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944B1 - Pop-up type camera device for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p-up type camera device for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6944B1 KR100866944B1 KR1020070082640A KR20070082640A KR100866944B1 KR 100866944 B1 KR100866944 B1 KR 100866944B1 KR 1020070082640 A KR1020070082640 A KR 1020070082640A KR 20070082640 A KR20070082640 A KR 20070082640A KR 100866944 B1 KR100866944 B1 KR 1008669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r
- cam
- pop
- camera device
- operation ke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사용시에는 돌출되고 비사용시에는 은폐되도록 하여 비사용시 이물질이나 외부의 물리적인 영향으로부터 렌즈가 보호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p-up type camera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nd in particular, the camera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is protruded when used by a simple operation and concealed when not used so that the lens can be protected from foreign substances or external physical influences when not in u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p-up type camera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부에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며, 외주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공이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공에 삽입되는 작동키로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키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수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op-up type camera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A slid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mounted to a camera module, and having a slide hol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first spring disposed below the slider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slider; Comprising an operation key is inserted into the slide hole of the slider, the operation ke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the sli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groove for receiving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사용시에는 돌출되고 비사용시에는 은폐되도록 하여 비사용시 이물질이나 외부의 물리적인 영향으로부터 렌즈가 보호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p-up type camera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nd in particular, the camera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is protruded when used by a simple operation and concealed when not used so that the lens can be protected from foreign substances or external physical influences when not in u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p-up type camera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최근에 개발되어 출시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송수신과 인터넷 접속뿐 아니라, 영상을 촬영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영상 촬영 및 송수신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그와 같은 영상촬영을 위하여 카메라가 단말기 자체에 구비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in particular, a portable terminal recently developed and released, as well as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Internet, has a video recording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capable of recording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s, and A camera is provided in the terminal itself for taking the same image.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in which a camera is installed are illustrated in FIGS. 7 and 8, which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다수개의 버튼들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 피시비가 내장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2)와, 그 단말기 본체(2)에 힌지결합되어 단말기 본체(2)에 대하여 개,폐되며 상대방 을 화상으로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3a)가 내,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폴더(3)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main body 2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PCB mounted thereon with various components therein, and hinged to the terminal main body 2. The display unit 3a, which is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 and which can view the other party as an image, includes a
그리고, 상기 단말기 본체(1)와 폴더(3)의 사이에는 힌지부(4)가 구비되어 있고, 그 힌지부(4)의 일측에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5)이 설치되어 있다.A hinge portion 4 is provided between the terminal body 1 and the
상기 카메라 모듈(5)은 상기 힌지부(4)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몸체부(6)와, 그 몸체부(6)에 설치되는 렌즈(7)와, 상기 몸체부(6)의 외측단부에 설치되어 촬영시 상기 몸체부(6)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8) 및 그 손잡이부(8)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본체(2)에 결합되는 본체결합부(9)로 이루어져 있다.The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음성 송수신을 할 때는 단말기 본체(2)에 덮어있는 폴더(3)를 열고 버튼을 눌러서 상대방과 통화를 하고,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때는 폴더(3)를 열고 얼굴 측면에 단말기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통화를 하게된다.When a user transmits / receives a voice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camera as described above, the user opens a
한편, 사용자가 화상송수신을 할 때는 단말기 본체(에 설치된 버튼(1)들을 조작하여 화상 송수신을 위한 메뉴선택을 한 다음, 카메라 모듈(5)의 손잡이부(8)를 잡고 촬영에 적합한 위치로 회전시켜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거나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상대방에게 송신하고, 상대방에게서 수신되는 영상은 디스플레이부(3a)로 확인하면서 상대방과 대화를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transmits and receives the image, the user operates the buttons (1) installed in the terminal main body to select a menu for im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hen grabs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5)이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서 렌즈(7)에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고, 외부의 물리적인 영향에 의하여 렌즈(7)에 긁힘이 발생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since th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카메라 모듈을 사용할때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돌출시키고, 비사용시에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은폐되도록 하여 비사용시 이물질이나 외부의 물리적인 영향에 의하여 렌즈가 보호되도록 하는데 적합한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camera module is protruded by a simple operation when using, and when not in use to be concealed by a simple operation to protect the lens by foreign matter or external physical effects when not in us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p-up type camera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부에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며, 외주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공이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공에 삽입되는 작동키로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키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수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op-up type camera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ousing; A slid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mounted to a camera module, and having a slide hol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first spring disposed below the slider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slider; Comprising an operation key is inserted into the slide hole of the slider, the operation ke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the sli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groove for receiving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상기 걸림홈은 상기 슬라이드공에 형성된다.The locking groove is formed in the slide hole.
