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43169B1 - 전기 광학 장치, 그 구동 회로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장치, 그 구동 회로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169B1
KR100743169B1 KR1020060047490A KR20060047490A KR100743169B1 KR 100743169 B1 KR100743169 B1 KR 100743169B1 KR 1020060047490 A KR1020060047490 A KR 1020060047490A KR 20060047490 A KR20060047490 A KR 20060047490A KR 100743169 B1 KR100743169 B1 KR 100743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erminal
terminal group
signal
transis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4419A (ko
Inventor
도시유키 가사이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4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1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83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current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 pass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09G3/324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being set using a data current provided by the data driver, e.g. by using a two-transistor current mirror
    • G09G3/3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being set using a data current provided by the data driver, e.g. by using a two-transistor current mirror the dat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riving transistor during a setting phase, e.g. by using a switch for connecting the driving transistor to the data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구동 회로에서의 기준 전류의 편차를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는 복수의 구동 회로(241)를 배열하여 이루어진다. 각 구동 회로(241)는 각각이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 1 단자 그룹(T1) 및 제 2 단자 그룹(T2)을 포함한다. 제 1 전류 생성부(311)는 제 1 단자 그룹(T1)의 입력 단자로의 입력 신호에 따른 기준 전류 Iref1을 생성한다. 제 2 전류 생성부(312)는 제 2 단자 그룹(T2)의 입력 단자로의 입력 신호에 따른 기준 전류 Iref1을 생성한다. 데이터 신호 생성부(35)는 기준 전류 Iref1 및 기준 전류 Iref2에 따른(이들 전류에 따라 정해지는 전위 Vref에 따른)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제 1 출력부(331)는 적어도 기준 전류 Iref2에 따른 신호를 제 1 단자 그룹(T1)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한다. 제 2 출력부(332)는 적어도 기준 전류 Iref1에 따른 신호를 제 2 단자 그룹(T2)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한다.
전기 광학 장치, 구동 회로, 반도체 칩, 입력 단자, 출력 단자

Description

전기 광학 장치, 그 구동 회로 및 전자 기기{ELECTRO-OPTICAL DEVICE, DRIVING CIRCUIT THEREOF,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각 전기 광학 소자의 배열 형태를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전기 광학 장치의 동작 개요(槪要)를 나타낸 타이밍차트.
도 4는 1개의 반도체 칩에 탑재된 구동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데이터 신호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6은 각 반도체 칩의 배열 형태를 예시한 회로도.
도 7은 각 반도체 칩의 배열 형태를 예시한 회로도.
도 8은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칩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칩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10은 변형예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1은 각 반도체 칩의 배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2는 노광 장치로서 이용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3은 변형예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화소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14는 데이터 신호 생성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 : 전기 광학 장치 10 : 소자 어레이부
12 : 주사선 14 : 데이터선
17 : 전기 광학 소자 22 : 주사선 구동 회로
24 : 데이터선 구동 회로 26 : 기준 설정 회로
C : 반도체 칩 T1 : 제 1 단자 그룹
T2 : 제 2 단자 그룹 Vin[1], Vin[2] : 전압 입력 단자
Iin[1], Iin[2] : 전류 입력 단자 Iout[1], Iout[2] : 전류 출력 단자
311 : 제 1 전류 생성부 312 : 제 2 전류 생성부
331 : 제 1 출력부 331, 332 : 제 2 출력부
43 : 전압 생성 트랜지스터 35 : 데이터 신호 생성부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이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라고 함)로 대표되는 발광 소자 등 각종 전기 광학 소자의 거동(擧動)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가 배열된 전기 광학 장치가 각종 전자 기기의 표시 장치나 노광 장치로서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 각 전기 광학 소자의 계조(예를 들어 휘도)는, 그 전기 광학 소자에 대응한 데이터선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복수의 데이터선에 대한 데이터 신호의 공급을 위해 복수의 반도체 칩이 이용되는 구성도 있다. 각 반도체 칩에서는, 그 반도체 칩에서 생성된 전류(이하 「기준 전류」라고 함)를 기준으로 하여 계조 데이터에 따른 데이터 신호가 생성된다.
다만, 각 반도체 칩에는 제조 프로세스에 기인한 특성(예를 들어 트랜지스터의 임계값 전압)의 개체 차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각 전기 광학 소자에 동일한 계조가 지정된 경우일지라도, 데이터 신호의 기초로 되는 기준 전류가 반도체 칩마다 상이함으로써 각 전기 광학 소자의 계조가 불균일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1개의 기준 전류 발생 회로에서 생성된 기준 전류를 모든 반도체 칩에 공통으로 공급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각 반도체 칩의 기준 전류에 따른 신호를 이것에 인접하는 반도체 칩에 공급하여 데이터 신호의 생성에 사용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2000-293245호 공보(단락 0008 및 도 1)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2005-49632호 공보(단락 0042 및 도 2)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기준 전류 발생 회로와 각 반도체 칩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배선이 길어지기 때문에, 기준 전류 발생 회로로부 터 각 반도체 칩에 공급되는 기준 전류가 주변 회로로부터의 노이즈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동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각 반도체 칩을 접속하는 비교적 짧은 배선을 통하여 기준 전류가 전송되기 때문에, 배선에서의 기준 전류 변동은 특허문헌 1의 구성보다도 억제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구성에서는, 각 반도체 칩의 특성 편차나 배선에서의 노이즈 중첩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각 반도체 칩에 걸친 전송 시마다 기준 전류가 누적적(累積的)으로 변동하게 된다. 따라서, 기준 전류의 수수(授受) 방향을 따라 하류 측의 반도체 칩에 공급되는 기준 전류일수록 소기의 전류값과의 어긋남이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 구동 회로에서의 기준 전류의 편차를 억제한다는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회로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광학 상태로 되는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회로로서,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각각이 포함하는 제 1 단자 그룹 및 제 2 단자 그룹과, 제 1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로의 입력 신호에 따른 제 1 기준 전류(예를 들어 도 4의 기준 전류 Iref1)를 생성하는 제 1 전류 생성부와, 제 2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로의 입력 신호에 따른 제 2 기준 전류(예를 들어 도 4의 기준 전류 Iref2)를 생성하는 제 2 전류 생성부와, 제 1 기준 전류 및 제 2 기준 전류에 따른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신호 생성부와, 적어도 제 2 기준 전류에 따른 신호를 제 1 단자 그 룹의 출력 단자에 출력하는 제 1 출력부와, 적어도 제 1 기준 전류에 따른 신호를 제 2 단자 그룹의 출력 단자에 출력하는 제 2 출력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의 구동 회로는, 예를 들어 각 구동 회로의 제 1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와 다른 구동 회로의 제 2 단자 그룹의 출력 단자가 도통(導通)하는 동시에 각 구동 회로의 제 1 단자 그룹의 출력 단자와 다른 구동 회로의 제 2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가 도통하도록 복수개가 인접하여 배치된다(예를 들어 도 7의 각 형태). 이 구성에 있어서, 제 i 번째 구동 회로에서의 기준 전류에 따른 신호를 제 2 단자 그룹의 출력 단자로부터 제 (i+1) 번째 구동 회로의 제 1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에 공급함으로써, 제 (i+1) 번째 구동 회로에서의 기준 전류가 제 i 번째 구동 회로의 기준 전류에 따라 조정된다. 