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00711B1 -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711B1
KR100700711B1 KR1020050031294A KR20050031294A KR100700711B1 KR 100700711 B1 KR100700711 B1 KR 100700711B1 KR 1020050031294 A KR1020050031294 A KR 1020050031294A KR 20050031294 A KR20050031294 A KR 20050031294A KR 100700711 B1 KR100700711 B1 KR 100700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thium
energy storage
storage device
metal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9049A (ko
Inventor
노환진
홍명신
박성우
장동환
정연복
박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랜드
(주)엡스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랜드, (주)엡스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랜드
Priority to KR1020050031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711B1/ko
Priority to PCT/KR2005/003119 priority patent/WO2006109909A1/en
Publication of KR20060109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4Hybri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2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using combined reduction-oxidation reactions, e.g. redox arrangement or sol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4Hybrid capacitors
    • H01G11/06Hybrid capacitors with one of the electrodes allowing ions to be reversibly doped thereinto, e.g. lithium ion capacitors [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26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multi-layered, porosity or surface features
    • H01G11/28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multi-layered, porosity or surface features arranged or disposed on a current collector; Layers or phases between electrodes and current collectors, e.g. adhes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34Carbon-based characterised by carbonisation or activation of carb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46Metal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6Solid electrolytes, e.g. gels; Additives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집전체 상에 제1 전극층이 형성된 제1 전극과, 집전체 상에 제2 전극층이 형성된 제2 전극과, 전해질로 구성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은 흑연을 포함하고, 제2 전극층은 활성탄과 더불어 리튬금속산화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은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전극은 활성탄에 의한 전기 이중층 반응과 더불어 리튬금속산화물에서의 산화환원반응이 동시에 일어난다. 상기 제2 전극층에 첨가되는 리튬금속산화물은,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리튬이온의 탈리와 삽입이 일어난다는 첫번째 조건과, 활성탄의 전기 이중층 반응 전위 내에서 상기 리튬이온의 산화환원반응이 진행된다는 두번째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4V 급의 구동전압과 고출력을 제공한다. 아울러, 종래의 흑연/활성탄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와 달리, 흑연 전극에서 급격한 전압상승과 전압강하가 발생하지 아니한다. 이것은 방전효율을 상승시킨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HYBRID ELECTRICAL ENERGY STORAG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구체적 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기이중층 캐패시터의 구동전압특성과 종래의 활성탄/흑연을 채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구동전압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종래의 활성탄/흑연을 채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방전특성에 나타난 문제점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종래의 금속산화물/활성탄을 채용하는 의사 장치의 충방전 거동과 비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거동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4V 급의 구동전압과 고출력을 갖는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두개의 전극(음극과 양극), 격리막 및 전해질로 구성된다.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예로는 전지와 캐패시터를 들 수 있다. 전지는 상기 두개의 전극 모두에서 산화환원반응(패러데이반응)을 동반한다. 다시 말해, 충전시에 전극으로의 에너지 저장을 동반하는 전극활물질의 환원이 발생하고, 방전시 외부로의 에너지 방출을 동반하는 전극활물질의 산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산화환원반응이 양극과 음극 모두에서 일어난다. 전지의 대표적 예로는 리튬이차전지를 들 수 있다. 리튬이차 전지는 20-180 Wh/kg의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다. 높은 에너지 밀도에 의해, 상기 리튬이차전지는 적은 중량으로도 출력부하에 장시간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리튬이차전지는 50-250 W/kg의 낮은 출력밀도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리튬이차전지는 순간적으로 고출력이 요구되는 장치에는 채용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리튬이차전지는, 산환환원반응을 동반하는 반복적인 충방전에 의해 전극활물질과 전해질의 변질이 발생한다. 이것은 전지의 수명을 약 500회 정도로 제한한다. 따라서, 상기 리튬이차전지는 정기적인 유지 보수를 요구한다.
