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292B1 - Precast column unit for level adjustment and colum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ecast column unit for level adjustment and colum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7292B1 KR101017292B1 KR1020080125108A KR20080125108A KR101017292B1 KR 101017292 B1 KR101017292 B1 KR 101017292B1 KR 1020080125108 A KR1020080125108 A KR 1020080125108A KR 20080125108 A KR20080125108 A KR 20080125108A KR 101017292 B1 KR101017292 B1 KR 1010172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cast
- hollow sleeve
- unit
- column unit
- connect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기둥구조물을 시공하는 레벨조정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레벨조정용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와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를 서로 중공슬리브 및 연결재에 의하여 적층 시공하는 것만으로 기둥구조물을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기둥구조물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ing precast column unit for constructing a column structure in a precast method,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lumn structure using the same, wherein the leveling precast column unit and the precast column unit are laminated to each other by hollow sleeves and connecting material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pillar structure safely just by enabling economic and efficient construction of the pillar structure.
프리캐스트, 기둥구조물, 적층 Precast, Column Structure, Lamin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교량하부구조물을 구성하는 교각과 같은 기둥구조물을 레벨조정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와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를 상하 결합시켜 적층함으로서 시공할 수 있도록 한 레벨조정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ast column unit for level adjustment and a colum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a level adjustment precast column unit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lumn structure using the same structure can be constructed by stacking a column structure such as a pier constituting the bridge undercarriage by stacking the level adjustment precast column unit and the precast column unit up and down. It is about.
도 1a는 종래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교각구조물을 적층방식으로 시공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대한민국 특허 제 549649호).FIG. 1A illustrates a state diagram of construction of a pier structure in a conventional precast method in a lamination method (Korean Patent No. 549649).
즉, 기둥구조물 하부(10)를 먼저 시공하고, 그 상부에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유닛(20)을 적층시키도록 하되, 상기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유닛에는 강선통공(21)이 형성되어 있어, 최종 높이까지 상기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유닛(20)을 상하로 다수 적층시킨 후 That is, the
강선(30)을 강선통공(21)에 삽입하되 그 하단이 기둥구조물 하부에 고정되도 록 하고, 그 상단을 덮개판에 긴장 후 정착시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유닛(20)이 서로 압착되도록 한 교각구조물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sert the steel wire 30 into the steel wire through hole 21,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lumn structure,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cover plate and settled, the pier that the precast reinforced
이러한 방법은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유닛(20)을 상하로 압착시키기 위하여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도 있지만, 강선과 같은 긴장재(강선,30)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긴장재 긴장 및 정착작업이 요구되어 그 시공성 및 경제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is method may be an effective method for compressing the precast reinforced
이에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유닛을 압착시키지 않고 이를 적층하는 방법으로 교각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 그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지만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유닛의 연결 또는 결합성능이 떨어질 수 있어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when the pier structure is constructed by stacking the precast reinforced concrete unit without crimping it, its workability is excellent, bu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safety of the structure because the connection or coupling performance of the precast reinforced concrete unit may be degraded. there was.
도 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형철근의 연결을 위한 슬리브(40,대한민국 특허 616531호)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1b shows a sleeve (40, Republic of Korea Patent 616531) for the connection of the deformed reinforcing ba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슬리브는 슬리브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 부착 보강구 삽입구(41)에 속이 빈 슬리브내부로 이형철근(50)을 삽입한 후, 이형철근과 슬리브 본체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S)에 모르타르(60)를 충전하고 경화시켜 두개의 이형철근을 연결하는 철근이음장치로서,The sleeve inserts the deformed steel bar 50 into the hollow sleeve in the inclined surface attachment reinforcement insert 41 formed at the end of the sleeve, and then inserts the mortar 60 into the empty space S formed in the deformed steel bar and the sleeve body. As a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that connects two deformed bars by filling and hardening,
상기 이형철근의 일단에는 이형철근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진 경사면 부착 보강구(51)가 체결되고, One end of the deformed rebar is fastened to the inclined surface attachment reinforcement 51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eformed rebar,
상기 슬리브(40)에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경사면 부착 보강구 삽입구(41)와, The
슬리브 양단에 각각 형성된 모르타르 배출구(42) 및 모르타르 주입구(43)가 형성되어 있어, 슬리브와 경사면 부착 보강구가 한쌍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르타르 충진식 철근이음장치이다.The mortar outlet 42 and the mortar inlet 43 formed at both ends of the sleeve are formed, and the mortar-filled reinforcing bar connec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eeve and the inclined surface attachment reinforcement are formed in pairs.