또한, 제 (i+1) 번째 구동 회로에서의 기준 전류에 따른 신호를 제 1 단자 그룹의 출력 단자로부터 제 i 번째 구동 회로의 제 2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에 공급함으로써, 제 i 번째 구동 회로에서의 기준 전류가 제 (i+1) 번째 구동 회로의 기준 전류에 따라 조정된다(즉, 제 (i+1) 번째 구동 회로의 기준 전류가 제 i 번째 구동 회로의 기준 전류로 피드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구동 회로에서의 기준 전류가 그 구동 회로의 양측에 위치하는 구동 회로의 기준 전류에 따라 조정되도록(즉, 기준 전류가 구동 회로가 배열되는 방향에 따른 양방향에 걸쳐 전달되도록) 복수의 구동 회로를 배열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전류가 1개의 방향으로만 전달되는 특허문헌 2의 구성과 비교하여 각 구동 회로에서의 기준 전류의 상이를 저감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 있어서, 각 구동 회로의 제 2 단자 그룹의 출력 단자와 그 제 1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구동 회로의 제 1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가 도통하도록 복수의 구동 회로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예를 들어 도 6의 형태 (1a)나 형태 (2a)). 이 형태에서는, 제 i 번째 구동 회로에서의 기준 전류에 따른 신호를 제 2 단자 그룹의 출력 단자로부터 그 제 1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 (i+1) 번째 구동 회로의 제 1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에 공급함으로써, 제 (i+1) 번째 구동 회로의 기준 전류를 제 i 번째 구동 회로의 기준 전류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즉, 각 구동 회로의 기준 전류를 제 1 방향을 향하여 차례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각 구동 회로의 제 2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와 그 제 1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구동 회로의 제 1 단자 그룹의 출력 단자가 도통하도록 복수의 구동 회로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예를 들어 도 6의 형태 (1b)나 형태 (2b)). 이 구성에서는, 각 구동 회로의 기준 전류를 제 2 방향을 향하여 차례로 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각 구동 회로에서의 기준 전류의 조정 방향을 각각의 접속 형태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회로의 레이아웃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利點)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전기 광학 소자」는 전기 에너지의 공급에 의해 휘도나 투과율과 같은 광학적인 특성이 변화하는 소자이다. 본 발명에서의 전기 광학 소자의 전형적인 예는 OLED 소자로 대표되는 발광 소자이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1 단자 그룹 및 제 2 단자 그룹만이 특정되어 있지만, 입력 단자나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다른 단자 그룹을 포함한 구성도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제 1 전류 생성부 및 제 2 전류 생성부를 포함하 는 3개 이상의 전류 생성부를 구비한 구동 회로나, 제 1 출력부 및 제 2 출력부를 포함하는 3개 이상의 출력부를 구비한 구동 회로도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즉, 단자 그룹과 전류 생성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는 세트 중 2개 이상이 배치된 구성이면, 그 중 1개의 세트의 각부(各部)를 「제 1 단자 그룹」, 「제 1 전류 생성부」, 및 「제 1 출력부」로 파악하는 동시에 다른 1개의 세트의 각부를 「제 2 단자 그룹」, 「제 2 전류 생성부」, 및 「제 2 출력부」로 파악하면, 그 이외의 세트의 유무를 논의할 것도 없이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는, 반도체 칩(IC 칩)에 집적된 구동 회로이며, 제 1 단자 그룹의 각 단자는 반도체 칩의 1개의 에지(edge)를 따라 배치되고, 제 2 단자 그룹의 각 단자는 이것에 대향하는 에지를 따라 배치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반도체 칩 각각이 각 반도체 칩의 간극(間隙)에 위치하는 비교적 짧은 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배선에서의 노이즈 중첩에 기인한 각 반도체 칩에서의 기준 전류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자 그룹이나 제 2 단자 그룹의 각 단자가 반도체 칩의 에지를 따라 반드시 직선적으로 배열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제 1 단자 그룹의 각 단자가 데이터 신호 생성부에 대하여 한쪽 측에 배치되고, 제 2 단자 그룹의 각 단자가 데이터 신호 생성부에 대하여 다른쪽 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각 단자 그룹에서의 단자의 배치 형태 여하에 관계없이, 각 반도체 칩의 간극에 위치하는 배선을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제 1 전류 생성부는, 제 1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로의 입력 신호에 따른 제 1 전류를 생성하는 트랜지스터(예를 들어 도 4의 제 1 트랜지스터(41))와 상기 제 1 전류의 미러(mirror) 전류를 제 1 기준 전류로서 생성하는 트랜지스터(예를 들어 도 4의 제 2 트랜지스터(42))를 갖는 커런트(current) 미러 회로를 포함하고, 제 2 전류 생성부는, 제 2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로의 입력 신호에 따른 제 2 전류를 생성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전류의 미러 전류를 제 2 기준 전류로서 생성하는 트랜지스터를 갖는 커런트 미러 회로를 포함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입력 신호에 따른 기준 전류를 양호한 정밀도로 생성할 수 있다.
이 형태에 있어서, 제 1 전류 생성부는 제 1 기준 전류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게이트가 기준 전위선에 접속된 제 1 전압 생성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제 2 전류 생성부는 제 2 기준 전류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게이트가 기준 전위선에 접속된 제 2 전압 생성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데이터 신호 생성부는 기준 전위선의 전위(실시예에서의 전위 Vref)를 기준으로 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기준 전위선의 전위가 제 1 기준 전류 및 제 2 기준 전류의 양쪽에 따라 조정되기 때문에, 각 구동 회로에서 데이터 신호 생성의 기준으로 되는 기준 전위선의 전위를 균형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전류 생성부의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하는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제 2 전류 생성부의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하는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서로 접속된 구성에 의하면, 제 1 기준 전류와 제 2 기준 전류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균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형태의 구동 회로를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로서도 특정 된다. 즉, 이 전기 광학 장치는 각각이 데이터선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광학 상태로 되는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와, 본 발명의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복수의 구동 회로를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와, 각 구동 회로에서의 제 1 단자 그룹의 출력 단자와 상기 구동 회로에 인접하는 다른 구동 회로에서의 제 2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를 서로 접속하는 제 1 배선(예를 들어 도 6이나 도 7에서의 제 1 배선(L1) 및 제 2 배선(L2) 중 한쪽)을 구비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동 회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각 구동 회로의 배열에 따른 양방향에 걸쳐 기준 전류의 조정이 실시되도록, 각 구동 회로에서의 제 1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와 상기 구동 회로에 인접하는 다른 구동 회로에서의 제 2 단자 그룹의 출력 단자를 서로 접속하는 제 2 배선(예를 들어 도 6이나 도 7에서의 제 1 배선(L1) 및 제 2 배선(L2) 중 다른쪽)을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형태는 예를 들어 도 7에 예시된다. 또한, 복수의 구동 회로 각각이 반도체 칩에 집적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된 구성 하에서, 각 반도체 칩에서는 소정의 방향에 따른 한쪽 측에 제 1 단자 그룹의 각 단자가 배치되고, 소정의 방향에 따른 다른쪽 측에 제 2 단자 그룹의 각 단자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반도체 칩의 간극에 위치하는 비교적 짧은 배선에 의해 각 구동 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각 기준 전류의 기준으로 되는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설정 수단이 설치되고, 복수의 구동 회로 중 적어도 1개의 구동 회로의 입력 단자에는 기준 설정 수단이 생성한 전압 신호가 공급된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각 기준 전류의 기준으로 되는 전류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설정 수단이 설치되고, 복수의 구동 회로 중 적어도 1개의 구동 회로의 입력 단자에는 기준 설정 수단이 생성한 전류 신호가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각종 전자 기기에 이용된다. 이 전자 기기의 전형적인 예는 전기 광학 장치를 표시 장치로서 이용한 기기이다. 이러한 전자 기기로서는,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기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용도는 화상의 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선의 조사에 의해 감광체 드럼 등의 상담지체에 잠상(潛像)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장치(노광 헤드)로서도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A :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전기 광학 장치(D)는 다수의 전기 광학 소자(17)가 면 형상으로 배열된 소자 어레이부(10)와, 각 전기 광학 소자(17)를 구동하기 위한 주사선 구동 회로(22)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24)와, 데이터선 구동 회로(24)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설정 회로(26)를 갖는다.
