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3266B1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three-axis hinge folder and its rotating locking device - Google Patents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three-axis hinge folder and its rotating loc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266B1
KR100703266B1 KR1020040071776A KR20040071776A KR100703266B1 KR 100703266 B1 KR100703266 B1 KR 100703266B1 KR 1020040071776 A KR1020040071776 A KR 1020040071776A KR 20040071776 A KR20040071776 A KR 20040071776A KR 100703266 B1 KR100703266 B1 KR 100703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older
communication device
auxiliary housing
portab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7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87711A (en
Inventor
박준규
배종근
천언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059,31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50192066A1/en
Priority to EP05004114A priority patent/EP1569421A1/en
Priority to CNB2005100528066A priority patent/CN100433567C/en
Publication of KR20050087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7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2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3축 힌지 폴더를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 통신 장치는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 개방부를 구비한 메인 하우징; 폴더; 상기 메인 하우징에서 상기 폴더를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시키는 제1힌지 장치; 상기 제1힌지 장치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폴더를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한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힌지 장치; 및 상기 제1,2힌지 장치에서 연장되고, 상기 개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폴더와 함께 회전하는 보조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Figure 112004040749259-pat00001

휴대 장치, 통신, 카메라 렌즈, 힌지 장치.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three-axis hinge folder. The disclose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a main housing having an opening; folder; A first hinge device which opens and closes the folder about the first hinge axis in the main housing; A second hinge devic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hinge device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folder about a second hinge axis parallel to the first hinge axis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opening; And an auxiliary housing extend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hinge devices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folder about the second hinge axis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opening.

Figure 112004040749259-pat00001

Mobile device, communication, camera lens, hinge device.

Description

3축 힌지 폴더를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회전 락킹 장치{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TRI-HINGE AXIS FOLDER AND ROTATIONAL LOCKING APPARATUS THERE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TRI-HINGE AXIS FOLDER AND ROTATIONAL LOCKING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폴더가 닫힌 휴대 통신 장치를 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upper portio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closed fol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폴더가 닫힌 휴대 통신 장치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closed fol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저면도.4 is a bottom view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폴더가 제1힌지 축을 중심으로완전히 열린 상태의 휴대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폰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folder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lly opened about a first hinge axis, and illustrates a case in a phone mode; FIG.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폴더가 제2힌지 축을 중심으로 90도 정도 열린 상태의 휴대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folder opened about 90 degrees about a second hinge axi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폴더가 제3힌지 축을 중심으로 90도 정도 회전된 상태의 휴대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카메라 렌즈 촬영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 folder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bout 90 degrees about a third hinge axis, and showing a case in a camera lens photographing mode. FIG.

도 8a는 도 7의 일 측면도.8A is a side view of FIG. 7;

도 8b는 도 7의 타 측면도.8B is another side view of FIG. 7;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의 폴더가 닫힌 상태의 단말기 하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of a terminal in which a folder of a rotation locking devic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FIG.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폴더가 제1힌지 축을 중심으로 완전히 열린 상태의 휴대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폰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folder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lly opened about a first hinge axis, and illustrates a case in a phone mode; FIG.

도 11은 도 9의 저면도,11 is a bottom view of FIG. 9;

도 12는 도 9의 평면도,12 is a plan view of FIG. 9;

도 13은 도 12의 A부 확대 평면도로서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의 구성 중 락킹 장치부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3 is an enlarged plan view of portion A of FIG. 12,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unit during configuration of the rotation locking devic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IG.

도 14은 도 12의 A부 확대 평면도로서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의 구성 중 락킹 장치부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1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A of FIG. 12, showing a state after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unit in the rotation locking devic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IG.

도 1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의 구성 중 자동 회전형 힌지 장치에 의해 폴더가 제2힌지 축을 중심으로 90도 정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카메라 렌즈 촬영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FIG.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lder is rotated about 90 degrees about a second hinge axis by an autorotating hinge device in the rotation locking devic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which shows the case of lens shooting mode.

도 16은 도 15의 일 측면도.FIG. 16 is a side view of FIG. 15; FIG.

도 17은 도 15의 타 측면도.17 is another side view of FIG. 15;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디지털 통신 장치, 게임용 통신 장치, 인터넷 통신 장치, 캠코더 기능을 가지는 휴대 장치 등을 포함하는 휴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3축 회전 폴더를 구비하여 다양한 모드에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휴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cellular 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hand-held phones (HHPs), digital communication devices, gaming communication devices, Internet communication devices, portable devices having camcorder functions,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three-axis rotating folder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in various modes.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 통신 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 통신 장치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The term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a conventional concept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and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Such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trending toward miniaturization, slimness, grip, and light weight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are moving toward a multi-mediaization direction to pursue more various functions. In particular, more and mor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will be used for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multifunction, and versatility, and will be modified to adapt to various multimedia environments or the Internet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s an electronic device commonly used anywhere in the world, men and women, and is being recognized as a necessity to carry around at all times.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 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 appearance. For examp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classified into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communication devices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in the bar-type, the flip-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flip is rotatably configured by the hinge device in the bar-type housing, It is meant that the folder in a single bar-shaped housing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nnected and folded by a hinge device.

또한, 휴대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통신 장치는 끈을 이용하여 통신 장치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통신 장치는 통신 장치를 손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classified into a neck wearable type or a wrist wear type according to a body wearing position or a wearing manner. A necklace-type communication device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communication device on a neck using a string, and a wrist-wear 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communication device on a wrist.