이러한 슬리브는 이형철근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 These sleeves have a load on the deformed bar
이형철근의 단부에 이형철근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경사면 부착 보강구(51)를 부착함으로써 직접뽑힘파괴가 발생하는 경우, 어떤 인장력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철근이음장치가 실현될 수 있으며, By attaching the inclined surface attachment reinforcement 51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eformed rebar to the end of the deformed rebar, when a direct pull fracture occurs, a reliable reinforcing bar joint device capable of withstanding any tensile force can be realized.
슬리브의 내벽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환상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파단균열이 슬리브의 내벽을 따라 진행하는 것을 방해하고 이에 따라 쪼갬파괴가 일어나지 않다는 장점이 있으며,By forming a plurality of annular protrusions projec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of the slee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racture crack prevents the propagatio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leeve and thus no breakage occurs.
또한, 슬리브의 경사면 부착 보강구 삽입구에는 상기 환상돌기보다 더욱 돌출된 환상돌출턱을 구비함으로써, 환상돌기를 통과하여 진행하는 파단균열이 더 이상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쪼갬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고,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reinforcement insertion hole of the sleeve is provided with an annular projection protruding more protruding than the annular projection, so that the fracture crack propagating through the annular projection is no longer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split fracture occurs completely. Prevent,
이형철근에 결합된 슬리브의 끝단에 제1경사면을 형성하고, 슬리브의 경사면 부착 보강구 삽입구에는 경사면과 대응되는 제2경사면을 형성하여, 이형철근이 슬리브내부로 삽입될 때, 이형철근의 모서리가 슬리브에 부딪혀도 자연스럽게 경사면을 따라 슬리브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은 있으나,A first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leeve coupled to the deformed reinforcement,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the inclined attachment port of the sleeve so that the edge of the deformed rebar is inserted into the slee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nter the inside of the sleeve naturally along the inclined surface even if it hits the sleeve,
이러한 슬리브(40)는 모르타르 배출구(42) 및 모르타르 주입구(43)에 의하여 슬리브 내부에 모르타르 충진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각과 같은 기둥구조물 시공을 위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유닛을 적층하면서 이러한 슬리브를 사용하는 것은 시공성 때문에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이에 본 발명은 교각과 같은 기둥구조물을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유니트와 같은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시공함에 있어서, 보다 시공성이 우수하며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간의 접합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둥구조물 하부와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의 초기 세팅작업성 및 시공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기둥구조물의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으며 시공공기도 단축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방식의 기둥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structing a column structure such as a pier by stacking a precast column unit such as a precast reinforced concrete unit, the construction is more excellent and the joint performance between the precast column units can be sufficiently secured. To provide a precast column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secure the initial setting workability and workability of the lower part of the column structure and the precast column unit, secure the stability of the column structure, and shorten the construction air. Let it be technical problem.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첫째, 교각과 같은 기둥구조물을 제작함에 있어서, 각각의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되, 상기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에 주철근 역할을 하는 연결재(120)를 매립하여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재를 모르타르가 충진된 중공슬리브(140)에 삽입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가 서로 결합되어 시공될 수 있도록 하였다.First, in manufacturing a column structure such as a piers, each construction of a
둘째,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는 기둥구조물 하부(200)에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를 이용하되, 역시 슬리브(140,440) 및 연결재(120,420)에 의하여 적층 시공되도록 하고, 최상단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는 코핑부(300)에 코핑부연결재(310)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기둥구조물 시공성 및 안 전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하였다.Second, the