상기 슬라이더를 상하면을 관통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작동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슬라이더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장착된다.The slider further includes a rotating shaft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wherein the camera module is mounted at an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and at least one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operation key is mounted eccentrically at the center of the slider.
상기 슬라이더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고정 장착되며, 저면 에 제1캠면이 형성된 회전캠과; 상기 슬라이더 내부에 수용되고, 상면에 상기 제1캠면에 접하는 제2캠면이 형성된 직선캠과; 상기 직선캠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제3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직선캠은 직선운동을 한다.A rotating cam accommodated in the slider and fixedly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having a first cam surface formed on a bottom thereof; A straight cam accommodated inside the slider and having a second cam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cam surfac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It further comprises a third spring to add an elastic force to the linear cam, the linear cam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cam makes a linear movement.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작동키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제2스프링이 장착된다.The housing is equipped with a second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operation ke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op-up camera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카메라 모듈의 사용시에는 카메라 모듈을 외부로 돌출시켜서 사용하고, 비사용시에는 카메라 모듈을 내부로 삽입시켜서 보호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이물질이나 외부의 물리적인 영향에 의해 보호되게 되어 항상 고품질의 영상촬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camera module is used, the camera module is protruded to the outside, and when the camera module is not used, it is protected by inserting the camera module inside, so that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is protected by foreign matter or external physical influences, so it always provides high quality images. The effect is that you can shoot.
또한, 상기와 같은 카메라 모듈의 입출동작이 간단한 조작에 의해 원터치식으로 간편하게 행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effective to ensure convenience in use by allowing the above-described camera module to be easily input / output by a simpl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슬라이더를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방향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타방향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 라장치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lider is cut in Figure 1, Figure 3 is a part of the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ructural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direction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80)용 팝업형 카메라장치는, 하우징(10)과, 슬라이더(20)와, 제1스프링(25)과, 작동키(30)와, 회전축(40)과, 회전캠(50)과, 직선캠(60)과, 제2스프링(35) 및 제3스프링(65)으로 이루어진다.1 to 5, the pop-up type camera device for the
상기 하우징(10)은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들을 모두 내장하는 케이스와 같은 것으로서,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두 개로 나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어 직선운동을 하는 것으로서, 상부에는 카메라 모듈(70)이 배치된다.The
상기 하우징(10)에는 외주면의 길이방향 즉 상기 슬라이더(20)의 직선운동방향으로 두개의 긴 슬라이드공(21)이 형성되어 있다.Two
상기 제1스프링(25)은 상기 슬라이더(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20)에 상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가한다.The
상기 작동키(30)는 상기 슬라이더(20)에 형성된 두 개의 상기 슬라이드공(21)을 관통하여 삽입 장착된다.The
즉, 상기 작동키(30)는 상기 슬라이더(2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That is, the
상기 작동키(30)에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20)에는 상기 걸림돌기(32)가 삽입 수용되는 걸림홈(22)이 형성되어 있다.A
이때, 상기 걸림홈(22)은 상기 슬라이드공(21)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상기 걸림돌기(32)는 상기 작동키(30)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슬라이드공(21)의 짧은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22)은 상기 슬라이드공(21)의 짧은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32)가 삽입되도록 한다.The
따라서, 상기 작동키(30)의 걸림돌기(32)가 상기 걸림홈(2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더(20)는 이동하지 않게 되지만, 상기 걸림돌기(32)가 걸림홈(22)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제1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0)는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the
그리고, 상기 작동키(30)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버튼(34)이 장착되어 있다.And, one end of the
상기 작동키(30)에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과 작동키(30) 사이에는 상기 제2스프링(35)이 배치되어 있다.The
상기 회전축(40)은 상기 슬라이더(2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장착된다.The rotating
상기 회전축(40)의 상단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70)이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20)의 상부에 상기 카메라 모듈(70)이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70)과 함께 회전한다.The