도 2는 각 전기 광학 소자(17) 근방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 어레이부(10)에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사선(12)과, X방향과 교차하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데이터선(14)이 형성된다. 각 전기 광학 소자(17)는 주사선(12)과 데이터선(14)의 각 교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다. 이들 전기 광학 소자(17)는 예를 들어 저분자 또는 고분자, 덴드리머(dendrimer)와 같은 유기 EL(ElectroLuminescent) 재료로 이루어지는 발광층을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介在)시킨 OLED 소자(발광 소자)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기 광학 장치(D)는, 전기 광학 소자(17)의 양극(陽極)이 데이터선(14)에 접속되는 동시에 음극이 주사선(12)에 접속된 패시브(passive) 매트릭스형 발광 장치이다.
주사선 구동 회로(22)는 복수의 주사선(12)의 각각을 차례로 선택하는 회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선 구동 회로(22)가 선택한 주사선(12)의 전위는 로우(low) 레벨로 설정되고, 비선택 주사선(12)의 전위는 하이(high) 레벨로 설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 어레이부(10)에 형성된 복수의 데이터선(14)은 n개를 단위로 하여 N개의 블록(B(B1, B2, …, BN))으로 구분된다(n 및 N은 모두 자연수). 데이터선 구동 회로(24)는 각각이 별개의 블록(B)에 대응하는 N개의 반도체 칩(C(C1, C2, …, CN))을 포함한다. 각 반도체 칩(C)은 평면적인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긴 변을 X방향을 향하게 한 자세에서 각각이 X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각 반도체 칩(C)은 배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지만, 그 접속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도 4는 반도체 칩(C(C1 내지 CN의 각각))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한, 도 4에서는 1개의 반도체 칩(C)만이 예시되어 있지만, 데이터선 구동 회로(24)를 구성하는 모든 반도체 칩(C(C1 내지 CN))은 동일한 구성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칩(C)은 이것에 대응하는 블록(B)의 각 데 이터선(14)에 대하여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회로(241)를 포함한다. 각 데이터선(14)에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는, 주사선 구동 회로(22)가 선택한 주사선(12)과 그 데이터선(14)의 교차에 대응한 전기 광학 소자(17)의 계조에 따른 전류 신호이다. 각 전기 광학 소자(17)의 계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계조 데이터(G)에 의해 지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주사 기간에서 주사선 구동 회로(22)가 선택한 전기 광학 소자(17)는 그 수평 주사 기간에서 데이터선(14)을 통하여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휘도로 발광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회로(241)는 제 1 단자 그룹(T1) 및 제 2 단자 그룹(T2)과, 제 1 전류 생성부(311) 및 제 2 전류 생성부(312)와, 제 1 출력부(331) 및 제 2 출력부(332)와, 1개의 블록(B)에 속하는 데이터선(14)의 총 개수에 상당하는 n개의 데이터 신호 생성부(35)를 포함한다.
제 1 단자 그룹(T1)은 전압 입력 단자(Vin[1])와 전류 입력 단자(Iin[1])와 전류 출력 단자(Iout[1])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단자 그룹(T2)은 전압 입력 단자(Vin[2])와 전류 입력 단자(Iin[2])와 전류 출력 단자(Iout[2])를 포함한다. 전압 입력 단자(Vin[1] 및 Vin[2])의 각각은 외부(기준 설정 회로(26) 또는 다른 반도체 칩(C))로부터 전압 신호가 공급되는 단자이고, 전류 입력 단자(Iin[1] 및 Iin[2])의 각각은 외부로부터 전류 신호가 공급되는 단자이다. 한편, 전류 출력 단자(Iout[1] 및 Iout[2])의 각각은 전류 신호를 외부(다른 반도체 칩(C))에 출력하기 위한 단자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자 그룹(T1)에 속하는 각 단자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반도체 칩(C) 중 1개의 짧은 변(a)을 따라 배열된 다. 한편, 제 2 단자 그룹(T2)에 속하는 각 단자는 이 짧은 변(a)과는 반대측인 짧은 변(b)을 따라 배열된다. 따라서, 제 j 단째 반도체 칩(Cj(j는 1≤j≤N를 충족시키는 정수))의 제 1 단자 그룹(T1)은 그 X방향의 마이너스 측에 인접하는 반도체 칩(Cj-1)의 제 2 단자 그룹(T2)과 인접하고, 반도체 칩(Cj)의 제 2 단자 그룹(T2)은 그 X방향의 플러스 측에 인접하는 반도체 칩(Cj+1)의 제 1 단자 그룹(T1)과 인접한다.
제 1 전류 생성부(311) 및 제 2 전류 생성부(312)는 데이터 신호의 전류값의 기준으로 되는 기준 전류 Iref(Iref1, Iref2)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이다. 제 1 전류 생성부(311) 및 제 2 전류 생성부(312)의 각각은 n채널형 제 1 트랜지스터(41) 및 제 2 트랜지스터(42)와, p채널형 전압 생성 트랜지스터(43)를 포함한다. 제 1 트랜지스터(41)의 게이트와 드레인은 접속된다. 제 1 트랜지스터(41) 및 제 2 트랜지스터(42)의 소스는 모두 접지된다. 제 1 트랜지스터(41)와 제 2 트랜지스터(42)는 각각의 게이트가 서로 접속되어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한다. 한편, 전압 생성 트랜지스터(43)는 게이트 및 드레인의 양쪽이 제 2 트랜지스터(42)의 드레인에 접속되는 동시에 소스가 전원선(19)에 접속된다. 전원선(19)에는 전원의 고위측 전위가 공급된다. 또한, 제 1 전류 생성부(311) 및 제 2 전류 생성부(312) 각각의 전압 생성 트랜지스터(43)는 게이트가 기준 전위선(37)에 대하여 공통으로 접속된다.