이때 상기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는 기둥구조물 하부(200)에 보다 안정적으로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이 적층될 수 있도록,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의 연결재(420)는 기둥구조물 하부(200)까지 연장되어 그 선단부에 앵커받침부(430)가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앵커받침부가 형성된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는 기둥구조물 하부에서 자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정성 및 시공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였다.At this time, the leveling
셋째, 상기 중공슬리브(140,440)는 연결재(120) 및 코핑부연결재(310)가 삽입되어 모르타르(150) 경화 시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되 직접뽑힘파괴, 쪼갬파괴 및 파단균열에 매우 강한 저항성을 확보할 수 있어 기둥구조물 안전성에 매우 유리하며, 각 연결재를 각 슬리브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완성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도록 하였다.Third, the
본 발명에 의하여 기둥구조물을 레벨조정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와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를 이용하되 이들은 간단하게 모르타르가 충진된 슬리브 내부에 연결재를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서로의 결합성능을 확보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최단시간 내에 기둥구조물을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precast column unit and the precast column unit for level adjustment of the column structure, they can secure the coupling performance of each other simply by inserting the connecting material into the mortar-filled sleeve. Not only is it excellen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pillar structures safely and economically in the shortest tim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more clearly and easily, the following describes the bes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a shows a
이러한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는 기둥구조물 하부, 몸통 및 코핑부로 통상 구분되는 기둥구조물의 몸통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철근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된다.The
이러한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는 공장에서 미리 그 높이 및 두께 등이 정해져 제작하게 된다는 의미에서 프리캐스트 제품이라 지칭하기로 한다.The
또한,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는 중공관 형태의 철근콘크리트부재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내부가 밀실 충진된 형태의 철근콘크리트부재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중공관 형태의 철근콘크리트부재를 기준으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를 크게 몸통부(적층)와 연결재(120)로 구분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상기 몸통부(적층)는 기둥구조물의 철근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된 몸통을 구성하는 것으로써, 기둥구조물의 몸통 단면형태에 따라 원형 또는 사각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주철근이 매립되도록 제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철근은 통상 이형철근을 이용하게 된다.The body part (lamination) is to constitute a body made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 of the column structure, it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square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body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lumn structure, the main reinforcing bar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will be produced as possible. At this time, the main reinforcing bars will usually use a deformed reinforcing bar.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주철근은 기본적으로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의 배력철근으로서 기능하면서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를 서로 결합시키는 연결부재의 역할을 함께 가지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main reinforcing bar basically has the role of a connecting member for coupling the
이에 상기 주철근을 본 발명에서는 연결재(120)라 지칭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cast iron is referred to as a connecting
따라서 상기 연결재(120)는 몸통부(적층) 내부에 주철근과 같이 매립되도록 설치되도록 하되, 그 단부가 몸통부(적층) 단부면에 연결재의 기능을 가지도록 몸통부(적층)를 관통하여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Therefore, the connecting
이에 연결재(120)의 일 단부에는 몸통부(적층) 단부면 중 일 단부면(도 2a의 경우 하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결재(120)의 외경보다 큰 삽입보강구(130)가 그 선단에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Accordingly, one end of the connecting
후술되지만 이러한 삽입보강구(130)는 다른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의 중공슬리브(140)에 삽입되어 중공슬리브(140)에 충진된 모르타르(150) 경화에 의하여 중공슬리브(140)에 고정되도록 세팅된다.Although described later, the
이러한 삽입보강구(130)는 주철근의 외경보다 큰 마개 형태로써 재질은 주철근과 같은 재질의 강재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인발력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도록 중간부위에 파여진 홈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그 선단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중공슬리브(140)의 초입에 형성된 삽입부(142)에 삽입 시 모서리가 파손되는 것을 막고 중공슬리브(140)에 초기 설치시 슬라이딩 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tapered portion is formed to prevent the edges from being broken when inserted into the
이러한 삽입보강구(130)는 연결재의 일 단부에 용접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연결재(120) 제작 시 일체로 제작하여도 상관은 없다.The
연결재(120)의 타 단부에는 중공슬리브(140)가 형성되도록 된다.The
