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163B1 - Seismic Bricks, Seismic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s - Google Patents
Seismic Bricks, Seismic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3163B1 KR100743163B1 KR1020050062837A KR20050062837A KR100743163B1 KR 100743163 B1 KR100743163 B1 KR 100743163B1 KR 1020050062837 A KR1020050062837 A KR 1020050062837A KR 20050062837 A KR20050062837 A KR 20050062837A KR 100743163 B1 KR100743163 B1 KR 1007431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ismic
- wall
- brick
- pad
- fi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0—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 벽돌 및 벽체에 관한 발명으로, 벽돌 면에 홈이 형성되고, 홈에 시멘트 몰타르 등이 경화되도록 하여 벽돌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고, 벽돌의 결합면 사이에 내진패드를 설치하여 결합강도가 증진되는 내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를 구성하는 벽돌의 상하면에 종방향의 결합홈(12)을 형성하여, 결합홈(12)에 충진재(30)가 스며들어 경화되도록 하여 벽돌과 충진재(3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인다. 또한, 쌓여지는 내진 벽돌(10)의 각 단 사이에 벽체의 폭에 대응하는 내진 패드(20)를 설치하여, 벽체에 단 차가 발생한 경우 유발되는 전단응력에 저항하도록 한다. 그리고 벽체를 지지하는 지지기둥(40)에 벽체가 맞물리도록 벽체홈(42)을 형성하여 벽체와 기둥이 구조적으로 맞물리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벽체의 구성을 이루는 각 부재들 사이에 구조적 맞물림이 형성되어 인장강도가 증대되고, 내진 패드(20)가 인장력에 저항하여, 벽체의 전단응력에 대한 저항강도가 증대되며, 벽체와 기둥의 구조적 맞물림에 의해 벽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quake-resistant brick and wall, grooves are formed in the brick surface, the cement mortar is hardened in the grooves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ricks, and the bond strength by installing a seismic pad between the coupling surface of the bri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seismic brick and a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upling groove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rick constituting the wall, so that the filler 30 penetrates into the coupling groove 12 to harden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rick and the filler (30). . 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seismic pads 20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wall between each end of the seismic brick 10 to be stacked, so as to resist the shear stress caused when a step occurs in the wall. And the wall groove 42 is formed so that the wall is engaged with the support pillar 40 for supporting the wall so that the wall and the pillar is structurally enga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al engagement is formed between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wall to increase the tensile strength, the seismic pad 20 resists the tensile force, thereby increasing the resistance strength against the shear stress of the wa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ll is stably supported by the structural interlocking of the and pillars.
벽돌, 내진, 패드, 콘크리트 Brick, seismic, pad, concrete
Description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벽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eismic br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벽돌의 여러 단면형태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ismic br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c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벽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1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eismic br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이루는 내진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ismic pad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내진 벽돌이 2단으로 설치된 내진 벽체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ismic wall is installed in two stages of the seismic bri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이루는 지지기둥에 벽체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wall is coupled to the support pillar constitu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본 발명의 구성을 이루는 지지기둥에 2열로 구성된 벽체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ll consisting of two columns coupled to the support pillar constitu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시공 순서를 도시한 시공 순서도.6a to 6g is a construction flowchart showing the construction sequ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내진 벽돌 12 : 결합홈10: seismic brick 12: coupling groove
14 : 섬유 보강재 20 : 내진 패드14
22 : 관통공 30 : 충진재22: through hole 30: filling material
40 : 지지 기둥 42 : 벽체홈40: support pillar 42: wall groove
본 발명은 내진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돌 상하면에 결합홈을 두고, 벽돌과 충진재를 섬유 보강재에 의해 보강하며, 쌓여지는 벽돌의 각 단에 내진 패드를 설치하여 인장과 전단에 대하여 보강되는 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brick and a seismic wall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having a coupling groov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rick, reinforcing the brick and the filler by a fiber reinforcement, and installing a seismic pad at each end of the stacked bricks And a wall that is reinforced against shear.