또한, 휴대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스윙-형(swing-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스윙-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classified into a swing-type or a sliding-typ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 swing-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rotatably connected and opened while remaining facing each other while the sliding-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eans. The variously classified communication devices listed above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아울러, 종래의 휴대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In addition,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es are being converted into structures capable of communicating high-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hat is, as the needs of consumers increase, the service will be provid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high speed data.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Currently, a camera lens is adopted in a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ssion of video signals and the like is in progress. The universal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s an external or internal camera lens module to perform a video call with a counterpart or photograph a desired subject.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 카메라 렌즈 모듈을 가지는 휴대 통신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camera lens modul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내장형으로 카메라 렌즈 모듈이 본체 하우징에 장착되는 경우, 별도의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부 환경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지지 않음으로서, 카메라 렌즈의 손상이 자주 발생된다. 외장형으로 카메라 렌즈 모듈이 본체 하우징에 장착되는 경우, 분실 위험을 항상 내포하고 있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휴대하지 못하여 사용하는데 불편한 문제가 발생된다.When the camera lens module is mounted in the main body housing in a built-in type, a means for protecting a separate camera lens module from foreign substances in an external environment is not provided, so that damage to the camera lens is frequently caused. When the camera lens module is externally mounted to the main body housing, there is a problem that always includes a risk of loss, and particularly,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it cannot be carried.

또한, 외장형 카메라 렌즈 모듈을 장착한 하우징을 회전시킬 경우 사용자가 직접 회전시키거나,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없고, 또 다시 원위치로 회전시킬 경우 별다른 고정장치가 없어 사용자가 직접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housing equipped with the external camera lens module is rotated, the user cannot directly rotate or fix it in the rotated state, and when it is rotated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there is no fixed device and the user must hold it directly. There was this.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말기에 제공된 내, 외장형 카메라 렌즈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해 직접 수동으로 렌즈 모듈의 잡고 회전시키거나 빼내야 함으로 사용상에 불편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internal and external camera lens provided in the terminal to solve the above problems has a disadvantage in use because the user has to manually hold and rotate or pull out the lens module for us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축 회전 폴더를 구비하여 폰 모드나 카메라 촬영 모드 시에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three-axis rotating folder which is convenient for use in a phone mode or a camera photographing mo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통신 단말기나 캠코더를 겸용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한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convenient to use both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amcord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 렌즈와, 카메라 렌즈 동작 키와, 두 개의 표시 장치와, 두 개의 스피커 장치를 적재 적소에 배치하여 휴대 장치의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한 휴대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a camera lens, a camera lens operation key, two display devices, and two speaker devices are placed in place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of the portable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통신 단말기에 배치된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하우징을 자동으로 회전시켜 카메라 렌즈 모듈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ation lock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camera lens module by automatically rotating a housing according to a pressing of a button unit dispo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통신 단말기에 배치된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하우징을 회전시키거나 걸려 멈추게 하는 락킹 장치부를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렌즈 모듈의 개폐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ing device unit which rotates or stops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button unit dispo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camera lens module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In providing.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개방부를 구비한 메인 하우징;A main housing having an opening;

폴더;folder;

상기 메인 하우징에서 상기 폴더를 제1힌지 축을 중심으로 개폐시키는 제1힌지 장치; A first hinge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older about the first hinge axis in the main housing;

상기 제1힌지 장치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폴더를 상기 제1힌지 축과 평행한 제2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힌지 장치; 및A second hinge devic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hinge device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folder about a second hinge axis parallel to the first hinge axis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opening; And

상기 제1,2힌지 장치에서 연장되고, 상기 개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폴더와 함께 회전하는 보조 하우징으로 구성된다.And an auxiliary housing extend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hinge devices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folder about the second hinge axis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opening.

또한, 본 발명은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개방부, 상기 개방부와 이웃하는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는 제1키 어레이를 구비한 메인 하우징;A main housing having an opening and a first key array having a plurality of keys neighboring the opening;

상기 개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메인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개방수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보조 하우징;An auxiliary housing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housing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opening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pening water;

제1표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하우징에서 제1힌지 축과, 상기 제1힌지 축과 평행하며, 상기 보조 하우징의 회전축을 담당하는 제2힌지 축과, 상기 제1,2축과 각각 수직인 제3힌지 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3축 힌지 폴더; 및A first hinge axis in the main housing, a second hinge axis parallel to the first hinge axis, and responsible for a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housing,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axes, respectively; Three-axis hinge folders rotatably connected about a third hinge axis, respectively; And

상기 보조 하우징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폴더의 상기 제2힌지 축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개폐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로 구성된다.It is mounted to the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is composed of a camera lens module that is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rotation of the second hinge axis of the folder.

또한, 본 발명은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개방부를 구비한 메인 하우징;A main housing having an opening;

상기 개방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그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그의 측면들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보조 하우징;An auxiliary housing rotatably connected at the opening to open or close sides of the auxiliary housing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thereof;

제1힌지 축과, 상기 제1힌지 축과 평행하며, 상기 보조 하우징의 회전축을 담당하는 제2힌지 축과, 상기 제1,2축과 각각 수직인 제3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하우징에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3축 힌지 폴더; 및A first hinge axis, a second hinge axis parallel to the first hinge axis and responsible for a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housing, and a third hinge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axes, respectively, in the main housing; A three-axis hinge folder rotatably connected; And

상기 보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폴더의 상기 제2힌지 축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개폐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로 구성된다.
It is mounted to one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is composed of a camera lens module that opens and clos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hinge axis of the folder.

또한,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개방부를 구비한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에서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힌지 폴더로 구성된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 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main housing having an opening and a hinge folder opened and closed about a first hinge axis in the main housing.

