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3595B1 - 터미널 귀를 포함하는 부싱 및 그 부싱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미널 귀를 포함하는 부싱 및 그 부싱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595B1
KR100713595B1 KR1020027012209A KR20027012209A KR100713595B1 KR 100713595 B1 KR100713595 B1 KR 100713595B1 KR 1020027012209 A KR1020027012209 A KR 1020027012209A KR 20027012209 A KR20027012209 A KR 20027012209A KR 100713595 B1 KR100713595 B1 KR 100713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terminal
terminal ear
ear
conduct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6925A (ko
Inventor
설리반티모씨에이
에머슨잭엘
다우라티라민
Original Assignee
오웬스-코닝 파이버글라스 테크놀로지 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웬스-코닝 파이버글라스 테크놀로지 Ⅱ, 엘엘씨 filed Critical 오웬스-코닝 파이버글라스 테크놀로지 Ⅱ,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20086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59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8Bushings, e.g. construction, bushing reinforcement means; Spinnerettes; Nozzles; Nozzle plates
    • C03B37/09Bushings, e.g. construction, bushing reinforcement means; Spinnerettes; Nozzles; Nozzle plates electrically h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8Bushings, e.g. construction, bushing reinforcement means; Spinnerettes; Nozzles; Nozzle plates
    • C03B37/09Bushings, e.g. construction, bushing reinforcement means; Spinnerettes; Nozzles; Nozzle plates electrically heated
    • C03B37/091Indirect-resistance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터미널 귀 (100,102) 을 포함하는 부싱 (10) 및 그 부싱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부싱은 부싱본체를 포함하는데, 상기 부싱본체는 측판 (12,14), 단부판 (16,18), 바닥판 (20), 및 상기 부싱본체에 결합된 터미널 귀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 (200) 는, 상기 부싱에 전류를 공급하여 유리를 액체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터미널 귀에 부착된다. 각각의 터미널 귀는 상부 (110) 및 하부 (120) 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는 부싱의 측판에 결합된다. 클램프는 상기 터미널 귀의 하부에 부착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는 서로에 대해 일정한 각으로 향한다. 지지부 (130,132,134,136) 는 터미널 귀의 상부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제공된다. 지지부는 터미널 귀를 강화하여, 굽힘응력 및 피로응력에 저항력을 증가시킨다. 지지부는 부싱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부싱에 전류를 직접 전도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싱의 작업중 지지부의 온도는 터미널 귀의 전도부보다 더 낮을 것이다. 지지부가 더 낮은 온도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상기 터미널 귀의 온도 저하는 감쇠될 것이다.
터미널 귀

Description

터미널 귀를 포함하는 부싱 및 그 부싱의 제조방법{A BUSHING INCLUDING A TERMINAL EA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USHIN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유리필라멘트의 제조장치, 특히 부싱의 작동중 발생하는 기계적 저하와 열적 저하를 감소시키고 상기 부싱의 작동수명을 연장시키는 터미널 귀를 포함하는 개량된 부싱; 및 상기 개량된 부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섬유 및 강화재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응용분야에 사용하기 위한 연속적인 유리필라멘트의 제조에 유용하다.
유리 필라멘트의 스트랜드는 전형적으로 부싱의 바닥판에 있는 다수의 오리피스를 통해 용융유리를 감쇠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필라멘트는, 바닥판의 오리피스로부터 흐름을 감쇠하기위해 유리흐름에 인력을 가함으로써 감쇠된다. 상기 필라멘트는, 마모저항을 제공하고 또는 최종응용에서 스트랜드에 바람직한 특성들을 주기위해, 개별 필라멘트에 윤활특성을 제공하는 사이즈 또는 바인더 물질로 도포된다. 상기 사이즈 물질은 필라멘트가 형성된 후에 도포된다. 상기 필라멘트는 스트랜드를 형성하도록 평행한 관계로 집합된다.
상기 필라멘트가 균일한 직경으로 감쇠되도록 부싱은 용융유리를 균일한 온도상태에 둔다. 용융유리의 온도는 유리를 액체상태로 유지하기에 충분히 높아 야 한다.
