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23138B1 -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 Google Patents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138B1
KR100723138B1 KR1020060031501A KR20060031501A KR100723138B1 KR 100723138 B1 KR100723138 B1 KR 100723138B1 KR 1020060031501 A KR1020060031501 A KR 1020060031501A KR 20060031501 A KR20060031501 A KR 20060031501A KR 100723138 B1 KR100723138 B1 KR 100723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arc welding
wire
toughness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7380A (ko
Inventor
도시오 무라카미
히토시 하타노
히로시 신타테
도시히코 나카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060107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40Making wire or rods for soldering or welding
    • B23K35/404Coated rods; Coated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대입열, 높은 패스간 온도의 용접조건에 있어서도, 용착 금속의 강도, 인성이 우수하고, 더욱이 저입열 용접에 대하여 내저온균열성이 우수한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는, 질량%로, C: 0 내지 0.011%, Si: 0.5 내지 1.0%, Mn: 1.8 초과 2.5% 이하, Cu: 0.1 내지 1.0%, Mo: 0.10 내지 0.50%, Ti: 0.1 내지 0.3%, B: 0.001 내지 0.005%, N: 0.0040 내지 0.0150%를 포함하고, 또한 하기 화학식 1의 PMP가 10% 이상이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PMP= 4[Mn]+([Cu]+[Ni]+[Cr])+6000([Mo]+[V]+[Nb]+[Zr]+[Ta]+[Hf]+[W])*[B]
상기 식에서,
[원소명]은 해당 원소의 함유 질량%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SOLID WIRE FOR GAS SHIELD ARC WELDING}
도 1은 구속 필릿 용접시험에 이용한 모재(母材) 시험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판 2: 입판
3: 사각형 구속판 4: 삼각형 구속판
6: 용접 비드
본 발명은 대입열(大入熱), 높은 패스간 온도에서의 용접성이 우수하고, 더욱이 저입열(低入熱)시의 내저온균열성 또한 우수한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탄산가스 등을 실드가스로 이용하는 가스 실드 아크 용접법은 용접 능률이 높고, 모든 자세(姿勢)에서 용접이 가능하기 때문에, 건축, 교량, 조선 분야 등의 철골의 제작, 건조(建造) 등에 있어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최근, 작업 능률을 개선하기 위해, 대입열 및 높은 패스간 온도에서 용접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지만, 종래의 용접용 와이어를 이용한 용접으로서는, 용착 금속(deposited metal)의 강도, 인성을 얻을 수 없고, 소망하는 기계적 특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이러한 대입열 및 높은 패스간 온도에서도 용접가능한 와이어가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제1998-230387호 공보에는, 질량%로, C: 0.02 내지 0.10%, Si: 0.65 내지 1.10%, Mn: 1.75 내지 2.50%, Ti: 0.16 내지 0.45%, B: 0.003 내지 0.010%, S: 0.020% 이하를 포함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B량과 Ti량, B량과 S량을 소정의 관계하에서 규제한 와이어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제1999-90678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제1999-239892호 공보에도, Ti, B, N, Al 및/또는 Zr을 소정량 첨가한 와이어, 더욱이 C, Si, Mn, P, S, Mo, V 및/또는 Nb, O를 소정량 첨가하고, 또는 첨가량의 상한을 규제한 와이어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에 의해 대입열 용접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패스간 온도가 500℃를 넘는 용접 조건에서는 충분한 특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한편, 최근, 500℃ 초과의 패스간 온도에서도 용접 가능한 와이어가 일본 특허공개 제2004-98143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이 와이어는, C, Si, Mn, Mo, Ti, B, V 및/또는 Nb를 소정량 포함하고, 더욱이 대입열, 높은 패스간 온도의 용접조건 하에서 용접 금속의 인성이 확보되도록 상기 성분의 첨가량을 Pts라는 변수에 의해 규제함 과 더불어, Mn, Mo, Si, Ti의 관계를 Vcq라는 변수에 의해 규제한 것이다.
