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266B1 - 3축 힌지 폴더를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회전락킹 장치 - Google Patents
3축 힌지 폴더를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회전락킹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3266B1 KR100703266B1 KR1020040071776A KR20040071776A KR100703266B1 KR 100703266 B1 KR100703266 B1 KR 100703266B1 KR 1020040071776 A KR1020040071776 A KR 1020040071776A KR 20040071776 A KR20040071776 A KR 20040071776A KR 100703266 B1 KR100703266 B1 KR 1007032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folder
- communication device
- auxiliary housing
- portable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0)
-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개방부를 구비한 메인 하우징;폴더;상기 메인 하우징에서 상기 폴더를 제1힌지 축을 중심으로 개폐시키는 제1힌지 장치;상기 제1힌지 장치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폴더를 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한 제2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힌지 장치; 및상기 제1,2힌지 장치에서 연장되고, 상기 개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2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기 폴더와 함께 회전하는 보조 하우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다수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 어레이와, 상기 제1키 어레이와 이웃하는 마이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폴더는 그의 하면에 배치된 제1표시 장치와, 상기 제1표시 장치와 이웃하는 제1스피커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는 상기 제1,2힌지 축과 각각 수직 방향으로 향하는 제3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의 상면이나 하면이 반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 장치와 상기 보조 하우징 사이에는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은 상기 제1힌지 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폴더의 회전을 제한하며, 상기 슬롯의 바닥에는 탄성체가 더 구비되어지고, 상기 탄성체는 연성 재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하우징은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부 둘레에 의해 감싸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스피커 장치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스피커 장치들은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하우징의 그의 하면에 제2표시 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하우징의 일측면에 카메라 렌즈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하우징의 타측면에 카메라 렌즈 동작 키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가 상기 메인 하우징에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카메라 렌즈는 숨겨지고, 상기 폴더가 상기 제2힌지 축을 중심으로 90도로 회전한 경우, 상기 카메라 렌즈는 개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가 상기 메인 하우징에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제1힌지 장치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면에서 돌출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2힌지 장치는 상기 개방부 내에 수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가 상기 제2힌지 축을 중심으로 90도 이상으로 회전한 경우에만 상기 폴더는 제3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보조 하우징의 회전동작을 위하여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의 측면들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들로 구성된 제2키 어레이와, 상기 키들과 이웃하는 조명 장치가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개방부, 상기 개방부와 이웃하는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는 제1키 어레이를 구 비한 메인 하우징;상기 개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메인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개방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보조 하우징;제1표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하우징에서 제1힌지 축과, 상기 제1힌지 축과 평행하며, 상기 보조 하우징의 회전축을 담당하는 제2힌지 축과, 상기 제1,2축과 각각 수직인 제3힌지 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3축 힌지 폴더; 및상기 보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폴더의 상기 제2힌지 축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개폐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시 장치와 이웃하게 제1스피커 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하우징은 제2스피커 장치와, 제2표시 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표시 장치는 그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스피커 장치는 그의 하면에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 축은 상기 메인 하우징의 양 측면을 관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하우징의 타측면에는 카메라 렌즈 동작 키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개방부를 구비한 메인 하우징;상기 개방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그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그의 측면들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보조 하우징;제1힌지 축과, 상기 제1힌지 축과 평행하며, 상기 보조 하우징의 회전축을 담당하는 제2힌지 축과, 상기 제1,2축과 각각 수직인 제3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하우징에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3축 힌지 폴더; 및상기 보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폴더의 상기 제2힌지 축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개폐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
- 개방부를 구비한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에서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힌지 폴더로 구성된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상기 개방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그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그의 측면들이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보조 하우징;상기 보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 하우징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자동으로 개폐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상기 제1힌지축과 평행하게 제2힌지축을 제공하고,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개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폴더와 보조 하우징을 상기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자동 회전형 힌지 장치; 및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걸림을 해제시켜 상기 폴더와 보조 하우징을 자동으로 회전가능하게 하거나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시 걸려 멈추게 하는 락킹 장치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회전형 힌지 장치는 상기 폴더와 보조 하우징을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탄성수단, 힌지더미, 구동모터, 감속모듈, 힌지 샤프트 및 힌지캠등을 순차적으로 힌지암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의 