, 금속인 동박의 표면에 형성한 방청층과 유기재인 각종 기재간에 실레인 커플링제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동박에 관한 실레인 커플링제의 사용방법 등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행해져 오지 않았다. 종래부터, 몇개의 실레인 커플링제를 사용한 동박에 관한 출원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공소 60-15654호, 일본 특공평 2-19994호에도, 동박표면에 아연 또는 아연 합금층을 형성하여, 상기 아연 또는 아연 합금층의 표면에 전기도금층을 형성하고, 그 전기도금층의 위에 실레인 커플링층을 형성한 동박이 개시되어 있다. 명세서 전체를 참작하여 판단하는 데 이 출원에 있어서, 특징적인 것은, 전기도금층을 형성한 후에 건조처리를 하고, 그 후 실레인 커플링제 처리를 한 다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건 발명자들은, 여기에 개시된 방법으로 시험적으로 동박을 작성해도, 그 동박은 안정되게 기대대로의 성능은 나타내지 못하고, 어떤 특정요인을 제어 하지 않으면, 동박으로서의 성능품질, 특히 내염산성 및 내흡습성에 편차가 크게 되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일본 특공평2-17950호에는, 실레인 커플링제로 처리한 동박을 사용하여 내염산성의 개량이 가능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내습성에 관해서는 특별히 언급되어 있지 않다. 최근의, 프린트 배선판의 형성회로의 미세화, 프린트 배선판의 다층화, 반도체 패키징 분야에서, 내습성이 떨어지는 동 클래드 적층판을 사용한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층간 박리현상인 디라미네이션(delamination), 반도체 팩키지의 압력쿠크(pressur-cooker)특성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 명백하게 되어, 큰 문제가 되고있다.
즉, 동박의 아연 또는 아연 합금층과 그 표면의 전기도금층으로 이루는 방청층 위에, 실레인 커플링제 층이 형성되는 것을 고려하면, 실레인 커플링제와 방청층의 조합방법, 실레인 커플링제의 흡착처리시 방청층의 표면상태 및 건조조건 등을 고려하여, 사용한 실레인 커플링제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인출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 지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도 1에는 표면처리 동박의 모식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표면처리 동박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표면처리기의 개략적인 배치를 나타내기 위한 모식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관한 발명자들은 예의(銳意) 연구의 결과,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방청층과 전해 크로메이트도금 방청층을 가지는 동박에 사용하는 실레인 커플링제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인출하는 것에 따라, 0.2mm 폭 동박회로의 내 염산성 열화율을 안정되게 10% 이하의 값으로 할 수 있는 표면처리 동박의 공급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한, 이 표면처리 동박에는, 동시에 양호한 내습성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고려했다. 그를 위해서는, 동박의 커플링제 처리 전 방청층의 상태가 가장 중요하며, 덧붙여 실레인 커플링제에 의한 처리 타이밍 및 그 후의 건조조건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혀내고, 본 건 발명자들은 이하의 발명을 하기에 이른 것이다.
(1)동박의 표면에 대한 조화(粗化)처리와 방청처리를 행한 표면처리 동박에 있어서, 상기 방청처리는 동박 표면에 아연-동-니켈의 3원 합금 도금층을 형성하고, 상기 3원합금 도금층의 표면에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층을 형성하고, 상기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층의 위에 실레인 커플링제 흡착층을 형성하여, 전해동박 자체의 온도를 105℃∼200℃의 온도로 하여 2∼6초간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프린트 배선판용의 표면처리 동박으로 하고 있다.
(2)동박의 표면에 조화(粗化)처리와 방청처리를 한 표면처리 동박에 있어서, 상기 조화처리는 동박의 표면에 미세 동입자를 석출시켜, 미세 동입자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피복도금을 하고, 더욱이, 극미세 동입자를 석출 부착시키는 것이며, 상기 방청처리는, 동박표면에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도금층을 형성하고, 상기 3원합금 도금층의 표면에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층을 형성하여, 상기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층 위에 실레인 커플링제 흡착층을 형성하고, 전해동박 자체의 온도를 105℃~200℃의 범위로 하여 2~6초간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프린트 배선판용의 표면처리 동박으로 하고 있다.
상기 (1)에 기재한 표면처리 동박과 상기 (2)에 기재한 표면처리 동박의 차이는, 기재에 접합 시 앵커(anchor)가 되는 미세 동입자의 형상에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하는 대로이다. 도 1(a)는 상기 (1)에 기재한 표면처리 동박의 모식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것이다. 벌크 동의 표면에 버닝(burning)도금 조건으로 미세 동입자를 형성하고, 그 미세 동입자의 탈락을 방지하기위한 피복도금을 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피복도금은, 동을 균일 도금조건에서 석출시키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도 1(b)에 도시하는 상기 (2)에 기재한 표면처리 동박의 모식 단면구조는, 상기 (1)에 기재한 표면처리 동박의 피복도금 위에, 더욱이, 미세한 극 미세 동 입자(당업자간에는,「수염도금」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부착형성한 점에 있다. 상기 극 미세 동입자의 형성에는, 비소함유 동 도금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도 1에서는, 방청층 및 실레인 커플링제 흡착층의 기재는 생략하고 있다.
상기 (2)에 기재한 표면처리 동박과 같이, 조화(粗化)처리로서 극미세 동입자를 형성하면, 표면형상으로서의 미세한 요철(凹凸)형상이 부여되고, 유기재인 기재와의 밀착성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1)에 기재한 표면처리 동박 이상의 기재의 밀착성 확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1)에 기재한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이하의 (3)과 (4)에 기재한 제조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은, 동박의 표면에 조화(粗化)처리면을 형성하고, 방청처리를 실시하여, 조화처리면에 실레인 커플링제를 흡착시켜, 건조하는 프린트 배선판용 동박의 표면처리 방법에 있어서, 방청처리는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도금을 하고, 이어서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을 하는 것 으로, 전해 크로메이트도금후에 동박표면을 건조시켜, 실레인 커플링제를 흡착시키고, 전해동박 자체의 온도가 105℃∼180℃의 범위가 되는 고온 분위기 내에서 2~6초간 유지하는 것에 의해 건조하는 것으로 표면처리 동박을 얻는 것이다.
