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290B1 - Battery pack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4290B1 KR100704290B1 KR1020050097780A KR20050097780A KR100704290B1 KR 100704290 B1 KR100704290 B1 KR 100704290B1 KR 1020050097780 A KR1020050097780 A KR 1020050097780A KR 20050097780 A KR20050097780 A KR 20050097780A KR 100704290 B1 KR100704290 B1 KR 1007042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cell
- upper cover
- protective circuit
- support part
- side e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소형화 및 박형화할 수 있으며, 보호회로모듈을 확실히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팩을 개시한다. 이 배터리 팩은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며 상부에 음극단자와 양극단자를 갖춘 배터리 셀과, 배터리 셀의 상부에 설치되며 음극 및 양극단자와 각각 단자판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과, 상부에 보호회로모듈을 수용한 상태에서 배터리 셀 상부에 장착되는 보호회로케이스와, 보호회로케이스와 배터리 셀 상단 일부를 덮는 형태로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와, 배터리 셀의 둘레와 상부커버의 둘레를 결속하는 접이식 결속부재와, 상부커버, 배터리 셀, 접이식 결속부재의 외면에 접착되는 접착테이프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 battery pack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downsized and thinned, and can reliably protect a protection circuit module. The battery pack supplies charged power and has a battery cell having a negative terminal and a positive terminal at the top, a protection circuit modul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battery cel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and positive terminals respectively via a terminal plate, and protected at the top. A protective circuit cas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ttery cell with the circuit module housed therein, an upper cover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ttery cell in such a way as to cover the protective circuit case and the upper part of the battery cell, the periphery of the battery cell and the upper cover A folding binding member for binding the upper cover, the upper cover, the battery cell, includes an adhesive tape bon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ing binding memb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접이식 결속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lding binding member of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접착테이프의 장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the adhesive tape of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배터리 셀, 11: 음극단자,10: battery cell, 11: negative terminal,
12: 양극단자, 20: 보호회로모듈,12: positive terminal, 20: protective circuit module,
21: 음극단자판, 22: 양극단자판,21: cathode terminal plate, 22: anode terminal plate,
30: 보호회로케이스, 31: 상부수용공간,30: protective circuit case, 31: upper receiving space,
32: 하부수용공간, 40: 상부커버,32: lower housing space, 40: upper cover,
50: 접이식 결속부재, 51: 상단지지부,50: folding binding member, 51: upper support portion,
52: 제1측단지지부, 53: 하단지지부,52: first side end support portion, 53: lower support portion,
54: 제2측단지지부, 54a: 걸림홈,54: second side end support portion, 54a: locking groove,
55: 제3측단지지부, 55a: 걸림돌기,55: third side end supporting portion, 55a: locking projection,
56,57: 날개, 58: 절곡홈,56, 57: wing, 58: bending groove,
59: 개구, 60: 접착테이프.59: opening, 60: adhesive tape.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모바일기기 등에 사용되는 충전용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피를 소형화할 수 있고 제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hargeable battery pack for use in a mobile phone or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pack capable of miniaturizing a volume and facilitating manufacturing.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모바일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Cell)과 보호회로모듈(Protection Circuit Module:PCM)의 결합을 통해 구성된다. A battery pack used as a power source for a mobile device such as a cell phone or a PDA is configured through a combination of a battery cell and a 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통상적인 배터리 셀(Cell)은 양극시트와 음극시트로 이루어지는 전극적층유닛이 금속 케이싱 내에 수용된 형태이며, 케이싱의 외면에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마련된 형태이다. 보호회로모듈은 배터리의 폭발 및 과충전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 셀의 외측에 장착된다. 즉 배터리 팩은 이러한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이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유닛형태로 포장된 형태이다. 이러한 배터리 팩은 최근 이를 사용하는 휴대폰, PDA 등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A typical battery cell has a form in which an electrode laminated unit consisting of a positive electrode sheet and a negative electrode sheet is accommodated in a metal casing, and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r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sing.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s installed outside the battery cell to prevent the risk of explosion and overcharge of the battery. That is, the battery pack is a form in which the battery cell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packaged in a unit form. Such battery packs are required to be smaller, thinner, and lighter according to the trend toward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mobile phones, PDAs, and the like that use them.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34686호에는 이러한 배터리 팩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과, 배터리 셀의 측면에 장착된 보호회로기판(보호 회로모듈)과,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전극단자를 갖추고 있다. 또 보호회로기판과 전극단자는 몰드성형부에 의하여 배터리 셀과 일체적으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2-334686 discloses an example of such a battery pack. The battery pack has a battery cell, a protective circuit board (protective circuit module) mounted on the side of the battery cell, and an electrode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cell and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In addition, the protective circuit board and the electrode terminal are fixed to the battery cell integrally by the mold molding portion.
