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380B1 - Battery pack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85380B1 KR100585380B1 KR1020050124803A KR20050124803A KR100585380B1 KR 100585380 B1 KR100585380 B1 KR 100585380B1 KR 1020050124803 A KR1020050124803 A KR 1020050124803A KR 20050124803 A KR20050124803 A KR 20050124803A KR 100585380 B1 KR100585380 B1 KR 1005853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module
- battery cell
- battery pack
- protection circuit
- terminal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단말기(예; 셀룰러폰, PCS폰, PDA, DMB폰 등)에 사용되는 충전용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hargeable battery pack for use in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eg, cellular phone, PCS phone, PDA, DMB phone, etc.).
이 같은 본 발명은, 조립에 의해 부품들이 결합되는 인너형의 배터리 팩을 구성하여, 배터리 팩에 대한 부피를 최소화함은 물론, 부품수를 줄이면서 제조의 용이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대량 생산의 물량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더불어 몰딩이 이루어지는 상부캡에 보호회로모듈만을 인서트 성형하는 한편, 보호회로모듈과 배터리 셀 및 PTC가 별도의 공정에서 스폿용접되도록 하여 몰딩 성형물에 대한 불량 발생시 부품 전체에 대한 교체없이 단품에 대한 교체만으로 불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유지 관리와 교체의 A/S가 용이하면서도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n inner type battery pack in which parts are assembled by assembly, there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battery pack, and enabling ease of manufacture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o cope with the quantity of mass production. In addition, only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s insert-molded in the upper cap in which the molding is made, while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he battery cell, and the PTC are spot welded in a separate process so that a failure of the molding may occur without replacement of the entire part. It provides a battery pack that is easy and easy to maintain and replace after service, such as to solve the problem of defects by only replacing the unit.
인너형 배터리 팩, 보호회로모듈, 배터리 셀, PTC, 단자판, 접속판 Inner battery pack, protection circuit module, battery cell, PTC, terminal board, connection boar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인너형 배터리 팩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ner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인너형 배터리 팩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the inner battery pack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인너형 배터리 팩의 구조를 보인 결합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ner battery pack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배터리 셀 11; 음극단자10;
12; 양극단자 20; 상부캡12;
30; 보호회로모듈 41; 음극 단자판30;
42; 양극단자판 42a,42b; 제 1,2 단자판42; Anode
50; 하부캡 51; 제 1 테이프50;
60; 라벨시트 70; PTC60;
71; 제 2 테이프71; 2nd tape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단말기(예; 셀룰러폰, PCS폰, PDA, DMB폰 등)에 사용되는 충전용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 고 제조가 용이하면서 보호회로모듈에 대한 보호 효과가 우수한 인너형(inner type)의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hargeable battery pack for use in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cellular phone, a PCS phone, a PDA, a DMB phone, etc.), and more particularly, a protective circuit module that can minimize the volume and is easy to manufa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ner type battery pack having an excellent protection effect.
주지된 바와같이,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인너형의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cell)과 보호회로모듈(PCM; Protection Circuit Module)이 결합되는 구조로서 구성된다.As is well known, an inner battery pack used as a power sourc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figured as a structure in which a battery cell and a 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are combined.
상기 배터리 셀은 양극시트와 음극시트로 이루어지는 전극적층유닛이 금속 케이싱내에 수용된 형태이고,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마련된다.The battery cell has a form in which an electrode laminated unit consisting of a positive electrode sheet and a negative electrode sheet is accommodated in a metal casing, and an anode terminal and a cathode terminal ar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sing.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배터리의 폭발 및 과충전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 셀의 외측으로 장착된다.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s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ell to prevent the risk of explosion and overcharge of the battery.
즉, 상기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이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유닛 형태로 포장된 구조이며, 이러한 배터리 팩은 최근 이를 사용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That is, the battery pack has a structure in which a battery cell and a protection circuit module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packaged in a unit form, and such a battery pack has become smaller, thinner, and lighter according to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It is required.