캐패시터의 대표적 예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이다. 이들은 양극과 음극의 전극활물질로서 활성탄(activated carbon)을 포함한 다공성 탄소전극을 사용한다.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에서, 양극과 음극은 전하의 흡착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한다. 즉, 상기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는 전극활물질의 산화환원반응을 동반하는 것이 아 니라, 물리적 흡착(비패러데이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한다. 상기 전기이중층 캐패시터는 2-4 Wh/kg의 에너지 밀도를 갖는다. 리튬이차전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 밀도를 갖고 있으나, 상기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는 산화환원반응을 동반하지 않는 관계로 반영구적인 수명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는 정기적인 유지보수가 불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전기이중층 캐패시터는 1000∼2000W/kg의 고출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순간적으로 고출력을 이용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에 의해 도달할 수 있는 이론적 구동전압은 전해질의 산화환원전위차로서, 통상 약 3.0V이다. 실제로는, 2.3V - 2.7V의 구동전압이 얻어진다.
상기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낮은 에너지 밀도에서 파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것이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또는 의사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이다. 상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서, 2개의 전극 중 하나의 전극은 패러데이반응을, 다른 하나의 전극은 비패러데이 반응을 경험한다.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예로서는 음극활물질로서 활성탄을 사용하고, 양극활물질로서 금속산화물을 사용하는 전극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활성탄은 전자의 물리적 흡착(비패러데이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하고, 금속 산화물은 산화환원반응(패러데이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한다. 금속산화물과 활성탄을 각각 양극활물질과 음극활물질로서 채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상기 이중층 캐패시터에 비해, 2배 정도의 에너지 밀도를 갖는다. 그러나, 이 장치의 구동전압은 약 2.3V - 2.7V에 불과하다(도 2 참조). 금속산화물과 활성탄을 채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구체적 예로는 미국특허 제5,429,893호 및 미국특허 제6,222,723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높은 구동전압을 얻기 위한 일환으로 제시된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음극활물질로서 흑연, 양극활물질로서 활성탄을 채용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의 이론적 구동전압은 약 4.0V이다(도 2 참조). 그러나, 흑연/활성탄을 채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산업적 응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몇 가지 기술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 번째로 좁은 방전 영역으로 인한 구동 전압 대비 낮은 에너지 밀도를 들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탄/흑연으로 구성된 의사 캐패시터는 약 4.0V의 높은 구동전압을 얻을 수 있으나, 방전 깊이가 약 2.7V로 제한된다(보다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이것은 탄소계 의사 캐패시터의 전원공급이 4.0V - 2.8V 영역에서만 가능하고 2.7V 미만에서는 정상적인 전원 공급이 불가능한 전압영역이 존재함을 시사하며, 결국 기존의 탄소계 의사 캐패시터는 4.0V 구동전압에서 형성된 에너지를 전체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국부적인 영역만을 이용한다는 문제점을 지닌다. 두 번째로, 흑연 전극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리튬전착반응에 의한 안전성 문제를 들 수 있다. 음극으로 사용하는 흑연 전극의 반응 전위는 리튬환원전위와 근접하기 때문에, 전해질로 액체 유기 전해질만을 사용할 경우 과충전시 흑연계 탄소 전극 표면에 리튬 전착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전착된 리튬은 침상구조로 성장하게 되고, 이것은 내부 단락으로 이어져 에너지 저장장치의 기능을 상실시킬 수 있고 최악의 경우 화재나 폭발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구동전압을 나타내고, 방전효율과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셀당 4V급의 구동전압을 나타내고, 기존의 흑연/활성탄(음극활물질/양극활물질) 전극 시스템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집전체 상에 제1 전극층이 형성된 제1 전극과, 집전체 상에 제2 전극층이 형성된 제2 전극과, 전해질로 구성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은 