상기 회전축(40)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더(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회전캠(50)이 고정 장착되어 있어, 상기 회전캠(50)은 상기 회전축(40)과 함께 회전 하게 된다.The
상기 회전캠(50)의 저면에는 다수의 변곡부를 갖는 제1캠면(52)이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회전캠(50)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더(20) 내부에 수용되는 직선캠(60)이 배치된다.The lower side of the
상기 직선캠(60)은 상면에는 상기 제1캠면(52)에 접하는 다수의 변곡부를 갖는 제2캠면(62)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직선캠(6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6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20)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63)가 삽입되어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홈(23)이 상기 직선캠(60)의 운동방향에 대하여 길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직선캠(60)의 외주면에 가이드홈(23)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20)의 내주면에 가이드돌기(63)를 형성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그리고, 상기 직선캠(60)의 하부에는 제3스프링(65)이 배치되어, 상기 직선캠(60)에 상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가하고 있다.In addition, a
따라서, 상기 회전축(40)과 회전캠(50)이 회전할 경우, 상기 직선캠(60)은 상기 제1캠면(52)과 제2캠면(62)의 접촉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0)의 내부에서 직선운동을 한다.Therefore, when the
이때 상기 가이드홈(23)과 가이드돌기(63)에 의해 상기 직선캠(60)은 회전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제3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직선캠(60)은 상기 회전캠(50)에 항상 접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회전축(40)과 작동키(30)는 상호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40)과 작동키(30)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슬라이더(20)의 중심이 아닌 편심된 상태로 장착되도록 한다.Meanwhile, in order not to caus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0)은 상기 슬라이더(20)의 중심을 관통하고 있고, 상기 작동키(30)는 상기 슬라이더(20)의 중심이 아닌 편심된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더(20)를 관통하도록 하였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물론, 상기 작동키(30)는 상기 슬라이더(20)에 형성된 슬라이드공(21)을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공(21)이 상기 슬라이더(20)의 중심에서 약간 치우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Of course, since the
이하,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이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the above configuration looks at the operation process.
사용자가 휴대단말기(80)에 내장된 카메라장치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작동키(30)의 일단에 장착된 버튼(34)을 누른다.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camera device embedded in the
상기 버튼(34)이 눌려지면 상기 작동키(30)는 상기 제2스프링(35)을 압축시키면 이동하고, 이때 상기 작동키(30)에 형성된 상기 걸림돌기(32)는 상기 슬라이더(20)에 형성된 걸림홈(22)으로부터 분리된다.When the
그러면, 압축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제1스프링(2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0) 및 회전축(40)은 함께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Then, the
이때, 상기 회전축(40)은 상기 슬라이더(2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운동 을 하되, 직선운동은 함께하도록 장착된다.At this time, the
이는 E-링 등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40)을 상기 슬라이더(2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면 충분하다.This is sufficient if the
상기 회전축(40)이 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40)의 상단에 장착된 상기 카메라 모듈(7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카메라장치를 이용하여 사진 등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As the
한편, 상기 카메라 모듈(70)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모듈(70)의 잡고 회전시키면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nts to adjust the angle of the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7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40)과 회전캠(50)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캠(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캠(50)의 제1캠면(52)과 면접촉하고 있는 상기 제2캠면(62)이 형성된 상기 직선캠(60)은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직선캠(60)은 상기 가이드돌기(63)와 가이드홈(23)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되어 있는바, 상기 회전캠(5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게 된다.The
이때, 상기 제1캠면(52)과 제2캠면(62)에는 각각 다수의 변곡부가 형성되어 있는바,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 모듈(70)의 각도 조절에 따른 클릭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카메라 모듈(70)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카메라 모듈(70)의 휴대단말기(80)에 내장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모듈(70)을 하방향으로 누른다.When the user wants to be built in the
상기 카메라 모듈(70)이 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20) 및 회전축(40)은 모두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슬라이더(20)에 형성된 걸림홈(22)에 상기 제2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조작키의 걸림돌기(32)가 삽입됨으로서 상기 슬라이더(20)는 고정되게 된다.As the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op-up type camera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amera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슬라이더를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lider is cut in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구조도,3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away,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일방향 분리사시도,Figure 4 is a one-way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타방향 분리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direction of the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종래의 카메라장치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camera device;
