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636B1 - Housing for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Housing for battery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5636B1 KR102325636B1 KR1020210024921A KR20210024921A KR102325636B1 KR 102325636 B1 KR102325636 B1 KR 102325636B1 KR 1020210024921 A KR1020210024921 A KR 1020210024921A KR 20210024921 A KR20210024921 A KR 20210024921A KR 102325636 B1 KR102325636 B1 KR 1023256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battery
- housing
- bus bar
- surrou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52 nickel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ELJHCBNGDEXLD-UHFFFAOYSA-N nickel zinc Chemical compound [Ni].[Zn] QELJHCBNGDEX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 셀을 보호할 수 있는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using capable of protecting a battery cell accommodated therein.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휴대폰, PDA, 노트북 컴퓨터 등의 소형 첨단 전자기기 분야뿐만 아니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 Energy Storage System)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의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있다.A secondary battery refers to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It is used as a power source for Vehicle, Energy Storage System) or hybrid vehicle (HEV, Hybrid Electric Vehicle).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차전지의 종류에는 리튬이온 전지, 리튬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전지 셀, 즉, 단위 배터리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5V ~ 42V이다.Types of secondary batteries currently widely used include lithium ion batteries, lithium polymer batteries,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ide batteries, nickel zinc batteries, and the like. The unit secondary battery cell, that is,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unit battery cell is about 25V ~ 42V.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과 에너지 용량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거나 상기 배터리 모듈을 2개 이상 직렬 내지 병렬로 연결하고 기타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한다. 이를테면 배터리 모듈은 다수의 이차 전지가 직렬 내지 병렬로 연결된 장치를 의미하고, 배터리 팩은 용량 및 출력 등을 높이기 위해 배터리 모듈이 직렬 내지 병렬로 연결된 구성요소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higher output voltage and energy capacity are required, a battery module is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series, or two or more battery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and other components are added to form a battery pack. make up For example, a battery module may refer to a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ary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and a battery pack may refer to a component in which battery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to increase capacity and output. The number of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a required output voltage or charge/discharge capacity.
일반적으로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셀들을 내부에 수납하여 패키징하고 이들을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종래 하우징은 두께운 강판으로 제작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배터리 셀들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강판의 무게로 인해서 자동차의 경량화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고, 여러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립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a battery module includes a housing for accommodating and packaging battery cells therein, and protecting them from external shocks and the like. The conventional housing is made of a thick steel plate and serves to safely protect the battery cells from external impact, but due to the weight of the steel plate, it does not meet the weight reduction requirements of automobile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because it consists of several parts. .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141402호 ‘힌지 구조로 결합된 외장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은 전지셀 어셈블리의 외면을 감싸는 제 1 외장 부재 및 제 2 외장 부재를 가역적 결합 방식의 힌지 구조로 상호 결합한 전지모듈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141402, 'Battery module including an exterior member coupled by a hinge structure' is a hinge structure in which a first exterior member and a second exterior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a battery cell assembly are reversibly coupled to each other. Disclosed is a combined battery module.
본 발명의 목적은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접어서 내부에 배터리 셀을 수용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capable of accommodating a battery cell therein by folding a plurality of plates formed integrally.
상기 목적은, 복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고 전방에 제1전극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제2전극부가 형성되는 배터리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플레이트; 제1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고 배터리부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2플레이트; 제1플레이트의 타측에 형성되고 배터리부의 타측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3플레이트; 제1플레이트의 전방에 형성되고 배터리부의 전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4플레이트; 제4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제1전극부에 접촉되는 제1버스바; 제1플레이트의 후방에 형성되고 배터리부의 후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5플레이트; 제5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제2전극부에 접촉되는 제2버스바; 제2플레이트의 일측면 또는 제3플레이트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부의 상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6플레이트; 제6플레이트의 전방에 형성되고 제4플레이트를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7플레이트; 및 제6플레이트의 후방에 형성되고 제5플레이트를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8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is made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 first electrode portion is formed in the front and the first plate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portion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is formed in the rear; a second plat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late and foldable to surround one side of the battery unit; a third plat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and foldable to surround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unit; a fourth plate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plate and foldable to surround the front of the battery unit; a first bus bar coupled to the fourth plate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part; a fifth plate formed at the rear of the first plate and foldable to surround the rear of the battery unit; a second bus bar coupled to the fifth plate a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unit; a sixth plat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late or the other side of the third plate and foldable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unit; a seventh plate formed in front of the sixth plate and foldable to surround the fourth plate; And it can be achieved by the housing for the battery module that is formed on the rear of the sixth plate and can include an eighth plate that can be folded to surround the fifth plate.
또한, 상기 목적은, 제1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냉각홀이 형성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the first plate can be achieved by a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in which one or more cooling holes can be formed.
또한, 상기 목적은, 배터리부는 배터리 셀이 가로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제1플레이트는 배터리 셀의 하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스탠딩부가 형성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may be achieved by a battery module housing in which the battery unit is formed by stacking battery cell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anding units into which the lower portions of the battery cells are inserted.
또한, 상기 목적은, 제2플레이트 및 제3플레이트는 배터리부의 측면에 접하는 보호패드가 결합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can be achieved by a battery module housing to which a protective pad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unit can be coupled.