상기 개방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그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그의 측면들이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보조 하우징;An auxiliary housing rotatably connected at the opening to automatically open or close the sides of the auxiliary hous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thereof;

상기 보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 하우징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자동으로 개폐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A camera lens module mount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and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whether the auxiliary housing is rotated;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하게 제2힌지축을 제공하고,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개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폴더와 보조 하우징을 상기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자동 회전형 힌지 장치; 및An auto-rotating hinge device that provides a second hinge axis in parallel with the first hinge axis, and automatically rotates the folder and the auxiliary housing about the second hinge axis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opening by pressing a button part; And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걸림을 해제시켜 상기 폴더와 보조 하우징을 자동으로 회전가능하게 하거나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시 걸려 멈추게 하는 락킹 장치부로 구성된다.
It is composed of a locking device unit for releasing the latch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button unit to automatically rotate the folder and the auxiliary housing, or to stop when it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gai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는 폴더가 3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서 폰 모드 시나 카메라 촬영 모드 시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 장치임에 유의해야 한다. 즉,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의 폰 대기 모드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의 폰 모드이고, 도 7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의 카메라 촬영 모드를 나타낸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device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in the phone mode or the camera photographing mode because the folder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ree axes. That is, FIGS. 1 to 4 are phone standby mod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hone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to 8b are diagram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the camera shooting mode.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는 개방부(106)(도 6에 도시됨)(openings)를 구비한 메인 하우징(10)(main housing)과, 폴더(20)(folder)와, 상기 메인 하우징(10)에서 상기 폴더(20)를 제1힌지 축(A1)(hinge axis)을 중심으로 개폐시키는 제1힌지 장치(40)와, 상기 제1힌지 장치(4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106)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폴더(20)를 상기 제1힌지 축(A1)과 평행한 제2힌지 축(A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힌지 장치(50)와, 상기 제1,2힌지 장치(40,50)에서 연장되고, 상기 개방부(106)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2힌지 축(A2)을 중심으로 상기 폴더(20)와 함께 회전하는 보조 하우징(30)(slave housing)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2힌지 축(A1,A2)은 각각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힌지 축(A2)은 상기 메인 하우징의 양 측면(10c)을 관통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housing 10 having a opening 106 (shown in Fig. 6) and a folder ( 20, a first hinge device 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older 20 in the main housing 10 about a first hinge axis A1, and the first hinge device. A second unit formed integrally with the 40 and rotating the folder 20 about the second hinge axis A1 parallel to the first hinge axis A1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opening part 106; The folder 20 extends from the hinge device 50 and the first and second hinge devices 40 and 50 and is accommodated in the opening part 106 with the folder 20 around the second hinge axis A2. It consists of a slave housing 30 which rotates together. The first and second hinge axes A1 and A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hinge axis A2 penetrates both side surfaces 10c of the main housing.

상기 개방부(106)는 상기 제1,2힌지 장치(40,50) 및 상기 보조 하우징(30)의 회전 동작을 위하여 제공된다. 물론, 상기 제2힌지 장치(50)와 상기 보조 하우징(30)은 상기 개방부(106)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동작이 수행된다. 구체적인 상기 개방부(106)의 구성은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면(10a)(top surface)과 하면(10b)(bottom surface)의 소정 영역을 개방시키고, 상기 메인 하우징(10)의 상부 둘레 부분(102)의 내벽(102a)(inner wall)에 의해 둘러 쌓임으로서, 원할한 회전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The opening 106 is provided for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devices 40 and 50 and the auxiliary housing 30. Of course, the second hinge device 50 and the auxiliary housing 30 are rotated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opening 106. Specific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opening part 106 opens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op surface 10a and the bottom surface 10b of the main housing, and the upper peripheral portion 102 of the main housing 10. By enclosing by inner wall 102a (inner wall), it serves to provide a desired rotational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는 상기 제1힌지 장치(40)와, 상기 제2힌지 장치(50)와, 상기 보조 하우징(5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2힌지 장치(40,50)와 상기 보조 하우징(30)은 함께하며, 상기 폴더(20)는 상기 제2힌지 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2힌지 장치(40,50)와 상기 보조 하우징(30)은 함께 회전한다.In addition,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inge device 40, the second hinge device 50, and the auxiliary housing 50 are integrally formed. Therefore, when the first and second hinge devices 40 and 50 and the auxiliary housing 30 are together, and the folder 20 rotates about the second hinge axis A2, the first and second hinge devices 40 and 50 may be rotated. The two hinge devices 40 and 50 and the auxiliary housing 30 rotate together.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힌지 장치(40)는 상기 폴더(20)가 상기 메인 하우징(10)에서 닫힌 상태이면, 돌출형으로 위치하고, 상기 보조 하우징(30)은 그의 상면(30a)과 하면(30b)이 상기 개방부(106)에 의해 개방되며, 그의 측면들(30c,30d)은 상기 둘레 부분(102)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상기 제2힌지 장치(50)는 상기 개방부(106) 내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first hinge device 40 is protruded when the folder 20 is closed in the main housing 10, and the auxiliary housing 30 is located in the protruding portion thereof. The upper surface 30a and the lower surface 30b are opened by the opening portion 106, and the side surfaces 30c and 30d thereof are closed by the circumferential portion 102. In addition, the second hinge device 50 is held in the opening portion 106.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하우징(10)은 그의 상면(10a)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 어레이(110)와, 상기 제1키 어레이(110)와 이웃하는 마이크 장치(112)를 포함하고, 그의 측면(10c)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키 어레이(118,119,120)와, 상기 제2키 어레이(119)와 이웃하는 조명 장치(122)와, 그의 하면(10b)에 위치하는 배터리 팩((116)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팩(116)은 로킹 노브(114)에 의해 상기 하면(10b)에서 착탈된다. 아울러, 상기 메인 하우징(10)의 상단에는 미도시된 안테나 장치가 내장된다. As shown in FIG. 5, the main housing 10 includes a first key array 110 formed of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on an upper surface 10a thereof, and a microphone device adjacent to the first key array 110. A second key array 118, 119, 120 comprising an array of a plurality of keys on its side 10c, a lighting device 122 adjacent to the second key array 119, and a lower surface thereof ( And a battery pack 116 positioned at 10b. The battery pack 116 is detached from the lower surface 10b by a locking knob 114. In addition, a top end of the main housing 10 The illustrated antenna device is built in.