이때 상기 중공슬리브(140)의 일단이 연결재(120)의 타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공슬리브(140)의 타단은 몸통부(적층) 타 단부면에 맞추어 개방되도록 세팅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이에 중공슬리브(140)는 도 2a 및 도 3과 같이 그 일단은 개방되어 암나사부가 내측면에 형성된 체결부(141); 및 상기 체결부와 일체로 체결부 보다 외경이 큰 삽입부(142)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부(142)의 내측면에는 환상돌기(143)가 형성되며 그 단부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42) 내부에 모르타르(150)가 충진되도록 한다.The
상기 삽입부(142)의 경우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연결재의 삽입보강구(13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초입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부가 형성되도록 한다.In the case of the
상기 환상돌기(143)는 삽입되는 연결재에 인발력 등과 같은 하중이 작용할 때 파단균열이 중공슬리브의 내벽을 따라 진행하는 것을 방해하고 이에 따라 쪼갬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이로서 연결재(120)의 타 단부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중공슬리브(140)의 체결부(141)의 내측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Thus,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결국 연결재(120)는 몸통부(적층)의 일 단부면(하단부면)에 돌출되어 삽입보강구(130)가 노출되도록 하게 되고, 몸통부(적층)의 타 단부면(상단부면)에 중공슬리브(140)의 삽입부(142)가 개방되어 노출되도록 세팅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the
도 2a에 의하면 상기 연결재(120)는 몸통부(적층)의 외주면에 2열로 다수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하여 배력철근의 기능을 가지도록 함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Figure 2a it can be seen that the
이러한 몸통부(적층)와 연결재(120)로 구성된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는 상하로 서로 결합되면서 적층되도록 시공되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간단하게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의 모르타르(150)가 충진된 중공슬리브(140)에 다른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의 연결재(120)가 삽입되어 상기 모르타르(150)가 경화되면서 서로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를 서로 결합시키면서 기둥구조물을 시공하는 공종을 순서대로 개략 도시한 것이다.3A to 3D schematically illustrate a construction model for constructing a pillar structure while coupling the
먼저 도 3a와 같이, 기둥구조물 하부(200)를 지반(D)에 시공한다. 도 3b에 의하면 직육면체 형태의 철근콘크리트로 제작된 기둥구조물 하부(200)가 시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상부면에는 중공 원형관 형태의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가 결합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ure 3a, the
상기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는 앞서 살펴본 프리캐스트 기 둥유니트(100)와 함께 기둥구조물의 몸통부를 구성하기는 하지만, The precast column unit for
기둥구조물 하부(200)에 먼저 상기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를 기둥구조물 하부(200)와 함께 시공한 다음,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에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를 적층시공하게 된다.First, the level adjustment
이에 먼저 기둥구조물 하부(200)가 위치되어야 할 지반(D)을 터파기(미도시) 하여 그 세팅위치가 정해지게 되면, 기둥구조물 하부(200)를 위한 거푸집 설치 및 철근(210)을 배근하게 된다. 이러한 철근을 배근하면서,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를 함께 자립 설치하게 된다.First, when the setting position is determined by digging (not shown) the ground (D) where the column structure
이를 위하여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는 도 2b와 같이,To this end, the
기둥구조물을 구성하는 몸통부(적층) 및 상기 몸통부 내부에 매립되며 몸통부 단부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철근을 포함하는 연결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재(420)의 일 단부는 몸통부 단부면 중 일 단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기둥구조물 하부(200) 저면까지 연장되도록 하되, 그 선단부의 외주면은 수나사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부(431)와 상기 체결부보다 큰 외경을 가진 받침부(432)로 구성된 앵커받침부(430)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재의 타 단부에는 모르타르 주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중공슬리브(44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중공슬리브의 일단이 연결재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공슬리브의 타단이 몸통부 단부면 중 타 단부면에 개방되도록 형성된 것을 이용하게 된다.One end of the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와 같이, 연결재(420), 중공슬리브(440)이 형성 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슬리브(440)의 경우, 체결부(441), 삽입부(442), 환상돌기(443)으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442) 내부에 모르타르(150)가 충진된다.Like the
앞서 살펴본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와 다른 점은 너트체결부(431)와 상기 너트체결부보다 큰 외경을 가진 받침부(432)로 구성된 앵커받침부(430)가 연결재(420)의 선단부에 연결되도록 한 것과 상기 연결재(420)가 기둥구조물 하부(200) 내부 또는 하부 저면까지 연장되어 지반(D)에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가 자립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점이다.The difference from the
이때, 상기 앵커받침부(430)는 ""형 앵커고정구로써, 하부는 원형 등의 받침부(432)로 구성되고, 받침부(432) 상면에 일종의 체결너트로써 내주면에 압나사부가 형성된 너트체결부(431)로 구성되어 연결재(420)의 선단부 외주면에 형성시킨 수나사부가 상기 너트체결부(431)에 간단하게 체결하여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앵커받침부(430)는 지반 지지를 위한 단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받침부(432)가 형성된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의 자립뿐만 아니라, The
앞서 살펴본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는 그 제작용 거푸집의 재사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제작하고, 최종 기둥구조물의 높이 전체는 임의의 높이로 제작된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를 이용하여 경제성을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The