이에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2-334686 호(이하 선행기술 이라함)에는 이러한 배터리 팩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의 선행기술에서의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과, 배터리 셀의 측면에 장착된 보호회로모듈과,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전극단자를 갖추고 있다.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2-33468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iscloses an example of such a battery pack, and the battery pack in the prior art includes a battery cell and a protection circuit mounted on the side of the battery cell. The module has an electrode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battery cell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이때,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전극단자는 몰드성형부에 의하여 배터리 셀과 일체적으로 고정되도록 하였다.At this time,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the electrode terminal is to be fixed integrally with the battery cell by a mold molding portion.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배터리 팩은 보호회로모듈과 전극단자를 수지재의 사출을 통한 몰드성형부를 통해 배터리 셀에 고정하는 방식인 바, 배터리 팩의 제조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수 밖에 없고, 아울러 상기와 같은 제조방식은 몰드성형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용융수지의 유동불량이 생길 경우 몰드성형부에 크랙이나 핀홀이 생성되면서, 몰드성형부의 강도가 약해지는 단점이 있고, 이러한 단점은 곧 외부의 충격에 의해 몰드성형부가 쉽게 파손되면서 보호회로모듈에 대한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However, the battery pack of the prior art is a method of fixing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the electrode terminal to the battery cell through the mold molding through the injection of the resin material, there is a considerable difficulty in the manufacture of the battery pack, and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has the disadvantage of weakening the strength of the mold molding part as cracks or pinholes are generated in the mold molding part when a flow defect of the molten resin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molding the mold molding part. As the mold molding part was easily broken, the protection against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was inevitably had a disadvantage.
또한, 상기의 선행기술은 보호회로모듈과 전극단자를 몰드성형부에 일체화시키는 구조로서, 보호회로모듈와 전극단자 중 어느 하나에서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보호회로모듈과 전극단자가 일체화된 몰드성형부 전체를 교체할 수 밖에 없는 등 그 유지관리와 교체의 A/S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는 못하였다.In addition, the prior ar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the electrode terminal are integrated into the mold molding part, and even if a defect occurs in any one of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the electrode terminal, Maintenance and replacement A / S was not efficient as there was no choice but to replace it.
이에 종래에는 상기 선행기술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배터리 셀의 둘레면을 덮기 위한 케이스를 마련하는 한편, 보호회로모듈와 양극 및 음극 단자판이 상하측 공간부로 인서트되는 보호회로케이스를 구비한 배터리 팩들이 개시되었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 battery pack having a protective circuit case in which a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a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 plates are inserted into upper and lower spaces is provided, while providing a case for cover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It became.
그러나, 상기의 경우에는 배터리 셀의 둘레면을 덮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를 사용하는 관계로 배터리 팩에 대한 전체적인 무게와 크기가 증가될 수 밖에 없고, 아울러 보호회로케이스로 보호회로모듈과 양극 및 음극 단자판을 인서트하는 공정을 실시할 때 그 인서트 불량이 많았으며, 이에따라 배터리 팩에 대한 대량생산의 물량 대응이 어려울 수 밖에 없었다.However, in the above case, due to the use of a separate case to cove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the overall weight and size of the battery pack are inevitably increased, and as a protective circuit case,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 plates are provided. When the insert process was performed, the insert defects were many, and it was difficult to cope with the mass production of the battery pack.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 으로서, 조립에 의해 부품들이 결합되는 배터리 팩을 구성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은 물론, 부품수를 줄이면서 제조의 용이성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대량 생산의 물량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보호회로모듈의 인서트 성형에 따른 몰딩 성형물에 대한 불량 발생시 부품 전체에 대한 교체없이 단품에 대한 교체만으로 불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유지 관리와 교체의 A/S가 용이하면서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터리 팩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to configure the battery pack to which the parts are assembled by assembling to minimize the volume, as well as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volume of mass production, and also to solve the problem of defects by replacing only the parts without replacing the whole parts in case of failure of the moldings due to the insert molding of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attery pack for easy and convenient after-sales service.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며 음극단자와 양극단자가 구비된 배터리 셀;A battery cell that supplies charged power and has a negative terminal and a positive terminal;
상기 배터리 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An upper cap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상기 상부캡에 인서트 성형되는 보호회로모듈;A protective circuit module insert molded into the upper cap;
상기 배터리 셀의 음극 및 양극단자와 보호회로모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음극 및 양극 단자판;A negative electrode and a positive terminal plat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negative and positiv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 and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상기 배터리 셀의 하부에 제 1 테이프를 통해 결합되는 하부캡; 및,A lower cap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through a first tape; And,
