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93926B1 - 근육트레이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근육트레이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926B1
KR100693926B1 KR1020050039903A KR20050039903A KR100693926B1 KR 100693926 B1 KR100693926 B1 KR 100693926B1 KR 1020050039903 A KR1020050039903 A KR 1020050039903A KR 20050039903 A KR20050039903 A KR 20050039903A KR 100693926 B1 KR100693926 B1 KR 100693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stimulation
stimulation signal
user
supply frequency
magnitu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839A (ko
Inventor
아츠미 오타
노부오 오기와라
Original Assignee
이토쵸탄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쵸탄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토쵸탄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92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4Control systems specified by the stimulation para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근육트레이닝 장치는, 이용자의 몸에 부착할 수 있는 복수의 도자와; 상기 이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는 조작부와; 전기자극신호의 크기 및 공급주파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전류주파수 상관데이터를 격납하는 기억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전기자극신호의 크기 및 상기 전류주파수 상관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공급주파수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지정되는 상기 전기자극신호의 크기 및 상기 공급주파수에 의하여 상기 전기자극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각 도자를 경유하여 상기 이용자의 몸에 상기 전기자극신호를 공급하여 간섭파를 발생시키는 전기자극 출력부를 구비한다.
근육트레이닝장치, 전류주파수 상관데이터, 전기자극신호, 간섭파, 전기자극출력부

Description

근육트레이닝장치 및 그 제어방법{MUSCLE TRAI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근육트레이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근육트레이닝장치가 출력하는 전기자극신호의 크기와 공급주파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가로축이 출력, 세로축이 공급주파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근육트레이닝장치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프로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근육트레이닝장치의 조작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근육트레이닝장치가 출력하는 전기자극신호의 크기와 공급주파수와의 관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가로축이 출력, 세로축이 공급주파수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근육트레이닝장치의 각 도자를 이용자의 트레이닝부위에 부착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근육트레이닝장치에 의한 간섭파의 발생개소를 나타내는 도면.
[부호의 설명]
1 : 근육트레이닝장치
2 : 전기자극출력부
3 : 제어부
4 : 조작부
5 : 기억부
6 : 표시부
7a∼7d : 도자
S01 : 공급개시
S02 : 간섭파 주파수 상승
S03 : 출력상승 요구접수
S04 : 전류주파수상관데이터 참조
S05 : 공급주파수 변경
본 발명은,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전기적근육자극)을 이용한 근육트레이닝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력 업이나 다이어트를 목적으로, EMS를 이용한 근육트레이닝장치가 사용된다. EMS를 이용한 근육트레이닝장치는, 도자(導子)를 경유하여 이용자의 체내에 전류를 공급하고, 이용자의 근육에 자극을 가한다. 이때, 공급되는 전류의 전류값이 클수록 이용자의 근육은 큰 자극을 받기 때문에, 트레이닝 효과도 커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전류값을 크게 하면 이용자의 피부에 큰 자극을 가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통증을 느낄 수 있다.
일본국 특개2001-025510호 공보에는, 컴퓨터나 게임기 이용자가 사용하는 맨·머신인터페이스인 역촉각(力觸覺)글로우브에 쓰여지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이 기술은, 이용자의 저온화상 등을 억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이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전류값을 저하시키거나 전류를 정지시키거나 한다. 따라서, 근육트레이닝장치에 적용하게 되면 트레이닝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용자에게 과도한 통증을 느끼게 하지 않고 큰 전류값을 이용자의 체내에 공급하는 근육트레이닝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수단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근육트레이닝장치는, 이용자의 몸에 부착되는 복수의 도자와; 상기 이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는 조작부와; 전기자극신호의 크기 및 공급주파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전류주파수 상관데이터를 격납 하는 기억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전기자극신호의 크기 및 상기 전류주파수 상관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공급주파수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지정된 상기 전기자극 신호의 크기 및 상기 공급주파수에 의하여 상기 전기자극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각 도자를 경유하여 상기 이용자의 몸에 상기 전기자극신호를 공급하여 간섭파를 발생시키는 전기자극 출력부를 구비한다.
