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225B1 - Insp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Inspec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2225B1 KR100722225B1 KR1020050117496A KR20050117496A KR100722225B1 KR 100722225 B1 KR100722225 B1 KR 100722225B1 KR 1020050117496 A KR1020050117496 A KR 1020050117496A KR 20050117496 A KR20050117496 A KR 20050117496A KR 100722225 B1 KR100722225 B1 KR 1007222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sensor
- measured
- column
- det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6—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istance of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4—Suppo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측정물을 검사하는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피측정물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접근 이격 가능하게 마련된 측정플랫폼과; 상기 측정플랫폼에 지지되어 상기 피측정물에 접근시 상기 피측정물의 기준면에 접촉되는 기준칼럼과, 상기 피측정물에 접근시 상기 피측정물 소정의 피검출부에 접촉되며 상기 기준칼럼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검출칼럼을 갖는 검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상대적 높낮이를 간편하고 신속하며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검사장치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pection apparatus for inspecting an object to be measured, comprising: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object to be measured; A measurement platform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A reference column supported by the measurement platform and in contact with the reference plane of the measurement object when approaching the measurement object, and in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detection part of the measurement object when approaching the measurement object, relative to the reference column And an inspection unit having a detection column provided to be movable. Thereby, an inspection apparatus capable of inspecting the relative heights simply, quickly and accurately is provid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th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검사유닛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the inspection unit,
도 3은 검출칼럼과 기준칼럼의 주요부를 절단한 정단면도,3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detection column and the reference column;
도 4는 센서조절부의 주요부를 절단한 정단면도,4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ensor adjusting unit cut;
도 5a 내지 도 5c는 검사상태를 나타낸 단면도,5a to 5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inspection state,
도 6은 검사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inspection apparatus.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검사장치 13 : 지지대10: inspection device 13: support
20 : 측정플랫폼 21 : 이송부20: measuring platform 21: transfer part
23 : 기준칼럼결합부 30 : 피측정물23: reference column coupling portion 30: the measured object
31 : 기준면 33 : 피검출부 31: reference plane 33: part to be detected
38 : 검사유닛38: inspection unit
40 : 유닛본체 41 : 검출칼럼수용부40: unit body 41: detection column receiving portion
50 : 기준칼럼 51 : 기준칼럼본체50: reference column 51: reference column body
53 : 검출칼럼관통부 55 : 기준칼럼검출부53: detection column penetrating unit 55: reference column detection unit
60 : 검출칼럼 61 : 검출칼럼본체60: detection column 61: detection column body
63 : 검출칼럼가압부재 65 : 검출칼럼돌기63: detection column pressurizing member 65: detection column protrusion
67 : 검출칼럼검출부 70 : 센서부67: detection column detection unit 70: sensor unit
71 : 센서 73 : 센서베이스71: sensor 73: sensor base
75 : 센서감지부재 75: sensor detecting member
80 : 완충부 81 : 완충로드80: buffer section 81: buffer rod
83 : 완충스프링 90 : 센서조절부83: buffer spring 90: sensor control unit
91 : 조절로드 93 : 조절홈91: adjusting rod 93: adjusting groove
95 : 조절탄성부재 97 : 회동홈95: control elastic member 97: rotation groove
110 : 제어부 115 : 표시정보부110
본 발명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적 높낮이를 간편하고 신속하며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pe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pection apparatus capable of inspecting the relative height easily, quickly and accurately.
검사장치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분야,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제조, 생산공정 등에 사용되고 있다. Inspection apparatus is generally used in various manufacturing, production processes, etc. according to various fields and purposes.
검사장치는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조립하는 볼트의 체결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를 선택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사용 조건이 다양하며, 핵심부품으로 검사 조건이 비교적 엄격하고 까다롭다. 이와 같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조립불량이 제품 불량으로 직결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검사가 요구되고 있다. The inspectio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below by selecting an apparatus for inspecting whether the bolt is fastened to assemble the hard disk drive of the compu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ard disk drives used in computers, etc. vary in the conditions of use, the core components are relatively stringent and difficult to test conditions. Since such poor assembly of the hard disk drive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product defects, a more accurate inspection is required.