제 1 단자 그룹(T1)의 전압 입력 단자(Vin[1])는 제 1 전류 생성부(311)에 포함되는 제 1 트랜지스터(41)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제 1 단자 그룹(T1)의 전류 입력 단자(Iin[1])는 이 제 1 트랜지스터(41)의 드레인에 접속된다. 따라서, 전압 입력 단자(Vin[1])에 공급되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입력 단자(Iin[1])에 공급되는 전류 신호에 따른 전류 I1이 제 1 전류 생성부(311)의 제 1 트랜지스터(41)에 흐른다. 그리고, 이 전류 I1에 대응한 미러 전류(예를 들어 전류 I1과 동일한 전류)가 기준 전류 Iref1로서 제 1 전류 생성부(311)의 전압 생성 트랜지스터(43) 및 제 2 트랜지스터(42)에 흐른다.
제 2 단자 그룹(T2)의 각 단자와 제 2 전류 생성부(312) 각부의 관계도 동일하다. 따라서, 제 2 단자 그룹(T2)의 전압 입력 단자(Vin[2]) 또는 전류 입력 단자(Iin[2])에 공급되는 신호에 따른 전류 I2가 제 1 트랜지스터(41)에 흐르고, 이 전류 I2의 미러 전류인 기준 전류 Iref2가 제 2 전류 생성부(312)의 전압 생성 트랜지스터(43) 및 제 2 트랜지스터(42)에 흐른다. 이상과 같이, 제 1 전류 생성부(311)의 전압 생성 트랜지스터(43)에 기준 전류 Iref1이 흐르는 동시에 제 2 전류 생성부(312)의 전압 생성 트랜지스터(43)에 기준 전류 Iref2가 흐름으로써, 기준 전위선(37)은 기준 전류 Iref1 및 기준 전류 Iref2에 따른 전위 Vref로 된다.
도 4에 도시된 각 데이터 신호 생성부(35)는, 계조 데이터(G)(본 실시예에서는 8비트의 디지털 데이터)에 의해 지정된 계조에 따른 전류값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이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출력 단자(351)로부터 데이터선(14)에 출력하는 회로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1개의 데이터 신호 생성부(35)는 계조 데이터(G)의 비트 수에 상당하는 8개의 트랜지스터(Ta(Ta0 내지 Ta7))와, 각각의 드레인이 트랜지스터(Ta)의 소스에 접속된 8개의 트랜지스터(Tb(Tb0 내 지 Tb7))를 갖는 D/A 변환기이다.
트랜지스터(Ta0 내지 Ta7) 각각의 게이트에는 계조 데이터(G)의 각 비트(D0 내지 D7)가 공급된다. 또한, 1개의 데이터 신호 생성부(35)에 속하는 트랜지스터(Ta0 내지 Ta7)의 드레인은 데이터 출력 단자(351)를 통하여 데이터선(14)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한편, 각 트랜지스터(Tb)는, 소스가 전원선(19)에 접속되는 동시에 게이트가 기준 전위선(37)에 접속된다. 따라서, 각 트랜지스터(Tb)에는 기준 전위선(37)의 전위 Vref에 따른 전류가 흐른다. 트랜지스터(Tb0 내지 Tb7)의 특성(특히 이득계수)은, 각각의 게이트에 공통 전위 Vref가 공급되었을 때에 각 트랜지스터(Tb)에 흐르는 전류가 2의 거듭제곱에 대응한 비율(Tb0:Tb1:Tb2:Tb3:Tb4:Tb5:Tb6:Tb7=1:2:4:8:16:32:64:128)로 되도록 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8개의 트랜지스터(Ta0 내지 Ta7) 중 계조 데이터(G)에 따른 트랜지스터(Ta)가 선택적으로 온(on) 상태로 된다. 이렇게 하여 온 상태로 된 트랜지스터(Ta)에 대응한 1개 이상의 트랜지스터(Tb)에 전류가 흐르고, 이들 전류의 가산(加算)에 상당하는 전류 신호가 데이터 신호로서 데이터 출력 단자(351)로부터 데이터선(14)에 출력된다. 각 트랜지스터(Tb)의 전류는 기준 전위선(37)의 전위 Vref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데이터 신호 생성부(35)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 신호는 전위 Vref에 따른 전류값으로 된다.
제 1 출력부(331) 및 제 2 출력부(332)의 각각은 p채널형 트랜지스터(44)를 포함한다. 제 1 출력부(331)의 트랜지스터(44)는 소스가 전원선(19)에 접속되는 동시에 드레인이 제 1 단자 그룹(T1)의 전류 출력 단자(Iout[1])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출력부(332)의 트랜지스터(44)는 소스가 전원선(19)에 접속되는 동시에 드레인이 제 2 단자 그룹(T2)의 전류 출력 단자(Iout[2])에 접속된다. 각 트랜지스터(44)의 게이트는 기준 전위선(37)에 대하여 공통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전위 Vref에 따른 전류 신호가 제 1 출력부(331)를 통하여 전류 출력 단자(Iout[1])로부터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전위 Vref에 따른 전류 신호가 제 2 출력부(332)를 통하여 전류 출력 단자(Iout[2])로부터 출력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제 1 단자 그룹(T1)의 전류 입력 단자(Iin[1])에 대한 전류 신호 또는 전압 입력 단자(Vin[1])에 대한 전압 신호에 따른 기준 전류 Iref1이 제 1 전류 생성부(311)에 의해 생성되고, 이 기준 전류 Iref1에 따른 전위 Vref가 기준 전위선(37)에 공급된다. 이 전위 Vref는 각 데이터 신호 생성부(35)에서 데이터 신호의 기준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전위 Vref가 제 2 전류 생성부(312)의 전압 생성 트랜지스터(43)의 게이트에 공급됨으로써 그 바로 아래의 제 2 트랜지스터(42)에는 전위 Vref에 따른 기준 전류 Iref2가 흐르는 한편, 이 전위 Vref에 따른 전류 신호가 제 2 출력부(332)의 트랜지스터(44)를 통하여 제 2 단자 그룹(T2)의 전류 출력 단자(Iout[2])로부터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반도체 칩(C)에서는, 첫째로, 제 1 단자 그룹(T1)의 입력 단자(Iin[1] 또는 Vin[1])로의 입력 신호에 따른 기준 전류 Iref1이 생성되고, 둘째로, 이 기준 전류 Iref1에 따른 데이터 신호가 생성 및 출력되며, 셋째로, 기준 전류 Iref1에 따른(더 나아가서는, 기준 전류 Iref1로부터 생성된 기준 전류 Iref2에 따른) 전류 신호 가 제 2 단자 그룹(T2)의 전류 출력 단자(Iout[2])로부터 외부에 출력된다. 제 2 단자 그룹(T2)의 전류 입력 단자(Iin[2])에 대한 전류 신호의 입력 또는 전압 입력 단자(Vin[2])에 대한 전압 신호의 입력이 실행된 경우도 동일하다. 즉, 이 경우에는, 첫째로, 제 2 단자 그룹(T2)으로의 입력 신호에 따른 기준 전류 Iref2가 생성되고, 둘째로, 이 기준 전류 Iref2에 따른 데이터 신호가 생성 및 출력되며, 셋째로, 기준 전류 Iref2(및 기준 전류 Iref1)에 따른 전류 신호가 제 1 단자 그룹(T1)의 전류 출력 단자(Iout[1])로부터 외부에 출력된다.