부싱은, 전기 및 기계적 구성품의 저하를 가속시키는 높은 작동온도 및 용융유리로 인한 부식성의 작업환경을 경험한다. 성능저하에 대한 한 해결책은 플라티늄 또는 플라티늄합금등의 귀금속으로 부싱조립체를 제작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작업환경은 이러한 금속들에게 또한 영향을 끼친다. 부싱의 크리프(고온변형) 또는 새깅(sagging) 뿐만 아니라 귀금속의 산화손실, 증발, 및 주위의 내화재로의 확산은 부싱의 성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부싱조립체의 유용한 수명을 단축시킨다.
종래의 부싱은 전형적으로 부싱본체를 한정하는 측판, 단부판, 및 바닥판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은 4,000 개 보다 많은 오리피스 또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거의 모두가 균일한 온도에 있다. 상기 바닥판은 또한 노즐판 또는 팁판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한 부싱은 각각의 단부판에 결합된 터미널("터미널 귀"로서 칭함)을 포함한다. 상기 부싱 및 상기 터미널 귀 모두 전형적으로 플라티늄 또는 플라티늄합금과 같은 물질을 함유하는 플라티늄등의 귀금속으로 만들어진다. 플라티늄 합금의 일례는 플라티늄-로듐 합금이다. 전류를 부싱에 전달하여 유리를 용융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가열 전기 클램프가 터미널에 연결된다. 상기 클램프는 전형적으로 물로 냉각된다. 상기 전류는, 전도체인 부싱의 측판, 단부판, 및 바닥판을 통해 흐른다.
부싱 터미널 귀는 넓은 범위의 형상을 가지며 종종 넓으며 비교적 얇다. 상기 터미널 귀는 실질적으로 부싱 단부판의 폭을 따라 신장할 수 있으며 전류를 공급하는 전기 클램프에 의해 접촉하기에 비교적 넓은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통상의 터미널 귀의 디자인은 부싱에 결합된 상부 및 전기 클램프가 결합된 하부를 포함한다.
팁구역의 열패턴에 더하여, 부싱 터미널 귀에 대한 2가지 디자인의 고려사항은 터미널 귀의 과도한 기계적 저하 및 열적 저하이다. 부싱의 작업중, 부싱의 고온 작업으로 인해 터미널 귀의 상부는 기계적 피로 및 열적 효과의 조합을 경험한다.
터미널 귀의 기계적 피로는 부싱작업중 진동 피로 또는 굽힘응력의 고레벨과 관련있다. 상기 귀가 넓고 얇기 때문에, 클램프가 귀에 고정되는 경우 구부려지는 경향이 있다. 터미널 귀에서의 균열이 시작하여 틈으로 발전할 수 있다.
기계적 피로에 더하여, 상기 터미널 귀는 열적 저하를 경험한다. 몇몇 금속들은 고온으로 가열되는 경우, 증발 또는 기화한다. 플라티늄 및 로듐은 그러한 금속이다. 부싱 및 터미널 귀 둘다 고온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상기 터미널 귀의 모서리에 존재하는 상기 플라티늄과 상기 로듐은 점차적으로 증발한다. 상기 귀의 경계로부터 합금의 손실은 균열의 형성을 촉진하며, 이것은 틈으로 팽창할 수 있다. 귀의 기계적 작동은 상기 균열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결국 상기 터미널 귀가 파괴될 것이다.
터미널 귀에서 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있었다. 한 디자인적 접근은, 납땜과 유사하게 용융 와이어로 틈을 가열하거나 수리하는 것이다. 이 해결책은 일시적인 고정이며 터미널 귀의 열적 저하를 막지 못한다.
다른 디자인적 접근은 상기 귀에서의 진동 및 응력을 감소시키는 동력전달 시스템을 재디자인 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문제점을 감소시킬 순 있으나 근절시키진 못한다.