그동안 우리 나라는 지진에 대하여 안전한 지역으로 생각되어 구조물의 설계시 지진에 대한 영향은 크게 고려되지 않고 설계되고 시공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지진의 발생이 일본 열도를 지나 우리나라에서도 발생하고, 동남아 지역의 지진에 의한 대참사로 인하여 구조물의 내진성이 대두되고 있다. 아울러 우리의 설계기준에서도 특정 구조물에 대하여는 내진성을 요건으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the meantime, our country is considered as a safe area for earthquakes, so the impact of earthquakes on the design of structures has been designed and constructed without much consideration. However, the recent earthquake has occurred in Korea after the Japanese archipelago, and the earthquake resistance of the structure is rising due to the catastrophe caused by the earthquake in Southeast Asia. In addition, in our design standards, earthquake resistance is required for certain structures.
종래 기술에 의한 벽체는 매끈한 표면을 가지고, 직육면체로 구성되는 벽돌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벽돌을 지그재그 형태의 다 단으로 쌓아 올리면서 그 사이 사이에 시멘트 몰타르 등으로 메워 각 벽돌들을 결합시킨다. The wa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smooth surface and comprises a brick compos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acking these bricks in zigzag-shaped stages, they are filled with cement mortar, etc., in order to join each brick.
이렇게 결합되는 벽체의 양측 단부는 기둥에 시멘트 몰타르의 부착력에 의해 결합된다. Both ends of the wall thus joined are joined by an adhesive force of cement mortar to the column.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벽체는 벽돌이 1열로 쌓아져 형성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2열로 쌓아져 벽체를 형성된다. 그리고 주거용 구조물의 경우 각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두고 이에 단열재 등이 포함되어 형성된다.The conventional wall structu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by stacking bricks in one row, but most of the walls are stacked in two rows to form a wall. In the case of residential structures, a predetermined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rows, and the insulation is formed therein.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 벽체의 경우 각 부재들이 시멘트 몰타르에 의해서 결합되고, 각 부재들과 시멘트 몰타르의 결합면은 인장력에 대한 취약 단면이었다.In the conventional wall having such a configuration, each member is joined by cement mortar, and the joining surface of each member and cement mortar is a weak cross section for tensile forc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콘크리트의 부착력에 의해서만 벽돌들이 지지되므로, 벽돌과 콘크리트의 접합 면이 전단응력 및 휨 인장응력에 대하여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That is, since the bricks are supported only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concrete, the joint surface of the brick and the concrete had a weak point against the shear stress and the bending tensile stress.
또한, 벽체가 2열로 배치된 경우, 벽체에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면 앞열과 뒷열 사이에 전단응력이 작용하고, 콘크리트는 전단에 취약한 재료이므로, 앞열과 뒷열이 분리되기 쉽다. 따라서 지진이 발생한 경우 지진파에 의해 수평방향 진동과 수직방향 진동이 발생하고, 종래 기술에 의한 벽체는 수평방향 진동에 의해 각 층 사이의 벽돌 및 벽체의 각 열이 분리되기 쉽고 수직방향진동에 의해 벽돌과 콘크리트와 분리되기 쉬워, 쉽게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walls are arranged in two rows, when the bending moment acts on the wall, the shear stress acts between the front row and the back row, and the concrete is a material vulnerable to the shear, so that the front row and the back row are easily separated. Therefore, when an earthquake occurs, horizontal and vertical vibrations are generated by seismic waves, and the wa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horizontal vibration and the columns of the walls are easily separated by the vertical vibration. It was easy to be separated from the concrete, and there was a problem of being easily destroyed.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벽체가 기둥과 시멘트 몰타르에 의해서만 결합되므로 벽체의 측면이 기둥과 분리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In the prior art, since the wall is coupled only by the pillar and the cement mortar, the side surface of the wall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pilla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벽돌 사이에 구조적인 맞물림을 발생하고 손쉽게 인장에 대하여 보강할 수 있는 내진 벽돌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of a seismic brick that can generate a structural engagement between the bricks and can be easily reinforced against tens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체에 단 차가 유발되어 발생하는 전단응력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내진 벽체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of a seismic wall that can effectively resist the shear stress caused by the step difference caused in the wal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체와 이를 지지하는 기둥 사이에 구조적인 맞물림이 발생하도록 하는 내진 벽체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of a seismic wall such that a structural engagement occurs between the wall and the pillar supporting the wal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벽돌은 상면과 하면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충진재가 스며들어 경화되어 구조적 맞물림을 형성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bri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groov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so that the filler penetrates the groove to form a structural engagement.