예컨대, 전체 기둥구조물의 높이(코핑부 제외, 기둥구조물 하부 제외시)가 9.8m라면, 1.5m높이의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 6개와 0.8m 높이의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 1개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f the height of the entire column structure (except for the coping part, except for the lower part of the column structure) is 9.8m, six
또한, 상기 연결재(420)는 몸통부(410)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형성되도록 하는데, 외부에 노출된 중간중간에 띠철근(450)를 감싸도록 하여 연장돌출된 연결재(420)를 구속시켜 줌과 더불어 기둥구조물 하부(200)와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단철근 역할도 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이에 도 3b와 같이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 상단이 노출될 수 있도록 기둥구조물 하부(200)를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거푸집 이용, 미도시)하게 되는데 이로써,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가 상방 돌출된 기둥구조물 하부(200)가 먼저 완성되도록 한다.Thus, as shown in FIG. 3b, the concrete for the column structure
이때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의 높이는 앞서 살펴본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 보다는 다소 작은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자립 설치 시 보다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이에 시공된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의 상부면에는 중공슬리브(440)가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중공슬리브(440)에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를 구성하는 연결재(120)의 삽입보강구(130)가 삽입 연결되게 된다.It can be seen that the
이를 위해 노출된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의 중공슬리브(440) 내부에 먼저 모르타르(150)가 충진되도록 하게 된다.To this end, the
이로서,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의 중공슬리브(440)에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의 삽입보강구(130)가 삽입되어 상기 중공슬리브(440)에 충진된 모르타르(150)가 경화되면서 최종 기둥구조물 하부(200)와 미리 일체화된 레 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에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가 없다면,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를 기둥구조물 하부(200)에 직접 설치해야 하는데, 기둥구조물 하부(200)와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의 연결부가 구조적으로 취약해질 수도 있기 때문에 먼저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를 기둥구조물 하부(200) 상부면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도록 설치함으로서 보다 시공성이 증진되고, 연결부 취약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f there is no
위와 같이 기둥구조물 하부(200)과 함께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가 설치되면 상기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에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를 결합시키게 된다.When the
물론 이러한 결합은 도 3b와 같이 위쪽의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를 구성하는 연결재(120)의 삽입보강구(130)를 아래쪽의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를 구성하는 모르타르(150)가 충진된 중공슬리브(440)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40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Of course, this combination is
물론 각각의 중공슬리브(140)에 연결재(120)의 삽입위치를 잘 세팅하여 시공해야 한다Of course, the
위와 같이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를 계획된 기둥구조물의 높이만큼 다수를 결합시켜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를 적층시키게 되면, 최종 상단에 위치한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에는 코핑부(300)를 결합시키게 된다.When stacking the
도 3c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최 상단에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코핑부(300)이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이러한 코핑부는 사다리꼴 단면 형태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제품으로서 역시 철근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된다.Referring to FIG. 3C, it can be seen that the coping
이러한 코핑부(300)는 그 크기가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보다 크기 때문에 단순히 최 상단의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에 중공슬리브(140)와 연결재(120)의 연결만으로 다소 그 결합이 약할 수가 있다. Since the coping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공슬리브(140)와 연결재(120)의 연결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나, 코핑부연결재(310)와 와셔와 너트(330)를 이용하여 코핑부(300)를 최 상단의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에 설치하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상기 코핑부연결재(310)는 이형철근 또는 강봉과 같은 부재를 이용하되 그 하단에는 연결재(120)와 같이 삽입보강구가 형성되도록 하고, 그 상단에는 수나사부를 형성시킨 것을 이용하게 된다.The coping
이에 먼저 코핑부(300)도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에 설치된 중공슬리브(140)들의 위치에 맞도록 상하로 연장되어 관통되는 삽입홀(340)을 형성시키되, 그 상면에는 블럭아웃부(S)를 형성시킨다.First, the coping
다음에는 코핑부연결재(310)을 위에서부터 코핑부(300)의 삽입홀(340)을 경유하여 그 하단이 최 상단의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의 상면에 노출되어 개방되어 모르타르가 충진된 중공슬리브(140)에 삽입되도록 한다.Next, the coping
이에 코핑부연결재(310)의 상단을 와셔와 너트(330)를 이용하여 코핑부연결 재(310)를 최종 코핑부(300)를 최상단의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에 결합시키게 된다.Accordingly, the coping