그러나 이러한 배터리 팩은 보호회로기판과 전극단자를 수지재의 사출을 통한 몰드성형부를 통해 배터리 셀에 고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배터리 팩의 제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 이러한 제조방식은 몰드성형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용융수지의 유동불량이 생길 경우 몰드성형부에 크랙(crack)이나 핀홀(pin hole)이 생겨 몰드성형부의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몰드성형부가 쉽게 파손될 수 있어 보호회로기판을 확실히 보호할 수 없었다.However, such a battery pack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battery pack since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and the electrode terminal are fixed to the battery cell through a molding part through injection of a resin material. In addition, in this manufacturing method, if a melt flow occurs during molding of the mold molding part, cracks or pin holes are formed in the mold molding part, and thus the strength of the mold molding part is weakened. The molded part could easily be broken, so the protection circuit board could not be securely protected.
또 이러한 배터리 팩은 회로기판과 전극단자가 배터리 셀의 측방에 배치되고, 이를 몰드성형부가 감싸 고정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배터리 팩의 폭이 커져 부피를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pack has a circuit board and an electrode terminal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attery cell, and a mold molding part is wrapped around the battery pack, the battery pack has a large width and has a limitation in miniaturizing the volum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를 소형화할 수 있고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which can reduce the volume and facilitate the manufa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화 및 박형화할 수 있으면서도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회로모듈을 확실히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which can be miniaturized and reduced in thickness while being able to reliably protect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from impac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충전된 전원을 공 급하며 상부에 음극단자와 양극단자를 갖춘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음극 및 양극단자와 각각 단자판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과, 상부에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셀 상부에 장착되는 보호회로케이스와, 상기 보호회로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셀 상단 일부를 덮는 형태로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배터리 셀의 둘레와 상기 상부커버의 둘레를 결속하는 접이식 결속부재와, 상기 상부커버, 배터리 셀, 접이식 결속부재의 외면에 접착되는 접착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supply a charged power and the battery cell having a negative terminal and a positive terminal on the top, and installed on top of the battery cell and through the terminal plate and the negative and positive terminal, respectively A protective circuit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a protective circuit case mounted on the battery cell in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is accommodated thereon; and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ective circuit case and the battery cell. And an upper cov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a folding binding member for binding the periphery of the battery cell and the upper cover, and an adhesive tape adher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the battery cell, and the folding binding member. do.
또한 상기 접이식 결속부재는 상기 상부커버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단지지부와, 상기 상단지지부의 일단에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부커버 및 상기 배터리 셀의 한쪽 측단을 지지하는 제1측단지지부와, 상기 제1측단지지부에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부와, 상기 하단지지부에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셀의 다른 쪽 측단을 지지하는 제2측단지지부와, 상기 상단지지부의 타단에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측단지지부와 연결되는 제3측단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ldable bind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support part supporting an upper end of the upper cover, a first side end support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pper support part so as to be able to support one side end of the upper cover and the battery cell, and A lower end supporting part refractoryly connected to a first side end supporting part and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battery cell, a second side end supporting part refractoryly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ing part and supporting the other side end of the battery cel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side end support that is refrac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suppor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end support.
또한 상기 접이식 결속부재는 상기 상부커버의 양쪽 측면을 덮도록 상기 상단지지부의 양측 변에 각각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날개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ldable binding member further comprises wings that are refra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support to cover both sides of the upper cover.
또한 상기 제2 및 제3측단지지부의 단부에는 상호 연결을 위한 걸림돌기와 걸림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second and third side end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engaging groove for the interconnection is provided.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상면에는 복수의 출력단자부가 금속도금을 통해 마련되고, 상기 상부커버 및 상기 상단지지부에는 상기 복수의 출력단자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출력단자부가 노출되도록 개방된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hrough metal plating, and openings are formed in the upper cover and the upper support to expose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또한 상기 보호회로케이스와 상기 상부커버는 절연이 가능하도록 수지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circuit case and the upper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n material is provided to enable insulation.