또한, 상기 목적은, 배터리부는 배터리 셀이 가로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제4플레이트는 배터리 셀의 제1전극부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1절개부가 형성되고, 제5플레이트는 배터리 셀의 제2전극부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2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is, the battery unit is formed by stacking battery cel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ourth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cut-outs through which the first electrode of the battery cell passes, and the fifth plate is the second of the battery cells. It can be achieved by a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cut-outs through which the electrode part passes can be formed.
또한, 상기 목적은, 제1버스바는 제4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제1절개부를 통해서 제4플레이트 외부로 돌출되는 제1전극부에 접촉되고, 제2버스바는 제5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제2절개부를 통해서 제5플레이트 외부로 돌출되는 제2전극부에 접촉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is, the first bus bar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plate to contact the first electrode portion protruding out of the fourth plate through the first cutout, the second bus bar is outside the fifth plate It can be achieved by a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that is coupled to the side and can contact the second electrode part protruding out of the fifth plate through the second cutout.
또한, 상기 목적은, 제4플레이트는 배터리 셀의 전방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1지지부가 형성되고, 제5플레이트는 배터리 셀의 후방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2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is for a battery module in which the fourth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ortions into which the front of the battery cell is inserted, and the fifth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ortions into which the rear of the battery cell is inserted. This can be achieved by the housing.
또한, 상기 목적은, 제1지지부는 제4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지지부는 제5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is, the first support portion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ourth plate an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fth plate to the housing for the battery module that can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achieved by
또한, 상기 목적은, 제4플레이트는 복수의 제1체결홀이 형성되고, 제5플레이트는 복수의 제2체결홀이 형성되고, 제7플레이트는 복수의 제3체결홀이 형성되고, 제8플레이트는 복수의 제4체결홀이 형성되고, 제4플레이트와 제7플레이트는 제1체결홀과 제3체결홀에 삽입되는 볼트로 결합되고, 제5플레이트와 제8플레이트는 제2체결홀과 제4체결홀에 삽입되는 볼트로 결합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the above object, the fourth plate has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holes, the fifth plate has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holes, the seventh plate has a plurality of third fastening holes, and the eighth plate has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holes. The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ourth fastening holes, the fourth plate and the seventh plate are coupled with bolt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third fastening hole, and the fifth plate and the eighth plate are connecte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It can be achieved by a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that can be coupled with a bolt inserted into the fourth fastening hole.
또한, 상기 목적은, 제7플레이트는 제1버스바와 외부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제1커넥트홀이 형성되고, 제8플레이트는 제2버스바와 외부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제2커넥트홀이 형성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the above object, the seventh plate has a first connection hol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bus bar and an external circuit, and the eighth plate has a second connection hol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bus bar and an external circuit. This can be achieved by a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that can be formed.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하면, 복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고 전방에 제1전극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제2전극부가 형성되는 배터리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플레이트; 제1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고 배터리부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2플레이트; 제1플레이트의 타측에 형성되고 배터리부의 타측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3플레이트; 제1플레이트의 전방에 형성되고 배터리부의 전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4플레이트; 제4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제1전극부에 접촉되는 제1버스바; 제1플레이트의 후방에 형성되고 배터리부의 후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5플레이트; 제5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제2전극부에 접촉되는 제2버스바; 제2플레이트의 일측 또는 제3플레이트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부의 상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6플레이트; 제6플레이트의 전방에 형성되고 제4플레이트를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7플레이트; 및 제6플레이트의 후방에 형성되고 제5플레이트를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8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를 접어서 내부에 배터리부를 수용할 수 있고, 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고, 제조공정이 줄어듬으로써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late is made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portion in which a first electrode portion is formed in the front and a second electrode portion is formed in the rear; a second plat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late and foldable to surround one side of the battery unit; a third plat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and foldable to surround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unit; a fourth plate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plate and foldable to surround the front of the battery unit; a first bus bar coupled to the fourth plate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part; a fifth plate formed at the rear of the first plate and foldable to surround the rear of the battery unit; a second bus bar coupled to the fifth plate a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unit; a sixth plat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late or the other side of the third plate and foldable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unit; a