상기 근육트레이닝장치에 의하면, 전기자극신호의 크기에 맞추어 공급주파수도 변화시키므로, 근육트레이닝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의 통증을 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류주파수 상관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신호의 크기와 상기 공급주파수가 정비례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자극신호의 크기에 정비례하여 공급주파수도 상승하므로, 근육트레이닝장치의 사용에 의한 통증을 더욱 확실하게 억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가,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기 전기자극신호의 공급주파수의 변경지시를 받은 경우에, 이 변경지시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변경지시에 의하여 상기 전기자극출력부에 상기 전기자극신호의 공급주파수 변경을 지시하고; 상기 전기자극출력부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지시를 받아서 상기 전기자극신호의 공급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는 원하는 전기자극신호의 크기에 맞추어 공급주파수도 변경할 수 있으므로, 근육트레이닝장치의 사용에 의한 통증을 각 이용자의 각 상태에 따라서 억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근육트레이닝장치의 제어방법은, 이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입력하고; 상기 지시에 따른 전기자극신호의 크기에 대응하는 공급주파수를, 상기 전기자극신호의 크기 및 공급주파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전류주파수 상관데이터에 의 하여 구하고; 상기 전기자극신호의 크기와 공급주파수에 의하여 상기 전기자극신호를 생성하고, 이 전기자극신호를 상기 이용자의 몸에 공급하여 간섭파를 발생시킨다.
상기 근육트레이닝장치 제어방법에 의하면, 전기자극신호의 크기에 맞추어 공급주파수도 변화시키므로, 근육트레이닝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의 통증을 억지할 수 있다.
상기 전류주파수 상관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 신호의 크기와 상기 공급주파수가 정비례의 관계를 가질수 있다.
이 경우, 전기자극신호의 크기에 정비례하여 공급주파수도 상승하므로, 근육트레이닝장치의 사용에 의한 통증을 더욱 확실하게 억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근육트레이닝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3)는, 근육트레이닝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전기자극출력부(2)는, 제어부(3)으로부터의 지시에 의하여 전기자극 신호를 생성하고, 도자(7a)와 도자(7c)와의 사이에 전기자극신호를 인가한다. 또, 전기자극출력부(2)는, 도자(7b)와 도자(7d)와의 사이에도 전기자극신호를 인가한다.
도자(7a∼7d)는, 전기자극출력부(2)가 생성한 전류를 이용자의 몸에 공급하는 패드이고 제 6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용자가 단련하고자 하는 근육위치(이하, 트레이닝부위)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이용자가,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도자(7a∼7d)를 트레이닝부위에 부착하여 트레이닝을 수행할 때, 예를 들어, 도자(7a) 와 도자(7c)와의 사이에 1000Hz의 전류가 인가되고, 또한, 도자(7b)와 도자(7d)와의 사이에 990Hz의 공급주파수를 갖는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부분A∼D에 10Hz의 간섭파가 발생하고, 이 부분 A∼D의 위치에 있어서 근육이 단련된다.
도 1에 도시한 조작부(4)는, 근육트레이닝장치(1)의 이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은 경우에, 이 지시의 내용을 제어부(3)로 출력한다. 이용자는, 조작부(4)에 지시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10mA∼80mA의 전기자극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지정할 수 있다.
기억부(5)는, 전기자극신호의 크기와 공급주파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전류주파수 상관데이터(도 2 참조)를 기억하고 있다. 전류주파수 상관데이터의 공급주파수는, 전기자극출력부(2)가 실제로 발생시키는 전기자극신호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표시부(6)는, 제어부(3)로부터의 출력에 의하여, 근육트레이닝장치(1)가 출력하고 있는 전기자극신호의 강도 등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근육트레이닝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3 도는, 근육트레이닝 장치(1)의 제어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우선, 근육트레이닝장치(1)의 이용자는, 자신들의 트레이닝 부위에 도자(7a∼7d)를 부착시킨 후, 조작부(4)에 트레이닝의 개시를 입력한다.
근육트레이닝장치(1)의 제어부(3)는, 조작부(4)를 통하여 이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으면, 기억부(5)로부터 제 2 도에 도시한 상기 전류주파수 상관데이터를 읽 어 낸다.