다른 디자인적 접근은 터미널 귀와 부싱의 단부판 또는 측판 사이에 거싯(gusset)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있다. 파울러(Fowler)에게 특허허여된 미국특허 제 4,634,460 호에서는 귀를 지지하도록 각각의 터미널 귀와 접촉하는 거싯을 구비한 드레인 부싱을 개시하고 있다. 터미널 귀를 통해 클램프에 의해 공급되는 가열 전류가 거싯 및 터미널 귀를 통해 부싱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귀 및 상기 거싯은 부싱의 바닥판과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거싯은 터미널 귀와 부싱 사이의 접촉을 효과적으로 넓힌다. 그러나, 상기 거싯은 터미널 귀와 거싯에 한정된 지지를 제공한다. 또한, Fowler 의 디자인 접근은 터미널 귀의 열적 저하를 막지 못한다.
다른 디자인 접근은 귀를 강화하도록 전체 터미널 귀를 두껍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하지 못한 낮은 작동전류 레벨로 인해, 두꺼운 터미널 귀는 가열분배의 바림직한 가열 패턴에 악영향을 끼친다.
부싱의 작동온도로 인해 발생한 기계적 및 열적 저하에 대한 터미널 귀의 저항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경제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유사하게, 부싱의 서비스 수명을 고양하기 위한 경제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터미널 귀를 포함하는 개시된 부싱과 상기 부싱의 제조방법에 의해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였다. 상기 부싱은 부싱본체(측판, 단부판, 바닥판을 포함할 수 있는) 및 상기 부싱본체에 결합된 터미널 귀를 포함한다. 유리가 액체상태로 유지되어 섬유화되는 열적조건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부싱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클램프가 상기 터미널 귀에 부착된다.
각각의 터미널 귀는 상부 및 하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는 부싱의 측판에 결합된다. 클램프는 상기 터미널 귀의 하부에 부착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는 서로에 대해 일정한 각으로 향한다.
지지부는 터미널 귀의 상부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제공된다. 지지부는 터미널 귀를 강화시켜, 굽힘 및 피로응력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지지부는 터미널 귀의 모서리에 추가적인 질량 및 표면적을 제공함으로써 열침체물(heat sink)로서 기능한다. 상기의 추가적인 질량때문에 지지부에 의해 전도부로부터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표면적의 증가는 복사 및 대류를 통해 터미널 귀의 모서리의 냉각을 용이하게 한다.
지지부는 부싱의 단부판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부싱본체에 전류를 전도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싱의 작동중 지지부 모서리에서의 온도는 터미널 귀의 전도부에서의 온도보다 더 낮을 것이다. 상기 지지부가 더 낮은 온도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터미널 귀의 온도저하가 감소된다.
도 1 은 종래 섬유유리 형성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종래 부싱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부싱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한 부싱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부싱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부싱의 개략 단면도(端面圖)이다.
도 7 은 도 5 의 라인 "7"-"7"을 따른 터미널 귀의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8 은 터미널 귀의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9 내지 도 12 는 터미널 귀의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도(斷面圖)이다.
스트랜드는 전형적으로 물질의 소스로부터 감쇠하는 필라멘트 또는 섬유군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유리스트랜드에 있어서, 유리를 용융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용융유리는 전기적으로 가열되는 부싱으로 이동된다. 상기 유리는 부싱의 바닥판에 있는 오리피스로부터의 필라멘트로서 인장되거나 또는 감쇠된다.
종래의 필라멘트 형성시스템이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필라멘트 형성시스템 (5) 은 다수의 오리피스를 갖는 부싱 (10) 을 포함하며 이 오리피스를 통해 다수의 용융유리 흐름이 방출된다. 상기 오리피스는 중공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리 필라멘트 (30) 는 권취장치 (60) 에 의해 부싱 (10) 의 바닥판으로부터 감쇠된다. 상기 부싱 (10) 은 고온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부싱의 바닥판의 온도를 제어하여 온도구배로 인한 필라멘트의 변형을 감소시키도록 냉각시스템 (22) 이 사용된다. 당업자라면 알수 있듯이, 냉각시스템은 온도를 냉각시키기위해 공기 및/또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싱 (10) 으로부터 상기 필라멘트 (30) 를 인장하기 위해 아랫방향의 힘을 가한다. 도시된 형성시스템에서, 필라멘트 (30) 는 권취장치 (60) 에 의해 부싱 (10) 으로부터 감쇠되며,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필라멘트 (30) 를 스트랜드 (32) 의 형태로 콜릿주위에 감아, 도 1 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 패키지 (70) 를 형성한다.