도 1에 나타낸 기준 설정 회로(26)는, 기준 전위선(37)의 전위 Vref를 지정하기 위한 신호를 적어도 1개의 반도체 칩(C)(이하에서는 특별히 「마스터 칩(master chip)」이라고 함)에 공급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의 기준 설정 회로(26)로서는, 전위 Vref의 기준으로 되는 전압 신호를 마스터 칩에 공급하는 타입(이하 「전압 출력형」이라고 함) 및 전위 Vref의 기준으로 되는 전류 신호를 마스터 칩에 공급하는 타입(이하 「전류 출력형」이라고 함) 중 어느 하나가 설계 시에 선정된 후에 채용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24)를 구성하는 N개의 반도체 칩(C1 내지 CN) 중 마스터 칩 이외의 반도체 칩(C)을 「슬레이브 칩(slave chip)」이라고 한다.
<B : 각 반도체 칩(C)의 배치 및 접속 형태>
도 1에 나타낸 데이터선 구동 회로(24)는 상술한 복수의 반도체 칩(C)을 서로 접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각 반도체 칩(C)을 도 6 또는 도 7에 예시된 각 형태와 같이 배치 및 접속함으로써 데이터선 구동 회로(24)가 구성된다. 실제 데이터선 구동 회로(24)의 구성은 전기 광학 장치(D) 각부의 레이아웃이나 치수, 전기 광학 장치(D)와 외부를 접속하기 위한 단자(도시 생략)의 위치, 또는 기준 설정 회로(26)가 전압 출력형인지 전류 출력형인지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이하에 예시되는 형태나 그 이외의 형태 중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1) 제 1 형태
도 6에 도시된 형태 (1a) 및 형태 (1b)의 각각은 기준 설정 회로(26)가 전압 출력형인 경우의 데이터선 구동 회로(24)의 구성이다. 이 중 형태 (1a)에서는, 각 반도체 칩(Cj)의 제 2 단자 그룹(T2)의 전류 출력 단자(Iout[2])와 그 X방향의 플러스 측에 인접하는 반도체 칩(Cj+1)의 제 1 단자 그룹(T1)의 전류 입력 단자(Iin[1])가 제 1 배선(L1)을 통하여 서로 접속된다. X방향의 가장 마이너스 측에 위치하는 반도체 칩(C1)은, 그 전압 입력 단자(Vin[1])에 기준 설정 회로(26)로부터의 전압 신호 Sv0이 입력됨으로써 마스터 칩으로서 작용한다. 이 마스터 칩에서는, 전압 신호 Sv0의 전압값에 따른 기준 전류 Iref1 및 전위 Vref가 생성된 후에, 이 전위 Vref를 기준으로 한 데이터 신호가 생성되는 동시에 전위 Vref에 따른 전류 신호 Si[2]가 전류 출력 단자(Iout[2])로부터 차단(次段)의 슬레이브 칩(반도체 칩(C2))의 전류 입력 단자(Iin[1])에 공급된다.
한편, 각 슬레이브 칩에서는, 전단(前段)의 반도체 칩(C)으로부터 입력된 전류 신호 Si[2]에 따른 기준 전류 Iref1 및 전위 Vref의 생성과, 이 전위 Vref에 따른 데이터 신호 및 전류 신호 Si[2]의 출력이 실행된다. 즉, 각 반도체 칩(C(슬레이브 칩))의 기준 전류 Iref1을 결정하는 전류 신호 Si[2]가 X방향의 마이너스 측 으로부터 플러스 측을 향하여 각 반도체 칩(C)을 차례로 전파하여 간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과 비교하여 각 반도체 칩(C) 사이의 배선(제 1 배선(L1))이 단축되기 때문에, 각 반도체 칩(C)을 연결하는 배선에서의 노이즈에 기인한 기준 전류 Iref1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형태 (1b)에서는, 기준 설정 회로(26)에 의한 전압 신호 Sv0의 공급에 의해 X방향의 가장 플러스 측의 반도체 칩(CN)이 마스터 칩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기준 전류 Iref2에 따라 각 반도체 칩(Cj)의 전류 출력 단자(Iout[1])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신호 Si[1]이 제 2 배선(L2)을 통하여 그 X방향의 마이너스 측에 위치하는 반도체 칩(Cj-1)의 전류 입력 단자(Iin[2])에 입력된다. 즉, 형태 (1b)에서는, 형태 (1a)와는 반대로, 전위 Vref를 결정하는 전류 신호 Si[1]이 X방향의 플러스 측으로부터 마이너스 측을 향하여 차례로 전파하여 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의 구성의 반도체 칩(C)을 이용하면, 마스터 칩으로 되는 반도체 칩(C)이나 전류 신호 Si(Si[1] 또는 Si[2])의 전파 방향을 각각의 배선 형태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즉, 반도체 칩(C1)을 마스터 칩으로 하여 전류 신호 Si[2]를 X방향의 플러스 측에 전송하는 구성(형태 (1a))과, 반도체 칩(CN)을 마스터 칩으로 하여 전류 신호 Si[1]을 X방향의 마이너스 측에 전송하는 구성(형태 (1b))에서 완전히 동일한 구성의 반도체 칩(C)을 공용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선 구동 회로(24)의 설계 변경에 필요한 비용을 저감하면서 데이터선 구동 회로(24)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2) 제 2 형태
도 6의 형태 (2a) 및 형태 (2b)의 각각은 기준 설정 회로(26)가 전류 출력형인 경우에 채용되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24)의 구성이다. 이 중 형태 (2a)에서는, 기준 설정 회로(26)에 의한 전류 신호 Si0의 공급에 의해 X방향의 가장 마이너스 측의 반도체 칩(C1)이 마스터 칩으로 된다. 그리고, 형태 (1a)와 마찬가지로, 각 반도체 칩(Cj)의 전류 출력 단자(Iout[2])로부터 그 X방향의 플러스 측의 반도체 칩(Cj+1)의 전류 입력 단자(Iin[1])에 전류 신호 Si[2]가 차례로 공급된다. 한편, 형태 (2b)에서는, X방향의 가장 플러스 측에 위치하는 반도체 칩(CN)이 마스터 칩으로 되고, 서로 인접하는 각 반도체 칩(C) 사이에서 전류 신호 Si[1]이 X방향의 마이너스 측으로 전파하여 간다.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도 4의 구성의 반도체 칩(C)을 이용하면, 전압 출력형 기준 설정 회로(26)가 채용된 구성과 전류 출력형 기준 설정 회로(26)가 채용된 구성에서 완전히 동일한 구성의 반도체 칩(C)을 공용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도,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설계 변경 비용을 필요로 하지 않고 데이터선 구동 회로(24)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3) 제 3 형태
도 7의 형태 (3a) 및 형태 (3b)의 각각은 기준 설정 회로(26)가 전압 출력형인 경우에 채용되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24)의 구성이다. 이 중 형태 (3a)에서는, X방향의 가장 마이너스 측에 위치하는 반도체 칩(C1)이 전압 신호 Sv0의 공급에 의해 마스터 칩으로 된다. 또한, 각 반도체 칩(Cj(여기서는 C1 내지 CN-1))과 그 X방향의 플러스 측에 인접하는 반도체 칩(Cj+1)에 주목하면, 반도체 칩(Cj)의 전류 출력 단자(Iout[2])와 반도체 칩(Cj+1)의 전류 입력 단자(Iin[1])가 제 1 배선(L1)을 통하여 접속되고, 반도체 칩(Cj)의 전류 입력 단자(Iin[2])와 반도체 칩(Cj+1)의 전류 출력 단자(Iout[1])가 제 2 배선(L2)을 통하여 접속된다.