종래의 검사장치는 일반적으로 피측정물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조립된 볼트의 높이를 검사하기 위하여 먼저 피측정물을 지지대 위에 안착시키고, 지지대에 접근 이격 가능하게 마련된 측정플랫폼과, 측정플랫폼에 지지되어 피측정물의 피검출부를 감지하는 검사프로브를 갖는다. Conventional inspection apparatus is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bolts assembled to the hard disk drive, which is generally the object to be measured, first, the measurement platform is placed on the support, the measurement platform is provided so as to be accessible to the support and the measurement platform is supported It has a test probe which detects a part to be detected to be measured.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지지대를 기준점으로 하여 볼트의 최상단까지의 높이를 산출하여 오차범위의 초과여부로 볼트의 조립불량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height of the bolt to the uppermost end of the bolt can be calculated using the support as a reference point,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bolt is assembled poorly due to the excess of the error range.
그런데, 종래기술은 피측정물의 오차범위를 고려하지 않아 볼트의 불량 여부를 검출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불량 여부의 판단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측정물의 기준면과 볼트의 높이를 검출하여 상대높이를 순차적으로 검출하여 상대적인 높이를 검출한다면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를 갖는다. 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detect whether the bolt is defective because it does not consider the error range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determination of the defect is inferior. In addition, if the relative height is sequentially detected by detecting the height of the reference plane and the bolt to be measured and the relative height is detected, it takes a long tim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며 신속하고 정확하게 상대적인 높낮이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spection apparatus for inspecting relative heights simply, quickly and accurately.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피측정물을 검사하는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물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접근 이격 가능하게 마련된 측정플랫폼과; 상기 측정플랫폼에 지지되어 상기 피측정물에 접근된 상태에서 상기 피측정물의 기준면에 접촉되는 기준칼럼과, 상기 피측정물에 접근된 상태에서 상기 피측정물 소정의 피검출부에 접촉되며 상기 기준칼럼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검출칼럼을 갖는 검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st apparatus for inspecting an object to be measured, comprising: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object to be measured; A measurement platform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A reference column that is supported by the measurement platform and is in contact with the reference plane of the measurement object in a state of approaching the object to be measured, and the reference column is in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detection part of the measurement object in a state of being in proximity to the object It is achieved by an inspection device comprising a test unit having a detection column provid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여기서, 상기 검사유닛은, 유닛본체와, 상기 검출칼럼이 상기 피측정물의 피검출부에 가압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검출칼럼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유닛본체에 결합된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sp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unit body and a sensor unit coupled to the unit body so as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detection column in a state in which the detection column is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portion to be detected.
또한,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센서부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물의 불량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정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p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isplay information unit indicating whether the object to be measured is defectiv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또한,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유닛본체가 상기 측정플랫폼을 향하여 탄성 가압되도록 상기 측정플랫폼에 결합된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pection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unit body further comprises a buffer coupled to the measurement platform so that the elastic pressing toward the measurement platform.
또한,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센서부의 높낮이를 소정 범위에서 조절하도록 상기 유닛본체에 결합된 센서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pection unit, preferably comprises a sensor control unit coupled to the unit bod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nsor unit in a predetermined rang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검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조립하는 볼트의 체결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장치를 선택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test apparatus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test apparatus for checking whether the bolts for assembling the hard disk drive of the computer are fastened will be described.