상기 부싱 (10) 은 부싱본체와 터미널귀 (100,102) 를 포함한다. 부싱본체 (11) 는 어떤 적당한 구조도 될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것처럼, 측판 (12,14), 단부판 (16,18), 및 바닥판 (20) 을 포함한다. 상기 측판 (12,14), 단부판 (16,18), 및 바닥판 (20) 은 용융유리의 공급을 보유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한다.
터미널귀 (100,102) 는 적당한 위치에서 부싱본체 (11) 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터미널귀 (100,102) 는 단부판 (16,18) 에 각각 결합된다. 각각의 터미널귀 (100,102) 는 상부 (110) 및 하부 (120) 를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귀 (100,102) 는 실질적으로 상기 단부판 (16,18) 의 전체폭을 연장하는 비교적 얇고, 넓은 판이다.
작동중, 상기 부싱 (10) 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터미널 클램프 (200) 가 각각의 터미널귀 (100,102) 에 부착된다. 상기 터미널 클램프 (200) 는, 터미널귀에 고정하도록 볼트등의 패스너에 의해 함께 고정되는 부분 (210,212) 을 포함한 다. 오직 간단하게 하도록, 1개의 터미널 클램프 (200) 가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당업자라면 알수 있듯이, 상기 터미널귀는 자신에 부착된 터미널 클램프 (200) 의 무게로 인한 굽힘 힘 및 피로에 놓이게 된다. 상기 터미널 귀는 이 귀로부터 클램프의 제거 및 연속적인 부착, 및 부싱회로내의 진동으로 인한 추가적인 힘을 경험한다. 이러한 힘은 귀의 기계적인 굽힘 및 작업을 유발하여 결국 균열 또는 틈을 발생시킨다. 균열 및 틈은 전형적으로 상기 귀의 외부 모서리에서 시작하여, 만일 고쳐지거나 수선되지 않는다면 결국 터미널 귀를 파괴시킨다.
상기 클램프로부터 상기 터미널 귀를 통해 전류가 흐르는 경우, 터미널 귀의 온도는 저항열로 인해 증가한다. 열은 또한 상기 귀의 부싱본체로의 연결로 인해 상기 부싱본체로부터 귀로 전도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귀가 오랜기간동안 고온에 있는 경우, 전술한 것처럼 상기 터미널 귀내의 합금이 증발하기 시작한다. 상기 귀의 모서리에서 합금의 고갈은 균열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균열은 기계적 작동 또는 추가적인 열구배를 통해 증가할 수 있다. 터미널 귀가 부러지거나 파괴되는 경우, 상기 부싱이 정지되어 상기 필라멘트 형성공정이 정지되며, 그 결과 생산량의 손실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터미널 귀는 귀의 굽힘 관성모멘트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터미널 귀의 외부 모서리에 결합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이것은 굽힘 및 진동 피로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지지부재는 또한 추가적인 질량을 제공하고 터미널 귀의 모서리에서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서 열침체물로서의 기능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의 질량은 전도를 통해 전도부로부터 열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표면적의 증가는 터미널 귀의 모서리로부터 열의 대류 및 복사를 용이하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터미널 귀에 용접된 I형빔으로서 실시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부재는 다른 형태로 만들어 질수 있으며, 상기 터미널 귀의 다른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기술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또는 부재는 I형 단면을 갖는다.
터미널 귀의 상부는 부싱의 단부판에 대해 일정한 각으로 장착된다. 터미널 귀에 있는 터미널 클램프의 중량은 상부를 구부러뜨린다. 상기 지지부재는 터미널 귀의 상부를 강화한다.