또한 상기 접이식 결속부재의 굴절부분에는 절곡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ent groove is formed in the refractive portion of the foldable binding memb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셀(10), 배터리 셀(10)의 보호를 위한 보호회로모듈(20), 보호회로모듈(20)을 수용하는 보호회로케이스(30), 상부커버(40), 접이식 결속부재(50), 그리고 외부에 접착되는 접착테이프(60)를 포함한다.1 and 2,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배터리 셀(10)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양극시트와 음극시트로 이루어지는 전극적층유닛이 금속케이싱 내에 수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배터리 셀(10)은 상단 중앙부에 돌출된 음극단자(11)를 구비하고, 음극단자(11)를 제외한 케이싱의 외면 전체가 양극단자(12)를 이루도록 구성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보호회로모듈(20)은 배터리 셀(10)을 폭발 및 과충전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회로기판이다. 보호회로모듈(20)은 음극단자판(21)을 통해 배터리 셀(10)의 음극단자(11)와 연결되고, 양극단자판(22)을 통해 배터리 셀(10) 상단의 양극단자(12)와 연결된다. 음극 및 양극단자판(21,22)은 전원접속을 위한 것으로 구리나 니켈플레이트의 절곡 성형을 통해 마련된다. 음극 및 양극단자판(21,22)은 소정의 탄성을 구비하여 보호회로모듈(20) 및 배터리 셀(10)의 각 단자(11,12)에 밀착되어 접속되거나 배터리 셀(10) 쪽에 스폿용접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The
보호회로케이스(30)는 상부에 보호회로모듈(20)을 흔들림 없이 수용할 수 있도록 보호회로모듈(20)의 외형에 상당하는 상부수용공간(31)을 구비한다. 또 보호회로케이스(30)는 배터리 셀(10) 상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배터리 셀(10)의 상단부 면적과 대응하는 단면적을 구비하며, 음극 및 양극단자판(21,22)의 하부와 배터리 셀(10)의 음극단자(11)를 수용할 수 있는 하부수용공간(32)을 구비한다. 이는 하부수용공간(32)을 통해 음극 및 양극단자판(21,22)을 내부에 수용하여 흔들림 없이 지지함과 동시에 보호회로케이스(30)의 하단 둘레가 배터리 셀(10)의 상단에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이러한 보호회로케이스(30)는 전기적인 절연이 가능한 수지재의 사출성형을 통해 마련되며, 보호회로케이스(30)의 한쪽 측면에는 배터리 셀(10) 쪽으로부터 보호회로모듈(20) 쪽으로 연장되는 음극 및 양극단자판(21,22)의 일부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지지홈들(33,34)이 형성된다. The
이러한 보호회로케이스(30)는 음극 및 양극단자판(21,22)을 지지홈들(33,34)에 결합시키고, 상부수용공간(31)에 보호회로모듈(20)을 장착한 후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보호회로케이스(30)를 설치하면, 보호회로모듈(20)이 보호회로케이스(30)의 상부에 수용된 상태이고, 음극 및 양극 단자판들(21,22)도 정확한 위치에 결속된 상태이므로 보호회로케이스(30)를 배터리 셀(10) 상부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보호회로모듈(20)과 배터리 셀(10) 사이의 전원접속이 정확히 이루어진다. 또 이러한 보호회로케이스(30)는 절연재질이므로 별도의 절연시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전기적인 쇼트(short)를 방지할 수 있고, 보호회로모듈(20)을 상부수용공간(31)에 수용하게 되므로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회로모듈(20)을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The
상부커버(40)는 보호회로모듈(20)을 수용한 보호회로케이스(30)와 배터리 셀(10) 상측 일부를 덮는 형태로 배터리 셀(10) 상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부커버(40)는 손쉬운 결합을 통해 보호회로케이스(30)를 배터리 셀(10) 상부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보호회로모듈(20), 보호회로케이스(30), 음극 및 양극단자판(21,22)이 상부커버(40) 내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이들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보호회로모듈(20)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접이식 결속부재(50)는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커버(40)가 배터리 셀(10) 상부에 장착된 후 배터리 셀(10)의 둘레와 상부커버(40)의 둘레를 결속함으로써 상부커버(40)가 배터리 셀(10) 상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접이식 결속부재(50)는 상부커버(40)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단지지부(51), 상단지지부(51)의 일단에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부커버(40) 및 배터리 셀(10)의 한쪽 측단을 지지하는 제1측단지지부(52), 제1측단지지부(52)에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배터리 셀(1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부(53), 하단지지부(53)에 굴절 가능하 게 연결되며 배터리 셀(10)의 다른 쪽 측단을 지지하는 제2측단지지부(54), 상단지지부(51)의 타단에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측단지지부(54)에 연결되는 제3측단지지부(55)를 구비한다. 또 상부커버(40)의 양쪽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상단지지부(51)의 양측 변에 각각 굴절 가능하게 연결된 날개부들(56,57)을 포함한다. 1 and 3, the foldable binding
또 제3측단지지부(55)의 단부에는 제2측단지지부(54)와 연결을 위한 걸림돌기(55a)가 형성되고, 제2측단지지부(54)의 단부에는 걸림돌기(55a)와 결합되는 걸림홈(54a)이 형성된다. 이는 배터리 셀(10)의 둘레와 상부커버(40) 둘레를 감는 형태로 설치한 후 걸림돌기(55a)와 걸림홈(54a)을 통해 결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걸림돌기(55a)와 걸림홈(54a)은 결합 후 표면에 단차가 생기지 않는 도브테일(Dovetail)형 결합을 이룬다. 또한 접이식 결속부재(50)의 각 굴절부분에는 용이한 굴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치(Notch)형태의 절곡홈(58)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t the end of the third side