(4)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은, 동박의 표면에 조화처리면을 형성하고, 방청처리를 실시하여, 조화처리면에 실레인 커플링제를 흡착시켜,건조하는 프린트 배선판용 동박의 표면처리 방법에 있어서, 방청처리는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도금을 하고, 이어서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을 한 표면을 건조시키지 않고, 실레인 커플링제를 흡착시킨 후에 전해동박 자체의 온도가 110℃~200℃ 범위로 되는 고온 분위기 내에서 2~6초간 유지하는 것으로 건조하는 것에 의해 표면처리 동박을 얻는 것이다.
상기 (3)과 (4)에 기재한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의 차이는, 방청처리로서 행하는 전해 크로메이트도금 종료 후의 동박표면을 건조시켜서 실레인 커플링제의 흡착처리를 하는 가, 건조시키지 않고 상기 흡착처리를 행하는 가의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면서 설명하겠지만, 후자인「건조시키지 않고 실레인 커플링제를 흡착시켜 건조시키는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표면처리 동박쪽이, 내염산성에 관한 품질로서는 안정해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2)에 기재한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이하의 (5)와 (6)에 기재한 제조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은, 동박의 표면에 조화처리면을 형성하여, 방청처리를 실시하고, 조화처리면에 실레인 커플링제를 흡착시켜, 건조하는 것인 전해동박의 표면처리 방법에 있어서, 조화처리면의 형성은, 동박의 표면에 미세 동입자를 석출시키고, 미세 동입자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피복도금을 하여, 극미세 동입자를 석출 부착시키고, 방청처리는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도금을 하고, 이어서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을 하는 것이며, 전해 크로메이트도금후에 동박표면을 건조시키고, 실레인 커플링제를 흡착시켜, 전해동박 자체의 온도가 105℃~180℃ 범위가 되는 고온 분위기 내에서 2~6초간 유지하여 건조하는 것에 의해 표면처리 동박을 얻는 것이다.
(6)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은, 동박의 표면에, 조화처리면을 형성하고, 방청처리를 실시하여, 조화처리면에 실레인 커플링제를 흡착시켜 건조하는 것인 전해동박의 표면처리 방법에 있어서, 조화처리면의 형성은, 동박의 표면에 미세 동입자를 석출시켜, 미세 동입자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피복도금을 하고, 극미세 동입자를 석출부착시켜, 방청처리는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도금을 하고, 이어서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을 하는 것이며, 상기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을 한 표면을 건조시키지 않고, 실레인 커플링제를 흡착시켜, 그 후에 전해동박 자체의 온도가 110℃~200℃ 범위가 되는 고온 분위기 내에서 2~6초간 유지하여 건조하는 것에 의해 표면처리 동박을 얻는 것이다.
상기 (5)와 (6)에 기재한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의 차이는, 방청처리로서 행하는 전해 크로메이트도금 종료후의 동박표면을 건조시켜서 실레인 커플링제의 흡착처리를 행하는가, 건조시키지 않고 상기 흡착처리를 행하는 가의 차이가 있는 점에서, 상기 (3)과 상기 (4)의 관계와 동일하다. 그런데, 상기 (3) 및 상기 (4)의 근본적인 차이는, 상기 (3) 및 상기 (4)의 조화처리면의 형성은 미세 동입자를 부착형성하는 공정, 미세 동입자의 탈락방지를 위한 피복도금을 행하는 공정으로 이루는 데 대해서, 상기 (5) 및 상기 (6)에 기재한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피복도금 공정의 종료 후에, 더욱 극미세 동입자를 석출부착시키는 공정이 존재하는 점이다. 이하에서, 데이터를 나타내면서 설명하겠지만, 후자의 「건조시키지 않고 실레인 커플링제를 흡착시켜 건조시키는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표면처리 동박 쪽이, 내염산성에 관한 품질로서는 보다 안정해 있는 것도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상기 (3)∼(6)에 기재한 제조방법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면서, 본 건 발명에 관한 표면처리 동박도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특별히 나타내지 않는 한, 각 공정 등의 조건 등은 공통된 내용이다. 본 건 발명에 관한 표면처리 동박은, 드럼형상을 한 회전음극과, 상기 회전음극의 형상에 따라서 배치한 납(鉛)계 양극간에 동 전해액을 흘려서, 전해하는 것으로 회전음극 위에 동 박막을 형성하고, 이것을 벗겨내는 것으로 얻어지는 벌크 동층(箔)을 사용하여, 조화처리, 방청처리, 실레인 커플링제 처리를 표면처리로서 행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벌크 동층은, 동 잉곳(ingot)으로 부터, 압연법에 의해 박(箔) 형상으로 한 소위 압연 동박으로서 얻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및 이하는, 이 벌크 동층(箔)의 것을, 단순히 「동박」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고, 설명을 보다 알기 쉽도록, 사용구분을 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는 표면처리 공정을 순서를 따라 설명한다. 본 건 발명에 관한 표면처리 동박을 얻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표면처리기로 칭하는 장치를 사용한다. 롤형상으로 권취된 벌크 동박을 한방향으로부터 감아내고, 상기 벌크 동박이, 적절한 수세처리조를 배치한 표면처리 공정으로서, 연속배치한 산세처리조, 벌크 동층의 표면에 미세 동입자를 형성하는 조면화(粗面化)처리조, 3원합금 방청처리조, 전해 크로메이트도금 방청처리조 및 건조처리부 각각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표면처리 동박이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의 표면처리기의 모식단면도로서 나타내는 것처럼, 감아 낸 벌크동박이, 표면처리기 내부를 사행(蛇行)주행하면서, 각 조내부 및 공정 등을 연속하여 통과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지만, 각각의 공정을 분리한 배치(batch)방법이라도 관계없다.