흑연을 포함하고, 제2 전극층은 활성탄과 더불어 리튬금속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전극은 활성탄에 의한 전기 이중층 반응과 더불어 리튬금속산화물에서의 산화환원반응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전극층에 첨가되는 리튬금속산화물은,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리튬이온의 탈리와 삽입이 일어난다는 첫번째 조건과, 활성탄의 전기 이중층 반응 전위 내에서 상기 리튬이온의 산화환원반응이 진행된다는 두번째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제1 전극(1)과, 제2 전극(2)과, 격리막/전해질(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1)은 제1 전극층(101)이 제1 집전체(102) 상에 코팅되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전극(2)은 제2 전극층(201)이 제2 집전체(202) 상에 코팅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은, 상기 제1 전극(1)의 전극활물질로서 흑연을 포함한 탄소전극이 사용되고, 제2 전극(2)의 전극활물질로서 활성탄과 더불어, 활성탄의 전기 이중층 반응을 보완하는 리튬금속산화물이 사용된다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제1 전극(1)은 산화환원반응을 경험한다. 즉,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제1 전극층(101)으로 리튬이온의 삽입(intercalation)과 탈리(deintercalation)가 일어난다. 상기 제2 전극(2)은 전기이중층 반응과 산화환원 반응을 동시에 경험한다. 구체적으로, 활성탄은 전기 이중층 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한다. 상기 활성탄과 더불어 제2 전극층(201)에 첨가된 리튬금속산화물은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충전시, 흑연을 음극활물질로서 포함하는 제1 전극층(101)에서, 리튬이온이 전자와 결합한다. 제2 전극층(201)에서, 리튬금속산화물이 산화되어 리튬이온을 방출하고, 전해질(3) 속에 존재하는 음이온이 전기 이중층 반응에 의해 활성탄에 흡착된다. 이 때, 상기 제1 전극층(101)에서 일어나는 환원반응에 참여하는 리튬이온의 소스는 제2 전극층(201)의 리튬금속산화물로부터 방출된 리튬이온과 전해질(3) 속에 포함된 리튬이온이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층(101)에서 6개의 리튬이온이 환원되고, 2개의 리튬이온이 제2 전극층(201)의 리튬금속산화물로부터 방출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전해질(3)에 존재하는 4개의 리튬이온이 전자와 결합한다. 전해질(4) 속에 존재하는 4개의 음이온은 상기 활성탄에 흡착될 것이다. 환원된 리튬이온 중 일부는 제1 전극층(101)의 표면에 비가역적 SEI 피막(미도시)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며, 나머지는 제1 전극층(101)에 삽입된다. 방전시, 제1 전극층(101)에 삽입되었던 리튬이온이 방출된다. 제2 전극층(102)에서는 상기 충전시의 역반응이 일어난다.
상기 제2 전극층(201)에 포함된 리튬금속산화물이 만족시켜야 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상기 리튬금속산화물은 산화환원에 의해 리튬이온을 가역적으로 삽입 및 탈리시킬 수 있어야 한다.
(2) 산화환원에 의한 리튬이온의 가역적 삽입/탈리는 활성탄의 전기 이중층 반응 전위 내에서 일어나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전극층(201)에 포함된 리튬금속산화물은 초기 충전시 리튬이온의 방출에 의해 비가역적 SEI 피막형성에 필요한 리튬이온 소스로서 작용한다. 이것은 흑연/활성탄을 채용하는 전극 장치에서 발생하는 방전효율의 저하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리튬금속산화물은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한다. 이것은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킨다. 가장 중요한 것은, 상기 리튬금속산화물이 충방전시 흑연의 급격한 전위 상승과 하강을 방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활성탄의 전기 이중층 반응 전위 내에서 상기 리튬금속산화물의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나야 가능하다.
도 3은 종래의 활성탄/흑연을 채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방전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상적 방전 거동은 거의 일직선으로 방전전위가 하강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흑연/활성탄 의사 캐패시터는 약 4V의 높은 초기구동전압을 나타내나, 2.7V 이하의 영역에서 급격한 전위 하강을 경험한다. 따라서, 방전깊이는 4V - 3V에 불과하며, 나머지 영역은 데드존(dead zone)이다. 이에 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사 캐패시터는 리튬금속산화물을 활성탄에 추가함으로써 흑연의 급격한 전위 하강을 방지한다. 그 이유는 양극층에서, 활성탄의 전기 이중층 반응과 더불어 상기 이중층 반응 전위 내에서 리튬이온의 삽입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즉, 활성탄의 음이온 탈착(desorption)은 빠른 반면, 상기 음이온 탈착과 더불어 발생하는 산화환원반응은 느리게 진행된다. 따라서, 흑연의 급격한 전하방출은 느린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방해되고, 방전깊이를 증가시킨다. 즉, 상기한 2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리튬금속산화물은 흑연의 전기 이중층 반응의 말기에 급격한 전위강하를 방지하게 된다.