또한, 대입열 용접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조립 용접, 횡방향 용접과 같은 저입열 용접에 있어서의 용접성도 개량한 와이어가 일본 특허공개 제2004-202572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상기 일본 특허공개 제2004-98143호 공보에 기재된 와이어에 의해 대입열 용접특성이 개선되고, 또한 일본 특허공개 제2004-202572호 공보의 와이어에서는 더욱이 저입력 용접 특성도 어느 정도 개선되었지만, 저입열 용접시의 내저온균열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내저온균열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대입열, 높은 패스간 온도의 용접 조건에 있어서 용착 금속의 강도, 인성이 우수하고, 더욱이 저입열 용접에 대하여 내저온균열성이 우수한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는, 질량%(이하, 단지「%」로 표시한다)로, C: 0 내지 0.011%, Si: 0.5 내지 1.0%, Mn: 1.8 초과 2.5% 이하, Cu: 0.1 내지 1.0%, Mo: 0.10 내지 0.50%, Ti: 0.1 내지 0.3%, B: 0.0010 내지 0.0050%, N: 0.0040 내지 0.0150%를 포함하고, 또한 하기 화학식 1의 PMP가 10% 이상이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화학식 1
PMP = 4[Mn]+([Cu]+[Ni]+[Cr])+6000([Mo+[V]+[Nb]+[Zr]+[Ta]+[Hf]+[W])*[B]
상기 식에서,
[원소명]은 해당 원소의 함유 질량%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와이어 조성은, 대입열, 500℃ 초과의 패스간 온도의 용접 조건하에서의 인장강도 및 인성을 확보하면서, 우수한 내저온균열성을 발현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즉, 주로 C량을 가급적 억제하는 동시에 Si를 적량 첨가하여 용착 금속 중의 C량을 저감하여 내저온균열성을 개선하고, 또한 C량의 저하를 보상하여 대입열 용접시의 강도, 인성을 확보하도록 페라이트 생성 억제 원소의 첨가량을 PMP라는 지표를 도입하여 적정화하고, 더욱이 N을 적극적으로 첨가하여 용착 금속의 조직을 미세화하는 것에 의해 인성을 향상시켜, 대입열 용접특성, 저입열 용접시의 내저온균열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상기 와이어에 있어서, Fe의 일부 대신에, (1) Cr, Ni의 1종 또는 2종을 합계로 0.1 내지 2.0%, (2) V, Nb, Zr, Ta, Hf, W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로 0.001 내지 0.1%, (3) Al: 0.001 내지 0.1%, (4) REM: 0.001 내지 0.2% 중 어느 하나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원소를 단독 또는 복합 첨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용착 금속의 기계적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에 의하면, 대입열, 높은 패스간 온도에서의 용접에 있어서 용착 금속의 강도, 인성이 우수하고, 더욱이 저입열 용접에 있어서도 인성이 우수한 용착 금속이 얻어지기 때문에, 저입열 용접시에 있어서의 내저온균열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는, C: 0 내지 0.011%, Si: 0.5 내지 1.0%, Mn: 1.8 초과 2.5% 이하, Cu: 0.1 내지 1.0%, Mo: 0.10 내지 0.50%, Ti: 0.1 내지 0.3%, B: 0.001 내지 0.005%, N: 0.0040 내지 0.0150%를 포함하고, 또한 하기 화학식 1의 PMP가 10% 이상이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화학식 1
PMP= 4[Mn]+([Cu]+[Ni]+[Cr])+6000([Mo]+[V]+[Nb]+[Zr]+[Ta]+[Hf]+[W])*[B]
상기 식에서,
[원소명]은 해당 원소의 함유 질량%를 나타낸다.
이하, 성분 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C: 0 내지 0.011%
C는 용착 금속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지만, 우수한 내저온균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낮은 편이 좋고, 본 발명에서는 무첨가라도 지장이 없다. 다만, C 농도를 과도하게 저감시키기에는 제조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0.001% 정도 이상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한편, 0.011%를 초과하면, 강도가 과대하게 되어, 용 착 금속의 인성이 열화하고, 특히 내저온균열성의 열화가 현저하게 된다. 이 때문에, C량은 0.011%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0% 이하로 한다.
Si: 0.5 내지 1.0%
Si는 탈산 원소이고, 용착 금속중의 용존 산소량를 저하시킨다. 또한, Si량을 상기 범위로 억제하는 것으로, 분위기의 CO2의 환원을 억제하여 용착 금속중의 C량을 저하시키고, 내저온균열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0.5% 미만에서는 용존 산소량의 저감이 충분하지 않고, 용착 금속의 인성이 열화한다. 이 때문에, Si량의 하한을 0.5%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6%로 하는 것이 좋다. 한편, 과다 첨가하면, 고용(固溶) 강화에 의해 강도가 과대하게 되어, 용착 금속의 인성, 내저온균열성이 열화하게 된다. 이 때문에, 그 상한을 1.0%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9%로 하는 것이 좋다.