산세 처리조란 벌크 동박의 소위 산세처리를 행하는 공정이며, 캐리어박에 부착한 수지성분을 완전히 제거하는 탈지처리 및 금속박을 사용한 경우의 표면산화 피막제거를 목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이 산세처리조에 벌크동박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벌크 동박의 청정화를 도모하고, 이하 공정에서의 균일 전착(電着) 등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 산세처리에는, 염산계 용액, 황산계 용액, 황산-과산화 수소계 용 액 등 여러가지의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특별히 한정할 필요성은 없다. 그리고, 그 용액농도나 온도 등에 관해서는, 생산라인의 특성에 따라서 조정하면 충분하다.
산세처리가 종료하고, 수세조를 통과한 벌크 동박은, 벌크 동박의 위에 미세동 입자를 석출부착시키는 공정으로 들어간다. 여기서 사용하는 동 전해용액에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동의 미세입자를 석출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여기서의 전해조건은 버닝(burning)도금의 조건이 채용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미세 동입자를 석출부착시키는 공정에서 사용하는 용액농도는, 벌크동박을 형성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용액농도에 비해, 버닝(burning)도금조건을 만들어내기 쉽도록 낮은 농도로 되어있다. 이 버닝(burning)도금조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생산라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것이다. 예를 들면, 황산동계 용액을 사용한다면, 농도가 동 5∼20g/l, 황산 50∼200g/l, 기타 필요에 따른 첨가제[α- 나프트퀴놀린(α-naphthoquinoline),덱스토린(dextrin),아교(glue),티오요소(thiourea) 등], 액온 15∼40℃, 전류밀도 10∼50A/dm2의 조건으로 하는 등이다.
미세 동입자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피복도금공정에서는, 석출부착시킨 미세 동입자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활 도금조건에서 미세 동입자를 피복하도록 동을 균일하게 석출시키기 위한 공정이다. 따라서, 미세 동입자를 석출시키는 경우에 비해 짙은 농도의 동 전해액이 사용되어진다. 이 평활 도금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생산라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것이다. 예를 들면, 황산동 계 용액을 사용한다면, 농도가 동 50∼80g/l, 황산 50∼150g/l, 액온 40∼50℃, 전류밀도 10∼50A/dm2의 조건으로 하는 등이다.
여기서, 상기 (2)에 상당하는 표면처리 동박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5) 및 상기 (6)에 기재한 제조방법의 경우 극 미세 동입자의 형성이 행해진다. 이 극 미세 동입자의 형성에는, 일반적으로 비소를 포함한 동전해액이 사용된다. 관계되는 경우의 전해조건의 일례를 들면, 황산동계 용액에 있어서,, 농도가 동 10g/l, 황산 100g/l, 비소 1.5 g/l, 액온 38℃, 전류밀도 30A/dm2 로 하는 등이다.
그러나, 최근 환경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인체에 영향을 줄 가능성 높은 유해원소를 최대한 배제하고자하는 움직임이 고조되고있다. 그래서, 본 건 발명에 있어서 미세 동입자의 형성에 관해서는, 비소를 대신하여 9-페닐 아크리딘(phenylacridine)을 첨가한 동 전해액을 사용하는 것으로 했다. 9-페닐아크리딘은, 동 전해의 경우에 있어서, 비소가 발휘하는 역할과 마찬가지 역활을 완수하고, 추출하는 미세 동입자의 정립(整粒)효과와, 균일 전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9-페닐아크리딘을 첨가한 극 미세 동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동 전해액으로서는, 농도가 동 5∼10g/l, 황산 100∼120g/l, 9-페닐아크리진 50∼300mg/l, 액온 30∼40℃, 전류밀도 20∼40A/dm2 이 매우 안정한 전해조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범위가 된다.
다음 방청처리조에서는, 동 클래드 적층판 및 프린트배선판의 제조과정에서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도록, 전해동박층의 표면이 산화부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정이다. 본 건 발명에 관한 방청처리는,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조성의 도금과,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을 병용하는 것으로 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조성의 도금을 하는 경우는, 파이로 인산(pyrophos-phate)계 도금욕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의 욕(浴)을 구성하는 용액은, 그 장기 안정성 및 전류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일례로서, 농도가 아연 2∼20g/l, 동 1∼15g/l, 니켈 0.5∼5g/l, 파이로인산 칼륨 70∼350g/l, 액온 30∼60℃, pH 9∼10, 전류밀도 3∼8A/dm2, 전해시간 5∼15초의 조건을 채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나타낸 조건을 사용하는 것으로,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도금층의 조성은 아연 66.9∼20 중량%, 동 30∼70 중량%, 니켈 0.1∼10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성영역의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도금에 대해서 실레인 커플링제를 흡착시켜, 이하에 서술하는 건조조건으로 건조시키는 것이 가장 내염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효과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범위의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도금은 동박 표면에 가장 안정되게 도금할 수 있는 범위의 것이며, 제품수율을 고려해도 이상적인 범위이다.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도금후에 수세하고,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의 전해조건은 특별히 한정을 가지는 것은 아니나, 크롬산 3∼7g/l, 액온 30∼40℃, pH 10∼12, 전류밀도 5∼8A/dm2, 전해시간 5∼15초의 조건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동박의 표면을 균일하게 피복하기 위한 범위조건이다.
그리고, 상기 (3)에 기재한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에서는,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층을 형성한 벌크동박의 표면을 일단 건조시켜, 실레인 커플링제의 흡착처리를 하는 것으로 된다. 이 때는, 표면처리기 내의,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층을 형성하고, 수세한 후에, 일단 건조공정을 설치하는 것으로 된다. 이에 대해서, 상기 (4)에 기재한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에서는,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층을 형성하고, 수세한 후에, 벌크 동박의 표면을 건조시키지 않고, 바로 실레인 커플링제의 흡착처리를 하는 것이다.