상기 상부캡과 하부캡이 결합되는 배터리 셀의 둘레면에 접착 결합되는 라벨시트; 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 label sheet adhesively bonded to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to which the upper cap and the lower cap are couple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configuration.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배터리 셀의 음극단자에는 보호회로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발열제어용의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cient)를 접속 구성하고, 상기 PTC는 음극 단자판을 통해 보호회로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is connected to the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cient) for heating control to protect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the PTC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hrough the negative terminal plate It is done.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음극 단자판과 PTC는 배터리 셀의 상부면에 제 2 테이프를 통해 접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negative terminal plate and the PTC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via a second tape.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양극 단자판은 보호회로모듈에 스폿 용접되는 제 1 단자판과, 배터리 셀의 상부면에 마련된 양극단자에 스폿 용접되는 제 2 단자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 1,2 단자판은 스폿 용접에 의해 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late includes a first terminal plate spot-welded to a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a second terminal plate spot-welded to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by welding.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인너형 배터리 팩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인너형 배터리 팩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인너형 배터리 팩의 구조를 보인 결합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ner battery pack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ner battery pack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mbodiment shows a coupling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ner battery pack.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너형의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10), 상부캡(20), 보호회로모듈(30), 음극 단자판(41), 양극 단자판(42), 하부캡(50), 라벨시트(60), 그리고 PTC(70)를 포함한다.1 to 3, an inner battery pack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배터리 셀(10)은 음극시트와 양극시트로 이루어지는 전극적층유닛이 금속케이싱내에 수용된 형태로서, 상기 음극 및 양극 단자판(41)(42)을 통해 보호회로모듈(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 충전이 이루어지며, 그 전원 충전을 위해 음극단자(11)와 양극단자(12)가 상면에 마련된다.The
상기 상부캡(20)은 별도의 절연시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전기적인 쇼트 (short)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전기적 절연이 가능한 수지재로 사출 성형되는 몰드물로서 그 내부에는 보호회로모듈(30)이 인서트 성형되며,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결합된다.The
상기 보호회로모듈(30)은 배터리 셀(10)을 폭발 및 과충전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회로기판으로, 상기 상부캡(20)의 몰딩 성형시 인서트 성형되며, 상기 음극 및 양극단자판(41)(42)을 통해 배터리 셀(10)과 전기적 접속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음극단자판(41)과 양극단자판(42)은 소정의 탄성을 구비한 니켈 플레이트(Ni-plate)로, 상기 음극단자판(41)은 PTC(70)가 음극단자(11)로 접속시 상기 PTC(70)에 일단이 스폿 용접에 의해 접속되고, 타단이 보호회로모듈(30)에 스폿 용접에 의해 접속 구성되며, 제 2 테이프(71)에 의해 배터리 셀(10)의 상면에 접착 고정된다.The negative
상기 양극단자판(42)은 제 1,2 단자판(42a)(42b)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단자판(42a)은 보호회로모듈(30)에 스폿 용접되고, 상기 제 2 단자판(42b)은 배터리 셀의 상부면에 마련된 양극단자(12)에 스폿 용접되며, 상기 제 1,2 단자판(42a)(42b)은 스폿 용접에 의해 그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e positive
상기 하부캡(50)은 상기 배터리 셀(10)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결합 고정은 제 1 테이프(51)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라벨시트(60)는 상부캡(20)과 하부캡(50)이 배터리 셀(10)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상기 배터리 셀(10)의 둘레면을 감싸는 것으로, 이는 상기 상부캡(20)과 하부캡(50)의 결속력을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캡(20)과 하부캡(50) 및 배터리 셀(10)의 외면 결속을 강화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PTC(70)는 상기 보호회로모듈(30)을 보호하기 위한 발열제어용으로,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소정의 탄성을 가진 음극 단자판(41)을 통해 상기 보호회로모듈(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음극 단자판(41)과 더불어 제 2 테이프(71)를 통해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접착 고정된다.The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배터리 팩에 대한 조립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sembly of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먼저, 수지재로 이루어진 상부캡(20)의 몰드 성형시 그 내부에 보호회로모듈(30)을 인서트 성형한다.First, when molding the
이후, 배터리 셀(10)의 양극단자(12)에는 양극단자판(42)의 제 2 단자판(42b)을 스폿 용접하는 한편, 상기 배터리 셀(10)의 음극단자(11)에는 PTC(70)의 일단을 스폿 용접한 후, 상기 PTC(70)에는 음극단자판(41)의 일단을 스폿 용접하여 둔다.Thereafter, the
이때, 상기 음극단자판(41)과 PTC(70)는 제 2 테이프(71)를 통해 배터리 셀(10)의 상부면에 접착 고정시킨다.In this case, the negative
다음으로, 상기 보호회로모듈(30)의 일단에 양극단자판(42)의 제 1 단자판(42a)을 스폿 용접한 후, 상기 보호회로모듈(30)이 인서트 성형된 상부캡(20)을 배터리 셀(10)의 상부에 위치시킨다.Next, after spot welding the
그리고, 상기 제 1 단자판(42a)은 제 2 단자판(42b)으로 스폿 용접하고, 상 기 음극단자판(41)은 보호회로모듈(30)에 스폿 용접하면,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부에서는 보호회로모듈(30)의 조립이 완료된다.When the first
한편, 상기 배터리 셀(10)의 하부에 제 1 테이프(51)를 이용하여 하부캡(50)을 접착 고정한다.Meanwhile, the
다음으로, 상기 배터리 셀(10)의 둘레면을 라벨시트(60)로 감싸, 상기 라벨시트(60)에 의해 상부캡(20)과 하부캡(50)이 배터리 셀(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Nex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그러면, 상기 음극단자판(41)과 양극단자판(42)에 의해 보호회로모듈(30)과 배터리 셀(10)이 전기적으로 접속됨은 물론, 상기 보호회로모듈(30)은 음극단자판(41)에 의해 PTC(70)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소형화 및 박형화된 인너형의 배터리 팩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The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조립에 의해 부품들이 결합되는 인너형의 배터리 팩 구성을 통해, 배터리 팩에 대한 부피를 최소화함은 물론, 부품수를 줄이면서 제조의 용이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대량 생산의 물량 대응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manufacture of mass production by enabling the ease of manufacturing while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battery pack and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hrough the inner battery pack configuration in which the parts are joined by assembly.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capable of dealing with quantities.