부가적으로 상기 마이크 장치(112) 양측으로 각각 댐퍼(113)가 설치된다. 상 기 댐퍼(113)는 상기 폴더(20)의 닫힘 동작 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제공된다.In addition, dampers 113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microphone device 112. The damper 113 is provided to mitigate an impact generated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folder 20.

상기 폴더(20)는 그의 상면(20a)이 평탄면(planar surface)으로 구성되고, 그의 하면(20b)에 제1스피커 장치(210)와, 상기 제1스피커 장치(210)와 이웃하는 제1표시 장치(214)(display unit)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폴더(20)는 상기 제1,2힌지 축(A1,A2)과 각각 수직 방향으로 향하는 제3힌지 축(A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폴더(20)는 상기 제1,2,3힌지 축(A1,A2,A3)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3축 힌지 폴더"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폴더(20)는 상기 제3힌지 축(A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져서 그의 상면(20a)이나 하면(20b)이 사용자에 의해 반전될 수 있다. The folder 20 has a top surface 20a of which is formed as a planar surface, and a first speaker device 210 and a first speaker neighboring the first speaker device 210 on its bottom surface 20b. And a display unit 214. At this time, the folder 20 rotates about a third hinge axis A3 fac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axes A1 and A2, respectively. That is, the folder 20 may be referred to as a "three-axis hinge folder" because it is rotatable about the first, second, and three hinge axes A1, A2, and A3, respectively. The folder 2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the third hinge axis A3 so that its upper surface 20a or lower surface 20b can be inverted by the user.

따라서, 도 6에서 상기 폴더(20)를 90도 정도 회전시킨 후의 도 7에 보여진 바와 같이, 상기 폴더(20)가 상기 제3힌지 축(A3)을 중심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카메라 촬영 모드 시에 촬영한 이미지를 상기 제1표시 장치(212)를 주시하면서 촬영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폴더(20)의 제1힌지 축(A1)에 의한 회전량은 0도 내지 150도 정도 사이이고, 상기 폴더(20)의 제2힌지 축(A2)에 의한 회전량은 0도 내지 90도 정도 이고, 상기 폴더(20)의 제3힌지 축(A3)에 의한 회전량은 0도 내지 180도 정도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7 after the folder 20 is rotated about 90 degrees in FIG. 6, when the folder 20 is rotated about the third hinge axis A3, the camera 20 is in the camera photographing mode. The captured image may be captured while watching the first display device 212. For reference, the amount of rotation by the first hinge axis A1 of the folder 20 is between 0 degrees and about 150 degrees, and the amount of rotation by the second hinge axis A2 of the folder 20 is 0 degrees. It is about 90 degrees, and the rotation amount by the 3rd hinge axis A3 of the said folder 20 is about 0 degrees-about 180 degrees.

이 때, 상기 폴더(20)는 상기 제1힌지 축(A1)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개방된 경우에만 간섭받지 않고 상기 제3힌지 축(A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lder 20 may be rotated about the third hinge axis A3 without being interfered only when the folder 20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about the first hinge axis A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힌지 장치(40)와 상기 보조 하우징(30) 사이에는 슬롯(35)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35)은 상기 제1힌지 축(A1)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슬롯(35)은 상기 폴더(20)의 회전량을 구속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특히, 상기 슬롯(20)의 바닥에는 연성 재질의 탄성체(351)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351)는 상기 제1힌지 축(A1)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폴더(20)의 완전한 열림 시에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체(351)는 러버나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1힌지 축(A1) 방향으로 연장된다.As shown in FIG. 1, a slot 35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inge device 40 and the auxiliary housing 30, and the slot 35 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hinge axis A1. Extends. The slot 35 is provided to restrain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folder 20. In particular, an elastic body 351 of a soft material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lot 20. The elastic body 351 is provided to mitigate an impact upon full opening of the folder 20 about the first hinge axis A1. Preferably, the elastic body 351 is made of a rubber or silicon material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A1.

상기 보조 하우징(30)은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부의 둘레부분(102)에 의해 감싸게 배치되어지고, 그의 상면(30a)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스피커 장치들(310)을 더 구비하고, 그의 하면(30b)에 제2표시 장치(312)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2스피커 장치들(310)은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하는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표시 장치(312)는 액정 표시 장치가 바람직하다.The auxiliary housing 30 is disposed to be wrapped by the peripheral portion 102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housing, and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second speaker devices 310 on the upper surface 30a thereof, A second display device 312 is further provided at 30b). The second speaker devices 310 may be configured as a stereo speaker device for providing stereo sound, and the second display device 312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또한, 도 8a,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하우징(30)은 그의 일측면(30c)에 카메라 렌즈(314)를 구비하고, 그의 타측면(30d)에 카메라 렌즈 동작 키(316)가 배치된다.8A and 8B, the auxiliary housing 30 includes a camera lens 314 on one side 30c thereof, and a camera lens operation key 316 on the other side 30d thereof. Is placed.

도 1,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폴더(20)가 상기 메인 하우징(10)에서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카메라 렌즈(314)는 완전히 숨겨지고, 도 6,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렌즈(314)는 완전히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폴더(20)가 상기 제2힌지 축(A2)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회전한 경우, 상기 카메라 렌즈(314)는 개방되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 렌즈(314)가 개방된 경우에 피사체 촬영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folder 20 is closed in the main housing 10 in the same state as in FIGS. 1 and 3, the camera lens 314 is completely hidden and the camera lens in the state shown in FIGS. 6 and 7. 314 is fully open. Therefore, when the folder 2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about the second hinge axis A2, the camera lens 314 is opened. Accordingly, the user may photograph the subject when the camera lens 314 is open.