Mn: 1.8 초과 2.5% 이하
Mn은 탈산 원소로서 작용하는 동시에, 입계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강도, 인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Mn량이 과소하게 되면 대입열 용접시의 기계적 특성이 열화하기 때문에 Mn량을 1.8% 초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1.9%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한편, 과다하게 되면 저입열 용접시의 강도가 과대하게 되어 내저온균열성이 열화한다. 이 때문에, 그 상한을 2.5%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2.4%로 하는 것이 좋다.
Cu: 0.1 내지 1.0%(도전성 도금 피막으로서 부여되는 량을 포함한다)
Cu는 용착 금속의 인성을 개선하는 작용이 있고, 또한 심선(心線)의 도전성 도금 피막으로서 불가피하게 함유된다. 0.1% 미만으로는 도전성을 확보할 수 없고, 용접 작업성이 열화한다. 한편, 1.0%를 초과하면 Cu가 미세하게 석출하여, 강도, 인성 정도가 열화하게 된다. 이 때문에, Cu량의 하한을 0.1%, 바람직하게는 0.15%로 하고, 그 상한을 1.0%, 바람직하게는 0.8%로 한다.
Mo: 0.10 내지 0.50%
Mo는 B와 복합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입계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여, 대입열 용접시의 강도 인성 정도를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0.10% 미만에서는 이러한 작용이 과소로 되고, 한편 0.50%를 초과하면,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 내저온균열성이 열화한다. 이 때문에, Mo량의 하한을 0.10%, 바람직하게는 0.15%로 하고, 그 상한을 0.50%, 바람직하게는 0.42%,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로 한다.
Ti: 0.1 내지 0.3%
Ti는 산화물을 형성하고, 이것이 입자내 변태(變態)의 핵으로 행동함으로써, 조직의 미세화와 인성의 개선작용을 한다. 0.1% 미만에서는 이러한 작용이 과소이며, 0.3%를 초과하면 Ti 탄화물을 형성하게 되어 용착 금속의 인성이 열화하게 된다. 이 때문에, Ti량의 하한을 0.1%, 바람직하게는 0.15%로 하고, 그 상한을 0.3%, 바람직하게는 0.25%로 한다.
B: 0.0010 내지 0.0050%
B는 입계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고, 이에 의해 강도 인성 정도를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0.0010% 미만에서는 이러한 작용이 과소하게 되고, 한편 0.0050% 를 초과하면 저입열 용접시의 용착 금속의 강도가 과대하게 되어, 내저온균열성이 열화하게 된다. 이 때문에, B량의 하한을 0.0010%, 바람직하게는 0.0015%로 하고, 그 상한을 0.0050%, 바람직하게는 0.0040%로 한다.
N: 0.0040 내지 0.0150%
N은 Ti와 반응하여 TiN을 형성하고, γ 입경을 미세화함으로써 인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0.0040% 미만에서는 충분한 량의 TiN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작용이 과소하게 되고, 한편 0.0150%를 초과하면 고용 N이 존재하기 때문에, 오히려 인성이 열화하게 된다. 이 때문에, N량의 하한을 0.0040%, 바람직하게는 0.0050%로 하고, 한편 그 상한을 0.0150%, 바람직하게는 0.0120%로 한다.
P MP : 10% 이상
PMP는 대입열 용접시의 용착 금속의 강도, 인성에 미치는 페라이트 생성 억제 원소의 첨가량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지표이며, 이 값이 10% 미만에서는, 극저 C량 하에서는 소기의 고강도, 고인성을 확보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페라이트 억제 원소의 첨가량을 PMP 10% 이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는, 전형적으로는 상기 기본 성분 외에, 잔부 Fe로 형성되지만, Fe의 일부 대신에, (1) Cr, Ni의 1종 또는 2종을 합계로 0.1 내지 2.0%, (2) V, Nb, Zr, Ta, Hf, W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로 0.001 내지 0.1%, (3) Al: 0.001 내지 0.1%, (4) REM: 0.001 내지 0.2% 중 어느 하나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원소를 단독 또는 복합 첨가할 수 있다. 이하, 이들 원소의 첨가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Cr, Ni: 합계 0.01 내지 2.0%
이들 원소는 입계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 및 조직 미세화 작용을 하고, 강도 인성 정도를 개선시킨다. 0.01% 미만에서는 이러한 작용 효과가 과소하게 되고, 한편 2.0%를 초과하면 대입열 용접시의 용착 금속 중에 MA(Martensite-Austenite Constituent: 마르텐사이트 및 오스테나이트의 혼합물)가 형성하게 되어 인성이 열화한다. 이 때문에, 1종 또는 2종의 합계량으로 하한을 0.01%로 하고, 상한을 2.0%로 한다.