따라서, 각 반도체 칩(Cj)에서는, 그 전단의 반도체 칩(Cj-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신호 Si[2](반도체 칩(C1)에 대해서는 기준 설정 회로(26)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신호 Sv0)에 따른 기준 전류 Iref1이 생성되는 동시에, 그 후단(後段)의 반도체 칩(Cj+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신호 Si[1]에 따른 기준 전류 Iref2가 생성된다. 즉, 본 형태에서는, 반도체 칩(Cj)의 기준 전류 Iref1에 따른 전류 신호 Si[2]가 그 후단의 반도체 칩(Cj+1)의 기준 전류 Iref1의 기초로 되는 한편, 이 반도체 칩(Cj+1)로부터 출력된 전류 신호 Si[1]이 반도체 칩(Cj)에서의 기준 전류 Iref2의 생성을 위해서 피드백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반도체 칩(C)의 특성에 개체 차가 있을 경우에는, 1개의 반도체 칩(Cj)에 공급되는 전류 신호 Si[1]과 전류 신호 Si[2]의 전류값 상이에 기인하여 기준 전류 Iref1과 기준 전류 Iref2가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일지라도, 기준 전위선(37)의 전위 Vref는 기준 전류 Iref1과 기준 전류 Iref2에 따른 레벨로 수속적(收束的)으로 균형되기 때문에, 각 반도체 칩(C)에서의 전위 Vref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즉, 기준 전류가 1개의 방향으로만 전파되는 특허문헌 2의 구성에서는 그 전파 시마다 누적적으로 기준 전류의 어긋남이 증대되는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각 구동 회로(241)에 대하여 그 배열에 따른 양방향으로부터 전위 Vref가 조정되기 때문에, 각 반도체 칩(C)에서의 전위 Vref를 균등화하고, 이것에 의해 소자 어레이부(10)에 서의 계조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7에 형태 (3b)로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X방향의 가장 마이너스 측의 반도체 칩(C1)에서의 전압 입력 단자(Vin[1])와 가장 플러스 측의 반도체 칩(CN)에서의 전압 입력 단자(Vin[2])에 대하여 기준 설정 회로(26)로부터 공통의 전압 신호 Sv0이 공급되는 구성(즉, 반도체 칩(C1 및 CN)의 양쪽이 마스터 칩으로서 기능하는 구성)도 채용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형태 (3a)와 비교하여 각 반도체 칩(C)에서의 기준 전위선(37)의 전위 Vref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균등한 레벨로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형태 (3a)에서는 마스터 칩에 전압 신호 Sv0이 입력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도 7에 형태 (4a)로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각 반도체 칩(C)이 형태 (3a)와 동일하게 배열 및 접속된 구성 하에서, 마스터 칩에 전류 신호 Si0을 입력하는 전류 출력형 기준 설정 회로(26)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 형태 (4b)로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양단(兩端)에 위치하는 각 반도체 칩(C(C1 및 CN))에 대하여 동일한 값의 전류 신호 Si0이 각각 공급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반도체 칩(C)끼리에서 양방향에 걸쳐 전류 신호(Si[1] 및 Si[2])가 수수(授受)되는 구성 하에서도, 기준 설정 회로(26)가 전류 출력형 및 전압 출력형 중 어느 것인지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의 반도체 칩(C)을 범용(汎用)할 수 있다.
<C : 변형예>
이상의 각 형태에는 다양한 변형을 부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변형의 형태 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이하의 각 형태를 적절히 조합시킬 수도 있다.
(1) 변형예 1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각 단자 그룹(T(제 1 단자 그룹(T1), 제 2 단자 그룹(T2))이 전압 입력 단자(Vin(Vin[1], Vin[2]))와 전류 입력 단자(Iin(Iin[1], Iin[2]))와 전류 출력 단자(Iout(Iout[1], Iout[2]))를 포함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각 단자 그룹(T)을 구성하는 단자의 형태는 이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자 그룹(T)이 전류 입력 단자(Iin) 및 전류 출력 단자(Iout)로 이루어지는 구성(즉, 도 4의 구성으로부터 전압 입력 단자(Vin)가 생략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자 그룹(T)이 전압 입력 단자(Vin) 및 전류 출력 단자(Iout)로 이루어지는 구성(즉, 도 4의 구성으로부터 전류 입력 단자(Iin)가 생략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단자 그룹(T) 각각이 적어도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1개의 단자 그룹(T)을 구성하는 입력 단자나 출력 단자의 개수, 또는 각각에 입출력되는 신호가 전압 신호 및 전류 신호 중 어느 것인지는 임의로 변경된다.
(2) 변형예 2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류 생성부(311)의 제 1 트랜지스터(41) 및 제 2 트랜지스터(42) 각각의 게이트와, 제 2 전류 생성부(312)의 제 1 트랜지스터(41) 및 제 2 트랜지스터(42) 각각의 게이트가 배선(L)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전류 생성부(311)에서 생성 되는 기준 전류 Iref1과 제 2 전류 생성부(312)에서 생성되는 기준 전류 Iref2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3) 변형예 3
도 6 및 도 7에서는 X방향의 단부에 위치하는 반도체 칩(C)이 마스터 칩으로 된 구성을 예시했지만, 마스터 칩의 위치는 임의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하는 반도체 칩(C)이 전압 신호 Sv0 또는 전류 신호 Si0의 공급에 의해 마스터 칩으로 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24)를 구성하는 모든 반도체 칩(C(구동 회로(24))이 반드시 공통의 구성일 필요는 없고, 또한 1개의 반도체 칩(C)에 형성되는 단자 그룹(T)의 총수(總數)도 임의로 변경된다.
(4) 변형예 4
전기 광학 소자(17)를 소기의 계조로 구동하기 위한 각부의 구성은 임의이다. 예를 들어 이하에 예시하는 제 1 및 제 2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4-1) 제 1 형태
도 12는 프린터의 노광 헤드(라인 헤드)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17)가 X방향(즉, 용지 등의 기록재의 주(主)주사 방향)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주사선(12)이나 주사선 구동 회로(22)는 설치되지 않는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기 광학 소자(17)의 양극은 이것에 대응하는 데이터선(14)에 접속되고, 각 전기 광학 소자(17)의 음극은 접지선 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계조 데이터(G)에 따른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선 구동 회로(24)로부터 각 데이터선(14)에 대하여 차례로 출력됨으로써 각 전기 광학 소자(17)는 계조 데이터(G)에 따른 계조로 제어된다. 이와 같이, 주사선(12)이나 그 각각을 구동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22)가 본 발명에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는 아니다.