seventh plate formed in front of the sixth plate and foldable to surround the fourth plate; and an eighth plate that is formed on the rear of the sixth plate and can be folded to surround the fifth plate, so that the battery unit can be accommodated therein by folding a plurality of integrally formed plates, and the housing is integrally formed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하면, 제1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냉각홀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ousing for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e or more cooling holes may be formed in the first pl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ttery unit from being overhe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하면, 배터리부는 배터리 셀이 가로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제1플레이트는 배터리 셀의 하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스탠딩부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부는 하우징 내부에서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ttery unit is formed by stacking battery cell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plate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anding units into which the lower portions of the battery cells are inserted, the battery unit is inside the housing. can be safely supported i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하면, 제2플레이트 및 제3플레이트는 배터리부의 측면에 접하는 보호패드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의 강성을 보강하면서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부가 압축되거나 외부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ousing for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can be coupled to the protective pad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unit, so that the battery uni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is compressed or subjected to external shock while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housing. damage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하면, 배터리부는 배터리 셀이 가로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제4플레이트는 배터리 셀의 제1전극부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1절개부가 형성되고, 제5플레이트는 배터리 셀의 제2전극부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2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부는 하우징 내부에 안전하게 수용되면서 제1전극부는 제4플레이트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제2전극부는 제5플레이트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attery modul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unit is formed by stacking battery cel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ourth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cut-outs through which the first electrode unit of the battery cell passes, and a fifth Since the plate may have a plurality of second cutouts through which the second electrode part of the battery cell passes, the battery part may be safel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while the first electrode par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ourth plate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may be It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l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하면, 제1버스바는 제4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제1절개부를 통해서 제4플레이트 외부로 돌출되는 제1전극부에 접촉되고, 제2버스바는 제5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제2절개부를 통해서 제5플레이트 외부로 돌출되는 제2전극부에 접촉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부는 하우징 내부에 안전하게 수용되면서 제1전극부는 제1버스바에 접촉될 수 있고 제2전극부는 제2버스바에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us bar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plate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part protruding out of the fourth plate through the first cutout, and the second bus bar Since the bar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fth plate and can contact the second electrode part protruding out of the fifth plate through the second cutout, the battery part is safel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while the first electrode part contacts the first bus bar.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bus ba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하면, 제4플레이트는 배터리 셀의 전방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1지지부가 형성되고, 제5플레이트는 배터리 셀의 후방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2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부는 하우징 내부에서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attery modul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arts into which the front of the battery cell is inserted, and the fifth plate has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arts into which the rear of the battery cell is inserted. Since it can be formed, the battery part can be safely supported inside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하면, 제1지지부는 제4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지지부는 제5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의 강성을 보강하면서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부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ousing for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part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ourth plate an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support part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fth plate to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fely support the battery unit accommodated in the housing while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하면, 제4플레이트는 복수의 제1체결홀이 형성되고, 제5플레이트는 복수의 제2체결홀이 형성되고, 제7플레이트는 복수의 제3체결홀이 형성되고, 제8플레이트는 복수의 제4체결홀이 형성되고, 제4플레이트와 제7플레이트는 제1체결홀과 제3체결홀에 삽입되는 볼트로 결합되고, 제5플레이트와 제8플레이트는 제2체결홀과 제4체결홀에 삽입되는 볼트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의 강성을 보강하면서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를 보호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plate has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holes, the fifth plate has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holes, and the seventh plate has a plurality of third fastening holes. A hole is formed in the eighth plate, a plurality of fourth fastening holes are formed, the fourth plate and the seventh plate are coupled with bolt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third