상기 홈은 내부가 넓은 형태로 형성되며,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The groove is formed in a wide shape inside, it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한편, 상기 벽돌은 제조시에 섬유 보강재를 포함하여 배합하고 양생하며, 상기 섬유 보강재의 단부들은 상기 내진 벽돌 외부로 나오도록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rick is compounded and cured, including the fiber reinforcement at the time of manufacture, the ends of the fiber reinforcement may be to come out of the seismic brick.
또한, 상술한 벽돌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벽체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 단으로 1열 또는 2열로 쌓여지고 상면과 하면에 홈이 형성되는 내진 벽돌과, 쌓여진 상기 내진 벽돌 사이에 채워지고 상기 내진 벽돌에 형성된 홈에 스며들어 상기 홈을 채운 후에 경화되는 충진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wall installed using the above-described brick, the seismic brick is stacked in one row or two rows in a multi-stage, and the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the stacked seismic brick is formed in the seismic brick It is formed by including a filler that penetrates into the groove and harden after filling the groove.
상기 내진 벽돌은 제조시에 섬유 보강재를 포함하여 배합하고 양생하며, 상기 섬유 보강재의 단부들은 상기 내진 벽돌 외부로 나오도록 한다.The seismic bricks are compounded and cured, including fiber reinforcement, during manufacture, and the ends of the fiber reinforcement come out of the seismic brick.
그리고, 쌓여진 상기 내진 벽돌의 각 단 사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내진 벽돌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벽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 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사다리의 형태로 형성된 내진 패드가 설치된다. 한편, 내진 벽돌이 2단으로 쌓여지는 경우에 상기 내진 패드의 폭은 벽체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And, between each end of the piled up seismic brick,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eismic brick, is formed in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wall, the spa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ladder The formed seismic pad is install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ismic bricks are stacked in two stages, the width of the seismic pa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wall.
상기 내진 패드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어, 하나의 긴 내진 패드가 각 단 사이를 접어 올라가도록 형성된다.The seismic pad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and one long seismic pad is formed to fold up between each end.
상기 내진 벽체는, 측단부에 상기 벽체의 측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내진 벽체의 폭에 대응하는 벽체홈이 측면에 형성된 지지기둥이 더 포함된다.The seismic wall further includes a support column having a wall groov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eismic wall so that the side end of the wall can be fitted to the side end portion.
이와 같은 내진 벽체는 벽체가 세워질 단부에 기둥을 세우는 단계(A1)와, 벽체가 세워질 지반을 다지고 충진재를 타설하는 단계(A2)와, 상기 (A2)단계에서 타설된 충진재위에 내진 패드를 설치하고 상기 내진 패드의 남은 부분을 기둥을 타고 넘기는 단계(A3)와, 설치된 내진 패드 위에 내진 벽돌을 설치하는 단계(A4)와, 설치된 내진 벽돌 위에 충진재를 타설하는 단계(A5), 그리고 상기 (A3)단계 내지 (A5)단계를 반복시공하여 원하는 높이까지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A6)로 시공된다.Such a seismic wall is a step (A1) to erect a column at the end where the wall is to be erected; Passing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eismic pads through the pillar (A3), the step of installing the seismic brick on the seismic pads installed (A4), the step of placing the filler on the seismic bricks installed (A5), and (A3) By repeating the steps (A5) to the step (A6) to form a wall to the desired height.
이때, 내진 패드는 벽체의 사용목적에 따라 1열 또는 2열로 설치한다. At this time, the seismic pads are installed in one or two row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wall.