도 5는 종래의 금속산화물/활성탄을 채용하는 의사 장치의 충방전 거동과 비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충방전 거동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튬금속산화물/활성탄을 채용하는 종래의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도트 라인으로 표시됨)는 리튬금속산화물에서의 산화환원반응과, 활성탄에서의 전기이중층 반응에 의해 약 2.3V 정도의 낮은 구동전압을 갖는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실선으로 표시됨)는 흑연 음극에서의 리튬이온의 산화환원반응과, 활성탄과 리튬금속산화물의 복합 양극에서의 동시적 전기이중층반응과 리튬이온의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약 4V의 높은 구동전압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해질(3)은 겔폴리머 전해질이다. 이들 겔 폴리머 전해질은 안정한 계면 형성에 의해 리튬 덴드라이트 형성을 최소화한다. 또한 자가 방전에 의한 에너지 손실, 리튬 증착에 따른 소트(short)의 발생과 같은 부반응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제2 전극층(201)에 첨가되는 리튬금속산화물은 상기한 2가지 조건{(i) 산화환원반응에 의한 리튬이온의 가역적 탈리와 삽입의 진행, (ii) 활성탄의 전기이중층 반응 전위 내에서의 가역적 산화환원반응의 진행}을 만족한다는 조건하에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 실시예에 따르면, 리튬금속산화물로서 층상구조(layered structure)의 리튬망간산화물, 리튬티타늄산화물, 리튬몰리브덴산화물, 리튬텅스텐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리튬금속산화물의 첨가량은, 흑연과 금속산화물의 혼합 중량에 대해, 1 내지 35% 이내의 양으로 첨가된다. 리튬금속산화물의 첨가량이 1% 미만일 경우, SEI 피막형성에 필요한 리튬이온 소스의 공급이 불충분하다. 더 나아가, 흑연의 급격한 전압 상승 및 전압하강을 제어하기 곤란하다. 리튬금속산화물의 첨가량이 35%를 초과할 경우, 리튬금속산화물과 함께 제2 전극층(201)을 형성하는 활성탄의 전기이중층 반응이 방해를 받는다. 따라서, 전기이중층 반응에 의해 성취되는 고출력 특성을 훼손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리튬금속산화물을 첨가하는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다, 10 내지 20 중량%의 첨가는 SEI 피막형성에 필요한 리튬이온의 제공, 흑연의 급격한 전압 상승 및 전압하강의 제어, 활성탄에 의한 고출력 특성의 적절한 보장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제1 전극인 흑연계 탄소 전극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인조흑연(MCMB, Osakagas chemical) 및 도전제(super P)를 120℃의 진공분위기하에서 12시간 이상 건조하여 상기 화합물 안에 함유된 수분을 최대한 제거하였다. 상기 인조흑연 90 중량%와 도전제 1 중량%를 믹서에서 30분 동안 충분히 분말 혼합하였다. 결합제인 PVDF(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9 중량부를 N-메틸피롤리돈 용액에 녹인 다음, 상기 분말에 첨가하며 일정 점도의 슬러리가 될 때까지 고속믹서에서 약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슬러리를 다이코터를 사용하여 두께 10 ㎛의 구 리 집전체 위에서 코팅한 다음 120℃의 건조로에서 건조시켜 N-메틸피롤리돈을 완전히 제거시킨 후 전극을 일정두께로 압연하여 전극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전극인 활성탄/리튬 금속 산화물 복합 전극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활성탄(MSP 20, OSAKAGAS chemical) 및 리튬 망간 산화물(망간 스피넬, LiMn2O4, LICO사 제조)를 사용하였는데, 상기 활성탄 85 중량%과 리튬 망간 산화물 8 중량%을 믹서에서 30분 동안 충분히 분말 혼합하였다. 결합제인 SBR(스틸렌 부틸렌 고무)과 CMC(carboxy methylcellulose)를 각각 4 중량%, 3 중량% 첨가하고 물을 용매로서 사용하여 6시간 정도 혼합한 다음 알루미늄 집전체위에 코팅하고 건조한 후 일정두께로 압연하여 전극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격리막(폴리올레핀계 또는 전해지)을 도 1과 같이 순서대로 적층한 다음, 전해질(EC/EMC/DEC = 3:4:4 + LiPF6 1M)을 이용하여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캐패시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된 리튬망간산화물을 대체하여, 표 1에 제시된 다양한 리튬금속산화물을 사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제조하였다.