(4-2) 제 2 형태
각 전기 광학 소자(17)의 계조를 제어하기 위한 화소 회로가 전기 광학 소자(17)마다 형성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전기 광학 장치(D)에도 본 발명은 적용된다. 도 13은 1개의 화소 회로(P)의 구체적인 형태를 예시한 회로도이다. 도 13의 화소 회로(P)는 도 1에 도시된 주사선(12)과 데이터선(14)의 교차에 대응하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다.
도 13에 도시된 p채널형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전기 광학 소자(17)에 공급되는 전류 Iel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전기 광학 소자(17)는 그 양극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드레인에 접속되는 동시에 음극이 접지선에 접속된다.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와 드레인 사이에는 p채널형 트랜지스터(51)가 삽입되고,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는 용량 소자(52)가 삽입된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는 p채널형 선택 트랜지스터(53)의 드레인에 접속된다. 이 선택 트랜지스터(53)는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와 데이터선(14)의 도통 및 비도통을 전환하는 수단이며, 소스가 데이터선(14)에 접속된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와 전원선 사이에는 n채널형 트랜지스터(54)가 삽입된 다. 트랜지스터(51), 선택 트랜지스터(53), 및 트랜지스터(54)의 각각의 게이트는 주사선(12)에 대하여 공통으로 접속된다.
이 구성 하에서, 수평 주사 기간에서 주사선(12)이 로우 레벨로 설정되면, 트랜지스터(51)가 온 상태로 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dr)가 다이오드 접속되는 동시에, 선택 트랜지스터(53)가 온 상태로 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가 데이터선(14)에 접속된다. 따라서, 구동 트랜지스터(Tdr)에는 데이터 신호가 흐르고, 이 때의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전압(즉, 데이터 신호에 따른 전압)이 용량 소자(52)에 유지된다.
한편, 수평 주사 기간이 경과하여 주사선(12)이 하이 레벨로 설정되면, 트랜지스터(51) 및 선택 트랜지스터(53)가 오프(off) 상태로 천이(遷移)되지만, 직전의 수평 주사 기간에서 용량 소자(52)에 유지된 전압은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계속적으로 인가된다. 한편, 하이 레벨로 된 주사선(12)에 의해 트랜지스터(54)는 온 상태로 천이된다. 따라서, 용량 소자(52)의 전압에 따른 전류(즉, 직전의 수평 주사 기간에서의 데이터 신호에 따른 전류) Iel이 전원선으로부터 트랜지스터(54) 및 구동 트랜지스터(Tdr)를 경유하여 전기 광학 소자(17)에 공급된다. 전기 광학 소자(17)는 이 전류 Iel에 대응한 휘도로 발광한다.
(5) 변형예 5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아날로그 전류 신호인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계조 데이터(G)로부터 생성하는 D/A 변환기를 데이터 신호 생성부(35)로서 예시했지만, 데이터 신호의 형태나 이것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의 구성은 도 5의 예시에 한정되지 않 는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폭 변조 방식에 의해 전기 광학 소자(17)를 구동하는 데이터 신호 생성부(35)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된 트랜지스터(Tc)는 게이트가 기준 전위선(37)에 접속되는 동시에 소스가 전원선(19)에 접속된 p채널형 트랜지스터이다. 한편, 트랜지스터(Td)는 트랜지스터(Tc)의 드레인과 데이터 출력 단자(351)(더 나아가서는, 데이터선(14))의 도통 및 비도통을 신호 SPWM에 따라 제어하는 p채널형 트랜지스터이다. 신호 SPWM은 예를 들어 계조 데이터(G)에 의해 고계조가 지정될수록, 로우 레벨(즉, 트랜지스터(Td)를 온 상태로 하는 레벨)의 시간 밀도가 높아지도록 계조 데이터(G)에 따라 생성된다. 이 구성에서는, 트랜지스터(Td)가 온 상태로 되는 기간에서 선택적으로 기준 전위선(37)의 전위 Vref에 따른 전류가 트랜지스터(Tc) 및 트랜지스터(Td)를 경유하여 데이터선(14)에 출력된다. 즉, 계조 데이터(G)에 따른 시간 밀도의 펄스 신호가 데이터 신호로서 출력된다. 이 구성에서도, 전기 광학 소자(17)는 계조 데이터(G)에 따른 계조(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의 시간 밀도에 따른 휘도)로 제어된다. 또한, 도 14의 데이터 신호 생성부(35)는 도 2나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선(14)의 데이터 신호가 전기 광학 소자(17)에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구성에 대하여 특히 적합하다.
(6) 변형예 6
이상의 설명에서는 OLED 소자를 이용한 전기 광학 장치(D)를 예시했지만, 이것 이외의 전기 광학 소자를 이용한 전기 광학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된다. 예를 들어 무기 EL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표면 도전형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SED: 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탄도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BSD: Ballistic electron Surface emitting Display),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표시 장치 등 각종 전기 광학 장치에 본 발명은 적용된다.
<D : 응용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를 이용한 전자 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D)를 표시 장치로서 채용한 모바일형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퍼스널 컴퓨터(2000)는 표시 장치로서의 전기 광학 장치(D)와 본체부(2010)를 구비한다. 본체부(2010)에는 전원 스위치(2001) 및 키보드(20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D)는 전기 광학 소자(17)에 OLED 소자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시야각(視野角)이 넓어 보기 쉬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6에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D)를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휴대 전화기(3000)는 복수의 조작 버튼(3001) 및 스크롤 버튼(3002), 표시 장치로서의 전기 광학 장치(D)를 구비한다. 스크롤 버튼(3002)을 조작함으로써, 전기 광학 장치(D)에 표시되는 화면이 스크롤된다.
도 17에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D)를 적용한 휴대 정보 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의 구성을 나타낸다. 휴대 정보 단말(4000)은 복수의 조작 버튼(4001) 및 전원 스위치(4002), 표시 장치로서의 전기 광학 장치(D)를 구비한다. 전원 스위치(4002)를 조작하면, 주소록이나 일정표와 같은 각종 정보가 전기 광학 장치(D)에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 기기로서는,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낸 것 이외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 텔레비전, 비디오 카메라, 카 네비게이션 장치, 소형 무선 호출기, 전자수첩, 전자종이, 전자계산기, 워드프로세서, 워크스테이션, 텔레비전 전화, POS 단말,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비디오플레이어, 터치패널을 구비한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용도는 화상의 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기입형 프린터나 전자 복사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용지 등의 기록재에 형성되어야 할 화상에 따라 감광체를 노광하는 기입 헤드가 사용되지만, 이러한 기입 헤드로서도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특히 도 12에 도시된 형태)는 이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구동 회로에서의 기준 전류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2)

  1. 데이터 신호에 따른 광학(光學) 상태로 되는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회로로서,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각각이 포함하는 제 1 단자 그룹 및 제 2 단자 그룹과,
    상기 제 1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로의 입력 신호에 따른 제 1 기준 전류를 생성하는 제 1 전류 생성부와,
    상기 제 2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로의 입력 신호에 따른 제 2 기준 전류를 생성하는 제 2 전류 생성부와,
    상기 제 1 기준 전류 및 상기 제 2 기준 전류에 따른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신호 생성부와,
    적어도 상기 제 2 기준 전류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 1 단자 그룹의 출력 단자에 출력하는 제 1 출력부와,
    적어도 상기 제 1 기준 전류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 2 단자 그룹의 출력 단자에 출력하는 제 2 출력부를 구비하는 구동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반도체 칩에 집적된 구동 회로이며,
    상기 제 1 단자 그룹의 각 단자는 상기 데이터 신호 생성부에 대하여 한쪽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단자 그룹의 각 단자는 상기 데이터 신호 생성부에 대하여 다른쪽 측에 배치되는 구동 회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생성부는, 상기 제 1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로의 입력 신호에 따른 제 1 전류를 생성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전류의 미러(mirror) 전류를 상기 제 1 기준 전류로서 생성하는 트랜지스터를 갖는 커런트(current) 미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류 생성부는, 상기 제 2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로의 입력 신호에 따른 제 2 전류를 생성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전류의 미러 전류를 상기 제 2 기준 전류로서 생성하는 트랜지스터를 갖는 커런트 미러 회로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생성부는 상기 제 1 기준 전류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게이트가 기준 전위선에 접속된 제 1 전압 생성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류 생성부는 상기 제 2 기준 전류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게이트가 상기 기준 전위선에 접속된 제 2 전압 생성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신호 생성부는 상기 기준 전위선의 전위를 기준으로 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회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생성부의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하는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상기 제 2 전류 생성부의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하는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서로 접속되는 구동 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 그룹 및 상기 제 2 단자 그룹의 각각은 전류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 및 전압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입력 단자로서 포함하고, 상기 출력 단자는 전류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인 구동 회로.