V, Nb, Zr, Ta, Hf, W: 합계 0.001 내지 0.1%
이들 원소는 Mo, B와 함께 복합 첨가함으로써 입계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높여 강도, 인성 정도를 개선시킨다. 그러나, 과다하게 첨가하면, 강도가 과대하게 되어, 오히려 강도 인성 정도가 열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이들 원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계로 하한을 0.001%, 상한을 0.1%로 한다.
Al: 0.001 내지 0.1%
Al은 고용 N을 AlN으로서 고정하고, 이에 의해 모재 인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0001% 미만에서는 이러한 작용이 과소하게 되고, 한편 0.1%를 초과하여 과다하게 첨가하면 고용 강화가 과대하고 인성이 열화하게 된다. 이 때문에, Al량의 하한을 0.001%로 하고, 그 상한을 0.1%, 바람직하게는 0.05%로 한다.
REM: 0.001 내지 0.2%
REM은 개재물을 미세화하고, 이에 의해 용착 금속조직을 미세화하는 것으로 강도 인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과다하게 첨가하면 이들의 효과가 없어지고 오히려 강도 인성을 열화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REM량의 하한을 0.001%로 하고, 그 상한을 0.2%로 한다.
본 발명의 용접 와이어를 제조하는 경우에, 특별한 제조 조건은 필요 없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성분의 강을 용제(溶製)하여 주괴(鑄塊)를 얻는다. 이 경우, Cu 첨가량에 관해서는, 신선(伸線)후에 실시되는 구리 도금에 의해 부여되는 량(와이어 선 직경에 의해 다르지만, 보통, 와이어 질량에 대해 0.1 내지 0.3% 정도)을 고려하여 강철 성분을 결정한다. 주괴는, 필요에 따라 열간 단조 등을 실시한 후, 열간 압연하고, 더욱이 냉간 신선을 실시하여 소선(素線)으로 형성한다. 소선은, 필요에 따라 500 내지 900℃ 정도의 온도로 소둔(燒鈍)하고, 산세척한 후, 구리 도금을 실시하고, 더욱이 필요에 따라 마무리 신선을 실시하여 목표 선 직경으로 한다. 그 후, 필요에 따라 윤활제를 부여하여 용접용 와이어로 만든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목표의 와이어 조성(단, Cu를 포함하지 않는다)이 되도록 소정 성분의 강 150 kg을 VIF(진공 유도 로(爐))에서 진공하에서 용제하고, 그 주괴를 155 mm 각으로 열간 단조한 후, 1000℃로 가열하고, 열간 압연으로 5.5 mm Φ로 압연하고, 신선하여 1.4 mm%의 소선을 수득했다. 또한, 이 소선을 산세척한 후, 구리 도금을 실시했다. 구리 도금은, 성분이 Cu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와이어 중량에 대해 Cu량이 0.2% 정도 되도록 도금량을 조정했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용접 와이어의 조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용접 와이어를 이용하여 하기 용접 조건으로 용접 시험을 하여, 대입열 용접시의 용착 금속의 강도, 인성을 조사했다.
용접 전류: 420A
용접 전압: 43V
와이어 송출 속도: 28 cm/분
입열량: 38.7 kJ/cm
예열: 없음
패스간 관리조건: 연속, 최종 패스간 온도 500 내지 550℃
모재 강판: SM490, 형상 22 mm 두께 × 100 mm 폭 × 200 mm 길이
홈 형상: 35° レ형 홈, 갭 7 mm
실드 가스: CO2, 유량 25 L/분
용접 후, 용착 금속으로부터 시험편을 채취하여, JISZ3111에 따라서 인장 시험, 충격 시험을 하여, 인장 강도(TS) 및 충격치(vE 0℃)를 측정했다. TS: 540 MPa 이상, vE 0℃: 80 J 이상인 경우에, 대입열 용접시의 강도 강인 정도는 양호하고, 합격 수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다음으로, 하기 용접조건으로 구속 필릿 용접시험을 하고, 소입열 용접시의 내저온균열성을 조사했다.