회전각도는 0도 내지 90도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장치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버튼부와,상기 버튼부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버튼부를 누르면 시소운동을 하는 락커부와,상기 보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락커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어 상기 락커부의 시소운동에 따라서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락커홈과,상기 버튼부의 후면에 제공되어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락커부의 시소운동을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부에는 상기 락커부를 시소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돌기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부의 일단에는 상기 락커홈에서 착탈되는 락돌기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자동버튼부의 후면에 형성된 탄성지지돌기와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고,상기 버튼부의 하부에는 상기 폴더와 보조 하우징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전기적 신호를 자동 회전형 힌지 장치에 인가하는 접속수단이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돔 스위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
- 휴대 통신 장치에 있어서,개방부를 구비한 메인 하우징;상기 개방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그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그의 측면들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보조 하우징;상기 제1힌지축과, 상기 제 1 힌지 축과 평행하며, 상기 보조 하우징의 회전축을 담당하는 제2힌지축과, 상기 제1, 2 축과 각각 수직인 제 3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하우징에서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3축 힌지 폴더;상기 보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 하우징의 회전 유무에 따라서 개폐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 및버튼부를 제공하고,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걸림을 해제시켜 상기 폴더와 보조 하우징을 회전가능하게 하거나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시 걸려 멈추게 하는 락킹 장치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통신 장치의 회전 락킹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1/059,317 US20050192066A1 (en) | 2004-02-26 | 2005-02-17 |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triple-axis hinge folder and rotation locking device thereof |
EP05004114A EP1569421A1 (en) | 2004-02-26 | 2005-02-25 |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triple-axis hinge folder and rotation locking device thereof |
CNB2005100528066A CN100433567C (zh) | 2004-02-26 | 2005-02-28 | 具有三联轴铰链折盖的便携式通信设备及其旋转锁扣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40013017 | 2004-02-26 | ||
KR1020040013017 | 2004-02-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7711A KR20050087711A (ko) | 2005-08-31 |
KR100703266B1 true KR100703266B1 (ko) | 2007-04-03 |
Family
ID=3727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17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3266B1 (ko) | 2004-02-26 | 2004-09-08 | 3축 힌지 폴더를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회전락킹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326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360096A1 (en) * | 2020-05-12 | 2021-11-18 | Asustek Computer Inc. | Electronic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5540B1 (ko) * | 2006-12-22 | 2013-08-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다기능 이동단말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8987A (ko) * | 1997-12-11 | 1999-07-05 | 윤종용 |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
KR19990048986A (ko) * | 1997-12-11 | 1999-07-05 | 윤종용 |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
-
2004
- 2004-09-08 KR KR1020040071776A patent/KR10070326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8987A (ko) * | 1997-12-11 | 1999-07-05 | 윤종용 |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
KR19990048986A (ko) * | 1997-12-11 | 1999-07-05 | 윤종용 |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10199948987, 10199948986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360096A1 (en) * | 2020-05-12 | 2021-11-18 | Asustek Computer Inc. | Electronic device |
US12063320B2 (en) * | 2020-05-12 | 2024-08-13 | Asustek Computer Inc. | Electronic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7711A (ko) | 2005-08-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188867B2 (ja) | 回転型カメラレンズハウジングを備える携帯用端末機 | |
CN100488210C (zh) | 双向滑动型便携式终端 | |
KR100630139B1 (ko) | 이축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
KR100532334B1 (ko) |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 |
EP1610530B1 (en) |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 |
US8032192B2 (en) |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swing-type cradling apparatus thereof | |
EP1501261A2 (en) | Dual-speaker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 |
KR20070023130A (ko) | 휴대 통신 장치용 스윙 힌지 장치 | |
KR100842626B1 (ko) | 슬라이딩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의 락킹 장치 | |
CN100433567C (zh) | 具有三联轴铰链折盖的便携式通信设备及其旋转锁扣装置 | |
KR100790156B1 (ko)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 |
KR100617817B1 (ko)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 |
KR100703266B1 (ko) | 3축 힌지 폴더를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회전락킹 장치 | |
KR100703509B1 (ko) | 게임 겸용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 |
JP4187068B2 (ja) |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 |
KR100689472B1 (ko) | 휴대 통신 장치 | |
KR20050075561A (ko) |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 |
KR100866944B1 (ko) |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 |
KR100663501B1 (ko) | 휴대용 디지털 무선 통신 장치 | |
JP4239441B2 (ja) | 電子機器 | |
KR100678240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 |
KR100487600B1 (ko) | 회전식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 |
KR100790089B1 (ko) | 스토퍼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
KR20050103348A (ko)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 |
KR100531936B1 (ko) |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