상기 지지부는 터미널 귀의 열저하에 대해 다기능을 한다. 첫째, 상기 지지부는 부싱의 단부판과 접촉하지 않는다. 전류는 전형적으로 2지점 사이의 직선경로를 흐르기 때문에, 상기 전류는 바람직하게 부싱의 단부판과 접촉하는 터미널 귀의 전도부를 통해 흐르며 보다 적은 양이 지지부를 통해 흐른다. 그 결과, 지지부는 저항열 만큼을 경험하지 않기 때문에 터미널 귀의 전도부보다 더 낮은 온도에 있는다. 상기 더 낮은 온도는 터미널 귀로부터 합금의 증발을 감소시킨다. 또한, 지지부는 부싱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부싱본체로부터 열을 전도하지 않으므로 부싱에 의해 가열되지 않으며 또는 부싱의 열패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둘째, 터미널 귀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양은 터미널 귀의 지지부에 의해 영 향을 받지 않는다. 저항열로 소비되는 에너지 양은 동일하기 때문에, 지지부는 터미널 귀에 추가적인 질량을 제공하여 터미널 귀 모서리의 전체온도가 감소된다. 모서리상의 상기 더 낮은 작동온도로 인해 터미널귀 및 부싱의 수명이 연장된다.
셋째, 상술한 것처럼,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도부로부터의 열전도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지지부는 터미널 귀의 모서리에서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복사 및 대류에 의해 지지부로부터 열이 제거된다.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서, 종래의 터미널 귀에서 보다 상기 터미널 귀의 모서리로부터 더 많은 열이 제거될 수 있다.
확인된 이러한 일반적인 원리와 함께,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선택된 이러한 원리의 수단이 이하에서 시작한다.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한 필라멘트 형성시스템용 부싱이 도 4 내지 도 8 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부싱 (10) 은 단부판 (16,18) 에서 부싱본체 (11) 에 각각 결합된 터미널 귀 (100,102) 를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 귀는 전형적으로 단부판에 용접된다.
각각의 터미널 귀 (100,102) 는 상부 (110) 및 하부 (120) 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110) 는 일정한 각 (A) 으로 상기 단부판으로부터 신장한다. 각 A 는 30°내지 75°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60°이다. 상기 하부 (120) 는 일정한 각 B 로 상기 상부 (110) 로부터 신장한다. 각 B 는 105°내지 150°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120°이다.
상기 터미널 귀의 상기 상부 및 하부 (110,120) 는 각각 전도부 (116,122) 를 포함한다. 터미널 클램프로부터 공급된 전류는 상기 전도부 (116,122) 를 통해 상기 부싱 (10) 으로 흐른다.
상기 부싱은 열과 전기절연 뿐만 아니라 부싱의 기계적인 지지를 제공하도록 전형적으로 내화료로 둘러싸인다. 상기 필라멘트 형성시스템 (5) 은 도 4 에 도시된 것처럼 주조가능한 내화재 (82) 에 부싱 (10) 을 지지하는 부싱 프레임 (80) 을 포함한다(도시의 단순함을 위해, 상기 내화재 (82) 및 프레임 (80) 은 상기 부싱 (10) 의 한측에만 도시됨).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처럼, 터미널 귀 (100,102) 의 상부 (110) 는 내화재 (82) 로 주조된다.
부싱 터미널 귀 (100,102) 는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부 (130,132,134) 를 포함한다. 각각의 터미널 귀의 상부는 도 5 에 도시된 것처럼 측면 모서리 (112,114) 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용접 또는 다른 적당한 방법에 의해 외부 측면 모서리 (112,114) 에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 귀는 부싱 (10) 의 단부판을 따라 신장하며 길이방향 축선 A 를 가지며, 이 축선은 도 4 에 도시된 것처럼 터미널 귀의 상부의 평면에 존재한다. 상기 상부 (130,132,134,136) 는 실질적으로 터미널 귀의 길이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지지부가 도 4 에 도시된 것처럼 단부 (140,142) 를 포함한다. 단부 (140) 는 부싱의 단부판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단부 (140) 가 단부판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상기 지지부는 상기 터미널 귀에 결합된다. 상기 단부 (140) 및 단부판 (16) 은, 0.12 내지 0.25 in(0.3 내지 0.6 cm)처럼, 가 해진 부하로 인한 편향 및 작동조건의 전 범위에서 단부판과 접촉을 피하기에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가 부싱의 단부판과 접촉하기 않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는 부싱으로 전류를 전도하지 않으므로 부싱의 열패턴이 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한 터미널 귀는 도 7 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부 (134,136) 는 도시된 것처럼 본체 (144) 및 플랜지 (146,148) 를 포함하며 I형 단면(길이방향 축선에 수직한 평면)을 갖는 I빔과 유사하다. 전도부의 상기 단면(길이방향 축선 A 에 수직인 평면)은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 단면의 관성모멘트는 전도부 단면의 관성모멘트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가 전도부에 의해 한정된 평면으로부터 상쇄된 질량을 포함하기 때문에, 지지부를 갖는 터미널 귀의 관성모멘트는 지지부가 없는 관성모멘트보다 더 크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지지부의 관성모멘트는 전도부의 관성모멘트보다 더 크다.