도 8은 도 7의 카메라장치를 확대한 확대도,8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view of the camera device of FIG. 7;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하우징, 20 : 슬라이더, 21 : 슬라이드공, 22 : 걸림홈, 23 : 가이드홈, 25 : 제1스프링, 30 : 작동키, 32 : 걸림돌기, 34 : 버튼, 35 : 제2스프링, 40 : 회전축, 50 : 회전캠, 52 : 제1캠면, 60 : 직선캠, 62 : 제2캠면, 63 : 가이드돌기, 65 : 제3스프링, 70 : 카메라 모듈, 80 : 휴대단말기.10: housing, 20: slider, 21: slide ball, 22: locking groove, 23: guide groove, 25: first spring, 30: operation key, 32: locking projection, 34: button, 35: second spring, 40 : Rotating shaft, 50: rotating cam, 52: first cam surface, 60: straight cam, 62: second cam surface, 63: guide protrusion, 65: third spring, 70: camera module, 80: mobile terminal.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2640A KR100866944B1 (en) | 2007-08-17 | 2007-08-17 | Pop-up type camera device for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2640A KR100866944B1 (en) | 2007-08-17 | 2007-08-17 | Pop-up type camera device for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66944B1 true KR100866944B1 (en) | 2008-11-05 |
Family
ID=40283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2640A KR100866944B1 (en) | 2007-08-17 | 2007-08-17 | Pop-up type camera device for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694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9211A (en) * | 2009-08-19 | 2011-02-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p-up device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CN110138923A (en) * | 2018-02-09 | 2019-08-16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Mobile termina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3348A (en) * | 2004-04-26 | 2005-10-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p up apparatus of camera lens module for mobile phone |
KR20050117207A (en) * | 2004-06-10 | 2005-12-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Camera lens module pop up apparatus for mobile phone |
-
2007
- 2007-08-17 KR KR1020070082640A patent/KR10086694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3348A (en) * | 2004-04-26 | 2005-10-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p up apparatus of camera lens module for mobile phone |
KR20050117207A (en) * | 2004-06-10 | 2005-12-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Camera lens module pop up apparatus for mobile phon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9211A (en) * | 2009-08-19 | 2011-02-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p-up device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KR101635205B1 (en) | 2009-08-19 | 2016-06-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Pop up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CN110138923A (en) * | 2018-02-09 | 2019-08-16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Mobile termin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8215B1 (en) | Mobile terminal and its sliding mounting device | |
KR100575947B1 (en) | Sliding swing device for portable device | |
KR100713479B1 (en) | Mobile terminal and its sliding / swing-mounted device | |
EP1684491A2 (en) |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 |
US9237212B2 (en) | Locking device for sliding/swing type mobile terminal | |
KR100556849B1 (en) | Camera module connection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KR100548339B1 (en) | Camera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KR100526555B1 (en) |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KR100824358B1 (en) | Pop-up type camera device for mobile terminal | |
KR100595640B1 (en) | Folder dual rotation switchgear of portable terminal | |
EP1484921B1 (en) | Camera lens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 |
JP4199576B2 (en) | Foldable mobile terminal | |
KR100866944B1 (en) | Pop-up type camera device for mobile terminal | |
KR100645159B1 (en) | Sliding Phone with Rotating Camera | |
KR100689532B1 (en) | Biaxial Hinge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JP4187068B2 (en) | Foldable mobile terminal | |
KR100703512B1 (en) | Camera lens assembly in portable terminal | |
KR100810329B1 (en) | Camera lens module popup device of mobile terminal | |
KR100678240B1 (en) | Hing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 |
KR100689537B1 (en) | Hing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 |
KR100703266B1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three-axis hinge folder and its rotating locking device | |
KR100487600B1 (en) | Mobile phone having rotary camera | |
KR100754595B1 (en) | Hing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 |
KR200306381Y1 (en) | Hinge module for portable radiotelephone | |
KR100447628B1 (en) | Mobile phone having camer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