이때의 실레인 커플링제의 흡착방법은, 침지법, 샤워링법, 분무법 등 특별히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공정설계에 맞추어, 가장 균일하게 동박과 실레인 커플링제를 함유한 용액을 접촉시켜 흡착시킬 수 있는 방법을 임의로 채용하면 좋은 것이다.
실레인 커플링제로서는, 올레핀 그룹 기능성실레인(olefin-group-functional silanes), 에폭시 그룹 기능성실레인(epoxy-group-introduced silanes), 아크릴 그룹 기능성실레인(acrylic-group-functional silanes), 아미노 그룹 기능성 실레인(amino-group-introduced silanes) 및 메르캅토 그룹 기능성실레인(mercapto-group-functional silane)의 어느쪽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열거한 실레인 커플링제는 동박의 기재와의 접착면에 사용해도, 다음의 에칭공정 및 프린트 배선판으로 된 후의 특성에 악영향을 주지않는 일이 중요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린트 배선판용에 프리플래그(prepreg)의 유리섬유에 사용되면 마찬가지의 커플링제를 중심으로 비닐트리메톡시실레인(vinyltrimethoxysilane),비닐페닐트리메톡시실레인(vinylphenyltrimethoxysilane),
Figure 112001023121789-pct00001
-메타크리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레인(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Figure 112001023121789-pct00002
-그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레인(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4-그리시질부틸트리메톡시실레인(glycidylbutyltrimethoxysilane),
Figure 112001023121789-pct00003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레인(aminopropyltriethoxysilane),N-β[아미노에틸(aminoethyl)],
Figure 112001023121789-pct00004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레인(aminopropyltrimethoxysilane),N-3-(4-(3-아미노프로폭시(aminopropoxy)부톡시(butoxy)프로필(propyl)-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레인(aminopropyltrimethoxysilane),이미다졸릴실레인(imidazolylsilane),트리아진실레인(triazinylsilane),
Figure 112001023121789-pct00005
-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레인(mercaptopropytrimethoxy)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실레인 커플링제는, 냉매로서의 물에 0.3 ∼ 15g/l 용해시켜서, 실온 수준의 온도로 사용하는 것이다. 실레인 커플링제는 동박의 방청처리층상에 있는 OH기(基)와 축합(縮合)결합하는 것에 의해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며, 불필요하게 짙은농도의 용액을 사용해도, 그 효과가 현저하게 증대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래는, 공정처리속도 등에 따라서 결정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단, 0.3g/l을 밑도는 경우는 실레인 커플링제의 흡착속도가 늦고, 일반적인 상업베이스의 채산에 맞지않고, 흡착도 불균일하게 된다. 또한, 15g/l을 초과하는 이상의 농도라도, 특별히 흡착속도가 빠르게 되지는 않으며, 내염산성 등의 성능품질을 특별히 향상시키는 것 도 아니므로, 비경제적으로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최후에 행하는 건조는 단순히 수분을 제거하는 것 만이 아니고, 흡착한 실레인 커플링제와 방청처리층의 표면에 있는 OH기 와의 축합반응을 촉진시켜, 축합의 결과 생기는 수분도 완전히 증발시키는 것이 아니면 안된다. 한편, 이 건조온도는, 기재(基材)와 접합할 때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와 결합하는 실레인 커플링제의 기능성 그룹(functidnal group)을 파괴 또는 분해하는 온도를 채용할 수는 없다, 실레인 커플링제의 기재수지의 접착에 관여하는 기능성 그룹이 파괴 또는 분해하면, 동박과 기재의 밀착성이 손상되고, 실레인 커플링제의 흡착에 의한 효과를 최대한으로 인출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동박은 금속재이며, 실레인 커플링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재, 프라스틱 등의 유기재 등에 비해, 열전도 속도가 빠르고, 표층에 흡착한 실레인 커플링제도, 건조시의 분위기 온도, 열원으로 부터의 복사열에 의한 영향을 매우 강하게 받기 쉽게 된다. 따라서, 충풍(衝風)방식처럼, 극히 짧은시간에, 동박에 내뿜는 풍온(風溫)에 의해, 동박자체의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는,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 건조조건을 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종래는, 건조로 내의 분위기 온도 또는 충풍온도(衝風溫度)만을 고려한 건조를 행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일관되게, 박 자체의 온도 제어를 목적으로 해서, 가열로 내부를 2∼6초의 범위로 통과하는 정도의 건조가 바람직한 것으로 하고있다. 따라서, 건조방법은 전열기를 사용하는 것이든, 충풍법(衝風法)이든,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박자체의 온도를 소정의 영역으로 제어 할 수 있으면 좋은 것이다. 본 건 발명과 같이, 건조시간 및 건조온도에 일 정한 폭을 둔 것은,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속도가 다른 경우나, 동박의 두께에 따라 동박자체의 온도상승 속도 등에 근소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며, 이 범위 내에서 제품종류에 따른 실제의 조업조건을 결정하는 것이 된다.