검사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측정물(30)을 지지하는 지지대(13)와; 지지대(13)에 접근 이격 가능하게 마련된 측정플랫폼(20)과; 측정플랫폼(20)에 지지되어 피측정물(30)에 접근시 피측정물(30)의 기준면(31)에 접촉되는 기준칼럼(50)과, 피측정물(30)에 접근시 피측정물(30)의 소정의 피검출부 (33)에 접촉되며 기준칼럼(5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검출칼럼(60)을 갖는 검사유닛(38)을 포함한다. The
측정플랫폼(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측정물(30)에 대해 접근 및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이송부(21)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유닛본체(40)를 지지한다. 측정플랫폼(20)는 판상을 포함하며, 이송부(21)는 유공압실린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플랫폼(20)는 후술할 기준칼럼(50)이 결합되는 기준칼럼결합부(23)와, 검출칼럼(60)이 수용되는 제1검출칼럼수용부(41a)를 가지며, 이송부(21)의 구동에 의해 승강에 따른 이동시 승강을 안내하는 슬라이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닛본체(38)는 피측정물(30)의 나사체결부위의 숫자에 대응하여 측정플랫폼(20)에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피측정물(30)은 지지대(13) 위에 지지되어 기준칼럼(50) 및 검출칼럼(60)과 접촉된다. 피측정물(30)은 측정플랫폼(20)의 접근에 의해 기준칼럼(50)이 피측정물(30)과 접촉되는 영역인 기준면(31)과, 측정플랫폼(20)의 접근에 의해 검출칼럼(60)이 피측정물(30)과 접촉되는 영역인 피검출부(33)를 갖는다. 피측정물(30)은 컴퓨터에 사용되며, 다수의 볼트로 조립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이에, 피측정물(30)에 접촉되어 기준면(31)에서 피검출부(33)까지 거리가 용이하게 측정된다. The object to be measured 30 is supported on the
검사유닛(38)은,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본체(40)와, 검출칼럼(60)이 피측정물(30)의 피검출부(33)에 가압 접촉된 상태에서 검출칼럼(60)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유닛본체(40)에 결합된 센서부(70)와, 센서부(70)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피측정물(30)의 불량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정보부(115)를 제어하는 제어부(110)와, 유닛본체(40)가 측정플랫폼(20)을 향하여 탄성 가압되는 완충부(80)와, 센서부(70)의 높낮이를 소정 범위에서 조절하도록 유닛본체(40)에 결합된 센서조절부(90)를 더 포함한다. 이에, 피측정물(30)의 피검출부(33)의 상대적인 높이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6, the
유닛본체(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플랫폼(20)에 지지되며, 완충부(80)에 의해 결합되어 측정플랫폼(20)에 대해 소정범위에서 이동가능하게 있다. 유닛본체(40)는 후술할 센서부(70) 및 센서조절부(9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기준칼럼(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플랫폼(20)의 접근에 의해 피측정물(30)의 기준면(31)에 접촉된다. 기준칼럼(50)은 기준칼럼본체(51)와, 검출칼럼(60)이 수용되어 승강될 수 있는 제2검출칼럼수용부(41b)와, 피측정물(30)의 기준면(31)과 접촉되는 기준칼럼검출부(55)를 갖는다. 이에, 검사의 상대적 기준이 되는 기준면(31)이 제공된다. As shown in FIG. 3, the
검출칼럼(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검출칼럼수용부(41a, 41b)에 수용되어 지지되며 측정플랫폼(20)의 접근에 의해 피측정물(30)의 피검출부(33)와 접촉되어 기준칼럼(5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검출칼럼(60)은 검출칼럼본체(61)와, 기준칼럼(50)에 지지된 검출칼럼(60)이 이탈되지 않도록 기준칼럼(50)을 향하여 검출칼럼(60)를 탄성 가압하는 검출칼럼가압부재(63)를 포함한다. 검출칼럼(60)은 검출칼럼가압부재(63)가 지지되도록 외주면에서 돌출된 검출칼럼돌기(65)를 갖는다. 검출칼럼(60)에는 후술할 센서감지부재(75)가 결합된다. 검출칼럼(60)은 피측정물(30)의 피검출부(33)에 접촉되는 검출칼럼검출부(67)를 가지며, 검출칼럼검출부(67)는 피검출부(33)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검출칼럼(60)은 기준칼럼(50)으로부터 상대적인 위치를 간편하고 신속하며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센서부(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칼럼(60)이 피측정물(30)의 피검출부(33)에 가압 접촉된 상태에서 검출칼럼(60)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유닛본체(40)에 결합된다. 센서부(70)는, 검출칼럼(6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71)와, 센서(71)를 지지하며 센서조절부(90)에 결합되는 센서베이스(73)와, 검출칼럼(60)의 위치를 센서(71)가 감지하도록 검출칼럼(60)에 결합된 센서감지부재(75)를 포함한다. 센서베이스(73)에는 전원 또는 신호를 공급 또는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단자부(미도시)가 포함된다. 이에, 검출칼럼(60)의 상대적인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센서(7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칼럼(60)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센서베이스(73)에 지지되어 있다. 센서(71)는 수신부 및 송신부를 가지고 센서감지부재(75)를 감지하거나 반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센서감지부재(75)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하며 공지의 다양한 센서로 변경할 수 있다. 센서(71)에서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110)로 전달된다.As shown in FIG. 4, the