참고적으로, 상기 제1힌지 축(A1)을 중심으로 상기 폴더(20)가 회전할려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하면(10b)에 위치하는 상기 제2힌지 장치(50)와 상기 보조 하우징의 하면(30b)을 잡고 개폐 동작을 수행하면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제2힌지 축(A2)을 중심으로 상기 보조 하우징의 하면을 잡지 않고, 상기 폴더(20)를 열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되고, 이어서, 상기 폴더(20)를 상기 제3힌지 축(A3)을 중심으로 90도 정도 회전시키면, 도 7과 같은 상태가 된다.For reference, when the folder 20 is to be rotated about the first hinge axis A1, the user may locate the second hinge device 50 and the auxiliary unit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10b of the main housing. Holding the lower surface 30b of the housing and perform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will be in a state as shown in FIG. 5. On the other hand, if the folder 20 is opened without hol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housing around the second hinge axis A2, the same state as in FIG. 6 is obtained. Then, the folder 20 is connected to the third hinge. When it rotates about 90 degrees about the axis A3, it will be in the state like FIG.

또한, 상기 폴더의 상기 제3힌지축에 의해 회전방향이 반대로 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즉, 도 7에는 상기 폴더(20)의 제1표시 장치(212)가 상기 카메라 렌즈(314) 모듈의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도시되었지만, 상기 제1표시 장치(212)가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314)로 향하게 상기 제3힌지 축(A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제1표시 장치(212)가 상기 카메라 렌즈(314) 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 시에 편리하고, 상기 제1표시 장치(212)가 상기 카메라 렌즈(314) 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치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1표시 장치(212)를 주시하면서 자신의 얼굴 들을 촬영하거나, 상대방과의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irection of rotation may be reversed by the third hinge axis of the folder. That is, although the first display device 212 of the folder 20 is shown to 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amera lens 314 module in FIG. 7, the first display device 212 is the camera lens module 314. It should be noted that it can be rotated about the third hinge axis (A3) toward the (). When the first display device 212 is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amera lens 314, it is convenient for photographing a desired subject, and the first display device 212 rotates toward the camera lens 314. In this case, the user may take a picture of his or her face or perform a video call with the other party while watching the first display device 212.

또한,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In addition, hereinafter,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7과 같이,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는 폴더(20)를 3축 힌지축(A1)(A2)(A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9 to 17, the rotation locking devic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the folder 20 about the three-axis hinge axes A1, A2, and A3.

이때, 도 10과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를 폰 모드로 사용할 경우 상기 메인 하우징(10)에서 상기 폴더(20)를 제1힌지 장치(40)의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user uses the terminal in the phone mode, the main body 10 rotates the folder 20 about the first hinge axis A1 of the first hinge device 40.

이때, 상기 폴더(20)의 회전량은 0도 내지 150도 정도 사이이다.At this time, the rotation amount of the folder 20 is between about 0 degrees to about 150 degrees.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단말기를 폰 모드로 사용한다.In this state, the user uses the terminal in phone mode.

여기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를 카메라 촬영 모드로 사용할 경우 상기 메인 하우징(10)의 일측면의 장착홈(1001)에 장착된 버튼부(701)를 누른다.Here, as shown in FIGS. 11 and 12, when the user uses the terminal in the camera photographing mode, the user presses the button part 701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1001 on one side of the main housing 10.

이때, 도 9와 같이,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버튼부(701)를 누름에 따라서 걸림을 해제시켜 상기 폴더(20)와 보조 하우징(300)을 회전가능하게 하거나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시 걸려 멈추게 하는 락킹 장치부(700)가 구성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 the terminal locks the locking device to release the latch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button unit 701 so that the folder 20 and the auxiliary housing 300 can be rotated or stopped when they are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gain. The unit 700 is configured.

이 상태에서, 도 14와 같이, 상기 버튼부(701)을 누르면, 눌린방향으로 상기 버튼부(701)에 제공된 상기 락커부(702)의 한쪽이 단말기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고, 다른쪽을 반대방향인 단말기의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락커부(702)는 시소운동하여 상기 락커부(702)의 다른쪽 부분에 형성된 락돌기(702b)가 상기 보조 하우징(300)의 일측면에 형성된 락커홈(703)에서 이탈되어 걸림이 해제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4, when the button portion 701 is pressed, one of the locker portions 702 provided to the button portion 701 is pushed into the terminal in the pressed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s reversed. Move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locker part 702 is moved by the seesaw so that the lock protrusion 702b formed on the other part of the locker part 702 is separated from the locker groove 703 form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300. Is released.

이때,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상기 락커부(702)의 중심부에는 상기 락커부 (702)를 시소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돌기(702a)가 형성된다.13 and 14, a hinge protrusion 702a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cker part 702 to enable the seeker movement of the locker part 702.

이 상태에서,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상기 버튼부(701)의 하부에 구비된 돔 스위치(900)와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돔 스위치(900)의 접촉신호를 상기 자동 회전형 힌지 장치(600)에 인가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3 and FIG. 14, the contact signal of the dome switch 900 is contacted with the dome switch 90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utton unit 701, and the automatic rotating hinge device 600 is provided. ) Is applied.

이 상태에서, 도 9 및 도 15와 같이, 상기 자동 회전형 힌지 장치(600)는 인가된 신호에 의해 상기 폴더(20)와 보조 하우징(300)을 함께 자동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 하우징(300)의 측면들이 개방된다. 이때, 상기 보조 하우징(300)의 일면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 모듈(800)도 함께 회전하여 외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카메라 렌즈 가 개방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9 and 15, the automatic rotating hinge device 600 automatically rotates the folder 20 and the auxiliary housing 300 together with an applied signal and the auxiliary housing ( The sides of 300 are open. At this time, the camera lens module 800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auxiliary housing 300 is also rotat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camera lens is opened.

도 15와 같이, 상기 폴더(20)와 보조 하우징(300)은 상기 메인 하우징(10)으로부터 0도내지 90도로 회전한다. 상기 폴더(20)와 보조 하우징(300)은 상기 자동 회전형 힌지 장치(600)의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As shown in FIG. 15, the folder 20 and the auxiliary housing 300 rotate from 0 degrees to 90 degrees from the main housing 10. The folder 20 and the auxiliary housing 300 rotate about the second hinge axis A2 of the automatic rotating hinge device 600.