이러한 접이식 결속부재(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셀(10)의 둘레와 상부커버(4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결속하기 때문에 배터리 셀(10)의 둘레 및 하측 모서리부분, 상부커버(40)의 둘레 및 상측 모서리부분을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팩에 외부충격(특히 배터리 팩의 낙하 등)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배터리 팩을 보호할 수 있다. 또 접이식 결속부재(50)가 둘레를 결속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배터리 팩의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접이식 결속부재(50)는 부피를 줄이기 위해 소정의 강성을 가진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전기적인 쇼트(Short) 방지를 위해 절연이 가능한 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As shown in FIG. 3, since the
또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회로모듈(20)의 상면에 복수의 출력단자부(24)가 금도금을 통해 마련되고, 상부커버(40)에는 복수의 출력단자부(24)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출력단자부(24)가 노출되도록 개방된 개구(44)가 형성된다. 또 접이식 결속부재(50)의 상단지지부(51)에도 동일한 위치에 개구(59)가 형성된다. 이는 상부커버(40) 및 접이식 결속부재(50)가 결합될 때 보호회로모듈(20)의 출력단자부(24)가 개구들(44,59)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 등의 전원연결부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접착테이프(60,라벨테이프)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커버(40)와 접이식 결속부재(50)가 결합된 후 최종적으로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부착됨으로써 상부커버(40), 접이식 결속부재(50), 배터리 셀(10) 외면의 결속을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Adhesive tape (60, label tape), as shown in Figure 4, after the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조립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assembl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배터리 팩을 조립할 때는 보호회로케이스(30)에 보호회로모듈(20)과 음극 및 양극단자판(21,22)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보호회로케이스(30)를 배터리 셀(10)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부커버(40)를 결합시킨다. 이때 보호회로모듈(20)은 보호회로케이스(30) 내에 수용된 상태이고, 보호회로케이스(30)가 다시 상부커버(40) 내에 수용된 상태이므로 안정적으로 보호된다. 또한 이러한 결합만으로 보호회로모듈(20), 보호회로케이스(30), 음극 및 양극단자판(21,22)은 정확한 위치에 흔들림 없이 장착되고, 배터리 셀(10)과 보호회로모듈(20)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When assembling the battery pack, the
상부커버(40)가 결합된 후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이식 결속부재 (50)를 통해 상부커버(40)와 배터리 셀(10)을 결속한다. 그리고 접이식 결속부재(50)로 상부커버(40)를 결속한 후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접착테이프(60)를 부착함으로써 조립을 완료한다.After th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보호회로케이스에 보호회로모듈과 음극 및 양극단자판을 장착하여 이를 배터리 셀 상부에 위치시킨 후 상부커버와 접이식 결속부재를 배터리 셀에 각각 결합시키는 것으로 조립절차의 대부분을 완료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팩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고 안정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a negative electrode and a positive terminal plate on the protective circuit case and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ttery cell to couple the top cover and the folding binding member to the battery cell, respectively. This enables the battery pack to be manufactured easily and maintains stable quality because most of the assembly procedures can be completed. In addition, 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assembly labor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increasing productiv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보호회로모듈이 보호회로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배터리 셀 상부에 결합되고, 보호회로케이스도 상부커버 내에 완전히 수용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회로모듈을 확실히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ttery cell in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is accommodated in the protective circuit case, since the protective circuit case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upper cover, it can reliably protect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from external impacts. It ha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접이식 결속부재가 상부커버 및 배터리 셀의 둘레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충격(특히 배터리 팩의 낙하)에 취약한 둘레 및 모서리부분을 보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터리 팩의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the folding binding member surrounds the upper cover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battery cell, the battery pack can not only reinforce the circumference and the corner part that are vulnerable to external shocks (especially the drop of the battery pack). The pack can be made smaller, thinner, and lighter.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7780A KR100704290B1 (en) | 2005-10-17 | 2005-10-17 | Battery pa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7780A KR100704290B1 (en) | 2005-10-17 | 2005-10-17 | Battery pa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04290B1 true KR100704290B1 (en) | 2007-04-06 |