그리고 기둥의 경우 역시 벽체의 사용목적에 따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A2)단계 내지 (A3)단계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내진 벽체가 시공될 수도 있다.And the pillar may not be install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wall. That is, the seismic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ructed by the steps (A2) to (A3).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벽체의 구성을 이루는 각 부재들 사이에 구조적 맞물림이 형성되어 인장강도가 증대되고, 내진 패드가 인장력에 저항하여 전단응력에 대한 저항강도가 증대되며, 벽체와 기둥의 구조적 맞 물림에 의해 벽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al engagement is formed between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wall structure, the tensile strength is increased, the seismic pad resists the tensile force and the resistance to shear stress is increased, The wall is stably supported by the structural engagement of the wall with the column.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내진 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eismic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벽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벽돌의 여러 단면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벽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이루는 내진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내진 벽돌이 2단으로 설치된 내진 벽체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이루는 지지기둥에 벽체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의 구성을 이루는 지지기둥에 2열로 구성된 벽체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eismic br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ismic br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c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seismic br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 is a perspective view,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ismic pad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ismic wall is installed in two stages of the seismic bri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ll is coupled to the support pillar constitu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columns of the wall is coupled to the support pillar constitu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벽돌(이하 '내진 벽돌'이라 한다.)은 상하면에 홈(이하 '결합홈'이라 한다.)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2)은 도 1에 단면의 형태를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측이 넓게 형성되어 후술할 충진재가 채워져 경화된 경우, 인장에 의한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br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earthquake-resistant brick") is formed with a groov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upled groov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상기 결합홈(12)은 독립된 다수개의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거나,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되고, 격자무늬의 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합홈(12)의 방향은 벽체가 받는 하중방향에 의해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벽체단면의 굽힘에 대한 중립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The
한편, 상기 내진 벽돌(10)은 제조시 섬유 보강재(14)를 첨가하여 양생시킬 수 있는데, 상기 섬유 보강재(14)는 상기 내진 벽돌(10) 자체를 보강하고, 후술할 충진재(30)에 섞여 경화하여 충진재(30)와 상기 내진 벽돌(10)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섬유 보강재(14)의 단부는 내진 벽돌(10)의 외부에 드러나도록 한다. 상기 섬유 보강재(14)는 화이바류의 여러 재료에 의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글래스 화이바가 사용된다. 더욱이, 상기 내진 벽돌(10)이 콘크리트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섬유보강재(14)는 알칼리 성질을 가진 콘크리트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내알칼리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상기 내진 벽돌(10)은 그 형태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이하에서는 상술한 내진벽돌에 의해 만들어지는 내진벽체의 구조에 대하여 살핀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earthquake-proof wall made by the above-mentioned earthquake-resistant brick is examined.
상기 내진 벽돌(10)은 다 단으로 쌓여져 본 발명에 의한 내진 벽체의 중심을 이룬다. The
쌓여진 상기 내진 벽돌(10)의 각 단 사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내부에 관통공(22)이 형성된 패드(이하 '내진 패드'라 한다.)가 설치되는데, 상기 내진 패드(20)는 벽체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내진 벽돌(10)이 하나의 열로 쌓여진 경우에는, 상기 내진 패드(20)는 내진 벽돌(10)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내진 벽돌(10)이 두 개의 열로 쌓여진 경우에는, 내진 벽돌(10) 두 개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내진 벽돌(10)이 두 개의 열로 쌓여지고 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단열재 등이 구비된 경우, 내진 패드(20)의 폭은 내진 벽돌(10) 두 개의 폭에 공간의 크기를 더한 크기가 된다. 물론, 두 개의 열의 내진 벽돌(1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단열재 등이 구비된 경우에도 시공성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열에 따로 내진 패드(2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내진패드(20)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22)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그 크기는 상기 내진패드(20)가 테두리부만 남도록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진 패드(20)는 후술할 충진재(30) 사이에 묻혀 상기 충진재(30)가 경화함에 따라 고정된다. Between each end of the piled up