용접 전류: 200A
용접 전압: 26V
와이어 송출 속도: 50 cm/분
입열량: 6.24 kJ/cm
예열: 없음
모재 강판: SM490
모재 시험체의 구조: 도 1
시험 온도: 0℃
실드 가스: CO2, 유량 25 L/분
상기 시험체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1)의 폭방향 중앙에 입판(2)을 설치하고, 이것에 삼각형 구속판(4)을 접합하고, 또한 기판(1)의 하면에 사각형 구속판(3)을 3장 접합한 것으로, 이들의 접합은 구속 필릿 레그 길이 6 mm 이상으로 용접한 것이다[문헌(사단법인 일본 용접협회 발행, 「용접의 연구」, No.40(2002) p203) 참조]. 기판(1)과 입판(2)은 도면과 같이, 구속판(3)의 바로 위를 피하여 6개소, 상기 용접 와이어를 이용하여 용접하고, 이 용접 비드(6)에 대하여 저온 균열성을 조사했다. 저온 균열성은, 용접 후, 24시간 경과한 후, 비드 표면을 칼라체크하여 균열의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관찰 결과를 표 2에 함께 나타낸다. 표 2에 있어서, 평가란의 ○는 합격기준을 만족하는 것을, ×는 합격기 준을 만족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표 2로부터 발명예에 따른 시료 번호 1, 7, 8, 15, 17 내지 26은 대입열 용접시의 기계적 특성 및 저입열 용접시의 내저온균열성이 우수하다.
한편, 비교예에 있어서는, 시료 번호 2는 C량이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대입열 용접시의 강도가 과도하게 높고, 용착 금속의 충격 특성이 열화하고, 또한 내저온 균열성도 열화하게 된다. 또한, Si에 관하여, Si량이 과소한 번호 3에서는 탈산이 부족하고, 고용산소가 잔존하기 때문에 인성이 열화되고, 한편 Si량이 과다한 번호 4에서는 고용 강화에 의해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인성이 18 J로 현저히 열화했다. 또한, Mn에 관하여, 번호 5는 Mn량이 지나치게 낮기 때문에 입계 페라이트의 형성을 억제할 수 없고, 대입열 용접시의 인성이 열화하고, 한편 Mn량이 과다한 번호 6에서는 저입열 용접시의 강도가 과대하여, 내저온균열성이 악화되었다. 또한, Cu에 관하여, 시료 번호 9는 Cu량이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Cu의 석출에 의해 강도가 향상되었지만, 인성이 열화했다. 또한, Mo에 관하여, Mo가 과소한 번호 10에서는 입계 페라이트의 형성을 억제할 수 없고, 대입열 용접특성이 저하되고, 한편 Mo가 과다한 번호 11에서는, 저입열 용접시의 강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내저온균열성이 확보될 수 없었다. 또한, Ti에 관하여, Ti량이 0.54%로 과다한 번호 12에서는, 용착 금속중에 Ti 탄화물이 형성되고, 인성의 열화가 현저하다. 또한, B에 대하여, B량이 과소인 번호 13에서는, 입계 페라이트의 형성을 억제할 수 없고, 대입열 용접시의 인성을 확보할 수 없고, 한편 B량이 과다한 번호 14에서는 저입열 용접시의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지기 때문에, 내저온균열성이 확보되지 않았다. 또 한, 번호 16은, 각각의 합금성분은 본 발명 범위내에 있지만, 페라이트 억제 원소량을 종합 평가하면 PMP가 8.6으로 과소이기 때문에, 충분한 대입열 용접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번호 27은 C량이 높고, N량이 낮기 때문에 용착 금속의 인성이 저하되어, 내저온균열성이 확보되지 않았다.
Figure 112006024174200-pat00001
Figure 112006024174200-pat00002
본 발명의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에 의하면, 대입열, 높은 패스간 온도에서의 용접에 있어서 용착 금속의 강도, 인성이 우수하고, 더욱이 저입열 용접에 있어서도 인성 및 내저온균열성이 우수하다.