시편 1 2 3
리튬금속산화물 리튬텡스텐산화물 (Li2WO4) 리튬몰리브덴산화물 (Li2MoO4) 리튬망간산화물 (LiMn2O4 또는 LiMnO2)
시편 4 5 6
리튬금속산화물 리튬티탄늄산화물 (Li2TiO3) 리튬코발트인산화물 (LiCoPO4) 리튬니켈산화물 (LiNiO2)
실시예 3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사용하여, 방전특성을 테스트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시편 용량(F/g*)
비교예1, 산화물이 없을 때 7
비교예2, 리튬망간 산화물 0.5% 8
리튬 티탄늄 산화물(Li2TiO3) 20
리튬 텡스텐 산화물(Li2WO4) 15
리튬 몰리브텐 산화물(Li2MoO4) 16
리튬 망간 산화물(스피넬 LiMn2O4) 14
리튬 망간 산화물(층상 LiMnO2) 15
리튬 코발트 인 산화물 (LiCoPO4) 22
리튬 니켈 산화물 (LiNiO2) 45
* 중량(g)는 전극활물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함.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와, 종래의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방전특성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05019628746-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4V 급의 구동전압과 고출력을 제공한다. 아울러, 종래의 흑연/활성탄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와 달리, 흑연 전극에서 급격한 전압상승과 전압강하가 발생하지 아니한다. 이것은 방전효율을 상승시킨다.

Claims (6)

  1. 집전체 상에 제1 전극층이 형성된 제1 전극, 집전체 상에 제2 전극층이 형성된 제2 전극, 전해질 및 격리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전극층은, 음극 활물질로서,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하는 흑연을 포함하고, 제2 전극층은, 양극 활물질로서, 전기 이중층 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하는 활성탄과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저장하는 리튬금속산화물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금속산화물은 층상구조의 리튬망간산화물, 리튬티타늄산화물, 리튬몰리브덴산화물, 리튬텅스텐산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금속산화물의 첨가량이, 활성탄과 리튬금속산화물의 혼합 중량에 대해, 5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금속산화물의 첨가량이, 활성탄과 리튬금속산화물의 혼합 중량에 대해, 10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이 겔폴리머 전해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6. 삭제
KR1020050031294A 2005-04-15 2005-04-15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KR100700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294A KR100700711B1 (ko) 2005-04-15 2005-04-15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PCT/KR2005/003119 WO2006109909A1 (en) 2005-04-15 2005-09-21 Hybrid electrical energy storag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294A KR100700711B1 (ko) 2005-04-15 2005-04-15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049A KR20060109049A (ko) 2006-10-19
KR100700711B1 true KR100700711B1 (ko) 2007-03-27

Family

ID=37087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294A KR100700711B1 (ko) 2005-04-15 2005-04-15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0711B1 (ko)
WO (1) WO200610990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625B1 (ko) * 2016-03-18 2018-01-25 삼화전기 주식회사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전극 제조방법
KR101849645B1 (ko) * 2016-03-18 2018-05-30 삼화전기 주식회사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335831C2 (ru) 2003-09-18 2008-10-10 Коммонвелт Сайентифик Энд Индастриал Рисерч Органайзейшн Высокоэффективные аккумуляторные батареи
AR064292A1 (es) * 2006-12-12 2009-03-25 Commw Scient Ind Res Org Dispositivo mejorado para almacenamiento de energia
AR067238A1 (es) 2007-03-20 2009-10-07 Commw Scient Ind Res Org Dispositivos optimizados para el almacenamiento de energia
CA2759689A1 (en) 2009-04-23 2010-10-28 The Furukawa Battery Co., Ltd. Method for producing negative plate for use in lead-acid battery and lead-acid battery
JP5711483B2 (ja) 2009-08-27 2015-04-30 古河電池株式会社 鉛蓄電池用複合キャパシタ負極板の製造法及び鉛蓄電池
KR101833287B1 (ko) 2009-08-27 2018-03-02 커먼웰쓰 사이언티픽 앤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오가니제이션 축전 디바이스 및 이의 전극
JP5797384B2 (ja) 2009-08-27 2015-10-21 古河電池株式会社 鉛蓄電池用複合キャパシタ負極板及び鉛蓄電池
JP2012133959A (ja) 2010-12-21 2012-07-12 Furukawa Battery Co Ltd:The 鉛蓄電池用複合キャパシタ負極板及び鉛蓄電池
US8951673B2 (en) 2011-06-22 2015-02-1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High rate, long cycle life battery electrode materials with an open framework structure