건조조건 중에서, 전해 크로메이트도금 처리후의 건조온도가, 벌크 동박을 건조하여 실레인 커플링제 처리하는 경우와, 벌크 동박을 건조처리하지 않고 실레인 커플링제 처리하는 경우가 다르게 한 것은, 동박의 조화(粗化)면 측에 형성한 실레인 커플링제 층의 기재와 접착하는 쪽의 기능성 그룹이, 파괴 또는 분해되는 일없이, 동박표면에 대한 실레인 커플링제의 고정이 충분히 행해질 수 있는 온도영역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즉, 상기 (3) 및 상기 (5)에 기재한 제조방법과 같이, 벌크 동박을 일단 건조시킨 상태에서 실레인 커플링제 처리하여 다시 건조하는 경우에는, 건조공정에서의 고온 분위기 내에서 공급되는 열량의 많은 부분이, 실레인 커플링제의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층 위에서의 축합반응에 사용되게 된다. 이에 대해, 상기 (4) 및 상기 (6)에 기재한 제조방법을 가지고 제조할 때는,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층을 형성한 후, 수세가 행해지고, 건조시키지 않고 실레인 커플링제 층을 형성하여, 그 후 건조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층을 형성한 후 일단 건조시키고, 실레인 커플링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방법과 비교하면, 건조시에 여분의 물이 동박표면에 잔류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건조시의 동박온도는, 분위기 온도에서 전달되는 열량 중 수분의 증발에 사용되는 열량이 크게 되므로, 200℃정도 까지 분위기온도를 높여도, 실레인 커플링제의 기능성 그룹의 파괴 또는 분해로 이어지는 여분의 열량이 생기지 않게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이 하여, 실레인 커플링제의 기재와 결합하는 쪽의 기능성 그룹의 파괴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고, 표면처리 동박으로서의 품질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것을 뒷받침하는 것으로서, 건조시간은 4초로 고정하고, 건조온도를 변화시킨 때의 본 건 발명의 상기 (1) 및 (2)의 기재에 관한 35㎛ 두께의 동박을 제조하고, 이들 동박을 이용한 FR-4 동 클래드 적층판을 제조하여, 0.2mm 폭회로를 작성하여, 그 박리강도를 평가한 결과를 표1 ∼표4에 나타냈다.
표1
Figure 112001023121789-pct00006
Figure 112006098130090-pct00023
표2
Figure 112001023121789-pct00008
Figure 112006098130090-pct00024
표3
Figure 112001023121789-pct00010
Figure 112006098130090-pct00025
표4
Figure 112001023121789-pct00012
Figure 112006098130090-pct00026
이상의 표1∼표4에 기재한 내용에 관하여 공통된 것은, 상태(常態)의 박리강 도, 땜납후 박리강도에 관해서는, 어느 시료에도 큰 차이는 볼 수없다. 그런데, 내 염산성 및 내습성에 관해서는, 심각하게 열화율이 변화하는 온도가 존재하고, 적정한 건조온도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적정온도 영역에 있어서 제조한 표면처리 동박은 종래에 없을 정도로 극히 안정한 내염산성 열화율 및 내흡습성 열화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내염산성 열화율은, 시험용 회로를 작성하고, 바로 측정한 상태(常態) 박리강도에서, 각 표중에 기재한 염산처리 후에 어느 정도의 박리강도 열화가 생기고 있는 가를 나타내는 것이며, [내염산성열화율]=([상태박리강도]- [염산처리후의 박리강도]/[상태박리강도]의 계산식에서 산출한 것이다. 내습성 열화율은, 시험용 회로를 작성하고, 바로 측정한 상태박리강도에서, 각 표 중에 기재한 흡습처리 후에 어느 정도의 박리강도의 열화가 생기고 있는 가를 나타내는 것이며, [내습성 열화율]=([상태박리강도]-[흡습처리후의 박리강도])/[상태박리강도]의 계산식으로 산출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 열화율이 작은 값일수록, 표면처리 동박으로서는 우수한 성능품질을 갖는 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표 1과 표 2, 표 3과 표 4 각각의 비교로 부터, 전해 크로메이트도금 처리 후의 벌크 동박 표면을 건조시키는 일 없이, 실레인 커플링제 처리한 표면처리 동박쪽이, 전해 크로메이트도금 처리후의 벌크 동박 표면을 일단 건조시켜서 실레인 커플링제 처리한 표면처리 동박 쪽이 내염산성 및 내습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있다.
이 표 1과 표 2, 표3, 표 4 각각의 비교로 부터 더욱 알 수 있는 것은, 일단 건조시켜서 실레인 커플링제 처리를 하는 경우의 적정한 온도영역은, 박 자체의 건조온도(표 중에서는 박온도로 칭하고 있다)가 105℃∼180℃ 범위에서, 내염산성 및 내습성이 양호하게 된다고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건조시키는 일 없이 실레인 커플링제 처리를 하는 경우는, 110℃∼200℃의 범위에서 양호한 내염산성 및 내습 성능을 나타내고 있고, 건조시킨 경우에 비해, 약간 높은 온도범위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각각의 하한값을 하회하는 박온도에서는, 실레인 커플링제가 충분히 동박표면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형성되어 기재와의 밀착성을 손상하는 것으로 되고, 각각 박온도의 상한값을 초과하는 온도로 하면, 실레인 커플링제의 기재와 결합시키게 되는 기능성 그룹이 파괴 또는 분해되게 되고,기재의 밀착성을 손상하는 것으로 되어 내염산성 및 내흡습성의 열화율 값을 나쁘게 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더욱이, 표 1과, 표 3, 표 2와 표 4 각각의 비교로 부터, 조화처리시 피복도금후에, 극미세 동입자를 부착형성한 표면처리 동박을 사용하는 쪽이, 내염산성 및 내습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표면처리 동박의 조화형상이 갖는 안착효과가 향상하는 것에 의해, 기재(基材)와의 밀착성이 향상한 결과로 여겨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표면처리 동박이 제조되고,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동박은, 동 클래드 적층판으로 한 때에 매우 안정한 내염산성 및 내습성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에 의한 표면처리 동박을 사용한 동 클래드 적층판은, 그 품질 안정성이 매우 향상하고, 에칭공정에 있어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말하는 동 클래드 적층판이란, 단면기판, 양면기판 및 다층기판 모두 의 층 구성의 개념을 포함하며, 더욱이 기재재질은, 리지드(rigid)계의 기판에 한하지 않고, 소위 TAB, COB 등의 특수기판도 포함하는 플렉시블 기판 하이브리드(hybrid)기판 등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표면처리 동박(1)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표면처리 동박(1)을 사용한 동 클래드 적층판을 제조하고, 그 평가결과를 나타내는 것에 의해,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벌크 동박(2)에 전해동박을 사용한 경우를 예로 취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1)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면처리기(3)를 사용하여, 벌크 동박(2)의 표면처리를 하였다. 벌크 동박(2)은 권취한 롤 상태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여기서 사용한 표면처리기(3)는 도 2로서 도시한 것이며, 풀려나온 벌크 동박(2)이, 표면처리기(3) 내부를 사행주행하는 타입이다. 여기서는, 벌크 동박(2)은 공칭두께 35㎛두께의 그레이드 3의 프린트 배선판용 전해동박의 제조에 이용하는 것을 사용했다. 이하, 각종 조(槽)를 연속배치한 순서에 따라, 제조조건 등의 설명을 한다. 또한, 설명에 맞는 도 2의 표면처리 박의 모식단면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풀려나온 전해동박(2)은, 최초에 산세처리조(4)에 들어간다. 산세처리조(4)의 내부에는 농도 150g/1, 액온 30℃의 희(希)황산 용액이 차 있고, 침지시간 30초 로하여, 벌크 동박(2)에 부착한 유지성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표면 산화피막을 제거하여 청정화했다.