또한, 본 발명은 몰딩이 이루어지는 상부캡에 보호회로모듈만을 인서트 성형하는 한편, 보호회로모듈과 배터리 셀 및 PTC가 별도의 공정에서 스폿용접되도록 하여 몰딩 성형물에 대한 불량 발생시 부품 전체에 대한 교체없이 단품에 대한 교체만으로 불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유지 관리와 교체의 A/S가 용이하 면서도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sert molding only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in the upper cap is molded, while the protection circuit module, the battery cell and the PTC is spot welded in a separate process so that when a failure occurs for the molding molded part without replacement of the whole part Maintenance and replacement A / S can be easily and easily achieved, such as to solve the problem of defects only by replacing th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4803A KR100585380B1 (en) | 2005-12-16 | 2005-12-16 | Battery pa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24803A KR100585380B1 (en) | 2005-12-16 | 2005-12-16 | Battery pa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85380B1 true KR100585380B1 (en) | 2006-05-30 |
Family
ID=3718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2480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5380B1 (en) | 2005-12-16 | 2005-12-16 | Battery pa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8538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1551B1 (en) | 2007-08-17 | 2008-01-07 | 주식회사 퓨처라인 | A protective circuit module, a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a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
US9252416B2 (en) | 2012-12-27 | 2016-02-02 | Hyundai Motor Company | Safety apparatus of battery module for vehic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62499A (en) * | 1999-02-23 | 2000-10-25 | 다카노 야스아키 | pack battery |
KR200372890Y1 (en) * | 2004-10-19 | 2005-01-21 | 최삼용 | Inner or Outer Type Battery Pack for Mobile Phone |
KR20050103521A (en) * | 2004-04-26 | 2005-10-31 |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 Inner battery pack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
2005
- 2005-12-16 KR KR1020050124803A patent/KR10058538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62499A (en) * | 1999-02-23 | 2000-10-25 | 다카노 야스아키 | pack battery |
KR20050103521A (en) * | 2004-04-26 | 2005-10-31 |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 Inner battery pack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KR200372890Y1 (en) * | 2004-10-19 | 2005-01-21 | 최삼용 | Inner or Outer Type Battery Pack for Mobile Phon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1551B1 (en) | 2007-08-17 | 2008-01-07 | 주식회사 퓨처라인 | A protective circuit module, a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a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the protective circuit module |
US9252416B2 (en) | 2012-12-27 | 2016-02-02 | Hyundai Motor Company | Safety apparatus of battery module for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97994B2 (en) | Battery pack | |
CN100435384C (en) | Secondary battery with assembled structure | |
KR100685605B1 (en) | Battery pack | |
JP3714545B2 (en) |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battery pack provided with the same | |
CN1258233C (en) | Batteries and Battery Packs | |
KR20090075396A (en) | Battery pack | |
KR101305248B1 (en) | Secondary Battery Pack | |
KR20130018098A (en) | Secondary battery pack of novel structure | |
JP5036239B2 (en) |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685115B1 (en) | Battery pack | |
KR100585380B1 (en) | Battery pack | |
KR100913695B1 (en) | Battery pack | |
KR100585381B1 (en) | Battery pack | |
KR100919747B1 (en) | Battery pack | |
KR100915545B1 (en) | Battery pack | |
KR100592026B1 (en) | Battery pack | |
KR100585382B1 (en) | Battery pack | |
KR100585379B1 (en) | Battery pack | |
KR200452886Y1 (en) | Battery Pack | |
KR100917227B1 (en) | Battery pack | |
KR100949006B1 (en) | Battery pack | |
KR100782990B1 (en) | Battery pack | |
KR100721829B1 (en) | Battery pack | |
CN102024979B (en) | Method for packing secondary battery and forming device for packing the same | |
KR100721830B1 (en) | Battery p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512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5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5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