이때, 도 15와 같이, 상기 보조 하우징(300)은 상기 메인 하우징(10)에 구비된 개방부(106)내에서 회전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5, the auxiliary housing 300 rotates in the opening 106 provided in the main housing 10.

이때, 도 9와 같이, 상기 자동 회전형 힌지 장치(600)는 상기 폴더(20)와 보조 하우징(300)을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탄성수단(601), 힌지 더미(602), 구동모터(603), 감속모듈(604), 힌지 샤프트(605) 및 힌지캠(606)등이 순차적으로 힌지암(607)에 구비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 the automatic rotating hinge device 600 includes an elastic means 601, a hinge dummy 602, and a driving motor 603 to automatically rotate the folder 20 and the auxiliary housing 300. ), The reduction module 604, the hinge shaft 605 and the hinge cam 606 is provided in the hinge arm (607) sequentially.

여기서, 상기 돔 스위치(900)의 접촉신호가 상기 구동모터(603)에 인가되고, 상기 구동모터(603)의 회전력을 상기 감속모듈(604)에서 감속하여 힌지 샤프트 (605)를 회전시키고, 상기 힌지 샤프트(605)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힌지캠(606)과 서로 맞물려 유기적으로 회전한다.Here, the contact signal of the dome switch 900 is applied to the drive motor 603,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603 is decelerated in the reduction module 604 to rotate the hinge shaft 605, It rotates organically in engagement with the hinge cam 606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inge shaft 605.

이 상태에서, 도 16 및 도 17과 같이, 사용자는 상기 폴더(20)를 제3힌지축(A3)에 의해 0도 내지 180도 정도로 회전하여 사용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16 and 17, the user rotates the folder 20 by about 0 degrees to 180 degrees by the third hinge axis A3.

이 상태에서, 상기 보조 하우징(300)의 일측면에는 카메라 렌즈 모듈(80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조 하우징(300)이 자동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800)이 개방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면 된다.In this state, since the camera lens module 80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300, the auxiliary housing 300 is automatically rotated and the camera lens module 800 is opened to open the camera. You can shoot the subject through the lens.

여기서,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를 카메라 촬영 모드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폴더(20)와 보조 하우징(300)을 상기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하우징에 가깝게 회전시키면, 상기 보조 하우징(300)의 락커홈(703)이 회전하면서 상기 락커부(702)의 락돌기(702b)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리게 된다.Here, as shown in FIGS. 13 and 14,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terminal in the camera photographing mode, the folder 20 and the auxiliary housing 300 are located close to the main housing around the second hinge axis A2. When rotated, the locker groove 703 of the auxiliary housing 300 is rota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and locked to the lock protrusion 702b of the locker part 702.

이때, 상기 버튼부(701)의 후면에 제공된 코일 스프링(70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락돌기(702b)가 시소운동을 하여 상기 락커홈(703)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폴더(20)와 보조 하우징(300)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At this time, the lock protrusion 702b is inserted into the locker groove 703 by the seesaw movemen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704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button part 701 and the folder 20 and the auxiliary housing. The rotation of the 300 is stopped.

상기 버튼부(701)의 후면에는 상기 버튼부(701)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락커부(702)의 시소운동을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704)이 제공되어 있다.A coil spring 704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utton unit 701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enable the seeker movement of the locker unit 702 as the button unit 701 is pressed.

상기 코일 스프링(704)은 상기 버튼부(701)의 후면에 형성된 탄성지지돌기(701a)에 삽입되어 있다.The coil spring 704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support protrusion 701a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utton part 701.

이때,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800)을 상기 메인 하우징(10)의 개방부(106)내 로 삽입되어 수용된 상태로 유지됨과 아울러 상기 카메라 렌즈가 폐쇄된다.At this time, the camera lens module 800 is inserted into the open portion 106 of the main housing 10 and maintained in the received state, and the camera lens is closed.