산화처리조(4)를 나온 벌크 동박(2)은, 벌크 동박(2)의 표면에 미세 동입자(5)를 형성하므로, 조화처리 공정(6)에 들어가는 것이된다.조화처리 공정(6) 내에서하는 처리는, 벌크 동박(2)의 한쪽 면에 미세 동입자(5)를 석출부착 시키는 공정(6A)과, 이 미세 동입자(5)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피복도금공정(6B)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했다. 이 때, 벌크 동박(2) 자체는 음극으로 분극되고, 전해처리되는 공정에서, 적절히 양극(7)이 배치되는 것으로 했다. 예를 들면, 벌크 동박(2)의 양면을 조화한 양면처리 동박을 제조하는 경우는, 벌크 동박(2) 양면에 대하여 양극(7)이 분배되게 된다.
벌크 동박(2) 위에 미세 동입자(5)를 석출부착시키는 공정(6A)에서는, 황산동 용액에 있어서, 농도가 100g/1 황산, 18g/1 동, 액온 25℃, 전류밀도 10A/dm2의 버닝(burning)도금 조건에서 10초간 전해했다. 이 때, 평판 양극(7)을, 미세 동입자(5)를 형성하는 벌크동박(2)면에 대하여, 도 2중에 도시하는 것처럼 평행 배치했다.
미세 동입자(5)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피복도금공정(6B)에서는, 황산동 용액이고, 농도 150g/1 황산, 65g/1 동, 액온 45℃, 전류밀도 15A/dm2의 평활 도금조건에서 20초간 전해하고, 피복도금층(8)을 형성했다. 이 때, 평판의 양극(7)은, 미세 동입자(5)를 부착 형성한 벌크 동박(2)면에 대하여, 도 2 중에 나타낸 것 처럼 평행배치 했다. 기본적으로 양극(7)에는 스테인레스판을 사용하고 있다.
3원합금 방청처리조(9)에서는, 방청원소로서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도금에 의해 방청처리를 하였다. 여기서는, 도 2에 도시한 것 처럼 양극(7)을 배치하고, 3원합금 방청처리조(9) 내의 아연 농도 밸런스는, 조정용으로 파이로인산아연, 파이로인산동, 파이로인산니켈을 사용하여 유지하는 것으로 했다. 여기서의 전해조건은, 파이로인산 욕(浴)을 사용하여, 15g/1 아연, 10g/1 동, 3g/1 니켈의 농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하고, 액온 40℃, 전류밀도 15A/dm2, 전해시간 8초로 했다.
전해 크로메이트도금 방청처리조(10)에서는, 3원합금 방청처리조(9)에서 형성한 아연방청층 위에, 전해에 의해 전기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때의 전해조건은, 크롬산 5.0g/1, pH 11.5, 액온 35℃, 전류밀도 8A/dm2, 전해시간 5초로 했다. 양극(7)은, 도 2중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박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되도록 배치했다.
방청처리가 완료하면 수세 후, 동박표면을 건조시키지 않고, 바로 실레인 커플링제 처리조(11)에서, 조화(粗化)한 면의 방청조 위에 실레인 커플링제의 흡착을 했다. 이 때의 용액조성은, 이온 교환수를 용매로 해서,
Figure 112001023121789-pct00014
-그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레인(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을 5g/1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한 것으로 했다. 그리고, 이 용액을 샤워링으로 동박표면에 내 뿜는 것에 의해 흡착처리 했다.