fastening hole, and the fifth plate and the eighth fastening hole are formed. Since the plate can be coupled with a bolt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and the fourth fastening hole, the first bus bar and the second bus bar can be protected while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의하면, 제7플레이트는 제1버스바와 외부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제1커넥트홀이 형성되고, 제8플레이트는 제2버스바와 외부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제2커넥트홀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버스바 및 제2버스바를 보호하면서 배터리부와 외부회로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attery modul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venth plate has a first connection hole form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us bar and an external circuit, and the eighth plate electrically connects the second bus bar and an external circuit. Since the second connection hole may be formed for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unit and the external circuit while protecting the first bus bar and the second bus b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에 배터리부가 안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의 제1버스바와 제2버스바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battery unit is seated in the housing for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bus bar and the second bus bar of the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나타난 X, Y, Z 축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정한 것으로, X축이 전(화살표 쪽), 후(화살표 반대쪽) 방향을 지시하고, Y축은 좌, 우방향을 지시하며, Z축은 상, 하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The X, Y, and Z axes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e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not for the purpose of limiting rights. , and the Z axis is defined as indicating the up and down directions.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Each direction described below is based thereon, except where otherwise specifically limited.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 앞쪽), 후(배, 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이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Top (top), bottom (bottom), left and right (side or lateral), front (front, front), back (back, back), etc., which refer to directions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right.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relative positions between the drawings and the components are determined as a reference, and each direction described below is based on this, except when otherwise specifically limited.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10)은 육면체 형태로서, 복수의 배터리 셀(2)로 이루어지고 전방에 제1전극부(3)가 형성되고 후방에 제2전극부(4)가 형성되는 배터리부(1)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플레이트(100); 제1플레이트(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배터리부(1)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2플레이트(200); 제1플레이트(100)의 타측에 형성되고 배터리부(1)의 타측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3플레이트(300); 제1플레이트(100)의 전방에 형성되고 배터리부(1)의 전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4플레이트(400); 제4플레이트(400)에 결합되고 제1전극부(3)에 접촉되는 제1버스바(5); 제1플레이트(100)의 후방에 형성되고 배터리부(1)의 후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5플레이트(500); 제5플레이트(500)에 결합되고 제2전극부(4)에 접촉되는 제2버스바(6); 제2플레이트(200)의 일측면 또는 제3플레이트(300)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부(1)의 상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6플레이트(600); 제6플레이트(600)의 전방에 형성되고 제4플레이트(400)를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7플레이트(700); 및 제6플레이트(600)의 후방에 형성되고 제5플레이트(500)를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8플레이트(8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 the
배터리부(1)는 복수의 배터리 셀(2)이 가로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배터리부(1)는 전방에 제1전극부(3)가 위치하고, 후방에 제2전극부(4)가 위치한다.In the
도 1 내지 3 및 5를 참조하면, 제1플레이트(100)는 배터리부(1)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10)에서 바닥에 위치하는 부분이다.1 to 3 and 5 , the
제1플레이트(100)는 왼쪽에 제2플레이트(200)가 위치하고, 오른쪽에 제3플레이트(300)가 위치하고, 앞쪽에 제4플레이트(400)가 위치하며, 뒤쪽에 제5플레이트(500)가 위치할 수 있다.The
제1플레이트(100)는 상하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냉각홀(110)이 형성되어 배터리부(1)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e or
제1플레이트(100)는 배터리부(1)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스탠딩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The
스탠딩부(120)는 배터리 셀(2)의 하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anding
도 1 내지 3 및 5를 참조하면, 제2플레이트(200)는 배터리부(1)의 일측면부(왼쪽)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10)에서 왼쪽에 위치하는 부분이다.1 to 3 and 5 , the
제2플레이트(200)는 제1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위로 접어서 배터리부(1)의 왼쪽에 벽을 형성할 수 있다.The
제1플레이트(100)와 제2플레이트(200)가 만나서 접하는 부분을 따라서 단면이 V형홈 또는 U형홈이 형성될 수 있다.A V-shaped groove or a U-shaped groove may be formed along a portion where the
V형홈 또는 U형홈은 제1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제2플레이트(200)가 접히는 기준선을 제공할 수 있다.The V-shaped groove or the U-shaped groove may provide a reference line on which the
V형홈 또는 U형홈은 제1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제2플레이트(200)가 정확하고 쉽게 접히도록 할 수 있다.The V-shaped groove or the U-shaped groove may allow the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10)에서 제2플레이트(200)는 제4플레이트(400), 제5플레이트(500) 및 제6플레이트(600)와 접하게 된다.In the
제2플레이트(200)는 제4플레이트(400), 제5플레이트(500) 및 제6플레이트(600)와 접하는 둘레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제2플레이트(200)의 둘레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제4플레이트(400), 제5플레이트(500) 및 제6플레이트(600)의 둘레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접할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formed around the
제2플레이트(200)는 배터리부(1)의 왼쪽에 접하는 보호패드(210)가 결합될 수 있다.The
보호패드(210)는 제2플레이트(200) 접착되거나 이중사출로 형성될 수 있다.The
보호패드(210)는 절연(絶緣)소재, 완충(緩衝)소재 또는 경성(硬性)소재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보호패드(210)는 제2플레이트(2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The
보호패드(210)는 외력이나 외부충격에 의해 배터리부(1)의 왼쪽이 압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보호패드(210)는 스웰링(swelling)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부(1)의 팽창을 흡수할 수 있다.The
도 1 내지 5을 참조하면, 제3플레이트(300)는 배터리부(1)의 타측면부(오른쪽)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10)에서 오른쪽에 위치하는 부분이다.1 to 5 , the
제3플레이트(300)는 제1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위로 접어서 배터리부(1)의 오른쪽에 벽을 형성할 수 있다.The