도 3d는 기둥구조물 하부(200)에 레벨조절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400),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 2개가 적층되어 결합되며, 최 상단의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에 코핑부(3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3d is a
미도시 하였지만, 코핑부(300) 상단의 블럭아웃부(S)는 마감 모르타르가 충진되어 상면이 마감되도록 하게 된다.Although not shown, the block-out part S on the top of the coping
이때, 적층되는 각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 상하면에는 에폭시수지와 같은 접착제를 더 도포할 수 있다.In this case, an adhesive such as an epoxy resin may be further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each of the
도 4는 기둥구조물의 상부부위를 단면도 형태로 도시한 것인데, 최 상단의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에 코핑부(300)가 코핑부연결재(310)에 의하여 결합되고,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도 역시 모르타르(150)가 충진된 중공슬리브(140)와 연결재(120)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ar structure, the coping
도 5는 도 4에 있어 특히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가 중공관 형태가 아닌 그 중공이 밀실하게 콘크리트로 채워지도록 함을 도시한 것인데 중공관 형태의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는 시공된 후 그 내부에 콘크리트와 같은 내부충진재(400)에 의하여 마감처리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FIG. 5 illustrates that the
도 1a는 종래 프리캐스트 방식의 교각구조물 시공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a shows a construction state diagram of a bridg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precast method.
도 1b는 종래 슬리브를 도시한 것이다.1B illustrates a conventional sleeve.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 와 레벨조정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2A and 2B show an example of a precast pillar unit and a level adjusting precast pill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 와 레벨조정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를 이용한 기둥구조물의 시공공종을 순서대로 개략 도시한 것이다.3a, 3b, 3c and 3d schematically illustrate the construction type of the column structure using the precast column unit and the level adjustment precast colum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도 4는 본 발명의 기둥구조물의 상부 절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 top cutaway view of the columna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기둥구조물의 다른 상부 절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hows another top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lumna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100: precast column unit
적층:몸통부 120:연결재Lamination: Body 120: Connector
130:앵커받침부 140:중공슬리브130: anchor support portion 140: hollow sleeve
150:모르타르 200:기둥구조물 하부150: mortar 200: lower pillar structure
300:코핑부 310:코핑부연결재300: Coping part 310: Coping part connection material
320:고정플레이트 330:와셔야 너트320: fixing plate 330: washer nut
340:삽입홀 400:레벨조정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340: insertion hole 400: precast column unit for level adjustment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5108A KR101017292B1 (en) | 2008-12-10 | 2008-12-10 | Precast column unit for level adjustment and colum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5108A KR101017292B1 (en) | 2008-12-10 | 2008-12-10 | Precast column unit for level adjustment and colum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6691A KR20100066691A (en) | 2010-06-18 |
KR101017292B1 true KR101017292B1 (en) | 2011-03-02 |
Family
ID=4236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5108A KR101017292B1 (en) | 2008-12-10 | 2008-12-10 | Precast column unit for level adjustment and colum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729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8191B1 (en) * | 2018-09-14 | 2020-03-12 |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 Half slab system using pc column and half slab method using the same |
KR20230013817A (en) * | 2021-07-20 | 2023-01-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Jig for precas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lumn structure usi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8131B1 (en) * | 2013-03-06 | 2014-12-31 |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 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Pier |
KR102230819B1 (en) * | 2020-03-16 | 2021-03-23 |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 Connector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necting precast concrete structures |
CN114182644A (en) * | 2021-12-31 | 2022-03-15 | 中国建设基础设施有限公司 | A kind of prefabricated concrete bridge pie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322022A (en) * | 1988-06-24 | 1989-12-27 | Mitsui Constr Co Ltd | Covering thickness holding member of pile top edge axial reinforcement in cast-in-place concrete pile |