완충부(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본체(40)가 측정플랫폼(20)을 향하여 탄성 가압되도록 측정플랫폼(20)에 결합되어 있다. 완충부(80)는 측정플랫폼(20)에 결합되는 완충로드(81)와, 완충로드(81)로부터 이탈방지되게 결합되어 탄 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완충스프링(83)를 갖는다. 이에, 피측정물(30)에 소정의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피측정물(30)과 검사유닛(38)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센서조절부(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70)의 높낮이를 소정 범위에서 조절하도록 유닛본체(40)에 결합되어 있다. 센서조절부(90)는 센서베이스(73)와 나사구조 등으로 상호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센서베이스(73)를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로드(91)와, 조절로드(91)를 회전시키기 위한 지그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조절홈(93)을 갖는다. 조절로드(91)는 상면에 회전각도를 알 수 있도록 조절로드(91)와 유닛본체(40)에 각각 각인을 할 수 있다. 센서조절부(90)는 조절로드(91)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부에 마련되어 회전을 안내하는 회동홈(97)과, 조절로드(91)와 센서베이스(73) 사이의 나사가 풀리지 않도록 나사 사이에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조절가압부재(95)를 갖는다. 이에, 다양한 높낮이에 대응하여 센서(7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 등에도 센서(71) 위치 이동이 예방되어 센서(71)는 검출칼럼(60)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4, the
제어부(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70)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피측정물(30)의 불량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정보부(115)를 제어한다. As illustrated in FIG. 6, the
표시정보부(11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70)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피측정물(30)의 불량 여부를 나타낸다. 표시정보부(115)는 피측정물(30)이 불량의 경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피측정물(30) 의 불량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6,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10)의 검사과정을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inspection process of the
먼저, 이송부(21)를 가동시켜 측정플랫폼(20)을 피측정물(30)에 접근시킨다. 이에, 검출칼럼(60)의 검출칼럼접촉부(67)가 피측정물(30)의 피검출부(33)에 접촉되어 검출칼럼본체(61)가 검출칼럼가압부재(63)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승된다. 측정플랫폼(20)을 피측정물(30)에 더 접근시키면 기준칼럼검출부(55)가 피측정물(30)의 기준면(31)에 접촉된다. 이 때, 피측정물(30)에 접촉되는 순서는 기준칼럼검출부(55)와 검출칼럼접촉부(67)의 거리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조립된 볼트의 높이에 따라 달라진다. 여기서, 이송부(21)는 측정플랫폼(20)의 피측정물(30)까지의 접근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기준면(31)을 가압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10)에서는 이송부(21)가 피측정물(30)까지 접근하여 소정의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송부(21)를 제어할 수 있고, 이송부(21)의 정지 및 피측정물(30)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가스켓 등을 사이에 두고 나사 체결되는 경우와 같은 과정에서는 기준면을 가압하면 가스켓의 높이가 변하여 기준면에서 볼트의 높이도 상대적으로 변하므로 가압정도에 따른 볼트 체결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생길 수 있다. First, the
이러한 과정에서 검출되는 유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types detected in this process are described as follows.