상기 내진패드(20)는 연성을 가진 여러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직물이나 편물형태의 섬유와 필라멘트사를 각각 경·위사방향으로 공급하여 구멍이 형성된 직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직물에 강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경·위사의 결합점에서의 접합을 강화하기 위하여 PVC, 역청, 콜타르 등과 같은 수지를 적용용제로 융해시켜 직물을 피복하여 만들어 진다. 더욱이, 상기 내진패드(20)를 접착시키는 충진재(30)로 콘크리트등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내진패드(20)는 알칼리 성징을 지닌 콘크리트에 의해 손상을 입지 않도록 내알칼리성 재질로 만들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술한 상기 내진 패드(20)는, 벽체가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받는 전단응력에 대해 저항하는 역할을 하고, 하나의 내진 패드(20)를 접어올리는 방식으로 사용하므로 각 단이 수평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벽체가 내진 벽돌(10)의 다수 개의 열로 구성된 경우, 상기 내진 패드(20)는 내진 벽돌(10)의 각 열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부등침하, 휨 모멘트에 의해 내진별 돌의 각 열의 결합면에 발생하는 전단응력을 보강하는 보강재의 역할을 한다.The
상기 내진 벽돌(10)과 인접한 내진 벽돌(10) 사이에는 이들을 결합하는 충진재(30)가 타설된다. 상기 충진재(30)는 콘크리트, 시멘트 모타르, 아스콘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내진 벽체의 사용목적에 따라 상기 충진재(30)의 종류가 결정된다.Between the
상기 충진재(30)는 경화되기 전에는 유동성이 있으므로 상기 결합홈(12)에 스며들어 상기 결합홈(12)을 채우고, 상기 섬유 보강재(14)의 말단부와 함께 묻히며, 상기 내진 패드(20)를 감싼다. 그 후 충진재(30)가 경화하면 상기 결합에 의해 내진 벽돌(10)과 구조적인 맞물림을 발생시키고, 내부에 섬유 보강재(14)가 묻힌 채로 경화된다.Since the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벽체의 측단부에는 상기 벽체가 끼워질 수 있는 종방향의 홈(42)(이하 '벽체홈'이라 한다.)이 형성된 지지기둥(40)이 설치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기둥(40)의 벽체홈(42)의 위치는 설치되는 벽체에 따라 결정되는데, 예를 들면, 양측면에 벽체가 설치되는 경우 I형 단면을 가진 기둥이 설치되고, 직각으로 벽체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직각방향으로 벽체홈(42)이 형성된 기둥이 사용되며, 벽체의 말단부인 경우에는 "ㄷ"자 형태의 기둥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side end of the wall is provided with a
상기 기둥에 형성된 벽체홈(42)은 벽체의 측단부와 구조적인 맞물림을 발생시켜, 상술한 결합홈(12), 섬유 보강재(14) 및 내진 패드(20)에 의해 견고하게 보 강된 벽체 전체가 일체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 벽체는 아래와 같은 순서에 의해 시공된다. The seismic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nstructed in the following order.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시공 순서를 도시한 시공 순서도이다.6A to 6G are construction flowcharts showing the construction sequ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상기 내진벽체의 시공순서를 A1단계부터 A6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자세히 살핀다. Hereinafter, the construction sequence of the seismic wall is divided into steps A1 to A6 to examine each step in detail.
먼저, 설치될 벽체의 측단부 위치에 벽체를 지지하는 지지기둥(40)을 세운다(A1). 상기 지지기둥(40)은 벽체의 측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지지기둥(40)의 종방향을 따라서 벽체홈(42)이 형성된 형태로 설치된다. 바람직 하게는, 상기 지지기둥(40)으로 철근 콘크리트 기둥이 사용되는데, 철근 콘크리트 기둥이 타설되는 경우, 상기 지지기둥(40)이 놓여질 자리에 지반을 소정의 깊이로 파고 종철근 및 띠철근을 배근하여 조립한 후 거푸집을 대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First, the
다음으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가 세워질 지반을 고르게 다지고 일측의 상기 벽체홈(42)에서 타측의 벽체홈(42)까지 벽체가 놓여질 위치에 충진재(30)를 타설한다(A2). 상기 충진재(30)로는 콘크리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as shown in Figure 6a, evenly ground the ground on which the wall is erected and pours the
그리고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 지반에 타설된 충진재(30) 위에 내진 패드(20)를 설치한다(A3). 상기 내진 패드(20)의 폭은 설치될 벽체의 넓이에 맞게 제작되므로 일측의 상기 벽체홈(42) 내부로부터 시작하여 타측의 벽체 홈 내부까지 곧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진 패드(20)의 단부는 길이에 맞게 잘라내지 않고 상기 벽체홈(42)을 따라 위로 올려, 상기 지지기둥(40)을 타고 넘겨 놓 는다. 이는 상기 내진 패드(2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연성의 재료로 형성되므로 접힘이 자유로워 가능하다.6B, the
그 후에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된 내진 패드(20) 위에 내진 벽돌(10)을 일정간격으로 올려놓는다(A4). 이때까지 상기 충진재(30)는 경화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내진 벽돌(10)의 자중에 의해 상기 내진 패드(20)는 충진재(30) 속으로 묻히게 되고 상기 내진 벽돌(10)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12) 내부에도 상기 충진재(30)가 스며든다. 바람직하게는 이를 위해 상기 내진 벽돌(10)을 설치한 후에 상기 내진 벽돌(10)을 소정의 힘으로 눌러주는 것도 가능하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6C, the
다음으로,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진 벽돌(10)과 인접한 내진 벽돌(10) 사이 그리고 상기 내진 벽돌(10)의 상면을 따라, 상기 충진재(30)를 타설한다(A5). 이때, 유동성이 있는 상기 충진재(30)는 내진 벽돌(1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12)에 스며든다.Next, as shown in FIG. 6D, the
마지막으로, 도 6e 및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A3)단계 내지 (A4)단계를 반복시공하여 내진 벽체를 원하는 높이까지 시공한다(A6). 완성된 내진 벽체의 모습은 도 6g에 도시한 바와 같다.6E and 6F, the seismic wall is constructed to the desired height by repeating the steps (A3) to (A4) (A6). The appearance of the completed seismic wall is as shown in FIG. 6G.