상기와 같이, 휴대 통신 장치를 카메라 촬용 모드시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자동으로 폴더와 보조 하우징을 회전시키거나 멈추게 하는 락킹 장치부를 구성함으로써,카메라 렌즈 모듈을 개폐를 용이하게 하고, 이로인해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 모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a lock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rotates or stops the folder and the auxiliary housing in response to pressing the button in the camera shooting mode, thereby facilitating opening and closing the camera lens module, and thus the camera of the terminal. The shooting mode can be improved.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통신 장치는 제1,2,3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3축 힌지 폴더를 구비함으로써, 폰 모드 시나 카메라 촬영 모드 시에 편리하고, 별도의 카메라 렌즈 보호 수단이 필요치 않게 되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는 카메라 렌즈와, 카메라 렌즈 동작 키와, 두 개의 표시 장치와, 두 개의 스피커 장치를 적재 적소에 배치함으로서, 휴 대 장치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게 되었다. 또한,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회전시키거나 걸려 멈추게 하는 락킹 장치부를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렌즈 모듈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 모드시 렌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ree-axis hinge folder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the first, second, and third hinge axes, which is convenient in the phone mode or the camera shooting mode, and provides a separate camera. There is no need for lens protection. In addition,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portable device by disposing a camera lens, a camera lens operation key, two display devices, and two speaker devices in place.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locking device to rotate or to stop by pressing the button por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mera lens modu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 of the lens in the camera shooting mod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0)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개방부를 구비한 메인 하우징;A main housing having an opening; 폴더;folder; 상기 메인 하우징에서 상기 폴더를 제1힌지 축을 중심으로 개폐시키는 제1힌지 장치; A first hinge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older about the first hinge axis in the main housing; 상기 제1힌지 장치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폴더를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한 제2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힌지 장치; 및A second hinge devic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hinge device and configured to rotate the folder about a second hinge axis parallel to the first hinge axis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opening; And 상기 제1,2힌지 장치에서 연장되고, 상기 개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2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기 폴더와 함께 회전하는 보조 하우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And an auxiliary housing extend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hinge devices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folder about the second hinge axis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다수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 어레이와, 상기 제1키 어레이와 이웃하는 마이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폴더는 그의 하면에 배치된 제1표시 장치와, 상기 제1표시 장치와 이웃하는 제1스피커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ain housing includes a first key array formed of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microphone device adjacent to the first key array, wherein the folder is arranged on a first surface thereof And a first speaker device adjacent to the first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는 상기 제1,2힌지 축과 각각 수직 방향으로 향하는 제3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의 상면이나 하면이 반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lder is rotated about a third hinge axis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axes, respectively,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re rever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 장치와 상기 보조 하우징 사이에는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은 상기 제1힌지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a slo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inge device and the auxiliary housing, and the slot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hinge axi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폴더의 회전을 제한하며, 상기 슬롯의 바닥에는 탄성체가 더 구비되어지고, 상기 탄성체는 연성 재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4, wherein the slot restricts rotation of the folder, and an elastic body is further provided at a bottom of the slot, and the elastic body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하우징은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부 둘레에 의해 감싸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housing is disposed to surround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main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스피커 장치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스피커 장치들은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housing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second speaker devices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he second speaker devices providing stereo s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하우징의 그의 하면에 제2표시 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display device on a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하우징의 일측면에 카메라 렌즈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하우징의 타측면에 카메라 렌즈 동작 키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mera lens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and a camera lens operation key on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가 상기 메인 하우징에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카메라 렌즈는 숨겨지고, 상기 폴더가 상기 제2힌지 축을 중심으로 90도로 회전한 경우, 상기 카메라 렌즈는 개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camera lens of claim 9, wherein the camera lens is hidden when the folder is closed to the main housing, and the camera lens is opened when the folder is rotated 90 degrees about the second hinge axi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가 상기 메인 하우징에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제1힌지 장치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면에서 돌출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2힌지 장치는 상기 개방부 내에 수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folder is closed to the main housing, the first hinge device is locat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the second hinge device is accommodated in the opening por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가 상기 제2힌지 축을 중심으로 90도 이상으로 회전한 경우에만 상기 폴더는 제3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lder rotates about a third hinge axis only when the folder is rotated by 90 degrees or more about the second hinge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보조 하우징의 회전동작을 위하여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part is provided for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auxiliary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의 측면들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들로 구성된 제2키 어레이와, 상기 키들과 이웃하는 조명 장치가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a second key array comprising at least one key and a lighting device adjacent to the keys are disposed on side surfaces of the main housing.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개방부, 상기 개방부와 이웃하는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는 제1키 어레이를 구 비한 메인 하우징;A main housing having an opening and a first key array having a plurality of keys adjacent to the opening; 상기 개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메인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개방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보조 하우징;An auxiliary housing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housing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opening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opening; 제1표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하우징에서 제1힌지 축과, 상기 제1힌지 축과 평행하며, 상기 보조 하우징의 회전축을 담당하는 제2힌지 축과, 상기 제1,2축과 각각 수직인 제3힌지 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3축 힌지 폴더; 및A first hinge axis in the main housing, a second hinge axis parallel to the first hinge axis, and responsible for a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housing,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axes, respectively; Three-axis hinge folders rotatably connected about a third hinge axis, respectively; And 상기 보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폴더의 상기 제2힌지 축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개폐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And a camera lens module mount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the camera lens module being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hinge shaft of the fold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 장치와 이웃하게 제1스피커 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 first speaker device adjacent to the first display devi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하우징은 제2스피커 장치와, 제2표시 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표시 장치는 그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스피커 장치는 그의 하면에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5, wherein the auxiliary housing further comprises a second speaker device and a second display device, the second display device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second speaker device is dispos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 축은 상기 메인 하우징의 양 측면을 관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15, wherein the second hinge shaft penetrates both sides of the main housing.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하우징의 타측면에는 카메라 렌즈 동작 키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15, wherein a camera lens operation key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개방부를 구비한 메인 하우징;A main housing having an opening; 상기 개방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그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그의 측면들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보조 하우징;An auxiliary housing rotatably connected at the opening to open or close sides of the auxiliary housing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thereof; 제1힌지 축과, 상기 제1힌지 축과 평행하며, 상기 보조 하우징의 회전축을 담당하는 제2힌지 축과, 상기 제1,2축과 각각 수직인 제3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하우징에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3축 힌지 폴더; 및A first hinge axis, a second hinge axis parallel to the first hinge axis and responsible for a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housing, and a third hinge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axes, respectively, in the main housing; A three-axis hinge folder rotatably connected; And 상기 보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폴더의 상기 제2힌지 축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개폐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And a camera lens module mount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the camera lens module being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hinge shaft of the folder. 개방부를 구비한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에서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힌지 폴더로 구성된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main housing having an opening and a hinge folder opened and closed about a first hinge axis in the main housing. 상기 개방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그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그의 측면들이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보조 하우징;An auxiliary housing rotatably connected at the opening to automatically open or close the sides of the auxiliary hous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thereof; 상기 보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 하우징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자동으로 개폐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A camera lens module mount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and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whether the auxiliary housing is rotated;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하게 제2힌지축을 제공하고,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개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폴더와 보조 하우징을 상기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자동 회전형 힌지 장치; 및An auto-rotating hinge device that provides a second hinge axis in parallel with the first hinge axis, and automatically rotates the folder and the auxiliary housing about the second hinge axis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opening by pressing a button part; And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걸림을 해제시켜 상기 폴더와 보조 하우징을 자동으로 회전가능하게 하거나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시 걸려 멈추게 하는 락킹 장치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And a locking device unit for releasing the latch by pressing the button unit to automatically rotate the folder and the auxiliary housing or to stop the lock when it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회전형 힌지 장치는 상기 폴더와 보조 하우징을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탄성수단, 힌지더미, 구동모터, 감속모듈, 힌지 샤프트 및 힌지캠등을 순차적으로 힌지암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22. The hinge arm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the auto-rotating hinge device includes an elastic means, a hinge pile, a driving motor, a reduction module, a hinge shaft, and a hinge cam in order to automatically rotate the folder and the auxiliary housing. Rotation locking device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의 회전각도는 0도 내지 90도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The rotation locking device of claim 21, wherein the rotation angle of the folder rotates from 0 degrees to 90 degrees.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장치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버튼부와,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locking device un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housing button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버튼부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버튼부를 누르면 시소운동을 하는 락커부와,A locker part formed on the button part and performing a seesaw movement when the button part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상기 보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락커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어 상기 락커부의 시소운동에 따라서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락커홈과,A locker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and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er part to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locker part according to a seesaw motion; 상기 버튼부의 후면에 제공되어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락커부의 시소운동을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And a resilient mean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button unit and configur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enable the seesaw movement of the locker unit as the button unit is pressed.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부에는 상기 락커부를 시소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돌기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25. The rotation locking device of claim 24, wherein a hinge protrusion is further formed at the locker to enable a seesaw of the locker.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부의 일단에는 상기 락커홈에서 착탈되는 락돌기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25. The rotary locking device of claim 24, wherein a lock protrusion detachable from the locker groove is further formed at one end of the locker unit.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자동버튼부의 후면에 형성된 탄성지지돌기와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25. The rotation locking device of claim 24, wherein the elastic means comprises a coil spring coupled to an elastic support protrusion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automatic button unit.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고,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button portion is mounted to the mount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housing, 상기 버튼부의 하부에는 상기 폴더와 보조 하우징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전기적 신호를 자동 회전형 힌지 장치에 인가하는 접속수단이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And a connecting means for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an autorotating hinge device to automatically rotate the folder and the auxiliary housing under the button unit.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돔 스위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29. The rotation locking device of claim 28,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comprises a dome switch.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개방부를 구비한 메인 하우징; A main housing having an opening; 상기 개방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그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그의 측면들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보조 하우징;An auxiliary housing rotatably connected at the opening to open or close sides of the auxiliary housing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thereof; 상기 제1힌지축과, 상기 제 1 힌지 축과 평행하며, 상기 보조 하우징의 회전축을 담당하는 제2힌지축과, 상기 제1, 2 축과 각각 수직인 제 3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하우징에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3축 힌지 폴더;In the main housing around the first hinge axis, a second hinge axis parallel to the first hinge axis, and responsible for the rotation axis of the auxiliary housing, and a third hinge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axes, respectively. 3-axis hinge folders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보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 하우징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개폐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 및A camera lens module mount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housing and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whether the auxiliary housing is rotated; And 버튼부를 제공하고,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걸림을 해제시켜 상기 폴더와 보조 하우징을 회전가능하게 하거나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시 걸려 멈추게 하는 락킹 장치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And a locking device unit which provides a button unit and releases the lock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button unit so as to enable the folder and the auxiliary housing to rotate or to be stopped when rota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again.
KR1020040071776A 2004-02-26 2004-09-08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three-axis hinge folder and its rotating locking device KR1007032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59,317 US20050192066A1 (en) 2004-02-26 2005-02-17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triple-axis hinge folder and rotation locking device thereof
EP05004114A EP1569421A1 (en) 2004-02-26 2005-02-25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triple-axis hinge folder and rotation locking device thereof
CNB2005100528066A CN100433567C (en) 2004-02-26 2005-02-28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triple-axis hinge folder and rotation locking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3017 2004-02-26
KR1020040013017 2004-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711A KR20050087711A (en) 2005-08-31
KR100703266B1 true KR100703266B1 (en) 2007-04-03