Family
ID=38161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9778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4290B1 (en) | 2005-10-17 | 2005-10-17 | Battery pa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4290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16054A (en) * | 2011-08-03 | 2013-02-1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pack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US8709622B2 (en) | 2007-12-17 | 2014-04-29 | Samsung Sdi Co., Ltd. | Protective circuit board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
KR102325636B1 (en) * | 2021-02-24 | 2021-11-15 | 덕양산업 주식회사 | Housing for battery modul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50532A (en) | 2000-03-03 | 2001-09-1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econdary battery with battery protection circuit |
JP2003017012A (en) | 2001-07-04 | 2003-01-17 | Kyocera Corp | battery |
JP2004327378A (en) * | 2003-04-28 | 2004-11-18 | Nec Tokin Tochigi Ltd | Battery pack |
KR20050059891A (en) * | 2003-12-15 | 2005-06-21 | 주식회사 에스엠시 | A mobile-phone secondary battery pack for its intensity reinforcement |
KR100571241B1 (en) | 2004-09-22 | 2006-04-1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05
- 2005-10-17 KR KR1020050097780A patent/KR10070429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50532A (en) | 2000-03-03 | 2001-09-1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Secondary battery with battery protection circuit |
JP2003017012A (en) | 2001-07-04 | 2003-01-17 | Kyocera Corp | battery |
JP2004327378A (en) * | 2003-04-28 | 2004-11-18 | Nec Tokin Tochigi Ltd | Battery pack |
KR20050059891A (en) * | 2003-12-15 | 2005-06-21 | 주식회사 에스엠시 | A mobile-phone secondary battery pack for its intensity reinforcement |
KR100571241B1 (en) | 2004-09-22 | 2006-04-1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709622B2 (en) | 2007-12-17 | 2014-04-29 | Samsung Sdi Co., Ltd. | Protective circuit board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
KR20130016054A (en) * | 2011-08-03 | 2013-02-1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pack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US9385353B2 (en) | 2011-08-03 | 2016-07-05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1905078B1 (en) * | 2011-08-03 | 2018-10-0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pack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325636B1 (en) * | 2021-02-24 | 2021-11-15 | 덕양산업 주식회사 | Housing for battery modu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8120B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1293591B1 (en) | Secondary Battery Pack | |
EP1714334B1 (en) | Secondary battery of assemble-type structure | |
KR101255546B1 (en) |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Frame | |
KR101305248B1 (en) | Secondary Battery Pack | |
KR100595038B1 (en) | Thin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261729B1 (en) | Battery Pack | |
KR101182961B1 (en) | Battery pack | |
KR100704290B1 (en) | Battery pack | |
JP3615460B2 (en) | Battery pack | |
KR100721829B1 (en) | Battery pack | |
KR100721831B1 (en) | Battery pack | |
KR100721830B1 (en) | Battery pack | |
KR100913695B1 (en) | Battery pack | |
KR100915545B1 (en) | Battery pack | |
KR100704291B1 (en) | Battery pack | |
KR100782990B1 (en) | Battery pack | |
KR100949006B1 (en) | Battery pack | |
KR200423315Y1 (en) | Combined structure of rechargeable battery pack | |
KR100585380B1 (en) | Battery pack | |
KR100585382B1 (en) | Battery pack | |
KR100592026B1 (en) | Battery pack | |
KR100585379B1 (en) | Battery pack | |
JPH08185837A (en) | Pack battery | |
KR20080042302A (en) | Battery pack with protection circu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