US9029015B2 (en) 2011-08-31 2015-05-1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High rate, long cycle life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KR101683197B1 (ko) 2012-04-30 2016-1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6123471A1 (en) 2015-01-29 2016-08-04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
WO2019217039A2 (en) 2018-04-16 2019-11-14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Hybrid lithium-ion battery-capacitor (h-libc) energy storage devices
CA3147457A1 (en) * 2019-07-16 2021-01-21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Hybrid energy storag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443A (ko) * 1999-04-21 2001-12-20 엔, 마이클 그로브 재충전 가능한 하이브리드 배터리/수퍼캐패시터 시스템
JP2001351688A (ja) 2000-06-07 2001-12-21 Fdk Corp 電池・キャパシタ複合素子
JP2003217971A (ja) 2002-01-18 2003-07-31 Hitachi Maxell Ltd 電気化学素子
KR20040069474A (ko) * 2003-01-29 2004-08-06 홍명신 하이브리드 캐패시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6977A (en) * 1995-02-21 1997-05-06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mposite carbon foam electrode
JPH09283383A (ja) * 1996-04-12 1997-10-31 Fuji Elelctrochem Co Ltd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H1154384A (ja) * 1997-08-06 1999-02-26 Asahi Glass Co Ltd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2002298849A (ja) * 2001-04-02 2002-10-11 Asahi Glass Co Ltd 二次電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443A (ko) * 1999-04-21 2001-12-20 엔, 마이클 그로브 재충전 가능한 하이브리드 배터리/수퍼캐패시터 시스템
JP2001351688A (ja) 2000-06-07 2001-12-21 Fdk Corp 電池・キャパシタ複合素子
JP2003217971A (ja) 2002-01-18 2003-07-31 Hitachi Maxell Ltd 電気化学素子
KR20040069474A (ko) * 2003-01-29 2004-08-06 홍명신 하이브리드 캐패시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625B1 (ko) * 2016-03-18 2018-01-25 삼화전기 주식회사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전극 제조방법
KR101849645B1 (ko) * 2016-03-18 2018-05-30 삼화전기 주식회사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09909A1 (en) 2006-10-19
KR20060109049A (ko)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869B1 (ko) 비수전해액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리튬 이차전지
KR101966774B1 (ko)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128405B1 (ko) 재충전가능한 전기화학 전지
KR101120053B1 (ko) 복합전극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슈퍼 커패시터
RU2686477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аккумулятор
KR100700711B1 (ko)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US11295901B2 (en) Hybrid electrode materials for bipolar capacitor-assisted solid-state batteries
KR20080069930A (ko)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 전지
KR20110136867A (ko) 리튬 전지의 양극을 위한 플루오르화 결합제 복합 재료 및 탄소 나노튜브
KR20180125312A (ko) 이중층 구조의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756676B1 (ko) 이중층 구조의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80016917A (ko) 리튬 이차 전지
KR20130107092A (ko)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것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20180129184A (ko) 이차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이와 같이 제조된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3994512A (zh) 锂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
KR20210151166A (ko) 충전식 배터리 셀
Wolter et al. End-of-line testing and formation process in Li-ion battery assembly lines
KR20190025664A (ko) 전해질
KR20190129614A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양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20140098350A (ko) 고출력의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275862B1 (ko) 비수전해액용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리튬 이차전지
KR101948804B1 (ko) 향상된 리튬이온 도핑속도를 갖는 흑연전극 및 이를 채용한 리튬이온커패시터
WO2017179541A1 (ja) 蓄電デバイスと、その充電方法および製造方法
KR20210024975A (ko) 리튬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45591A (ko) 계면 특성이 향상된 전고체 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