제1플레이트(100)와 제3플레이트(300)가 만나서 접하는 부분을 따라서 단면이 V형홈 또는 U형홈이 형성될 수 있다.A V-shaped groove or a U-shaped groove may be formed along a portion where the
V형홈 또는 U형홈은 제1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제3플레이트(300)가 접히는 기준선을 제공할 수 있다.The V-shaped groove or the U-shaped groove may provide a reference line on which the
V형홈 또는 U형홈은 제1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제3플레이트(300)가 정확하고 쉽게 접히도록 할 수 있다.The V-shaped groove or the U-shaped groove may allow the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10)에서 제3플레이트(300)는 제4플레이트(400) 및 제5플레이트(500)와 접하게 된다.In the
제3플레이트(300)는 제4플레이트(400) 및 제5플레이트(500)와 접하는 둘레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제3플레이트(300)의 둘레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제4플레이트(400) 및 제5플레이트(500)의 둘레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접할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formed around the
제3플레이트(300)는 배터리부(1)의 오른쪽에 접하는 보호패드(310)가 결합될 수 있다.The
보호패드(310)는 제4플레이트(400) 접착되거나 이중사출로 형성될 수 있다.The
보호패드(310)는 절연(絶緣)소재, 완충(緩衝)소재 또는 경성(硬性)소재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보호패드(310)는 제3플레이트(3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The
보호패드(310)는 외력이나 외부충격에 의해 배터리부(1)의 오른쪽이 압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보호패드(310)는 스웰링(swelling)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부(1)의 팽창을 흡수할 수 있다.The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제4플레이트(400)는 배터리부(1)의 전면부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10)에서 앞쪽에 위치하는 부분이다.1 to 5 , the
제4플레이트(400)는 제1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위로 접어서 배터리부(1)의 앞쪽에 벽을 형성할 수 있다.The
제1플레이트(100)와 제4플레이트(400)가 만나서 접하는 부분을 따라서 단면이 V형홈 또는 U형홈이 형성될 수 있다.A V-shaped groove or a U-shaped groove may be formed along a portion where the
V형홈 또는 U형홈은 제1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제4플레이트(400)가 접히는 기준선을 제공할 수 있다.The V-shaped groove or the U-shaped groove may provide a reference line on which the
V형홈 또는 U형홈은 제1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제4플레이트(400)가 정확하고 쉽게 접히도록 할 수 있다.The V-shaped groove or the U-shaped groove may allow the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10)에서 제4플레이트(400)는 제2플레이트(200), 제3플레이트(300), 제6플레이트(600) 및 제7플레이트(700)와 접하게 된다.In the
제4플레이트(400)는 제2플레이트(200) 및 제3플레이트(300)와 접하는 둘레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제4플레이트(400)의 둘레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제2플레이트(200) 및 제3플레이트(300)의 둘레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접할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formed around the
제4플레이트(400)는 배터리부(1)의 제1전극부(3)에 접촉되는 제1버스바(5)가 결합될 수 있다.The
제4플레이트(400)는 제1전극부(3)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1절개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The
제1절개부(410)는 배터리 셀(2)이 가로방향으로 적층되는 배터리부(1)의 제1전극부(3)가 통과할 수 있도록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1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제4플레이트(400)를 접으면, 제1전극부(3)는 제1절개부(410)를 통과해서 제4플레이트(4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When the
제1버스바(5)는 제1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접힌 제4플레이트(400)의 외부에 결합되어 제1절개부(410)를 통과해서 제4플레이트(400) 외부로 노출되는 제1전극부(3)에 접촉될 수 있다.The
제4플레이트(400)는 외측면에 제1버스바(5)를 수용하는 제1함몰부(460)가 형성될 수 있다.The
제1버스바(5)는 제4플레이트(400)의 제1함몰부(460)에 결합되어 제4플레이트(4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The
제1버스바(5)는 제4플레이트(400)의 제1함몰부(460)에 형성되는 제1상부턱(440)과 제1하부턱(4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제4플레이트(400)는 배터리부(1)의 앞쪽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1지지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The
제1지지부(420)는 가로방향으로 적층되는 배터리 셀(2)의 앞쪽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1지지부(420)는 배터리 셀(2)의 앞쪽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1지지부(420)는 제4플레이트(400)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1절개부(410)는 요철 형태의 제1지지부(420)에서 오목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ut-out
제4플레이트(400)는 볼트(7)가 결합되는 복수의 제1체결홀(430)이 형성될 수 있다.The
도 3을 참조하면, 제1버스바(5)는 배터리부(1)의 제1전극부(3)에 접촉되어 외부회로(미도시)와 제1전극부(3)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구성이다.Referring to FIG. 3 , the
제1버스바(5)는 제4플레이트(4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The
제1버스바(5)는 제1전극부(3)의 형태에 따라서 제1전극부(3)를 구성하는 배터리 셀(2)의 전극 모두 또는 일부에 접촉할 수 있다.The
제1버스바(5)는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제1버스바(5)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제4플레이트(400)에 복수의 제1버스바(5)를 구분하는 분리턱이 형성될 수 있다.The
제1버스바(5)는 제1전극부(3)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제1버스바(5)는 이미 만들어진 제4플레이트(400)에 결합되거나, 제4플레이트(400)에 인서트 사출로 결합될 수 있다.The
도 1 내지 3 및 5를 참조하면, 제5플레이트(500)는 배터리부(1)의 후면부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10)에서 뒤쪽에 위치하는 부분이다.1 to 3 and 5 , the
제5플레이트(500)는 제1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위로 접어서 배터리부(1)의 뒤쪽에 벽을 형성할 수 있다.The
제1플레이트(100)와 제5플레이트(500)가 만나서 접하는 부분을 따라서 단면이 V형홈 또는 U형홈이 형성될 수 있다.A V-shaped groove or a U-shaped groove may be formed along a portion where the
V형홈 또는 U형홈은 제1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제5플레이트(500)가 접히는 기준선을 제공할 수 있다.The V-shaped groove or the U-shaped groove may provide a reference line on which the
V형홈 또는 U형홈은 제1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제5플레이트(500)가 정확하고 쉽게 접히도록 할 수 있다.The V-shaped groove or the U-shaped groove may allow the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10)에서 제5플레이트(500)는 제2플레이트(200), 제3플레이트(300), 제6플레이트(600) 및 제8플레이트(800)와 접하게 된다.In the
제5플레이트(500)는 제2플레이트(200) 및 제3플레이트(300)와 접하는 둘레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제5플레이트(500)의 둘레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제2플레이트(200) 및 제3플레이트(300)의 둘레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접할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formed around the
제5플레이트(500)는 배터리부(1)의 제2전극부(4)에 접촉되는 제2버스바(6)가 결합될 수 있다.The
제5플레이트(500)는 제2전극부(4)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2절개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제2절개부(510)는 배터리 셀(2)이 가로방향으로 적층되는 배터리부(1)의 제2전극부(4)가 통과할 수 있도록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ut-out
제1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제5플레이트(500)를 접으면, 제2전극부(4)는 제2절개부(510)를 통과해서 제5플레이트(5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When the