첫째,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면(31)과 피검출부(33)의 높이가 같아(도 5a의 "X2"참조), 검출칼럼(60)의 승강높이가 낮으면(도 5a의 "X1"참조) 센서 (71)는 센서감지부재(75)를 검출하지 못하는 오프(off)상태가 된다. 이에, 센서(71)의 신호를 제어부(110)에 전달하면 제어부(110)는 조립불량상태를 표시정보부(115)가 표시하거나 정보로 저장하도록 한다. 즉, 볼트가 조립되지 않았거나 너무 깊이 조립된 경우를 포함한다. 여기서, "H(D)"표시는 기준면의 높이를 나타낸 것이며, "H(S)"표시는 센서의 높이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에서도 동일하다. First, as shown in FIG. 5A, the heights of the
둘째, 도 5b와 같이 기준면(31)과 피검출부(33)의 높이가 소정의 범위(도 5b의 "Y2"참조)에 속하면 검출칼럼(60)의 상승높이가 적절하여 센서(71)는 센서감지부재(75)를 검출(도 5b의 "Y1"참조)하는 온(on)상태가 된다. 이에, 센서(71)의 신호를 제어부(110)에 전달하면 제어부(110)는 조립양호상태를 표시정보부(115)가 표시하거나 정보로 저장하도록 한다. 즉, 볼트의 조립이 적절한 경우를 포함한다. Second, as shown in FIG. 5B, when the heights of the
셋째, 도 5c와 같이 기준면(31)과 피검출부(33)의 높이가 너무 높아(도 5c의 "Z2"참조) 검출칼럼(60)이 상승을 많이 하면 센서(71)는 센서감지부재(75)을 검출하지 못하여 오프(off)상태가 된다. 이에, 센서(71)의 신호를 제어부(110)에 전달하면 제어부(110)는 조립불량상태를 표시정보부(115)가 표시하거나 정보로 저장하도록 한다. 즉, 볼트의 조립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를 포함한다. Third, as shown in FIG. 5C, when the height of the
이상의 실시 형태로는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체결되는 볼트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장치에 대하여 예시하였지만, 구멍의 깊이를 검사하는 등 각종 산업분야의 제조과정에서 상대적인 높낮이를 검사하는 공정에 본 발명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above embodiment exemplifies an inspection apparatus for inspecting whether a bolt fastened to a hard disk drive of a computer is defecti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for inspecting a relative height in a manufacturing process of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inspecting a depth of a hole. You can apply all of them.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피측정물에 조립되는 볼트의 상대적인 높이를 간편 하게 측정하여 사용이 간편하며 정확하고, 공정이 복잡하지 않아 검사시간이 단축되어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위에 가압이 필요한 경우에도 나사 체결의 불량 여부를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easuring the relative height of the bolt to be assembled to the object to be measured simply and easy to use and accurate, the process is not complicated, the inspection time can be shortened and can be quickly inspected. In addition, even when pressurization is required at the fasten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check whether or not screw fasten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인 높낮이를 신속하고 정확하며 간편하게 검사할 수 있는 검사장치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spection apparatus that can quickly, accurately and easily inspect the relative height.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7496A KR100722225B1 (en) | 2005-12-05 | 2005-12-05 | Inspec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7496A KR100722225B1 (en) | 2005-12-05 | 2005-12-05 | Inspec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22225B1 true KR100722225B1 (en) | 2007-05-29 |
Family
ID=3827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749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2225B1 (en) | 2005-12-05 | 2005-12-05 | Inspec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2225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273B1 (en) * | 2008-04-03 | 2009-10-23 | 김호동 | Pulley automatic inspection device |
KR101553630B1 (en) | 2009-07-20 | 2015-09-17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Inspection apparatus for the assembling of gasket with displacement sensor and the assembling method thereof |
CN105136088A (en) * | 2015-09-21 | 2015-12-09 | 北京奥特恒达技术开发有限公司 | Self-alignment contact type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thereof |
KR101922888B1 (en) * | 2016-11-25 | 2018-11-29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Fuel cell height measuring apparatus |
KR20190002947A (en) * | 2017-06-30 | 2019-01-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hickness measuring apparatus of electrode for rechargeable battery |