한편, 이와는 다르게 내진 벽돌(10)을 2열로 설치하여 시공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A1)단계에서 상기 지지 기둥의 벽체홈(42)은 내진 벽돌(10)의 2열이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또한, (A2)단계에서 상기 내진 패드(20) 역시 내진 벽돌(10)의 2열의 폭에 대응하는 넓이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는 또 다르게 본 발명에 의한 내진 벽체는 벽체홈(42)이 형성되지 않은 일반 직사각형 단면의 기둥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벽체와 기둥은 충진재(30)의 부착력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체결구에 의해 지지되도록 앵커볼트등의 별도의 체결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시공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n the seismic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illar having a general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which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벽체의 작용을 내진 벽체에 가해지는 진동 및 하중의 종류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ction of the seismic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type of vibration and load applied to the seismic wall.
상술한 바와 같은 내진 벽체에 부등침하가 발생하거나 지진파 등의 벽체의 좌우에 단 차가 발생하는 진동이 가해진 경우, 상기 벽체에는 종방향의 전단응력이 발생한다. 이때, 내진 패드(20)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위 전단응력에 대하여 저항한다. 즉, 이 경우 전단보강 철근의 역할을 한다. 또한, 내진 벽돌(10)이 2열로 설치된 경우에도 각 열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단보강 철근의 역할을 한다.When the seismic wall as described above occurs inequality settlement or a vibration i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wall, such as seismic waves, longitudinal shear stress is generated in the wall. At this time, since the
한편, 상기 내진 벽체가 수평하중을 받아 상기 벽체 내부에 휨 응력이 발생한 경우, 위험 단면은 재료의 부착부분인 충진재(30)와 벽돌의 접합면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내진 벽체는 충진재(30)가 경화한 후에는 상기 충진재(30)와 내진 벽돌(10) 사이에 구조적인 맞물림이 발생하고 또한 섬유 보강재(14)가 상기 충진재(30)와 내진 벽돌(10) 사이를 연결하여 주므로 두 재료의 접합면의 인장강도가 증대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ismic wall receives a horizontal load and a bending stress is generated inside the wall, the dangerous cross section becomes a joining surface of the
그리고 견고하게 제작된 벽체의 경우라도 기둥과 결합력이 약한 경우에는 벽체 전체가 전도될 위험성이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내진 벽체는 양측단부가 벽체홈(42)에 삽입되어 구조적인 맞물림에 의해 지지된다.And even in the case of a rigidly manufactured wall, there is a risk that the whole wall is conductive when the column and the coupling force is weak, the seismic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structural engagement is inserted into the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내진 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seismic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즉, 내진 벽돌과 충진재 사이에 구조적 맞물림이 발생하고, 섬유 보강재가 이들 사이의 인장응력에 대하여 저항하므로 내진 벽돌과 충진재의 결합력이 높은 장점이 있다. 특히 내진 벽체가 굽힘 응력을 받는 경우 내부에 발생하는 휨 인장응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there is a structural engagement between the seismic brick and the filler, and the fiber reinforcement is resistant to the tensile stress therebetween has a high bonding strength of the seismic brick and the filler. In particular, when the seismic wall is subjected to bending stres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effectively resist the bending tensile stress generated inside.