그리고, 제어부(3)는, 현재가 트레이닝의 개시 시점이므로, 가장 약한 레벨(강도)의 전류를 이용자의 체내에 공급하여야 한다고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3)는, 전류주파수 상관데이터에 의하여 가장 약한 전류값「10 mA」와 이 전류값 「10 mA」에 대응하는 공급주파수로서 상기 전류주파수 상관데이터로부터 얻을 수 있는 「600 Hz」와, 실제로 이용자의 근육에 작용하는 간섭파의 주파수의 최소치인 「0 Hz」 를 전기자극출력부(2)로 출력한다. 이렇게 하여, 제어부(3)는, 전기자극출력부(2)에 대하여 전류공급의 개시를 지시한다(도 3의 스탭 S01). 또한, 제어부(3)은 표시부(6)에 대하여 현재의 가동상황(전류값이 10 mA이고, 간섭파의 주파수가 0 Hz인 것)을 출력하여 표시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는, 이용자로부터 다음의 지시를 기다린다.
전기자극출력부(2)는, 제어부(3)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전류값이 10 mA이고 또한 공급주파수가 600 Hz의 전기자극신호를 발생시켜 도자(7a∼7d)로 송신한다. 이 때, 전기자극 출력부(2)로부터 도자(7a∼7d)에 송신되는 각 전기자극신호의 공급주파수는 동일하므로, 이용자의 체내에 간섭파는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 전기자극출력부(2)는, 처음부터 전류값이 10 mA이고 또한 공급주파수가 600 Hz의 전기자극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고, 전류값이 0 mA이고 또한 공급주파수가 0 Hz의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 내에 점차적으로 전류값 및 공급주파수를 상승시킨다.
다음으로, 이용자가 조작부(4)에 대하여 간섭파의 주파수를 10 Hz로 상승시키는 지시를 행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3)는, 조작부(4)를 경유하여 이용자로부터 상기 지시를 받고, 간섭파의 주파수를 10 Hz로 상승시키기 위한 공급주파수의 상승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전기자극 출력부(2)에 대하여, 간섭파의 주파수를 10 Hz로 상승시키기 위한 신호를 송신한다(도 3의 스탭S02). 또, 제어부(3)는, 표시부(6)에 대하여 현재의 가동상황(전류값이 10 mA이고, 간섭파의 주파수가 10 Hz인 것)을 출력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3)는, 이용자로부터 다음 지시를 기다린다.
전기자극출력부(2)는, 제어부(3)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현재 발생하고 있는 전기자극신호를 소정의 시간 내에 조금씩 변화시켜 간다. 즉, 도자(7a) 및 도자(7c)에 대한 전기자극신호의 공급주파수를 600 Hz로 유지한 상태로, 도자(7b) 및 도자(7d)에 대하여 전기자극신호의 공급주파수를 조금씩 10 Hz씩 내려서 590 Hz로 떨어뜨린다. 도자(7a∼7d)는, 수신한 전기자극신호를 이용자의 각 트레이닝 부위에 공급한다. 그 결과, 이용자의 몸이 간섭파의 발생을 관지하고, 트레이닝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용자가 조작부(4)에 대하여, 전류값을 30 mA로 상승시키는 지시를 행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3)는, 조작부(4)를 경유하여 이용자로부터 상승지시를 받은 경우(도 3의 스탭S03), 상기 전류주파수 상관데이터를 참조하여(도 3의 스탭S04), 전류값 30 mA와 공급주파수 2000 Hz를 전기자극출력부(2)에 출력하여 출력의 상승을 지시한다. 또, 제어부(3)는, 표시부(6)에 대하여 현재의 가동상황(전류값이 30 mA이고, 간섭파의 주파수가 10 Hz인 것)을 출력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3)는, 이용 자로부터 다음의 지시를 기다린다.