상기 지지부는 상부와 하부 모서리 둘다에서 귀의 측면에 연속적으로 용접된다. 바람직하게, 터미널 귀의 전도부 및 지지부는 동축선을 중심으로 대칭이다.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한 터미널 귀의 다른 실시예가 도 8 내지 도 12 에 도시되어 있다. 도 9 에서, 각각의 지지부 (134,136) 는 상기 터미널 귀의 외부 모서리에 용접된 평평한 판이다. 도 10 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도부의 중심을 따라 위치한다. 도 11 에서, 상기 터미널 귀의 상기 전도부는 아아크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도 12 에서, 터미널 귀의 전도부는 굽힘에 대한 귀의 저항을 증가시키는 단면을 갖는다.
이제 부싱의 제조에 대해 설명하겠다. 부싱의 본체는 단부판, 측판, 및 바닥판을 용접 또는 당업자라면 알수 있는 다른 유사한 방법에 의해 함께 결합하여 형성된다. 터미널 귀의 상기 상부 및 하부는 서로에 대해 일정한 각으로 함께 결합된다. 그런후 상부의 상단 모서리는 부싱의 단부판에 결합된다. 터미널 귀가 부싱에 결합된 후, 상기 상부는 터미널 귀의 외부 측면 모서리에 용접된다.
상기 부싱은 부싱블록(비도시)에 결합되어 부싱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부싱이 최종위치에 존재한 후, 주조가능한 내화재가 부싱과 부싱 프레임 사이의 공동속으로 부어진다. 상기 주조가능한 내화재는 바닥판의 팁구역의 높이까지 부어진다. 상기 내화재는 도 4 에 도시된 것처럼, 터미널 귀의 연결부 아래까지, 바람직하게는 0.5 in.(1.3 cm) 신장한다. 터미널 귀(대략 1 in.(2.5 cm))의 부분 및 지지부는 내화재료로 둘러싸인다.
부싱 작업중, 터미널 클램프는 상기 터미널 귀의 하부에 결합된다. 부싱내 유리를 가열하도록 전류가 소스로부터 터미널 클램프로 공급된다.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부싱 터미널 귀의 구성성분은 플라티늄-로듐 합금등의 귀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와 일치하는 상술한 특별한 실시예에 많은 가능한 변화를 알 것이다.
상기 터미널 귀는 귀의 오직 한측에만 결합된 단일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측면 모서리에 부가하는 위치에서 터미널 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는 전도부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터미널 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귀는 하부상에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의 단면은 I형, 밖으로 또는 안으로 신장하는 V형 또는 U형, 또는 전도부의 관성모멘트를 증가시키는 다른 형태도 될 수 있다.
터미널 귀의 상부 및 하부는 공면(共面)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귀의 상부 및 하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싱은 직사각형, 정방형, 및 원형등의 어떤 형태도 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귀의 전도부는 아아크 형태 또는 전도부의 굽힘저항을 증가시키는 어떤 다른 형태등의 비-평면일 수 있다.