제2버스바(6)는 제1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접힌 제5플레이트(500)의 외부에 결합되어 제2절개부(510)를 통과해서 제5플레이트(500) 외부로 노출되는 제2전극부(4)에 접촉될 수 있다.The
제5플레이트(500)는 외측면에 제2버스바(6)를 수용하는 제2함몰부(560)가 형성될 수 있다.The
제2버스바(6)는 제5플레이트(500)의 제2함몰부(560)에 결합되어 제5플레이트(5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The
제2버스바(6)는 제5플레이트(500)의 제2함몰부(560)에 형성되는 제2상부턱(540)과 제2하부턱(5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제5플레이트(500)는 배터리부(1)의 뒤쪽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2지지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The
제2지지부(520)는 가로방향으로 적층되는 배터리 셀(2)의 뒤쪽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2지지부(520)는 배터리 셀(2)의 뒤쪽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2지지부(520)는 제5플레이트(500)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2절개부(510)는 요철 형태의 제2지지부(520)에서 오목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ut-out
제5플레이트(500)는 볼트(7)가 결합되는 복수의 제2체결홀(530)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holes 530 to which the
도 3을 참조하면, 제2버스바(6)는 배터리부(1)의 제2전극부(4)에 접촉되어 외부회로와 제2전극부(4)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구성이다.Referring to FIG. 3 , the
제2버스바(6)는 제5플레이트(5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The
제2버스바(6)는 제2전극부(4)의 형태에 따라서 제2전극부(4)를 구성하는 배터리 셀(2)의 전극 모두 또는 일부에 접촉할 수 있다.The
제2버스바(6)는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The
제2버스바(6)는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제2버스바(6)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제5플레이트(500)에 복수의 제2버스바(6)를 구분하는 분리턱이 형성될 수 있다.The
제1버스바(5)는 제1전극부(3)에 레이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제2버스바(6)는 이미 만들어진 제5플레이트(500)에 결합되거나, 제5플레이트(500)에 인서트 사출로 결합될 수 있다.The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제6플레이트(600)는 배터리부(1)의 상부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10)에서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이다.1 to 5 , the
제6플레이트(600)는 제2플레이트(200)의 일측 또는 제3플레이트(30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제6플레이트(600)는 배터리부(1)의 왼쪽에 벽을 형성하는 제2플레이트(200)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접어서 배터리부(1)의 위쪽에 덮개를 형성하거나, 배터리부(1)의 오른쪽에 벽을 형성하는 제3플레이트(300)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접어서 배터리부(1)의 위쪽에 덮개를 형성할 수 있다.The
제6플레이트(600)는 앞쪽에 제7플레이트(700)가 위치하고, 뒤쪽에 제8플레이트(800)가 위치할 수 있다.The
제6플레이트(600)는 제1플레이트(100)보다 전후방향의 길이를 크게 형성할 수 있다.The
이하, 제6플레이트(600)가 제3플레이트(300)의 타측에 형성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제3플레이트(300)와 제6플레이트(600)가 만나서 접하는 부분을 따라서 단면이 V형홈 또는 U형홈이 형성될 수 있다.A V-shaped groove or a U-shaped groove may be formed along a portion where the
V형홈 또는 U형홈은 제3플레이트(300)를 기준으로 제6플레이트(600)가 접히는 기준선을 제공할 수 있다.The V-shaped groove or the U-shaped groove may provide a reference line on which the
V형홈 또는 U형홈은 제3플레이트(300)를 기준으로 제6플레이트(600)가 정확하고 쉽게 접히도록 할 수 있다.The V-shaped groove or the U-shaped groove may allow the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10)에서 제6플레이트(600)는 제2플레이트(200)와 접하게 된다.In the
제6플레이트(600)는 제2플레이트(200)와 접하는 둘레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제6플레이트(600)의 둘레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제2플레이트(200)의 둘레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접할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formed around the
제6플레이트(600)는 배터리부(1)의 위쪽에 접하는 보호패드(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보호패드는 제2플레이트(200)에 결합되는 보호패드(210)나 제3플레이트(300)에 결합되는 보호패드(31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제7플레이트(700)는 배터리부(1)의 제1전극부(3) 및 제1버스바(5)가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10)에서 제4플레이트(400)의 앞쪽에 위치하는 부분이다.1 to 5 , the
제7플레이트(700)는 배터리부(1)의 위쪽에 덮개를 형성하는 제6플레이트(600)를 기준으로 아래로 접어서 제4플레이트(400)의 앞쪽에 벽을 형성할 수 있다.The
제6플레이트(600)와 제7플레이트(700)가 만나서 접하는 부분을 따라서 단면이 V형홈 또는 U형홈이 형성될 수 있다.A V-shaped groove or a U-shaped groove may be formed along a portion where the
V형홈 또는 U형홈은 제6플레이트(600)를 기준으로 제7플레이트(700)가 접히는 기준선을 제공할 수 있다.The V-shaped groove or the U-shaped groove may provide a reference line on which the
V형홈 또는 U형홈은 제6플레이트(600)를 기준으로 제7플레이트(700)가 정확하고 쉽게 접히도록 할 수 있다.The V-shaped groove or the U-shaped groove may allow the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10)에서 제7플레이트(700)는 제4플레이트(400)와 접하게 된다.In the
제7플레이트(700)는 볼트(7)가 결합되는 복수의 제3체결홀(720)이 형성될 수 있다.The
제4플레이트(400)와 제7플레이트(700)는 제1체결홀(430)과 제3체결홀(720)에 삽입되는 볼트(7)로 결합될 수 있다.The
제7플레이트(700)는 제1버스바(5)와 외부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제1커넥트홀(710)이 형성될 수 있다.A
제1커넥트홀(710)은 제1버스바(5)와 외부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미도시) 등이 결합되거나, 제1버스바(5)와 외부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미도시) 등이 통과할 수 있다.The
도 1 내지 3 및 5를 참조하면, 제8플레이트(800)는 배터리부(1)의 제2전극부(4) 및 제2버스바(6)가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10)에서 제5플레이트(500)의 뒤쪽에 위치하는 부분이다.1 to 3 and 5 , the
제8플레이트(800)는 배터리부(1)의 위쪽에 덮개를 형성하는 제6플레이트(600)를 기준으로 아래로 접어서 제5플레이트(500)의 뒤쪽에 벽을 형성할 수 있다.The
제6플레이트(600)와 제8플레이트(800)가 만나서 접하는 부분을 따라서 단면이 V형홈 또는 U형홈이 형성될 수 있다.A V-shaped groove or a U-shaped groove may be formed along a portion where the
V형홈 또는 U형홈은 제6플레이트(600)를 기준으로 제8플레이트(800)가 접히는 기준선을 제공할 수 있다.The V-shaped groove or the U-shaped groove may provide a reference line on which the
V형홈 또는 U형홈은 제6플레이트(600)를 기준으로 제8플레이트(800)가 정확하고 쉽게 접히도록 할 수 있다.The V-shaped groove or the U-shaped groove may allow the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10)에서 제8플레이트(800)는 제5플레이트(500)와 접하게 된다.In the
제8플레이트(800)는 볼트(7)가 결합되는 복수의 제4체결홀(820)이 형성될 수 있다.The
제5플레이트(500)와 제8플레이트(800)는 제2체결홀(530)과 제4체결홀(820)에 삽입되는 볼트(7)로 결합될 수 있다.The
제8플레이트(800)는 제2버스바(6)와 외부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제2커넥트홀(810)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제2커넥트홀(810)은 제2버스바(6)와 외부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미도시) 등이 결합되거나, 제2버스바(6)와 외부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미도시) 등이 통과할 수 있다.The
제1플레이트(100) 내지 제8플레이트(800)는 사출성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2플레이트(200) 내지 제8플레이트(800)는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10)을 형성하면서 접촉하는 다른 플레이트와 접착제나 테이프를 이용해 결합될 수 있다.Th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In the forego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shown, but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said that the modified embodiments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배터리부 2: 배터리 셀