도자(7a∼7d)의 크기를 T, 공급주파수를 C라 할 경우, 인간의 피부저항은 「1/(2πTC)」로 표시된다. 따라서, 전기자극신호의 출력상승에 따른 공급주파수C를 상승시킴으로써, 피부저항이 감소된다. 또, 예를들어, 공급주파수를 10 Hz에서 100 Hz로 상승시키는 경우보다, 100 Hz에서 1000 Hz로 상승시키는 것이, 동일한 10배의 상승이라도 실제 피부에의 자극감은 극단적으로 부드럽게 된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어부(3)에 의한 상기 처리는, 공급주파수를 600 Hz에서 2000 Hz로 상승시키기 때문에, 공급주파수를 10 Hz에서 100 Hz로 상승시키는 경우보다 피부에의 자극감을 상당히 부드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전기자극출력부(2)는, 제어부(3)에서 지시를 받은 경우, 발생시키는 전기자극신호의 출력과 공급주파수를 소정의 시간 내에 조금씩 상승시키기 위한 신호를, 도자(7a∼7d)로 송신한다.(도 3의 스탭S05). 이때, 전기자극출력부(2)는, 도자(7a ~7d) 사이에 공급하는 전기자극신호의 공급주파수와 도자(7b) 및 도자(7d) 사이에 공급하는 전기자극신호의 공급주파수 사이에, 상술한 것과 같이 차분(差分)을 갖게 한다. 이후, 제어부(3)는, 이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간섭파의 주파수나 출력의 변경을 수행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그 외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첨부의 크레임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은, 근육의 긴장완화나 진통 등을 위한 치료도구로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환자의 피부에 강한 통증을 느끼게 하지않고 커다란 전류를 체내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보다 높은 치료효과가 기대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도자(7a∼7d)를 준비하는 4극 간섭방식으로 EMS를 발생시키고 있지만, 4개에 한정하지 않고, 도자의 수를 6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도자의 수를 늘린 경우, 간섭파를 보다 넓은 장소에서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한층 더 트레이닝 효과가 기대된다.
또, 본 발명형태에서는, 전기자극출력부(2)가 발생시키는 전기자극신호로서,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출력에 비례하여 공급주파수가 증대하는 것을 채용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용자가 공급주파수를 지정하여 바꾸어도 좋다. 예를들어, 이용자가 도 4에 도시한 조작부(4)를 조작하여 사용감을 상하로 증감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가 피부에 통증을 느꼈을 때에는, 도 4에 도시한 조작부(4)의 사용감 하표시버튼(10)을 누룬다. 이 조작을 상기 제어부(3)가 받어, 전기자극출력부(2)에 대하여 공급주파수의 증가를 지시한다. 이에 따라, 공급주파수가 증가되어 이용자의 통증이 완화된다.
동일한 공급주파수 및 동일한 출력이라도, 통증을 느끼는 사람과 느끼지 않는 사람이 있으므로, 지각신경이 민감한 이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급주파수를 높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이용자의 직감적인 이해를 위하여, 공급주파수를 표시부(6)에 표시하는 대신에, 「하드」나 「마일드」 등의 글자나 페이스 마크 등의 심볼을 표시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의 근육트레이닝장치(1)에는, 트레이닝의 전후에 수행하는 웜 업이나 클 다운 같은 과정은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이들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가 근육트레이닝장치(1)를 사용할 경우에 급격한 운동에 의하여 근육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기자극출력부(2)가 발생하는 전기자극신호의 공급주파수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출력과 비례관계에 있는 것을 채용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들어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소정의 출력범위마다 공급주파수가 스탭 형상으로 증가하는 전기자극신호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근육트레이닝장치(1)의 소형화, 또는 저가격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이용자에게 과도한 통증을 느끼게 하지 않고 큰 전류값을 이용자의 체내에 공급할 수 있다.

Claims (5)

  1. 이용자의 몸에 부착되는 복수의 도자와;
    상기 이용자로부터의 지시를 받는 조작부와;
    전기자극신호의 크기 및 공급주파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전류주파수 상관데이터를 격납하는 기억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전기자극신호의 크기 및, 상기 전류주파수 상관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공급주파수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지정된 상기 전기자극신호의 크기 및 상기 공급주파수에 의하여 상기 전기자극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각 도자를 경유하여 상기 이용자의 몸에 상기 전기자극신호를 공급하여 간섭파를 발생시키는 전기자극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류주파수 상관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전기자극신호의 크기와 상기 공급주파수가 정비례 관계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트레이닝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기 전기자극신호의 공급주파수 변경지시를 받은 경우에, 이 변경지시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지시에 의하여 상기 전기자극출력부에 상기 전기자극신호의 공급주파수 변경을 지시하고;
    상기 전기자극출력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지시를 받아서 상기 전기자극신호의 공급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트레이닝장치.