실레인 커플링제 처리가 종료하면, 최종적으로 전해동박(2)은, 건조처리부(12)에서 전열기(13)에 의해 박온도가 140℃로 되도록 분위기 온도를 조정하여, 가열된 로 내부를 4초 걸쳐서 통과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실레인 커플링제의 축합반응을 촉진하여, 완성한 표면처리 동박(1)으로서 롤 형상으로 권취했다. 이상의 공정에서의 전해동박의 주행속도는, 2.0m/min으로 하고, 각 조 마다의 공정간에는, 필요에 따라서 약 15초 간의 수세가능한 수세조(14)를 적절히 설치하여 세정하여, 전처리 공정 용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표면처리 동박(1)을 사용하고, 기재(基材)가 되는 150㎛ 두께의 FR-4의 프리프래그(prepreg) 2매를 사용하여 양면 동 클래드 적층판을 제조하여, 표면처리 동박(1)과 기재의 접합계면에 있어서 박리강도를 측정했다. 그 측정점수는 7점이고,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면처리기(3)를 사용하여, 벌크 동박(2)의 표면처리를 했다. 벌크 동박(2)은, 권취한 롤 상태로 사용했다. 그리고, 여기서 사용한 표면처리기(3)는 도 3으로서 도시한 것이며, 풀려나온 벌크 동박(2)이, 표면처리기(3) 내부를 사행주행하는 타입이다. 여기서는, 벌크동박(2)은 공칭두께 35㎛ 두께의 그레이드3인 프린트 배선판용 전해동박의 제조에 사용하는 것을 사용했다. 이하, 각종의 조를 연속배치한 순서에 따라서, 제조조건 등의 설명을 하는 데 있어, 중복된 설명을 피하고, 실시예 1과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또한 가능한 한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지시하는 경우는, 공통의 부호를 도 3에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도 1(b)의 표면처리 박의 모식단면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이 실시예 2의 표면처리 공정의 흐름은 실시예 1의 것과 기본적으로는 변하지 않는다. 다른 것은 조화처리 공정(6)이 3 단계로 나누어져 있는 점이다. 즉, 미세 동입자(4)를 부착형성하는 공정(6A), 피복도금공정(6B), 극 미세 동입자(15)를 부착형성하는 공정(6C)으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의 피복도금공정(6B)과 3원합금 방청처리조(8) 사이에, 극 미세 동입자(15)를 부착형성하는 공정(6C)이 들어가는 것이다.
이 극 미세 동입자(15)를 부착형성하는 공정(6C)에서 사용하는 조건은, 황산동계 용액이고, 농도가 동 10g/l, 황산 100g/l, 9-페닐아크리딘(phenylacridine) 140mg/l, 액온 38℃, 전류밀도 30A/dm2으로 했다. 기타의 각조 및 공정 내에서의 조건 등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 표면처리 동박(1)을 사용하고, 기재가 되는 150㎛ 두께의 FR-4의 프리프래그 2매를 사용하여 양면 동 클래드 적층판을 제조하고, 표면처리 동박(1)과 기재의 접합계면에 있어서 박리강도를 측정했다. 그 측정점수는 7점이며, 그 결과는 표 5에 실시예 1의 결과와 함께 나타내고 있다.
표 5
Figure 112001023121789-pct00015
Figure 112001023121789-pct00016
상기 표 5에 나타낸 평가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얻어진 표면처리 동박(14)을 사용하여 형성한 동박회로는, 0.2mm 폭 회로라도 내염산성 열화율 및 내습성 열화율 모두 10% 이하의 값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내염산성 열화율은 5% 이하의 값으로, 극히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십개 의 로트(lot) 이상의 제품을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조하고, 그 내염산성 및 내습성의 편차를 조사했으나, 대단히 편차가 적은 안정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준의 품질안정성을 가지는 동박은 종래의 프린터 배선판용 동박에는 볼 수없고, 프린트 배선판의 품질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관한 표면처리 동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에칭공정에 있어서 프린트 배선판의 동박 회로부 기재로의 접착안정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프린트 배선판의 가공방법 선택폭을 넓힐 수 있어, 공정관리도 대단히 용이해 질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본 건 발명에 관한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동박표면에 흡착고정한 실레인 커플링제가 가지는 능력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어, 내염산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표면처리 동박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동박의 표면에 조화처리면을 형성하고, 방청처리를 실시하며, 조화처리면에 실레인 커플링제를 흡착시키고, 건조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용 동박의 표면처리 방법에 있어서,
    방청처리는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도금을 하고, 이어서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을 하는 것이고,
    전해 크로메이트도금 후에 동박표면을 건조시키고, 실레인 커플링제를 흡착시키며, 전해동박자체의 온도가 105℃∼180℃범위로 되는 고온 분위기 내에서 2∼6초간 유지하여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동박의 제조방법.
  6. 삭제
  7. 동박의 표면에 조화처리면을 형성하고, 방청처리를 실시하며, 조화처리면에 실레인 커플링제를 흡착시키고, 건조하는 전해동박의 표면처리 방법에 있어서,
    조화처리면의 형성은 동박의 표면에 미세 동입자를 석출시켜, 미세 동입자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피복도금을 하고, 극 미세 동입자를 석출부착시키며,
    방청처리는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도금을 하여, 계속하여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을 하는 것으로서,
    전해 크로메이트도금 후에 동박표면을 건조시키고, 실레인 커플링제를 흡착시키며, 전해동박 자체의 온도가 105℃∼180℃의 온도가 되는 고온 분위기 내에서 2∼6초간 유지하여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동박의 제조방법.