3: 제1전극부 4: 제2전극부
5: 제1버스바 6: 제2버스바
7: 볼트 10: 하우징
100: 제1플레이트 110: 냉각홀
120: 스탠딩부 200: 제2플레이트
210: 보호패드 300: 제3플레이트
310: 보호패드 400: 제4플레이트
410: 제1절개부 420: 제1지지부
430: 제1체결홀 440: 제1상부턱
450: 제1하부턱 460: 제1함몰부
500: 제5플레이트 510: 제2절개부
520: 제2지지부 530: 제2체결홀
540: 제2상부턱 550: 제2하부턱
560: 제2함몰부 600: 제6플레이트
700: 제7플레이트 710: 제1커넥트홀
720: 제3체결홀 800: 제8플레이트
810: 제2커넥트홀 820: 제4체결홀1: battery unit 2: battery cell
3: first electrode part 4: second electrode part
5: 1st bus bar 6: 2nd bus bar
7: bolt 10: housing
100: first plate 110: cooling hole
120: standing unit 200: second plate
210: protective pad 300: third plate
310: protective pad 400: fourth plate
410: first cut-out 420: first support
430: first fastening hole 440: first upper jaw
450: first lower jaw 460: first depression
500: fifth plate 510: second cutout
520: second support 530: second fastening hole
540: second upper jaw 550: second lower jaw
560: second depression 600: sixth plate
700: seventh plate 710: first connection hole
720: third fastening hole 800: eighth plate
810: second connection hole 820: fourth fastening hole
Claims (10)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부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부의 타측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3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부의 전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으며 외측면에 제1함몰부가 형성되는 제4플레이트;
상기 제1함몰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전극부에 접촉되는 제1버스바;
상기 제1플레이트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부의 후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으며 외측면에 제2함몰부가 형성되는 제5플레이트;
상기 제2함몰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전극부에 접촉되는 제2버스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측 또는 제3플레이트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부의 상면을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6플레이트;
상기 제6플레이트의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4플레이트를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7플레이트; 및
상기 제6플레이트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5플레이트를 감싸도록 접을 수 있는 제8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플레이트 내지 제8플레이트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a first plate compris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unit in which a first electrode unit is formed in the front and a second electrode unit is formed in the rear;
a second plat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late and foldable to surround one side of the battery unit;
a third plat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late and foldable to surround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unit;
a fourth plate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plate, foldable to surround the front surface of the battery unit, and having a first recessed port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 first bus bar coupled to the first depression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a fifth plate formed at the rear of the first plate, foldable to surround a rear surface of the battery unit, and having a second recessed port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 second bus bar coupled to the second depression a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a sixth plat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late or the other side of the third plate and foldable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unit;
a seventh plate formed in front of the sixth plate and foldable to surround the fourth plate; and
An eighth plate formed behind the sixth plate and foldable to surround the fifth plate,
The housing for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late to the eighth plate is integrally formed.
상기 제1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냉각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late is a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cooling holes are formed.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배터리 셀이 가로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배터리 셀의 하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스탠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unit is formed by stacking the battery cells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plate is a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tanding parts are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is formed.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제3플레이트는 상기 배터리부의 측면에 접하는 보호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late and the third plate are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ection pad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is coupled.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배터리 셀이 가로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4플레이트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제1전극부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1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5플레이트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제2전극부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2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unit is formed by stacking the battery cells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fourth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cutouts through which the first electrode part of the battery cell passes,
The fifth plate is a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econd cut-outs through which the second electrode part of the battery cell is formed.
상기 제1버스바는 상기 제4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절개부를 통해서 상기 제4플레이트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제1전극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2버스바는 상기 제5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2절개부를 통해서 상기 제5플레이트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제2전극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bus bar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plate an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part protruding out of the fourth plate through the first cutout,
The second bus bar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fth plate and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part protruding out of the fifth plate through the second cutout.