KR100616531B1 (en) | 2004-11-10 | 2006-08-28 |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 Mortar Reinforcing Bar Fittings |
KR100770006B1 (en) | 2006-12-13 | 2007-10-25 | 박정진 | Reinforcement Structure of PC Column Vertical Reinforcing Bars |
KR20080065571A (en) * | 2008-06-24 | 2008-07-14 | (주)대우건설 | PSC pier assembled from precast concrete segment with steel duct and steel pi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2008
- 2008-12-10 KR KR1020080125108A patent/KR10101729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322022A (en) * | 1988-06-24 | 1989-12-27 | Mitsui Constr Co Ltd | Covering thickness holding member of pile top edge axial reinforcement in cast-in-place concrete pile |
KR100616531B1 (en) | 2004-11-10 | 2006-08-28 |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 Mortar Reinforcing Bar Fittings |
KR100770006B1 (en) | 2006-12-13 | 2007-10-25 | 박정진 | Reinforcement Structure of PC Column Vertical Reinforcing Bars |
KR20080065571A (en) * | 2008-06-24 | 2008-07-14 | (주)대우건설 | PSC pier assembled from precast concrete segment with steel duct and steel pi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8191B1 (en) * | 2018-09-14 | 2020-03-12 |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 Half slab system using pc column and half slab method using the same |
KR20230013817A (en) * | 2021-07-20 | 2023-01-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Jig for precas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lumn structure usiing the same |
KR102548481B1 (en) * | 2021-07-20 | 2023-06-2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onstruction method for column structure usiing jig for precast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6691A (en) | 2010-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5033B1 (en) | Precast column unit and colum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010540B1 (en) | Half precast coping part construction method | |
KR101143310B1 (en) | Precast concrete segments for constructing bridge piers with elongated round holes surrounding reinforcing bars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748636B1 (en) | Method of constructing copings integrally on top of piers using panel formwork and concrete piers with such copings | |
KR100864953B1 (en) | Concrete composite structure of double section structure using precast internal composite block segment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02904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illar structure using precast column unit using sheath pipe | |
KR20110103000A (en) | Steel composite hollow precast pier joint structure using concrete filling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017292B1 (en) | Precast column unit for level adjustment and colum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2007197975A (en) |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ile head and precast girder and connection method thereof | |
KR101056027B1 (en) | Combined structure of edge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pile with tension member and expansion foundation | |
KR101615200B1 (en) | Splice Sleeve And Conclusion Method Thereof | |
KR20090025759A (en) | Pier foundation with steel pipe and assembly structure | |
KR102523001B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pc wall | |
KR20110038443A (en) | Coupl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Piles and Expanding Foundations | |
KR20140110491A (en) | Half precast concrete column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ddle-type ties and dual hoops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414054B1 (en) | Mold for phc pil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phc pile using the same and the method for reinforcement of phc pile using the same | |
US10563402B1 (en) | Method of connecting a circular concrete-filled steel tubular column to a reinforced concrete footing | |
JP2008223339A (en) | Pile head strengthening method for hollow pile and pile head strengthening reinforcement material | |
KR102075437B1 (en) | Composite phc pile for soil retaining wall | |
KR20160012670A (en) | Rebar connecting implement and concrete embede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200431156Y1 (en) | Concrete piers with copings integrally constructed on top of piers using panel formwork members | |
KR100648979B1 (en) | Concrete composite structure using fiber-reinforced plastic pipe made of double sec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0455455Y1 (en) | Index plate | |
KR20210059485A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vertical shaft | |
KR100819504B1 (en) | Connection method of concrete composite and supporting structure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