상기 터미널 귀가 상기 부싱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지지부가 터미널 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귀는 단부판 대신에 또는 추가로 부싱의 측판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20)

  1. 부싱 (10) 에 전류를 전도하기 위한 터미널 귀 (102) 로서,
    길이방향 축선을 가지며, 전도부의 제 1 단부에서 상기 부싱에 결합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인 평면에서 제 1 단면을 갖는 전도부 (116); 및
    상기 전도부에 결합되며,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신장하며,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인 평면에서 제 2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단면이 상기 제 1 단면의 관성모멘트보다 더 큰 관성모멘트를 갖도록 되어 있는 신장된 지지부 (134) 를 포함하는 터미널 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면은 I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134) 는 상기 전도부 (116) 의 측면 모서리 (112) 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 (116) 는 상부 (110) 및 하부 (120)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 (134) 는 상기 상부에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 (116) 의 제 2 의 맞은편 측면 모서리 (114) 에 결합된 제 2 지지부 (136)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 (136) 는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인 평면에서 제 3 단면을 구비하며, 이 제 3 단면은 상기 제 2 단면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134) 는, 상기 전도부의 상기 제 1 단부에 가까우나, 그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부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귀.
  8. 제 1 항의 터미널 귀와 부싱과의 조합물로서, 터미널 귀가 전도부 (116) 의 제 1 단부에서 부싱 (10) 에 결합되는 조합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면은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귀.
  10. 부싱에 전류를 전도하기 위한 터미널 귀 (102) 로서,
    길이방향 축선을 구비하며, 전도부의 제 1 단부에서 상기 부싱 (10) 에 결합 가능하며,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인 축선을 중심으로 굽힘에 대한 저항력을 갖는 전도부 (116); 및
    굽힘에 대한 상기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전도부에 결합되는 수단 (134) 을 포함하는 터미널 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저항력 증가 수단 (134) 은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신장된 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된 빔 (134) 은 I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귀.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된 빔 (134) 은 상기 전도부 (116) 의 측면 모서리 (112) 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저항력 증가수단은 상기 전도부 (116) 의 제 2 의 맞은편 측면 모서리 (114) 에 결합된 제 2 의 신장된 빔 (136)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귀.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된 빔 (134) 은 상기 전도부 (116) 의 상기 제 1 단부에 가까우나, 그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 1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귀.
  16. 부싱에 전류를 전도하기 위한 터미널 귀 (102) 로서,
    측면 모서리 (112) 와, 길이방향 축선을 가지며, 전도부의 제 1 단부에서 상기 부싱 (10) 에 결합가능한 전도부 (116); 및
    상기 측면 모서리로부터의 에너지전달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전도부의 상기 측면 모서리에 결합된 열침체물 (134) 을 포함하는 터미널 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침체물 (134) 은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신장된 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된 빔 (134) 은 I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귀.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 (116) 는 상기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인 축선을 중심으로 굽힘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며, 상기 열침체물 (134) 은 상기 굽힘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귀.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 (116) 는 균일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터미널 귀.
KR1020027012209A 2000-03-31 2001-03-16 터미널 귀를 포함하는 부싱 및 그 부싱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13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39,956 2000-03-31
US09/539,956 US6427492B1 (en) 2000-03-31 2000-03-31 Bushing including a terminal e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925A KR20020086925A (ko) 2002-11-20
KR100713595B1 true KR100713595B1 (ko) 2007-05-02

Family

ID=2415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20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3595B1 (ko) 2000-03-31 2001-03-16 터미널 귀를 포함하는 부싱 및 그 부싱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427492B1 (ko)