KR20220035784A (en) * | 2020-09-14 | 2022-03-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pouch thickness measuring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03311U (en) | 1985-06-11 | 1986-12-20 | ||
JPH048429A (en) * | 1990-04-24 | 1992-01-1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crew floating detector |
JPH0680111U (en) * | 1993-04-21 | 1994-11-08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Measuring tool for tire mold |
-
2005
- 2005-12-05 KR KR1020050117496A patent/KR10072222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03311U (en) | 1985-06-11 | 1986-12-20 | ||
JPH048429A (en) * | 1990-04-24 | 1992-01-1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crew floating detector |
JPH0680111U (en) * | 1993-04-21 | 1994-11-08 |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 Measuring tool for tire mold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273B1 (en) * | 2008-04-03 | 2009-10-23 | 김호동 | Pulley automatic inspection device |
KR101553630B1 (en) | 2009-07-20 | 2015-09-17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Inspection apparatus for the assembling of gasket with displacement sensor and the assembling method thereof |
CN105136088A (en) * | 2015-09-21 | 2015-12-09 | 北京奥特恒达技术开发有限公司 | Self-alignment contact type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thereof |
KR101922888B1 (en) * | 2016-11-25 | 2018-11-29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Fuel cell height measuring apparatus |
KR20190002947A (en) * | 2017-06-30 | 2019-01-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hickness measuring apparatus of electrode for rechargeable battery |
KR102217446B1 (en) * | 2017-06-30 | 2021-02-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Thickness measuring apparatus of electrode for rechargeable battery |
KR20220035784A (en) * | 2020-09-14 | 2022-03-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pouch thickness measuring device |
KR102647938B1 (en) * | 2020-09-14 | 2024-03-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uch battery thickness measurement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643446B (en) | Flatness detection jig and flatness detection method | |
CN101094588B (en) | Test clamps | |
CN204594373U (en) | A kind of lever measurement by magnification device | |
KR101892399B1 (en) | Concrete fire damage depth measuring device with multi aligned array senser | |
US7688096B2 (en) | Contact load measuring apparatus and inspecting apparatus | |
CN113048854B (en) | Automatic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method | |
CN201517914U (en) | Tool for detecting height difference between working faces of clutch | |
KR100722225B1 (en) | Inspection device | |
CN112729418B (en) | High-precision detection equipment | |
JP2007017292A (en) | Brake disk inspecting device | |
CN108663011B (en) | Bearing assembly plane detection device that beats | |
CN111879515B (en) | Bearing defect detection equipment | |
CN219141807U (en) | Civil engineering quality flatness detection device | |
CN211042139U (en) | Comprehensive detection device for belt pulley runout detection and bearing hole detection | |
JP4684805B2 (en) | Probe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contact pressure between object to be inspected and probe | |
JP5775619B2 (en) | Parallelism measuring device | |
CN113933196A (en) | test device | |
CN206747949U (en) | A screw detection mechanism | |
CN115950330B (en) | Dimension measuring device | |
CN106524881A (en) | Special calibration device for short shaft | |
KR100540786B1 (en) | True position checker for shaft inspection | |
CN113983988B (en) | Electronic product foot pad height detection equipment | |
JP5674194B2 (en) | Parallelism measuring device | |
CN103759619A (en) | Lower cylinder hole chamber detection device of engine cylinder | |
CN108151678A (en) | Portable porcelain bottle faces parallel and concentricity testing device and its dete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