Claims (9)

  1. 질량%로, C: 0 내지 0.011%, Si: 0.5 내지 1.0%, Mn: 1.8 초과 2.5% 이하, Cu: 0.1 내지 1.0%, Mo: 0.10 내지 0.50%, Ti: 0.1 내지 0.3%, B: 0.0010 내지 0.0050%, N: 0.0040 내지 0.0150%를 포함하고, 또한 하기 화학식 1의 PMP가 10% 이상이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대입열 특성 및 내저온균열성이 우수한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화학식 1
    PMP= 4[Mn]+([Cu]+[Ni]+[Cr])+ 6000([Mo]+[V]+[Nb]+[Zr]+[Ta]+[Hf]+[W])*[B]
    상기 식에서,
    [원소명]은 해당 원소의 함유 질량%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Fe의 일부 대신에, Cr, Ni의 l 종 또는 2종을 합계로 0.1 내지 2.0% 포함하는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Fe의 일부 대신에, V, Nb, Zr, Ta, Hf, W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로 0.001 내지 0.1% 포함하는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4. 제 2 항에 있어서,
    Fe의 일부 대신에, V, Nb, Zr, Ta, Hf, W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합계로 0.001 내지 0.1% 포함하는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5. 제 1 항에 있어서,
    Fe의 일부 대신에, Al을 0.001 내지 0.1% 포함하는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6. 제 2 항에 있어서,
    Fe의 일부 대신에, Al을 0.001 내지 0.l% 포함하는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7. 제 3 항에 있어서,
    Fe의 일부 대신에, Al을 0.001 내지 0.1% 포함하는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8. 제 4 항에 있어서,
    Fe의 일부 대신에, Al을 0.001 내지 0.1% 포함하는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e의 일부 대신에, REM을 0.001 내지 0.2% 포함하는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KR1020060031501A 2005-04-07 2006-04-06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KR100723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10808A JP4614226B2 (ja) 2005-04-07 2005-04-07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ソリッドワイヤ
JPJP-P-2005-00110808 2005-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380A KR20060107380A (ko) 2006-10-13
KR100723138B1 true KR100723138B1 (ko) 2007-05-30

Family

ID=37062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501A KR100723138B1 (ko) 2005-04-07 2006-04-06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14226B2 (ko)
KR (1) KR100723138B1 (ko)
CN (1) CN10043603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76955B (zh) * 2006-11-10 2011-08-31 航天材料及工艺研究所 适用于高强铝铜合金的焊丝
KR20100059936A (ko) * 2007-10-05 2010-06-04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CN101456102B (zh) * 2009-01-05 2011-05-04 西安理工大学 α型钛合金手工钨极氩弧焊细化晶粒型焊丝及制备方法
CN102233494B (zh) * 2010-04-27 2012-12-05 昆山京群焊材科技有限公司 不锈钢带极电渣堆焊焊带及焊剂
CN101862924A (zh) * 2010-06-30 2010-10-20 郑州机械研究所 超临界钢用气保护焊丝材料
CN101983827B (zh) * 2010-10-19 2013-07-10 成都新大洋焊接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合金抗蠕变耐热钢埋弧焊丝
CN102069318A (zh) * 2010-12-14 2011-05-25 江苏大学 一种耐汽蚀不锈钢焊丝及其焊接方法
CN102319967A (zh) * 2011-09-02 2012-01-18 天津大桥焊丝有限公司 一种低碳高强度结构钢用气体保护焊实心焊丝
TW201318757A (zh) * 2011-11-01 2013-05-16 Sorex Welding Co Ltd 不鏽鋼帶極電渣堆焊材料
CN102554506A (zh) * 2012-01-28 2012-07-11 孟庆连 一种热轧钎焊用钎料
CN103692107A (zh) * 2013-12-30 2014-04-02 钢铁研究总院 一种用于建造油轮的耐蚀埋弧焊丝
CN104801885A (zh) * 2015-04-24 2015-07-29 柳州金茂机械有限公司 一种焊接工艺用焊丝的制备工艺
CN107414342A (zh) * 2017-07-31 2017-12-01 安徽华众焊业有限公司 一种铜铝药芯焊丝
CN107553001B (zh) * 2017-09-01 2021-03-26 武汉铁锚焊接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核电构件电弧增材制造用埋弧焊丝
KR102092059B1 (ko) 2018-03-27 2020-03-23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Ni기 합금 와이어 및 용접 조인트의 제조 방법
WO2019186686A1 (ja) 2018-03-27 2019-10-03 日本製鉄株式会社 被覆アーク溶接棒用のNi基合金心線、被覆アーク溶接棒、及び被覆アーク溶接棒の製造方法
CN111618478B (zh) * 2019-02-28 2022-11-1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适合超低热输入自动焊接的低锰气体保护焊丝及其焊接方法
JP6771638B1 (ja) * 2019-11-07 2020-10-2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CN111975244B (zh) * 2020-09-02 2021-07-27 燕山大学 免涂装耐候钢桥用抗拉强度650MPa级CO2气体保护焊丝及盘条
CN113787278B (zh) * 2021-09-01 2023-03-24 武汉轻工大学 一种氮钛复合强化高强钢的混合气体保护焊接工艺