Family

ID=3727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776A KR100703266B1 (en) 2004-02-26 2004-09-08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three-axis hinge folder and its rotating loc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26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60096A1 (en) * 2020-05-12 2021-11-18 Asustek Computer Inc.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540B1 (en) * 2006-12-22 201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pho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987A (en) * 1997-12-11 1999-07-05 윤종용 Flip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9990048986A (en) * 1997-12-11 1999-07-05 윤종용 Flip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987A (en) * 1997-12-11 1999-07-05 윤종용 Flip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9990048986A (en) * 1997-12-11 1999-07-05 윤종용 Flip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48987, 1019994898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60096A1 (en) * 2020-05-12 2021-11-18 Asustek Computer Inc. Electronic device
US12063320B2 (en) * 2020-05-12 2024-08-13 Asustek Computer Inc.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711A (en) 200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8867B2 (en)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rotating camera lens housing
CN100488210C (en) Bi-directional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532334B1 (en) Sliding/fol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EP1610530B1 (en)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KR100630139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biaxial hinge device
US8032192B2 (en)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swing-type cradling apparatus thereof
EP1501261A2 (en) Dual-speaker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KR100842530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842626B1 (en) Locking device for sliding swing type mobile terminal
EP1569421A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triple-axis hinge folder and rotation locking device thereof
KR100790156B1 (en) Camera Door Opener in Mobile Terminal
JP4199576B2 (en) Foldable mobile terminal
KR100617817B1 (en) Camera Door Opener in Mobile Terminal
KR100703266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three-axis hinge folder and its rotating locking device
KR100703509B1 (en) Sliding handheld mobile game console
JP4187068B2 (en) Foldable mobile terminal
KR100689472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100866944B1 (en) Pop-up type camera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100663501B1 (en) Portable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678240B1 (en) Hing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KR100487600B1 (en) Mobile phone having rotary camera
KR100790089B1 (en) Portable terminal with stopper device
KR20050103348A (en) Pop up apparatus of camera lens module for mobile phone
KR100531936B1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KR200364949Y1 (e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