  4. 이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입력하고;
    상기 지시에 따른 전기자극신호의 크기에 대응하는 공급주파수를, 상기 전기자극신호의 크기 및 공급주파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전류주파수 상관데이터에 의하여 구하고;
    상기 전기자극신호의 크기와 공급주파수에 의하여 상기 전기자극신호를 생성하고;
    이 전기자극신호를 상기 이용자의 몸에 공급하여 간섭파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류주파수 상관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전기자극신호의 크기와 상기 공급주파수가 정비례의 관계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트레이닝장치의 제어방법.
  5. 삭제
KR1020050039903A 2004-06-09 2005-05-12 근육트레이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693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71082 2004-06-09
JP2004171082A JP4057558B2 (ja) 2004-06-09 2004-06-09 筋肉トレーニ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839A KR20060047839A (ko) 2006-05-18
KR100693926B1 true KR100693926B1 (ko) 2007-03-12

Family

ID=3546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903A Expired - Lifetime KR100693926B1 (ko) 2004-06-09 2005-05-12 근육트레이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87955B2 (ko)
JP (1) JP4057558B2 (ko)
KR (1) KR100693926B1 (ko)
CN (1) CN17065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1077B2 (ja) * 2005-03-30 2011-01-12 株式会社日本メディックス 電気的刺激装置
CN1990058B (zh) * 2005-12-26 2010-08-25 伊藤超短波株式会社 低频治疗设备
KR101724078B1 (ko) * 2015-12-30 2017-04-06 (주)쓰리비전 지능형 ems 트레이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00205A (ko) 2016-12-27 2019-08-28 아벤트, 인크. 당뇨성 말초 신경병증 치료용 물품
JP2018183480A (ja) * 2017-04-27 2018-11-22 株式会社 Mtg 筋肉電気刺激装置
EP3659670A4 (en) * 2017-07-25 2021-05-12 Ito Co., Ltd. STIMULATING DEVICE WITH ELECTRICITY
CN108939292B (zh) * 2018-07-23 2024-03-29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生物组织时域干涉电刺激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839704B (zh) 2018-10-01 2024-05-28 桑畑亮嗣 生物体刺激装置
KR102158993B1 (ko) * 2018-11-15 2020-09-23 주식회사 네오텍 수중 드론의 전력 제어 방법
KR102172151B1 (ko) * 2018-12-04 2020-10-30 주식회사 디엘이노베이션 전기 자극을 이용한 근육 마사지 장치
CN109999435B (zh) * 2019-03-21 2021-08-17 重庆英乐伟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ems的健身方法及系统
JP2020156559A (ja) * 2019-03-25 2020-10-01 ヤーマン株式会社 美容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0156558A (ja) * 2019-03-25 2020-10-01 ヤーマン株式会社 美容器、及びその制御方法
CN111180041A (zh) * 2020-01-16 2020-05-19 北京安体倍力健康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穿戴设备、健身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1292827A (zh) * 2020-01-16 2020-06-16 北京安体倍力健康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穿戴设备、健身系统和计算机可读介质
CN111617384B (zh) * 2020-05-26 2023-08-04 苏州易型健康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穿戴设备、健身系统及计算机可读介质
US11491330B2 (en) 2021-01-20 2022-11-08 Heby, Llc Wellness device using interference frequencies
KR20220142283A (ko) 2021-04-14 2022-10-21 주식회사 에스피그룹 장갑 착용자의 체내에 건강 목적의 전기를 흐르게 하는 ems 디바이스
KR20220142281A (ko) 2021-04-14 2022-10-21 주식회사 에스피그룹 웨어러블 ems 장갑
KR20220142278A (ko) 2021-04-14 2022-10-21 주식회사 에스피그룹 장갑에 부착 가능한 ems 디바이스
KR20220142280A (ko) 2021-04-14 2022-10-21 주식회사 에스피그룹 Ems 디바이스가 장착된 트레이닝 장갑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97889B1 (fr) * 1985-04-03 1990-05-23 Medicompex S.A. Dispositif de stimulation neuro-musculaire électrique
US4949721A (en) * 1988-08-11 1990-08-2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Transcutaneous electric nerve stimulater