그리고 본 발명은 내진 패드가 각단을 연결하고 있으므로, 전단 보강재의 역할을 한다. 즉, 내진 벽체에 부등침하나, 지진파에 의해 단 차가 발생한 경우에 내진 벽체에는 종단면을 따라서 전단응력이 발생한다. 이때, 내진 패드는 인장되고, 내진 패드가 전단응력에 저항하여 전단보강의 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ismic pads are connected to each end, it serves as a shear reinforcement. In other words, if the seismic wall is inevitably settled, but the step is caused by the seismic wave, the shear stress is generated along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seismic wall. In this case, the seismic pad is tensioned, and the seismic pad resists shear stress and thus has an advantage of showing shear reinforcing effec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지지기둥과 벽체는, 지지기둥에 형성된 벽체홈에 의해 구조적 맞물림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충진재에 의해서만 결합되는 종래의 벽체에 비해 결합력이 뛰어나고, 벽체 전체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illar and th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by structural engagement by wall grooves formed in the support pillar. Therefore, the bonding strength i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wall that is coupled only by the fill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entire wall is conducted.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2837A KR100743163B1 (en) | 2005-07-12 | 2005-07-12 | Seismic Bricks, Seismic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2837A KR100743163B1 (en) | 2005-07-12 | 2005-07-12 | Seismic Bricks, Seismic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8926A KR20070008926A (en) | 2007-01-18 |
KR100743163B1 true KR100743163B1 (en) | 2007-07-27 |
Family
ID=38010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62837A KR100743163B1 (en) | 2005-07-12 | 2005-07-12 | Seismic Bricks, Seismic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316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5446B1 (en) | 2012-06-07 | 2013-12-0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Manufacturing method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member using perforated pane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949182B (en) * | 2010-09-26 | 2012-07-11 | 华侨大学 | Structure and method for masonry masonry with machine-cut stone strip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34852A (en) * | 1998-05-11 | 2001-04-25 | 인터록 홀딩즈 피티와이 리미티드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uilding elements and methods in relation to same |
KR200315799Y1 (en) | 2002-11-09 | 2003-06-12 | 학교법인 민송학원 | Porous echo concrete using waste lime stone, and porous echo concrete block unit and connecting pin using the concrete |
-
2005
- 2005-07-12 KR KR1020050062837A patent/KR10074316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34852A (en) * | 1998-05-11 | 2001-04-25 | 인터록 홀딩즈 피티와이 리미티드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uilding elements and methods in relation to same |
KR200315799Y1 (en) | 2002-11-09 | 2003-06-12 | 학교법인 민송학원 | Porous echo concrete using waste lime stone, and porous echo concrete block unit and connecting pin using the concret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5446B1 (en) | 2012-06-07 | 2013-12-0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Manufacturing method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member using perforated pan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8926A (en) | 2007-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84931B1 (en) | Prefabricated closed steel member using bending steel plate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 |
KR100895033B1 (en) | Precast column unit and colum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720473B1 (en) | Underground PC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Partial-PC wall with improved seismic performance | |
KR101862278B1 (en) | Steel composite concrete member | |
KR101175503B1 (en) | Concrete Wall having Vertical Connection of Precast Concrete Wall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 |
KR101358830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precast box culverts | |
KR10102904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illar structure using precast column unit using sheath pipe | |
JP4533371B2 (en) | Embank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255027B1 (en) | Precast rahmen type box culvert | |
JP5509380B1 (en) |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and structure for existing buildings | |
KR101017292B1 (en) | Precast column unit for level adjustment and colum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5750246B2 (en) | Composite beam, building, and composite beam construction method | |
KR102560550B1 (en) | Steel Assembly Pile | |
KR100743163B1 (en) | Seismic Bricks, Seismic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s | |
KR101356724B1 (en) | Retaining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6660719B2 (en) | Method of constructing beam-column joint-column joint structure, ramen viaduct and beam-column joint-column joint structure | |
JP5658966B2 (en) | Composite beam, composite beam joint structure, and composite beam joint method | |
KR100923107B1 (en) | Centrifugal force concrete pile assembly for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KR102035495B1 (en) | Double Wall Structure with Resisting Shear Force Member | |
KR102548929B1 (en) | Retaining wall that can reduc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with modular construction method of pc concrete block and secure stability even in high-rise design by reinforced wire tension and integrated behavior of module | |
KR101205306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natural stone | |
JP5601787B2 (en) | Colum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lumn structure | |
KR20230081880A (en) | Bridge lower structure of assembly type having elastic duct coupler of socket typ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JP3681367B2 (en) | Joint structure of steel column and foundation concrete | |
KR102213216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precast column structure and precast colum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