  7. 각각이 데이터선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광학 상태로 되는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와,
    제 1 항에 기재된 복수의 구동 회로를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와,
    상기 각 구동 회로에서의 제 1 단자 그룹의 출력 단자와 상기 구동 회로에 인접하는 다른 구동 회로에서의 제 2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를 서로 접속하는 제 1 배선을 구비하는 전기 광학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 회로에서의 제 1 단자 그룹의 입력 단자와 상기 구동 회로에 인접하는 다른 구동 회로에서의 제 2 단자 그룹의 출력 단자를 서로 접속하는 제 2 배선을 구비하는 전기 광학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회로는 각각이 반도체 칩에 집적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각 반도체 칩에서는 상기 소정의 방향에 따른 한쪽 측에 상기 제 1 단자 그룹의 각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소정의 방향에 따른 다른쪽 측에 상기 제 2 단자 그룹의 각 단자가 배치되는 전기 광학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각 기준 전류의 기준으로 되는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회로 중 적어도 1개의 구동 회로의 입력 단자에는 상기 기준 설정 수단이 생성한 전압 신호가 공급되는 전기 광학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각 기준 전류의 기준으로 되는 전류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회로 중 적어도 1개의 구동 회로의 입력 단자에는 상기 기준 설정 수단이 생성한 전류 신호가 공급되는 전기 광학 장치.
  12. 제 7 항에 기재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0060047490A 2005-07-04 2006-05-26 전기 광학 장치, 그 구동 회로 및 전자 기기 Active KR100743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94640A JP4475187B2 (ja) 2005-07-04 2005-07-04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回路および電子機器
JPJP-P-2005-00194640 2005-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419A KR20070004419A (ko) 2007-01-09
KR100743169B1 true KR100743169B1 (ko) 2007-07-27

Family

ID=37588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490A Active KR100743169B1 (ko) 2005-07-04 2006-05-26 전기 광학 장치, 그 구동 회로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69382B2 (ko)
JP (1) JP4475187B2 (ko)
KR (1) KR100743169B1 (ko)
CN (1) CN100541584C (ko)
TW (1) TWI3360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542B1 (ko) * 2005-05-02 2007-04-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터치패널이 포함된 발광표시장치
JP2012198406A (ja) * 2011-03-22 2012-10-18 Seiko Epson Corp 駆動方法、制御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176511B1 (en) * 2014-04-16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Band-gap current repeater
US10366765B2 (en) 2016-12-15 2019-07-3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Adjustment circuit for partitioned memory block
KR102034894B1 (ko) * 2018-03-28 2019-10-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내 차단기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2827A (ja) 1999-08-03 2001-02-16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回路
JP2001350442A (ja) 1999-10-04 2001-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表示パネルの輝度補正装置及び駆動装置
JP2003288045A (ja) 2002-03-27 2003-10-10 Rohm Co Ltd 有機el駆動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る有機el表示装置
KR20060046049A (ko) * 2004-05-12 2006-05-17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구동 회로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 el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0322B2 (ja) 1999-04-09 2004-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定電流駆動装置および定電流駆動半導体集積回路
JP3950988B2 (ja) * 2000-12-15 2007-08-01 エルジー フィリップス エルシー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電界発光素子の駆動回路
JP4009077B2 (ja) 2001-09-19 2007-1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流駆動装置
US7180513B2 (en) * 2002-04-26 2007-02-20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Semiconductor circuits for driving current-driven display and display
JP4046015B2 (ja) * 2002-06-07 2008-0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回路、電子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4271759A (ja) 2003-03-06 2004-09-30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電流駆動型表示装置の駆動用半導体回路群、及びそれを用いた電流駆動型表示装置
JP2004334124A (ja) * 2003-05-12 2004-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流駆動装置及び表示装置
JP4066360B2 (ja) 2003-07-29 2008-03-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流駆動装置及び表示装置
TWI247259B (en) * 2003-08-06 2006-01-11 Ind Tech Res Inst Current drive system with high uniformity reference current and its current driv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2827A (ja) 1999-08-03 2001-02-16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回路
JP2001350442A (ja) 1999-10-04 2001-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表示パネルの輝度補正装置及び駆動装置
JP2003288045A (ja) 2002-03-27 2003-10-10 Rohm Co Ltd 有機el駆動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る有機el表示装置
KR20060046049A (ko) * 2004-05-12 2006-05-17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구동 회로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 el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69382B2 (en) 2012-05-01
KR20070004419A (ko) 2007-01-09
TW200710804A (en) 2007-03-16
TWI336065B (en) 2011-01-11
CN1892770A (zh) 2007-01-10
CN100541584C (zh) 2009-09-16
JP2007011176A (ja) 2007-01-18
US20070001659A1 (en) 2007-01-04
JP4475187B2 (ja) 201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3376B2 (en) Light emitting device, method of driving pixel circuit, and driving circuit
KR100724003B1 (ko) 전자 회로, 그 구동 방법,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US7760163B2 (en) Electro-optical device, drive circuit, driv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JP4882536B2 (ja) 電子回路及び電子機器
KR101442052B1 (ko) 전기 광학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080016465A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JP4655800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80043712A (ko) 전자 회로, 전자 장치, 그 구동 방법, 전기 광학 장치 및전자 기기
KR100743169B1 (ko) 전기 광학 장치, 그 구동 회로 및 전자 기기
JP4400401B2 (ja) 電気光学装置とそ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KR100614479B1 (ko) 전자 장치,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08014996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9222779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7225653A (ja)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5011682B2 (ja) 電子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736614B2 (ja) 信号伝送回路及び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2007333930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813138B1 (ko) 신호 전송 회로와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09204802A (ja)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7114346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243098A (ja) 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