US5350414A (en) * 1991-12-10 1994-09-27 Electro Science Technologies, Inc. Local application microprocessor based nerve and muscle stimulator
DE4229693A1 (de) 1992-09-05 1994-03-10 Achim Dr Hansjuergens Elektrotherapeutisches Gerät
US5324317A (en) * 1992-09-30 1994-06-28 Medserve Group, Inc. Interferential stimulator for applying low frequency alternating current to the body
JPH08112362A (ja) 1994-10-19 1996-05-07 O G Giken Kk 干渉低周波治療器
JP3767939B2 (ja) 1996-03-01 2006-04-19 三洋電機株式会社 低周波治療器
JP2000014803A (ja) 1998-06-29 2000-01-18 Omron Corp 低周波治療器
JP3094220B2 (ja) 1998-12-01 2000-10-03 コスモケミカル株式会社 袋用封止具
JP4337012B2 (ja) 1999-07-14 2009-09-30 ソニー株式会社 電気刺激装置及び電気刺激を用いた力触覚呈示装置
US6188929B1 (en) * 1999-07-15 2001-02-13 Joseph Giordano Sequentially generated multi-parameter bio-electric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6393328B1 (en) * 2000-05-08 2002-05-21 International Rehabilitative Sciences, Inc. Multi-functional portable electro-medical device
JP3545992B2 (ja) 2000-05-29 2004-07-21 伊藤超短波株式会社 電気刺激による筋肉トレーニング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0353388B1 (ko) 2000-06-30 2002-09-18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휴대용 프로그램어블 전기자극기
DE10039240A1 (de) * 2000-08-11 2002-02-28 Hans Ulrich May Elektrotherapeutisches Gerät
JP2002143326A (ja) 2000-11-15 2002-05-21 Ito Choutanpa Kk 筋肉トレーニング装置
US6564103B2 (en) * 2000-12-01 2003-05-13 Visionquest Industries, Inc. Electrical stimulator and method of use
US6826429B2 (en) * 2001-01-19 2004-11-30 Dynatronics Corporation Interferential current treatment apparatus
JP2003220149A (ja) 2002-01-30 2003-08-05 Ya Man Ltd パルス健康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48859A (ja) 2005-12-22
US7787955B2 (en) 2010-08-31
CN1706507B (zh) 2010-12-29
CN1706507A (zh) 2005-12-14
KR20060047839A (ko) 2006-05-18
US20050277997A1 (en) 2005-12-15
JP4057558B2 (ja)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926B1 (ko) 근육트레이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12067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6535985A (zh) 康复系统和方法
CN109984911B (zh) 一种具有虚拟现实功能的按摩设备及其控制方法
EP3668386B1 (en) Meditation enhancement
JP2004000318A (ja) トレーニングアイマスク
JPH10337314A (ja) マッサージ機
JP4807176B2 (ja) 低周波治療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125694A (ja) 低周波治療器
CN112515912A (zh) 按摩椅的控制方法及控制设备
US20190159959A1 (en) Electrical stimulator apparatus with contactless feedback from a user
KR20140127547A (ko) 신체 상태 기반 운동/재활 난이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18989B1 (ko) 목착용형 미세 전류 겸용 저주파 치료 장치
KR20140086251A (ko) 전기 자극 생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5068017A1 (en) Electronic muscle stimulator with user-friendly interface
KR100435171B1 (ko) 핸드폰을 이용한 수지침 요법 및 장치
KR20150123029A (ko)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상지 재활로봇
JP4009968B2 (ja) マッサージ装置
CN101468247B (zh) 可适配个人体能的运动装置的控制方法
JP4787668B2 (ja) 美容用通電装置、美容用通電システム
KR20050023063A (ko) 컴퓨터를 이용한 저주파 자극 발생 시스템, 인터넷을이용한 저주파 치료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Yarimaga et al. Tactile Sensation Display with Electrotactile Interface
JP2024128531A (ja) 健康機器、健康機器の制御方法、及び健康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KR200449271Y1 (ko) 저주파 자극기
KR20180049715A (ko) 생체신호 감지 및 표시 가능한 기능성 월풀 욕조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9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