CN117260066B (zh) * 2023-11-23 2024-01-16 河北钨泰固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埋弧焊丝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920A (ja) * 1996-01-23 1997-08-05 Nippon Steel Corp 大入熱溶接熱影響部靭性の優れた高強度鋼板の製造法
JP2004202572A (ja) * 2002-11-08 2004-07-22 Jfe Steel Kk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溶接ワイ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1424B2 (ja) * 1994-04-25 2002-01-2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強度Cr−Mo鋼用溶接ワイヤ
JP3199656B2 (ja) * 1997-02-19 2001-08-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JP3545193B2 (ja) * 1998-02-25 2004-07-21 日鐵住金溶接工業株式会社 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ソリッドワイヤおよびその溶接方法
JP3747237B2 (ja) * 2000-05-01 2006-02-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耐熱鋼用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3551136B2 (ja) * 2000-07-05 2004-08-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JP3551140B2 (ja) * 2000-09-25 2004-08-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JP3945396B2 (ja) * 2002-12-09 2007-07-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鋼ワイヤ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接方法
JP2004195543A (ja) * 2002-12-20 2004-07-15 Jfe Steel Kk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鋼ワイヤ
JP3941756B2 (ja) * 2003-07-29 2007-07-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炭酸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鋼ワイヤの鋼素線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920A (ja) * 1996-01-23 1997-08-05 Nippon Steel Corp 大入熱溶接熱影響部靭性の優れた高強度鋼板の製造法
JP2004202572A (ja) * 2002-11-08 2004-07-22 Jfe Steel Kk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溶接ワイヤ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5-21981(2005.01.27.)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6-202572(2004.07.2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9-202920(1997.08.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3683A (zh) 2006-10-11
JP2006289395A (ja) 2006-10-26
JP4614226B2 (ja) 2011-01-19
CN100436032C (zh) 2008-11-26
KR20060107380A (ko) 200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138B1 (ko) 가스 실드 아크 용접용 솔리드 와이어
KR101846759B1 (ko)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387802B1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JP5314473B2 (ja) 溶接まま及び応力除去焼鈍後の強度、靭性に優れた溶接金属並びにその溶接金属によって接合された溶接構造物
CN113646456B (zh) Tig焊接用填隙合金
JP2012184500A (ja) 溶接熱影響部の低温靭性に優れた高張力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56129B2 (ja) 高Mn鋼の製造方法
US20230211441A1 (en) Solid wire for gas metal arc welding
JP5005395B2 (ja) 高強度高靭性鋼用溶接ワイヤ
EP3533891A1 (en) Steel for high heat input welding
KR20160127808A (ko) 고장력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4441372B2 (ja) 高強度高靭性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JP5831056B2 (ja) 溶接部耐食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533968B2 (ja) ミグ溶接作業性に優れたオ―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線材
KR20200052914A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4178359A1 (ja) スポット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低比重鋼板
JP5012194B2 (ja) 溶接継手強度が高い温水器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87832B2 (ja) 高強度熱間ベンド鋼管の製造方法
JP2001001181A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JP2004091860A (ja) 低合金耐熱鋼用溶接金属
JP3862213B2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溶接ワイヤ
JP2022089304A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継手、溶接構造物、および母鋼材、ならびに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継手の製造方法。
WO2021054345A1 (ja) 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2124274A1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ワイヤ
JP5131802B2 (ja) スポット溶接性と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