상기 제4플레이트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전방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1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5플레이트는 상기 배터리 셀의 후방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2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6. The method of claim 5,
The fourth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arts into which the front of the battery cell is inserted,
The fifth plate is a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arts into which the rear of the battery cell is inserted.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4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5플레이트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ourth plate,
The second support portion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fth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module housing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4플레이트는 복수의 제1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5플레이트는 복수의 제2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7플레이트는 복수의 제3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8플레이트는 복수의 제4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4플레이트와 제7플레이트는 상기 제1체결홀과 제3체결홀에 삽입되는 볼트로 결합되고,
상기 제5플레이트와 제8플레이트는 상기 제2체결홀과 제4체결홀에 삽입되는 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According to claim 1,
The fourth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holes,
The fifth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holes,
The seventh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ird fastening holes,
The eighth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ourth fastening holes,
The fourth plate and the seventh plate are coupled with a bolt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third fastening hole,
The fifth plate and the eighth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bolt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hole and the fourth fastening hole.
상기 제7플레이트는 제1버스바와 외부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제1커넥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8플레이트는 제2버스바와 외부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제2커넥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용 하우징.According to claim 1,
In the seventh plate, a first connection hole is form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bus bar and an external circuit,
The eighth plate is a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nection hole is form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bus bar and an external circu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4921A KR102325636B1 (en) | 2021-02-24 | 2021-02-24 | Housing for battery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4921A KR102325636B1 (en) | 2021-02-24 | 2021-02-24 | Housing for battery modu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5636B1 true KR102325636B1 (en) | 2021-11-15 |
Family
ID=7850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4921A Active KR102325636B1 (en) | 2021-02-24 | 2021-02-24 | Housing for battery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5636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3321B1 (en) * | 2022-03-07 | 2022-08-19 | 덕양산업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with foldable cover structure |
KR102466707B1 (en) * | 2022-03-23 | 2022-11-17 | 덕양산업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with cover structure in which bus bars are embedded |
WO2024128346A1 (en) * | 2022-12-14 | 2024-06-20 | 덕양산업 주식회사 | Assembly structure of integrated case unit for battery module |
KR20240126237A (en) | 2023-02-13 | 2024-08-2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Pressing force measuring device, pressing force measuring method, and inspection system for pressurization jig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4290B1 (en) * | 2005-10-17 | 2007-04-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Battery pack |
KR20180080813A (en) * | 2017-01-05 | 2018-07-13 |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housing structure for improving cooling performan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KR20180085123A (en) * | 2017-01-17 | 2018-07-26 | 주식회사 피플웍스 | Battery Pack with Function of Temperature Control |
KR20180099437A (en) * | 2017-02-28 | 2018-09-05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Battery fram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KR200492870Y1 (en) * | 2019-07-26 | 2020-12-24 | 염진수 | Vehicle Battery Cover for Preventing Electric Discharge and Insulating |
-
2021
- 2021-02-24 KR KR1020210024921A patent/KR10232563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4290B1 (en) * | 2005-10-17 | 2007-04-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Battery pack |
KR20180080813A (en) * | 2017-01-05 | 2018-07-13 |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housing structure for improving cooling performan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KR20180085123A (en) * | 2017-01-17 | 2018-07-26 | 주식회사 피플웍스 | Battery Pack with Function of Temperature Control |
KR20180099437A (en) * | 2017-02-28 | 2018-09-05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Battery fram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KR200492870Y1 (en) * | 2019-07-26 | 2020-12-24 | 염진수 | Vehicle Battery Cover for Preventing Electric Discharge and Insulating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3321B1 (en) * | 2022-03-07 | 2022-08-19 | 덕양산업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with foldable cover structure |
KR102466707B1 (en) * | 2022-03-23 | 2022-11-17 | 덕양산업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with cover structure in which bus bars are embedded |
WO2024128346A1 (en) * | 2022-12-14 | 2024-06-20 | 덕양산업 주식회사 | Assembly structure of integrated case unit for battery module |
KR20240126237A (en) | 2023-02-13 | 2024-08-2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Pressing force measuring device, pressing force measuring method, and inspection system for pressurization ji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5636B1 (en) | Housing for battery module | |
KR102284452B1 (en) | Battery module with thermal runaway delay structure | |
US11769925B2 (en) | Battery module having initial pressing force reinforcing structure for cell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7943252B2 (en) | Battery module of improved safety an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ame | |
KR102284449B1 (en) | Housing for detachable battery module | |
JP5575761B2 (en) | Medium or large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 |
KR102433361B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JP2020513664A (en) | Battery pack having extended battery module structure | |
JP2021518984A (en)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ntaining the battery modul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 |
US20130189563A1 (en) | Battery module and a method for assembling battery modules | |
KR102307763B1 (en) | Battery module with thermal runaway delay structure | |
US20220247046A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 |
US12183952B2 (en) | Battery pack with enhanced structure for preventing short circuit and shock | |
KR20190106311A (en) | Battery module with short-circuit protection structure | |
EP3770992A1 (en) | Battery module comprising inner plate | |
KR102352625B1 (en) | Battery Pack using battery module with short-circuit protection structure | |
KR20210004187A (en) |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the same | |
US20230253658A1 (en)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power storage device | |
JP7230244B2 (en) | Battery packs, electronic devices and automobiles | |
US20250030099A1 (en) | Logical Cell,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Secondary Pack Including the Same | |
KR20240012281A (en) | Battery pack and cell block included therein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KR20230097896A (en) | Logical cell,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secondary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CN117837006A (en) |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 |
KR20250038571A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KR20250010412A (en) |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4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4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