  8. 동박의 표면에 조화처리면을 형성하고, 방청처리를 실시하며, 조화처리면에 실레인 커플링제를 흡착시키고, 건조하는 전해동박의 표면처리방법에 있어서,
    조화처리면의 형성은, 동박의 표면에 미세 동입자를 석출시켜, 미세 동입자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피복도금을 하고, 극 미세 동입자를 석출부착시키며,
    방청처리는 아연-동-니켈의 3원합금 도금을 하고, 계속하여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해 크로메이트도금을 한 표면을 건조시키지 않고, 실레인 커플링제를 흡착시키고, 그 후에 전해동박 자체의 온도가 110℃∼200℃ 범위가 되는 고온 분위기 내에서 2∼6초간 유지하여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극 미세 동입자는 9 - 페닐아크리딘(phenylacridine)을 첨가한 동 전해액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017011509A 2000-01-28 2001-01-24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43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20884 2000-01-28
JP2000020884A JP3670185B2 (ja) 2000-01-28 2000-01-28 プリント配線板用表面処理銅箔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562A KR20010102562A (ko) 2001-11-15
KR100743512B1 true KR100743512B1 (ko) 2007-07-27

Family

ID=1854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50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3512B1 (ko) 2000-01-28 2001-01-24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531045B2 (ko)
EP (1) EP1185152B1 (ko)
JP (1) JP3670185B2 (ko)
KR (1) KR100743512B1 (ko)
CN (1) CN1213645C (ko)
AT (1) ATE402594T1 (ko)
DE (1) DE60134926D1 (ko)
MY (1) MY128582A (ko)
TW (1) TW511407B (ko)
WO (1) WO20010563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4711B2 (ja) * 2002-06-04 2008-09-03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低誘電性基材用表面処理銅箔及びそれを用いた銅張積層板並びにプリント配線板
KR101065758B1 (ko) * 2003-02-27 2011-09-19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자파 실드용 동박, 그 제조방법 및 전자파 실드체
TW200721932A (en) 2004-01-30 2007-06-01 Hitachi Chemical Co Ltd Adhesion assisting agent-bearing metal foil, printed wiring board, and production method of printed wiring board
JP4913328B2 (ja) * 2004-01-30 2012-04-11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接着補助剤付金属箔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JP4567360B2 (ja) * 2004-04-02 2010-10-20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銅箔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で得られる銅箔
WO2009041292A1 (ja) * 2007-09-28 2009-04-02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印刷回路用銅箔及び銅張積層板
CN101556846B (zh) * 2009-05-19 2010-11-03 丹凤县永鑫电子材料有限责任公司 镀镍铈合金软铜线生产工艺
JP5254491B2 (ja) * 2010-02-24 2013-08-07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印刷回路基板用銅箔及び印刷回路基板用銅張積層板
CN103924269B (zh) * 2013-12-26 2016-04-13 苏州昕皓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非染料系整平剂的应用
CN103924268B (zh) * 2013-12-26 2016-04-13 苏州昕皓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酸铜整平剂的应用
JP6570430B2 (ja) * 2015-11-12 2019-09-04 Jx金属株式会社 キャリア付銅箔の製造方法、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JP7033905B2 (ja) * 2017-02-07 2022-03-11 Jx金属株式会社 表面処理銅箔、キャリア付銅箔、積層体、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JP7366436B2 (ja) 2021-05-31 2023-10-2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表面処理銅箔、銅張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CN117181676A (zh) * 2023-09-11 2023-12-08 昆山先捷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提高电解铜性能的表面处理装置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161A (ja) * 1994-02-15 1995-08-2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プリント配線板用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58870A (ja) * 1994-03-24 1995-10-0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有機防錆処理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216A (en) * 1978-07-20 1980-02-02 Mitsui Anakonda Dohaku Kk Printed circut copper foi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930006103B1 (ko) * 1991-03-11 1993-07-07 덕산금속 주식회사 인쇄회로용 전해동박 및 그 제조방법
US5215646A (en) * 1992-05-06 1993-06-01 Circuit Foil Usa, Inc. Low profile copper foil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bondable metal foils
JP2717911B2 (ja) * 1992-11-19 1998-02-25 日鉱グールド・フォイル株式会社 印刷回路用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US5482784A (en) * 1993-12-24 1996-01-09 Mitsui Mining And Smelting Co., Ltd. Printed circuit inner-layer copper foi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684164B2 (ja) * 1995-03-17 1997-12-03 福田金属箔粉工業株式会社 印刷回路用銅箔の表面処理方法
JPH0974273A (ja) * 1995-06-27 1997-03-18 Nippon Denkai Kk プリント回路用銅張積層板とその接着剤
MY138743A (en) * 1996-05-13 2009-07-31 Mitsui Mining & Smelting Co High tensile strength electrodeposited copper foil and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same
JPH10341066A (ja) * 1997-06-10 1998-12-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印刷回路用銅箔、前記銅箔を用いた印刷回路用樹脂接着剤付銅箔、および前記銅箔を用いた印刷回路用銅張り積層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161A (ja) * 1994-02-15 1995-08-2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プリント配線板用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58870A (ja) * 1994-03-24 1995-10-0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有機防錆処理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562A (ko) 2001-11-15
EP1185152A4 (en) 2006-11-22
WO2001056343A1 (fr) 2001-08-02
TW511407B (en) 2002-11-21
US6531045B2 (en) 2003-03-11
CN1213645C (zh) 2005-08-03
JP3670185B2 (ja) 2005-07-13
MY128582A (en) 2007-02-28
EP1185152A1 (en) 2002-03-06
ATE402594T1 (de) 2008-08-15
DE60134926D1 (de) 2008-09-04
US20010014406A1 (en) 2001-08-16
CN1358407A (zh) 2002-07-10
JP2001214298A (ja) 2001-08-07
EP1185152B1 (en)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569B1 (ko) 표면처리동박 및 그 표면처리동박의 제조방법 및 그표면처리동박을 사용한 동 클래드 적층판
JP3370624B2 (ja) キャリア箔付電解銅箔及びその電解銅箔を使用した銅張積層板
EP1175132B1 (en) Surface-treated copper foi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urface-treated copper foil
KR100450510B1 (ko) 표면처리동박 및 그 표면처리동박의 제조방법과 그표면처리동박을 이용한 동클래드적층판
KR100743512B1 (ko)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
KR100755377B1 (ko) 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
EP1143038A1 (en) Electrolytic copper foil with carrier foi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copper-clad laminate using the electrolytic copper foil with carrier foil
CN111902570B (zh) 表面处理铜箔、覆铜层叠板及印刷电路板的制造方法
JPH08222857A (ja) 銅箔および該銅箔を内層回路用に用いた高密度多層プリント回路基板
JP2927968B2 (ja) 高密度多層プリント回路内層用銅箔および該銅箔を内層回路用に用いた高密度多層プリント回路基板
KR20170001391A (ko) 표면 처리 동박 및 그 제조방법
JPS61253886A (ja) プリント回路用銅箔
HK1190562A (en) Embedding copper plating method for manufacture of printed wiring board, and printed wiring board obtained by using the embedding copper pla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22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743512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7072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7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