EP (1) EP1268353B1 (ko)
JP (1) JP4919570B2 (ko)
KR (1) KR100713595B1 (ko)
AU (1) AU2001249242A1 (ko)
CA (1) CA2401091C (ko)
DE (1) DE60126070T2 (ko)
ES (1) ES2278735T3 (ko)
MX (1) MXPA02009477A (ko)
NO (1) NO20024657L (ko)
WO (1) WO20010747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3986B2 (en) * 2002-03-06 2006-02-28 Johns Manville International, Inc. Fiberizing bushings and methods of using
US8006519B2 (en) * 2007-04-10 2011-08-30 Johns Manville Fiberizing bushing with different size tips
EP1985717B1 (de) 2007-04-28 2011-06-29 Umicore AG & Co. KG Amalgamkugeln für Energiesparlampen und ihre Herstellung
US20110100065A1 (en) * 2009-09-11 2011-05-05 Ocv Intellectual Capital, Llc Terminal Clamp for Horizontal Ear Bushing
EP2975143B1 (de) 2011-03-09 2018-12-19 SAXONIA Technical Material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malgamkugeln
EP2522637B1 (de) 2011-05-09 2019-04-10 Umicore AG & Co. KG Düseneinheit zur Herstellung von Fasern aus geschmolzenem Mineralmaterial
EP2620417A1 (en) 2012-01-24 2013-07-31 3B Fibreglass Bushings comprising notched terminal ears
EP2669257A1 (en) 2012-05-29 2013-12-04 3B Fibreglass Reinforced terminal ear for bushing
KR20150033638A (ko) 2012-06-26 2015-04-01 우미코레 아게 운트 코 카게 베이스플레이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648A (ja) * 1988-07-19 1990-01-31 Dainippon Printing Co Ltd スキヤナシミユレーシヨンデータの採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2948A (en) 1967-03-23 1970-05-19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Apparatus for processing heat-softened mineral material
US3511916A (en) 1967-03-29 1970-05-12 Johns Manville Electric resistance bushing for forming glass fibers
US4099948A (en) 1975-04-02 1978-07-11 Fibreglass Limited Bushing for processing molten glass
US4272271A (en) 1979-07-30 1981-06-09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duction of mineral fibers
US4516995A (en) * 1984-07-20 1985-05-14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Apparatus for forming glass fibers
US4740224A (en) 1986-01-17 1988-04-26 Manville Corporation Terminal connection for fiber glass bushing
US4634460A (en) * 1986-01-17 1987-01-06 Manville Service Corporation Drain bushing
US4717411A (en) 1986-05-06 1988-01-05 Manville Corporation Drain bush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648A (ja) * 1988-07-19 1990-01-31 Dainippon Printing Co Ltd スキヤナシミユレーシヨンデータの採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68353A1 (en) 2003-01-02
DE60126070D1 (de) 2007-03-08
NO20024657L (no) 2002-11-25
JP2004500302A (ja) 2004-01-08
AU2001249242A1 (en) 2001-10-15
CA2401091A1 (en) 2001-10-11
EP1268353B1 (en) 2007-01-17
NO20024657D0 (no) 2002-09-27
CA2401091C (en) 2010-06-29
WO2001074727A1 (en) 2001-10-11
ES2278735T3 (es) 2007-08-16
DE60126070T2 (de) 2007-11-08
JP4919570B2 (ja) 2012-04-18
KR20020086925A (ko) 2002-11-20
MXPA02009477A (es) 2003-03-10
US6427492B1 (en) 200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595B1 (ko) 터미널 귀를 포함하는 부싱 및 그 부싱의 제조방법
CA1077997A (en) Primary electrode arrangement for high temperature melting furnace
EP3098205B1 (en) Bushing for manufacturing glass fiber
KR0182086B1 (ko) 유리 섬유 제조 장치
RU2452697C2 (ru) Фильерный питатель, имеющий охлаждающие опорные ребра
EP1399393B1 (en) Reinforcement member for a bushing tip plate and method of reinforcing the plate
US7003986B2 (en) Fiberizing bushings and methods of using
KR100628016B1 (ko) 필라멘트 성형 장치의 부싱용의 부싱 팁 플레이트 지지어셈블리
JP5689132B2 (ja) 紡糸ノズル配列
US5948135A (en) Bushing insulation and frame arrangement for making fiber glass
TW200930673A (en) Tip plate and bushing delivering filaments, especially glass filaments
US3841853A (en) Apparatus for production of thermoplastic materials
Koch et al. Design and manufacture of bushings for glass fibre production
EP2855380B1 (en) Reinforced terminal ear for bushing
WO2013110517A1 (en) Bushings comprising notched terminal ears
WO2023211746A1 (en) Glass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glass ribbon
JPS6056590B2 (ja) 繊維形成用ブツシング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3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